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 전체글 2 티스토리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구글 트렌드
속담 모음

2024년 06월 15일 속담 (2) ⭕️

by 사계절1 2024. 6. 15.




728x90
반응형

"* 莫非王土(막비왕토)*: *왕*의 땅이 아닌 곳이 없음.
#땅 #*왕*"
"* 鶴立鷄群(학립계군)*: 학이 닭의 무리 속에 서 있다는 뜻으로, 호걸(豪傑)이 뭇사람 *가운데*에서 뚜렷하게 두각(頭角)을 나타냄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明窓淨机(명창정궤)*: 햇빛이 잘 비치는 창밑에 놓여 있는 깨끗한 책상(冊床)이라는 뜻으로, 말끔히 정돈(整頓)된 서재의 모습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형용* #햇빛 #정돈 #창 #깨끗 #서재 #모습 #책상"
"* 兩豆塞耳(양두색이)*: 두 콩으로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콩알 두 알로도 귀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처럼 조그마한 것이
큰 지장을 초래함을 비유하여 주로 마음이 물욕에 가려지면 도리를 분*별*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扁鵲不能肉白骨(편작불능육백골)*: 천하(天下)의 명의(名醫) 편작도 죽은 *사람*을 소생시킬 수는 없다는 뜻으로, 충신(忠臣)도
망국(亡國)을 유지(維持)할 수는 없음을 이르는 말."
"* 尾生之信(미생지신)*: 우직하여 융통성이 없이 약속만을 굳게 지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미생(尾生)이라는 자가
다리 밑에서 만나자고 한 *여자*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하여 홍수에도 피하지 않고 기다리다가 마침내 익사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 坐食山空(좌식산공)*: 일을 하지 아니하고 놀기만 하면 *산*도 빈다는 뜻으로, *산*더미 같은 재*산*도 놀고먹기만 하면 결국 다
없어지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盜憎主人(도증주인)*: 도둑이 주인을 미워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다만 자기 *형편*에 맞지 않으면 이것을 싫어한다는 의미.
#주인 #말 #재물 #이것 #의미 #*형편* #도둑 #사람"
"* 子誠齊人(자성제인)*: 견문이 좁고 고루한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공손추(公孫丑)가 관중(管仲), 안자(晏子)만을
강하다고 알고 있으므로 *맹자*가 그에게 ‘자네는 참으로 제나라 사람이로다.’라고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제나라 #말 #공손 #관중 #나라 #견문 #자네 #중국 #*맹자* #유래 #사람"
* 異路同歸(이로동귀)*: 길은 각각 다르나 도착지는 같다는 뜻으로, *방법*은 다르지만 결과는 같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沈默寂寥(침묵적요)*: *세상*(世上)에 나와서 교제(交際)하는 데도 언행(言行)에 침착(沈着)해야 함.
* 赤手起家(적수기가)*: 몹시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제 스스로의 힘으로 *노력*하여 가산(家産)을 이룸.
"* 不患無位(불환무위)*: 지위가 없음을 근심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자는 벼슬자리에 오르지 못함을 개의치 않는다는 의미.
#벼슬 #개의 #의미 #벼슬자리 #군자 #근심 #지위 #자리"
"* 南方之强(남방지강)*: 중국(中國) 남쪽 지방(地方) 사람들의 *강*(强)함이라는 뜻으로, (1) 관용(寬容)과 인내(忍耐)로
남에게 이기는 것 (2) 전(傳)하여 '군자(君子)의 용기(勇氣)'를 이름."
혼자
"* 海不揚波(해불양파)*: *바다*에 파도가 일지 않는다는 뜻으로, 임금의 선정(善政)으로 백성이 편안함을 이르는 말.
#백성 #선정 #말 #임금 #파도 #편안 #정치"
"* 莫知其子之惡(막지기자지악)*: 자기 자식의 잘못을 모른다는 뜻으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맹목적임을 이르는 말.
#자식 #말 #*사랑* #잘못 #비유 #어버이 #부모 #맹목적 #사람"
"* 濫觴(남상)*: (1)‘남상’의 북한어. (2)양쯔강(揚子江) 같은 큰 하천의 근원도 잔을 띄울 만큼 가늘게 흐르는 시냇물이라는
뜻으로, *사물*의 처음이나 기원을 이르는 말.
#*사물* #시냇물 #일 #근원 #강 #술잔 #처음 #강도 #기원 #물 #강물 #시작 #의미 #시초 #하천 #술 #정도"
"* 謀事在人(모사재인)*: 일을 꾸미는 것은 사람에게 달렸다는 뜻으로, 결과는 *하늘*에 맡기고 일을 힘써 꾀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일 #말 #꾀 #결과 #*하늘* #사람"
"* 河東獅吼(하동사후)*: 황하(黃河)의 동쪽 언덕에서 사자(獅子)가 으르렁거린다는 뜻으로, 아내가 사나워서 남편에게 큰 *소리*로
욕설을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河東獅子吼(하동사자후)]."
"* 秋扇(추선)*: (1)가을철의 부채라는 뜻으로, 철이 지나서 쓸모없이 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이성의 *사랑*을 잃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皮裏陽秋(피리양추)*: 피리(皮裏)는 피부(皮膚)의 안을 뜻하고, 양추(陽秋)는 공자(孔子)가 지은 『춘추(春秋)』를 뜻하는 말로,
사람마다 제각기 나름대로의 속셈과 *분별*력(分別力)이 있음을 이르는 말.
#말 #춘추 #나름 #피부 #피리 #孔子 #속셈 #공자 #사람"
* 無據不測(무거불측)*: (1)성질이 말할 수 없이 흉측함. (2)근거가 없어 헤아리기 어려움.
"* 仁者不憂(인자불우)*: 어진 사람은 마음이 항상 평화스러워 *근심*을 가지지 아니함.
#일 #마음 #의미 #평화 #*근심* #행동 #사람"
"* 泥田鬪狗(이전투구)*: (1)‘이전투구’의 북한어. (2)진*흙*탕에서 싸우는 개라는 뜻으로, 강인한 성격의 함경도 사람을 이르는
말. (3)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비열하게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강 #이익 #다툼 #비유 #함경도 #성격 #모양 #진*흙*탕 #사람"
"* 鹿皮曰字(녹비왈자)*: 사슴 *가죽*에 가로 왈 자라는 뜻으로, 남의 말을 주관 없이 따른다는 의미나, 일이 이리도 저리도 되는
형편의 의미.
#일 #말 #이리 #주관 #의미 #저리 #형편 #가로 #사슴 #*가죽*"
"* 群雄割據(군웅할거)*: 여러 영웅이 각기 한 *지방*씩 차지하고 위세를 부림.
#차지 #위세 #영웅 #*지방* #의미 #서로 #세력 #자리"
자연
* 同功一體(동공일체)*: (1)같은 공로를 세워 같은 지위에 있음. (2)일의 공*효*(功效)가 서로 같음.
"* 主客之勢(주객지세)*: 주인과 손 사이의 형세라는 뜻으로, 종속적인 처지에 있는 사람이 중요한 위치의 사람을 당하여 내지 못하는
형세를 이르는 말.
#주인 #사람 #중요 #의미 #위치 #지리 #객 #자리 #형세 #사이"
* 一擧一動(일거일동)*: *하나**하나*의 동작이나 움직임.
"* 阿碌碌地(아록록지)*: 사실(事實)과 이치(理致)가 원만(圓滿)하여 *완전* 무애(宛轉無礙)한 것을 이르는 말.
#사실 #이치 #*완전*"
"* 同門爲朋(동문위붕)*: 같은 *스승* 밑에서 공부(工夫)한 벗.
#벗 #*스승* #공부"
"* 版上朱丸(판상주환)*: 언덕 위에서 공을 굴린다는 뜻으로, 어떤 세력(勢力)에 힘입어 일을 *꾀*하면 쉽게 이루어지거나, 또는 그
일이 잘 진전됨의 비유(比喩).
#일 #세력 #비유 #언덕"
"* 懸車(현거)*: (1)수레를 건다는 뜻으로, 나이가 들어 벼슬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의 설광덕(薛廣德)이 관직을
그만두고 은거할 때, 임금이 내린 안거(安車)를 매달아 놓고 자손에게 전한 고사에서 유래한다. (2)일흔 살의 나이를 이르는 말.
(3)해 질 무렵."
"* 萬里長城(만리장성)*: (1)중국의 북쪽에 있는 성. 서쪽 간쑤성(甘肅省)의 자위관(嘉峪關)에서 시작하여 동쪽 허베이성(河北省)의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른다. 춘추 전국 시대의 조(趙)ㆍ연(燕) 등이 변경 방위를 위하여 쌓아서 만든 것을 진(秦)의 시황제가 크게
증축하여 완성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명나라가 몽골의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것이다. 길이는 2,700km. (2)서로 넘나들지
못하게 가로막는 크고 긴 장벽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창창한 앞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남녀*가 서로 교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황제 #창창 #변경 #시대 #서쪽 #북쪽 #침입 #완성 #전국 #시작 #가로막 #앞날 #명나라 #성 #*남녀* #춘추 #길이 #대비 #동쪽 #길 #중국 #방위 #황제"
다툼
"* 不惡而嚴(불오이엄)*: 미워하지 않으면서도 엄하다는 뜻으로, 미워하여 꾸짖거나 하지 않으면서도 위엄 있는 태도를 가진다는 의미인데,
주로 *소인*을 멀리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위엄 #*소인* #의미 #태도 #방법"
"* 感謝無地(감사무지)*: 고마운 마음을 이루 다 *표현*할 길이 없음.
#감사 #마음 #무한 #*표현* #길"
"* 韓信匍匐(한신포복)*: 한신이 엎드려 기다의 뜻으로, 큰 뜻을 가진 자는 *눈앞*의 부끄러움을 참고 이겨냄을 이르는 말.
#부끄러움 #*눈앞*"
"* 黍離(서리)*: 나라가 멸망하여 옛 궁궐 터에는 기장만이 무성한 것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세상의 영고성쇠가 *무상*함을 탄식하며
이르는 말."
"* 吮疽之仁(연저지인)*: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부하 #말 #군사 #사랑 #지극 #시대 #장군 #장수 #전국 #옛일 #입 #나라 #중국 #*손자* #사랑함 #유래"
도지
"* 累巨萬財(누거만재)*: (1)‘누거만재’의 북한어. (2)매우 많은 *재산*.
#거만 #*재산* #재물"
* 觸目傷心(촉목상심)*: 눈에 보이는 사물마다 슬픔을 자*아내*어 마음을 아프게 함.
"* 同巧異曲(동교이곡)*: 재주나 솜씨는 같지만 *표현*된 내용이나 맛이 다름을 이르는 말.
#내용 #재주 #솜씨 #*표현* #곡조 #맛"
"* 漆身呑炭(칠신탄탄)*: 몸에 옻칠을 하고 숯을 삼킨다는 뜻으로, 옻칠을 해서 나병환자처럼 가장하고, 숯을 먹어 벙어리가 되는 것처럼
원수를 갚으려고 *용*모를 바꾸어 갖은 애를 쓰는 일을 이르는 말."
* 草木俱朽(초목구후)*: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사
"* 洛花狼藉(낙화낭자)*: 떨어진 *꽃*잎이 흩어져 어지럽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이 뒤섞여 흩어져 있는 모양(模樣).
#사물 #모양"
* 咫尺不辨(지척불변)*: 매우 어둡거나 안개, 눈, 비 따위가 심하여 아주 가까운 곳도 분별하지 못함.
"* 楚歌(초가)*: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롭고 곤란한 지경에 빠진 형편을 이르는 말. 초나라 항우가 사면을 둘러싼 한나라
군사 쪽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랫*소리*를 듣고 초나라 군사가 이미 항복한 줄 알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 南山之壽(남산지수)*: 남산(南山)의 수명(壽命)이라는 뜻으로, (1) *장수*(長壽)를 비는 말 (2) 종남산(終南山)이 무너지지
않듯이 사업(事業)이 오래감을 이르는 말.
#*장수* #말 #수명 #사업"
* 四百餘州(사백여주)*: *중국* 전토(全土)를 이르는 말.
"* 南柯之夢(남가지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 #일생 #부마 #나무 #남가군 #꿈 #때 #영화 #중국 #부귀영화 #부귀 #남쪽 #잠 #동안 #술 #한때 #유래"
"* 梅妻鶴子(매처학자)*: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休官致仕(휴관치사)*: 관직을 쉬고 *벼슬*을 내던지다는 뜻으로, 노쇠(老衰)하여 관직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 損上剝下(손상박하)*: 위에 손해를 끼치고 아래를 빼앗는다는 뜻으로, *관리*가 나라에 해를 끼치고 백성의 재물을 빼앗음을 이르는
말.
#백성 #아래 #재물 #나라 #*관리* #손해"
"* 搖手觸禁(요수촉금)*: 손을 움직이면 금령(禁令)에 저촉된다는 뜻으로, 작은 행동도 *법*령을 어기게 되는 것처럼 *법*령이
혹독하고 가혹함을 비유하는 말."
"* 探湯(탐탕)*: 끓는 물에 손을 넣어 본다는 뜻으로, 더위에 괴로워하는 *모양*이나, 고생하거나 두려워하여 경계하는 *모양*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생 #더위 #물 #비유 #경계 #*모양* #따위"
"* 畫龍點睛(화룡점정)*: (1)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을 그리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었더니 그 용이 실제 용이 되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글을
짓거나 일을 하는 데서 가장 요긴한 어느 한 대목을 잘함으로써 *전체*가 생동하게 살아나거나 활기 있게 됨을 이르는 말.
