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 전체글 2 티스토리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구글 트렌드
카테고리 없음

기구로 끝나는 단어 알아보기 ⭕️

by 사계절1 2024. 5. 16.




728x90
반응형

절대 빈곤 *가구* : (1)실질적인 부양자가 없어서 생활이 어렵거나 소득이 최저 생계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가구.
"미술가들의 *가구* : (1)가구 전문 디자이너가 아닌 순수 미술 분야의 비전문가들이 만든 가구. 실용성, 상업성보다는 작가의
개성이나 예술성이 강조된다."
"일세대 *가구* : (1)가구주와 같은 세대에 속하는 친족만이 함께 사는 가구. 이를테면, 부부나 형제자매, 또는 부부와 같은 세대의
친척 따위로 이루어진 가구를 가리킨다."
다*가구* : (1)하나의 단독 주택 안에 있는 여러 가구.
표준 *가구* : (1)정책 수립이나 연구 따위의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이론적으로 표준화된 가구 형태.
학생 *가구* : (1)주로 초중고생이 사용하는 책상, 의자, 침대 따위의 가구.
외벌이 *가구* : (1)가족 중 한 사람만이 직업을 가지고 돈을 버는 가구.
"유닛 *가구* : (1)공통의 치수, 구조, 디자인 따위의 일정한 기본형을 가진 각종 가구. 사용 조건에 맞추어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가변식 *가구* : (1)구조를 바꾸면 다른 용도로 쓸 수 있도록 만든 가구.
중산층 *가구* : (1)오이시디(OECD) 기준에 따라 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할 때 중위 소득의 50~150% 범위에 속하는 가구.
폐*가구* : (1)낡거나 못 쓰게 된 가구.
"준*가구* : (1)가계(家計)를 함께 하지 않는 사람들이 모여서 이루는 가구(家口)와 비슷한 조직. 기숙사, 병원, 여관 따위를
이른다."
친환경 *가구* : (1)기본 재료, 접착제, 도료, 마감재 따위를 환경이나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 것으로 사용하여 만든 가구.
"앤틱 *가구* : (1)골동품처럼 예스럽고 고전적인 느낌을 자아내는 가구. 주로 만들어진 지 100년 이상 지난 것으로서,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한 흔적이 담겨 있는 서양식 가구를 이른다. ⇒규범 표기는 ‘앤티크 가구’이다."
등*가구* : (1)등나무 줄기로 만든 가구.
벽장*가구* : (1)건물의 벽체에 직접 만든 가구.
목*가구* : (1)나무로 만든 가구.
"죽세공 *가구* : (1)참대나무로 기물을 만드는 공예. 대나무의 가공은 대체로 목제보다 까다롭고 잔손질이 많기 때문에 규모가 큰
가구보다는 소품이나 가구에 덧붙이는 장식의 부재로 많이 사용된다."
혼수 *가구* : (1)혼인할 때 장만하는 가구.
"근로자 *가구* : (1)가구주가 회사, 기관, 조직체, 상점 따위에 고용되어 정신적 또는 육체적 노동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봉급이나
노임을 받아 가계를 유지하는 가구."
보통 *가구* : (1)생계를 같이하는 사람으로 구성된 가구.
엮음*가구* : (1)싸리나 버들 초리, 참대 오리 따위로 결어서 만든 가구.
독신 *가구* : (1)가족과 같이 살지 않고 혼자 사는 가구.
주방 *가구* : (1)음식을 만들거나 차리는 일에 적합하도록 주방에 설치하는 가구. 싱크대, 식탁, 찬장 따위를 이른다.
살틀식*가구* : (1)목질판이 아닌 각재나 널빤지 또는 쇠붙이나 합성수지를 써서 트러스 모양으로 만든 가구.
일이인 *가구* : (1)구성원이 한 명이거나 두 명인 가구.
접착구부림*가구* : (1)얇은 판자에 풀을 발라 일정한 형틀에서 가열ㆍ압착하여 구부려서 만든 가구.
판식*가구* : (1)목질판을 기본 재료로 쓴 가구. 목삭 판, 목섬유 판, 합판, 중공 판 따위를 쓴다.
생활 *가구* : (1)일상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가구. 침대, 소파, 장롱 따위가 있다.
중고 *가구* : (1)이미 사용하였거나 오래된 가구.
곡목 *가구* : (1)등나무, 너도밤나무 따위의 무른 목재나 덩굴나무 따위를 삶거나 찌거나 하여 구부려 만든 가구.
