오늘
1 전체글 2 티스토리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구글 트렌드
카테고리 없음

초성 ㄱㅎ 많이 쓰는 단어 ⭕️

by 사계절1 2024. 7. 7.




728x90
반응형

"*가하* : 1加下 정해진 액수보다 돈을 더 내어 줌. 2加下 정해진 액수보다 돈을 더 씀. 3加下 공금을 개인적인 일에 씀. ... (총
4개의 의미)"
*가학* : 1加虐 남을 못살게 굶. 2苛虐 몹시 심하게 학대함. 3家學 집안 대대로 전하여 오는 학문. ... (총 4개의 의미)
*가한* : 1可汗 ‘칸’의 음역어. 2假寒 열증이 원인이 되어 겉으로는 한증(寒症)처럼 나타나는 증상. 찬 성질의 약으로 치료한다.
*가함* : 1假銜 거짓으로 꾸며 댄 이름. 2假銜 거짓 직함. 3 ‘고함’의 방언
*가합* : 1加合 더하여 합침. 2可合 ‘가합하다’의 어근.
"*가항* : 1可航 운항이 가능함. 2假航 배나 비행기가 예정되거나 지정된 항로가 아닌 다른 항로를 이용하여 임시로 운항함. 3街巷
사람이 많이 다니는 길."
"*가해* : 1加害 다른 사람의 생명이나 신체, 재산, 명예 따위에 해를 끼침. 2可解 군론(群論)에서, 군 의 교환자군의 열 중에 의
단위원만으로 이루어진 군이 나타날 때 군 를 이르는 말."
"*가행* : 1加行 목적을 이루려고 더욱 힘을 써서 마음과 계행을 닦는 일. 2家行 한 집안에서 대대로 이어 오는 행실과 품행. 3嘉行
착하고 갸륵한 행실. ... (총 5개의 의미)"
*가향* : 1佳香 좋은 향기. 2家鄕 자기 집이 있는 고향. 3可向 일관되게 방향이 정해진 곡면.
*가헌* : 家憲 한 집안의 법도나 규율.
*가헤* : ‘가’의 방언
"*가현* : 1假現 신이나 부처가 사람의 모습으로 잠시 이 세상에 나타남. 2賈鉉 중국 금나라 때의 정치가(?~1213).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에 올랐으며 ≪요사≫를 편수하는 데 참여하였다. 후에 안무군 절도사(安武軍節度使), 제남부(濟南府)를 맡았다."
*가형* : 1加刑 이미 준 형벌에 다시 형벌을 더함. 2家兄 남에게 자기의 맏형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가호* : 1加號 ‘덧셈 부호’의 전 용어. 2加護 보호하여 줌. 3加護 신 또는 부처가 힘을 베풀어 보호하고 도와줌. ... (총
9개의 의미)"
*가혹* : 苛酷 몹시 모질고 독함.
*가화* : 1加貨 많은 선물. 2佳話 아름답고 좋은 내용의 이야기. 3家禍 집안에 일어난 재앙. ... (총 8개의 의미)
"*가환* : 1可換 연산의 순서를 바꾸어도 그 결과가 변하지 않는 일.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는 덧셈과 곱셈이 가환이다. 2家患 집안에
생긴 근심, 걱정이나 병. 3假鬟 예전에, 결혼한 여자가 몸치장을 할 때 쪽 찐 머리 위에 얹던 큰머리나 어여머리."
"*가황* : 1加黃 고무의 탄성ㆍ내열성ㆍ내약품성ㆍ신장성을 늘리기 위하여 생고무 또는 디엔(diens) 계열 합성 고무에 황을 섞어
가열하는 일. 2加黃 약품 따위를 사용하여 가소성 물질을 탄성 물질로 변화시키는 일. 3加黃 아마인유, 피마자유, 면실유, 어유 따위의
유지(油脂)에 황이나 염화 황을 가하여 가열 처리를 하는 일. 황의 함량에 따라 점성이 다르다. ... (총 5개의 의미)"
"*가회* : 1佳會/嘉會 기쁘고 즐거운 모임. 2葭灰 갈대 줄기 속에 들어 있는 갈청을 태운 재. 옛날 중국에서는 이 재를 대롱 속에
넣어 절기의 이르고 늦음을 점쳤다. 3歌會 노래를 들으며 비평하는 모임."