#사물 #일 #긴요 #부분 #주제 #중요 #완성 #실제 #눈동자 #유래 #마지막 #문장 #용 #의미 #구름 #하늘 #생동 #*전체* #고사 #가운데"
* 同氣一身(동기일신)*: 형제자매는 한 몸이나 다름없음을 이르는 말.
"* 狐濡尾(호유미)*: *여우*가 물을 건너려다 겨우 꼬리만 적시고 그만두었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시작과 동시에 중단됨을 이르는 말.
#일 #*여우* #어려움 #물 #비유 #시작 #끝 #마무리 #꼬리"
* 曲學阿世(곡학아세)*: 바른길에서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에게 아첨함.
* 男女有別(남녀유별)*: 유교 사상에서, 남자와 여자 사이에 분*별*이 있어야 함을 이르는 말.
"* 捕風捉影(포풍착영)*: *바람*을 잡고 그림자를 붙든다는 뜻으로, 믿음직하지 않고 허황한 언행을 이르는 말.
#일 #*바람* #허황 #허망 #언행 #그림자"
* 滿城風雨(만성풍우)*: 성내에 바람과 비가 *가득*하다는 뜻으로, 일이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고 의견이 분분함을 이르는 말.
"* 投筆成字(투필성자)*: 글씨에 능한 사람은 정성을 들이지 아니하고 *붓*을 아무렇게나 던져도 글씨가 잘됨을 이르는 말.
#글씨 #말 #정성 #*붓* #정신 #사람"
"* 舍本治末(사본치말)*: 근본을 버리고 *말*단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일의 본*말*이 전도된 상황을 의미함.
#일 #*말*단 #본*말* #상황 #의미 #근본 #전도"
"* 脫兎之勢(탈토지세)*: 달아나는 토끼의 *형세*라는 뜻으로, 매우 빠른 기세를 이르는 말.
#토끼 #기세 #*형세*"
"* 傾城(경성)*: (1)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태롭게 할 *정도*로 뛰어남을 이르는 말. (2)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미인 #성 #위태 #준말 #나라 #*정도*"
"* 再從叔(재종숙)*: *아버지*의 육촌 형제.
#형제"
"* 臥龍鳳雛(와룡봉추)*: 누워있는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영웅(英雄)이 아직 세상에 나타나지 않고 숨어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伏龍鳳雛(복룡봉추)].
#*새끼* #영웅 #봉황 #비유 #용 #세상"
* 夜行被繡(야행피수)*: 수놓은 좋은 옷을 입고 밤길을 간다는 뜻으로, 공명이 세상에 *알*려지지 않아 아무 보람도 없음을 이르는 말.
"* 桂玉之愁(계옥지수)*: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 살면서 겪는 괴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桑間之音(상간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뽕나무 #남녀 #말 #복수 #때문 #밭 #복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兄飢弟飽禽獸之遂(형기제포금수지수)*: 형은 굼주리는 데 아우만 배부르다면 *새*나 짐승의 할 짓임.
"* 三枝之禮(삼지지례)*: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발라 #지극 #아래 #효성 #예의 #*새*끼 #비유 #어미"
* 婦老爲姑(부로위고)*: 며느리가 늙으면 시어머니가 된다는 뜻으로, 나이가 어리다고 업신*여기*지 말라는 말.
"* 別無神通(별무신통)*: *별*로 신통할 것이 없음.
#신통"
* 一朝一夕(일조일석)*: 하루의 아침과 하루의 저녁이란 뜻으로, 짧은 시*일*을 이르는 말.
* 毛織婚式(모직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4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모직으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 項羽壯士(항우장사)*: (1)항우 같은 장*사라*는 뜻으로, 힘이 아주 센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웬만한 일에는 끄떡도
아니 하는 꿋꿋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항우 #일 #비유 #장사 #의지 #힘 #사람"
"* 雨後竹筍(우후죽순)*: 비가 온 뒤에 *여기*저기 솟는 죽순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한때에 많이 생겨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죽순 #때 #비유 #한때"
* 同一轍(동일철)*: 똑같은 수레바퀴의 자취라는 뜻으로, 사물의 똑같은 경과를 이르는 말. 특히 나쁜 *쪽*으로 이르는 경로를 이른다.
"* 腹高如山(복고여산)*: (1)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아이 밴 여자의 배부른 모양을 이르는 말. (2)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부자의 거만스러운 모습을 이르는 말."
"* 食前方丈(식전방장)*: 사*방* 열 자의 상에 잘 차린 음식이란 뜻으로, 호화롭게 많이 차린 음식을 이르는 말.
#사치 #앞 #사*방* #길 #의미 #음식 #비유 #호화"
"* 汝南月旦(여남월단)*: 여남지방의 매월 첫날 평이라는 뜻으로, 여남지방의 허소(許昭)와 그 종형 허정(許靖)이라는 사람이 매월
첫날에 향리의 인물들을 평가했는데, 아주 정확하여 후에 조조의 평까지 남길 *정도*로 유명해졌다는 고사에서 유래.."
"* 祝盛典(축성전)*: 성대(盛大)한 *의식*(儀式)을 축하(祝賀)한다는 뜻으로, 결혼(結婚)을 축하(祝賀)함.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성대 #축하 #결혼 #*의식*"
* 杯水車薪(배수거신)*: 한 잔의 물로 수레의 장작불에 끼얹는다는 뜻으로, 아무 소용없는 짓을 *비유*하는 말.
"* 樂而思蜀(낙이사촉)*: (1) 타향(他鄕)의 생활(生活)이 즐거워 고향(故鄕) 생각을 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2) 눈앞의 즐거움에
겨워 근본(根本)을 잊게 될 때를 비유(比喩).
#타향 #눈 #고향 #앞 #때 #눈앞 #생각 #비유 #근본 #즐거움 #생활"
"* 百戰老將(백전로장)*: (1)수많은 싸움을 치른 노련한 *장수*. (2)온갖 어려운 일을 많이 겪은 노련한 사람.
(3)‘백전노장’의 북한어. (4)‘백전노장’의 북한어.
#일 #풍파 #사람 #노련 #*장수* #사용 #의미 #경험 #백 #분야 #전투 #세상일 #싸움 #능란 #세상"
* 天下無道(천하무도)*: 세상(世上)이 어지러워 *도리*(道理)가 제대로 행(行)해지지 않음.
"* 游必有方(유필유방)*: 놀 때에는 반드시 방향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먼 곳으로 놀러 갈 때는 반드시 자신의 행방을 부모에게
알려야 한다는 자식의 *도리*."
"* 采薇之歌(채미지가)*: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이 은(殷)나라를 누르고 *임금*이 되었을 때에 은(殷)나라의 백이(伯夷)와
숙제(叔齊) 형제(兄弟)는 주(周)나라 곡식(穀食)을 먹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먹으며 지냈는 데, 그들이
죽을 적에 읊었다는 노래."
"* 懲忿窒慾(징분질욕)*: 분한 생각을 경계하고 *욕심*을 막음.
#*욕심* #생각 #의미 #경계 #징벌"
"* 千慮一失(천려일실)*: 천 번 생각에 한 번 실수라는 뜻으로, 슬기로운 사람이라도 여러 가지 생각 *가운데*에는 잘못되는 것이 있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일 #말 #신중 #때 #잘못 #생각 #의미 #실수 #지혜 #조심 #*가운데* #사람"
"* 紙上空文(지상공문)*: 아무런 *결과*도 기대할 수 없거나 실행이 불가능한 헛된 글.
#조문 #실행 #종이 #불가능 #*결과*"
"* 犬猿之間(견원지간)*: 개와 *원숭이*의 사이라는 뜻으로, 사이가 매우 나쁜 두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원숭이* #융화 #관계 #사이"
"* 死之五等(사지오등)*: *신분*에 따른 죽음의 다섯 가지 등급. 천자(天子)는 붕(崩), 제후(諸侯)는 훙(薨), 대부(大夫)는
졸(卒), 선비는 불록(不祿), 서인(庶人)은 사(死)라 한다.
#고대 #왕 #서민 #제후 #명칭 #죽음 #대부 #*신분* #의미 #시절 #등급 #선비 #천자 #사람"
"* 堅石白馬(견석백마)*: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문인 공손룡이 논한 궤변. 단단하고 흰 돌은 눈으로 보아 흰 것은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아 단단한 것은 알 수 있으나 빛이 흰지는 모르므로, 단단한 돌과 흰 돌은 동시에 성립하는 개념이
아니라고 하였다."
"* 擧哀會葬(거애회장)*: 이름 있는 사람의 장례에서, *사회* 인사들이 모여 통곡하고 장송(葬送)하는 일.
#일 #이름 #때 #인사 #*사회* #장례 #사람"
"* 俯首聽令(부수청령)*: 고개를 숙이고 명령을 따른다는 뜻으로, 윗사람의 *위엄*에 눌려 명령대로 좇아 행함을 이르는 말.
#*위엄* #윗사람 #명령 #의미 #고개 #복종"
"* 舌底有斧(설저유부)*: 혀 *아래*에 도끼가 들었다는 뜻으로, 말을 잘못하면 화를 불러일으키니 말을 늘 삼가라는 말.
#말 #*아래* #화 #재앙 #잘못 #의미 #혀 #조심 #도끼"
"* 懷璧有罪(회벽유죄)*: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귀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훗날 #죄 #*분수* #재앙 #물건 #귀"
* 革圖易慮(혁도역려)*: 계획을 고치고 *생각*을 바꾼다는 뜻으로, 도모하고 *생각*했던 내용을 고치고 바꾼다는 의미.
"* 父兄子弟(부형자제)*: 아버지나 형의 가르침을 받고 자란 *젊은*이.
#*젊은*이 #어머니 #가르침 #형 #사람"
"* 谿壑之慾(계학지욕)*: 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의 욕심이라는 뜻으로, 물릴 줄 모르는 한없는 욕심(慾心)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시냇물 #욕심 #비유"
"* 凍氷寒雪(동빙한설)*: 얼어붙은 *얼음*과 차가운 눈이라는 뜻으로, 심한 추위를 이르는 말.
#추위 #혹독 #눈 #*얼음* #겨울철"
* 生死關頭(생사관두)*: 살고 죽는 것이 *달*린 매우 위태로운 고비.
* 巢林一枝(소림일지)*: 규모가 작은 집.
"* 弱能制强(약능제강)*: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제어할 수 있다는 뜻으로, 약자가 *강*자를 이길 수 있다는 의미.
#의미 #약자 #제어 #*강*자"
"* 南箕北斗(남기북두)*: *남*쪽 하늘의 키와 북쪽 하늘의 말이라는 뜻으로, 기성(箕星)은 그 이름에 쌀을 까부는 ‘키’를 뜻하는
‘箕’ 자가 있지만 쌀을 까불지 못하고, 북두성은 그 이름에 쌀을 되는 ‘말’을 뜻하는 ‘斗’ 자가 있지만 쌀을 되지 못하는 것처럼
이름뿐이고 아무 쓸모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壺中天(호중천)*: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 囚首喪面(수수상면)*: 죄수의 머리에 상주의 *얼굴*이라는 뜻으로, 죄수처럼 머리를 빗지 않고 상주(喪主)처럼 *얼굴*을 씻지
않듯이 용모를 꾸미지 않음을 형용한 말.[본래 송(宋)나라의 왕안석(王安石)을 기롱(欺弄)한 말에서 연유함]."
"* 烏飛一色(오비일색)*: 날고 있는 까마귀가 모두 같은 *빛깔*이라는 뜻으로, 모두 같은 부류이거나 서로 똑같음을 이르는 말.
#*빛깔* #부류 #종류 #까마귀 #서로 #모두"
"* 挐雲(나운)*: *구름*을 손으로 붙잡는다는 뜻으로, 포부가 원대(遠大)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포부 #원대 #*구름* #비유"
"* 精金良玉(정금양옥)*: 정교하게 다듬은 *금*과 아름다운 옥이라는 뜻으로, 인품이나 시문이 맑고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순수 #아름 #*금* #문장 #비유 #인격 #깨끗 #인품 #아름다움 #시문 #정교"
"* 三人文殊(삼인문수)*: 평*범*(平凡)한 인간(人間)이라도 세 사람이 모여서 의논(議論)하면, 지혜(智慧)를 다스리는 문수(文殊)
보살(菩薩)과 같은 좋은 생각이 떠오른다는 말."
* 夏山欲友(하산욕우)*: 여름날 *산*에 비구름이 모임을 이르는 말.
"* 杯酒解怨(배주해원)*: 술을 잔에 따르며 *원망*을 푼다는 뜻으로, 서로 술잔을 나누는 사이에 묵은 원한을 잊어버린다는 의미.
#*원망* #술잔 #원한 #의미 #술 #사이"
"* 家有賢妻丈夫不遭橫事(가유현처장부부조횡사)*: 가정(家庭)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남편(男便)은 부정(不正)한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 #부정 #남편 #*아내* #가정"
"* 虛名自累(허명자루)*: 헛된 이름을 구(求)하여 스스로 재난(災難)을 초래(招來)함.
#스스로 #이름 #재난"
"* 城狐社鼠(성호사서)*: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 黃粱一炊之夢(황량일취지몽)*: *노생*이 잠들기 전(前)에 짓던 기장밥이 꿈에서 깨어보니 아직 익지 않은 짧은 시간(時間)이었음.
#기장 #시간 #꿈 #밥 #*노생*"
* 雲泥之差(운니지차)*: 구름과 진*흙*의 차이라는 뜻으로, 서로 간의 차이가 매우 심함을 이르는 말.
"* 綱常之變(강상지변)*: 삼강오상(三綱五常)에 맞지 않는 *재앙*이나 사고.