"부유 *가구* : (1)17세기 프랑스의 루이 십사세 때 유명한 가구 장인이었던 불의 이름에서 따온 가구 양식. 불은 왕실의 가구
장인으로, 최초로 목재 가구에 도금한 청동을 접목하여 우아하고 화려한 가구를 만들었으며, 이 양식은 전 유럽에 유행하게 되었다. ⇒규범
표기는 ‘불 가구’이다."
소인 *가구* : (1)적은 수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가구.
부부 *가구* : (1)부부끼리만 사는 가구.
맞벌이 *가구* : (1)부부가 모두 직업을 가지고 돈을 버는 가구.
대형 *가구* : (1)연속된 가로(街路)로 둘러싸여 있으며 개발이 가능한 큰 구역.
일인 *가구* : (1)구성원이 한 명인 가구.
무직 *가구* : (1)전국 가구 중에서 가구주가 직업이 없는 가구.
에너지 빈곤 *가구* : (1)광열비를 기준으로 할 때, 에너지의 구입 비용이 가구 소득의 10% 이상인 가구.
다자녀 *가구* : (1)자녀가 많은 가구. 일반적으로 세 자녀 이상의 가구를 이른다.
소품 *가구* : (1)집 안 살림에 쓰는 가구 가운데 비교적 크기가 작은 제품.
농업 *가구* : (1)농업을 생계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가구.
무늬목 *가구* : (1)외양을 무늬목으로 꾸미거나 무늬목을 재료로 하여 만든 가구.
벽판 주변 *가구* : (1)내진 벽에 연결된 기둥과 보.
분해 *가구* : (1)각 부재(部材)에 휨 모멘트가 작용되는 골조의 반곡점에서 끊어 낸 부분 가구.
나 홀로 *가구* : (1)혼자 사는 가구.
동거 *가구* : (1)부부가 한집에서 노인이나 자녀와 같이 거주하는 가족.
신혼 *가구* : (1)갓 결혼한 살림집에 들여놓는 가구.
"앤티크 *가구* : (1)골동품처럼 예스럽고 고전적인 느낌을 자아내는 가구. 주로 만들어진 지 100년 이상 지난 것으로서,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한 흔적이 담겨 있는 서양식 가구를 이른다."
일식*가구* : (1)방 안의 구조와 크기, 사용 목적에 맞게 필요한 여러 가지를 다 갖추어 놓은 가구.
사세대 이상 *가구* : (1)가구주와 그 직계 또는 방계의 친족이 4세대 이상에 걸쳐 함께 사는 가구.
부엌 *가구* : (1)음식을 만들거나 차리는 일에 적합하도록 부엌에 설치하는 가구. 싱크대, 식탁, 찬장 따위를 이른다.
비주택 거주 *가구* : (1)주거 시설을 갖추지 못한 고시원, 비닐하우스, 쪽방 따위의 비주택에서 사는 가구.
사무용 *가구* : (1)사무를 보는 데 쓰는 가구.
단위 *가구* : (1)집단을 구성하는 기초가 되는, 일정한 기준이 되는 가구.
시스템 *가구* : (1)기능적인 측면을 중요시하여 필요에 따라 변경이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가구.
"동*가구* : (1)‘공자’의 다른 이름. 공자의 서쪽 이웃에 사는 사람이 공자가 훌륭한 인물임을 모르고 ‘동쪽 이웃인 구(丘)’라고
불렀다는 데서 유래한다. (2)사람을 알아볼 줄 모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삼세대 *가구* : (1)가구주와 그 직계 또는 방계의 친족이 3세대에 걸쳐 같이 사는 가구. 일반적으로 부부와 자녀 그리고 양친이나
편친 등으로 구성된 가구를 가리킨다."
가정용 *가구* : (1)가정에서 사용하게 할 목적으로 만든 가구.
"콜로니얼 *가구* : (1)17~18세기에 영국, 에스파냐, 네덜란드 따위가 정복한 식민지에서 유행한 가구 양식. 당시 유럽에서 온
이주자들이 자국의 가구를 들여와 식민지적 특징을 가하면서 만들었다."
"헤플화이트식 *가구* : (1)18세기 후반 영국의 디자이너이자 가구 제작자인 헤플화이트가 창시한 가구 양식. 새틴 우드를 사용하여
맵시 있고 실용적인 형태이며 날씬한 무늬가 있는 다리, 교차한 하트형 등받이가 특징이다."
화이트 *가구* : (1)장롱, 화장대, 소파 따위의 색을 흰색으로 하여 만든 가구.
이인 *가구* : (1)구성원이 두 명인 가구.
맞춤 *가구* : (1)고객의 요구나 취향에 맞추어 제작되는 가구.
변형식*가구* : (1)‘가변식 가구’의 북한어.
단독 *가구* : (1)거주하는 사람이 한 명인 가구.