*가획* : 加劃 원글자에 획을 더함.
*가효* : 佳肴/嘉肴 맛이 좋은 안주나 요리.
"*가후* : 1駕後 조선 시대에, 임금이 행차할 때 그 가교 뒤를 따르던 시위병. 2賈后 중국 서진(西晋) 혜제(惠帝)의
황후(256~300). 가충(賈充)의 딸로 사마위(司馬瑋)를 시켜 양준(楊駿)을 죽이고 정권을 잡았다. 그 후 사마위도 제거하고 10여
년간 전권을 휘두르다가 사마륜(司馬倫)에 의해 살해되었다."
*가훈* : 家訓 한 집안의 조상이나 어른이 자손들에게 일러 주는 가르침. 한 집안의 전통적 도덕관으로 삼기도 한다.
*가훼* : 嘉卉 아름다운 초목.
*가휘* : 家諱 자손이 자기 부모나 조상의 이름 부르기를 피하는 일. 또는 피하여 달리 부르는 이름.
"*가흥* : 1佳興 마음속으로부터 느껴지는 재미있는 흥취. 2嘉興 중국 저장성(浙江省) 북쪽에 있는 도시. 양쯔강(揚子江)
삼각주(三角洲) 가운데에 있어 대운하를 낀 수륙 교통의 요충지이다. 저장미(浙江米)로 유명하며 견직물 공업이 성하다. ⇒규범 표기는
‘자싱’이다. 3嘉興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서량(西凉) 이흠(李歆) 때의 연호(417~420)."
"*가희* : 1佳姬 젊고 아리따운 여자. 2歌姬 여자 가수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3嘉熙 중국 남송 이종(理宗) 때의
연호(1237~1240)."
"*가히* : 1 ‘개’의 방언 2 ‘개’의 옛말. 조사 ‘’, ‘의’, ‘의게’ 앞에서는 ‘ㅣ’가 탈락하여 ‘갛’으로 나타난다. 3可히
‘능히’, ‘넉넉히’의 뜻을 나타낸다. ... (총 5개의 의미)"
"*각하* : 1却下 행정법에서, 국가 기관에 대한 행정상 신청을 물리치는 처분. 2却下 민사 소송법에서, 소장 따위가 형식적인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 부적법한 것으로 하여 내용에 대한 판단 없이 소송을 종료하는 일. 3刻下 시각이 다급한 이때. ... (총 7개의
의미)"
"*각한* : 1角한 신라 때에 둔, 십칠 관등 가운데 첫째 등급. 자색 관복을 입었다. 진골만이 오를 수 있었다. ⇒규범 표기는
‘각간’이다. 2刻限 기한을 분명히 정함."
*각함* : 閣銜 고려ㆍ조선 시대에, 청연각ㆍ보문각ㆍ규장각에 속했던 벼슬을 이르던 말.
*각항* : 1各項 각각의 항목. 2各項 각기 다른 여러 가지.
*각해* : 覺海 불교의 세계.
"*각행* : 1却行 어떤 일이나 위치로부터 뒤로 물러남. 2覺行 삼각(三覺)의 하나. 스스로 깨달은 바를 설파하고 자비를 행함으로써
남을 깨닫게 하는 각(覺)을 이른다."
*각향* : 角香 은이나 옥 따위로 네모지게 만든 집에 넣은 향.
*각혈* : 咯血 혈액이나 혈액이 섞인 가래를 토함. 또는 그런 증상. 결핵, 암 따위로 인해 발생한다.
*각형* : 1角形 각이 진 모양. 2角形 뿔처럼 생긴 모양. 3角形 네 개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 도형.