#변고 #*재앙* #인물 #의미 #패륜 #사고 #사람"
"* 落英繽粉(낙영빈분)*: 낙*화가* 어지럽게 떨어지면서 흩어지는 모양.
#모양"
"* 節義廉退(절의염퇴)*: *청렴*(淸廉)과 절개(節槪)와 의리(義理)와 사양(辭讓)함과 물러감은 늘 지켜야 함.
#절개 #의리 #사양 #*청렴*"
입술
* 花落憐不掃月明愛無眠(화락연불소월명애무면)*: 꽃이 떨어지니 가엾어 쓸지를 못하고, 달이 밝으니 *사랑*스러워 잠을 못 이룸.
"* 鑿飮耕食(착음경식)*: 우물을 파서 마시며 밭을 갈아먹는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하고 *생활*이 안락함을 이르는 말. 요나라 때에
어떤 노인이 부른 배와 땅을 두들기며 읊은 노래에서 유래한다."
"* 夫貴妻榮(부귀처영)*: 남편이 귀하면 *아내*가 영화롭다는 뜻으로, 남편의 신분 고하(高下)에 따라 *아내*의 영화가 변한다는
의미이나, 현대에 와서는 배우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역설적 의미로 활용함이 좋을 듯 함."
부부
"* 擧棋不定(거기부정)*: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사물 #바둑 #집 #방침 #의미 #계획 #결정 #자리 #대함"
"* 薄物細故(박물세고)*: 아주 자질구레하고 변변하지 못한 사*물*.
#사*물* #변변 #자질구레 #자질"
"* 四時長靑(사시장청)*: 소나무나 대나무같이 식물의 잎이 일 년 내내 푸름.
#일 #푸름 #나무 #1년 #식물 #잎 #소나무 #대나무"
* 風木之悲(풍목지비)*: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徒善不如惡(도선불여악)*: 한갓 착하기만 함은 악함 보다도 못하다는 뜻으로, 너무 약해 빠져서 오히려 주변성이 없음을 비웃는 말.
#주변 #악"
"* 父子有親君臣有義(부자유친군신유의)*: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臣下) 사이에는 의리(義理)가 있어야
함.
#신하 #임금 #의리 #아들 #사이"
"* 風雨凄凄(풍운처처)*: 비바람에 쓸쓸하다는 뜻으로, 바람불고 비 뿌려 뼛속까지 추위가 스며드는 일에서 난세(亂世)를 의미함 .
#일 #추위 #바람 #비바람 #의미 #쓸쓸 #난세"
"* 師有疾病卽必藥之(사유질병즉필약지)*: *스승*께 질병(疾病)이 있으면 곧 반드시 약을 지어 치료(治療)해 드려야 함.
#질병 #*스승* #치료 #약"
"* 皮相之見(피강지견)*: 겉 표면만 본다는 뜻으로, 외모만 보고 내심을 깊이 살피지 못하는 일. 지식, 관찰, 판단 등이 천박한 일을
이르는 말."
"* 耕者有田(경자유전)*: 밭을 가는 사람이 밭을 소유해야 한다는 뜻으로, 실지로 농사를 짓는 사람이 그 농토를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의미인데, 고대부터 현대까지 항상 토지 개혁의 이상적 목표로 설정되어 온 가치의 원칙이나 이루어지지 않음을 시사한다.
#소유 #고대 #농사 #개혁 #이상 #밭 #목표 #의미 #현대 #원칙 #가치 #토지 #사람"
"* 業感緣起(업감연기)*: 세계의 삼라만상과 모든 현상은 중생의 업(業)에 의하여 생겨남. 또는 그런 세계관이나 *인생*관.
#일체 #세계 #현상 #선 #중생 #악"
"* 草綠同色(초록동색)*: 풀색과 녹색은 같은 색이라는 뜻으로, 서로 같은 무리끼리 어울린다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명칭은 달라도
성질이나 내용은 같다는 뜻으로도 *사용*됨.
#내용 #빛 #성질 #빛깔 #명칭 #녹색 #*사용* #의미 #무리 #사람"
"* 投閑置散(투한치산)*: 한가함에 던지고 산만함에 두다는 뜻으로, 한산(閑散)한 자리에 *몸*을 두고 있어 요직(要職)에 오르지
못함을 이르는 말."
이성
"* 暗黑天地(암흑천지)*: (1)하늘과 땅이 어둡고 캄캄한 상태. (2)부*도덕*한 행위나 범죄 행위가 마구 일어나는 암담하고 불안한
사회.
#땅 #비참 #행위 #범죄 #하늘 #불안 #사회 #상태"
* 馬行千里路牛耕百畝田(마행천리로우경백무전)*: 말은 천리의 길을 가고, 소는 *백*이랑의 밭을 갊.
"* 冒萬死(모만사)*: 만 번 죽기를 무릅쓴다는 뜻으로, 온갖 어려움을 무릅씀을 이르는 말.
#어려움"
"* 炊骨易子(취골역자)*: 뼈로 밥을 짓고 자식과 바꾼다는 뜻으로, 전시에 성 안에 갇혀 식량이 다 떨어져 시체로 밥을 짓고 차마
자식을 먹을 수 없어 자식을 바꾼다는 참혹한 상황을 *형용*한 말.
#참혹 #자식 #*형용* #성 #식량 #전시 #밥 #상황 #뼈 #시체"
"* 家貧親老(가빈친로)*: 집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늙었다는 뜻으로, *집안*의 사정이 여의치 못하여 마땅치 않은 일이라도 해야 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 亡國之恨(망국지한)*: *나라*가 망하여 없어진 것에 대한 한(恨).
#탄식 #*나라*"
"* 巖下之電(암하지전)*: 바위 *아래*의 번갯불이라는 뜻으로, 눈빛이 번쩍번쩍 빛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빛 #바위 #말 #*아래* #비유 #모양 #눈빛 #번갯불"
"* 七步之才(칠보지재)*: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동안 #재주 #글재주 #조비 #조식 #걸음 #중국 #*시인* #일곱 #위나라 #유래 #형"
"* 拔苦與樂(발고여락)*: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없애 주고 *즐거움*을 주는 일.
#자비 #일 #주고 #*즐거움* #중생 #괴로움"
"* 納錢免賤(납전면천)*: 조선 시대에, 돈을 치르고 노비의 *신분*에서 벗어나던 일.
#일 #돈 #시대 #때 #*신분* #조선 #노비"
* 專房之寵(전방지총)*: 여러 첩 가운데에서 어느 한 첩에게 가장 많이 쏟는 *사랑*.
"* 殃及子孫(앙급자손)*: *화가* 자손에게 미침.
#자손 #*화가* #미침 #화"
"* 千載一遇(천재일우)*: 천 년 동안 단 한 번 만난다는 뜻으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를 이르는 말.
#의미 #동안 #천년 #*기회*"
* 輿時府仰(여시부앙)*: *시대*(時代)의 흐름을 따라 행동(行動)함.
"* 夫婦有別長幼有序(부부유별장유유서)*: 남편(男便)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分別)이 있어야 하고,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次例)가
있어야 함.
#남편 #어린이 #아내 #분별 #차례 #어른 #사이"
"* 七去(칠거)*: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 終食之間(종식지간)*: 식사를 하는 짧은 *시간*이라는 뜻으로, 얼마 되지 아니하는 동안을 이르는 말.
#동안 #얼마 #*시간* #식사"
"* 拈華示衆(염화시중)*: 말로 통하지 아니하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 석가모니가 영산회(靈山會)에서 연*꽃* 한 송이를
대중에게 보이자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깨닫고 미소 지으므로 그에게 불교의 진리를 주었다고 하는 데서 유래한다."
"* 過猶不及(과유불급)*: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 前途多難(전도다난)*: 앞길이나 앞날에 어려움이나 *재난*(災難)이 많음.
#앞날 #앞길 #어려움 #*재난*"
감정
"* 吐握之勞(토악지로)*: 뱉고 움켜쥐던 수고로움이라는 뜻으로, 주나라 주공이 현인(賢人)을 모시기 위해 손님이 찾아오면 먹던 것을
뱉거나 감던 머리도 움켜쥐고 달려 나와 맞이한 것에서 현사(賢士)를 얻으려고 성의를 다하던 정*성과* 자세.
#주나라 #정성 #노력 #머리 #인물 #포악 #현사 #자세 #현인 #손님 #수고 #주공 #악 #맞이 #성의"
"* 自稱君子(자칭군자)*: 자기를 스스로 *군자*라고 이른다는 뜻으로, 자기 자랑이 매우 심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군자* #천자 #자랑 #사람"
"* 啐啄同時(줄탁동식)*: 울고 쪼는 것이 같은 *시기*에 한다는 뜻으로, 알에서 나오려는 병아리의 껍질 쪼는 소리에 어미 닭이 껍질을
쪼아서 나오도록 도와주는 것을 동시에 한다는 의미에서 사제간(師弟間)의 연분이 서로 무르익은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로 사용됨.
#말 #병아리 #껍질 #표현 #상황 #사용 #소리 #어미 #의미 #닭 #연분"
* 承上接下(승상접하)*: 윗사람을 받들고 아랫사람을 거느려 그 *사이*를 잘 주선함.
"* 擊壤之歌(격양지가)*: 땅을 두드리며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매우 살기 좋은 *시절*(時節)을 말함.
#*시절* #땅 #말 #노래"
"* 樗櫟之材(저력지재)*: 참나무와 *가죽*나무 재목이라는 뜻으로, 아무 데도 쓸모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제목 #무능 #쓸모 #별 #나무 #사용 #의미 #*가죽*나무 #물건 #재목 #*가죽* #사람"
"* 厲世摩鈍(여세마둔)*: 세상(世上) 사람을 격려(激勵)하여 *인재*(人材)를 진작(振作)함.
#사람 #*인재* #격려 #세상"
"* 胸有成竹(흉유성죽)*: 가슴에 *대나무*를 이룸이 있다는 뜻으로, *대나무*를 그리는데 마음속에 이미 완성된 *대나무*를 품고 있는
것처럼, 일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이미 충분한 복안이 서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마음속 #일 #완성 #이룸 #비유 #처리 #*대나무* #가슴"
"* 仁義禮智(인의예지)*: 유학에서, 사람이 마땅히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성품*. 곧 어질고, 의롭고, 예의 바르고, 지혜로움을
이른다.
#해당 #마음 #예의 #때 #맹자 #유학 #지혜 #*성품* #사람"
"* 流芳百世(유방백세)*: (1)‘유방백세’의 북한어. (2)*꽃*다운 이름이 후세에 길이 전함.
#명예 #이름 #*꽃* #의미 #길 #전함 #길이 #백 #유방 #후세 #백세"
"* 絃歌不輟(현가불철)*: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노래 #학문 #어려움 #계속 #거문고 #공자 #고사 #*유래*"
"* 太平天國(태평천국)*: (1)근심이나 걱정이 없는 편안한 이상국. (2)1851년에 홍수전과 농민 반란군이 중국 광시성(廣西省)에
세운 나라. 청나라의 *지배*에 항거하고, 기독교의 평등사상과 토지의 균등 분배 따위를 바탕으로 한 이상 국가를 세우고자 하였으나,
1864년에 내부의 분열과 증국번ㆍ이홍장 등이 이끄는 한인 의용군, 외국 의용군의 힘을 빌린 청나라에 의하여 망하였다.
#한편 #바탕 #*지배* #외국 #홍수 #근심 #청나라 #안락 #청 #태평 #사상 #걱정 #힘 #국가 #평화 #농민 #따위 #평등 #나라 #편안 #중국 #분열 #내부 #토지 #공격
#군대 #이상"
"* 橫草之功(횡초지공)*: 풀을 가로로 쓰러뜨리며 세운 공로라는 뜻으로, *싸움*터에 나가서 크게 세운 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싸움*터 #큰공 #전쟁 #사용 #의미 #전쟁터 #가로 #공로 #사소"
"* 長頸烏喙(장경오훼)*: 관상에서, 목이 길고 입이 뾰족한 상(相). 참을성이 많아 고생을 이겨 내지만 잔인하고 *욕심*이 많으며
남을 의심하는 마음이 강하여 안락을 누리기 어렵다고 한다."
* 漠漠大海(막막대해)*: 끝없이 넓게 펼쳐진 *바다*.
"* 擇友交之有所補益(택우교지유소보익)*: *벗*을 가려 사귀면 도움과 유익(有益)함이 있을 것임.
#*벗* #도움 #유익"
"* 無始凡夫(무시범부)*: 무시(無始)에서부터 미래 영겁(永劫)에 이르기까지, 태어나고 죽는 윤회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는 인간.
#영원 #인간 #무시 #미래 #윤회 #굴레"
"* 千人所指無病而死(천인소지무병이사)*: 여러 사람에게 손가락질 당(當)하면 병(病)을 앓지 않고도 죽음.
#사람 #손가락 #병 #죽음"
* 禍兮福之所倚(화혜복지소의)*: 화와 *복*은 서로 의지(依支)하고 있음.
* 獸聚鳥散(수취조산)*: 짐승처럼 모였다가 *새*처럼 흩어진다는 뜻으로, 정돈되지 못한 오합지중(烏合之衆)의 의미로 사용됨.
"* 頭東尾西(두동미서)*: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일 #때 #제물 #머리 #동쪽 #*서쪽* #꼬리 #제사상 #따위 #제사"
"* 治家敎子(치가교자)*: *집안*을 다스리고 자손을 가르침.
#교육 #자손 #*집안* #가르침 #가정 #경영"
"* 百年佳約(백년가약)*: 젊은 *남녀*가 부부가 되어 평생을 같이 지낼 것을 굳게 다짐하는 아름다운 언약.
