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 전체글 2 티스토리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구글 트렌드
속담 모음

2024년 06월 15일 속담 (10) ⭕️

by 사계절1 2024. 6. 15.




728x90
반응형

* 父精母血(부정모혈)*: 아버지의 정수(精髓)와 어머니의 피란 뜻으로, 자식은 *부모*의 뼈와 피를 물려받음을 이르는 말.
"* 兎羅雉罹(토라치리)*: 토끼 잡는 그물에 꿩이 걸린다는 뜻으로, 소인배가 계략을 써서 죄를 *벗*어나고 어진 군자가 도리어 화를
당하는 경우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樂極哀生(낙극애생)*: *즐거움*이 다하면 슬픔이 생긴다는 뜻으로, 인생에는 기복(起伏)이 있기 마련이라는 의미.
"* 强鐵之秋(강철지추)*: 강철(鋼鐵)이 가는 데는 *가을*도 봄이라는 뜻으로, 다되어 가는 일이 못된 방해자(妨害者)로 인(因)하여
파탄(破綻)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방해 #일 #방 #비유 #봄 #*가을*"
* 父母愛之喜而勿忘(부모애지희이물망)*: *부모*(父母)님께서 사랑해 주시면 기뻐하여 잊지 않음.
"* 兵者凶器(병자흉기)*: 무기는 흉악한 기구라는 뜻으로, *전쟁*은 사람을 해치는 흉학한 일이라는 의미.
#기구 #일 #흉악 #*전쟁* #의미 #학 #사람"
"* 三省(삼성)*: (1)매일 세 번 자신을 반성함. (2)의정부, 사헌부, 의금부의 관원들이 합좌하여 패륜을 범한 죄인을 국문하던
일. (3)만주 지린성 북부에 있는 개시장(開市場). 무단강과 쑹화강이 만나는 곳에 있으며 잡곡, 목재, 소가죽 따위의 집산지이다.
⇒규범 표기는 ‘싼성’이다. (4)고려 시대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5)중국
당나라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6)발해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대성, 선조성, 정당성을 이른다.
#기관 #당나라 #시대 #*최고* #때 #관원 #여부 #하루 #일 #강 #소가죽 #고려 #시장 #패륜 #가죽 #성 #선 #규범 #기능 #자신 #정당 #선악 #따위 #죄인 #반성 #
중국 #선조"
* 千秋之恨(천추지한)*: 천 년의 원한이라는 뜻으로, 오랜 세월을 두고 쌓인 원한(怨恨)의 *의미*.
"* 子爲父隱(자위부은)*: 아들이 *아버지*를 위해서 숨긴다는 뜻으로, 자식이 타인을 위해 아비의 나쁜 일을 숨기는 것처럼 부자간의
천륜(天倫)을 일컫는 말. ."
"* 兄弟和合賢妻之德(형제화합현처지덕)*: 형과 아우가 화합(和合)한 것은 어진 *아내*의 덕임.
#*아내* #화합 #형 #아우"
"* 弟有過失怡聲以訓(제유과실이성이훈)*: 아우에게 과실(過失)이 있으면 형은 *온화*(溫和)한 목소리로 훈계(訓戒)해야 함.
#과실 #아우 #*온화* #훈계 #형 #목소리"
"* 夷蠻戎狄(이만융적)*: *동쪽*의 이(夷), 남쪽의 만(蠻), 서쪽의 융(戎), 북쪽의 적(狄)이라는 뜻으로, 모든 오랑캐를 이르는
말. 중국인의 중화사상에서 생겨난 말로 외국인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 芒種(망종)*: (1)벼나 보리 따위같이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 (2)이십사절기의 하나.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들며, 이맘때가 되면 보리는 익어 먹게 되고 모를 심게 된다. 6월 6일 무렵이다."
"* 私利私腹(사리사복)*: 사사로운 이익과 *욕심*.
#私事 #이익 #*욕심*"
"* 知進不知退(지진부지퇴)*: 나아감을 *알*면서 물러남을 모른다는 뜻으로, 앞으로 나아갈 줄만 *알*고 뒤로 물러날 줄을 모름을
이르는 말."
"* 前人未發(전인미발)*: 앞사람이 아직 *시작*하지 않았다는 뜻으로, 이전 사람이 아직 밝히지 않았거나 발명하지 않은 일의 의미.
#일 #앞사람 #앞 #이전 #발명 #*시작* #의미 #사람"
"* 豬突豨勇(저돌희용)*: (1)앞뒤를 가리지 아니하고 함부로 날뜀. (2)중국 한(漢)나라 때에, 흉노(匈奴)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죄수나 가노(家奴) 등을 모아 조직한 군대."
"* 黃金時代(황금시대)*: (1)사회의 진보가 최고조에 이르러 행복과 평화가 가득 찬 *시대*. 그리스 사람이 인류의 역사를 금, 은,
청동, 철의 네 *시대*로 나눈 가운데서 첫째의 *시대*를 이르는 말이다. (2)일생에서 가장 번영한 시기. (3)러시아의 작곡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 발레 대본 공모에 당선된 이바노브스키(Ivanovsky, A.)의 시대>의 3막 6장의 발레 음악이다. 초연은
1930년 키로프 극장에서 이루어졌다. (4)16세기 초부터 17세기 말까지 이어진 에스파냐 문학의 전성기. 에스파냐의 국토 회복과
정치적 통일이 이룩되고 신대륙의 발견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것이 그 배경이 되었다. 에스파냐 문학사에서 가장 찬란한 시기로
손꼽힌다."
"* 男女老少(남녀로소)*: (1)남자와 여자, 늙은이와 *젊은*이란 뜻으로, 모든 사람을 이르는 말. (2)‘남녀노소’의 북한어.
#여자 #남녀 #*젊은*이 #남자 #늙은이 #사람"
"* 龍蟠鳳逸(용반봉일)*: 용이 물속에 몸을 감추고 *봉황*이 숨는다는 뜻으로, 비범한 재주를 가지고 있는 용과 봉과 같은 것이 아직
그 뜻을 펴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몸 #재주 #물속 #물 #*봉황* #용 #비범 #비유"
"* 錦上添花(금상첨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안석의
글에서 유래한다.
#일 #*꽃* #의미 #왕안석 #비단 #유래 #아름다움"
* 丈母(장모)*: (1)*아내*의 어머니. (2)*아내*의 어머니를 이르는 말.
* 壢馬籠禽(역마농금)*: 마구간에 매인 말과 새장에 든 새라는 뜻으로, 속박(束縛)되어 자유롭지 않은 몸을 이르는 말.
"* 夢中夢(몽중몽)*: *꿈*속의 *꿈*이란 뜻으로, 이 세상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꿈* #살이 #비유 #*꿈*속 #세상"
"* 戴天之怨讐(대천지원수)*: 하늘을 함께 이지 못하는 원수라는 뜻으로, 이 세상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큰 *원한*을 가진 원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아래 #*원한* #원수 #의미 #하늘 #세상"
"* 海棠睡未足(해당수미족)*: 해당화가 아직 잠이 부족하다는 뜻으로, 갓 깨어난 미인이 아직 잠에 취한 듯 *하늘**하늘* 가냘프게
보이는 모양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 糊口策(호구책)*: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 唯唯諾諾(유유낙낙)*: *명령*하는 대로 순종함.
#일 #말 #*명령* #따름 #순종 #승낙"
"* 豐年化子(풍년화자)*: *풍년*거지라는 뜻으로, ‘化子’는 중국 백화로 ‘거지’의 뜻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모두 이익을 볼 때
혼자 빠져 이익을 못 봄을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이익 #*풍년* #때문 #때 #혼자 #나라 #중국 #우리 #속담 #봄 #우리나라 #사람"
* 游雲驚龍(유운경룡)*: 헤엄치듯 날아가는 *구름*과 놀란 용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잘 쓴 글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囊砂背水(낭사배수)*: 낭사(囊砂)의 계략(計略)과 배수(背水)의 진이라는 뜻으로, 전한(前漢)의 한신(韓信)이 *사용*(使用)한
병법(兵法)을 이르는 말.
#병법 #*사용* #계략"
"* 先憂後樂(선우후락)*: 세상의 근심할 일은 남보다 먼저 근심하고 즐거워할 일은 남보다 나중에 즐거워한다는 뜻으로, 지사(志士)나
어진 사람의 마음씨를 이르는 말. ≪*범*중엄(范仲淹)≫ 에 나오는 말이다."
"* 魂飛中天(혼비중천)*: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말 #정신 #공중 #하늘 #가운데 #*사람*"
"* 雲散鳥沒(운산조몰)*: 구름처럼 흩어지고 새처럼 *사라*진다는 뜻으로, 종적이 없어짐을 이르는 말.
#새 #비유 #종적 #구름 #형"
"* 回賓作主(회빈작주)*: 손님으로 온 사람이 도리어 *주인* 행세를 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주장하는 사람을 제쳐 놓고 자기
마음대로 처리함을 이르는 말."
"* 寂滅之道(적멸지도)*: 열반에 이르는 *도리*라는 뜻으로, ‘불교’를 달리 이르는 말.
#불교 #열반 #말"
"* 自取富貴(자취부귀)*: 제 힘으로 *부귀*(富貴)를 누리게 됨.
#누리 #힘 #*부귀*"
"* 鷽鳩笑大鵬(학구소대붕)*: 작은 비둘기가 대붕을 비웃는다는 뜻으로, 소인이 *군자*의 행위(行爲)를 비웃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吠形吠聲(폐형폐성)*: 형체를 보고 짖으니 그 *소리*를 듣고 짖는다는 뜻으로, 한 개의 짖는 *소리*에 모든 개들이 따라 짖는
것처럼 아무것도 모르고 덩달아 따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行伍發薦(항오발천)*: (1)병졸로 시작하여 장관에 오름. (2)낮은 벼슬*자리*에서 점차 높은 벼슬*자리*로 오름.
#병졸 #벼슬 #의미 #시작 #벼슬*자리* #*자리* #천거 #낮 #오름 #장관"
* 千差萬別(천차만별)*: 여러 가지 *사물*이 모두 차이가 있고 구별이 있음.
* 丹筆定罪(단필정죄)*: 법규 적용에서 서면에 *왕*이 주필(朱筆)로써 그 죄형을 정하여 기록하던 일.
"* 莊周之夢(장주지몽)*: 나와 외물(外物)은 본디 하*나이*던 것이 현실에서 갈라진 것에 불과하다는 이치를 비유적으로 설명하는 말.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었다가 깬 뒤에 자기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었는지 원래 나비였던 자기가 꿈속에서 장주가 되었는지 알 수 없게
되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장자 사상의 으뜸을 이룬다."
"* 鼠竊狗偸(서절구투)*: 쥐나 개처럼 몰래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좀도둑’을 이르는 말.
#좀도둑 #표현 #준말 #욕 #*물건*"
"* 東衝西突(동충서돌)*: 이리저리 마구 찌르고 부딪침.
#구분 #사람"
"* 東行西走(동행서주)*: *동쪽*으로 가고 서쪽으로 뛰어간다는 뜻으로, 이리저리 바삐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일 #이리 #*동쪽* #저리 #서쪽 #이리저리"
* 摩頂放踵(마정방종)*: 정수리부터 발꿈치까지 모두 닳는다는 뜻으로, 온*몸*을 바쳐서 남을 위하여 희생함을 이르는 말.
* 無室無家(무실무가)*: 매우 *가난*하여 들어 있을 만한 집도 없음을 이르는 말.
"* 馬家五常(마가오상)*: 마씨 오 *형제*(兄弟)가 모두 재주가 뛰어나고 이름자에 常(상)자가 들어 있는 것에서 연유(緣由)한 말로,
*형제*(兄弟)가 모두 명망(名望)이 높음을 이르는 말."
"* 來人去客(내인거객)*: (1)‘내인거객’의 북한어. (2)오는 *사람*과 가는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사람* #객"
"* 行道遲遲(행도지지)*: 길을 걷는 걸음이 더디고 더디다는 뜻으로, 마음에 근심과 슬픔이 있음을 이르는 말.
#마음 #걸음 #길 #근심 #슬픔"
"* 自己反省(자기반성)*: 자기의 언행에 대하여 잘못이나 부족함이 없는지 스스로 돌이켜 봄.
#부족함 #행위 #*반성* #부족 #잘못 #언행 #자신 #봄"
* 豚兒(돈아)*: 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 言往言來(언왕언래)*: 서로 변론을 주고받으며 옥신각신함. 또는 말이 오고 감.
"* 勞而不怨(노이불원)*: 효자(孝子)는 부모(父母)를 위(爲)해 어떤 고생(苦生)을 하더라도 결코 부모(父母)를 *원망*(怨望)하지
않음.
#*원망* #고생 #부모"
"* 老馬知途(노마지도)*: 늙은 말이 갈 길을 안다는 뜻으로, (1) 연륜이 깊으면 나름의 장점(長點)과 특기가 있음 (2)
경험(經驗) 많은 사람이 갖춘 *지혜*(智慧).
#말 #나름 #길 #장점 #*지혜* #경험 #사람"
* 三世了達(삼세요달)*: 여러 부처의 *지혜*로 삼세의 도리를 밝게 통달하는 일.
"* 名文大作(명문대작)*: 훌륭한 글로 지은 방대한 *문학* 작품.
#작품 #훌륭 #*문학*"
* 好學不倦(호학불권)*: 배움을 좋아하여 게으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즐겨 배우며 노력한다는 *학문*에 열중함을 이르는 말.
"* 浮生若夢(부생약몽)*: 덧없는 *인생*이 마치 꿈과 같다는 뜻으로, *인생*이 꿈처럼 덧없음을 의미하는 말.