*각호* : 1各戶 각각의 집. 2各戶 각각의 세대. 3各戶 호적상의 각 집. ... (총 4개의 의미)
*각혼* : 1各혼 윷놀이에서, 양편의 말이 다 하나씩만 가고 있는 상태를 이르는 말. 2覺魂 사람이나 동물이 감각하는 힘.
"*각화* : 1角化 척추동물의 표피가 경단백질인 케라틴으로 되는 일. 비늘, 털, 뿔, 손톱 따위가 이러한 과정을 겪어 만들어진다. 2
刻花 꽃무늬를 새기는 일. 또는 그 꽃무늬. 3榷貨 전매(專賣) 규정을 어긴 범칙물자. ... (총 4개의 의미)"
*각환* : 1各環 각각의 고리. 2各環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일의 각 구성 부분.
*각황* : 覺皇 깨달음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는 뜻으로, ‘부처’를 달리 이르는 말.
*각회* : 角回 대뇌 반구의 바깥쪽 면에서 위 관자 고랑의 뒤쪽 끝을 감싸는 주름진 회. 모 이랑 주름으로 다듬어졌다.
"*각훈* : 覺訓 고려 시대의 승려(?~?). 호는 고양취곤(高陽醉髡). 이인로, 이규보와 교유하였고 문장에도 능하였다. 고종
2년(1215)에 왕명으로 ≪해동고승전≫을 지었다."
"*각희* : 1角戲 고구려 때에, 하류층에서 하던 놀이의 하나. 두 사람이 씨름하듯이 맞붙어 힘을 겨루거나 또는 여러 가지 기예와
활쏘기, 말타기 따위를 겨루었다. 2角戲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재주를 부리어 먼저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우리 고유의
운동. 3脚戲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무예 가운데 하나. 유연한 동작을 취하며 움직이다가 순간적으로 손질ㆍ발질을 하여 그 탄력으로
상대편을 제압하고 자기 몸을 방어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택견’이다."
*각히* : 各히 저마다의 사람이나 사물. ⇒규범 표기는 ‘각기’이다.
*간하* : 肝下 간의 아래 부분.
*간학* : 1乾涸 ‘건학’의 원말. 2澗壑 물이 흐르는 골짜기. 3肝學 간 질환에 관련되는 것을 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
"*간한* : 1奸漢 간악한 놈. 2肝寒 간의 기능이 허약해져서 생기는 한증(寒症). 아랫배와 음낭에 찬 느낌이 있고 켕기면서 아프거나
붓는다."
*간할* : 奸黠 ‘간할하다’의 어근.
*간항* : 簡亢 ‘간항하다’의 어근.
"*간해* : 1 ‘지난해’의 방언 2肝咳 간의 기능 장애로 오는 기침. 간화(肝火)가 허파에 영향을 주어 생기는 것으로, 기침이 나며
양 옆구리가 그득하고 아프며 심하면 돌아누울 수가 없다."
*간핵* : 簡核 ‘간핵하다’의 어근.
"*간행* : 1刊行 책 따위를 인쇄하여 발행함. 2奸行 간사한 행동. 3間行 지위가 높은 사람이 무엇을 몰래 살피기 위하여 남루한
옷차림을 하고 남 모르게 다님. ... (총 4개의 의미)"
*간향* : 奸鄕 예전에, 간악한 좌수(座首)나 별감(別監)을 이르던 말.
*간허* : 肝虛 간의 기혈(氣血)이 부족하여 생긴 병. 머리가 어지럽고 아프며 시력 장애나 청력 장애가 온다.
*간헐* : 間歇 얼마 동안의 시간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여 일어났다 쉬었다 함.
*간험* : 1奸險 ‘간험하다’의 어근. 2艱險 ‘간험하다’의 어근.
*간협* : 奸俠 간악한 불량배.
*간호* : 看護 다쳤거나 앓고 있는 환자나 노약자를 보살피고 돌봄.
