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 전체글 2 티스토리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구글 트렌드
속담 모음

2024년 06월 15일 속담 (3)

by 사계절1 2024. 6. 15.




728x90
반응형

"* 風打浪打(풍타낭타)*: 바람이 치고 *물결*이 친다는 뜻으로, 일정한 주의(主義)나 주장 없이 그저 대세에 따라 행동함을 이르는 말.
#바람 #대세 #*물결* #일정 #비유 #주장 #주의 #행동"
"* 百家爭鳴(백가쟁명)*: (1)많은 학자나 문화인 등이 자기의 학설이나 주장을 자유롭게 발표하여, 논쟁하고 토론하는 일.
(2)1956년에 *중국* 공산당이 정치 투쟁을 위하여 내세운 슬로건. 마르크스주의는 다른 사상과 경쟁하면서 지도적 위치를 차지하여야
하며, 처음부터 절대적 유일사상은 없다고 주장하였다. 문화 혁명 기간 중에는 이 운동이 사라졌다가, 1976년에 문화 혁명 세력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문예ㆍ학술 분야에서 장려되기도 했다."
"* 枯木生花(고목생화)*: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신기 #마른나무 #말 #곤궁 #나무 #아들 #요행 #꽃 #의미 #*지경* #말라 #행운 #사람"
* 出嫁外人(출가외인)*: 시집간 딸은 친정 사람이 아니고 남이나 마찬*가지*라는 뜻으로 이르는 말.
농부
"* 三省(삼성)*: (1)매일 세 번 자신을 반성함. (2)의정부, 사헌부, 의금부의 관원들이 합좌하여 패륜을 *범*한 죄인을 국문하던
일. (3)만주 지린성 북부에 있는 개시장(開市場). 무단강과 쑹화강이 만나는 곳에 있으며 잡곡, 목재, 소가죽 따위의 집산지이다. ⇒규
*범* 표기는 ‘싼성’이다. (4)고려 시대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5)중국
당나라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6)발해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대성, 선조성, 정당성을 이른다."
"* 百不一失(백불일실)*: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의미 #백 #실수 #가운데 #목적"
"* 賜牌之地(사패지지)*: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외교 #땅 #고려 #시대 #*임금* #나라 #논밭 #벼슬아치 #분야 #토지 #조선 #따위"
"* 無血革命(무혈혁명)*: 피를 흘리지 아니하고 평화적 *수단*으로 이루는 혁명.
#방법 #혁명 #평화 #*수단*"
"* 結草(결초)*: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은혜* #갚음"
"* 大旱得甘雨他鄕逢故人(대한득감우타향봉고인)*: 큰 가뭄에 단비를 얻음이요, 타향(他鄕)에서 오랜 친구(親舊)를 만남.
#친구 #만남 #가뭄 #타향"
"* 割半之痛(할반지통)*: 몸의 반쪽을 베어 내는 *고통*이라는 뜻으로, 형제자매가 죽었을 때의 슬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몸 #베어 #형제자매 #때 #*고통* #슬픔"
"* 山容水態(산용수태)*: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산천*의 형세를 이르는 말.
#물 #용 #물의 #*산천* #모양 #산 #형세"
"* 忠魂義魄(충혼의백)*: *충성*스럽고 의로운 넋이라는 뜻으로, 충의의 정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충성* #넋 #충의 #정신 #의리 #목숨 #의미 #사람"
"* 借風使船(차풍사선)*: 바람을 빌려 배를 부린다는 뜻으로, 돈을 빌려 임시*변통*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배 #이익 #바람 #돈 #임시*변통* #표현 #꾀 #의미 #임시 #*변통* #힘"
"* 筆頭生花(필두생화)*: 붓 끝에 꽃이 핀다는 뜻으로, 당나라 이백이 어릴 적 붓끝에 꽃이 핀 꿈을 꾼 뒤부터 글재주가 크게
진보했다는 *고사*에서 문필(文筆)에 재주가 있음을 이르는 말."
"* 出藍(출람)*: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口耳之學(구이지학)*: 들은 것을 자기 생각 없이 그대로 남에게 전하는 것이 고작인 *학문*.
#*학문* #천박 #입 #의미 #생각 #자신 #귀"
"* 處暑(처서)*: 이십사절기의 하나. 입추와 백로 사이에 들며, *태양*이 황경 150도에 달한 시각으로 양력 8월 23일경이다.
#입추 #황경 #시각 #8월 #백 #*태양* #사이"
"* 內外兄弟(내외형제)*: 내종사촌과 외종사촌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사촌 #종사"
* 天數(천수)*: (1)타고난 수명. (2)*하늘*이 정한 운명.
"* 沈魚落雁(침어낙안)*: 미인을 보고 물 위에서 놀던 물고기가 부끄러워서 물속 깊이 숨고 하늘 높이 날던 기러기가 부끄러워서 땅으로
떨어졌다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인의 용모를 이르는 말. ≪*장자*≫ 에 나오는 말이다.
#용모 #땅 #미인 #말 #형용 #물속 #동물 #여인 #물 #*장자* #하늘 #높이"
"* 形而上(형이상)*: *이성*적 사유 또는 직관에 의해서만 포착되는 초경험적이며 근원적인 영역.
#영역 #존재 #근원 #시간 #초월 #파악 #사유 #관념 #형체 #감각 #경험 #형"
"* 覆水不收(복수불수)*: (1) 엎질러진 물은 다시 담지 못한다는 뜻 (2) 한 번 저지른 일은 다시 어찌 할 수 없음을 이름(3)
다시 어떻게 수습(收拾)할 수 없을 만큼 일이 그릇됨."
"* 搖脣鼓舌(요순고설)*: *입술*을 움직이고 혀를 찬다는 뜻으로, 함부로 남을 비평한다는 의미로 활용됨.
#*입술* #의미 #혀 #비평 #활용"
"* 犬馬之役(견마지역)*: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말.
#충성 #윗사람 #말 #노력 #자신 #힘 #*정도*"
"* 春意無分別人情有淺深(춘의무분별인정유천심)*: 봄의 뜻은 분*별*(分別)이 없으나(따스한 기운(氣運)으로 만물(萬物)을
생장(生長)시킴), 사람의 정은 깊고 얕음이 있음."
"* 平穩無事(평온무사)*: 조용하고 평안하여 아무 일이 없음.
#일 #조용 #평안"
* 凌摩絳霄(능마강소)*: 곤어(鯤魚)가 봉새(鳳-)로 변(變)하여 한 번 날면 구천(九天)에 이르니, 사람의 운수(運數)를 말함.
"* 爛柯(난가)*: (1)‘난가’의 북한어. (2)도낏자루가 썩는다는 뜻으로, 바둑 따위의 놀이에 정신이 팔려 세월 가는 줄 모름.
중국 진(晉)나라 때 왕질(王質)이라는 나무꾼이 두 동자가 바둑 두는 것을 구경하는 *동안*에 도낏자루가 썩어 버리고, 마을에 돌아오니
아는 사람이 다 죽었더라는 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伐性之斧(벌성지부)*: 인성(人性)을 베는 *도끼*라는 뜻으로, 여색에 빠지는 일을 이르는 말.
#성명 #일 #마음 #사람 #요행 #여색 #천부 #양심 #*도끼*"
"* 白髮紅顔(백발홍안)*: 머리털은 허옇게 세었으나 얼굴은 소년처럼 붉다는 뜻으로, 나이는 많은데 매우 젊어 보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强大無比(강대무비)*: 비할 데 없이 *강*대(强大)함.
"* 鴇羽之嗟(보우지차)*: 느시 깃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백성이 전쟁터에 나가 있어 그 어버이를 봉양하지 못하는 슬픈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에서 유래한다."
"* 鶴齡(학령)*: 두루미의 나이라는 뜻으로, 장수한 노인의 나이를 이르는 말.
#장수 #연령 #나이 #노인 #늙은이"
"* 干將莫耶(간장막야)*: (1)중국 춘추 *시대*의 두 자루의 명검. 간장은 오나라의 장인(匠人)이고 막야는 그의 아내인데 이들이
협력해서 오나라 왕 합려(闔閭)를 위하여 음양(陰陽)의 두 칼을 만들었다고 한다. (2)‘명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經達權變(경달권변)*: 그때그때의 처지(處地)나 형편(形便)에 따라 알맞은 수단(手段)을 취함을 이르는 말.
#그때 #그때그때 #형편 #수단"
"* 周遊天下(주유천하)*: *천하*를 두루 돌아다니며 구경함.
#*천하* #구경 #의미 #세상"
"* 不肖子弟(불초자제)*: 어버이의 덕행이나 사업을 이어받지 못한 자손.
#*자제* #덕망 #의미 #자손 #어버이 #사업 #덕행"
"* 揮淚斬馬謖(후루참마속)*: 눈물을 *뿌리*면서 마속을 베다라는 뜻으로, 군율을 지키기 위해 아까운 장수 마속을 눈물을 흘리면서
베었던 제갈량의 고사에서, 천하의 법도에는 사정(私情)이 있을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눈물 #장수 #법도 #제갈량 #비유 #천하 #사정 #고사 #*뿌리*"
"* 姑息之計(고식지계)*: 우선 당장 편한 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 한때의 안정을 얻기 위하여 임시로 둘러맞추어 처리하거나
이리저리 주선하여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른다."
"* 恃德者昌(시덕자창)*: 덕을 믿는 사람은 창성한다는 뜻으로, 올바른 덕에 *의지*하는 사람은 번영(繁榮)한다는 의미.
#의미 #*의지* #번영 #사람"
* 存身之道(존신지도)*: *몸*을 편안(便安)하게 보존(保存)하는 길.
* 蜂房水渦(봉방수와)*: 벌의 집과 물의 소용돌이라는 뜻으로, 건물(建物)이 꽉 들어차 있는 모양(模樣)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 照松之勤(조송지근)*: *소나무*에 비춘 부지런함이라는 뜻으로, 등불을 켤 돈이 없어서 관솔불[송진이 많이 엉긴 *소나무* 가지나
옹이에 붙인 불]에 비춰 글을 읽는 일에서 면학(勉學)에 간절함을 이르는 말.
#일 #등불 #돈 #불 #간절 #부지런 #부지런함 #*소나무*"
"* 虎死留皮人死留名(호사유피인사유명)*: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은 죽어서
명예를 남겨야 함을 이르는 말.
#명예 #이름 #호랑이 #*가죽* #사람"
"* 南方之强(남방지강)*: 중국(中國) *남*쪽 지방(地方) 사람들의 강(强)함이라는 뜻으로, (1) 관용(寬容)과 인내(忍耐)로 *남*에게
이기는 것 (2) 전(傳)하여 '군자(君子)의 용기(勇氣)'를 이름.
#이름 #강 #지방 #용 #중국 #군자 #*남*쪽 #사람"
"* 有始有終(유시유종)*: 처음도 있고 끝도 있다는 뜻으로, *시작*한 일을 끝까지 마무리함을 이르는 말.
#일 #때 #끝 #*시작* #마무리 #처음"
"* 暗雲低迷(암운저미)*: 비가 올 듯한 검은 *구름*이 낮게 드리운다는 뜻으로, 위험(危險)한 일이나 중대(重大) 사건(事件) 따위,
좋지 않은 일이 곧 일어날 것 같은 불안(不安)한 정세(情勢)를 이르는 말.
#일 #중대 #정세 #사건 #위험 #*구름* #불안 #따위"
"* 祝聖婚(축성혼)*: 성(聖)스러운 결혼(結婚)을 *축하*(祝賀)함.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축하* #결혼 #성"
* 學行一致(학행일치)*: 배움과 실천이 하나로 들어맞음. 또는 배운 대로 실행함.
"* 寵增抗極(총증항극)*: 총애(寵愛)가 더할수록 교만(驕慢)한 태도(態度)를 *부리*지 말고 더욱 조심하여야 함.
#조심 #총애 #교만 #태도"
"* 善巧攝化(선교섭화)*: 부처나 보살이 여러 가지 훌륭한 *방법*으로 중생을 교화하는 일.