#다짐 #결혼 #*남녀* #백년 #아름 #약속 #의미 #세월 #언약 #평생 #백 #부부"
"* 千里命駕(천리명가)*: 천 리나 되는 먼 곳에 있는 *친구*(親舊)들 방문(訪問)하기 위(爲)해서 아랫사람에게 수레 준비(準備)를
시킴.
#아랫사람 #*친구* #방문 #수레 #준비"
"* 使民以時(사민이시)*: 백성을 부리는 것은 때에 맞게 한다는 뜻으로, 농번기를 피하여 백성들을 사역(使役)시킨다는 의*미인*데,
孔子가 말한 백성을 올바로 다스리는 그 첩경의 하나임.
#백성 #말 #때 #의미 #孔子 #백성들"
* 不當之說(부당지설)*: *이치*에 맞지 아니하는 말.
"* 割鷄牛刀(할계우도)*: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
#일 #칼 #*비유* #용 #닭 #필요 #처리 #수단"
"* 服不再降(복불재강)*: 양자 나간 사람이나 출가한 *여자*가 본생가나 친정의 부재모상(父在母喪)에 상복(喪服)을 한 등급 떨어뜨리지
않는 일."
"* 百八(백팔)*: (1)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2)1년의 12개월, 24기(氣), 72후(候)를 합하여 이르는 말.
#마음속 #*번뇌* #인간 #1년 #미래 #이것 #108가지 #과거 #사람"
"* 泣斬馬謖(읍참마속)*: 큰 *목적*을 위하여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버림을 이르는 말. ≪삼국지≫의 〈마속전(馬謖傳)〉에 나오는
말로, 중국 촉나라 제갈량이 군령을 어기어 가정(街亭) 싸움에서 패한 마속을 눈물을 머금고 참형에 처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참형 #부하 #법 #사람 #촉나라 #눈물 #삼국지 #말 #군령 #제갈량 #중국 #버림 #대의 #처단 #가정 #싸움 #유래 #*목적*"
"* 桑濮之音(상복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그릇
"* 風燈(풍등)*: (1)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열기구의 원리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띄우는 등. 대나무로 된 뼈대 위에 한지로 만든 등갓을 붙인
다음 뼈대 가운데에 기름을 먹인 심지를 고정하여 만든다. 과거에는 밤에 하늘로 띄워 군사용 신호를 보내는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으나,
보통 복을 기원하거나 놀이를 위하여 띄운다."
"* 糟糠之妻(조강지처)*: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후한서≫의 에 나오는 말이다."
"* 推舟於陸(추주어륙)*: 육지에서 배를 민다는 뜻으로, 고집스럽게 *무리*하여 행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배 #고집 #육지 #비유 #*무리*"
* 水火相克(수화상극)*: 물과 불이 서로 부딪힌다는 뜻으로, 수화(水火)가 용납되지 못하는 것처럼 서로 원수 *사이*가 되는 것.
"* 秋風過耳(추풍과이)*: *가을*바람이 귀를 스쳐 간다는 뜻으로, 어떤 말도 귀담아듣지 않음을 이르는 말.
#귀 #마음 #말 #바람 #무관심 #*가을*바람 #*가을* #조금"
"* 無爲自然(무위자연)*: 사람의 힘을 더하지 않은 그대로의 자연. 또는 그런 이상적인 경지.
#의미 #사상 #자연 #인공 #힘 #봄 #이상 #사람"
"* 人面獸心(인면수심)*: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나 행동이 몹시 흉악함을 이르는 말.
#마음 #마음씨 #사람 #의리 #인정 #얼굴 #*짐승* #행동 #흉악"
"* 相辱相鬪(상욕상투)*: 서로 욕을 하며 *싸움*.
#*싸움* #욕"
* 先發制人(선발제인)*: 남의 *꾀*를 사전에 알아차리고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막아 냄.
* 銅山金穴(동산금혈)*: 구리 산과 *금*으로 된 굴이라는 뜻으로, 풍성한 자원이나 재원을 이르는 말.
"* 三年不飛又不鳴(삼년불비우불명)*: 새가 멀리 날고 크게 울 날을 기다려 삼 년 동안이나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큰
뜻을 펼치기 위하여 적절한 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 ≪*사기*≫의 과 ≪여씨춘추≫의 에 나오는 말이다.
#새 #말 #춘추 #적절 #때 #여씨춘추 #년간 #기다림 #뒷날 #동안 #기회"
* 全心全力(전심전력)*: 온 마음과 온 *힘*.
"* 賢人君子(현인군자)*: (1)현인과 *군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2)어진 사람을 이르는 말.
#말 #덕망 #현인 #*군자* #사람"
* 莫强之兵(막강지병)*: 더할 수 없이 *강*(强)한 군사(軍士).
"* 草根木皮(초근목피)*: (1)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한약의 재료를 이르는 말."
"* 人傑地靈(인걸지령)*: 뛰어난 인재는 땅의 신령스러움에서 난다는 뜻으로, 위대한 *인물*이 난 곳에 이름이 나는 것처럼 사람의
운명은 그가 태어나 자란 산천의 기운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견해임. [= 地靈人傑 ].
#이름 #땅 #견해 #신령 #*인물* #운명 #결정 #기운 #산천 #인재 #사람"
난초
"* 芳埃(방애)*: 향기로운 티끌이란 뜻으로, 꽃 아래에서 나는 먼지나 티끌을 이르는 말.
#티끌 #아래 #꽃"
"* 傍若無人(방약무인)*: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아무 거리낌 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는 태도가 있음.
#곁 #성 #말 #거리낌 #주위 #태도 #의식 #주변 #*행동* #사람"
"* 弄瓦之慶(롱와지경)*: (1)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농와지경’의 북한어.
#여자 #아이 #표현 #딸 #실패 #기쁨 #의미 #중국 #지경 #장난 #*즐거움* #경사 #흙 #유래 #아이들"
"* 前覆後戒(전복후계)*: 앞에서 전복되면 뒤에서 경계한다는 뜻으로, 앞 *수레*의 전복이 뒷 *수레*의 경계가 되듯이 앞사람의 실패를
보고 뒷사람은 경계를 삼아야 한다는 의미.
#말 #앞사람 #앞 #실패 #자국 #의미 #*수레* #경계 #실수 #사람"
"* 平旦之氣(평단지기)*: 새벽의 기운이라는 뜻으로, 새벽의 아직 다른 사물과 접촉하기 전의 맑은 *정신*을 이르는 말.
#사물 #*정신* #기운 #새벽"
"* 分甘共苦(분감공고)*: *즐거움*을 나누고 괴로움을 함께 한다는 뜻으로, 고락(苦樂)을 함께 한다는 의미.
#의미 #고락 #괴로움 #*즐거움*"
"* 三從之禮(삼종지례)*: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 #결혼 #자식 #남편 #예전"
"* 廓然大公(확연대공)*: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사물 #마음 #성인 #학문 #거리낌 #의미 #사심 #*군자* #공평 #태도"
"* 江山風月(강산풍월)*: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
#달 #강 #말 #바람 #아름 #풍경 #경치 #*자연* #산"
"* 犬兎之爭(견토지쟁)*: 개와 토끼의 다툼이라는 뜻으로, 두 대상이 서로 싸우고 있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상황. ◈
한자로(韓子廬)라는 빠른 개와 동곽준(東郭逡)이라는 교활한 토끼의 *싸움*으로 농부가 두 마리를 모두 잡아갔다는 고사.《戰國策》."
"* 衆力移山(중력이산)*: 많은 사람의 힘은 *산*을 옮길 수 있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힘을 합하면 *산*도 옮길 수 있을 정도의
힘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의미."
* 以毛相馬(이모상마)*: 털빛으로 말의 좋고 나쁨을 판단한다는 뜻으로, *사물*을 겉만 보고 판단하는 것은 잘못임을 이르는 말.
"* 絃歌不輟(현가불철)*: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노래 #학문 #어려움 #계속 #거문고 #공자 #고사 #유래"
"* 布衣寒士(포의한사)*: 베옷을 입은 가난한 선비라는 뜻으로, *벼슬*이 없는 가난한 선비를 이르는 말.
#베옷 #입 #*벼슬* #가난 #선비"
* 風雲魚水(풍운어수)*: 바람ㆍ구름ㆍ고기ㆍ물이라는 뜻으로, *임금*과 신하의 친밀한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四面楚歌(사면초가)*: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롭고 곤란한 지경에 빠진 형편을 이르는 말. 초나라 항우가 사면을 둘러싼
한나라 군사 쪽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랫*소리*를 듣고 초나라 군사가 이미 항복한 줄 알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 三從依托(삼종의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父母遺體(부모유체)*: *부모*가 남긴 몸이라는 뜻으로, 자식이 된 몸을 이르는 말.
"* 壽則多辱(수즉다욕)*: 오래 살수록 그만큼 욕됨이 많음을 이르는 말. ≪*장자*≫ 에 나오는 말이다.
#말 #표현 #고생 #*장자* #욕"
"* 因緣爲市(인연위시)*: 인연으로 시장을 삼는다는 뜻으로, 재판할 때 관리가 사정에 의해 *부정*한 판결을 한다는 의미. ‘因緣’은
뇌물 같은 사적 관계, ‘爲市’는 물품 흥정하는 시장 같은 형(刑)의 경중(輕重)을 좌우하는 일.
#좌우 #일 #흥정 #물품 #*부정* #판결 #때 #관계 #시장 #관리 #의미 #사정 #경중 #뇌물 #인연 #재판 #형"
"* 萬里長城(만리장성)*: (1)중국의 북쪽에 있는 성. 서쪽 간쑤성(甘肅省)의 자위관(嘉峪關)에서 시작하여 동쪽 허베*이성*(河北省)의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른다. 춘추 전국 시대의 조(趙)ㆍ연(燕) 등이 변경 방위를 위하여 쌓아서 만든 것을 진(秦)의 시황제가 크게
증축하여 완성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명나라가 몽골의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것이다. 길이는 2,700km. (2)서로 넘나들지
못하게 가로막는 크고 긴 장벽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창창한 앞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남녀가 서로 교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황제 #창창 #변경 #시대 #서쪽 #북쪽 #침입 #완성 #전국 #시작 #가로막 #앞날 #명나라 #성 #남녀 #춘추 #길이 #대비 #동쪽 #길 #중국 #방위 #황제"
"* 下馬評(하마평)*: 관직의 인사이동이나 관직에 임명될 후보자에 관하여 세상에 떠도는 풍설(風說). 예전에, 관리들을 태워 가지고 온
마부들이 상전들이 말에서 내려 관아에 들어가 일을 보는 사이에 상전들에 대하여 서로 평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夜雨對牀(야우대상)*: 밤비 소리를 들으면서 침상(寢床)을 나란히 놓고 눕는 다는 뜻으로, *형세*(形勢)나 친구(親舊) 사이가
좋음을 이르는 말.
#친구 #사이 #*형세* #소리"
"* 刎頸之友(문경지우)*: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인상여 #인상 #벗 #친구 #시대 #전국 #생사 #정도 #*중국* #고사 #서로 #후회 #유래 #사이"
* 沐猴而冠(목후이관)*: 원숭이가 관을 썼다는 뜻으로, 의관(衣冠)은 갖추었으나 *사람*답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向隅之歎(향우지탄)*: 그 *자리*에 모인 많은 사람들이 다 즐거워하나 자기(自己)만은 구석을 향(向)하여 한탄(恨歎)한다는
뜻으로, 좋은 때를 만나지 못하여 한탄(恨歎)하는 말."
"* 行道遲遲(행도지지)*: 길을 걷는 *걸음*이 더디고 더디다는 뜻으로, 마음에 근심과 슬픔이 있음을 이르는 말.
#마음 #*걸음* #길 #근심 #슬픔"
"* 猛虎伏草(맹호복초)*: 사나운 *범*이 풀숲에 엎드려 있다는 뜻으로, 영웅은 일시적으로 숨어 있어도 때가 되면 세상에 드러나게
마련이라는 말."
"* 米珠薪桂(미주신계)*: *쌀*은 구슬처럼 비싸고 땔감은 계수나무처럼 비싸다는 뜻으로, 기본적인 생활의 필수품들이 너무 비싸 살기가
어렵다는 의미.
#구슬 #나무 #계수나무 #땔감 #의미 #*쌀* #기본 #생활"
"* 庭訓(정훈)*: 가정의 교훈. ≪논어≫의 에서 *공자*가 아들 이(鯉)가 뜰을 달려갈 때 불러 세우고 시(詩)와 예(禮)를 배워야
한다고 가르친 데서 유래한다.
#*공자* #때 #아들 #교훈 #가르침 #가정 #유래"
"* 與狐謨皮(여호모피)*: 여우하고 여우의 모피(毛皮)를 벗길 모의(謀議)를 한다는 뜻으로, *이해*(利害)가 상충하는 사람하고
의논(議論)하면 결코 이루어지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의논 #여우 #비유 #*이해* #사람"
"* 傳家寶刀(전가보도)*: 대대(代代)로 *집안*에 전(傳)해지는 보검의 뜻으로, 전가(傳家)는 '조상(祖上) 때부터 대대(代代)로
*집안*에 전(傳)해지다'의 뜻이고, 보도(寶刀)는 '보배로운 칼'임.
#보배 #칼 #때 #*집안* #보검 #조상"
비밀
"* 三十六計走爲上計(삼십육계주위상계)*: 36가지 *계책*(計策) 중(中)에서 줄행랑이 상책이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할 때에는
기회(機會)를 보아 피함으로써 몸의 안전(安全)을 지키는 것이 최상(最上)의 방법(方法)이라는 말.
#책 #몸 #말 #최상 #때 #안전 #*계책* #방법 #곤란 #기회"
"* 改頭換面(개두환면)*: *머리*와 얼굴을 바꾼다는 뜻으로, 어떤 일의 근본은 고치지 아니하고 사람만 바꾸어 그 일을 그대로 시킴을
이르는 말."
