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 전체글 2 티스토리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구글 트렌드
카테고리 없음

형식에 관련된 단어 알아보기 ⭕️

by 사계절1 2024. 5. 21.




728x90
반응형

"문체 *형식* : (1)저자가 의도한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글을 구성하는 방식. 전개 방법이나 표현 기법 따위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복합이부분*형식* : (1)‘복합 이부 형식’의 북한어.
번지 *형식* : (1)컴퓨터 명령의 주소부 형식. 명령어에서 기억 장치 내의 주소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예술 *형식* : (1)예술 작품이 예술적 효과를 지니도록 여러 부분을 배열하여 드러내는 방식.
"모음곡 *형식* : (1)독립하여 있는 여러 가지 악곡을 하나의 통일된 배열에 따라 엮어 모은 악곡의 형식.
소나타ㆍ교향곡ㆍ협주곡ㆍ모음곡, 그 밖에 카논ㆍ푸가ㆍ랩소디ㆍ환상곡ㆍ교향시 따위가 있다."
고전 *형식* : (1)고대 그리스ㆍ로마의 예술 형식을 이르는 말. 특히, 조각에서 보이는 조화와 균제의 미를 이상으로 한다.
"발생 *형식* : (1)사용자가 매크로 명령에 매개 변수 목록을 주어 필요한 영역에 명령문들의 구조나 특징을 만들어 내도록 하는
형태."
열평*형식* : (1)어느 한 점에 대하여 단위 시간 동안에 흐르는 열량을 하나씩 값을 구하여 열평형 상태를 보이는 식.
"론도 *형식* : (1)순환 부분을 가진 악곡 형식의 하나. 주제부 A 사이에 삽입부 BㆍC가 되풀이되는 형식인데, 17세기에
프랑스의 클라브생 악파에서 시작되어 18세기에는 독주용 소나타, 교향곡의 끝 악장에 쓰였다."
페이지 *형식* : (1)프로그램의 처리 중 발생하는 페이징을 모든 감시자의 관리에 맡겨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
제일악장*형식* : (1)‘소나타 형식’의 북한어.
"팩형 십진수 *형식* : (1)한 바이트에 두 개의 2진화 10진 숫자를 코드로 나타내고, 1100, 1101로 각 +, - 부호를
표시하는 형식. 예를 들면, 0149와 -0149를 팩형 10진수 형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0149 → [ 0000 0000 |
0001 0100 | 1001 1100 ], -0149 → [ 0000 0000 | 0001 0100 | 1001 1101 ]."
"폐쇄 *형식* : (1)극작술에서, 하나의 세계에 집중하고 바깥으로 확산되기보다는 사건의 한 점으로 수렴되는 형식. 비극을 표현하는
데에 유용하다."
"추락 *형식* : (1)체코 출신의 지휘자이자 작곡가 말러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악곡의 형식. 제2악장에서 한 형식 부분과 다른 형식
부분을 일관성 있게 접목해 주는 중요한 연결부가 있는데, 이 연결부는 매번 새로운 형식 부분이 나타날 때마다 순간적으로 높은 곳에서부터
아래로 떨어지는 추락적 성격을 일관성 있게 보여 준다."
교환 *형식* : (1)응용 환경 사이에서의 호환을 위한 압축 영상 데이터의 표현.
표준 *형식* : (1)매크로 명령에서 파라미터 라스트와 제어 프로그램의 호출부의 양쪽을 전개하는 형식.
"암시 번지 명령어 *형식* : (1)연산 데이터의 번지를 명확히 나타내지 않는 명령 형식. 연산 데이터가 필요 없는 명령이나 연산
데이터의 번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아도 연산 데이터를 찾아낼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엔번지 명령어 *형식* : (1)명령어 내에서 n개의 번지를 나타낼 수 있는 형식.
"닫힌 *형식* : (1)극작술에서, 하나의 세계에 집중하고 바깥으로 확산되기보다는 사건의 한 점으로 수렴되는 형식. 비극을 표현하는
데에 유용하다."
팩 *형식* : (1)한 바이트에 두 개의 10진수를 저장하는 방법. 한 바이트의 4비트 두 개에 각각 10진수를 저장하게 된다.