#*방법* #일 #이익 #보살 #부처 #중생 #훌륭 #교묘 #교화"
"* 孫康映雪(손강영설)*: 어려운 가운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손강(孫康)이 몹시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으로 공부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夜不閉門(야불폐문)*: 밤에 대문을 닫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세상이 *태평*하여 인심이 순박함을 이르는 말.
#밤 #말 #순박 #*태평* #세상 #대문 #인심"
"* 投兵息戈(투병식과)*: 병기를 던지고 창을 멈춘다는 뜻으로, *전쟁*이나 싸움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이름 #창 #병 #*전쟁* #의미 #침 #싸움"
"* 負薪救火(부신구화)*: 땔나무를 지고 불을 끈다는 뜻으로, 재해(災害)를 방지(防止)하려다가, 자기(自己)도 말려들어가 자멸하거나
*도리*어 크게 손해(損害)를 입음을 이르는 말."
"* 風雲大手(풍운대수)*: 천도교에서, 시대 *형편*의 대세를 이르는 말.
#시대 #천도교 #*형편* #대세"
"* 絶人之力(절인지력)*: 남보다 훨씬 뛰어난 *힘*.
#*힘*"
"* 淸平世界(청평세계)*: 맑고 태평한 세상.
#태평 #평안 #세상"
원망
동서
* 福過災生(복과재생)*: *복*이 너무 지나치면 도리어 재앙이 생김.
"* 三十成道(삼십성도)*: 석*가모*니가 서른 살에 대도(大道)를 이룬 일.
#석*가모*니 #일 #서른 #석가"
"* 蒼蒼少年(창창소년)*: 앞길이 창창하여 희망에 차 있는 *젊은*이.
#창창 #희망 #앞 #앞길 #*젊은*이 #길이"
"* 更無道理(갱무도리)*: 다시는 어찌하여 볼 *도리*가 없음.
#어찌"
* 三喜聲(삼희성)*: 마음을 기쁘게 하는 세 가지 소리. 다듬이 소리, 글 읽는 소리, 갓난*아이* 우는 소리를 이른다.
"* 弄璋之慶(롱장지경)*: (1)아들을 낳은 즐거움. 예전에,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규옥(圭玉)으로 된 *구슬*의 덕을 본받으라는
뜻으로 *구슬*을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농장지경’의 북한어.
#*구슬* #아이 #표현 #예전 #놀이 #아들 #남자 #기쁨 #의미 #중국 #지경 #장난 #즐거움 #경사 #유래 #아이들"
"* 寸馬豆人(촌마두인)*: 말은 한 치 *정도*이고 사람은 팥알 *정도*라는 뜻으로, 먼 곳에 있는 말과 사람이 매우 작게 보임을
이르는 말."
"* 長登施主(장등시주)*: 부처 앞에 불을 켜는 *기름*을 시주(施主)함.
#앞 #불 #*기름* #부처 #시주"
"* 力透紙背(역투지배)*: 힘이 종이 뒤로 뚫린다는 뜻으로, 필력(筆力)이 사무친다는 *의미*로 필법(筆法)이 날카롭고 힘찬 것을
비유하거나 시(詩)의 내용이 근엄하고 고결함을 비유하여 이름.
#내용 #이름 #법 #고결 #필법 #비유 #*의미* #종이 #힘"
"* 犯禁八條(범금팔조)*: 고조선 때에 시행한 여덟 가지의 금법(禁法). 살인자는 죽이고, 남을 다치게 한 자는 곡물로 배*상하*며,
도둑질을 한 자는 종으로 삼는다는 따위의 세 조항이 전한다."
"* 入國問俗(입국문속)*: *나라*에 들어가면 풍속을 묻는다는 뜻으로, 그 *나라*에 들어가면 그 *나라* 풍속을 따라서 좇아야 함을
이르는 말. [ = 入境問俗(입경문속) ]."
"* 車同軌書同文(거동궤서동문)*: 여러 지방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지방 #글자 #천하 #*수레* #통일 #상태"
"* 材大難用(재대난용)*: 재목(材木)이 너무 커서 *도리*어 쓰지 어렵다는 말로, 재주 있는 이가 불우(不遇)한 처지(處地)에 있음을
이르는 말."
* 親不因媒(친불인매)*: *부부*(夫婦)의 의가 좋은 것은 중매(仲媒)에 의함이 아님.
"* 喜悲哀歡(희비애환)*: 기쁨과 슬픔과 애처로움과 *즐거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
#감정 #슬픔 #*즐거움* #기쁨"
"* 百尺竿頭進一步(백척간두진일보)*: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다달아 또 한*걸음* 더 나아간다는 뜻으로, 이미 할 수 있는 일을
다한 것인 데 또 한 *걸음* 나아간다 함은 더욱 노력(努力)하여 위로 향한다는 말.
#일 #말 #노력 #장대 #*걸음* #백"
* 期頤之壽(기이지수)*: 백세가 되는 사람의 *나이*라는 뜻으로, 백 살이 된 *나이*를 이르는 말.
"* 勿輕小事(물경소사)*: 작은 일도 가볍게 *여기*지 말라는 뜻으로, 사소한 일이라 하더라도 신중하게 대처하라는 의미.
#의미 #일 #신중 #대처"
* 更無道理(갱무도리)*: 다시는 어찌하여 볼 *도리*가 없음.
"* 萬里前程(만리전정)*: 만 리까지 펼쳐진 앞길이라는 뜻으로, *젊은*이의 희망이 가득 찬 앞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희망 #앞길 #비유 #*젊은*이"
* 倚門而望(의문이망)*: 어머니가 대문에 기대어 서서 자식이 *돌*아오기를 기다림. 또는 그런 어머니의 마음.
"* 後身外己(후신외기)*: 내 몸을 뒤로 하고 *자기*를 밖으로 한다는 뜻으로, *자기*의 일은 뒷전으로 돌리고 남을 위하여 힘을
다함을 이르는 말."
"* 乙丑甲子(을축갑자)*: 육십갑자에서 갑자 다음에 을축이 오게 되어 있는데 을축이 먼저 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 제대로 되지
아니하고 *순서*가 뒤바뀜을 이르는 말.
#일 #그것 #상황 #육십갑자 #다음 #*순서* #반대"
* 無學無識(무학무식)*: 배운 것이 없고 아는 것이 없음.
"* 晝思夜度(주사야탁)*: 밤낮으로 *깊이* 생각하고 헤아림.
#밤 #생각 #의미 #낮 #밤낮"
"* 父母有命府首聞之(부모유명부수문지)*: *부모*(父母)님께서 명하심이 있으면 머리를 숙이고 들어야 함.
#*부모* #머리"
* 英雄之材(영웅지재)*: 영웅이 될 자질을 갖춘 *사람*.
"* 行雲流水(행운유수)*: (1)떠가는 구름과 흐르는 물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일정한 형태가 없이 늘 변함. (3)일의 처리가
*자연*스럽고 거침이 없음. (4)마음씨가 시원하고 씩씩함."
"* 鯨波(경파)*: 고래 같은 파도라는 뜻으로, 큰 *물결*이나 파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물결* #파도 #비유 #고래"
"* 頭東尾西(두동미서)*: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일 #때 #제물 #*머리* #동쪽 #서쪽 #꼬리 #제사상 #따위 #제사"
"* 萬全策(만전책)*: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위험 #실패 #*계책* #안전 #완전"
"* 一石二鳥(일석이조)*: 돌 한 개를 던져 새 두 마리를 잡는다는 뜻으로, 동시에 두 가지 이득을 봄을 이르는 말.
#*일* #새 #이득 #마리 #봄"
"* 罪疑惟輕(죄의유경)*: 죄가 의심스러우면 가벼움을 도모한다는 뜻으로, 죄상이 확실하지 못하여 벌의 경중을 *판단*하기 얼울 때는
가벼운 쪽을 따른다는 의미.
#죄 #확실 #때 #도모 #의미 #의심 #경중 #*판단* #가벼움 #쪽"
* 妾御績紡(첩어적방)*: 남자(男子)는 밖에서 일하고, 여자(女子)는 안에서 길쌈을 함.
"* 當意卽妙(당의즉묘)*: (1) 그 *경우*(境遇)에 적합(適合)한 재치를 그 자리에서 부림, 곧 임기응변(臨機應變) (2) 그
자리의 분위기(雰圍氣)에 맞추어 즉각 재치 있는 언동(言動)을 함.
#자리 #언동 #적합 #*경우*"
* 自我作古(자아작고)*: 옛일에 구애(拘礙)됨이 없이 모*범*(模範)이 될 만한 일을 자기(自己)부터 처음으로 만들어 냄을 이르는 말.
"* 末大必折(말대필절)*: 나무 가지가 너무 커지면 반드시 줄기가 부러진다는 뜻으로, 자손(子孫)이 강성해지면 종가(宗家)를 망하게
한다는 의미. 또는 변방(邊方)의 *힘*이 강해지면 나라가 위태하다는 의미도로 사용됨."
"* 狼狽(낭패)*: (1)‘낭패’의 북한어. (2)계획한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기대에 어긋나 매우 딱하게 됨.
#일 #낭패 #*실패* #계획 #형편"
* 明明之志(명명지지)*: 마음 속에 깊이 간직하여 외부(外部)에 드러내지 않고 *힘*쓰는 뜻.
"* 膏粱(고량)*: (1)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2)부귀한 가문.
#*곡식* #가문 #음식 #부귀 #고량진미"
"* 秋無擔石(추무담석)*: 중국의 주나라에서 담(擔)은 2석(石), 석(石)은 1석으로 아주 적은 분량을 이르던 데서, 집이 *가난*해서
가을에도 아무 수확이 없음을 이르는 말."
* 天傾西北邊地卑東南界(천경서북변지비동남계)*: *하늘*은 서북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땅은 동남쪽(東南-) 경계(境界)로 낮음.
* 北風寒雪(북풍한설)*: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차가운 눈.
* 滅門之患(멸문지환)*: 한 집안이 다 죽임을 당하는 끔찍한 *재앙*.
"* 閉戶先生(폐호선생)*: 집 안에 틀어박혀 *독서*만 하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집 #*독서* #밖 #선생 #사람"
"* 南柯一夢(남가일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高下在心(고하재심)*: 놀고 낮음이 마음에 있다는 뜻으로, 높이 하거나 낮게 하는 것은 다 마음 쓰기에 달렸다는 *의미*인데, 1
마음먹기에 따라 일의 성패가 판가름나는 일을 *의미*하거나, 2. 진퇴상벌의 권리를 마음대로 하는 일을 *의미*하기도 함."
"* 利用厚生(이용후생)*: (1)‘이*용*후생’의 북한어. (2)기구를 편리하게 쓰고 먹을 것과 입을 것을 넉넉하게 하여, 국민의
생활을 나아지게 함."
"* 舟非水不行(주비수불행)*: 배는 물이 없으면 나아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임금*은 백성이 없으면 *임금*이 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春風化雨(춘풍화우)*: 봄바람과 알맞게 내리는 비라는 뜻으로, (1) *자연*(自然)이 만물(萬物)을 육성(育成)하는 힘 (2)
이를 교육(敎育)에 비유(比喩)해 인재(人材) 육성(育成)을 위(爲)한 훌륭한 교육(敎育)을 이르는 말."
"* 無足可責(무족가책)*: 사람의 됨됨이가 가히 *책*망을 할 가치조차 없음.
#가치 #*책*망 #사람됨 #사람"
"* 芝蘭之交(지란지교)*: 지초(芝草)와 난초(蘭草)의 교제라는 뜻으로, *벗* 사이의 맑고도 고귀한 사귐을 이르는 말.
#난초 #교제 #*벗* #친구 #선 #관계 #비유 #군자 #지초 #고귀 #고상 #선인 #사이"
"* 名不虛得(명불허득)*: 명예나 명성은 헛되이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님.
#명예 #명성 #말"
"* 截髮易酒(절발역주)*: 머리를 잘라 술과 바꾼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에 대(對)한 모정(母情)의 지극(至極)함을 이르는 말.
#*자식* #술 #지극 #머리"
"* 騎虎之勢(기호지세)*: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형세라는 뜻으로, 이미 시작한 일을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言行一致(언행일치)*: 말과 *행동*이 하나로 들어맞음. 또는 말한 대로 실행함.