"* 生死肉骨(생사육골)*: 죽은 사람을 살려 내어 뼈에 살을 붙인다는 뜻으로, 큰 은혜를 베풂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베풂 #의미 #뼈 #은혜 #사람"
"* 杏林(행림)*: (1)‘의원’을 달리 이르는 말. 예전에 동봉(董奉)이라는 의원이 치료의 보수로 중환자에게는 다섯 그루,
경환자에게는 한 그루씩 살구*나무*를 심게 하였는데, 이것이 몇 년 뒤에 가서 울창한 숲을 이루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살구*나무*가
무성하게 꽉 들어찬 곳."
* 毫忽之間(호홀지간)*: (1)지극히 짧은 사이. (2)조금 어긋난 *동안*.
"* 一龍一蛇(일룡일사)*: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가거나 뱀이 되어 못 속에 숨는다는 뜻으로, 태평한 시대에는 세상에 나와 일을 하고
난세에는 *은거*하여 재능을 나타내지 아니하고 시대에 잘 순응함을 이르는 말.
#일 #재능 #땅 #*은거* #시대 #적응 #때 #태평 #용 #처세 #하늘 #뱀 #순응 #난세 #세상"
"* 傾國之色(경국지색)*: 임금이 혹하여 나라가 기울어져도 모를 정도의 *미인*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여자 #일 #말 #*미인* #눈 #위태 #임금 #나라 #운명 #여색 #의미 #정도"
"* 先憂後樂(선우후락)*: 세상의 *근심*할 일은 남보다 먼저 *근심*하고 즐거워할 일은 남보다 나중에 즐거워한다는 뜻으로,
지사(志士)나 어진 사람의 마음씨를 이르는 말. ≪범중엄(范仲淹)≫ 에 나오는 말이다.
#일 #마음 #말 #사람 #인자 #사랑 #마음씨 #나중 #*근심* #자신 #훌륭 #세상"
"* 言美響美(언미향미)*: 말이 아름다우면 그 울림도 아름답다는 뜻으로, 인격이나 *행동*이 훌륭하면 자연 명예도 얻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變則通(변즉통)*: 변하면 통하다는 뜻으로, 지금가지의 주의(主義)나 *태도*를 바꾸면 막혔던 길이 새로 열린다는 의미.
#길 #의미 #지금 #*태도* #주의"
"* 依草附木(의초부목)*: *풀*에 의지하고 나무에 붙는다는 뜻으로, 초목에 의지하는 것처럼 남에게 의뢰함을 이르거나, 불가(佛家)에서
사후(死後)에 다음 생(生)을 받지 못한 중간에 영혼이 초목의 그늘에 머물고 있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말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리*라고
말한다는 의 가치.
#말 #본성 #하늘 #도라 #가치 #중용 #사람"
"* 采菊東籬下(채국동리하)*: 동쪽 울타리 밑의 국화를 따다는 뜻으로, 은자(隱者)의 생활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도잠(陶潛)의 시
*고사*에서 연유함.
#비유 #동쪽 #국화 #잠 #*고사* #울타리 #생활 #연유"
"* 會稽之恥(회계지치)*: 회계산에서의 수치라는 뜻으로, 전쟁에 패한 치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에게 후이지산(會稽山)에서 패전하고 생포되어 굴욕적인 강화를 맺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命世之才(명세지재)*: (1)한 시대를 바로잡아 구원할 만한 큰 인재. (2)‘*맹자*’의 다른 이름.
#이름 #시대 #구원 #*맹자* #인재"
"* 曲肱之樂(곡굉지락)*: 베개가 없어서 팔을 구부려 베고 잘 정도로 가난하지만 그러한 삶에 *만족*하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만족* #의미 #베개 #즐거움 #잠 #가난 #정도 #삶 #청빈"
* 先花後果(선화후과)*: 먼저 *꽃*이 피고 나중에 열매가 맺힌다는 뜻으로, 먼저 딸을 낳고 나중에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분별
* 冒沒廉恥(모몰염치)*: 염치없는 줄 *알*면서도 이를 무릅쓰고 함.
"* 笑裏藏刀(소리장도)*: 웃는 마음속에 칼이 있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웃고 있으나 마음속에는 해칠 마음을 품고 있음을 이르는 말.
#마음속 #마음 #칼 #비유 #내심 #겉 #웃음"
"* 命世之才(명세지재)*: (1)한 시대를 바로잡아 구원할 만한 큰 *인재*. (2)‘맹자’의 다른 이름.
#이름 #시대 #구원 #맹자 #*인재*"
사실
"* 定省(정성)*: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밤 #새 #*아침* #효성 #정신 #잠자리 #부모 #안부"
"* 雲鬢花容(운빈화용)*: *머리털*이 탐스럽고 얼굴이 아름다운 여자의 모습을 이르는 말.
#용모 #여자 #귀밑머리 #여인 #머리 #꽃 #구름 #*머리털* #모습 #귀 #얼굴"
"* 吹恐飛執恐虧(취공비집공휴)*: 불면 날아갈까 쥐면 터질까 걱정한다는 뜻으로, 부모(父母)가 *자식*(子息)을 애지중지함을 이르는 말.
#*자식* #걱정 #부모"
"* 傍若無人(방약무인)*: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아무 거리낌 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는 *태도*가 있음.
#곁 #성 #말 #거리낌 #주위 #*태도* #의식 #주변 #행동 #사람"
"* 載道之器(재도지기)*: *도덕*적 가치를 담는 그릇이라는 뜻으로, ‘문학’ 또는 ‘시’를 이르는 말.
#정의 #실현 #*도덕* #문학 #그릇 #가치 #*도덕*적 #도구"
"* 隨病投藥(수병투약)*: 병에 따라 약을 쓴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학문이나 교양 등의 *정도*에 따라 설법(說法)을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
"* 晴雲秋月(청운추월)*: 갠 하늘의 *구름*과 가을의 달이라는 뜻으로, 가슴 속이 맑고 깨끗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달 #마음 #비유 #*구름* #하늘 #깨끗 #가을 #가슴"
* 讀書三昧(독서삼매)*: 다른 *생각*은 전혀 아니 하고 오직 책 읽기에만 골몰하는 경지.
"* 參商之歎(삼상지탄)*: 삼성(參星)과 상성(商星)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듯이, 두 사람이 멀리 헤어져 있어 만나기 어려운 것에
대(對)한 탄식(歎息).
#탄식 #사람"
"* 懸祖考(현조고)*: 신주(神主)나 축문(祝文)에서 '*돌*아간 할아버지'를 일컫는 말.
#말 #할아버지 #신주"
"* 絜矩之道(혈구지도)*: 자기를 척도로 삼아 남을 생각하고 살펴서 바른길로 향하게 하는 *도덕*상의 길.
#바른길 #집 #때 #비유 #생각 #조절 #곱자 #길 #*도덕* #척도 #원리 #자신 #정확 #행동 #사람"
"* 咸有一德(함유일덕)*: 임금과 *신하*(臣下)가 다 한 가지 덕이 있음.
#임금 #*신하*"
"* 雲蒸龍變(운증용변)*: 물이 증발하여 *구름*이 되고 뱀이 변하여 용이 되어 하늘로 오른다는 뜻으로, 영웅호걸이 기회를 얻어
일어남을 이르는 말.
#영웅 #물 #비유 #용 #*구름* #하늘 #뱀 #호걸 #일어남 #기회"
"* 齋戒沐浴(재계목욕)*: 신불(神佛)에게 제사(祭祀)를 드리기 전(前)에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기 위(爲)하여 음식(飮食)이나 *행동*(行動)을
삼가고 몸을 깨끗이 씻음을 이르는 말.
#몸 #마음 #신부 #음식 #신불 #*행동* #제사"
"* 雪中松柏(설중송백)*: 눈 속의 소나무와 잣나무라는 뜻으로, 높고 굳은 절개를 이르는 말.
#절개 #빛 #눈 #비유 #의미 #절조 #잣나무 #소나무"
"* 瑕玉(하옥)*: 흠이 없으면 *완전*(完全)한 것인데, 아깝게도 흠이 있어 결점(缺點)이 된다는 뜻으로, 옥에도 티가 있다는 말.
#말 #*완전* #결점"
"* 直系卑屬(직계비속)*: 자기로부터 직계로 이어져 내려가는 혈족. 아들, 딸, *손자*, 증손 등을 이른다.
#계승 #아래 #딸 #아들 #겨레 #*손자* #혈족"
* 報復之理(보복지리)*: 대갚음이 되는 자연의 *이치*.
"* 戱綵娛親(희채오친)*: 일부러 채색 옷을 입고 어버이를 기쁘게 해드린다는 뜻으로, *노래*자(老萊子)가 일흔 살에 어버이 앞에서
무색옷을 입고 재롱을 부렸다는 고사에서, 어버이의 마음을 즐겁게 하는 일. [= 彩衣娛親 (채의오친)].
#일 #마음 #옷 #*노래* #앞 #채색 #*노래*자 #어버이 #고사 #일흔"
"* 蘭芷漸滫(난지점수)*: *난초*(蘭草)와 구릿대, 즉 향초(香草)를 오줌에 담근다는 뜻으로, 착한 사람이 나쁜 것에 물듦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난초* #오줌 #물 #비유 #사람"
"* 潘楊之好(반양지호)*: 반(潘)과 양(楊)의 다정(多情)한 사이라는 뜻으로, 혼인(婚姻)으로 인척(姻戚) *관계*(關係)까지 겹친
오래된 좋은 사이.
#사이 #양 #*관계* #혼인 #다정"
* 牛耳讀經(우이독경)*: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 下育妻子(하육처자)*: 아래로 아내와 *자식*을 기름.
"* 馬牛襟裾(마우금거)*: 말이나 소에 의복을 입혔다는 뜻으로, 학식(學識)이 없거나 예의(禮儀)를 모르는 사람을 조롱(嘲弄)해 이르는
말."
"* 幾何級數(기하급수)*: (1)서로 이웃하는 항의 비(比)가 *일정*한 급수. 예를 들어 1+2+4+8+16+……,
a+ar+ar²+…… 따위를 이른다. (2)증가하는 수나 양이 아주 많음을 이르는 말.
#양 #현상 #속도 #*일정* #사용 #연결 #이웃 #양이 #수학 #본래 #따위"
"* 牝鷄晨鳴(빈계신명)*: 암탉이 새벽에 운다는 뜻으로, 집안에서 여자가 *세력*을 부리면 집안이 망한다는 식의 잘못된 봉건 중세의
관념으로 변하고 고쳐져야 할 주장.
#여자 #관념 #잘못 #*세력* #새벽 #주장 #중세 #집안"
"* 草廬三顧(초려삼고)*: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마음 #*은거* #양 #노력 #초옥 #시대 #참을성 #제갈량 #유비 #중국 #인재 #촉한 #유래"
* 狼貪虎視(낭탐호시)*: 이리같이 탐내고 *범*처럼 노려봄을 이르는 말.
"* 鷽鳩笑鵬(학구소붕)*: 작은 비둘기가 큰 붕새를 보고 웃는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소인*배가 위대한 사람을 몰라보고 비웃음을 이르는
말.
#새 #행위 #*소인* #언행 #붕새 #이해 #*소인*배 #비둘기들 #훌륭 #사람"
"* 虎嘯風生(호소풍생)*: 범이 울어 바람이 일어난다는 뜻으로, *영웅*이 때를 만나 떨쳐 일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바람 #범 #*영웅* #때 #비유 #일어남"
"* 橫目之人(횡목지인)*: 눈을 지닌 사람의 뜻으로, 사람의 눈이 가로로 트인 데서 사람의 의미인데, 더 확대되어 인류(人類)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 萬壽無疆(만수무강)*: 아무런 탈 없이 아주 오래 삶.
"* 韋編三絶(위편삼절)*: 가죽으로 엮은 것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뜻으로, 공자가 역경(易經)을 세 번이나 애독하여 죽간(竹簡)을
엮은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고사*에서 독서에 힘씀을 이르는 말.
#역경 #가죽 #독서 #공자 #*고사* #죽간"
"* 獨學孤陋(독학고루)*: 스승이 없이, 또는 학교에 다니지 아니하고 혼자서 공부한 사람은 견문이 넓지 못하여 *생각*이 좁고 천박함을
이르는 말."
* 松茂柏悅(송무백열)*: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한다는 뜻으로, *벗*이 잘되는 것을 기뻐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篤老侍下(독로시하)*: 일흔 살이 넘은 *부모*를 모시고 있는 처지.
"* 四知(사지)*: 두 사람만의 *비밀*이라도 어느 때고 반드시 남이 알게 됨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後漢)의 양진(楊震)이 형주
자사(荊州刺史)로 부임했을 때, 왕밀(王密)이 밤중에 찾아와서 당신과 나밖에는 아무도 알 사람이 없다 하며 금(金) 열 근을 바쳤을
때,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내가 알고 자네가 안다 하며 받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후한서≫의 에 나오는 말이다.
#후한 #마련 #*비밀* #땅 #말 #사람 #부임 #왕 #상대편 #때 #금 #자네 #중국 #하늘 #밖 #밤중 #유래 #형 #사이"
"* 蔓草寒煙(만초한연)*: 덩굴풀이 멋대로 퍼지고, 쓸쓸히 연기(煙氣)가 오른다는 뜻으로, 옛 도읍(都邑)을 황폐(荒廢)한 *모양*(模樣)을
이르는 말."
* 家豚(가돈)*: 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 榮枯盛衰(영고성쇠)*: *인생*이나 사물의 번성함과 쇠락함이 서로 바뀜.