비혈연 *가구* : (1)핏줄로 연결되지 않았지만 현실적으로 주거 및 생계를 같이하는 사람의 집단.
수납 *가구* : (1)여러 가지 물건 따위를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만든 가구.
정원용 *가구* : (1)집의 뜰이나 마당에서 사용하는 실외용 가구.
"집단 *가구* : (1)유닉스에서,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파일 시스템의 크기,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의 개수, 사용할 수 있는 공간 따위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2)연속된 가로로 둘러싸인, 개발 가능한 대단위
구역. 택지를 조성할 때 여러 구역을 묶어 하나의 단지로 계획한 것이다."
서재 *가구* : (1)서재에서 사용하는 가구. 책상, 의자, 책장 따위가 있다.
저소득 *가구* : (1)낮은 소득과 낮은 소비 수준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잔여 *가구* : (1)분양 중인 공동 주택이나 아파트 따위에서 분양이 되지 않고 남아 있는 가구.
사무 *가구* : (1)사무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가구. 캐비닛, 책상, 의자 따위가 있다.
원목 *가구* : (1)베어 낸 그대로 가공하지 아니한 나무를 이용하여 만든 가구.
"이세대 *가구* : (1)가구주와 그 직계 또는 방계의 친족이 2세대에 걸쳐 같이 사는 가구. 보통 부부와 자녀 또는 부부와 양친
등으로 구성되며, 그 외에도 편부모와 자녀 또는 부부와 편부모의 형태로 구성되기도 한다."
고*가구* : (1)오래된 가구.
"*가구* : (1)잘 지은 글귀. (2)낱낱의 재료를 조립하여 만든 구조물. (3)집안 식구. (4)집안의 사람 수효. (5)현실적으로
주거 및 생계를 같이하는 사람의 집단. (6)현실적으로 주거 및 생계를 같이하는 사람의 집단을 세는 단위. (7)집안 살림에 쓰는
기구. 주로 장롱ㆍ책장ㆍ탁자 따위와 같이 비교적 큰 제품을 이른다. (8)사실에 없는 일을 사실처럼 꾸며 만듦. ⇒규범 표기는
‘허구’이다. (9)가로(街路)와 가로 사이를 차지하는 한 구역. (10)사람이 많이 다니는 길. (11)인가가 모인 곳."
구부림*가구* : (1)‘곡목 가구’의 북한어.
액션 *가구* : (1)사무실이나 서재 따위에서 사람이 서서 사용하는 형태의 가구.
"엔틱 *가구* : (1)골동품처럼 예스럽고 고전적인 느낌을 자아내는 가구. 주로 만들어진 지 100년 이상 지난 것으로서,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한 흔적이 담겨 있는 서양식 가구를 이른다. ⇒규범 표기는 ‘앤티크 가구’이다."
개인 *가구* : (1)개인이 사용하는 가구. (2)구성원이 한 명인 가구.
침식 *가구* : (1)잠자는 일과 먹는 일에 쓰는 가구.
"노인 *가구* : (1)가구주와 그 배우자가 모두 65세 이상인 부부의 가구. 18세 미만의 미혼 자녀, 손자, 손녀가 같이 생활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요보호 *가구* : (1)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 따위에 의하여 제도적이고 공적인 차원에서 생활 보장을 받을 필요가 있는 가구.
붙박이 *가구* : (1)옮길 수 없도록 어느 한 자리에 박혀 있거나 붙어 있는 가구.
고령 *가구* : (1)65세 이상인 고령자가 가구주가 되는 가구.
전통 *가구* : (1)수공업으로 만든, 전통 방식의 가구.
거실 *가구* : (1)거실에 들여놓고 사용하는 가구. 소파, 장식장, 탁자 등이 있다.
"장*가구* : (1)중국 허베이성(河北省) 서부에 있는 상업 도시. 완리창청(萬里長城)의 관문으로, 내몽골로 통하는 교통 요충지이다.
⇒규범 표기는 ‘장자커우’이다."
"주 *가구* : (1)인구 통계에서, 한 주택 안에서 그 주택을 대표하는 가구. 한 주택에 한 가구가 사는 경우에는 소유 여부와
관계없이 그 가구가 해당되며, 한 주택에 여러 가구가 사는 경우에는 주인이 살고 있으면 주인 가구가 해당된다. 그리고 주인 가구가 없이
세든 가구만 함께 살고 있으면 안방을 쓰고 있는 가구가 해당된다."
안방 *가구* : (1)안방에 들여놓고 사용하는 가구. 장롱, 화장대, 문갑 따위가 있다.
모자 *가구* : (1)가구주인 어머니와 18세 미만의 미혼 자녀로 구성된 가구.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