#*행동* #말 #실행"
"* 秋葉霜前落春花雨後紅(추엽상전락춘화우후홍)*: *가을* 잎은 서리 앞에서 떨어지고, 봄꽃은 비온 뒤에 붉음.
#앞 #비오 #잎 #서리 #*가을*"
"* 滿面喜色(만면희색)*: 얼굴에 *가득* 찬 기쁜 빛.
#의미 #빛 #얼굴"
* 朝變夕改(조변석개)*: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자주 고침을 이르는 말.
"* 禍因惡積(화인악적)*: *재앙*(災殃)은 악(惡)을 쌓음에 인(因)한 것이므로, *재앙*(災殃)을 받는 이는 평소(平素)에
악(惡)을 쌓았기 때문임."
"* 尊卑貴賤(존비귀천)*: 사회적 *지위*나 신분의 높음과 낮음 또는 귀함과 천함.
#귀함 #신분 #*지위* #사회적 #귀"
* 卓爾不群(탁이불군)*: 높이 뛰어나 *무리*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월등하게 높이 뛰어나서 일반 사람들과는 다르다는 의미.
"* 獨木橋冤家遭(독목교원가조)*: 원수(怨讐)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회피(回避)할 수 없는
경우(境遇)를 가리킴. 일이 나쁜 형태(形態)로 공교(工巧)롭게 마주치는 것을 이르는 말.
#형태 #일 #경우 #원수 #공교 #다리 #속담 #회피"
"* 腹以懷我乳以哺我(복이회아유이포아)*: 배로써 나를 품어 주시고 젖으로써 나를 먹이심.
#먹이 #배 #젖"
"* 天子之義(천자지의)*: *천자*가 지켜야 할 길.
#길 #*천자*"
"* 至公無私(지공무사)*: 지극히 공정하여 사사로움이 없음.
#공평 #마음 #공정 #나위"
"* 虛掌實指(허장실지)*: *붓*글씨에서, 손바닥을 넓게 펴고 손가락에 힘을 주어 *붓*을 잡는 방법.
#일 #손가락 #*붓* #손바닥 #때 #*붓*글씨 #방법 #힘"
"* 春風駘蕩(춘풍태탕)*: 봄*바람*이 온화(溫和)하게 분다는 뜻으로, 인품(人品)이나 성격(性格)이 온화(溫和)하고 여유(餘裕)가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滄海桑田(창해상전)*: 푸른 바다가 변하여 *뽕나무*밭이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뽕밭 #말 #*뽕나무* #나무 #밭 #*뽕나무*밭 #세상일 #변천 #세상"
* 夫婦之情(부부지정)*: 남편과 아내 *사이*의 애정(愛情).
"* 金石之交(금석지교)*: 쇠나 돌처럼 굳고 변함없는 사귐.
#의미 #변함 #쇠 #우정"
"* 借風使船(차풍사선)*: 바람을 빌려 배를 부린다는 뜻으로, 돈을 빌려 임시변통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배 #이익 #바람 #돈 #임시변통 #표현 #꾀 #*의미* #임시 #변통 #힘"
"* 濟世安民(제세안민)*: 세상을 구제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함.
#백성 #의미 #*편안* #구제 #세상"
"* 末學膚受(말학부수)*: 말단의 학문을 피부로만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근본*을 배우지 않고 겉껍질만을 배우는 학문의 천박함을 이르는
말."
* 母生(모생)*: 인자(仁慈)한 애정(愛情)으로 길러주는 어버이의 뜻으로, 남에게 대(對)해 *자기*(自己) 어머니를 일컫는 말.
"* 百壽百福(백수백복)*: (1)긴 수명과 온갖 복. (2)여러 가지의 전자(篆字)로 써 놓은 ‘壽福’ 글자. 수복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게문이나 두껍닫이 따위에 써 붙였다.
#복 #갖가지 #기원 #수명 #글자 #따위"
"* 無常遷流(무상천류)*: 인간 *세상*이 쉬지 않고 변천함.
#인간 #*세상* #변천 #흐름"
"* 傳來之風(전래지풍)*: 예전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풍속*.
#예전 #*풍속*"
"* 後生可畏(후생가외)*: *젊은* 후학들을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 후진들이 선배들보다 젊고 기력이 좋아, 학문을 닦음에 따라 큰
인물이 될 수 있으므로 가히 두렵다는 말.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선배 #한편 #말 #진보 #기력 #학문 #때문 #후배 #인물 #의미 #선배들 #나이"
* 言正理順(언정이순)*: 말이나 *이치*가 바르고 옳음.
* 溫衣美飯(온의미반)*: 따뜻한 옷과 맛좋은 밥이라는 뜻으로, 따뜻한 의복을 입고 맛있는 음식을 먹는 안락한 생활을 한다는 *의미*.
"* 面目一新(면목일신)*: 얼굴이 아주 새로워졌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에 대(對)한 체면(體面)이나 명예(名譽), 사물(事物)의
모양(模樣), 일의 *상태*(狀態)가 완전(完全)히 새롭게 됨을 이르는 말."
"* 博學多才(박학다재)*: *학식*이 넓고 재주가 많음.
#재주 #정통 #학문 #*학식* #학 #사람"
"* 愚公移山(우공이산)*: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집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대대로 산의 흙을 파서 나르겠다고 하여 이에 감동한 하느님이 산을 옮겨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에 나오는 말이다.
#일 #말 #*노력* #집 #공이 #감동 #유래 #비유 #우공 #하느님 #노인 #흙 #산 #성공"
"* 艱難辛苦(간난신고)*: 몹시 힘들고 어려우며 *고생*스러움.
#의미 #*고생* #고통"
"* 改過遷善(개과천선)*: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허물* #주저 #지난날 #잘못 #길 #의미 #자신"
"* 秋收冬藏(추수동장)*: *가을*에 곡식(穀食)을 거두고 겨울이 오면 그것을 저장(貯藏)함.
#곡식 #그것 #*가을* #겨울"
"* 豊年花子(풍년화자)*: 풍년(豊年) 거지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여러 사람이 다 이익(利益)을 볼 때에 *혼자* 빠져
이익(利益)을 못 봄을 이르는 말.
#이익 #풍년 #때 #*혼자* #속담 #봄 #사람"
* 多言數窮(다언삭궁)*: 말이 많으면 자주 곤란(困難)한 *처지*(處地)에 빠짐.
"* 不酒草肉(부주초육)*: *승려*가 술, 담배, 고기를 입에 대지 아니하는 일.
#일 #대지 #*승려* #입 #술"
"* 岳翁(악옹)*: *아내*의 아버지.
#*아내*"
* 前後不計(전후불계)*: 오직 한 가지 일에만 마음을 *돌*리고 앞뒤 사정을 헤아리지 아니함.
"* 泗上弟子(사상제자)*: *공자*의 제자.
#학파 #제자 #의미 #孔子 #근처 #*공자*"
"* 半死之境(반사지경)*: 반죽음이 된 상태.
#*지경* #상태"
* 寡不敵衆(과부적중)*: (1)‘과부적중’의 북한어. (2)적은 수*효*로 많은 수*효*를 대적하지 못함.
"* 哲夫成成哲婦傾城(철부성성철부경성)*: 현명(賢明)한 남자(男子)는 성을 흥하게 하지만, 영리(怜悧ㆍ伶俐)한 *여자*(女子)는 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지나치게 똑똑한 여성(女性)은 오히려 화를 불러옴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存亡之秋(존망지추)*: 존속과 멸망, 또는 생존과 사망이 결정되는 아주 절박한 경우나 *시기*.
#존재 #중대 #경우 #생존 #때 #존속 #의미 #결정 #위급 #절박 #멸망"
"* 四通八達(사통팔달)*: 도로나 교통망, 통신망 따위가 이리저리 사방으로 통함.
#사면 #팔방 #사방 #길 #의미 #군데 #길이 #힘 #통 #따위"
"* 長句之學(장귀지학)*: 문장(文章)의 장(章)과 귀(句)의 해석(解釋)에만 치우쳐 전체(全體)의 대의(大意)에는 통(通)하지
않으므로, 중국(中國) 한대(漢代) 훈고*학*(訓詁學)의 일컬음."
"* 櫨木櫃(로목궤)*: (1)융통성이 전혀 없는 미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딸을 둔 노인이 거먕옻*나무* 궤를 짜서 남몰래
쌀 쉰닷 말을 넣어 두고 이것을 알아맞히는 사람을 사위로 삼기로 했는데, 그 사실을 알게 된 장사꾼이 사위가 된 후로 장인이 부르기만
하면, ‘노목궤, 쌀 쉰닷 말’ 하는 말만 되풀이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노목궤’의 북한어."
"* 壽福康寧(수복강녕)*: 오래 살고 복을 *누리*며 건강하고 평안함.
#건강 #복 #평안 #탈 #장수 #기원 #사용 #의미 #행복"
* 朋友責善(붕우책선)*: *벗*끼리 서로 좋은 일을 하도록 권함.
"* 身言書判(신언서판)*: (1)중국 당나라 때에 관리를 선출하던 네 가지 표준. 즉 체모(體貌)의 풍위(豐偉), 언사(言辭)의
변정(辯正), 해법(楷法)의 준미(遵美), 문리(文理)의 우장(優長)을 이른다. (2)예전에, 인물을 선택하는 데 표준으로 삼던 조건.
곧 신수, 말씨, 문필, *판단*력의 네 가지를 이른다.
#잡음 #당나라 #조건 #후대 #표준 #기준 #*판단*력 #때 #나라 #관리 #인물 #몸가짐 #중국 #본래 #선택 #풍 #자리 #말씨 #예전 #등용"
싸움
"* 落花流水(락화류수)*: (1)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를 이르는 말. (2)살림이나 세력이 약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떨어지는 꽃에 정(情)이 있으면 물에도 또한 정이 있어 떨어지는 꽃은 물이 흐르는 대로
흐르기를 바라고 유수는 떨어지는 꽃을 띄워 흐르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남녀가 서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4)춘앵전이나 처용무에서,
두 팔을 좌우로 한 번씩 뿌리는 춤사위. (5)1929년에 발매한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가요. 김서정(金曙汀)이 작사ㆍ작곡하고,
이정숙(李貞淑)이 노래하였다. 1927년에 만들어진 동명의 무성 *영화*의 주제가이다. (6)‘낙화유수’의 북한어.
#창작 #보잘것 #좌우 #여자 #노래 #애틋 #비유 #힘 #봄 #남자 #남녀 #사모 #경치 #우리 #세력 #우리나라 #뿌리 #살림 #물 #꽃 #의미 #사용 #나라 #무성 #*영화*"
스승
"* 仰天大笑(앙천대소)*: 터져 나오는 웃음을 참을 수 없거나 어이가 없어서 *하늘*을 쳐다보고 크게 웃음.
#큰소리 #*하늘* #웃음"
"* 薄脣輕言(박순경언)*: 엷은 *입술*로 경망스럽게 말한다는 뜻으로, 경솔하게 말이 많다는 의미.
#말 #*입술* #의미 #경망 #경솔"
"* 不惡而嚴(불오이엄)*: 미워하지 않으면서도 엄하다는 뜻으로, 미워하여 꾸짖거나 하지 않으면서도 *위엄* 있는 태도를 가진다는
의미인데, 주로 소인을 멀리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위엄* #소인 #의미 #태도 #방법"
"* 吮疽之仁(연저지인)*: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 難上之木勿仰(난상지목물앙)*: 오르지 못할 *나무* 쳐다보지도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될 수 없는 일은 바라지 말라는 뜻.
"* 映雪讀書(영설독서)*: 눈(雪)빛에 비쳐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가난을 무릅쓰고 학문(學問)함을 이르는 말.
#책 #빛 #학문 #눈 #가난"
* 天下之望(천하지망)*: *세상* 사람이 우러러 바람.
"* 合掌拜禮(합장배례)*: 두 손*바닥*을 마주 대고 절함.
#손*바닥* #*바닥*"
* 終南捷經(종남첩경)*: 종*남*산(終南山)이 지름길이라는 뜻으로, 쉽게 벼슬하는 길을 이르는 말.
"* 弟雖有過須勿聲責(제수유과수물성책)*: 아우에게 비록 *허물*이 있더라도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않음.