#의미 #허무 #꿈 #*인생*"
* 走爲上策(주위상책)*: 피해를 입지 아니하려면 달아나는 것이 제일 나은 *꾀*임을 이르는 말.
* 家祖(가조)*: (1)한 *집안*의 조상. (2)남에게 자기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 風櫛雨沐(풍즐우목)*: 바람에 머리를 빗고 비에 목욕(沐浴)한다는 뜻으로, 외지에서 겪는 *고생*(苦生)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목욕 #바람 #*고생* #머리 #비유 #외지"
* 滿則溢(만즉일)*: 가득 차면 넘친다는 뜻으로, 모든 *사물*이 오래도록 번성하기 어렵다는 말.
"* 百孔千瘡(백공천창)*: (1)온통 구멍과 상처투성이라는 뜻으로, 온갖 폐단과 결함으로 엉망진창이 된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옷이 *여기*저기 구멍이 나고 갈기갈기 찢어져 못 쓰게 된 상태를 이르는 말."
* 庶孼差待(서얼차대)*: 조선 시대에, 첩의 *자식* 및 그 자손을 차별하여 대우하던 일.
"* 筆頭生花(필두생화)*: 붓 끝에 꽃이 핀다는 뜻으로, 당나라 이백이 어릴 적 붓끝에 꽃이 핀 *꿈*을 꾼 뒤부터 글재주가 크게
진보했다는 고사에서 문필(文筆)에 재주가 있음을 이르는 말."
* 別無可觀(별무가관)*: *별*로 볼 만한 것이 없음.
* 耕田埋春色汲水斗月光(경전매춘색급수두월광)*: 밭을 가니 봄빛을 묻고, 물을 길으니 *달*빛을 되질함.
"* 今始初聞(금시초문)*: 이제서야 비로소 처음 들었다는 뜻으로, 듣어보지 못한 *상황*을 처음으로 접한다는 의미.
#의미 #처음 #*상황*"
"* 覆雨飜雲(복우번운)*: *소인*배(小人輩)의 우정(友情)의 변덕스러움을 이르는 말.
#*소인*배 #우정"
* 君師父一體(군사부일체)*: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의 은혜가 같음.
"* 牝鷄晨鳴(빈계신명)*: 암탉이 새벽에 운다는 뜻으로, *집안*에서 여자가 세력을 부리면 *집안*이 망한다는 식의 잘못된 봉건 중세의
관념으로 변하고 고쳐져야 할 주장."
"* 泰極否來(태극비래)*: *편안*함이 다하면 비극이 온다는 뜻으로, 안태(安泰)한 좋은 운이 지극함에 이르면 이윽고 나쁜
재앙(災殃)의 액운이 온다는 의미.
#지극 #극도 #비극 #재앙 #의미 #*편안* #액운"
"* 失馬治廐(실마치구)*: 말을 잃고 외양간을 고친다는 뜻으로, *실패*한 뒤에 늦게 손을 대는 것을 비유들어 이르는 말.
#외양간 #말 #*실패* #비유"
* 有服之親(유복지친)*: *복*제(服制)에 따라 상*복*을 입어야 하는 가까운 친척.
"* 借鷄騎還(차계기환)*: 닭을 빌려 타고 *돌*아간다는 뜻으로, 손님을 박대(薄待)하는 것을 빗대어 이르는 말.
#손님 #닭"
"* 風雲造化(풍운조화)*: 바람이나 구름의 예측하기 어려운 변화.
#구름 #바람 #예측 #변화"
"* 胡越一家(호월일가)*: (1)중국 북쪽의 호(胡)와 남쪽의 월(越)이 한*집안*이라는 뜻으로, 온 천하가 한*집안* 같음을 이르는
말. (2)멀리 떨어져 있던 사람들이 한곳에 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患難相救(환난상구)*: 향약의 네 가지 덕목 가운데 하나.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서로* 도와야 함을 이른다.
"* 無分別智(무분별지)*: 올바르게 진여(眞如)를 체득하는 *지혜*. 진여의 모양은 형용할 수도, 분별할 수도 없으므로 모든 생각과
분별을 초월한 참 *지혜*로서만 비로소 알 수 있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 重足側目(중족측목)*: 발을 모으고 곁눈질을 한다는 뜻으로, 두 발을 모아 서서 곁눈질로 보는 것처럼 매우 두려워하는 *모양*을
이르는 말.
#모아 #곁눈질 #*모양*"
* 破落戶(파락호)*: 재산이나 *세력*이 있는 집안의 자손으로서 집안의 재산을 몽땅 털어먹는 난봉꾼을 이르는 말.
"* 引過自責(인과자책)*: 자기의 잘못을 깨닫고 스스로 꾸짖음.
#잘못 #허물 #자신"
"* 望蜀(망촉)*: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후한 #말 #경우 #욕심 #만족 #평정 #*지방* #밖 #유래 #광무제"
* 見危致命(견위치명)*: 나라가 위태로울 때 자기의 *몸*을 나라에 바침.
"* 事上磨鍊(사상마련)*: 개념(槪念)을 통(通)해서가 아니고, 실제(實際)로 일을 하면서 *정신*(精神)을 단련(鍛鍊)함.
중국(中國) 명(明)나라의 유학자(儒學者) 왕양명(王陽明)이 학문(學問)을 설명(說明)한 말.
#일 #말 #실제 #학문 #유학자 #*정신* #나라 #중국 #설명 #개념"
"* 風雲之會(풍운지회)*: (1)용이 바람과 구름을 얻어서 기운을 얻는 것처럼 총명한 임금과 어진 신하가 서로 만나는 일.
(2)영웅호걸이 때를 만나 뜻을 이룰 수 있는 좋은 기회.
#총명 #만남 #영웅 #호랑이 #때 #기회 #천지간 #일 #*풍운* #신하 #이룸 #구름 #힘 #바람 #재상 #범 #임금 #비바람 #용 #의미 #기운"
* 可觀(가관)*: (1)*행동*이나 모습 등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우스운 상태를 비웃는 말. (2)경치 따위가 꽤 볼만함.
"* 意在筆先(의제필선)*: 뜻이 *붓* 앞에 있다는 뜻으로, 써 놓은 글씨에서 쓴 이의 마음을 살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글씨 #마음 #*붓* #앞 #이의"
"* 馬良白眉(마량백미)*: 마량의 흰 눈썹이라는 뜻으로, 삼국시대 촉(蜀)의 마량이 마씨 5형제 가운데 가장 뛰어났는데, 그의 눈썹에
흰털이 있었다는 고사. *본래* 『蒙求(몽구)』의 표제어임.
#마량 #눈썹 #시대 #씨 #털 #형제 #*본래* #고사 #가운데"
"* 敬復(경복)*: 경*복*(敬覆). 공경(恭敬)하여 삼가 답장(答狀)한다는 뜻으로, 주(主)로 한문투(漢文-)의 회답(回答)
편지(便紙) 첫머리에 쓰는 말."
"* 秋風落葉(추풍낙엽)*: (1)가을바람에 떨어지는 나뭇잎. (2)어떤 형세나 세력이 갑자기 기울어지거나 헤어져 흩어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無錢取食(무전취식)*: *값*을 치를 돈도 없이 남이 파는 음식을 먹음.
#음식 #*값* #돈"
* 望七(망칠)*: 일흔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 一日之長(일일지장)*: (1)하루 먼저 세상에 태어났다는 뜻으로, *나이*가 조금 위임을 이르는 말. (2)조금 나음. 또는 그런
선배."
"* 徙木之信(사목지신)*: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백성을 속이지 않는다는 데서, 백성에 대한 신임을 밝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의 상앙(商鞅)이 *법*령을 개정하려 할 때, 수도 남문의 큰 나무를 북문으로 옮기는 백성에게 상금을 걸었는데, 이를 옮기는
사람이 있자 약속대로 포상하여 *법*령을 신뢰할 수 있음을 보인 데서 유래한다."
"* 面如冠玉(면여관옥)*: 외모가 관 장식 옥 같다는 뜻으로, 용모가 아름답다는 의미. [주로 남자의 아름다움에 *사용*함].
#용모 #외모 #*사용* #의미 #장식 #남자 #아름다움"
* 風紀紊亂(풍기문란)*: *풍속*이나 규범 따위를 어기고 어지럽히는 일.
"* 背夫逃走(배부도주)*: 남편을 *배반*하고 도망감.
#남편 #*배반* #도망"
"* 盧生之夢(노생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일생 #때 #여옹 #한때 #인생 #영고성쇠 #메조 #*노생* #꿈속 #유래 #인간 #부귀영화 #베개 #동안 #80년 #꿈 #한단 #밥 #의미 #영화 #부귀 #잠"
* 晩秋佳景(만추가경)*: 늦*가을*의 아름다운 경치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풍경 또는 뒤늦게 큰 결실을 맺음을 이르는 말.
* 百樂之丈(백악지장)*: 거문고 음악을 숭상하여 이르는 말.
"* 慈母(자모)*: (1)*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팔모(八母)의 하나. 어머니를 여읜 뒤
자신을 길러 준 아버지의 첩을 이르는 말이다."
"* 敗柳殘花(패류잔화)*: 잎이 다 떨어진 버드나무와 시든 꽃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움을 잃은 *미인*이나 권세를 잃은 실력자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용모 #*미인* #권세 #비유 #꽃 #잎 #버드나무 #쇠 #모습 #안색 #아름다움"
"* 憶吹簫樂(억취소악)*: 제가 보아서 아는 대로 제 *생각*만으로 추측(推測). 어림치고 하는 *생각*. 억지 추측(推測).
#억지 #어림 #추측 #*생각*"
* 兄弟不如友生(형제불여우생)*: 형제(兄弟)는 안락무사(安樂無事)한 때에는 친구(親舊)만 못함.
"* 黃粱之夢(황량지몽)*: 메조밥 짓는 *사이*의 꿈이라는 뜻으로, 인간 일생의 영고성쇠(榮枯盛衰)는 한바탕 꿈에 지나지 않는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 一場春夢(일장춘몽)]."
"* 火上添油(화상첨유)*: 불 위에 *기름*을 더한다는 뜻으로, 불난데 *기름*을 끼얹듯 화란(禍亂)을 조장(助長)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화 #불 #*기름* #비유"
* 得能莫忘(득능막망)*: 사람으로써 알아야 할 것을 배운 후(後)에는 잊지 않도록 *노력*(努力)하여야 함.
"* 脣齒輔車(순치보거)*: *입술*과 이 중에서 또는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 중에서 어느 한쪽만 없어도 안 된다는 뜻으로, 서로
없어서는 안 될 깊은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방 #바퀴 #나무 #*입술* #관계 #밀접 #수레 #망치 #쪽 #한쪽"
"* 江山風月主人(강산풍월주인)*: 강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주인* #욕심 #차지 #산수 #풍월 #경치 #강산 #사람"
* 男唱女隨(남창여수)*: 남자가 앞에 나서서 서두르고 *여자*는 따라만 함.
"* 千里同風(천리동풍)*: 천 리에 걸쳐 같은 바람이 분다는 뜻으로, *세상*이 통일되어 천 리나 떨어진 곳까지 풍속이 같아짐을 이르는
말."
* 無知蒙昧(무지몽매)*: 세상 물정도 잘 모르고 세상 *이치*에도 어두움.
"* 白虹貫日(백홍관일)*: (1)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정성이 지극하여 *하늘*이 감응함을 이르는 말. (2)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임금의 신상에 해로움이 가하여짐을 이르는 말."
"* 前車覆轍(전거복철)*: 앞에 간 수레가 뒤집힌 바퀴 *자국*이라는 뜻으로, 앞의 실패를 본보기 삼아 주의함을 이르는 말.
#전례 #바퀴 #앞사람 #앞 #실패 #*자국* #수레 #교훈 #주의 #사람"
"* 淸廉潔白(청렴결백)*: 마음이 맑고 깨끗하며 탐욕이 없음.
#마음 #욕심 #재물 #탐욕 #깨끗"
"* 同心同力(동심동력)*: 마음을 같이하여 *힘*을 합침.
#의미 #침 #마음 #*힘*"
"* 春花秋月(춘화추월)*: 봄철의 꽃과 가을철의 달이라는 뜻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달 #봄철 #가을철 #비유 #꽃 #자연 #봄 #가을 #*아름다움* #대자연"
"* 黨閥(당벌)*: (1)같은 무리의 사람들이 힘을 합하여 다른 무리의 사람들을 배척할 *목적*으로 뭉친 당파. (2)일의 옳고 그름은
따지지 않고 뜻이 같은 무리끼리는 서로 돕고 그렇지 않은 무리는 배척함.
#일 #사람 #배척 #그름 #사람들 #집단 #무리 #벌이 #힘 #당파 #결합 #단결 #*목적*"
* 好爲人師(호위인사)*: 남의 *스승* 되기를 좋아한다는 뜻으로, 늘 아는 체하면서 남의 *스승* 되기를 즐기는 사람을 이르는 말.
* 字牧之任(자목지임)*: 백성을 *돌*보아 다스리는 책임이라는 뜻으로, ‘수령’을 달리 이르는 말.
"* 大旱望雲霓(대한망운예)*: 큰 가뭄에 구름과 무지개를 바란다는 뜻으로, 자신의 목적하는 바의 달성을 매우 초조한 심정으로 갈망하고
있음을 *비유*하는 말."
* 高踏主義(고답주의)*: 속세에 초연하며 현실과 동떨어진 것을 고상하게 *여기*는 사상이나 태도.
"* 生呑活剝(생탄활박)*: 산채로 삼키고 산채로 껍질을 벗긴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시문*(詩文)을 송두리째 도용(盜用)함을
비유하는 말.