"오디오 비디오 인터리빙 *형식* : (1)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社)의 윈도에서 동화상, 즉 비디오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형식."
"색인 주소 지정 *형식* : (1)색인 레지스터의 내용이 명령의 번지 부분에 더해져 유효 번지가 얻어지는 모드. 명령의 번지 부분은
메모리에서 데이터 배열이 시작되는 번지를 가리킨다."
비월 *형식* : (1)중앙 처리 장치를 거치지 않고, 직접 주기억 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요구를 보내는 형식.
"자료 *형식* : (1)데이터 표현에서 정의된 방법. 예를 들면 정수를 위해서는 ‘INTEGER’, 문자 조합을 위해서는 ‘OCTET
STRING’을 사용한다."
"신호 단위 *형식* : (1)상위 계층에서 시그널링 연결 회로 위로 전송하는 메시지 형식. 에이치디엘시(HDLC) 같은 비트 지향
링크 프로토콜과 유사하다. 오류 검사, 흐름 제어, 송수신 간 동기화 따위의 정보가 교환된다."
지식 교환 *형식* : (1)리스트 프로세서와 같은 목록 표기법을 사용하는 텍스트 기반의 일차 형식.
단축 명령어 *형식* : (1)표준 명령어 길이로 된 명령어 형식. 표준 명령어 길이는 보통 2바이트를 나타낸다.
복소 미분 *형식* : (1)복소다양체 위에 정의한 미분 형식.
"엔티티 부*형식* : (1)하나 이상의 다른 속성을 가지거나 일반화된 엔티티 형식의 다른 어커런스에 내재하지 않은 관계를 가지며 보다
일반적인 엔티티 형식의 어커런스들로 이루어진 특정 부분 집합이 가지는 형식. 예를 들어, 일용 고용인은 시간급과 기본급 같은 정규
고용인과는 다른 속성을 가지고 있다."
노어 *형식* : (1)임의의 논리 함수를 노어(NOR) 게이트만으로 표현할 수 있는 형식. 낸드 형식과 쌍대(雙對) 관계에 있다.
"세도막 *형식* : (1)하나의 곡이 큰악절 세 개로 이루어진 형식. 중심부를 뺀 앞뒤의 두 부분이 똑같거나 매우 비슷하여 음악의
통일성과 다양성을 나타낸다. 가곡이나 소나타의 중간 악장 따위에 많이 사용한다."
"자료 교환 *형식* : (1)서로 다른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자료를 공유하여 쓸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전문가들이 정의한 자료 저장
방식."
"머리부 *형식* : (1)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송수신 데이터의 머리 부분에 있는 것. 주로 수신 목적지, 데이터 길이 따위의 정보를
담고 있다."
"신호 *형식* : (1)상위 계층에서 시그널링 연결 회로 위로 전송하는 메시지 형식. 에이치디엘시(HDLC) 같은 비트 지향 링크
프로토콜과 유사하다. 오류 검사, 흐름 제어, 송수신 간 동기화 따위의 정보가 교환된다."
"표준 자료 *형식* : (1)코볼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성질을 기술하는 형식. 무한한 폭과 길이를 가진 인쇄 페이지상의
데이터 형식을 생각하며 데이터의 성질이나 특성을 표현한다. 컴퓨터 내부나 특정 매체에 데이터를 수록하는 형식은 아니다."
공간 *형식* : (1)서사 이론에서, 이야기에 내재하는 연대기적, 선조적 연쇄를 해체하여 재구성하는 서사적 방식이나 기법.
"스트레인 *형식* : (1)래그타임과 스트라이드 피아노 음악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된 형식. 에이비에이시디(ABACD) 형식처럼 여러
개의 주제가 포함된 형식으로, 조플린의 래그타임이나 스트라이드 피아노곡들에서 전형적인 이 형식을 볼 수 있다."
"구조적 그래프 *형식* : (1)확장성 생성 언어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표현한 형식. 내용을 테이블 형태로 조직하여 처리하기가
용이하다."
"한도막 *형식* : (1)두 개의 작은악절로 된 악곡 형식. 보통 여덟 마디로 이루어지며, 가장 단순한 노래의 형식으로 가곡, 동요,
민요에 많이 쓴다."
개념적 *형식* : (1)개념적 모델을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된 모델링 개념의 집합.