#큰소리 #*허물* #아우"
"* 炊金饌玉(취금찬옥)*: *금*으로 밥을 짓고 옥으로 반찬을 만든다는 뜻으로, 좋은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감사 #사치 #주옥 #밥 #*금* #의미 #반찬 #음식 #황*금* #활용"
* 天變地異(천변지이)*: 하늘과 *땅*에서 일어나는 자연계의 여러 가지 변동과 이변.
"* 師弟同行(사제동행)*: (1)스승과 *제자*가 함께 길을 감. (2)스승과 *제자*가 한마음으로 연구하여 나아감.
#나아감 #마음 #한마음 #활동 #사용 #교육 #*제자* #스승 #의미 #길 #연구 #총칭"
"* 魚頭一味(어두일미)*: *물고기*는 머리 쪽이 그중 맛이 있다는 말.
#그중 #말 #대가리 #머리 #맛 #쪽"
"* 累卵之勢(루란지세)*: (1)층층이 쌓아 놓은 *알*의 형세라는 뜻으로, 몹시 위태로운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누란지세’의 북한어."
* 孤城落日(고성낙일)*: 외딴 성과 서산에 지는 해라는 뜻으로, *세력*이 다하고 남의 도움이 없는 매우 외로운 처지를 이르는 말.
* 犬牙差互(견아차호)*: 개의 이빨처럼 *사물*이 서로 어긋남.
"* 遠交近攻(원교근공)*: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격함. 중국 전국 *시대*의 외교 정책으로,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 掣肘(철주)*: 팔굽을 당긴다는 뜻으로, 간섭하여 마음대로 하지 못하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여씨춘추≫ 의 공자의 제자
복자천(宓子賤)에 얽힌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명모
"* 隴斷(농단)*: 농단(壟斷). (1)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은 언덕 (2) (옛날 어떤 사람이 높은 곳에 올라가 *시장*(市場)을
살펴보고 자기(自己) 물건(物件)을 팔기에 적당(適當)한 곳으로 가서, 시리(市利)를 독점(獨占)했다는 옛일에서)이익(利益)을
독점(獨占)함.
#이익 #적당 #독점 #옛일 #*시장* #언덕 #옛날 #물건 #사람"
"* 山林處士(산림처사)*: 벼슬을 하지 않고 세속을 떠나 산골에 파묻혀 글이나 읽고 지내는 *선비*.
#산골 #속세 #시골 #초야 #벼슬 #세속 #*선비* #산"
* 非肉不飽(비육불포)*: 고기를 먹지 아니하면 배가 부르지 아니하다는 뜻으로, 늙은이가 쇠약해진 *지경*을 이르는 말.
"* 山紫水明(산자수명)*: 산은 자줏빛이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경치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빛 #자줏빛 #물 #강물 #산수 #경치 #산 #*아름다움*"
"* 四知(사지)*: 두 사람만의 비밀이라도 어느 때고 반드시 남이 알게 됨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後漢)의 양진(楊震)이 형주
자사(荊州刺史)로 부임했을 때, 왕밀(王密)이 밤중에 찾아와서 당신과 나밖에는 아무도 알 사람이 없다 하며 금(金) 열 근을 바쳤을
때,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내가 알고 자네가 안다 하며 받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후한*서≫의 에 나오는 말이다.
#*후한* #마련 #비밀 #땅 #말 #사람 #부임 #왕 #상대편 #때 #금 #자네 #중국 #하늘 #밖 #밤중 #유래 #형 #사이"
"* 諸子百家(제자백가)*: 춘추 전국 *시대*의 여러 학파. 공자(孔子), 관자(管子), 노자(老子), 맹자(孟子), 장자(莊子),
묵자(墨子), 열자(列子), 한비자(韓非子), 윤문자(尹文子), 손자(孫子), 오자(吳子), 귀곡자(鬼谷子) 등의 유가(儒家),
도가(道家), 묵가(墨家), 법가(法家), 명가(名家), 병가(兵家), 종횡가(縱橫家), 음양가(陰陽家) 등을 통틀어 이른다."
"* 春蘭秋菊(춘란추국)*: 봄의 난초(蘭草)와 가을의 *국화*(菊花)는 각각(各各) 특색(特色)이 있어 어느 것이 더 낫다고 할 수
없음.
#특색 #난초 #각각 #*국화* #봄 #가을"
"* 風前之塵(풍전지진)*: 바람 앞의 먼지라는 뜻으로, 사물의 *변화*가 덧없음을 이르는 말.
#사물 #티끌 #바람 #앞 #비유 #무상 #*변화*"
"* 活潑潑地(활발발지)*: 활기가 넘친다는 뜻으로, *물고기*가 뛰는 것처럼 힘이 좋은 일이나, 넘칠 정도의 활기가 있는 상태를
의미함. * ‘地’는 접미사 역할.
#일 #기세 #활동 #의미 #모양 #힘 #역할 #정도 #상태"
축하
"* 如渡得船(여도득선)*: 강을 건너려 하는 데 마침 나루터에서 배를 얻었다는 뜻으로, 필요(必要)한 것이나 *상황*(狀況)이 바라는
대로 됨이나 부처의 자비(慈悲)를 입음을 이르는 말.
#자비 #배 #강 #*상황* #필요 #부처"
"* 芝焚蕙嘆(지분혜탄)*: 지초가 불타니 혜초가 *탄식*한다는 뜻으로, 동류(同類)가 입은 재앙이 자기에게도 근심이 되는 것처럼
안타까워함.
#혜초 #초가 #*탄식* #동류 #재앙 #입 #지초 #근심"
"* 嘗膽(상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前覆後戒(전복후계)*: 앞에서 전복되면 뒤에서 경계한다는 뜻으로, 앞 수레의 전복이 뒷 수레의 경계가 되듯이 앞사람의 *실패*를
보고 뒷사람은 경계를 삼아야 한다는 의미.
#말 #앞사람 #앞 #*실패* #자국 #의미 #수레 #경계 #실수 #사람"
"* 東史(동사)*: (1)동국의 역사라는 뜻으로, 우리나라 역사를 이르던 말. (2)조선 후기의 학자 이종휘가 지은 역사책. 기전체
형식으로 쓰였는데, 고조선과 부여ㆍ고구려ㆍ발해ㆍ삼한 등을 *하나*로 연결하는 역사 체계를 정리하였다."
"* 忍之爲德(인지위덕)*: 참는 것이 덕이 됨을 이르는 말.
#미덕"
"* 靑山可埋骨(청산가매골)*: 멀리 보이는 푸른 산 어디든지 뼈를 묻을 수 있다는 뜻으로, 대장부(大丈夫)는 반드시 고향(故鄕)에다
뼈를 묻어야만 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됨을 이르는 말.
#장부 #고향 #*생각* #뼈 #산 #어디"
"* 百日天下(백일천하)*: 1815년 3월에 엘바섬을 탈출한 나폴레옹 일세가 파리에 들어가 제정(帝政)을 부활한 후부터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하여 퇴위할 때까지 약 100일간의 *지배*.
#일 #*지배* #기간 #제정 #때 #영화 #천하 #전투 #정권 #파리 #동안 #패배"
"* 合浦珠還(합포주환)*: 합포에 구슬이 돌아왔다는 뜻으로, 지방장관이 선정(善政)을 베풂을 이르거나 잊었던 것을 다시 찾았다는 의미로
*사용*됨."
"* 騎虎之勢(기호지세)*: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형세라는 뜻으로, 이미 시작한 일을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滅門絶戶(멸문절호)*: 집안을 멸망시키고 가문을 끊어지게 한다는 뜻으로, 일문*일가*(一門一家)를 모두 전멸시킨다는 의미.
#가문 #의미 #집안 #멸망 #*일가*"
* 星行夜歸(성행야귀)*: 별 보고 가서 *밤*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아침 일찍 집을 나가서 *밤*늦게 돌아옴을 의미함.
"* 肉腐出蟲(육부출충)*: 고기가 썩어 *벌레*가 나온다는 뜻으로, 근본이 무너진 뒤에 화난(禍難)이 일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근본 #비유 #*벌레*"
* 陽春佳節(양춘가절)*: 따뜻하고 좋은 봄철.
"* 太平無象(태평무상)*: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할 때는 이를 지적(指摘)하여 말할 만한 형상(形狀)이 없음.
#말 #태평 #때 #천하 #天下 #형상"
"* 絶壁江山(절벽강산)*: 깎아지른 절벽으로 둘러싸인 곳이라는 뜻으로, 아주 귀가 먹었거나 남의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는 사리에 어두운
꽉 막힌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준말 : 절벽].
#사리 #말 #준말 #절벽 #귀 #사람"
"* 虎豹豈受犬羊欺(호표기수견양기)*: 범과 표범이 어찌 개나 양에게 속임을 당(當)하겠느냐는 뜻으로, 군자(君子)는 *소인*(小人)의
업신여김을 받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표범 #양 #*소인* #범 #군자"
"* 化民成俗(화민성속)*: 백성을 교화하여 아름다운 *풍속*을 만듦.
#백성 #*풍속* #의미 #만듦 #교화"
"* 艾年(애년)*: 머리털이 약쑥같이 희어지는 *나이*라는 뜻으로, 쉰 살을 이르는 말.
#머리털 #말 #쑥 #*나이*"
* 莫强之國(막강지국)*: 더할 수 없이 강(强)한 *나라*.
"* 雲出無心(운출무심)*: 구름이 가는데 마음이 없다는 뜻으로, 구름이 아무 생각 없이 흘러가듯이 *인생*을 유유하게 사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被褐懷玉(피갈회옥)*: 거친 옷을 입었으나 속에는 옥을 지녔다는 뜻으로, 지덕을 갖춘 사람이 *세상*에 알려지려고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옷 #사람 #지덕 #비유 #현인 #겉 #*세상*"
"* 膏火自煎(고화자전)*: 기름 *등불*이 자신을 태운다는 뜻으로, 재주 있는 사람이 그 재주로 인해 화(禍)를 입는 것을 비유로 하는
말.
#재주 #*등불* #화 #비유 #기름 #자신 #사람"
"* 富貴榮華(부귀영화)*: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귀하게 되어서 세상에 드러나 온갖 영광을 누림.
#신분 #재산 #영화 #의미 #*부귀* #지위 #자신 #귀 #세상"
"* 我身不孝兄弟亦則(아신불효형제역칙)*: 내 몸이 효도(孝道)를 하지 않으면 형과 아우도 능히 본받음.
#효도 #몸 #형 #아우"
"* 亡羊歎(망양탄)*: 갈림길이 매우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을 길이 없음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갈래* #양 #탄식 #학문 #어려움 #진리 #길 #갈림길 #길이"
"* 好生之物(호생지물)*: 아무렇게나 굴려도 죽지 않고 잘 사는 식*물*.
#사*물* #죽지 #식*물*"
* 事親以孝(사친이효)*: 세속 오계의 하나. 어버이를 섬기기를 *효*도로써 함을 이른다.
"* 甲冑生蟣蝨(갑주생기슬)*: 갑옷과 투구에 세캐와 이가 꾄다는 뜻으로, *전쟁*이 지루하게 계속(繼續)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갑옷 #*전쟁* #비유"
"* 書信往來(서신왕래)*: 편지(便紙)로 전(傳)하는 소식(消息)이 오고 감.
#소식"
* 乍往乍來(사왕사래)*: 갑자기 갔다가 갑자기 온다는 뜻으로, 변화(變化)가 심함을 이르는 말.
"* 報以國士(보이국사)*: 남을 국사(國士)로 대우(待遇)하면 *자기*(自己)도 또한 국사(國士)로서 대접(待接)을 받는다는 뜻으로,
지기(知己)의 은혜(恩惠)에 감동(感動)함을 이르는 말."
"* 山容水相(산용수상)*: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산천의 형세를 이르는 말.
#물 #물의 #산천 #모양 #산 #형세"
* 上天下地(상천하지)*: 위에 있는 하늘과 아래에 있는 *땅*이라는 뜻으로, 온 천지(天地)를 이르는 말.
* 開卷有得(개권유득)*: *책*을 열면 소득이 있다는 뜻으로, *책*을 읽게 되면 항상 유익함을 얻게 된다는 의미.
"* 花容月態(화용월태)*: 아름다운 *여인*의 얼굴과 맵시를 이르는 말.