#사물 #변화 #성 #일정 #현상 #개인 #번성함 #영화 #무상 #번성 #쇠 #세상 #사회 #융성 #*인생* #성함"
"* 淺見薄識(천견박식)*: 얕은 견문과 좁은 *지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표현 #천박 #학식 #때 #사용 #견문 #겸손 #*지식* #자신"
"* 反哺報恩(반포보은)*: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 까마귀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어 보답한다는 뜻으로, *자식*이 자라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함으로써 효를 행함을 이르는 말."
* 三頭六臂(삼두육비)*: *머리*가 셋, 팔이 여섯이라는 뜻으로, 힘이 엄청나게 센 사람을 이르는 말.
"* 諸法皆空(제법개공)*: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은 인연으로 생겼으며 변하지 않는 참다운 자아의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생각.
#사물 #존재 #생각 #실체 #인연 #자아 #세상"
"* 谿壑之慾(계학지욕)*: 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의 *욕심*이라는 뜻으로, 물릴 줄 모르는 한없는 *욕심*(慾心)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시냇물 #*욕심* #비유"
* 牧民之官(목민지관)*: 백성을 다스려 기르는 *벼슬*아치라는 뜻으로, 고을의 원(員)이나 수령 등의 외직 문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
"* 握沐(악목)*: 어진 인재를 *간절*히 구함을 이르는 말.
#포악 #인재 #구함"
"* 延促劫智(연촉겁지)*: 자기 마음대로 겁(劫)을 늘리기도 하고 줄이기도 하는 *부처*의 지혜.
#*부처* #지혜 #마음 #생각"
* 尊執(존집)*: 아버지의 *벗*이 될 만한 나이의 웃어른을 높여 이르는 말.
* 壺裏乾坤(호리건곤)*: 호리병 속의 천지라는 뜻으로, 늘 술에 취하여 있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老牛舐犢之愛(노우지독지애)*: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아주는 사랑이라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자식*(子息)에 대(對)한 사랑이
깊음을 이르는 말."
"* 生死可判(생사가판)*: 사느냐 죽느냐를 능히 *판단*함.
#*판단*"
"* 同行親舊(동행친구)*: 길을 함께 가는 동무. 또는 같은 길을 가는 사람.
#벗 #길 #사람"
"* 花朝月夕(화조월석)*: (1)꽃 피는 아침과 달 밝은 밤이라는 뜻으로, 경치가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2)음력 2월 보름과
8월 보름.
#밤 #아침 #2월 #보름 #가을밤 #달 #표현 #때 #꽃 #8월 #저녁 #경치 #*시절* #봄 #가을"
"* 銅婚式(동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1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구리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축하 #구리 #풍속 #혼인 #의식 #부부 #기념"
"* 海不揚波(해불양파)*: 바다에 파도가 일지 않는다는 뜻으로, 임금의 선정(善政)으로 백성이 *편안*함을 이르는 말.
#백성 #선정 #말 #임금 #파도 #*편안* #정치"
"* 見善從之知過必改(견선종지지과필개)*: 착함을 보면 이를 따르고 허물을 *알*면 반드시 고쳐야 함.
#허물"
"* 秋風落葉(추풍낙엽)*: (1)*가을*바람에 떨어지는 나뭇잎. (2)어떤 형세나 세력이 갑자기 기울어지거나 헤어져 흩어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朝聞道夕死可矣(조문도석사가의)*: 아침에 천하(天下)가 올바른 정도(正道)로 행(行)해지고 있다는 말을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뜻으로, 사람이 참된 이치(理致)를 깨달으면 당장 죽어도 한(恨)이 없다는 뜻으로 쓰이며, 짧은 인생(人生)을 값있게 살아야
한다는 의미(意味).
#아침 #말 #행 #이치 #천하 #의미 #*저녁* #天下 #당장 #정도 #인생 #사람"
"* 虛傳將令(허전장령)*: (1)장수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 (2)윗사람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蜂房水渦(봉방수와)*: 벌의 집과 물의 소용돌이라는 뜻으로, 건물(建物)이 꽉 들어차 있는 모양(模樣)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형용* #집 #건물 #물 #모양"
"* 取適非取魚(취적비취어)*: 낚시질을 하는 참뜻이 고기 잡는 데에 있지 않고 세상 생각을 잊고자 하는 데에 있다는 뜻으로, 어떤
행동의 *목적*이 거기에 있지 않고 다른 데에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체 #참뜻 #그곳 #행 #마땅 #생각 #의미 #세상 #즐거움 #행동 #낚시 #*목적*"
"* 從姑母夫(종고모부)*: 종고모의 *남편*.
#*남편* #누이 #사촌"
"* 雛鳳(추봉)*: 봉(鳳)의 새끼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훌륭한 *자제*(子弟)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제* #훌륭 #비유 #새끼"
* 無用之物(무용지물)*: 쓸모없는 *물*건이나 사람.
* 南行初仕(남행초사)*: 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덕으로 처음 *벼슬*길에 오르던 일.
* 兼奴上典(겸노상전)*: 종을 거느릴 형편이 못 되어 종이 할 일까지 몸소 하는 *가난*한 양반.
* 童男童女(동남동녀)*: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太阿倒持(태아도지)*: 태아를 거꾸로 쥐고 있다는 뜻으로, 太阿라는 보검(寶劍)을 거꾸로 쥐고 다른 사람에게 주는 것과 같이 *천자*가
대권(大權)을 신하에게 빼앗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조선
* 百態具備(백태구비)*: 온갖 아름다운 자태(姿態)가 다 갖추어져 있음.
"* 佳境(가경)*: (1)한창 재미있는 판이나 고비. (2)경치*가* 좋은 곳.
#고비 #한창 #창 #경치"
임시
"* 前車覆轍(전거복철)*: 앞에 간 수레가 뒤집힌 *바퀴* 자국이라는 뜻으로, 앞의 실패를 본보기 삼아 주의함을 이르는 말.
#전례 #*바퀴* #앞사람 #앞 #실패 #자국 #수레 #교훈 #주의 #사람"
"* 太平天國(태평천국)*: (1)*근심*이나 걱정이 없는 편안한 이상국. (2)1851년에 홍수전과 농민 반란군이 중국
광시성(廣西省)에 세운 나라. 청나라의 지배에 항거하고, 기독교의 평등사상과 토지의 균등 분배 따위를 바탕으로 한 이상 국가를 세우고자
하였으나, 1864년에 내부의 분열과 증국번ㆍ이홍장 등이 이끄는 한인 의용군, 외국 의용군의 힘을 빌린 청나라에 의하여 망하였다."
"* 綈袍戀戀(제포연연)*: 구은(舊恩)을 생각하거나 우정이 두터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에 위나라의 수가(須賈)가
진나라에 사신으로 왔을 때, 전에 허물이 없이 그에게 내쫓김을 당한 범저(范雎)가 재상(宰相)이면서도 짐짓 거지 행세를 하고 나타난
것을 보고 가엾이 여겨 옷 한 벌을 주었기 때문에, 범저로부터 이전의 죄를 용서받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何以得此(하이득차)*: 무슨 까닭으로 이것을 얻는가의 뜻으로, 뜻밖의 소득이 있는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이것 #뜻밖 #소득 #까닭"
"* 陋巷簞瓢(누항단표)*: (1)‘누항단표’의 북한어. (2)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누항 #바가지 #밥 #물 #형편 #그릇 #가난 #선비 #청빈 #*생활* #사람"
"* 秤新而爨(칭신이찬)*: 땔나무를 저울로 달아 땐다는 뜻으로, 소소한 일에 너무 잔*소리*가 심함을 이르는 말.
#땔나무 #일 #저울 #잔*소리*"
"* 莫强之兵(막강지병)*: 더할 수 없이 강(强)한 *군사*(軍士).
#강 #*군사*"
"* 鳳鳴朝陽(봉명조양)*: (1)봉황새가 산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길조(吉兆)를 이르는 말. (2)뛰어난 행위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
"* 黃粱夢(황량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 活人之方(활인지방)*: (1)*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법. (2)*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위나 지방.
"* 高歇無常(고헐무상)*: *값*의 오르고 내림이 일정하지 아니함.
#쌈 #*값* #일정 #물건*값* #의미 #변동 #비쌈 #물건 #낮 #내림"
"* 當局者迷(당국자미)*: 일을 담당한 사람이 미혹된다는 뜻으로, 방관자(傍觀者)보다 직접 담당자가 사리의 *판단*에 더 어둡다는
의미. ‘燈下不明(등하불명)’의 비유적 표현.
#일 #사리 #미혹 #표현 #비유 #의미 #*판단* #사람"
"* 沙羅雙樹(사라쌍수)*: 석*가모*니가 열반할 때 사방에 한 쌍씩 서 있었던 사라수(沙羅樹). 동쪽의 한 쌍은 상주(常住)와
무상(無常)을, 서쪽의 한 쌍은 진아(眞我)와 무아(無我)를, 남쪽의 한 쌍은 안락(安樂)과 무락(無樂)을, 북쪽의 한 쌍은
청정(淸淨)과 부정(不淨)을 상징한다.
#때 #사방 #서쪽 #북쪽 #안락 #그루 #무상 #석가 #무아 #성 #여덟 #남쪽 #석*가모*니 #열반 #뿌리 #부정 #상주 #80세 #상징 #동쪽 #밖"
"* 父母責之勿怒勿答(부모책지물노물답)*: 부모(父母)님께서 꾸짖으실지라도 성내지 말고 말대답(-對答)을 하지말아야 함.
#부모"
"* 塔寺堅固(탑사견고)*: 오오백년(五五百年)의 네 번째 오백 년. 수행과 증과(證果)는 없지만 좋은 과보(果報)를 받으려고 절이나
탑을 많이 세우는 *시기*이다.
#견고 #백년 #과보 #백 #수행 #탑"
"* 巫山之夢(무산지몽)*: 무산(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낮잠 #남녀 #미인 #말 #왕 #양 #유래 #초나라 #*꿈* #사용 #의미 #*꿈*속 #중국 #즐거움 #무산 #침 #고사 #산 #남녀간 #정교"
"* 齊紫敗素(제자패소)*: 제자(齊紫)는 제(齊)나라에서 나는 자색 천을 말하고, 패소(敗素)는 거칠고 흰 비단(緋緞)을 말하는 것으로
거칠고 나쁜 물건(物件)이라도 자줏빛 물만 들이면 값이 열 곱으로 뛴다는 데서, 어진 사람은 풍부(豊富)한 지식(知識)으로
재난(災難)을 복으로 돌리고, 실패(失敗)를 *성공*(成功)으로 이끈다는 말.
#자줏빛 #복 #값 #말 #풍부 #재난 #실패 #물 #나라 #제자 #물건 #지식 #비단 #자색 #*성공* #사람"
"* 走獐落兎(주장낙토)*: 노루를 쫓다가 토끼를 잡는다는 뜻으로, 뜻밖의 이익이나 재물을 얻음을 이르는 말.
#토끼 #뜻밖 #이익 #재물"
* 茫茫大洋(망망대양)*: 한없이 크고 넓은 *바다*.
"* 篳路藍縷(필로남루)*: 거친 수레와 누더기 옷이라는 뜻으로, 섶나무로 거칠게 만든 허술한 수레를 타고 누더기 옷을 입는 것처럼 천신
*만고*를 참으며 노력하는 일의 의미하거나, 일을 처음으로 창시(創始)하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일 #섶나무 #옷 #노력 #나무 #어려움 #사용 #의미 #수레 #처음"
"* 丙舍傍啓(병사방계)*: 병사(丙舍) 곁에 통로(通路)를 열어 궁전(宮殿) 내(內)를 출입(出入)하는 사람들의 편리(便利)를
도모(圖謀)하였음.
#곁 #병사 #편리 #도모 #궁전 #통 #출입 #사람"
"* 口耳之學(구이지학)*: 들은 것을 자기 생각 없이 그대로 남에게 전하는 것이 고작인 *학*문.
#*학*문 #천박 #입 #의미 #생각 #자신 #귀"
"* 活人之方(활인지방)*: (1)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법. (2)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위나 지방.
#위험 #지방 #사용 #의미 #*목숨* #구원 #방안 #방위 #방법 #사람"
"* 囚首喪面(수수상면)*: 죄수의 머리에 상주의 얼굴이라는 뜻으로, 죄수처럼 머리를 빗지 않고 상주(喪主)처럼 얼굴을 씻지 않듯이
용모를 꾸미지 않음을 형용한 말.[*본래* 송(宋)나라의 왕안석(王安石)을 기롱(欺弄)한 말에서 연유함].
#용모 #형용 #말 #상주 #머리 #나라 #왕안석 #죄수 #얼굴 #*본래* #연유"
"* 曳尾塗中(예미도중)*: *꼬리*를 진흙 속에 묻고 끈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으로써 속박(束縛)되기보다는 가난하더라도 집에서
편안(便安)히 사는 편이 나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진흙 #집 #속박 #비유 #편안 #*꼬리* #벼슬 #가난"
"* 文質彬彬(문질빈빈)*: (1)겉*모양*의 아름다움과 속내가 서로 잘 어울림. (2)공자가 문학의 내용과 형식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한
주장. 꾸밈과 바탕이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야 군자라고 주장한 것으로, ≪논어≫의 에 나온다."
"* 朝出夕沒(조출석몰)*: 아침에 나타났다가 저녁에 *사라*짐. 또는 나왔다가 곧 스러짐.
#저녁 #아침"
아침
"* 韓亡子房奮(한망자방분)*: 한(韓)나라가 망(亡)하자 장자방(張子房)이 성을 낸다는 뜻으로, 사영운이 스스로 자기(自己)를 장자방에
*비유*(比喩)한 말."