"오성 *형식* : (1)칸트 철학에서, 판단이 성립하기 위하여 전제되어야 한다고 본 직관 형식(直觀形式). 선험적 감성 형식인 시간과
공간에 대하여 자연 인식(自然認識)을 구성하는 사유 형식을 이르는 말이다."
"신호 송출 *형식* : (1)장거리 시외 전화 다이얼링에서 송신 측이 수신 측에 송신하는 신호의 송출 시간, 주파수, 시작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절대 표현 *형식* : (1)주기억 장치에서 다른 곳으로 재배치하여 실행한다 하더라도, 프로그램에서 그 값이 바뀌지 않는 수식 또는
내용."
"구멍 *형식* : (1)반도체에서 전류의 흐름을 전자뿐만 아니라 양공의 흐름으로도 설명하는 관점. 양공을 마치 하나의 입자처럼
간주하며, 양공은 전자와 유사한 성질을 갖게 된다."
"부논리 *형식* : (1)데이터를 표기할 때에, 일반적인 상태와는 반대로 전압이 높은 상태를 ‘0’, 전압이 낮은 상태를 ‘1’로
표현하는 일."
태그 이미지 파일 *형식* : (1)서로 다른 기종 간의 그래픽 데이터 교환을 목적으로 개발된 그래픽 파일의 형식.
단명령어 *형식* : (1)긴 명령어 형식에 대조되는 표준 명령어 길이의 명령 형식. 통상 2바이트이다.
무번지 명령 *형식* : (1)명령 코드만 있고 번지 부분이 없는 명령 형식. 명령은 자동적으로 정해진 위치를 참조한다.
전송로 부호 *형식* : (1)신호를 중계로 전송하는 경우에, 신호를 전송로에 적합한 부호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부호 형식.
"평*형식* : (1)우물에서 물을 퍼 올렸을 때, 일정 시간 경과 후 수위가 낮아지지 않고 수위 강하 범위가 커지지 않은 상태를
전제로 한 우물 수리 공식."
"격자 *형식* : (1)하나의 인물이나 사건이 두 개의 구조 안에서 반복되는 형식. 주인공이 자신의 역할을 모방하거나, 문장이나
정황이 반복되는 것 따위이다. 주로 극중극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형식이며, 그 예로는 셰익스피어의 ≪햄릿≫ 등이 있다."
"련쇄곡*형식* : (1)여러 개의 독립된 악곡이 주제의 통일과 상호 대조의 원칙에 따라 묶여진 음악 작품의 구조 형식. ⇒남한 규범
표기는 ‘연쇄곡 형식’이다."
"통신 문서 혼합 *형식* : (1)한 페이지 내에 문자 부호 정보와 팩스 부호 정보가 블록 단위로 뒤섞여 있는 문서 형식. 또는 통신
형식."
부동 소수점 *형식* : (1)이진 부동 소수점 표기법에서 이진 부동 소수점 값을 표현하기 위하여 쓰이는 기억 형식.
시오에프 *형식* : (1)어셈블러와 연결 편집기가 출력하는 파일의 형식.
정규 *형식* : (1)논리 변수들로 구성된 불(Boole) 수식을 논리곱의 합 또는 논리합의 곱이라는 형태의 수식으로 표현하는 것.
누적 *형식* : (1)소나타 형식에서 발전부가 먼저 등장하는 형식. 완전한 형태의 주제는 맨 마지막에 등장한다.
"단어 발음 사전 *형식* : (1)음성을 발음 단위 열로 나타내는 형식. 음성의 발음 단위인 발음 기호의 열로 표현하는 것과 같다.
이때 발음 단위가 단어로 표현된 것을 단어 발음 사전이라고 한다."
이부분 *형식* : (1)한 곡이 두 개의 큰악절로 이루어지는 형식. 보통 열여섯 마디의 구조이다.
전자 문서 교환 *형식* : (1)전기와 전자 관련 기술의 표준화 단체인 이아이에이에서 제정한, 전자 문서의 표준 교환 형식.
탈*형식* : (1)기존의 형식에서 벗어남.