#용모 #여자 #달 #아름 #화 #맵시 #*여인* #꽃 #자태 #얼굴"
"* 蚌鷸之勢(방휼지세)*: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 먹으려고 부리를 넣는 순간 조개가 껍데기를 닫고 놓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대립하는
두 세력이 잔뜩 버티고 맞서 겨루면서 조금도 양보하지 아니하는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百年偕老(백년해로)*: *부부*가 되어 한평생을 사이좋게 지내고 즐겁게 함께 늙음.
#화 #서로 #*부부* #한평생 #사이"
"* 是父是子(시부시자)*: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뜻으로, 그 아비를 닮은 그 *자식*이라는 의미에서 부자(父子)가 모두 훌륭함을
이르는 말.
#*자식* #아들 #부자 #아비 #의미 #훌륭"
"* 巫山之雨(무산지우)*: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남녀* #왕 #양 #초나라 #꿈속 #중국 #즐거움 #무산 #낮잠 #고사 #유래 #정교"
"* 風雲才子(풍운재자)*: 비*바람*을 무릅쓰는 인재라는 뜻으로, 어지러운 세상에 위급하고 곤란한 상황을 무릅쓰고 활약하여 공명을
세우는 전도양양(前途揚揚)한 청년을 이르는 말.
#전도양양 #*바람* #비*바람* #공명 #상황 #활약 #청년 #양양 #인재 #위급 #곤란 #전도 #세상"
"* 勿失好機(물실호기)*: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아니함.
#기회"
"* 道不拾遺(도불습유)*: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형벌이 준엄하여 백성이 법을 *범*하지 아니하거나 민심이
순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한비자≫의 에 나오는 말이다."
"* 顔筋柳骨(안근유골)*: 당(唐)*나라*의 안진경(顔眞卿)과 유공권(柳公權)의 필법(筆法)의 진수를 터득(攄得)했다는 뜻으로, 글씨가
매우 뛰어남을 이르는 말."
"* 圓木警枕(원목경침)*: 둥근 *나무*로 만든 경계하는 베개라는 뜻으로, 둥근 목침으로 베개가 굴러 잠에서 깨도록 만든 것인데,
고학(苦學)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로 사용됨.
#고학 #*나무* #사용 #비유 #경계 #베개 #잠"
"* 磬折(경절)*: 공경하는 *태도*로 경쇠 모양으로 허리를 굽혀 절함.
#몸 #비유 #공경 #*태도* #쇠 #모양"
"* 三獸渡水(삼수도수)*: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행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토끼* #강 #바탕 #말 #보살 #교리 #성문 #비유 #수행 #깊이 #깨달음 #코끼리"
"* 綠鬢紅顔(록빈홍안)*: (1)윤이 나는 검은 귀밑머리와 발그레한 *얼굴*이라는 뜻으로, 젊고 아름다운 여자의 *얼굴* 또는 젊은
여자의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2)‘녹빈홍안’의 북한어."
"* 千枝萬葉(천지만엽)*: (1)무성한 식물의 가지와 잎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일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어수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갈래* #말 #성 #어수선 #나무 #사용 #비유 #식물 #갈피 #무성 #잎 #복잡"
"* 鴻鵠高飛不集汚地(홍곡고비부집오지)*: 큰 기러기와 고니는 높이 날면서 더러운 땅에는 머무르지 않음.
#땅 #고니"
"* 順天應人(순천응인)*: *하늘*을 따르고 사람에 응한다는 뜻으로, 위로는 천명(天命)에 순응하고 아래로는 인심(人心)에 잘
응(應)한다는 의미."
"* 一炊之夢(일취지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 刀山劍水(도산검수)*: (1)칼을 심어 놓은 것 같은 *산*수라는 뜻으로, 몹시 험하고 위험한 지경을 이르는 말. (2)가혹한 형벌.
"* 西施矉目(서시빈목)*: 서시빈목(西施顰目). 서시가 눈을 찡그린다는 뜻으로, 함부로 남을 흉내내다가 *웃음*거리가 됨을 이르는 말.
#서시 #흉내 #눈 #시가 #*웃음*거리"
"* 出天之孝(출천지효)*: 하늘이 낸 효자라는 뜻으로, *지극*한 효자나 효성을 이르는 말.
#효도 #*지극* #하늘 #효성"
"* 巫山之夢(무산지몽)*: 무산(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水滴石穿(수적석천)*: 물*방울*이 모여 돌을 뚫는다는 뜻으로, 꾸준히 노력하면 큰일을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
#미미 #일 #노력 #물 #비유 #*방울* #물*방울* #큰일 #힘 #돌"
"* 龍門點額(용문점액)*: *용*문에서 이마에 점을 찍는다는 뜻으로, *용*문 아래에서 위로 오른 물고기는 *용*이 되지만, 그렇지
못하면 머리를 부딪혀 상처만 입는다는 고사에서 과거에 낙방해 돌아오는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半生半死(반생반사)*: 거의 죽게 되어 죽을지 살지 모를 *지경*에 이름.
#생사 #이름 #*지경*"
"* 一字千金(일자천금)*: 글자 하나의 *값*이 천금의 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글씨나 문장이 아주 훌륭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 여불위가 ≪여씨춘추≫를 지어 셴양(咸陽)의 성문에 놓아두고, 내용 가운데 한 글자라도 첨삭(添削)하는 사람이 있다면 천금을
주겠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내용 #글씨 #*값* #가운데 #춘추 #양 #유래 #금 #성문 #글자 #천금 #문장 #정도 #여씨춘추 #나라 #중국 #가치 #훌륭 #사람"
"* 天時不如地利地利不如人和(천시불여지리지리불여인화)*: 하늘이 주는 좋은 때는 지리적(地理的) 이로움만 못하고 지리적(地理的) 이로움도
*사람*의 화합(和合)만 못함.
#때 #지리 #하늘 #화합 #*사람*"
* 滄海桑田(창해상전)*: 푸른 *바다*가 변하여 뽕나무밭이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山容水態(산용수태)*: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산*천의 형세를 이르는 말.
"* 三位一體(삼위일체)*: (1)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의 세 위격이 하나의 실체인 하나님 안에 존재한다는 교의.
325년 제일 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2)세 가지의 것이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되는 일.
#몸 #일 #존재 #*목적* #지위 #실체 #통합 #봄 #동일"
* 白衣從軍(백의종군)*: 벼슬 없이 군대를 따라 *싸움*터로 감.
곡식
"* 自勞而得(자로이득)*: 자신의 노력으로 얻음.
#일 #노력 #혼자 #자신 #힘"
"* 安如泰山(안여태산)*: 마음이 태*산*같이 끄떡없고 든든함.
#마음 #위태 #비유 #편안 #반석 #든든 #태*산*"
* 病風傷暑(병풍상서)*: *바람*에 병들고 더위에 상하였다는 뜻으로, 고생스러운 세상살이에 시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喋喋喃喃(첩첩남남)*: 작은 목*소리*로 즐겁게 이야기를 주고받는 모습이나 남녀(男女)가 정답게 속삭이는 모습.
* 用筆沈雄(용필침웅)*: 그림이나 글씨에서 붓의 움직임이 무게가 있고 박력이 있음.
"* 東西不辨(동서불변)*: 동쪽과 서쪽을 가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물이나 사물의 현상을 *분별*할 수 없을 정도로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사물 #따위 #방향 #현상 #사용 #동쪽 #안개 #의미 #동서 #서쪽 #정도 #*분별*"
"* 抛塼引玉(포전인옥)*: 병법에서, 좋아 보이거나 비슷해 보이는 미끼를 유인*책*으로 먼저 제시한 뒤에 여기에 속은 어리석은 적을 쳐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작전이나 전술을 이르는 말."
"* 有酒無量(유주무량)*: 술을 얼마든지 마실 만큼 주량이 큼. 공자의 주량을 언급한 ≪논어≫ 편의 ‘술을 마실 때는 일정한 양이
없었는데 어지러운 *지경*에 이르지 않았다.’에서 유래한 말이다."
"* 圖南意在北(도남의재북)*: 남쪽을 도모(圖謀)하는 데 뜻은 북쪽에 있다는 뜻으로, *목적*(目的)은 다른 곳에 있는 것처럼 꾸미고,
실상(實相)은 그 하고자 하는 바 *목적*(目的)으로 나가는 일.
#일 #도모 #남쪽 #북쪽 #실상 #*목적*"
"* 唯我獨尊(유아독존)*: (1)우주 가운데 자기보다 더 존귀한 이는 없음.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처음으로 한 말이라고 한다.
(2)세상에서 자기 *혼자* 잘났다고 뽐내는 태도.
#존귀 #우주 #말 #때 #불 #*혼자* #천하 #태도 #석가 #석가모니 #처음 #가운데 #불가 #세상"
"* 同床異夢(동상이몽)*: (1)같은 자리에 자면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도 속으로는 각각 딴*생각*을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2)겉으로는 지지하고 받드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반대함을 이르는 말.
#일 #말 #기거 #꿈 #행동 #목표 #잠자리 #*생각* #비유 #의미 #자리 #겉 #반대 #입장"
"* 自覺聖智(자각성지)*: *스승* 없이 스스로 깨치어 얻은 지혜.
#*스승* #지혜"
"* 秘不發說(비불발설)*: *비밀*로 말을 내지 않았다는 뜻으로, *비밀*을 지켜서 말을 하지 않았다는 의미.
#의미 #*비밀* #말"
"* 取食之計(취식지계)*: 겨우 밥이나 얻어먹고 살아갈 만한 *꾀*.
#계책 #*꾀* #정도 #밥"
"* 手下親兵(수하친병)*: (1)자기에게 직접 딸린 병졸. (2)자기의 손발처럼 가까이 두고 쓰는 *부하*.
#*부하* #마음 #병졸 #병사 #사용 #의미 #손발 #사람"
* 自暴(자포)*: 절망에 빠져 *자신*을 스스로 포기(抛棄)하고 돌아보지 아니함.
"* 大人大耳(대인대이)*: 덕이 높고, *마음*에 여유(餘裕)가 있는 사람은 자질구레한 일에 초연(超然)함, 곧 도량(度量)이 넓어서
자질구레한 일에 얽매이지 않음을 이르는 말."
문학
* 拔舌地獄(발설지옥)*: 말로써 죄를 지은 *사람*이 죽어서 간다는 지옥. 보습으로 혀를 가는 고통을 준다.
* 木石(목석)*: (1)나무와 *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形格勢禁(형격세금)*: *행동*을 자유로이 할 수 없게 됨.
"* 積薪之歎(적신지탄)*: 적신지탄(積薪之嘆). 쌓이고 쌓인 섶나무의 탄식(歎息)이라는 뜻으로, 먼저 쌓인 섶나무는 항상(恒常) *아래*에
있듯이 고참이 승진(昇進)하지 못하고 늘 아랫자리에 있음을 한탄(恨歎)함을 이르는 말."
"* 有無相生(유무상생)*: 유와 무가 서로 생겨난다는 뜻으로, 有無가 서로 교호(交互)하여 생겨나는 것에서, 유에서 무가 무에서 유가
생겨나는 상대적 관계를 이르는 말.
#상대 #관계"
"* 哀乞伏乞(애걸복걸)*: 소원 따위를 들어 달라고 애처롭게 사정하며 *간절*히 빎.
#하소연 #소원 #구걸 #의미 #거리 #상대 #사정 #따위"
"* 春露秋霜(춘로추상)*: 봄 이슬과 *가을* 서리라는 뜻으로, ‘春露’는 은택(恩澤)을, ‘秋霜’은 위엄(威嚴)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로 사용됨.
#이슬 #위엄 #말 #표현 #사용 #서리 #봄 #*가을* #은택"
"* 孤雲野鶴(고운야학)*: 외로이 떠 있는 *구름*과 무리에서 벗어나 들에 있는 학이라는 뜻으로,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한가롭게 숨어
지내는 선비를 이르는 말.
#*구름* #벼슬 #선비 #무리 #학 #한가"
"* 雲捲天晴(운권천청)*: (1)*구름*이 걷히고 하늘이 맑게 갬. (2)병이나 근심 따위가 씻은 듯이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병 #비유 #*구름* #근심 #하늘 #따위"
"* 過火熟食(과화숙식)*: 지나가는 불에 음식이 익는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을 위하여 한 것은 아니지만 그 사람에게 *은혜*가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扶植綱常(부식강상)*: 인륜(人倫)의 길을 바로 세움.