#껍질 #인용 #비유 #산 #*시문* #사람"
"* 鐵血政略(철혈정략)*: 무력으로 나라의 *위엄*을 떨치려는 정략.
#무력 #*위엄* #나라 #병력"
"* 億萬之心(억만지심)*: 백성마다 제각각의 *마음*이라는 뜻으로, *마음*을 하나로 모아 나라를 위하여 이바지하려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백성 #모아 #*마음* #이바지 #나라 #사람"
* 樵童牧豎(초동목수)*: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變通(변통)*: (1)형편과 경우에 따라서 일을 융통성 있게 잘 처리함. (2)돈이나 물건 따위를 융통함.
#일 #돈 #경우 #융통성 #물건 #형편 #처리 #따위"
"* 貧者一燈(빈자일등)*: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貧賤之交(빈천지교)*: 가난하고 천할 때 사귄 사이. 또는 그런 *벗*.
"* 國士無雙(국사무쌍)*: 나라에서 견줄 사람이 없을 정도로 빼어난 *선비*.
#나라 #인물 #정도 #*선비* #비교 #사람"
"* 將門有將(장문유장)*: *장수*(將帥) 집안에서 *장수*(將帥)가 남.
#*장수* #집안"
* 肥己之慾(비기지욕)*: 자기 *몸*만 이롭게 하려는 욕심.
"* 喪明之痛(상명지통)*: 눈이 멀 *정도*로 슬프다는 뜻으로, 아들이 죽은 슬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옛날 중국의 자하(子夏)가
아들을 잃고 슬피 운 끝에 눈이 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驚蟄(경칩)*: 이십사절기의 하나.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들며, 양력 3월 5일경이다. 겨울잠을 자던 벌레, 개구리
따위가 깨어 꿈틀거리기 시작한다는 *시기*이다.
#일 #때 #벌레 #우수 #시작 #따위 #사이"
"* 富貴貧賤(부귀빈천)*: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은 것과 *가난*하고 천한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재산 #빈천 #부귀 #지위 #*가난* #귀"
"* 滿庭桃花(만정도화)*: 뜰에 가득한 복숭아꽃.
#가득 #복숭아꽃"
"* 朝夕定省(조석정성)*: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 千載一時(천재일시)*: 단 한 번의 순간이라는 뜻으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를 이르는 말.
#순간 #*기회*"
"* 座右之銘(좌우지명)*: 자리 오른쪽의 새김이라는 뜻으로, 늘 자리 옆에 갖추어 놓고 *반성*의 재료로 삼는 격언 [ = 座右銘].
#재료 #옆 #*반성* #오른쪽 #자리"
* 如印一板(여인일판)*: 한 판(板)에서 찍어 낸 듯이 서로 조금도 다름이 없음.
"* 力透紙背(역투지배)*: 힘이 종이 뒤로 뚫린다는 뜻으로, 필력(筆力)이 사무친다는 의미로 필*법*(筆法)이 날카롭고 힘찬 것을
비유하거나 시(詩)의 내용이 근엄하고 고결함을 비유하여 이름."
"* 身體髮膚(신체발부)*: 몸과 머리털과 피부라는 뜻으로, 몸 *전체*를 이르는 말.
#몸 #온전 #신체 #피부 #준말 #보존 #사용 #효도 #의미 #머리털 #살갗 #부모 #*전체* #기본"
"* 篳門圭竇(필문규두)*: 섶*나무* 울타리 사립문과 모나고 둥근 허술한(규격이 없는) 창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篳門閨竇’으로도 표현함."
"* 金蘭之契(금란지계)*: *친구* 사이의 매우 두터운 정을 이르는 말.
#난초 #*친구* #금 #우정 #쇠 #날카 #사이"
"* 修身齊家(수신제가)*: 몸과 마음을 닦아 수양하고 *집안*을 다스림.
#일 #몸 #마음 #심신 #의미 #수양 #다스림 #*집안* #자신"
* 斗南一人(두남일인)*: 북두칠성의 남쪽에서 제일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천하*에 으뜸가는 훌륭한 인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西施捧心(서시봉심)*: 서시가 가슴을 움켜잡는다는 뜻으로, 가슴앓이를 견디기 어려워 가슴에 손을 대고 찌푸린 서시의 *얼굴*이 매우
아름다웠는데, 못난 여자가 따라해 사람들이 놀랐다는 고사에서, 주관 없이 맹목적으로 남을 따르는 잘못된 행위를 비판하는 의미로 사용됨."
"* 伸寃雪恥(신원설치)*: *원한*을 풀고 치욕을 씻는다는 뜻으로, 마음에 맺힌 *원한*을 풀고, 수치스러운 일을 씻어버린다는 의미.
#일 #마음 #*원한* #수치 #의미 #치욕"
"* 同床異夢(동상이몽)*: (1)같은 *자리*에 자면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도 속으로는 각각 딴생각을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2)겉으로는 지지하고 받드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반대함을 이르는 말.
#일 #말 #기거 #꿈 #행동 #목표 #잠*자리* #생각 #비유 #의미 #*자리* #겉 #반대 #입장"
* 踏覆車之轍(답복차지철)*: *복*거지계(覆車之戒).
* 望眼成穿(망안성찬)*: 눈을 바라보아 구멍이 생긴다는 뜻으로, 구멍이 날 *정도*로 응시하는 뚫어지게 바라본다는 의미.
"* 負荊(부형)*: 스스로 *가시*나무를 짊어진다는 뜻으로, 사죄함을 이르는 말.
#땔나무 #사죄 #말"
"* 三從之禮(삼종지례)*: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劍首一吷(검수일혈)*: 바람이 칼*자루* 끝에 있는 작은 구멍을 스쳐가는 미세한 소리라는 뜻으로, 들어 둘 만한 가치가 없음을
이르는 말.
#바람 #미세 #끝 #소리 #가치 #구멍"
"* 行且謀之(행차모지)*: 행하면서 또한 도모한다는 뜻으로, 일을 처리하면서 거기에 따른 *수단* 방법을 세운다는 의미.
#일 #도모 #의미 #방법 #처리 #*수단*"
"* 霜降(상강)*: 이십사절기의 하나.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에 들며, 아침과 저녁의 기온이 내려가고, 서리가 내리기 *시작*할
무렵이다. 10월 23일경이다."
* 先己後人(선기후인)*: 남의 일보다 *자신*의 일을 먼저 성실히 처리함.
"* 自將擊之(자장격지)*: (1)남에게 시키지 아니하고 손수 함. (2)자기 스스로 *군사*를 거느리고 나아가 싸움.
#일 #*군사* #장수 #공격 #의지 #스스로 #싸움"
"* 魚頭鳳尾(어두봉미)*: 물고기는 머리 쪽이 맛이 있고 짐승 고기는 *꼬리* 쪽이 맛이 있다는 말.
#머리 #*꼬리* #맛 #쪽 #짐승"
* 輕慮淺謀(경려천모)*: 경솔(輕率)하고 얕은 *생각*.
* 忠言逆耳(충언역이)*: 충직한 말은 귀에 거슬림.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 出爾反爾(출이반이)*: 너에게서 나와서 너에게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행불행과 좋은 일 나쁜 일이 결국은 모두 자기 *자신*에 의하여
초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除病延命(제병연명)*: 병을 물리쳐 *목숨*을 연장함.
#병 #*목숨*"
* 父母惡之懼而勿怨(부모오지구이물원)*: 부모(父母)님께서 미워하시더라도 두려워하여 원망(怨望)하지 말아야 함.
"* 流離漂泊(유리표박)*: *일정*한 집과 직업이 없이 이곳저곳으로 떠돌아다님.
#정처 #*일정* #집 #의미 #이곳저곳 #직업"
"* 螳螂窺蟬(당랑규선)*: *눈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뒤에 닥친 위험을 깨닫지 못함을 이르는 말. 사마귀가 매미를 덮치려고 엿보는
데에만 정신이 팔려 참새가 자신을 엿보고 있음을 몰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곁 #이익 #눈 #앞 #참새 #*눈앞* #위험 #정신 #생각 #의미 #매미 #목전 #사마귀 #자신 #유래 #재해"
"* 年末年始(년말년시)*: (1)한 해의 마지막 때와 새해의 첫머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2)‘연*말*연시’의 북한어.
#때 #마지막 #첫머리 #새해"
"* 攬轡澄淸(남비징청)*: 말의 고삐를 잡아 천하를 맑게 한다는 뜻으로, *관리*가 되어 어지러운 정치를 새롭게 바로잡아 보겠다는 큰
뜻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부임 #고삐 #말 #때 #관직 #*관리* #천하 #天下 #처음 #정치"
"* 三從兄弟(삼종형제)*: 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형제* #자녀 #팔촌 #재종숙 #고조"
"* 過恭非禮(과공비례)*: 지나치게 *공손*하면 오히려 예의에 어긋난다는 뜻으로, *공손*함도 도가 지나치면 오히려 상대방에게 무례를
저지르는 것임을 이르는 말.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말 #타인 #예의 #*공손* #의미 #상대방 #정도 #무례"
"* 大千世界(대천세계)*: 중천*세계*를 천 배 합한 *세계*.
#국토 #*세계* #셋째 #이름 #배 #갑절"
* 我身不孝兄弟亦則(아신불효형제역칙)*: 내 *몸*이 효도(孝道)를 하지 않으면 형과 아우도 능히 본받음.
* 半面之識(반면지식)*: 얼굴만 약간 알 정도의, 교분이 두텁지 못한 *사이*.
* 勁草(경초)*: 억센 풀이라는 뜻으로, 지조(志操)가 꿋꿋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黑白不分(흑백불분)*: (1)검은 것과 흰 것을 구*별*하지 못함. (2)잘잘못이 분명하지 아니함.
"* 封豕長蛇(봉시장사)*: 큰 돼지와 긴 구렁이라는 뜻으로, 먹기를 탐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두고 #악인 #비유 #먹이 #탐욕 #뱀 #악 #왕성 #사람"
"* 糟糠之妻(조강지처)*: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후한서≫의 에 나오는 말이다.
#아내 #본처 #말 #곤궁 #*쌀*겨 #고생 #때 #끼니 #의미 #집안 #가난 #술"
* 長命富貴(장명부귀)*: 오래 살며 *부귀*를 누림.
* 火得薪而熾(화득신이치)*: 불은 땔*나무*를 얻어야 활활 탄다는 뜻으로, 알맞은 때를 만나야 영화롭게 됨을 비유한 말.
"* 波瀾萬丈(파란만장)*: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이 여러 가지 곡절과 시련이 많고 변*화가* 심함.
#일 #시련 #말 #물결 #쓰임 #파도 #기복 #비유 #길 #진행 #곡절 #변화 #생활 #사람"
"* 慈姑(자고)*: (1)인자한 시*어머니*라는 뜻으로, 며느리가 시*어머니*를 이르는 말. (2)듣는 이의 시*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3)택사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10미터이며, 잎은 뿌리에서 나와 서로 엉키면서 자란다. 꽃은 8~9월에 잎 사이에서
흰색으로 피며, 열매는 연한 녹색의 둥근 모양으로 모여 달린다. 덩이줄기는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물속에서 자라며, 중국이 원산지이다."
"* 賢賢易色(현현역색)*: 어진이를 어진이로 대하기를 여색을 좋아하듯 한다는 뜻으로, 평소 낯빛을 고쳐 삼가 현인을 공경한다는 의미로
쓰이거나, 부부사이에 마음씨 착함을 중히 여기고 *용모*에 치중하지 않는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용모* #빛 #마음씨 #사용 #여색 #낯 #공경 #현인 #의미 #부부 #부부사이 #평소 #사이"
"* 伐齊爲名(벌제위명)*: 겉으로는 어떤 일을 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짓을 함을 이르는 말. 중국의 전국 *시대*에 연나라 장수
악의(樂毅)가 제나라를 칠 때에 제나라의 장수 전단(田單)이 악의가 제나라를 정복한 뒤에 제나라의 왕이 되려고 한다는 헛소문을
퍼뜨리자, 연왕이 의심하여 악의를 불러들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刺股懸梁(자고현량)*: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머리카락 #극복 #대들보 #새끼 #공부 #졸음 #시대 #초나라 #전국 #소진 #분발 #*송곳* #중국 #머리털 #다리 #유래"
"* 萬覇不聽(만패불청)*: 많은 패도 듣지 않는다는 뜻으로, 본래 바둑에서 큰 패가 생겼을 때 상대자가 어떤 패를 써도 응하지 않고 팻
*자리*를 해소하는 일인데, 후에 아무리 싸움을 걸려고 집적거려도 못들은 체 하고 응하지 않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 荊山之玉(형산지옥)*: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물 #중국 #형산 #산 #형 #사람"
표현
"* 丹誠無二(단성무이)*: *붉은* 정성(精誠)이 둘도 없다는 뜻으로, 진심(眞心)을 다해 성심성의(誠心誠意)로 일을 행(行)함.
#일 #정성 #행 #진심 #성의"
"* 男負女戴(남부여대)*: (1)‘남부여대’의 북한어. (2)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掌上煎醬(장상전장)*: 손*바닥*에 장을 지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장담하거나 강력하게 부인할 때 스스로 맹세하여 쓰는 말의 의미.
#말 #손*바닥* #때 #강력 #부인 #의미 #무엇 #장담 #맹세 #스스로"
"* 比屋可封(비옥가봉)*: 집집마다 *덕행*이 있어 모두 표창할 만하다는 뜻으로, 나라에 어진 사람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집집 #백성 #*덕행* #성군 #집 #시대 #태평 #때 #나라 #의미 #구가 #감화 #모두 #정도 #요순 #사람"
"* 自繩自縛(자승자박)*: (1)제 마음으로 번뇌를 일으켜 괴로움을 만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자기의 줄로 자기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기 자신이 옭혀 곤란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萬古不易(만고불역)*: 아주 오랜 세월 *동안* 바뀌지 아니함.