"민족적 *형식* : (1)문학을 포함한 문화 전반에 민족적 특성이 응축되어 추상화한 형식. 문예는 민족적 형식을 계승하면서도
사회주의적 내용을 담아야 한다는 원칙과 관련하여, 북한의 문예 이론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기저 *형식* : (1)논리 변수들로 구성된 불(Boole) 수식을 논리곱의 합 또는 논리합의 곱이라는 형태의 수식으로 표현하는 것.
"합병 정렬 순환적 *형식* : (1)정렬하고자 하는 파일을 왼쪽 서브 파일과 오른쪽 서브 파일의 두 부분으로 나눈 다음, 이 서브
파일들을 각각 순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렬하고 두 개의 서브 파일을 다시 합병해 최종적으로 하나의 정렬된 파일을 얻는 형식."
"태브 연속 *형식* : (1)컴퓨터 수치 제어 기계에 명령어를 입력하는 형식의 하나. 블록 내에서 각 워드의 최초에 놓여진 문자에
의해서 각 워드를 구별하고, 동시에 블록 내에서 그의 문자가 몇 번째에 있는가에 따라 그 워드의 정보가 무엇인지를 판단한다."
"작은 끝 *형식* : (1)정보의 최상위 바이트가 가장 낮은 주소에 위치하는 저장 방식. 바이트 단위로 주소가 할당되는 컴퓨터에서 두
바이트 이상의 데이터를 기억 장소에 저장하는 형식이다."
호환 *형식* : (1)응용 환경 사이에서의 호환을 위한 압축 영상 데이터의 표현.
"직접 번지 *형식* : (1)명령의 번지 부분이 그대로 유효 명령의 번지 필드에 의해 직접적으로 주어지는 형식. 분기 형식의
명령에서는 실제 분기할 번지를 나타낸다."
"데이터 독립적 접근 *형식* : (1)데이터베이스를 실체 집합, 문자열 계층, 암호화 계층, 물리적 장치 계층의 네 계층으로
추상화시켜 설명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델. 문자열 계층은 데이터에 대한 접근 방식을 정의하고, 암호화 계층은 데이터와 문자열들을 일차적
번지 영역에 사상시키며, 물리적 장치 계층은 데이터를 저장 장치에 저장한다. 이 모델의 목적은 시스템 구성의 다양한 문제들을 구조적이고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해결하는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가상 레코드 *형식* : (1)실제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는 않은 레코드를 시스템의 조건에 맞추기 위해 적당히 첨가하는 레코드 형식.
"메모리 블록 *형식* : (1)컴퓨터에서 운영 체제가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기억 장소를 할당할 때 적용하는 형식. 코드 영역, 데이터
영역, 재할당 데이터 영역 따위가 있다."
물리적 레코드 *형식* : (1)물리적 레코드의 크기를 정의한 형식. 가변 길이, 고정 길이 따위가 있다.
무*형식* : (1)형식이 갖추어져 있지 아니함.
"구경적 생의 *형식* : (1)작가 김동리(金東里, 1913~1995)가 제시한 문학론의 핵심 개념. ‘구경적 생’이란 ‘예측할 수
없는 삶의 미궁과 그곳으로 인간을 끌어들이는 불가항력적인 운명의 힘’을 지칭하는 개념이자, 문학은 작가의 무한한 자아 추구이고 인간의
공통된 운명을 발견하는 형식이어야 한다는 그의 문학론과 깊이 연관된 개념이다."
사무 문서 교환 *형식* : (1)기종이 다른 시스템 간에 문자, 음성, 화상 등의 멀티미디어 문서를 교환하기 위한 표준 규약.
"바어 *형식* : (1)독일 음악 형식학에 자주 등장하는 악곡 형식의 하나. 일반적으로 에이에이비(aab)의 형식을 취한다. 중세
독일의 음유 시인인 미네젱거와 마이스터징거들이 사용했으며, 중세의 시 형식인 바어(Bar)에서 비롯되었다."
"환두 *형식* : (1)나 따위의 당악계 음악에서, 노래의 앞의 단을 부른 다음 계속하여 뒤의 단을 부르되 뒤의 단 첫 구의 가락만은
앞의 단 첫 구와 달리 부르는 형식."
표현 *형식* : (1)대상을 그려 내는 문예상의 형식.
"기록 *형식* : (1)레코드의 구조 및 속성. 하나의 레코드를 구성하는 어트리뷰트의 개수와 각각의 어트리뷰트 이름, 데이터 타입
따위에 대한 정보를 가리킨다."