#길 #인륜 #의미 #확고"
* 吾鼻三尺(오비삼척)*: 내 코가 석 자라는 뜻으로, *자기* 사정이 급하여 남을 돌볼 겨를이 없음을 이르는 말.
바람
"* 兎走烏飛(토주오비)*: *토끼*가 달리고 까마귀가 난다는 뜻으로, 달의 상징인 *토끼*와 해의 상징인 까마귀가 달리고 나는 듯이
세월이 빠르게 지나감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토끼* #달 #형용 #상징 #까마귀 #세월"
"* 兵盡矢窮(병진시궁)*: *싸움*터에서 병사들이 거의 다 희생되고 화살이 다 떨어짐.
#밤 #병사들 #병사 #화살 #희생 #*싸움*터 #촛불 #병 #경치 #낮 #밤중"
"* 破鏡不再照(파경부재조)*: 깨진 거울은 본디대로 비출 수 없다는 뜻으로, 한번 헤어진 *부부*(夫婦)는 다시 맺어지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 誨盜誨淫(회도회음)*: 도둑질을 가르치고 음탕함을 가르친다는 뜻으로, 재물을 허술하게 간직하는 것은 도둑을 끌어들이는 것이고,
여자가 지나치게 몸단장을 하는 것은 음탕한 사*나이*를 불러들이는 것이 된다는 의미에서 유래된 말."
* 嘗糞之徒(상분지도)*: 대변이라도 맛볼 듯이 부끄러움을 *돌*아보지 않고 몹시 아첨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三從之德(삼종지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덕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 #결혼 #자식 #*남편* #예전"
"* 突不燃不生煙(돌불연불생연)*: 굴뚝에 불을 지피지 않으면 연기가 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원인이 없는 결과는 없음을 이르는 말.
#결과 #원인 #불 #굴뚝"
* 納錢免賤(납전면천)*: 조선 시대에, 돈을 치르고 노비의 신분에서 *벗*어나던 일.
* 自生自決(자생자결)*: *자기*가 살아 나갈 길을 남의 힘에 의지하지 아니하고 자신의 힘으로 개척함.
"* 掩耳盜鈴(엄이도령)*: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이 그 잘못을 다 알고 있는데 얕은*꾀*를 써서 남을 속이려
함을 이르는 말. ≪여씨춘추≫ 의 에 나오는 말이다."
* 萬萬不測(만만불측)*: 이루 헤아릴 수 없음.
"* 喝食(갈식)*: (1)선원에서, 식사 때에 대중들에게 탕과 반찬의 종류를 *알*리는 소임. (2)선원에서, 식사 때에 심부름하는
아이."
* 渠荷的歷(거하적력)*: 개천의 연*꽃*도 아름다우니 향기(香氣)를 잡아볼 만함.
"* 猪突豨勇(저돌희용)*: 멧돼지 저 / 부딪칠 *돌* / 멧돼지 희 / 용감할 용.
#죄인 #이름 #조직 #죄 #왕 #용맹 #앞 #앞뒤 #용감 #나라 #생각 #용 #의미 #천하 #天下 #멧돼지 #군대"
"* 他界(타계)*: (1)다른 세계. (2)*인간*계를 떠나서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 특히 귀인(貴人)의 죽음을
이르는 말. (3)불교의 십계(十界) 가운데 *인간*계 이외의 세계."
"* 自唱自和(자창자화)*: (1)스스로 *거문고*를 타며 노래를 부름. (2)자기가 노래하고 자기가 화답함. (3)남을 위하여 자기가
마련한 것을 자기가 이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마련 #노래 #이용 #자신 #스스로 #*거문고*"
"* 波狀攻擊(파상공격)*: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여 하는 공격.
#일 #*시간* #되풀이 #물결 #일정 #파도 #의미 #계속 #공격 #형상 #대상"
"* 度外視(도외시)*: *상관*하지 아니하거나 무시함.
#문제 #무시 #*상관* #불 #안중 #불문"
"* 兄弟爲手足(형제위수족)*: *형제* 사이는 손발과 같아서 한번 잃으면 다시 얻을 수 없다는 뜻으로, *형제*끼리 우애 있게 지내야
한다는 말."
* 盤石之固(반석지고)*: 큰 바위 같은 견고함이라는 뜻으로, 일이 매우 견고할 정도로 *편안*함을 비유한 말.
"* 輕裘肥馬(경구비마)*: 가벼운 *가죽*옷과 살진 말이라는 뜻으로, 부귀한 사람들의 나들이 차림새를 이르는 말.
#형용 #옷 #말 #영화 #갑옷 #부귀 #부귀영화 #*가죽*옷 #*가죽* #차림새 #사람"
* 百態千光(백태천광)*: 온갖 아름다움을 갖춘 자태(姿態).
"* 腹心之疾(복심지질)*: (1)배나 가슴을 앓는 고치기 어려운 병. (2)떨쳐 버릴 수 없는 *근심*이나 걱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질병 #배 #병 #비유 #걱정 #*근심* #가슴"
* 層生疊出(층생첩출)*: 일이 여러 *가지*로 겹쳐서 자꾸 생겨남.
"* 鳳鳴朝陽(봉명조양)*: (1)봉황새가 산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길조(吉兆)를 이르는 말. (2)뛰어난 행위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
"* 戒急乘緩(계급승완)*: 계(戒)를 지키기에만 힘쓰고, *지혜* 닦기에는 힘쓰지 아니함.
#법 #간절 #부처 #*지혜* #교법"
"* 黃粱一炊之夢(황량일취지몽)*: 노생이 잠들기 전(前)에 짓던 기장밥이 꿈에서 깨어보니 아직 익지 않은 짧은 *시간*(時間)이었음.
#기장 #*시간* #꿈 #밥 #노생"
"* 先病服藥(선병복약)*: 병이 걸리기 전에 미리 약을 *복*용한다는 뜻으로, 병을 미연에 막음을 의미하는 말.
#의미 #병 #약"
"* 紅東白西(홍동백서)*: 제사상을 차릴 때에 붉은 과실은 동*쪽*에 흰 과실은 서*쪽*에 놓는 일.
#과일 #일 #법 #과실 #때 #제물 #동*쪽* #서*쪽* #위치 #차례 #격식 #제사상 #제사"
"* 特筆大書(특필대서)*: 특별히 두드러*지게* 보이도록 글자를 크게 쓴다는 뜻으로, 신문 따위의 출판물에서 어떤 기사에 큰 비중을
두어 다룸을 이르는 말.
#글씨 #여론 #글자 #누구 #신문 #뚜렷 #기사 #따위"
"* 鴻漸之翼(홍점지익)*: 큰 기러기의 날개는 한 번 날갯짓을 해서 천 리를 날아갈 수 있을 만큼 강력한 것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재능*이나 위대한 능력 또는 그런 *재능*을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재능* #능력 #비유 #기량 #하늘 #날개 #점 #자리 #사업 #높이 #날아오르 #사람"
"* 綠陰芳草(녹음방초)*: (1)‘녹음방초’의 북한어. (2)푸르게 우거진 나무와 향기로운 *풀*이라는 뜻으로, 여름철의 자연 경관을
이르는 말."
"* 未成一簣(미성일궤)*: 산을 만들 때에 마지막 한 삼태기를 덜 얹어 산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뜻으로, 마지막 노력을 소홀히 하면
일이 *실패*함을 이르는 말.
#일 #노력 #완성 #*실패*함 #때 #마지막 #*실패* #비유 #흙 #산"
* 解衣推食(해의추식)*: 옷을 벗어주고 음식(飮食)을 밀어준다라는 뜻으로, 남에게 *은혜*(恩惠)를 베푸는 것.
* 朝蠅暮蚊(조승모문)*: 아침에는 파리가 꾀고 *저녁*에는 모기가 들끓는다는 뜻으로, 소인(小人)이 날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難言之境(난언지경)*: 밝혀 *말*하기 어려운 경우나 처지.
"* 耳順之年(이순지년)*: 귀가 순해지는 나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가 나이 60이 되어서 천지 만물의 이치를 통달하고, 듣는
대로 모두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에서 나이 60세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됨. [= 耳順(이순)] ."
* 古今不同(고금부동)*: 모습이나 형편 따위가 예전과 지*금*이 서로 같지 않음.
"* 靑春(청춘)*: (1)*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이라는 뜻으로,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을 이르는 말. (2)1914년 10월에 최남선이 창간한 우리나라 최초의 월간 종합지. 청년을 상대로 한 계몽지로서 ≪소년≫지가
폐간된 후 그 후신으로 발간한 것으로, 신문학 운동이 일어나던 무렵에 문학 작품의 발표 및 문예 작품 현상 모집에 의한 창작 의욕의
진작, 해외 문학 번역 소개 등 문학 발전에 큰 구실을 하였다. 1918년 8월까지 통권 15호를 냈다. (3)독일의 극작가
할베(Halbe, M.)가 지은 희곡. 주인공 안헨은 대학생인 한스와 사랑을 나누나, 안헨의 이복 오빠가 질투심에서 한스를 죽이려다
잘못해서 동생 안헨을 죽이게 된다는 내용이다. 청춘의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그 당시 연애 희곡의 대표작이다. 1893년에
초연되었다. 3막. (4)1936년에 극작가 남궁만(南宮滿)이 쓴 희곡. 평양 변두리의 빈민굴에서 살아가는 실직 노동자 가족의 비극을
다룬 작품이다."
"* 懸弧之辰(현호지신)*: 활을 매달아 놓은 날이라는 뜻으로, 남자가 태어나면 활을 문에 걸어 드는 데서 *유래*해 남자의 탄생일을
이르는 말."
* 懷橘墮地(회귤타지)*: 품었던 귤이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효*자의 정성을 이르는 말.
"* 邑犬群吠(읍견불폐)*: 고을의 개들이 무리를 지어 짖는다는 뜻으로, 많은 *소인*배들이 남을 비난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고을 #비유 #비난 #*소인*배 #무리"
"* 易簀(역책)*: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이나 임종을 이르는 말. 증자가 죽을 때를 당하여 삿*자리*를 바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예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궁 #말 #학식 #때 #덕망 #죽음 #옛일 #학덕 #유래 #사람"
* 敬啓者(경계자)*: 삼가 말씀드린다는 뜻으로 한문 투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말.
"* 氾愛兼利(범애겸리)*: 두루 사랑하고 *이익*을 겸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골고루 사랑하고 *이익*을 같이 하는 일을 의미.
묵자(墨子)가 제창한 사상임. [汎愛(범애), 博愛(박애)로도 표현함].
#일 #*이익* #사랑 #두루 #표현 #의미 #사상 #묵자 #사람"
"* 容之如地(용지여지)*: 포용함이 *땅*과 같다는 뜻으로, 대지(大地)가 만물을 포용하듯이 받아들이는 마음이 너그럽고 큼을 비유하는
말."
"* 弄璋之慶(롱장지경)*: (1)아들을 낳은 즐거움. 예전에,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규옥(圭玉)으로 된 구슬의 덕을 본받으라는 뜻으로
구슬을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농장*지경*’의 북한어.
#구슬 #아이 #표현 #예전 #놀이 #아들 #남자 #기쁨 #의미 #중국 #*지경* #장난 #즐거움 #경사 #유래 #아이들"
"* 四窮之首(사궁지수)*: 사궁의 첫째. 늙은 홀*아비*를 이른다.
#첫째 #궁 #홀*아비* #첫머리 #아내"
"* 虛傳將令(허전장령)*: (1)장수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 (2)*윗사람*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윗사람* #명령 #장수 #비유 #웃사람 #전함 #거짓 #사람"
"* 銳氣方張(예기방장)*: 날카롭고 굳세며 적극적인 기운이 *한창* 성함.
#*한창* #성 #적극적 #기운 #성함"
"* 抗表極論(항표극론)*: 상소문을 올리고 있는 *힘*을 다하여 논함.
#*힘* #임금 #상소문"
"* 鶴齡(학령)*: 두루미의 나이라는 뜻으로, *장수*한 노인의 나이를 이르는 말.