*간혹* : 1間或 어쩌다가 한 번씩. 2間或 어쩌다가 띄엄띄엄.
*간혼* : 1肝魂 겁이 없고 용감한 기운. 2間婚 남의 혼사(婚事)를 중간에서 이간질하여 방해함.
"*간화* : 1干和 온화한 분위기를 해침. 2肝火 간기(肝氣)가 지나치게 왕성하여 생기는 열.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얼굴과 눈이
붉어지고 입이 쓰며 마음이 조급해지고 쉽게 노한다. 3懇話 서로 정답게 이야기를 주고받음. 또는 그 이야기. ... (총 5개의 의미)"
*간환* : 艱患 어려움과 근심.
*간활* : 奸猾 ‘간활하다’의 어근.
*간회* : 1肝膾 소, 염소, 노루 따위의 간으로 만든 회. 2諫誨 타일러 가르침.
*간휼* : 奸譎 ‘간휼하다’의 어근.
*간흉* : 奸凶 간사하고 흉악함. 또는 그런 사람.
*간흘* : 間흘 얼마 동안의 시간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여 일어났다 쉬었다 함. ⇒규범 표기는 ‘간헐’이다.
*간힐* : 奸黠 ‘간힐하다’의 어근.
*간힘* : 숨 쉬는 것을 억지로 참으며 고통을 견디려고 애쓰는 힘.
"*갈현* : 葛峴 충청북도 영동군에 있는 고개. 노령산맥에 속하며, 압치(鴨峙)와 함께 호남 지방과 중부 지방을 잇는 주요 통로이다.
높이는 216미터."
"*갈형* : 葛衡 중국 삼국 시대 오(吳)의 천문가(?~?). 기존의 혼천의를 확대하여 사람이 그 안에 들어가 천체를 관측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갈호* : 1葛戶 칡덩굴로 문을 엮어 산속에 지어 놓은 오두막집. 주로 사냥꾼들이 임시로 묵기 위하여 짓는다. 2蝎虎 도마뱀붙잇과의
하나. 도마뱀과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12cm 정도이며, 등이 어두운 회색이고 띠 모양의 검은색 무늬가 불규칙하게 있다. 꼬리가 잘
끊어지나 다시 나고 발바닥에 빨판이 있어 다른 물건에 잘 달라붙는다. 야행성으로 주로 인가 가까이 살며 작은 소리로 운다.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갈홍* : 葛洪 중국 동진(東晉)의 도사(283?~343?). 자는 치천(稚川). 호는 포박자(抱朴子). 영리를 탐하지 않았으며,
유교 윤리와 도교의 비술(祕術)을 결합하려고 애썼다. 평생 신선도(神仙道)를 수행하였다. 저서에 ≪포박자≫, ≪신선전(神仙傳)≫ 따위가
있다."
"*갈화* : 1喝火 ‘할화’의 원말. 2葛花 ‘칡꽃’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술독을 풀고 갈증을 멈추게 하며 비위를 든든하게 하여
혈변을 다스린다."
*갈환* : 1竭歡 환락을 마음껏 누림. 2葛環 칡베로 만든 띠. 상을 치를 때 상주의 허리와 머리에 두른다.
"*갈힐* : 葛纈 날염 방법의 하나. 목랍에 송진을 섞어 펜, 붓, 솔 따위로 천에 무늬를 그리거나 무늬 부분 혹은 천 전면에 바른
다음 응고시켜 균열을 만들고 균열 사이로 염액을 침투시켜 염색하는 방법이다. 삼국 시대부터 사용되었고 여러 문양의 염색에 쓰인다."
"*감하* : 1減下 분량이나 수량 따위를 줄임. 2減下 현직에 있는 벼슬아치의 수를 줄이던 일. 3感荷 은혜를 고맙게 여김. ... (총
5개의 의미)"
*감한* : 1感寒 추위로 인하여 생긴 병증. 2憾恨 원망을 느낌.