#*동안* #세월"
"* 生丁不辰(생정불신)*: 좋지 못한 *시대*에 태어남.
#*시대* #때 #공교"
"* 百年言約(백년언약)*: 젊은 *남녀*가 부부가 되어 평생을 같이 지낼 것을 굳게 다짐하는 아름다운 언약.
#다짐 #*남녀* #부부 #남편 #언약 #평생 #아내 #한평생"
* 眼空四海(안공사해)*: 모든 것을 업신*여기*면서 거드름을 피움.
* 中庸之道(중용지도)*: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아니하고 평범함 속에서 찾는 진실한 도리.
"* 學如穿井(학여천정)*: *학*문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학*문은 하면 할수록 어려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우물 #*학*문 #비유"
"* 三綱五倫(삼강오륜)*: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과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통틀어 이른다."
"* 長句之學(장귀지학)*: 문장(文章)의 장(章)과 귀(句)의 해석(解釋)에만 치우쳐 *전체*(全體)의 대의(大意)에는 통(通)하지
않으므로, 중국(中國) 한대(漢代) 훈고학(訓詁學)의 일컬음.
#문장 #해석 #중국 #대의 #훈고학 #*전체* #통 #귀"
"* 百官有司(백관유사)*: 조정(朝廷)의 많은 벼슬아치. 또는 모든 *관리*(官吏).
#조정 #벼슬아치 #*관리*"
"* 零丁孤苦(영정고고)*: 가난해지고 *세력*(勢力)이 꺾여 도와 주는 사람도 없어, 혼자서 괴로움을 당(當)하는 어려운 처지(處地)를
이르는 말.
#혼자 #*세력* #가난 #괴로움 #사람"
"* 大書特書(대서특서)*: *특별*히 두드러지게 보이도록 글자를 크게 쓴다는 뜻으로, 신문 따위의 출판물에서 어떤 기사에 큰 비중을
두어 다룸을 이르는 말.
#글씨 #여론 #글자 #누구 #신문 #뚜렷 #기사 #따위"
* 烏焉成馬(오언성마)*: ‘烏’와 ‘焉’이 ‘馬’가 된다는 뜻으로, *글자*의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하여 잘못 씀을 이르는 말.
"* 楊布之狗(양포지구)*: 양포의 개라는 뜻으로, 겉모습의 *변화*를 보고 섣불리 판단하는 것을 경계해야 함을 이르는 말. 전국 시대의
사람인 양포가 외출할 때에는 흰 옷을 입었다가 귀가할 때 검은 옷을 입었더니 양포의 개가 주인을 알아보지 못하고 짖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주인 #말 #옷 #양 #개가 #양포 #시대 #전국 #때 #겉모습 #경계 #판단 #유래 #*변화* #사람"
"* 渠荷的歷(거하적력)*: 개천의 연꽃도 아름다우니 *향기*(香氣)를 잡아볼 만함.
#연꽃"
"* 齊紫敗素(제자패소)*: *제자*(齊紫)는 제(齊)나라에서 나는 자색 천을 말하고, 패소(敗素)는 거칠고 흰 비단(緋緞)을 말하는
것으로 거칠고 나쁜 물건(物件)이라도 자줏빛 물만 들이면 값이 열 곱으로 뛴다는 데서, 어진 사람은 풍부(豊富)한 지식(知識)으로
재난(災難)을 복으로 돌리고, 실패(失敗)를 성공(成功)으로 이끈다는 말.
#자줏빛 #복 #값 #말 #풍부 #재난 #실패 #물 #나라 #*제자* #물건 #지식 #비단 #자색 #성공 #사람"
"* 凡聖一如(범성일여)*: *범*부와 성자는 구별이 있으나, 그 본성은 동일하다는 말.
#일체 #*범*인 #말 #성 #성인 #평등 #본성 #구별 #동일"
"* 呑舟之魚(탄주지어)*: 배를 삼킬 만한 *물고기*라는 뜻으로, 큰 인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배 #악인 #장대 #인물 #악 #기상"
"* 銅婚式(동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1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구리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축하 #구리 #*풍속* #혼인 #의식 #부부 #기념"
"* 甘棠遺愛(감당유애)*: 청렴*결백*(淸廉潔白)하거나 선정을 베푼 사람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
#선정 #청렴*결백* #마음 #사람 #*결백* #청렴"
"* 十人十色(십인십색)*: (1)영국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존슨이 지은 희곡. 5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로 나온 시골 청년이
아름다운 애인을 사귀게 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조급성ㆍ허세ㆍ질투 등 *인간*의 여러 가지 성질 때문에 일어나는 우스꽝스러운 사건을
묘사하였다. 예리하고 지성적인 풍자와 조소를 통하여 영국의 희극에 새로운 유형을 도입한 기질 희극의 대표적 작품이다. 1598년에
발표되었다. (2)열 사람의 열 가지 색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모습이나 생각이 저마다 다름을 이르는 말.
#기질 #중심 #성질 #*인간* #풍자 #때문 #도시 #예리 #사건 #생각 #우스꽝 #작품 #허세 #시인 #시골 #청년 #발표 #모습 #질투 #사람"
"* 事君之道與父一體(사군지도여부일체)*: 임금을 섬기는 *도리*(道理)는 부모(父母)를 섬기는 것과 똑같음.
#임금 #부모"
"* 淸貧樂道(청빈락도)*: (1)청렴*결백*하고 가난하게 사는 것을 옳은 것으로 여기고 즐김. (2)‘청빈낙도’의 북한어.
#청렴*결백* #*결백* #가난 #청빈 #청렴"
"* 大字特書(대자특서)*: 특별히 두드러지게 보이도록 *글자*를 크게 쓴다는 뜻으로, 신문 따위의 출판물에서 어떤 기사에 큰 비중을
두어 다룸을 이르는 말."
"* 東西貸取(동서대취)*: 여러 곳에서 빚을 짐을 이르는 말.
#저곳 #이곳 #빚"
* 爲己之學(위기지학)*: 자기 자신의 인격 수양을 위한 *학문*.
"* 董狐之筆(동호지필)*: *사실*을 숨기지 아니하고 그대로 씀을 이르는 말.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사관(史官)이었던 동호(董狐)가
위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실*을 *사실*대로 직필(直筆)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붓 #춘추 #역사 #위세 #시대 #권세 #나라 #*사실* #유래 #기록"
"* 兎走烏飛(토주오비)*: 토끼가 *달*리고 까마귀가 난다는 뜻으로, *달*의 상징인 토끼와 해의 상징인 까마귀가 *달*리고 나는 듯이
세월이 빠르게 지나감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 旅進旅退(려진려퇴)*: (1)함께 나아가고 함께 물러난다는 뜻으로, *일정*한 주견 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 움직임을 이르는 말.
(2)‘여진여퇴’의 북한어.
#진여 #*일정* #움직임 #절조 #의견 #주견"
"* 萬死無惜(만사무석)*: 만 번 죽어도 아까울 것이 없음.
#죄"
"* 脫網就淵(탈망취연)*: 그물을 *벗*어나 연못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물고기가 그물에서 빠져나와 못으로 도망가듯이 다행히 재난을
면하여 기뻐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芒種(망종)*: (1)벼나 보리 따위같이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 (2)이십사절기의 *하나*.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들며, 이맘때가 되면 보리는 익어 먹게 되고 모를 심게 된다. 6월 6일 무렵이다."
"* 堯長舜短(요장순단)*: 요*임금*은 크고 순*임금*은 작다는 뜻으로, 성인(聖人)의 품격이나 가치는 외모와는 상관이 없다는 것을
이르는 말."
* 挺身出戰(정신출전)*: 앞장서서 나가 싸운다는 뜻으로, 위급(危急)할 때 과감히 나서 모든 *책*임(責任)을 다함을 이르는 말.
"* 精神一到何事不成(정신일도하사불성)*: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
#일 #집중 #말 #노력 #*정신* #성취"
* 竹頭木屑(죽두목설)*: 대나무 조각과 나무 부스러기라는 뜻으로, 쓸모가 적은 *물건*을 이르는 말.
"* 秋扇(추선)*: (1)가을철의 부채라는 뜻으로, 철이 지나서 쓸모없이 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이성*의 사랑을 잃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쓸모 #*이성* #말 #사랑 #가을철 #부채 #물건 #가을 #성의 #사람"
"* 如魚失水(여어실수)*: *물고기*가 물을 잃음과 같다는 뜻으로, 곤궁한 사람이 의지할 곳이 없이 괴로워함을 비유하는 말.
#곤궁 #물 #비유 #의지 #사람"
"* 半部論語(반부논어)*: 반 권의 논어라는 뜻으로, (1) 학습의 중요함을 이르는 말 (2) 자신의 지식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중요 #*겸손* #지식 #자신 #학"
* 香火一爐燈一盞(향화일로등일잔)*: 하나의 향롯불과 하나의 등이라는 뜻으로, 중의 주거(住居)를 이르는 말.
"* 賓至如歸(빈지여귀)*: 손님이 와서 마치 돌아온 것처럼 한다는 뜻으로, 손으로 온 것이 제 집에 돌아온 것처럼 조금의 불편도 없는
*자연*스럽고 편안하다는 의미."
"* 凱旋將軍(개선장군)*: (1)적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온 장군. (2)어떤 일에 성공하여 의기양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知一不知二(지일부지이)*: 하나만 알고 둘을 모른다는 뜻으로, 한*쪽*은 알면서 다른 한*쪽*은 모르는 것처럼 식견이 좁음을 이르는
말."
"* 祖行(조항)*: (1)할아버지뻘의 항렬. ⇒규범 *표기*는 ‘조항’이다. (2)할아버지뻘의 항렬.
#할아버지 #규범 #할아버지뻘 #항렬"
"* 苦肉之計(고육지계)*: 자기 몸을 상해 가면서까지 꾸며 내는 계책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르는 말."
"* 駙馬都尉(부마도위)*: *임금*의 사위에게 주던 칭호.
#*임금* #사위"
능력
"* 別世(별세)*: 윗사람이 세상을 떠남.
#죽음 #윗사람 #세상 #사람"
"* 騰達(등달)*: (1)위로 오름. (2)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 오르거나 유명하게 됨.
#출세 #오름 #*지위* #유명 #사회 #입신출세 #사회적"
"* 圖南之翼(도남지익)*: 붕새가 날개를 펴고 남명(南明)으로 날아가려고 한다는 뜻으로, 큰 사업(事業)을 계획(計劃)하고
웅비(雄飛)를 *꾀*함."
* 稽古之力(계고지력)*: 옛일을 자세히 살피어 공부하는 노력이라는 뜻으로, *학문*이 넓고 지식이 많음을 이르는 말.
"* 偃武(언무)*: 무기를 보관하여 두고 사용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전쟁*이 끝남을 이르는 말.
#보관 #두고 #*전쟁* #사용 #끝"
* 欽明文思(흠명문사)*: 심신을 삼가고, *도리*에 밝고, 문장이 빛나고, 생각이 깊다는 뜻으로, 요임금의 덕을 기리는 말.
"* 放牛歸馬(방우귀마)*: *전쟁*에 사용했던 마소를 산야에 놓아준다는 뜻으로, *전쟁*이 끝나고 천하가 태평함을 비유하는 말.
#마소 #태평 #*전쟁* #사용 #비유 #천하"
* 自大妄想(자대망상)*: 스스로 *자기*가 크고 강하다는 망령된 생각.
"* 鷄棲鳳凰食(계서봉황식)*: 닭집에서 *봉황*(鳳凰)이 함께 살면서 모이를 먹는다는 뜻으로, 충신(忠臣)이 천(賤)한 죄인(罪人)들과
함께 하는 삶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죄인 #죄 #집 #*봉황* #비유 #닭 #충신 #삶"
* 泉石膏肓(천석고황)*: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몹시 사랑하고 즐기는 성벽(性癖).
"* 游閑公子(유한공자)*: 한가하게 노는 *공자*라는 뜻으로, 의식 걱정이 없이 한가롭게 노는 사람이나 부귀한 집안의 자제를 일컫는
말로 사용됨.
#자제 #말 #사람 #사용 #걱정 #부귀 #집안 #의식 #*공자* #한가"
"* 狐死兎悲(호사토비)*: 여우가 죽으면 *토끼*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동류(同類)의 불행(不幸)을 슬퍼함.
#*토끼* #여우 #불행 #동류"
"* 股肱之臣(고굉지신)*: 다리와 팔같이 중요한 *신하*라는 뜻으로, 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를 이르는 말.
#넓적다리 #신뢰 #*신하* #중요 #표현 #임금 #팔뚝 #보필 #신임 #의미 #다리 #입장 #충신"
"* 好學不倦(호학불권)*: 배움을 좋아하여 게으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즐겨 배우며 *노력*한다는 학문에 열중함을 이르는 말.
#책 #*노력* #학문 #게으름 #열중"
* 白蹀紛紛雪黃鶯片片金(백접분분설황앵편편금)*: 흰 나비는 날리고 날리는 눈과 같고, 누런 꾀꼬리는 조각조각 금과 같음.
"* 用行舍藏(용행사장)*: 쓰면 행하고 버리면 감춘다는 뜻으로, *세상*에 쓰일 때는 나아가 자신의 도를 행하고 쓰이지 않을 때는
물러나 숨는다는 의미."
* 權謀術數(권모술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
"* 家書抵萬金(가서저만금)*: 타국(他國)이나 타향(他鄕)에 살 때는 고향(故鄕) 가족(家族)의 편지(便紙)가 더없이 반갑고, 그
소식(消息)의 값이 황*금*(黃金) 만 냥보다 더 소중(所重)하다는 말.