"* 度外置之(도외치지)*: *마음*에 두지 아니함.
#밖 #*마음* #문제 #생각"
"* 季布一諾(계포일낙)*: 절대로 틀림없는 승낙. 중국 초나라 장수인 계포(季布)의 한 번 승낙은 백금을 얻기보다 더 소중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忠君愛國(충군애국)*: 임금에게 *충성*을 다하고 나라를 사랑함.
#*충성* #사랑 #임금 #나라 #의미 #사랑함"
* 奸細之輩(간세지배)*: 간사한 짓을 하는 나쁜 사람의 *무리*.
"* 社稷之臣(사직지신)*: 나라의 편안함과 위태함, 존속과 멸망을 맡은 중신(重臣).
#편안함 #몸 #안위 #신하 #사직 #위태 #국가 #나라 #존속 #의미 #편안 #멸망"
"* 釜中生魚(부중생어)*: 솥 안에 물고기가 생긴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여 오랫*동안* 밥을 짓지 못함을 이르는 말. ≪후한서≫의 에
나오는 말이다.
#일 #말 #범 #밥 #비유 #솥 #계속 #가난 #정도"
"* 倒行逆施(도행역시)*: 차례나 *순서*를 바꾸어서 행함.
#일 #행 #시행 #비유 #*순서* #행동 #차례 #순종"
"* 劍林地獄(검림지옥)*: 불경, 불효, 무자비한 죄를 지은 사람이 떨어지는 지옥. 시뻘겋게 단 뜨거운 쇠 알의 열매가 달리고 잎이
칼로 된 나무 숲속에서 온몸이 찔리는 *고통*을 받는다.
#자비 #온몸 #죄 #나무 #칼 #불 #불경 #잎 #지옥 #*고통* #쇠 #무자비 #열매 #사람"
"* 無事不涉(무사불섭)*: 천도교에서, 한울님은 간섭하지 않는 일이 없음을 이르는 말.
#일 #말 #천도교 #한울님 #한울 #간섭"
"* 茫茫大海(망망대해)*: 한없이 크고 넓은 *바다*.
#의미"
"* 達八十(달팔십)*: *부귀*와 관록이 따르는 영달의 삶을 이르는 말. 강태공이 여든 살에 주(周)나라 무왕을 만나 정승이 된 후
80년을 호화롭게 살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강 #왕 #무왕 #영달 #나라 #호화 #여든 #*부귀* #정승 #80년 #유래 #삶"
"* 馬牛襟裾(마우금거)*: 말이나 소에 *의복*을 입혔다는 뜻으로, 학식(學識)이 없거나 예의(禮儀)를 모르는 사람을 조롱(嘲弄)해
이르는 말.
#말 #*의복* #예의 #학식 #조롱 #사람"
"* 鏤月裁雲(누월재운)*: 달을 아로새기고 구름을 마른다는 뜻으로, 세공이 아기자기하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아름다움* #달 #구름 #교묘"
"* 百病通治(백병통치)*: (1)한 가지 처방으로 온갖 병을 다 고침. (2)어떤 한 가지 대책이 여러 가지 경우에 두루 효력을
나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政如魯衛(정여노위)*: 두 나라의 정치가 서로 비슷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의 시조 주공(周公)과 위나라의 시조
강숙(康叔)이 형제인 데에서 온 말이다."
* 風燭殘年(풍촉잔년)*: 바람 앞의 촛불 같은 남은 해라는 뜻으로, *나이*가 많아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物薄情厚(물박정후)*: 물건은 엷지만 정은 두텁다는 뜻으로, 남과 사귐에 있어서 *선물*이나 향응(饗應)은 변변하지 않다 하더라도
정의(情誼)만은 두터이 한다는 의미.
#변변 #정의 #*선물* #의미 #물건"
"* 下堂伏地(하당복지)*: 윗사람에 대한 존경의 뜻으로 아랫사람이 방이나 마루에서 내려와 땅에 엎드림.
#아랫사람 #윗사람 #땅 #대청 #방 #마루 #의미 #존경 #*복*종 #사람"
* 實踐躬行(실천궁행)*: 실제로 *몸*소 이행함.
"* 席不暇暖(석불가난)*: 앉은 *자리*가 따뜻할 겨를이 없다는 뜻으로, *자리*나 주소를 자주 옮기거나 매우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 良妻賢母(양처현모)*: 착한 아내이면서 어진 *어머니*.
#지아비 #두고 #*어머니* #자녀 #아내 #현명"
"* 無思無慮(무사무려)*: 아무 생각이나 걱정이 없음.
#걱정 #생각"
"* 榮耀榮華(영요영화)*: 권력(權力)이나 부를 얻어서 *번성*(繁盛)한다는 뜻으로, (1) 사치(奢侈)를 다함 (2) 호화(豪華)롭고
화려(華麗)함.
#권력 #사치 #화 #호화 #*번성* #화려"
노생
"* 置身其外(치신기외)*: *몸*을 국외(局外)에 둔다는 뜻으로, 사건의 와중(渦中)에 휩쓸려들지 않는다는 의미.
#의미 #*몸* #사건"
* 自今以後(자금이후)*: 지*금*으로부터 뒤.
* 掌中寶玉(장중보옥)*: 손안에 있는 보배로운 구슬이란 뜻으로, 귀하고 보배롭게 *여기*는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江山萬古主人物百年賓(강산만고주인물백년빈)*: 강과 산은 *만고*의 주인(主人)이요, 사람은 백년(잠시(暫時) 왔다가는)의 손님임.
#주인 #강 #백년 #*만고* #손님 #백 #산 #사람"
* 風樹之感(풍수지감)*: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巫山之雨(무산지우)*: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남녀 #왕 #양 #초나라 #꿈속 #중국 #*즐거움* #무산 #낮잠 #고사 #유래 #정교"
"* 齊眉(제미)*: 밥상을 *눈썹*과 가지런하도록 공손히 들어 남편 앞에 가지고 간다는 뜻으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이르는 말.
#말 #남편 #*눈썹* #앞 #가지런 #공경 #음식 #부부"
"* 方寸(방촌)*: (1)한 치 *사방*의 넓이. (2)사람의 마음은 가슴속의 한 치 *사방*의 넓이에 깃들어 있다는 뜻으로,
‘마음’을 달리 이르는 말."
"* 桑中之喜(상중지희)*: 남녀 간의 불의(不義)의 쾌락이나 풍속의 퇴폐를 풍자하여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공실(公室)이 음탕하여
*뽕나무*밭에서 정을 통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뽕나무* #음탕 #남녀 #나무 #풍자 #밭 #*뽕나무*밭 #불 #불의 #풍속 #중국 #즐거움 #위나라 #아내 #유래 #퇴폐"
* 忠義之心(충의지심)*: 충성스럽고 절의가 곧은 *마음*.
* 自由自在(자유자재)*: 거침없이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음.
* 大海一滴(대해일적)*: 큰 바다 *가운데* 물 한 방울이라는 뜻으로, ‘창해일속’을 달리 이르는 말.
* 忠君愛國(충군애국)*: *임금*에게 충성을 다하고 나라를 사랑함.
* 龜背刮毛(귀배괄모)*: 거북의 등에서 털을 깎는다는 뜻으로, 불가능한 일을 *무리*하게 하려고 함을 이르는 말.
"* 讀書三餘(독서삼여)*: 책을 읽기에 적당한 세 가지 한가한 때. 겨울, *밤*, 비가 올 때를 이른다.
#책 #*밤* #시간 #적당 #때 #여가 #독서 #비오 #겨울 #한가"
* 七尺之軀(칠척지구)*: 칠 척이나 되는 *몸*. 또는 어른의 *몸*.
* 影駭響震(영해향진)*: 그림자만 보아도 놀라고, 울리는 *소리*만 들어도 떤다는 뜻으로, 잘 놀람을 이르는 말.
"* 弦上箭(현상전)*: 시위 위의 화살이라는 뜻으로, 활시위를 먹인 화살처럼 신속(迅速)함이나 한 번 가서 돌아오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楊布之狗(양포지구)*: 양포의 개라는 뜻으로, 겉모습의 변화를 보고 섣불리 판단하는 것을 경계해야 함을 이르는 말. 전국 시대의
사람인 양포가 외출할 때에는 흰 옷을 입었다가 귀가할 때 검은 옷을 입었더니 양포의 개가 주인을 *알*아보지 못하고 짖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 同族相爭(동족상쟁)*: 같은 겨레끼리 서로 *다툼*.
#끼리 #겨레 #서로 #*다툼*"
"* 牛往馬往(우왕마왕)*: 소 갈 데 말 갈 데 다 다닌다는 뜻으로, 함부로 온갖 군데를 다 쫓아다님을 이르는 말.
#군데 #말 #다님"
"* 好行小慧(호행소혜)*: 작은 *꾀*를 행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사리사욕(私利私慾)을 채우기 위한 얄팍한 *꾀*를 쓰는
것을 좋아한다는 의미."
* 資父事君(자부사군)*: 아버지를 자료(資料)로 하여 임금을 섬길지니, 아버지 섬기는 *효*도(孝道)로 임금을 섬겨야 함.
* 雛鳳(추봉)*: 봉(鳳)의 *새*끼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훌륭한 자제(子弟)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曳尾塗中(예미도중)*: 꼬리를 진흙 속에 묻고 끈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으로써 속박(束縛)되기보다는 *가난*하더라도 집에서
편안(便安)히 사는 편이 나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진흙 #집 #속박 #비유 #편안 #꼬리 #벼슬 #*가난*"
"* 沈船破釜(침선파부)*: 배를 가라앉히고 솥을 깨뜨리다는 뜻으로, 항우가 강물을 건넜을 때 沈船破釜하며 사졸에게 필사의 각오를 보인
*고사*에서 필사의 각오로 결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항우 #배 #때 #비유 #강물 #결전 #솥 #전함 #각오 #*고사*"
* 割半之痛(할반지통)*: 몸의 반*쪽*을 베어 내는 고통이라는 뜻으로, 형제자매가 죽었을 때의 슬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戴天之讐(대천지수)*: 하늘을 함께 이지 못하는 원수라는 뜻으로, 이 세상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큰 *원한*을 가진 원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원수 #임금 #*원한* #어버이 #하늘 #세상"
* 匹夫匹婦(필부필부)*: (1)평범한 *남녀*. (2)한 사람의 남자와 한 사람의 여자.
"* 樂殊貴賤(악수귀천)*: 풍류(風流)는 귀천(貴賤)이 다르니, *천자*(天子)는 8일(日), 제후(諸侯)는 6일(日),
사대부(士大夫)는 4일(日), 서민(庶民)은 2일(日)임.
#일 #풍류 #제후 #서민 #風流 #귀천 #사대부 #8일 #*천자*"
표기
"* 傾蓋如故(경개여고)*: 처음 만나 잠깐 사귄 것이 마치 오랜 *친구* 사이처럼 친함.
#*친구* #처음 #사이"
"* 綠鬢紅顔(록빈홍안)*: (1)윤이 나는 검은 귀밑*머리*와 발그레한 얼굴이라는 뜻으로, 젊고 아름다운 여자의 얼굴 또는 젊은 여자의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2)‘녹빈홍안’의 북한어."
"* 指天射魚(지천사어)*: 하늘을 향하여 물고기를 쏜다는 뜻으로, *사물*을 구하는 방법의 그릇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사물* #비유 #그릇 #하늘 #그릇됨 #방법"
"* 守株待兎(수주대토)*: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변통*을 모르고 어리석고 고집스러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토끼 #고집 #*변통* #비유"
* 乃心王室(내심왕실)*: 마음을 *왕*실에 둔다는 뜻으로, 나라에 충성함을 이르는 말.
"* 四友(사우)*: (1)종이, *붓*, 먹, 벼루의 네 가지 문방구. (2)눈 속에 피는 네 가지의 꽃. 동백꽃, 납매, 수선화,
옥매를 이른다.
#*붓* #눈 #꽃 #종이 #벼루 #옥매"
"* 桑田碧海(상전벽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뽕나무* #밭 #*뽕나무*밭 #의미 #세상일 #정도 #변천 #세상"
"* 禍轉爲福(화전위복)*: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근심 #걱정 #복 #*재앙*"
온화
* 八年風塵(팔년풍진)*: 오랜 세월 *동안* 고생함을 이르는 말. 중국에서, 유방이 8년을 고생한 끝에 항우를 멸한 데서 유래한다.
"* 四寶(사보)*: 네 가지의 *보배*라는 뜻으로, 붓ㆍ먹ㆍ종이ㆍ벼루를 소중하게 이르는 말.
#*보배* #붓 #소중 #종이 #벼루"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때 #여옹 #인생 #생활 #사이 #메조 #노생 #년간 #유래 #도사 #땅 #*소년* #베개 #80년 #꿈 #한단 #밥 #나라 #영화 #중국 #잠 #고사"
"* 若得美果歸獻父母(약득미과귀헌부모)*: 만약 맛있는 과실(果實)을 얻으면 돌아가서 *부모*(父母)님께 드림.
#과실 #*부모*"
* 相敬如賓(상경여빈)*: *부부*(夫婦)는 가장 가까운 사이이지만, 늘 공경(恭敬)하기를 마치 손님을 대하듯이 한다는 말.
"* 風光明媚(풍광명미)*: 자연의 경치가 맑고 *아름다움*.
#산수 #경치 #자연 #산 #*아름다움*"
* 山珍海錯(산진해착)*: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 似而非者(사이비자)*: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것 같으나 실지(實地)로는 아주 다른 가짜.
#겉 #가짜 #실지 #비슷"
* 走馬加鞭(주마가편)*: *달*리는 말에 채찍질한다는 뜻으로, 잘하는 사람을 더욱 장려함을 이르는 말.