#*장수* #연령 #나이 #노인 #늙은이"
"* 螟蛉(명령)*: (1)빛깔이 푸른 나비와 나방의 애벌레. 몸빛은 녹색이다. (2)나나니가 *명령*(螟蛉)을 업어 기른다는 뜻으로,
타성(他姓)에서 맞아들인 양자(養子)를 이르는 말.
#몸 #빛 #빛깔 #*명령* #양자 #녹색 #나방 #벌레 #비유 #나비"
* 麥秀之嘆(맥수지탄)*: 보리만 무성함을 보고 탄식한다는 뜻으로, 지나간 *왕*조에 대한 회상의 의미.
"* 犬馬之役(견마지역)*: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말.
#충성 #*윗사람* #말 #노력 #자신 #힘 #정도"
"* 黜陟幽明(출척유명)*: 어둡고 밝음에 따라 물리치고 올린다는 뜻으로, 관리의 공적이 없는 *그릇*된[幽] 사람은 내쫓고, 공적이
좋고 많은 올바른[明] 사람은 승진(昇進)시킨다는 의미.
#승진 #관리 #의미 #*그릇* #공적 #사람"
"* 學而時習(학이시습)*: 배우고 때때로 익힌다는 뜻으로, 선학(先學)에게 도(道)를 배우고, 언제나 반복 연습하는 자기완성을 위한
*노력*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
"* 土壤細流(토양세류)*: 작은 흙덩이와 가느다란 시내라는 뜻으로, 미세한 것도 이것을 쌓으면 큰 것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미세 #이것 #*비유* #흙덩이 #시내"
* 放逐鄕里(방축향리)*: 조선 시대에, 벼슬을 삭탈하고 제 고향으로 내쫓던 형벌. 유배보다는 한 등급 가벼운 형벌이다.

"* 彭湃(팽배)*: (1) *물결*이 맞부딪쳐 솟구침 (2) 전(傳)하여, 사물(事物)이 맹렬(猛烈)한 기세(氣勢)로 일어남.
#사물 #맹렬 #기세 #*물결* #침 #일어남"
"* 白龍魚服(백룡어복)*: (1)흰 용이 물고기의 옷을 입었다는 뜻으로, 신분이 높고 귀한 사람이 남 모르게 나다님을 이르는 말.
(2)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남모르게 나다니다가 뜻하지 않게 욕을 봄을 이르는 말. 신령스러운 흰 용이 물고기로 변하여 다니다가
어부의 그물에 잡혔다는 데서 유래한다.
#옷 #어부 #때문 #위태 #신분 #신령 #비유 #욕 #용 #지경 #봄 #*지위* #모습 #그물 #유래 #귀 #사람"
"* 而立之年(이립지년)*: 홀로 선 *나이*라는 뜻으로, 공자가 말한 30세에 홀로 섰다는 말에서 *나이* 30세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보통 ‘而立’으로 표현함].
#말 #표현 #보통 #사용 #*나이* #공자 #30세"
"* 南風不競(남풍불경)*: *남쪽* 지방의 노래가 활기가 없다는 뜻으로, *남쪽* 지방의 세력이 부진함을 이르는 말.
#노래 #미약 #지방 #부진 #중국 #*남쪽* #세력 #음악"
"* 邯鄲之夢(한단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 神氣漏泄(신기누설)*: 신묘한 계기(契機)나 기략(機略)을 누설한다는 뜻으로, *비밀*히 한 일을 누설함을 이르는 말.
#일 #*비밀* #신묘 #누설"
"* 旣張之舞(기장지무)*: 이미 *시작*하여 중간에 그만둘 수 없는 것을 이르는 말.
#일 #중간 #의미 #*시작* #춤"
* 伯仲叔季(백중숙계)*: 백은 맏이, 중은 둘째, 숙은 셋째, 계는 막내라는 뜻으로, 사*형제*의 차례를 이르는 말.
* 賢良方正(현량방정)*: 현량하고 *방*정함.
"* 伏地不動(복지부동)*: 땅에 엎드려 움직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주어진 일이나 업무를 처리하는 데 *몸*을 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몸* #땅 #안위 #대처 #비유 #일관 #자신 #처리"
"* 沙中偶語(사중우어)*: 모래땅 위에서 남모르게 주고받는 말이라는 뜻으로, 신하가 몰래 모반(謀反)하려고 계책을 꾸미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한고조(漢高祖)가 공신 이십여 명에게 큰 벼슬을 주자, 벼슬을 받지 못한 다른 여러 *장수*가 모래땅에 모여 모반을
의논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滿室憂患(만실우환)*: *집안*에 앓는 사람이 많음.
"* 馭風之客(어풍지객)*: ‘신선’을 달리 이르는 말. 바람을 *부리*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바람 #신선 #선 #의미 #객 #선인 #사람"
"* 仰望終身(앙망종신)*: 일생을 존경하고 사모하여 내 몸을 의탁함. 예전에, 아내가 *남편*에 대하여 가져야 할 태도로써 이르던
말이다.
#일 #몸 #말 #일생 #*남편* #사모 #태도 #존경 #아내 #예전"
"* 安樂國(안락국)*: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 巖下之電(암하지전)*: *바위* 아래의 번갯불이라는 뜻으로, 눈빛이 번쩍번쩍 빛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빛 #*바위* #말 #아래 #비유 #모양 #눈빛 #번갯불"
"* 響遏行雲(향알행운)*: *노래* 소리가 지나가는 구름을 멈추게 한다는 뜻으로, 지나가는 구름도 잠깐 머물러 귀를 기울일 만큼 *노래*
소리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아름다움 #*노래* #소리 #구름 #귀"
자제
* 不費之惠(불비지혜)*: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 下念(하념)*: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염려하여 줌. 또는 그런 염려를 아랫사람이 높여서 이르는 말. 주로 편지에서 많이 쓴다.
* 紅顔白髮(홍안백발)*: 늙어서 머리는 세었으나 *얼굴*은 붉고 윤이 나는 모습.
"* 朝名市利(조명시리)*: 명예는 조정에서 다투고 이익은 *시장*에서 다투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알맞은 곳에서 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일 #명예 #말 #이익 #저자 #*시장* #조정 #의미"
"* 下學上達(하학상달)*: 아래를 배워 위에 도달한다는 뜻으로, 쉬운 지식을 배워 어려운 이치를 깨달음을 이르는 말.
#사리 #말 #아래 #*학*문 #인간 #이치 #사용 #도달 #의미 #지식 #하늘 #깨달음 #통달"
"* 北門之歎(북문지탄)*: 북문에서 한탄(恨歎)함이라는 뜻으로, *벼슬*자리에 나가기는 했으나, 뜻대로 성공(成功)하지 못한 것을
한탄(恨歎)함."
* 萬卷詩書(만권시서)*: 아주 많은 *책*.
* 甛言蜜語(첨언밀어)*: (1) 듣기 좋은 말 (2) 남을 꾀기 위(爲)한 *달*콤한 말.
* 庶政刷新(서정쇄신)*: 여러 방면에서 정치 폐단을 고쳐 *새*롭게 함.
"* 舍近交遠(사근교원)*: 가까운 것을 버리고 먼 곳과 사귄다는 뜻으로, 가까운 *친척*은 버리고 소원(疏遠)한 사람과 사귄다는 의미.
#의미 #사람 #소원 #*친척*"
"* 勢利之交(세리지교)*: *권세*와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맺는 교제.
#교제 #이익 #*권세* #소원 #관계 #의미 #목적"
"* 用行舍藏(용행사장)*: 쓰면 행하고 버리면 감춘다는 뜻으로, 세상에 쓰일 때는 나아가 자신의 도를 행하고 쓰이지 않을 때는 물러나
숨는다는 *의미*."
* 虎牙鷹爪(호아응조)*: 호랑이의 어금니와 매의 발톱이라는 뜻으로, *자신*이 지닌 가장 의지할 수 있는 이로운 도구라는 의미.
"* 回鯉(회리)*: 물음이나 편지 따위에 대답함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월나라의 왕인 구천(句踐)의 가신(家臣)
범여(范蠡)가 잉어의 배를 따고 그 속에 편지를 넣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唾手可得(타수가득)*: 일이 어렵지 않게 잘될 것을 기약할 수 있음.
#일 #성취 #의미 #기약 #침"
"* 莫知其子之惡(막지기자지악)*: 자기 *자식*의 잘못을 모른다는 뜻으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맹목적임을 이르는 말.
#*자식* #말 #사랑 #잘못 #비유 #어버이 #부모 #맹목적 #사람"
"* 面縛輿櫬(면박여츤)*: 스스로 손을 뒤로 묶고 관을 짊어지고 사괴하는 *모양*.
#*모양*"
"* 半面之交(반면지교)*: *얼굴*만 겨우 알 뿐이고 교제(交際)는 얕은 사이.
#교제 #사이 #*얼굴*"
장소
* 白髮還黑(백발환흑)*: (1)허옇게 센 머리에 검은 머리털이 다시 남. (2)늙은 *나이*에 도로 젊어짐.
"* 鐵中錚錚(철중쟁쟁)*: 여러 쇠붙이 가운데서도 유난히 맑게 쟁그랑거리는 *소리*가 난다는 뜻으로, 같은 무리 가운데서도 가장
뛰어남. 또는 그런 사람을 이르는 말."
"* 學貫天人(학관천인)*: 학문이 하늘과 사람을 꿰뚫었다는 뜻으로, 학문을 하여 하늘의 *이치*와 사람의 도리를 꿰뚫을 정도로 정통함을
이르는 말."
"* 半醉半醒(반취반성)*: 반쯤 취하고 반쯤 깨어 있음. 술이 덜 깬 상태를 이른다.
#술 #상태"
"* 魚變成龍(어변성룡)*: 물고기가 변하여서 용이 된다는 뜻으로, 아주 곤궁하던 사람이 부귀를 *누리*게 되거나 보잘것없던 사람이 큰
인물이 됨을 이르는 말.
#이름 #곤궁 #때 #인물 #용 #부귀 #신통 #훌륭 #사람"
"* 敬天思想(경천사상)*: 하늘을 *공경*하는 종교적 사상.
#*공경* #숭배 #사상 #하늘"
"* 上敬之禮(상경지례)*: 모든 성인이나 천사의 지위보다 훨씬 높은 성모 마리아에 대한 특별한 *공경*.
#성 #성인 #특별 #*공경* #지위"
이해
"* 英傑之主(영걸지주)*: 영특하고 용기와 기상이 뛰어난 *군주*(君主).
#영특 #기상 #*군주*"
"* 如是我聞(여시아문)*: 모든 불경의 첫머리에 붙은 말.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라는 뜻으로, 불경이 석가모니로부터 들은 내용을
전하는 것이라는 것을 밝혀서 불경이 곧 *부처*의 말이라는 사실을 객관적으로 확증하는 말이다."
"* 草綠同色(초록동색)*: 풀색과 녹색은 같은 색이라는 뜻으로, 서로 같은 무리끼리 어울린다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명칭은 *달*라도
성질이나 내용은 같다는 뜻으로도 사용됨."
* 懸解(현해)*: 거꾸로 매달린 것이 *풀*린다는 뜻으로, 생사의 고락을 초월함을 이르는 말.
"* 防僞私通(방위사통)*: 아전끼리 주고받던 공문(公文). 사사로운 글이 아니라는 뜻에서 ‘防僞’라는 두 *글자*를 찍어 사서(私書)와
구별하였다.
#주고 #표시 #*글자* #사서 #私事 #방위 #끼리 #구별"
"* 安養界(안양계)*: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 伴食宰相(반식재상)*: 곁에 모시고 밥을 먹는 재상(宰相)이라는 뜻으로, *무위*도식(無爲徒食)으로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무능(無能)(無能)한 대신(大臣)을 비꼬아 이르는 말.
#무능 #곁 #재상 #대신 #차지 #밥 #자리"
"* 篳門圭竇(필문규두)*: 섶나무 울타리 사립*문과* 모나고 둥근 허술한(규격이 없는) 창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篳門閨竇’으로도 표현함.