적*형식* : (1)문법성을 온전히 갖춘 형식. 명제 논리의 문법 중 통사부에서 정의된다.
리치 텍스트 *형식* : (1)워드 프로세서 또는 탁상출판 개발업체들이 공동으로 개발한 텍스트 파일의 표준 규격.
"삼부분 *형식* : (1)하나의 곡이 큰악절 세 개로 이루어진 형식. 중심부를 뺀 앞뒤의 두 부분이 똑같거나 매우 비슷하여 음악의
통일성과 다양성을 나타낸다. 가곡이나 소나타의 중간 악장 따위에 많이 사용한다."
에프 *형식* : (1)데이터 집합을 구성하는 논리 레코드가 고정 길이인 상태.
단축 명령 *형식* : (1)표준 명령어 길이로 된 명령어 형식. 표준 명령어 길이는 보통 2바이트를 나타낸다.
"일부분 *형식* : (1)두 개의 작은악절로 된 악곡 형식. 보통 여덟 마디로 이루어지며, 가장 단순한 노래의 형식으로 가곡, 동요,
민요에 많이 쓴다."
복합삼부분*형식* : (1)‘복합 삼부 형식’의 북한어.
입구*형식* : (1)‘입력 형식’의 북한어.
카드 *형식* : (1)컴퓨터 시스템에서 자료 입력 및 정보 저장 따위에 사용되는 천공 카드 및 광학 인식 카드 등의 규격.
"실체 *형식* : (1)일반적인 특성들을 가지며 실세계에 존재하는 객체들의 형식에 대한 분류. 예를 들어 사람, 장소, 물건, 개념
따위가 있다."
"표준 데이터 *형식* : (1)코볼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성질을 기술하는 형식. 무한한 폭과 길이를 가진 인쇄 페이지상의
데이터 형식을 생각하며 데이터의 성질이나 특성을 표현한다. 컴퓨터 내부나 특정 매체에 데이터를 수록하는 형식은 아니다."
"정형 시 *형식* : (1)중세 시대의 시 형식. 마쇼는 오래된 시 형식들을 일정한 형태로 고정하였으며 그 형식으로 여러 성부를 위한
세속 노래를 작곡했다."
과도 자료 교환 공통 *형식* : (1)전력 계통에서 오실로스코프 데이터에 대한 파일 형식.
"가요 *형식* : (1)노래의 기본 형식인 두도막 형식, 세도막 형식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2)기악곡 형식의 하나. 두도막
형식, 세도막 형식 따위가 있다."
"열린 *형식* : (1)극작술의 하나로, 고전주의 방식인 닫힌 형식의 반대편에 놓이는 형식. 사건이 진행되면서 다양한 방향성과 전환이
만들어진다. 브레히트와 베케트 등의 작품을 예로 들 수 있다."
유절 *형식* : (1)두 개 이상의 절을 지닌 가사에 대하여, 제1절에 붙인 가락을 제2절 이하의 가사에서도 쓰게 만든 작곡 형식.
데이터 집중 *형식* : (1)기억 장치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자료를 집중시켜 표현하는 데이터 형식.
"영 주소 명령 *형식* : (1)명령어를 표시하는 부분에 명령어의 형태를 나타내는 연산 코드만이 존재할 뿐 피연산자가 저장되어 있는
기억 장소의 주소가 사용되지 않는 명령어 형식. 명령어에서 사용되는 피연산자의 위치가 이미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이러한 명령 형식이
사용되는데, 이 형식에서는 명령어가 자동으로 정해진 로케이션을 참조한다."
정*형식* : (1)문법성을 온전히 갖춘 형식. 명제 논리의 문법 중 통사부에서 정의된다.
"보존용 파일 *형식* : (1)복수의 파일을,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나의 파일에 정리한 형식. 취급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그 형식이
다르다. (2)프로그램 파일의 집합들이 일정한 기간 동안 보존되는 형식. 연결 프로그램에 의해 참조된다."
"노드 데이터 *형식* : (1)엠펙 사에서 2차원과 3차원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는 바이너리 형식의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노드의
데이터 형태. 정보는 노드를 사용하여 트리 구조처럼 작성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