"*감합* : 1嵌合 기계 따위를 조립할 때에 구멍과 축, 홈과 돌기, 톱니와 톱니 따위를 맞추는 일. 2勘合 조선 시대에, 발송할
문서의 한끝을 원본에 겹쳐 대고 그 위에 도장을 찍던 일. 또는 그 도장. 각 관서에서 발행한 공문서의 진위를 추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행하였다. 3勘合 조선 시대에, 외교 및 무역의 목적으로 내왕하던 왜인(倭人)들의 입국 확인서. 또는 그것을 확인하던 일."
*감항* : 堪航 항공기가 항공하기에 적합한 안전성과 신뢰성을 갖추는 일.
*감행* : 敢行 과감하게 실행함.
*감향* : 甘香 달콤한 향기.
"*감혁* : 減革 급대(給代) 재정을 줄이려고 군문을 통폐합하여 관아의 예산을 줄이는 일. 조선 영조 28년(1752)에 편찬된
≪균역청사목≫에 실려 전한다."
"*감형* : 1減刑 형의 선고를 받은 사람의 형벌을 줄여 주는 일. 대통령이 행하는데, 일반 감형과 특별 감형이 있다. 2監刑
형(刑)의 집행을 감시하고 감독함."
*감호* : 1減號 ‘뺄셈 부호’의 전 용어. 2監護 감독하고 보호함.
"*감홍* : 1甘汞 ‘염화 수은’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2甘紅 국립 원예 특작 과학원에서 1981년에 스퍼얼리블레이즈와
스퍼골든딜리셔스를 교배하여 1992년에 최종 선발한 후에 2000년에 등록한 사과 품종. 숙기는 10월 중순이고, 과형은 장원형이며
무게는 400~450그램이다. 봉지를 씌우면 선홍색 줄무늬로 착색되어 외관이 좋으나 무대재배 시에는 농홍색이 되고 동녹이 많이
발생한다. 당도는 17도 이상으로 후지에 비하여 아주 높고, 산도는 0.48%로 후지보다 약간 높다."
"*감화* : 1感化 좋은 영향을 받아 생각이나 감정이 바람직하게 변화함. 또는 그렇게 변하게 함. 2鹼化 유기 화학에서, 에스터를
알칼리의 촉매 작용으로 가수 분해 하여 알코올과 산의 알칼리염으로 분해되거나 그렇게 되게 함."
*감환* : 感患 ‘감기’의 높임말.
*감회* : 1感懷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2憾悔 한탄하고 뉘우침.
*감획* : 減劃 획수를 줄임. 특히 한자의 획수를 줄이는 것을 이른다.
"*감후* : 1監候 고려 시대에, 기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벼슬. 초기에는 태사국의 종구품 벼슬이었으나, 뒤에 서운의 정구품 벼슬로
상향 조정되었다. 2監候 중국 청나라에서 시행한 사형 판결과 집행 절차를 이르던 말. 죄인이 사형을 선고받은 후 신병(身柄)이 확보된
상태에서 형의 집행 명령을 기다리며, 추심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사형 집행 여부가 정해졌다."
*감흙* : 사금광에서 파낸, 금이 섞인 흙.
"*감흥* : 1酣興 술을 마시고 한껏 즐거워함. 2酣興 흥겨움이나 즐거움이 절정에 이른 상태. 3感興 마음속 깊이 감동받아 일어나는
흥취."
*감희* : 感喜 고맙게 여기어 기뻐함.
*감히* : 1敢히 두려움이나 미안함을 무릅쓰고. 2敢히 말이나 행동이 주제넘게. 3敢히 ‘함부로’, ‘만만하게’의 뜻을 나타내는 말.
*갑호* : 甲號 여러 가지 호수(號數)를 갑, 을, 병의 순서로 차례를 매길 때의 그 첫째 호.
*갑화* : 까닭 없이 저절로 일어나는 불. ⇒규범 표기는 ‘도깨비불’이다.
*갑회* : 甲膾 소의 내장(內臟)으로 만든 회.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