#말 #가족 #값 #타향 #고향 #때 #소중 #소식 #황*금*"
"* 三遷之敎(삼천지교)*: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 慈悲忍辱(자비인욕)*: 사랑하고 가엾게 여기며 욕됨과 *고통*을 참는 일.
#자비 #일 #사랑 #욕 #*고통* #중생"
* 毫末之利(호말지리)*: 아주 적은 *이익*.
* 萬法一如(만법일여)*: 온갖 *법*이 공(空) 또는 진여(眞如)로 귀착하여 하나로 됨을 이르는 말.
"* 一塵不染(일진불염)*: (1)토지가 깨끗함. (2)절조가 깨끗함. (3)문장 따위가 뛰어나게 맑고 *아름다움*. (4)모든 것이
맑고 깨끗함. (5)티끌만큼도 물욕에 물들어 있지 아니함.
#티끌 #청렴결백 #*아름다움* #문장 #비유 #관리 #절조 #물욕 #결백 #깨끗 #토지 #조금 #따위 #청렴"
"* 顚之倒之(전지도지)*: 엎드러지고 곱드러지며 몹시 급히 달아나는 *모양*.
#*모양*"
* 桑海(상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盲人摸象(맹인모상)*: 일부분을 알면서도 *전체*를 아는 것처럼 여기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사물 #일 #부분 #일부분 #결론 #*전체* #소견 #장님 #코끼리"
* 不可勝數(불가승수)*: 너무 많아서 셀 수*가* 없음.
"* 自稱天子(자칭천자)*: 자기를 스스로 *천자*라고 이른다는 뜻으로, 자기 자랑이 매우 심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말 #사람 #자랑 #*천자*"
"* 兩鳳連飛(양봉연비)*: 두 마리 *봉황*이 나란히 난다는 뜻으로, 형제가 같이 영달(榮達)함을 이르는 말.
#제비 #영달 #*봉황* #마리 #형제"
"* 朝露人生(조로인생)*: 아침 *이슬*과 같은 인생이라는 뜻으로, 허무하고 덧없는 인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허무 #*이슬* #아침 #인생"
"* 雁信(안신)*: 먼 곳에서 *소식*을 전하는 편지.
#단순 #사용 #백 #지금 #*소식*"
"* 萬覇不聽(만패불청)*: 많은 패도 듣지 않는다는 뜻으로, 본래 바둑에서 큰 패가 생겼을 때 상대자가 어떤 패를 써도 응하지 않고
팻자리를 해소하는 일인데, 후에 아무리 싸움을 걸려고 집적거려도 못들은 체 하고 응하지 않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 掀天動地(흔천동지)*: 온 세상을 쳐들어 움직인다는 뜻으로, 소리가 커서 천지를 뒤흔들만할 정도로, 천지가 뒤흔들리게 *기세*(氣勢)를
크게 떨침을 이르는 말.
#*기세* #소리 #침 #정도 #세상"
"* 三年不弔(삼년부조)*: 삼년상을 치르는 상제는 상기(喪期) 삼 년 *동안* 남의 상사(喪事)에 조상하지 못하거나 아니함.
#상사 #삼년 #상제 #때 #*동안* #조상"
"* 王道政治(왕도정치)*: *왕*의 도리를 다하는 정치라는 뜻으로, 인덕(人德)에 바탕을 둔 정치를 행하는 것을 의미함. 유가(儒家)의
맹자(孟子)에 의해 가치를 확립함. ."
"* 悠悠度日(유유도일)*: 하는 일 없이 세월만 보냄.
#일 #의미 #세월 #날짜 #한가"
"* 秋毫之末(추호지말)*: *가을*철에 털갈이하여 가늘어진 짐승의 털끝이라는 뜻으로, 매우 가는 것을 이르는 말.
#*가을*철 #털 #짐승 #*가을* #털끝"
"* 膏粱珍味(고량진미)*: *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맛 #곡식 #음식 #*기름*"
"* 萬古絶色(만고절색)*: 오래도록 빼어난 여색이라는 뜻으로, 이 세상에는 따라갈 *여지*가 없을 만큼 아주 뛰어난 여인의 의미.
#미인 #여인 #여색 #의미 #고금 #세상"
"* 萬里長城(만리장성)*: (1)중국의 북쪽에 있는 성. 서쪽 간쑤성(甘肅省)의 자위관(嘉峪關)에서 시작하여 *동쪽*
허베이성(河北省)의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른다. 춘추 전국 시대의 조(趙)ㆍ연(燕) 등이 변경 방위를 위하여 쌓아서 만든 것을
진(秦)의 시황제가 크게 증축하여 완성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명나라가 몽골의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것이다. 길이는
2,700km. (2)서로 넘나들지 못하게 가로막는 크고 긴 장벽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창창한 앞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남녀가 서로 교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황제 #창창 #변경 #시대 #서쪽 #북쪽 #침입 #완성 #전국 #시작 #가로막 #앞날 #명나라 #성 #남녀 #춘추 #길이 #대비 #*동쪽* #길 #중국 #방위 #황제"
"* 樂生於憂(낙생어우)*: *즐거움*은 언제나 걱정하는 데서 나온다는 말.
#걱정 #말 #*즐거움*"
"* 白日飛昇(백일비승)*: 도를 극진히 닦아 육신을 가진 채 신선이 되어 대낮에 하늘로 올라가는 *일*.
#*일* #대낮 #신선 #선 #육신 #하늘 #오름 #선인"
"* 萬里滄波(만리창파)*: 만 리까지 펼쳐진 푸른 *물결*이라는 뜻으로, 끝없이 넓은 바다를 이르는 말.
#*물결* #끝"
"* 化外之氓(화외지맹)*: 교*화가* 미치지 못하는 지방의 백성.
#백성 #화 #지방 #외지 #교화"
* 謝恩肅拜(사은숙배)*: 예전에,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공손하고 경건하게 절을 올리던 일.
"* 潛德之幽光(잠덕지유광)*: 숨겨져 있는 덕의 그윽한 빛이라는 뜻으로,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유덕(有德)한 사람의 그윽한 빛이라는
의미."
"* 室家之樂(실가지락)*: 부부 사이의 화목한 *즐거움*.
#화목 #미인 #거처 #방 #화 #의미 #*즐거움* #집안 #부부 #가정 #사이"
* 上敬之禮(상경지례)*: 모든 성인이나 천사의 지위보다 훨씬 높은 성모 마리아에 *대한* 특별한 공경.
* 出天之孝(출천지효)*: 하늘이 낸 *효*자라는 뜻으로, 지극한 *효*자나 *효*성을 이르는 말.
정도
"* 被褐懷玉(피갈회옥)*: 거친 옷을 입었으나 속에는 옥을 지녔다는 뜻으로, 지덕을 갖춘 사람이 세상에 *알*려지려고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옷 #사람 #지덕 #비유 #현인 #겉 #세상"
"* 天地之常(천지지상)*: 천지 사이에 행하*여지*는 운전(運轉) 및 차고 기울고, 어둡고 밝고 하는 따위의 상도(常道).
#따위 #차고 #행 #사이"
"* 背夫棄家(배부기가)*: 남편(男便)을 *배반*(背反)하고 집에서 나와 버림.
#집 #남편 #버림 #*배반*"
"* 情狀參酌(정상참작)*: 법률적으로는 *특별*한 사유가 없더라도 범죄의 정상에 참작할 만한 사유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법원이 그
형을 줄이거나 가볍게 하는 것.
#일 #경우 #사유 #범죄 #법원 #법률 #정상 #*특별* #법률적 #형벌 #사정 #판단 #형"
"* 啜菽飮水(철숙음수)*: 콩을 먹고 물을 마신다는 뜻으로, 집은 *가난*하여도 부모(父母)에게 효도(孝道)를 극진(極盡)히 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百年之約(백년지약)*: *젊은* 남녀가 부부가 되어 평생을 같이 지낼 것을 굳게 다짐하는 아름다운 언약.
#다짐 #남녀 #백 #언약 #평생 #부부"
"* 釜中生魚(부중생어)*: 솥 안에 물고기가 생긴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여 오랫동안 밥을 짓지 못함을 이르는 말. ≪후한서≫의 <*범*염전(范冉傳)>에
나오는 말이다.
#일 #말 #*범* #밥 #비유 #솥 #계속 #가난 #정도"
* 書生文學(서생문학)*: 아직 습작 과정에 있는 사람의 작품. 또는 그 과정의 문*학*.
"* 暗香浮動(암향부동)*: 그윽한 *향기*가 은은히 떠돎.
#그윽"
"* 末大必折(말대필절)*: 나무 가지가 너무 커지면 반드시 줄기가 부러진다는 뜻으로, 자손(子孫)이 강성해지면 종가(宗家)를 망하게
한다는 의미. 또는 변방(邊方)의 힘이 강해지면 *나라*가 위태하다는 의미도로 사용됨."
* 改過遷善(개과천선)*: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枕經藉書(침경자서)*: 경전을 베개하여 눕고 시서를 자리하여 앉는다는 뜻으로, *독서*에 탐닉(耽溺)함을 이르는 말.
#자리 #경전 #베개 #*독서*"
"* 葉錢(엽전)*: (1)예전에 사용하던, 놋쇠로 만든 돈. 둥글고 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다. 고려 시대의
삼한중보ㆍ삼한통보ㆍ동국중보ㆍ해동중보 따위와, 조선 시대의 조선통보ㆍ상평통보ㆍ당백전ㆍ당오전 따위를 들 수 있다. (2)우리나라 사람이
스스로를 낮잡아 이르는 말. (3)소나 말 같은 길짐승의 *머리* 앞부분에 장식으로 다는 둥글넓적한 금속.
#부분 #시대 #때 #장식 #옛날 #낮 #스스로 #길짐승 #돈 #고려 #앞 #*머리* #쇠 #가운데 #예전 #낮잡 #사람 #우리 #구멍 #우리나라 #따위 #말 #사용 #나라 #대의
#조선"
* 結義兄弟(결의형제)*: 의로써 형제의 *관계*를 맺음. 또는 그렇게 *관계*를 맺은 형제.
"* 魚頭一味(어두일미)*: 물고기는 *머리* 쪽이 그중 맛이 있다는 말.
#그중 #말 #대가리 #*머리* #맛 #쪽"
상태
"* 三枝之禮(삼지지례)*: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집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 倒置干戈(도치간과)*: 무기(武器)를 거꾸로 놓는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이 평화(平和)로워졌음을 이르는 말.
"* 狐裘而羔袖(호구이고수)*: *여우* 갖옷에 양 소매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우* 갖옷에 양 새끼의 가죽으로 소매를 달면 보기 흉한
것처럼, 대체로 좋으나 작은 부분이 조금 있을 때 사용하는 말.
#부분 #소매 #갖옷 #새끼 #양 #*여우* #때 #사용 #가죽"
"* 我武維揚(아무유양)*: 자기(自己)네 편의 *무위*(武威)가 드날림을 이르는 말.
#편의"
"* 夜半逃走(야반도주)*: 남의 눈을 피하여 한*밤*중에 도망함.
#*밤* #눈 #한*밤*중 #도망 #사람들 #사람"
"* 高麗公事三日(고려공사삼일)*: 고려 때의 공적인 일은 삼 일밖에 안 갔다는 뜻으로, 오래 참고 견디지 못하고 자주 변동함. 고려
무신정권 때의 *고사*.
#일 #말 #법령 #고려 #때 #비유 #시작 #정책 #변동 #계속 #정권 #사흘 #*고사* #공적"
"* 金枝玉葉(금지옥엽)*: (1)금으로 된 가지와 옥으로 된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매우 소중하고 귀한
자식을 이르는 말. (3)구름의 아름다운 모양을 이르는 말.
#자식 #가족 #아름 #임금 #왕실 #금 #비유 #의미 #잎 #구름 #소중 #모양 #귀 #잎사귀"
"* 思如湧泉(사여용천)*: 사상(思想)이 솟아 나오는 샘물처럼 그치지 아니함.
#사상 #샘물"
"* 棗栗梨柿(조율이시)*: 대추, 밤, 배, 감이라는 뜻으로, 제사상을 차릴 때 과일을 진설(陳設)하는 *순서*로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놓은 것을 이르는 말.
#과일 #밤 #왼쪽 #배 #때 #*순서* #제사상"
"* 吉凶禍福(길흉화복)*: 좋은 일과 나쁜 일, 불행한 일과 행복한 일.
#일 #불행 #인간 #재앙 #의미 #행복 #삶"
"* 以死爲限(이사위한)*: 죽음으로써 한정(限定)을 삼는다는 뜻으로, 죽음을 각오하고 어떤 일을 함을 이르는 말.
#일 #한정 #죽음 #의미 #각오 #한계"
"* 百馬伐驥(백마벌기)*: 백 마리의 말이 한 마리의 준마를 친다는 뜻으로, 뭇 *신하*(臣下)들이 한 현신(賢臣)을 제거(除去)하기
위(爲)해 몰아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於異阿異(어이아이)*: ‘어 다르고 아 다르다’는 우리말 속담의 한역(漢譯)으로,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상대가
받아들이는 기분이 다를 수 있다는 *의미*나, 항상 말을 조심해서 해야한다는 *의미*."
"* 知者不惑(지자불혹)*: 지혜로운 사람은 미혹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지혜로운 사람은 이치에 밝으므로 어떤 *사물*에도 미혹(迷惑)되지
않는다는 의미."
"* 丹脣皓齒(단순호치)*: 붉은 *입술*과 하얀 치아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를 이르는 말.