"* 人生草露(인생초로)*: 사람의 삶은 *풀*에 맺힌 이슬 같다는 뜻으로, 인생은 해뜨면 사라질 아침에 맺힌 *풀* 위의 이슬처럼
덧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丈人(장인)*: (1)아내의 *아버지*. (2)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3)늙은이를 이르는 말. (4)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5)덕이 많고 학식이 많은 사람. (6)*아버지*의 벗.
#친정 #벗 #학식 #할*아버지* #아내 #늙은이 #사람"
* 風流韻事(풍류운사)*: *자연*(自然)과 친(親)하여 시가(詩歌) 따위를 지어서 즐김, 또는 그 일.
"* 泮蛙(반와)*: 성균관 개구리라는 뜻으로, 자나 깨나 책만 읽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책 #*사람*"
* 變態百出(변태백출)*: 가지 각색(各色)으로 *모양*(模樣)을 바꿈.
"* 無心道人(무심도인)*: (1)도를 깊이 닦아 세속의 번뇌와 물욕에서 벗어난 경지에 도달하여 진리를 깨달은 사람. (2)천진(天眞)과
본연(本然)에 합한 *승려*.
#번뇌 #천진 #진리 #*승려* #도달 #수행 #세속 #물욕 #사람"
"* 垂簾聽政(수렴청정)*: *임금*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을 때, 왕대비나 대왕대비가 이를 도와 정사를 돌보던 일. 왕대비가 신하를
접견할 때 그 앞에 발을 늘인 데서 유래한다."
"* 山底貴杵(산저귀저)*: *산*밑에서 절구공이가 귀하다는 뜻으로, 물건이 그 생*산*지(生産地)에서 도리어 더 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月旦評(월단평)*: 사람에 대한 평(評). *중국* 후한(後漢) 때에 허소(許劭)라는 사람이 매월 초하루마다 마을 사람들의 인물을
평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 鏡中美人(경중미인)*: (1)거울에 비친 *미인*이라는 뜻으로, 실속 없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경우가 바르고
얌전하다고 하여 서울ㆍ경기 지역 사람의 성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실속 #얌전 #*미인* #경우 #서울 #실제 #상황 #겉치레 #의미 #물건 #성격 #지역 #거울 #활용 #사람"
"* 兩輪(양륜)*: 수레의 두 바퀴라는 뜻으로, *서로* 떨어져서는 제구실을 못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실 #수레 #비유 #바퀴"
* 人事不省(인사불성)*: (1)제 몸에 벌어지는 일을 모를 만큼 정신을 잃은 *상태*. (2)사람으로서의 예절을 차릴 줄 모름.
"* 大安(대안)*: (1)신라 진평왕 때의 승려(571~644). 원효의 *스승*이었다고 한다. (2)‘대안하다’의 어근. (3)중국
금나라 위소왕 때의 연호(1209~1211). (4)중국 서하 혜종 때의 연호(1076~1085)."
* 華亭鶴唳(화정학려)*: 화정에서 들은 *학*의 울음소리.
* 無理難題(무리난제)*: (1)*무리*하게 떠맡기는 어렵고 까다로운 문제. (2)터무니없는 시비.
"* 知音(지음)*: (1)새나 짐승의 울음을 가려 잘 알아들음. (2)음악의 곡조를 잘 앎. (3)마음이 서로 통하는 친한 벗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거문고의 명인 백아가 자기의 소리를 잘 이해해 준 벗 종자기가 죽자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고
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에 나오는 말이다. (4)작품을 바르게 느끼고 평가함.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문학 평론(文學評論)에 해당하는 제48장의 제목이다. 문학 작품을 어떻게 감상하고 비평할 것인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협은 작품을 평가할 때에는 현재를 경시하는 태도, 타인을 경멸하는 태도, 진실을 왜곡하는 현상, 편견, 부정확한 평가 따위를
특별히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江南別星(강남별성)*: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천연두를 앓게 한다는 여신. 강남에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 壓卷(압권)*: (1)여러 책이나 작품 가운데 제일 잘된 책이나 작품. 고대 중국의 관리 등용 시험에서 가장 뛰어난 답안지를 다른
답안지 위에 얹어 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2)하나의 책이나 작품 가운데 가장 잘된 부분. (3)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
"* 夫婦有別長幼有序(부부유별장유유서)*: 남편(男便)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分別)이 있어야 하고,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次例)가 있어야 함."
"* 氷肌雪腸(빙기설장)*: *얼음* 같이 맑은 피부와 눈 같이 깨끗한 장이라는 뜻으로, 몸도 마음도 결백함을 의미함.
#몸 #마음 #눈 #피부 #의미 #*얼음* #결백 #깨끗"
* 男女老少(남녀로소)*: (1)*남*자와 여자, 늙은이와 젊은이란 뜻으로, 모든 사람을 이르는 말. (2)‘*남*녀노소’의 북한어.
"* 學而時習(학이시습)*: 배우고 때때로 익힌다는 뜻으로, 선*학*(先學)에게 도(道)를 배우고, 언제나 반복 연습하는 자기완성을 위한
노력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
"* 虎視眈眈(호시탐탐)*: 범이 눈을 부릅뜨고 먹이를 노려본다는 뜻으로, 남의 것을 빼앗기 위하여 *형세*를 살피며 가만히 기회를
엿봄. 또는 그런 모양. ≪주역≫의 에 나오는 말이다.
#말 #*형세* #눈 #범 #약자 #비유 #먹이 #주역 #모양 #날카 #기회"
"* 枉尺直尋(왕척직심)*: 한 자를 굽혀서 여덟 자를 편다는 뜻으로, 조그만 양보로 큰 *이득*을 얻거나 작은 어려움을 참아 큰일을
이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이득* #여덟 #어려움 #이룸 #양보 #욕 #의미 #길이 #큰일 #정도"
"* 壯年(장년)*: 사람의 일생 중에서, *한창* 기운이 왕성하고 활동이 활발한 서른에서 마흔 안팎의 나이. 또는 그 나이의 사람.
#활발 #씩씩 #안팎 #마흔 #*한창* #일생 #활동 #기운 #서른 #나이 #왕성 #사람"
"* 無間地獄(무간지옥)*: 팔열 지옥(八熱地獄)의 하나. 오역죄를 짓거나, 절이나 탑을 헐거나, 시주한 재물을 축내거나 한 사람이
가는데, 한 겁(劫) 동안 끊임없이 *고통*을 받는다는 지옥이다.
#죄 #재물 #지옥 #*고통* #탑 #동안 #시주 #사람"
"* 兄弟之宜(형제지의)*: *형제*간의 정의라는 뜻으로, 주로 *형제*간처럼 지내는 정다운 친구간의 정의(情誼)를 의미함.
#친구 #*형제*간 #정의 #의미"
* 無辭可答(무사가답)*: 사리*가* 옳아 감히 무어라고 대답할 말이 없음.
"* 蒲柳質(포류질)*: 갯버들 같은 체질이라는 뜻으로, 갯버들의 나뭇잎이 가을이 되자마자 떨어지는 데서, 사람의 체질이 허약하거나
*나이*보다 일찍 노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忽忽不樂(홀홀불락)*: 실망스럽고 뒤숭숭하여 *마음*이 즐겁지 아니함.
#실망 #*마음*"
"* 車同軌(거동궤)*: 여러 지방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지방 #글자 #천하 #거동 #수레 #통일 #*상태*"
"* 偃旗息鼓(언기식고)*: *전쟁*터에서 군기를 누이고 북을 쉰다는 뜻으로, ‘휴전’을 이르는 말.
#누이 #*전쟁*터 #북"
"* 刻舟求劍(각주구검)*: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여씨*춘추*≫의 에
나오는 말이다.
#나중 #초나라 #생각 #현실 #사리 #표시 #융통성 #고집 #비유 #강물 #유래 #세상 #사람 #*춘추* #금 #고지식 #배 #말 #물속 #판단력 #칼 #물 #여씨*춘추* #
위치 #세상일 #자리"
* 折衝之臣(절충지신)*: 쳐들어오는 적을 물리친 충의의 *신하*(臣下).
"* 絃歌不輟(현가불철)*: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노래 #학문 #어려움 #계속 #거문고 #공자 #*고사* #유래"
"* 滅倫敗常(멸륜패상)*: 오륜(五倫)을 없애고 오상(五常)을 깨뜨린다는 뜻으로, 예의와 *도덕*을 함부로 어기고 짓밟음을 이르는 말.
#예의 #*도덕*"
"* 天下萬國(천하만국)*: *세상*에 있는 모든 나라.
#나라 #*세상*"
"* 燈火可親(등화가친)*: *등불*을 가까이할 만하다는 뜻으로, 서늘한 가을밤은 *등불*을 가까이 하여 글 읽기에 좋음을 이르는 말.
#밤 #시원 #가을밤 #*등불* #계절 #독서 #의미 #가까이 #서늘 #가을"
"* 摩拳擦掌(마권찰장)*: 주먹을 문지르고 손*바닥*을 비빈다는 뜻으로, 한바탕 해보려고 단단히 벼름을 이르는 말.
#손*바닥* #의미 #기운 #*바닥* #봄 #기회"
* 矛盾撞着(모순당착)*: 같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아니하고 모순됨.
"* 平允之士(평윤지사)*: 공평하고 진실한 선비라는 뜻으로, 공평 성실하여 가혹하지 않은 선비를 이르는 말에서 공평하고 사심이 없는
재판관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夫爲婦綱(부위부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 盈科而後進(영과이후진)*: 구멍을 가득 채운 뒤에 나간다는 뜻으로, 물이 흐를 때는 조금이라도 오목한 데가 있으면 우선(于先)
그곳을 가득 채우고 *아래*로 흘러간다는 말. 곧 사람의 배움의 길도 속성(速成)으로 하려 하지말고 차근차근 닦아 나가야 한다는 말."
"* 破甕救兒(파옹구아)*: 항아리를 깨뜨려 아이를 구한다는 뜻으로, 송(宋)의 사마광(司馬光)이 어릴 때 물독에 빠진 아이를 *돌*로
깨뜨려 구했다는 고사에서 어린아이의 지혜로움을 의미함."
"* 墜茵落溷(추인낙혼)*: {*꽃*잎이 날려} 이불(茵席: 인석)에 떨어지기도 하고 또는 뒷간에 떨어지기도 한다는 뜻으로, 사람에게는
때를 만남과 때를 만나지 못함이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席不暇暖(석불가난)*: 앉은 자리가 따뜻할 겨를이 없다는 뜻으로, 자리나 주소를 자주 옮기거나 매우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말 #겨를 #앉은자리 #방 #따뜻 #의미 #자리 #행동 #주소"
* 半身不遂(반신불수)*: 반신불수(半身不隨). (1) 몸의 좌우(左右) 어느 한*쪽*을 마음대로 잘 쓰지 못함 (2) 또는 그런 사람.
* 花中王(화중왕)*: 여러 가지 꽃 가운데 *왕*이라는 뜻으로, ‘모란꽃’을 달리 이르는 말.
* 山歌野唱(산가야창)*: 시골에서 부르는 순박한 노래.
* 散在各處(산재각처)*: 흩어져 여기저기에 있음.
* 靑山只磨靑(청산지마청)*: 푸른 산의 *모양*(模樣)은 항상(恒常) 변(變)하지 않음.
"* 與民偕樂(여민해락)*: 임금이 백*성과* 함께 즐김.
#백성 #임금"
"* 鳳飢不啄粟(봉기불탁속)*: 봉(鳳)은 굶주려도 좁*쌀*을 쪼지 않는다 함이니, 굳은 절개(節槪)를 뜻하는 말.
#절개 #좁*쌀* #말"
"* 雷歎(뇌탄)*: 탄식(歎息)하는 *소리*가 우레와 같다는 뜻으로, 크게 탄식(歎息)함.
#탄식 #우레 #*소리*"
"* 寒露(한로)*: (1)이십사절기의 하나. 추분과 상강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195도인 때이다. 10월 8일경이다.
(2)늦가을에서 초겨울 무렵까지의 *이슬*.
#*이슬* #일 #황경 #무렵 #한창 #때 #늦가을 #일곱 #기온 #태양 #10월 #8일 #추분 #사이"
* 梯山航海(제산항해)*: 험악(險惡)한 *산*을 넘고 배로 바다를 건넌다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 사신(使臣)으로 간다는 말.
* 萬里之任(만리지임)*: 왕도에서 멀리 떨어진 *땅*을 맡아보는 직무 또는 관직.
* 燈火可親(등화가친)*: 등불을 가까이할 만하다는 뜻으로, 서늘한 *가을*밤은 등불을 가까이 하여 글 읽기에 좋음을 이르는 말.
"* 山窮水盡(산궁수진)*: 산이 막히고 물줄기가 끊어져 더 갈 길이 없다는 뜻으로, 막다른 *경우*에 이름을 이르는 말.
#이름 #*경우* #극도 #앞 #어려움 #비유 #길 #산"
* 思無邪(사무사)*: 생각함에 사특함이 없음. *공자*가 시 305편을 산정(刪定)한 후 한 말이다.
"* 言美響美(언미향미)*: 말이 아름다우면 그 울림도 아름답다는 뜻으로, 인격이나 행동이 훌륭하면 자연 *명예*도 얻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명예* #말 #비유 #인격 #자연 #행동 #훌륭 #울림"
"* 餘桃之罪(여도지죄)*: 같은 *행동*(行動)이라도 사랑을 받을 때와 미움을 받을 때가 각기 다르게 받아 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비유(比喩)하는 말.
#말 #사랑 #때 #비유 #미움 #*행동*"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