#여자 #미인 #*입술* #아름 #여인 #의미 #자태 #얼굴"
"* 天下泰平(천하태평)*: (1)정치가 잘되어 온 *세상*이 평화로움. (2)어떤 일에 무관심한 상태로 걱정 없이 편안하게 있는 태도를
가벼운 놀림조로 이르는 말."
"* 五獸不動(오수부동)*: 닭, 개, 사자, *호랑이*, 고양이가 한곳에 모이면 서로 두려워하고 꺼리어 움직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회
조직이 서로 견제하는 여러 세력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한곳 #조직 #범 #사자 #고양이 #*호랑이* #의미 #닭 #견제 #세력 #사회 #짐승"
"* 一樹百穫(일수백확)*: 나무 한 그루를 심어서 백 가지의 이익을 본다는 뜻으로, 유능한 인재 하나를 길러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음을 이르는 말."
"* 信言之瑞(신언지서)*: 信은 말의 부절(符節)이라는 뜻으로, 전일(前日)에 한 말이 후일(後日)의 일과 일치함을 이르는
신의(信義)의 소중한 가치를 강조하는 *의미*. [瑞는 符(부)의 *의미*].
#일 #말 #부절 #*의미* #소중 #일치 #강조 #가치 #신의"
"* 朝飯夕粥(조반석죽)*: 아침에는 밥을 먹고, *저녁*에는 죽을 먹는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한 살림을 이르는 말.
#아침 #살림 #밥 #궁색 #*저녁* #가난 #삶"
* 簒弑之變(찬시지변)*: *임금*을 죽이고 그 자리를 빼앗는 변란.
"* 隆冬雪寒(융동설한)*: (1)‘융동설한’의 북한어. (2)눈 내리는 깊은 겨울의 심한 *추위*.
#*추위* #눈 #창 #의미 #겨울"
"* 啞羊僧(아양승)*: 어리석어서 선악을 *분별*하지 못하여 계율을 범하고도 뉘우칠 줄 모르는 승려를 벙어리 양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모름 #죄 #양 #계율 #참회 #승려 #비유 #판단 #선악 #벙어리 #*분별*"
"* 連枝(연지)*: (1)‘연지’의 북한어. (2)한 뿌리에서 난 이어진 가지라는 뜻으로, 형*제자*매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형*제자*매 #비유 #자매 #형제 #뿌리"
"* 奢者心常貧(사자심상빈)*: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마음 #사치 #만족 #의미 #가난 #*사람*"
손자
* 桃梨千機錦江山一畵屛(도리천기금강산일화병)*: 복숭아와 배는 일 천 개 베틀의 비단(緋緞)이요, 강과 산은 한 폭의 병풍(屛風)임.
"* 多情多恨(다정다한)*: (1)애틋한 정도 많고 한스러운 일도 많음. (2)일본의 소설가 오자키 고요의 장편 소설. 1896년
2월부터 12월까지 ≪요미우리 신문≫에 연재되었고, 1897년 7월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한 애환을
담은 것으로, 오자키 고요의 사실주의 문학 가운데 최고로 꼽히는 작품이다.
#일 #고요 #2월 #*사랑* #가운데 #애틋 #최고 #원한 #소설 #12월 #작품 #문학 #우리 #신문 #정도"
* 師心自是(사심자시)*: 자기(自己)의 *생각*만을 옳다고 함.
"* 萬里長城(만리장성)*: (1)중국의 북쪽에 있는 성. 서쪽 간쑤성(甘肅省)의 자위관(嘉峪關)에서 시작하여 동쪽 허베이성(河北省)의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른다. 춘추 전국 시대의 조(趙)ㆍ연(燕) 등이 변경 방위를 위하여 쌓아서 만든 것을 진(秦)의 시황제가 크게 증
*축하*여 완성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명나라가 몽골의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것이다. 길이는 2,700km. (2)서로 넘나들지
못하게 가로막는 크고 긴 장벽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창창한 앞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남녀가 서로 교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황제 #창창 #변경 #시대 #서쪽 #북쪽 #침입 #완성 #전국 #시작 #가로막 #앞날 #명나라 #성 #남녀 #춘추 #길이 #대비 #동쪽 #길 #중국 #방위 #황제"
"* 柏舟之操(백주지조)*: *백*주지조(栢舟之操). 잣나무로 만든 배의 지조(志操)라는 뜻으로, 남편(男便)을 잃은 아내가 끝까지
정절(貞節)을 지킴."
"* 傷風敗俗(상풍패속)*: *풍속*을 문란하게 함. 또는 부패하고 문란한 *풍속*.
#문란 #*풍속* #부패"
고비
"* 驟雨不終日(취우부종일)*: 소나기는 하루 종*일* 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위세(威勢)를 부리는 자는 오래가지 않음을 비유하거나,
급히 서두르는 *일*이 오래 계속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權不十年 (권불십년)].
#*일* #위세 #권세 #불 #비유 #종*일* #계속 #하루 #사람"
"* 凌雲之志(능운지지)*: 높은 구름을 훨씬 넘는 뜻이라는 말로, (1) *속세*(俗世)에 초연(超然)한 태도(態度) (2) *속세*(俗世)를
떠나서 초탈(超脫)하려는 마음.
#마음 #말 #*속세* #구름 #태도 #초연"
"* 白髮悲花落靑雲羨鳥飛(백발비화락청운선조비)*: 늙은이는 꽃이 떨어짐을 슬퍼하고, 관리(官吏)는 *새*가 날음을 부러워함. 즉 높은
관직에 오르고자 함."
"* 稱體裁衣(칭체재의)*: *몸*에 맞추어서 옷을 만든다는 뜻으로, 사람에 따라 그 경우에 맞도록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몸* #일 #옷 #경우 #비유 #형편 #처리 #적합 #사람"
"* 親三寸(친삼촌)*: 친*아버지*의 형제.
#친*아버지* #형제"
* 一片丹心(일편단심)*: 한 조각의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변치 아니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
"* 單虎胸背(단호흉배)*: 당하관 무관이 입는 상복(常服)의 가슴과 등에 붙이던 헝겊 조각. 호랑이 한 *마리*를 수놓았다.
#상복 #호랑이 #*마리* #조각 #무관 #가슴"
"* 厚往薄來(후왕박래)*: 갈 때는 후하게 하고, 올 때는 박하게 한다는 뜻으로, 과거 왕이 제후에게 돌아갈 때는 후하게 선물을
내리고, 조회를 올 때는 공물을 적게 바치게 함으로써 제후나 *신하*를 회유(懷柔)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회유 #*신하* #왕 #선물 #제후 #때 #방법 #과거"
"* 歲寒三友(세한삼우)*: 추운 겨울철의 세 벗이라는 뜻으로, 추위에 잘 견디는 *소나무*ㆍ대나무ㆍ매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 흔히
한 폭의 그림에 그려서 ‘송죽매’라고 한다.
#추위 #나무 #벗 #그림 #의미 #산수 #겨울철 #*소나무* #매화 #대나무 #세상"
"* 玉不磨無光(옥불마무광)*: 옥은 갈지 않으면 빛이 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뛰어난 소질을 가진 사람이라 하더라도 학*문과* 수양을
쌓지 않으면 성취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빛 #학문 #성취 #수양 #소질 #사람"
"* 輻輳幷臻(폭주병진)*: *수레*바퀴의 살이 바퀴통에 모이듯 한다는 뜻으로, 한곳으로 많이 몰려듦을 이르는 말.
#한곳 #바퀴 #*수레*바퀴 #살이 #통"
"* 水湧山出(수용산출)*: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
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재주 #풍부 #훌륭 #물 #비유 #생각 #산 #시문"
"*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 #여옹 #산 #귀 #인생 #공명 #비유 #노생 #유래 #도사 #주인 #소년 #*누리* #쓰임 #부귀영화 #베개 #80세 #꿈 #영화 #부귀 #잠"
"* 忘身忘家(망신망가)*: *자신*(自身)과 집안의 일을 잊는다는 뜻으로, 사(私)를 돌보지 않고 오직 나라와 공(公)을 위(爲)해
헌신(獻身)함을 이르는 말.
#집안 #일 #나라 #*자신*"
"* 活人之方(활인지방)*: (1)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법*. (2)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위나 지방.
#위험 #지방 #사용 #의미 #목숨 #구원 #방안 #방위 #*방법* #사람"
"* 輻輳竝臻(복주병진)*: ‘폭주병진’의 원말.
#*복*"
"* 圓木警枕(원목경침)*: 둥근 나무로 만든 경계하는 베개라는 뜻으로, 둥근 목침으로 베개가 굴러 잠에서 깨도록 만든 것인데,
고학(苦學)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로 사*용*됨."
* 使臣以禮事君以忠(사신이례사군이충)*: 신하(臣下)를 예로써 부려야 하고 *임금*을 충성(忠誠)으로써 섬겨야 함.
"* 出類拔萃(출류발췌)*: 같은 무리 가운데에서 *특별*히 뛰어남.
#부류 #무리 #평범 #가운데"
수행
"* 頓悟漸修(돈오점수)*: 고려 시대에, 지눌이 주장한 불교의 선(禪) 수행 방*법*. 무인 정권 시기에 불교 교단을 개혁하기 위하여
주장한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부처가 되려면 진심을 깨닫고,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鶴鳴之士(학명지사)*: 학이 우는 것 같은 선비라는 뜻으로, 많은 사람으로부터 신뢰와 존경(尊敬)을 받는 *인물*이나, 벼슬하지
못한 채 초야(草野)에서 살아가는 선비를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말 #신뢰 #존경 #사용 #*인물* #비유 #초야 #벼슬 #선비 #학 #사람"
"* 萬古江山(만고강산)*: (1)아주 오랜 세월 *동안* 변함이 없는 산천. (2)강산을 유람하며 절경을 찬탄한 단가의 하나.
중모리장단에 맞추어 부르며, “만고강산 유람할 제 삼신산이 어디메뇨…….”로 시작한다."
* 萬花芳草(만화방초)*: 온갖 *꽃*과 향기로운 풀.
"* 地醜德齊(지추덕제)*: 토지의 크기나 덕이 서로 비슷하다는 뜻으로, 서로 조건이 비슷함을 이르는 말. ≪맹자≫의 <*공손*추하(公孫丑下)>에서
유래한다.
#지체 #조건 #땅 #가지런 #유사 #출전 #덕망 #*공손* #영토 #나라 #사용 #의미 #맹자 #서로 #집안 #토지 #본래 #유래 #비슷 #군주"
"* 鳳皇來儀(봉황래의)*: 봉황이 와서 의례를 한다는 뜻으로, 봉황이 덕에 *감동*해 찾아와 의용(儀容)을 정제(整齊)하고 있다는
것에서, 태평세상(太平世上)이 될 상서로운 조짐의 의미.
#*감동* #태평 #봉황 #상서 #의미 #의례 #조짐 #세상"
"* 閉月羞花(폐월수화)*: 달도 숨고 꽃도 부끄러워한다는 뜻으로, 여인의 얼굴과 맵시가 매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달 #미인 #맵시 #여인 #꽃 #비유 #*아름다움* #얼굴"
"* 敲氷求火(고빙구화)*: *얼음*을 두드려 불을 구(求)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의 불가능(不可能)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일 #불 #비유 #*얼음* #불가능"
"* 江湖煙波(강호연파)*: (1)대자연의 풍경. (2)강이나 호수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기운. 또는 그 수면의 잔*물결*.
#강 #안개 #풍경 #의미 #경치 #산수 #자연 #기운 #잔*물결* #대자연"
"* 書忍字一百(서인자일백)*: 참을 忍(인) 백 자를 쓴다는 뜻으로, *가정*(家庭)의 화목(和睦)은 서로가 인내(忍耐)하는 데 있다는
말.
#말 #백 #서로 #*가정* #화목"
"* 無形學(무형학)*: 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사물 #영역 #존재 #제목 #말 #아리스토텔레스 #사유 #*학*문 #명칭 #철*학* #근본 #원리 #과*학* #초월 #형체 #유래 #형 #본질"
"* 思慮分別(사려분별)*: 깊게 생각해 다른 일이나 *사물*을 구별하여 가름.
#*사물* #일 #분수 #생각 #구별"
"* 王侯將相(왕후장상)*: 제왕ㆍ*제후*ㆍ장수ㆍ재상을 아울러 이르는 말.
#제왕 #재상 #*제후* #왕 #장수 #유래"
"* 雪中四友(설중사우)*: 겨울에도 즐길 수 있는 네 가지 *꽃*. 옥매(玉梅), 납매(臘梅), 동백*꽃*, 수선(水仙)을 이른다.
#눈 #벗 #*꽃* #겨울 #옥매"
"* 已發之矢(이발지시)*: 이미 쏘아 놓은 화살이라는 뜻으로, 이왕에 *시작*한 일이라 중도에 그만두기 어려운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화살 #어려움 #중지 #*시작* #형편 #중도 #이왕"
"* 斗南一人(두남일인)*: 북두칠성의 남쪽에서 제일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천하에 으뜸가는 훌륭한 *인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인물* #천하 #북두칠성 #의미 #현인 #天下 #남쪽 #훌륭 #사람"
"* 三獸渡水(삼수도수)*: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행*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토끼 #강 #바탕 #말 #보살 #교리 #성문 #비유 #*수행* #깊이 #깨달음 #코끼리"
"* 水積成川(수적성천)*: 물이 모이면 시내를 이룬다는 뜻으로, 물*방울*도 쌓이면 내를 이룰 수 있듯이 작은 것이 모여 큰 것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
#의미 #물*방울* #시내 #물"
"* 養子息知親力(양자식지친력)*: 자식을 길어야봐야 어버이의 힘든 것을 안다는 뜻으로, 부모가 되어보아야 지고지순(至高至純)한 부모의
*사랑*을 깨달을 수 있다는 의미.
#자식 #*사랑* #의미 #어버이 #부모"
* 再生之恩(재생지은)*: 거의 죽게 된 목숨을 다시 살려 준 *은혜*.
* 望風而靡(망풍이미)*: 기세를 보고 쏠린다는 뜻으로, 소문을 듣고 놀라서 맞서 보려고도 하지 아니하고 *달*아남을 이르는 말.
* 吐氣揚眉(토기양미)*: 기염(氣焰)을 토하며 눈썹을 치켜 올린다는 뜻으로, 득의(得意)한 *모양*을 이르는 말.
"* 四君子(사군자)*: 동양화에서, 매화ㆍ난초ㆍ국화ㆍ*대나무*를 그린 그림. 또는 그 소재. 고결함을 상징으로 하는 문인화의 대표적
소재이다.
#난초 #이름 #고결 #나무 #동양화 #그림 #상징 #비유 #식물 #소재 #군자 #국화 #매화 #*대나무*"
* 牽强附會(견강부회)*: 억지로 끌어다 붙여 모은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나 *상황*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끌어댄다는 의미.
"* 風淸月朗(풍청월랑)*: 바람이 맑고 달이 밝다는 뜻으로, 마음이 *결백*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달 #바람 #마음 #비유 #*결백*"
* 南面之德(남면지덕)*: 임금으로서 갖추어야 할 덕.
"* 火樹銀花(화수은화)*: 불타는 나무와 은색의 꽃 같다는 뜻으로, 붉고 밝게 타오르는 밝은 등불이나 촛불처럼 등불이 번쩍번쩍 빛남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 志學之年(지학지년)*: *학문*에 뜻을 둔 나이라는 뜻으로, 에서 공자(孔子)가 15세 때 *학문*에 뜻을 두었다는 데서 연유한
15세를 의미하는 말.
#*학문* #때 #의미 #孔子 #나이 #공자 #연유"
"* 四方響應(사방향응)*: 어떤 주의나 사상에 응하여 *사방*에서 모두 힘차게 일어남.
#창 #*사방* #사상 #주의 #행동 #일어남 #사람"
"* 白龍魚服(백룡어복)*: (1)흰 용이 물고기의 옷을 입었다는 뜻으로, 신분이 높고 귀한 사람이 남 모르게 나다님을 이르는 말.
(2)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남모르게 나다니다가 뜻하지 않게 욕을 봄을 이르는 말. 신령스러운 흰 용이 물고기로 변하여 다니다가
어부의 그물에 잡혔다는 데서 *유래*한다."
"* 精衛塡海(정위전해)*: 작은 새 정위가 바다를 메우려 한다는 뜻으로, (1) 가망(可望) 없을 일에 힘들임을 이르는 말 (2)
*목적*(目的)을 달성하기 위하여 온갖 고난(苦難)을 무릅쓰고 노력(努力)함.
#일 #달성 #노력 #고난 #*목적*"
"* 呂翁枕(여옹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때 #여옹 #인생 #생활 #사이 #메조 #비유 #노생 #년간 #유래 #*도사* #소년 #베개 #말 #꿈 #한단 #밥 #영화 #중국 #잠 #고사"
"* 指天射魚(지천사어)*: *하늘*을 향하여 물고기를 쏜다는 뜻으로, 사물을 구하는 방법의 그릇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사물 #비유 #그릇 #*하늘* #그릇됨 #방법"
"* 天香國色(천향국색)*: (1)*천하*에서 제일가는 향기와 빛깔이라는 뜻으로, ‘모란꽃’을 달리 이르는 말. (2)가장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後生可畏(후생가외)*: 젊은 후학들을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 후진들이 선배들보다 젊고 기력이 좋아, 학문을 닦음에 따라 큰
인물이 될 수 있으므로 *가*히 두렵다는 말.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 吳越同舟(오월동주)*: 서로 적의를 품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된 경우나 서로 협력하여야 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서로 적대시하는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으나 풍랑을 만나서 서로 단합하여야 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출전은 ≪손자(孫子)≫의 이다."
* 白首空歸(백수공귀)*: 흰머리로 헛되이 돌아간다는 뜻으로, 늙음에 이르러도 *학문*을 이루지 못함을 한탄하는 말.
* 草網着虎(초망착호)*: 썩은 새끼로 엮은 망으로 *범*을 잡으려고 한다는 뜻으로, 되지도 않을 일을 허황되게 꾀함을 이르는 말.
"* 奴顔婢膝(노안비슬)*: 남자 종의 아첨하는 얼굴과 여자 종의 무릎걸음이라는 뜻으로, 하인처럼 굽실거리는 얼굴로 비굴하게 알랑대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正松五竹(정송오죽)*: 소*나무*는 정월에 옮겨 심고, 대*나무*는 오월에 옮겨 심어야 잘 산다는 말.
#소*나무* #말 #대*나무* #정월"
"* 水魚之交(수어지교)*: (1)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라는 뜻으로,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의 친밀함을 이르는 말."
"* 春北秋南雁朝西暮東虹(춘북추남안조서모동홍)*: 봄에는 북으로 가을에는 남으로 가는 기러기요, *아침*에는 서쪽에서 저녁에는 동쪽에서
빛나는 무지개임."
* 嚴妻侍下(엄처시하)*: 엄한 아내를 모시는 그 *아래*라는 뜻으로, 아내에게 쥐여사는 남편의 처지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 置酒高會(치주고회)*: 주연(酒宴)과 고상한 모임이라는 뜻으로, 성*대한* 주연(酒宴)을 베푸는 일, 또는 그 宴會를 이르는 말.
"* 形枉影曲(형왕영곡)*: 물건의 형체가 굽어 있으면 그 그림자도 반드시 굽는다는 뜻으로, 원인과 *결과*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원인 #관계 #물건 #일치 #그림자 #형체 #형상 #*결과*"
* 於斯之間(어사지간)*: 어느 *사이*인지도 모르는 동안에.
* 複雜多端(복잡다단)*: ‘*복*잡다단하다’의 어근.
"* 拈華微笑(염화미소)*: 말로 통하지 아니하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 *석가모니*가 영산회(靈山會)에서 연꽃 한 송이를
대중에게 보이자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깨닫고 미소 지으므로 그에게 불교의 진리를 주었다고 하는 데서 유래한다.
#불교 #웃음 #일 #용어 #불 #석가 #유래 #불가 #연꽃 #문자 #전함 #*석가모니* #마음 #말 #송이 #대중 #가섭 #진리 #꽃 #제자 #고사"
"* 知希之貴(지희지귀)*: 아는 이가 드물어 귀하다는 뜻으로, 노자(老子)가 세상에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가 행해지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을 개탄하며, 세상이 나를 아는 사람이 드무니 나 혼자 귀할 수밖에 없음을 역설한 구절임."
"* 被髮左衽(피발좌임)*: 머리를 풀고 옷깃을 왼*쪽*으로 여민다는 뜻으로, 미개한 나라의 풍습을 이르는 말.
#옷깃 #왼*쪽* #예의 #풍속 #머리 #미개 #나라 #머리털 #풍습 #상태"
"* 短池孤草長通市求利來(단지고초장통시구리래)*: 짧은 연못엔 외로운 풀만 길어나고, *시장*(市場)을 통(通)하니 이익(利益)을
구(求)하여 옴.
#연못 #이익 #*시장*"
"* 忙中閑(망중한)*: 바쁜 *가운데* 잠깐 얻어 낸 틈.
#의미 #때 #*가운데* #한가"
* 權不十年(권불십년)*: 권세는 십 년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높은 권세라도 오래가지 못함을 이르는 말.
"* 歡天喜地(환천희지)*: *하늘*도 즐거워하고 땅도 기뻐한다는 뜻으로, 아주 즐거워하고 기뻐함을 이르는 말.
#의미 #땅 #정도 #*하늘*"
"* 萬分之一(만분지일)*: 만으로 나눈 것의 하*나라*는 뜻으로, 아주 적은 경우를 이르는 말.
#비교 #경우"
번뇌
"* 危若朝露(위약조로)*: 위태롭기가 마치 아침 이슬과 같다는 뜻으로, *운명*의 위태로움 또는 인생의 무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슬 #아침 #햇빛 #위태 #*운명* #비유 #무상 #말라 #인생"
"* 怒髮衝冠(노발충관)*: 노하여 일어선 *머리*카락이 관을 추켜올린다는 뜻으로, 몹시 성이 난 모양을 이르는 말.
#*머리*카락 #*머리*털 #성 #모양"
* 博聞强記(박문강기)*: 널리 사물(事物)을 보고 들어 잘 기억(記憶)하고 있음.
"* 暗索(암색)*: (1)*물건* 따위를 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음. (2)어림으로 무엇을 알아내거나 찾아내려 함.
#따위 #어둠 #준말 #*물건* #무엇 #어림"
* 十長生(십장생)*: 오래도록 살고 죽지 않는다는 열 가지. 해,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이다.
"* 善敗由己(선패유기)*: *성공*과 실패는 자기로부터 말미암는다는 뜻으로, 일의 성패는 자기 자신의 행동 여하에 달려있다는 의미.
#일 #성패 #실패 #의미 #여하 #자신 #행동 #*성공*"
"* 前車覆轍(전거복철)*: 앞에 간 *수레*가 뒤집힌 바퀴 자국이라는 뜻으로, 앞의 실패를 본보기 삼아 주의함을 이르는 말.
#전례 #바퀴 #앞사람 #앞 #실패 #자국 #*수레* #교훈 #주의 #사람"
* 三從妹夫(삼종매부)*: 삼종매의 *남편*.
"* 諺文風月(언문풍월)*: (1)예전에, 한글로 지은 시가(詩歌)를 이르던 말. (2)격식을 갖추지 아니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예전 #지난날 #시가 #우리 #격식 #따위"
"* 萬古風雪(만고풍설)*: 아주 오랜 세월 *동안* 겪어 온 많은 고생.
#*동안* #세월 #고생"
"* 炎凉世態(염량세태)*: 더웠다가 차가워지는 세상 인심이라는 뜻으로, *권세*가 있을 때는 아부하여 좇고, 세력이 사라지면 푸대접하는
각박한 세상 인심을 이르는 말.
#푸대접 #아첨 #인심 #*권세* #때 #형편 #세태 #세력 #아부 #세속 #세상"
"* 會稽之恥(회계지치)*: 회계산에서의 수치라는 뜻으로, 전쟁에 패한 치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에게 후이지산(會稽山)에서 패전하고 생포되어 굴욕적인 강화를 맺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구천 #마음 #춘추 #왕 #강화 #*시대* #유래 #회계산 #전쟁 #비유 #수치 #치욕 #중국 #산"
"* 走馬看山(주마간산)*: 말을 타고 달리며 *산천*을 구경한다는 뜻으로, 자세히 살피지 아니하고 대충대충 보고 지나감을 이르는 말.
#사물 #내용 #말 #비유 #*산천* #산 #구경"
풍월
* 空手來空手去(공수래공수거)*: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간다는 뜻으로, 재물에 *욕심*을 부릴 필요가 없음을 이르는 말.
"* 糟糠(조강)*: (1)지게미와 *쌀*겨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변변치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2)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3)교만한 승려나 거친 교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변변 #법 #사람 #*쌀*겨 #고생 #때 #교만 #승려 #음식 #가난 #아내 #교법"
"* 東漂西浪(동표서랑)*: 동*쪽*으로 표류하고 서*쪽*으로 방랑한다는 뜻으로, 이리저리 정처 없이 떠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방랑 #정처 #동*쪽* #동서 #서*쪽*"
"* 大書特書(대서특서)*: 특별히 두드러지게 보이도록 *글자*를 크게 쓴다는 뜻으로, 신문 따위의 출판물에서 어떤 기사에 큰 비중을
두어 다룸을 이르는 말.
#글씨 #여론 #*글자* #누구 #신문 #뚜렷 #기사 #따위"
"* 三十六禽(삼십육금)*: 십이지(十二支)에 각각 셋씩 나눈 서른여섯 가지의 짐승. 곧 자(子)에 제비ㆍ쥐ㆍ박쥐, 축(丑)에
소ㆍ게ㆍ자라, 인(寅)에 너구리ㆍ표범ㆍ호랑이, 묘(卯)에 고슴도치ㆍ토끼ㆍ오소리, 진(辰)에 용ㆍ교룡ㆍ물고기, 사(巳)에 드렁허리ㆍ지렁이ㆍ
*뱀*, 오(午)에 사슴ㆍ말ㆍ노루, 미(未)에 양ㆍ기러기ㆍ매, 신(申)에 고양이ㆍ원숭이ㆍ긴팔원숭이[猴], 유(酉)에 까마귀ㆍ닭ㆍ꿩,
술(戌)에 개ㆍ이리ㆍ승냥이, 해(亥)에 돼지[豕]ㆍ돼지[猪]ㆍ멧돼지가 있다.
#원숭이 #여섯 #호랑이 #때 #서른 #사슴 #침 #술 #토끼 #표범 #이리 #불 #꿩 #까마귀 #멧돼지 #*뱀* #불가 #제비 #범 #고양이 #쥐 #묘 #점 #짐승 #말 #양 #동물
#용 #닭"
"* 人傑地靈(인걸지령)*: 뛰어난 인재는 *땅*의 신령스러움에서 난다는 뜻으로, 위대한 인물이 난 곳에 이름이 나는 것처럼 사람의
운명은 그가 태어나 자란 산천의 기운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견해임. [= 地靈人傑 ].
#이름 #*땅* #견해 #신령 #인물 #운명 #결정 #기운 #산천 #인재 #사람"
"* 佳境(가경)*: (1)*한창* 재미있는 판이나 고비. (2)경치가 좋은 곳.
#고비 #*한창* #창 #경치"
"* 效顰(효빈)*: 찡그림을 본받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주관을 잊고 맹*목적*이고 함부로 남을 흉내냄을 이르는 말.
#여자 #서시 #흉내 #눈 #주관 #나라 #자신 #맹*목적* #유래"
* 市井無賴(시정무뢰)*: 펀둥펀둥 놀면서 방탕한 생활을 하며 시중에 떠돌아다니는 점잖지 못한 *무리*.
"* 當來道師(당래도사)*: 내세(來世)에 출현(出現)하는 도사(導師). 지금으로부터 56억 7천만 세(歲)를 지나 이 *세계*(世界)에
출현(出現), 성도(成道)하여 중생(衆生)을 화도(化導) 한다는 미륵(彌勒) 보살(菩薩).
#천만 #출현 #성 #*세계* #보살 #화 #성도 #지금 #중생 #도사"
"* 梅蘭菊竹(매난국죽)*: (1)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를 달리 이르는 말. (2)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를 달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매란국죽’이다.
#난초 #말 #지칭 #규범 #소재 #국화 #매화 #*대나무*"
"* 獨木不成林(독목불성림)*: 홀로 선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한다는 뜻으로, 여럿이 힘을 합쳐야 일이 된다는 의미(意味).
#일 #*나무* #의미 #여럿 #힘"
"* 學如不及(학여불급)*: 학문은 미치지 못하는 것처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을 연마하는 것은 마치 달아나는 사람을 뒤쫓되 늘 미치지
못하는 것 같다는 의미. 곧 끈질긴 *노력*을 거듭하여도 학문의 오묘한 진리에 도달하기가 어려우므로, 한결 더 분발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
"* 避獐逢虎(피장봉호)*: 노루를 피하다가 *호랑이*를 만났다는 뜻으로, 작은 해를 피하려다 도리어 큰 화를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自然淘汰(자연도태)*: 자연계에서 그 *생활* 조건에 적응하는 생물은 생존하고, 그렇지 못한 생물은 저절로 사라지는 일. 다윈이
도입한 개념이다."
"* 蓋世英雄(개세영웅)*: 기상이나 위력, *재능* 따위가 세상을 뒤덮을 만큼 뛰어난 영웅.
#*재능* #위력 #영웅 #기상 #따위 #세상"
"* 雲開見日(운개견일)*: 구름이 열려 해를 보게된다는 뜻으로, 오랫*동안* 막히고 갇혔던 것이 비로소 열리어 통하는 의미나, 의문
또는 불안하던 것이 해소되거나 불화(不和)한 사이가 화해를 하게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風聲鶴唳(풍성학려)*: 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에도 놀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전진 때 진왕 부견(苻堅)이 비수(淝水)에서 크게
패하고 *바람* 소리와 학의 울음소리를 듣고도 적군이 쫓아오는 것이 아닌가 하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 島國根性(도국근성)*: 섬나라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질. 속이 좁고 배타적인 반면 단결*성과* 독립성이 강하다고 한다.
#부정 #성질 #표현 #섬나라 #단결 #사람"
"* 邯鄲之夢(한단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일생 #허무 #여옹 #침 #인생 #영고성쇠 #메조 #노생 #꿈속 #유래 #인간 #일장춘몽 #부귀*영화* #베개 #동안 #80년 #말 #꿈 #한단 #밥 #*영화* #부귀 #잠"
"* 宴安酖毒(연안짐독)*: 행실(行實)이 바르지 못하여 놀고 즐기는 것은, 마시면 죽는 독주인 짐주(짐새의 깃을 술에 담근 독주)의
독과 같아서 사람의 몸을 *상하*게 한다는 말."
"* 墨色蒼潤(묵색창윤)*: 그림이나 글씨의 먹빛이 썩 좋아 예술적인 *아름다움*이 있음.
#빛 #글씨 #예술 #그림 #*아름다움*"
* 考妣(고비)*: 돌아가신 아버지와 *어머니*.
* 能言鸚鵡(능언앵무)*: 말은 잘*하나* 실제 학문은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 倒持太阿(도지태아)*: 칼을 거꾸로 잡고 *자루*를 남에게 준다는 뜻으로, 남에게 이롭게 해 주고 오히려 자기(自己)가 해를 입음을
이르는 말.
#칼 #*자루* #해"
"* 相形不如論心(상형불여론심)*: 생김새를 보는 것은 마음씨를 논(論)함만 같지 못하다는 뜻으로, 사람의 *용모*(容貌)를 가지고
길흉(吉凶)을 말하는 것보다 그 사람의 마음씨의 선악(善惡)을 논(論)하는 것이 낫다는 말.
#*용모* #마음씨 #말 #생김새 #길흉 #선악 #사람"
"* 徙宅忘妻(사택망처)*: 집을 이사하며 아내를 잊어버린다는 뜻으로, 심한 건망증이 있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의리(義理)를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말 #집 #정신 #의리 #비유 #의미 #이사 #소중 #아내 #*분별* #사람"
"* 免夭(면요)*: *젊은* 나이에 죽음을 면하였다는 뜻으로, 나이 쉰 살을 겨우 넘기고 죽음을 이르는 말.
#요사 #죽음 #나이"
"* 猛虎出林(맹호출림)*: 사나운 호랑이가 *숲*에서 나온다는 뜻으로, 평안도 사람의 용맹하고 성급한 성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평안 #말 #성급 #용맹 #호랑이 #성격 #사람"
"*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 生死苦樂(생사고락)*: 삶과 죽음, 괴로움과 *즐거움*을 통틀어 이르는 말.
#말 #죽음 #*즐거움* #괴로움 #삶"
* 萬里滄波(만리창파)*: 만 리까지 펼쳐진 푸른 물결이라는 뜻으로, 끝없이 넓은 *바다*를 이르는 말.
"* 紅一點(홍일점)*: (1)푸른 잎 가운데 피어 있는 한 송이의 붉은 꽃. 왕안석의 영석류시(詠石榴詩)에서 유래한다. (2)여럿
속에서 오직 하나 이채(異彩)를 띠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많은 남자 *사이*에 끼어 있는 한 사람의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四都八道(사도팔도)*: 네 개의 도읍과 여덟 개의 도라는 뜻으로, 한반도 *전체*를 이르던 말.
#말 #도읍 #팔도 #여덟 #지난날 #나라 #사도 #우리 #*전체* #우리나라"
"* 朝聞夕死(조문석사)*: *아침*에 참된 이치를 들어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한이 될 것이 없다는 말.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아침* #말 #이치 #진리 #의미 #저녁 #당장 #강조 #깨달음 #본래 #인생 #사람"
* 別而聽之(별이청지)*: 구별해서 듣는다는 뜻으로, 한사람 한사람에 대하여 따로따로 듣거나 따로 묻는 상황을 *의미*하는 말.
"* 非池中物(비지중물)*: 연못 속의 인물이 아니라는 뜻으로, 용이 때를 만나면 물을 *벗*어나 하늘로 올라가듯이 영웅도 때가 되면
세상에 나와 뜻을 편다는 것에서 장차 대성할 인물을 비유함."

* 天無不覆(천무불복)*: 천도(天道)는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는 말.
"* 栢舟之操(백주지조)*: 백주지조(柏舟之操). 공백(共伯)의 *아내*가 공강(共姜)이 백주(栢舟)라는 시를 지어 맹세(盟誓)하고
절개(節槪)를 지킨 고사에서 유래(由來)한 말로, 남편(男便)이 일찍 죽은 *아내*가 절개(節槪)를 지키는 것을 의미(意味)."
"* 寢苫枕草(침점침초)*: 저락자리를 깔고 *풀*을 베게 삼아 눕는다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상중(喪中)에 자식(子息)된 자는
어버이가 흙속에 묻혀 있음을 슬퍼하여 아주 검소(儉素)해야 함을 이르는 말.
#자식 #검소 #어버이 #부모 #자리 #흙 #상중"
"* 湖上不鬻魚(호상불육어)*: 호수가에서는 *물*고기를 팔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이 많은 곳에서는 같은 *물*건을 파는
어리석은 짓은 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惜玉憐香(석옥연향)*: 옥을 소중히 아끼고 *향기*를 어여삐 여긴다는 뜻으로, 옥과 향을 사랑한다는 의미에서 옥과 향이 여자를
비유함으로 여색을 좋아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여자 #사랑 #사용 #비유 #의미 #여색"
* 百死一生(백사일생)*: 죽을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기고 겨우 살아남을 이르는 말.
* 愛子之情(애자지정)*: *자식*을 사랑하는 정.
"* 聰明叡智(총명예지)*: 총명하고 지혜가 뛰어나다는 뜻으로, 주로 *임금*이 슬기로움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총명 #성인 #눈 #칭송 #*임금* #지혜 #귀"
"* 舌根未乾(설근미건)*: 혀*뿌리*의 침이 아직 마르지 않았다는 뜻으로, 금시 한 말을 번복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말.
#말 #경우 #사용 #혀 #침 #*뿌리*"
"* 黃口小兒(황구소아)*: 젖내 나는 어린*아이*라는 뜻으로, 철없이 미숙한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어린*아이* #새끼 #젖내 #낮 #미숙 #낮잡 #사람"
"* 風檣陣馬(풍장진마)*: 돛이 *바람*을 타고 말이 진지(陣地)에 선다는 뜻으로, 돛에 순풍을 받아 배가 달리며, 준마(駿馬)가
진두(陳頭)에 서는 것처럼 문장이 웅건하거나 필체가 강하고 굳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無分別智(무분별지)*: 올바르게 진여(眞如)를 체득하는 지혜. 진여의 모양은 형용할 수도, *분별*할 수도 없으므로 모든 생각과
*분별*을 초월한 참 지혜로서만 비로소 알 수 있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형용 #진여 #생각 #모양 #지혜 #초월 #*분별*"
"* 壓油輪罪(압유륜죄)*: *기름*을 짤 때에 깨 속에 들어 있는 벌레를 죽이는 죄(罪).
#*기름* #때 #죄 #벌레"
"* 山溜穿石(산류천석)*: 산에서 졸졸 흐르는 물이 *바위*를 뚫는다는 뜻을로, 끊임없이 열심히 하면 어떠한 일도 성취할 수 있다는 말.
#일 #*바위* #노력 #성취 #물 #비유 #방울 #물방울 #구멍 #산 #돌"
"* 兎營三窟(토영삼굴)*: 토끼가 세 굴을 경영한다는 뜻으로, 토끼가 위험한 *고비*를 피하려고 구멍 세 개를 만드는 것처럼,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 미리 몇 가지의 계책을 짜 놓음을 이르는 말.
#마련 #토끼 #말 #*고비* #위험 #비유 #안전 #계책 #자신 #구멍 #경영"
"* 上壽(상수)*: (1)나이가 보통 사람보다 썩 많음. 또는 그 나이. (2)100세의 나이. 또는 그 나이가 된 노인. 장수한 것을
상ㆍ중ㆍ하로 나누었을 때 가장 많은 나이를 이른다. (3)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잔치 #말 #술잔 #*주인*공 #장수 #보통 #때 #100세 #수명 #나이 #노인 #환갑잔치 #이상 #따위 #사람"
* 鐘鼓之聲(종고지성)*: 종과 북의 *소리*.
* 南征北伐(남정북벌)*: *남*쪽을 정복하고 북쪽을 토벌함.
"* 居家之樂(거가지락)*: 세속의 *영화*에 마음을 두지 않고 집에서 시(詩)나 서도(書道) 따위로 세월을 보내는 즐거움.
#마음 #집 #속세 #*영화* #세월 #즐거움 #세속 #따위"
"* 父母有病憂而謀療(부모유병우이모료)*: *부모*(父母)님이 병중에 계시면 근신(謹愼)하며 병이 낫게 할 것을 꾀함.
#꾀 #병 #*부모* #근신"
"* 勁草(경초)*: 억센 *풀*이라는 뜻으로, 지조(志操)가 꿋꿋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풀* #선비 #비유 #절조 #*풀*이 #지조 #사람"
* 撫育之恩(무육지은)*: 잘 돌보아 고이 길러 준 *은혜*.
수양
"* 長袖善舞多錢善賈(장수선무다전선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사람은 춤을 잘 추고, 돈 많은 사람은 장사하기 좋다는 뜻으로,
재물(財物)이 넉넉하면 *성공*(成功)하기도 쉽다는 말.
#옷 #소매 #말 #재물 #돈 #춤 #장사 #넉넉 #*성공* #사람"
"* 愛及屋烏(애급옥오)*: 사람을 *사랑*하면 그 집 지붕 위에 앉은 까마귀까지도 귀엽게 보인다는 뜻으로, 그 사람과 연관된 사람이나
물건까지도 *사랑*함을 이르는 말."
* 晝夜長川(주야장천)*: *밤*낮으로 쉬지 아니하고 연달아.
"* 高歇無常(고헐무상)*: 값의 오르고 내림이 일정하지 아니함.
#쌈 #값 #일정 #물건값 #의미 #변동 #비쌈 #물건 #낮 #내림"
"* 風飛雹散(풍비박산)*: *사방*으로 날아 흩어짐.
#말 #바람 #잘못 #엉망 #*사방* #버림 #풍"
"* 女露蒼生(여로창생)*: *아침* 이슬과 같이 덧없는 많은 백성(百姓).
#백성 #이슬 #*아침*"
"* 正人君子(정인군자)*: 마음씨가 올바르며 학식과 *덕행*이 높고 어진 사람.
#학식 #마음씨 #사람 #*덕행*"
"* 如怨如慕(여원여모)*: *원망*하는 것 같기도 하고 사모하는 것 같기도 함.
#*원망* #사모"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