#섶나무 #집 #표현 #나무 #가난 #울타리"
"* 巫山之雲(무산지운)*: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忘形之友(망형지우)*: 외형을 잊고 사귄 친구라는 뜻으로. 외형적인 것을 상관하지 않고 마음으로서 사귄 친밀한 친구의 *의미*.
"* 逐獸者目不見太山(축수자목불견태산)*: 짐승을 쫓는 사람의 눈에는 태산(泰山)이 보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이욕(利慾)에 빠진 자는 큰
해가 *눈앞*에 있는 것도 모름을 이르는 말.
#모름 #눈 #*눈앞* #짐승 #태산 #해 #사람"
* 三喜聲(삼희성)*: 마음을 기쁘게 하는 세 가지 *소리*. 다듬이 *소리*, 글 읽는 *소리*, 갓난아이 우는 *소리*를 이른다.
"* 法三章(법삼장)*: 중국 한나라 때에, 고조가 진나라 때의 가혹한 법을 없애고 단 세 가지 죄만을 정한 법. 사람을 죽이는 자는
죽고, 사람을 *상하*게 하거나 물건을 훔치는 자는 벌을 받는다는 내용이었다."
"* 蘭摧玉折(난최옥절)*: *난초*가 꺾어지고 옥이 부서진다는 뜻으로, 현인군자나 재자가인의 죽음을 이르는 말.
#*난초* #죽음 #비유 #현인 #군자"
"* 家貧思良妻(가빈사양처)*: 집이 *가난*해지면 좋은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궁핍(窮乏)한 지경(地境)이 되면 훌륭한
관리자(管理者)가 생각난다는 의미(意味)."
"* 癡猿捉月(치원착월)*: 어리석은 원숭이가 달을 잡는다는 뜻으로, 물에 비친 달을 잡으려는 어리석은 원숭이의 *행동*처럼 무지하고
무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父子有親(부자유친)*: 오륜(五倫)의 하나.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 壁危花笑立春好鳥啼來(벽위화소립춘호조제래)*: 벽이 위태(危殆)로우나 꽃은 웃으며 서 있고, 봄이 좋으나 *새*는 울면서 옴.
"* 探卵之患(탐란지환)*: 알을 찾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어미 새가 나간 뒤에 보금*자리*의 알을 잃을까봐 염려하는 근심처럼 거처를
습격당할 근심 또는 내막이 드러난 근심을 이르는 말.
#염려 #새 #거처 #어미 #근심"
선비
* 天變地異(천변지이)*: 하늘과 땅에서 일어나는 *자연*계의 여러 가지 변동과 이변.
* 高峯撐天立長江割地去(고봉탱천립장강할지거)*: 높은 봉우리는 하늘을 지탱(支撐)하여 서 있고, 긴 *강*은 땅을 가르고 감.
"*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 直往邁進(직왕매진)*: 주저하지 아니하고 곧장 힘차게 나아감.
#의미 #전력 #주저"
"* 柯亭(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 #서까래 #채옹 #피리 #때 #옛일 #중국 #고사 #유래 #대나무"
"* 明珠彈雀(명주탄작)*: 새를 잡는 데 *구슬*을 쓴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탐내다가 큰 것을 손해 보게 됨을 이르는 말.
#손해 #새 #*구슬*"
"* 先難而後獲(선난이후획)*: 어려운 공적(公的)인 일을 먼저하고, 자신(自身)에게 *이익*(利益)이 되는 사적(私的)인 일은 나중에
함을 이르는 말."
"* 責己之心(책기지심)*: 스스로 제 허물을 꾸짖는 마음.
#마음 #허물"
"* 望蜀(망촉)*: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후한 #말 #경우 #욕심 #*만족* #평정 #지방 #밖 #유래 #광무제"
"* 浮雲朝露(부운조로)*: 뜬구름과 아침 이슬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이슬 #아침 #뜬구름 #비유 #*인생* #세상"
"* 凱旋將軍(개선장군)*: (1)적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온 장군. (2)어떤 일에 성공하여 의기양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命世才(명세재)*: 한 *시대*를 바로잡아 구원할 만한 큰 인재.
#*시대* #구원 #인재"
"* 朝雲暮雨(조운모우)*: 아침의 구름과 저녁의 비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회왕(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이 떠나면서 자기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아침 #남녀 #*아래* #왕 #초나라 #잠자리 #사용 #부인 #의미 #저녁 #구름 #꿈속 #언약 #중국 #고사 #유래 #남녀간 #정교"
형제
"* 學不可已(학불가이)*: *학*문은 그만 둘 수 없다는 뜻으로, 배움은 끝없는 정진을 해야 함을 이르는 말.
#정진 #*학*문"
"* 無緣法界(무연법계)*: (1)차*별*이 없는 평등한 일체. 무연이란 피차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은 것이고, 법계는 법의 한계를
이른다. (2)인연도 연고도 없음. 또는 그런 사람."
"* 良藥苦於口(양약고어구)*: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입에 쓴 약이 병을 잘 고치듯이 충*고하*는 말은 듣기엔 거북하지만,
자기 몸엔 이로움을 비유한 말.
#몸 #말 #거북 #병 #이로움 #입 #의미 #비유 #충고"
"* 綠滿窓前(녹만창전)*: 창 앞에 푸르름이 *가득*하다 뜻으로, (1) 창가에 초목(草木)이 푸르게 우거진 모양(模樣)으로 초여름의
경관(景觀) (2) 있는 그대로의 자연(自然)을 즐기려는 문인(文人)의 심경(心境)을 나타낸 것."
"* 方圓可施(방원가시)*: 方形(방형)에나 원형(圓形)에나 다 잘 들어맞다는 뜻으로, 갖가지 재능(才能)이 있어서 어떤 일에도
적합(適合)함을 이르는 말.
#일 #재능 #적합 #갖가지"
"* 形單影隻(형단영척)*: 형체가 하나이므로 그림자도 하나라는 뜻으로, 의지할 곳도 도움을 받을 곳도 없이 몹시 외롭고 고독한 *처지*를
이르는 말."
* 斗南一人(두남일인)*: 북두칠성의 남*쪽*에서 제일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천하에 으뜸가는 훌륭한 인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解衣衣之(해의의지)*: 자기 옷을 벗어 남에게 입힌다는 뜻으로, 은혜를 남에게 베*풀*거나 총애(寵愛)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嘉言善行(가언선행)*: 좋은 말과 착한 행실을 아울러 이르는 말.
"* 東家食西家宿(동가식서가숙)*: 동쪽 집에서 밥 먹고 *서쪽* 집에서 잠잔다는 뜻으로, 일정한 거처가 없이 떠돌아다니며 지냄을 이르는
말. 나중에는 자기의 잇속을 차리기 위하여 지조 없이 여기저기 빌붙어 사는 행태를 이르게 되었다.
#일 #거처 #집 #일정 #나중 #밥 #비유 #동쪽 #*서쪽* #탐욕 #지조 #사람"
"* 和光同塵(화광동진)*: (1)빛을 감추고 티끌 속에 섞여 있다는 뜻으로, 자기의 뛰어난 지덕(智德)을 나타내지 않고 세속을 따름을
이르는 말.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 나오는 말이다. (2)불보살이 중생을 깨우치기 위하여 속인들 사이에 태어나 중생과
인연을 맺어 중생을 불법으로 인도함.
#불법 #인연 #인간계 #자랑 #사이 #일 #재기 #따름 #중생 #자랑함 #노자 #불가 #티끌 #인간 #보살 #화 #불보살 #부처 #지혜 #빛 #말 #지덕 #속세 #속인 #사용 #
구제 #세속"
* 女尊男卑(녀존남비)*: (1)사회적 지위나 권리에 있어 *여자*를 남자보다 우대하고 존중하는 일. (2)‘여존남비’의 북한어.
"* 刎頸之交(문경지교)*: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漁夫之利(어부지리)*: 두 사람이 이해관계로 서로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익을 이르는 말. 도요새가
무명조개의 속살을 먹으려고 *부리*를 조가비 안에 넣는 순간 무명조개가 껍데기를 꼭 다물고 *부리*를 안 놔주자, 서로 다투는 틈을
타서 어부가 둘 다 잡아 이익을 얻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이익 #사람 #조개 #엉뚱 #이해관계 #어부 #순간 #관계 #도요새 #지리 #이해 #유래 #*부리* #사이"
"* 溫故知新(온고지신)*: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가치 #그것 #말 #바탕 #옛것 #발견 #실현 #의미 #과거 #공자 #앎 #*새*것"
"* 丙舍傍啓(병사방계)*: 병사(丙舍) 곁에 통로(通路)를 열어 궁전(宮殿) 내(內)를 출입(出入)하는 사람들의 편리(便利)를
도모(圖謀)하였음."
* 連理之樂(연리지락)*: *부부*가 화합하는 즐거움.
"* 乃服衣裳(내복의상)*: 이에 의복(衣服)을 입게 하니 황제(黃帝)가 의관(衣冠)을 지어 등분(等分)을 *분별*(分別)하고
위의(威儀)를 엄숙(嚴肅)케 하였음.
#의복 #의관 #황제 #엄숙 #*분별*"
"* 結草報恩(결초보은)*: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아버지의 첩을 개가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그 서모 아버지의 혼이 적군의 앞길에 풀을
묶어 적을 넘어뜨려 위과가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재가 #개가 #시대 #은혜 #위과 #갚음 #진나라 #혼령 #싸움터 #입 #적군 #전쟁터 #위나라 #유래 #세상 #사람 #*춘추* #앞길 #첩 #말 #보답 #새어머니 #유언 #
중국 #고사"
"* 三嚴(삼엄)*: (1)세 사람의 엄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임금ㆍ아버지ㆍ스승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거둥할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임금과 문무백관이 근정전(勤政殿)이나 지정된 장소에 나가 모든 의식 준비를 *완전*히
끝냈다. (3)군사 행동에 들어갈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행군을 시작하였다.
#셋째 #군사 #임금 #때 #이것 #북 #시작 #스승 #문무 #준비 #의식 #장소 #행동 #사람"
"* 上通下達(상통하달)*: 위로 통하고 아래로 전*달*된다는 뜻으로, 아랫사람의 뜻이 윗사람에게 잘 통하고 윗사람의 뜻이 아랫사람에게
잘 전해짐을 이르는 말.
#아랫사람 #윗사람 #아래 #의사 #의미 #전*달* #사람"
* 不立文字(불립문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므로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
"* 采薇之歌(채미지가)*: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이 은(殷)나라를 누르고 임금이 되었을 때에 은(殷)나라의 백이(伯夷)와
숙제(叔齊) *형제*(兄弟)는 주(周)나라 곡식(穀食)을 먹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먹으며 지냈는 데, 그들이
죽을 적에 읊었다는 노래."
* 莫非王臣(막비왕신)*: *왕*의 신하가 아닌 사람이 없음.
"* 敬天勤民(경천근민)*: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위하여 부지런히 일함.
#백성 #일 #일함 #*공경* #하늘 #하느님"
"* 悅豫且康(열예차강)*: 이상(以上)과 같이 마음 편히 즐기고 살면 단란한 *가정*(家庭)임.
#*가정* #마음 #단란 #이상"
"* 莫知東西(막지동서)*: *동서*(東西)를 분간(分揀)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리(事理)를 모르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분간 #*동서* #사리"
"* 壟斷之術(롱단지술)*: (1)이익을 *혼자* 차지하는 재주. (2)‘농단지술’의 북한어.
#재주 #이익 #차지 #*혼자* #술"
"* 奉檄之喜(봉격지희)*: 부모가 살아 있는 *동안*에 그 고을의 수령으로 임명되는 기쁨.
#고을 #기쁨 #임명 #부모 #*동안* #수령 #사람"
"* 刻鵠類鶩(각곡유목)*: 고니를 조각하다가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됨을 이르는 말."
"* 妻梅子鶴(처매자학)*: 매화(梅花)를 *아내*로 삼고, 학을 아들로 삼음.
#삼음 #매화 #아들 #*아내* #학"
"* 人鬼相半(인귀상반)*: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戎馬生郊(융마생교)*: 군마(軍馬)가 국경에서 태어난다는 뜻으로, 이웃 나라와 *전쟁*이 끊이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국경 #새끼 #군마 #지대 #*전쟁* #나라 #비유 #이웃"
"* 兎死狐悲(토사호비)*: *토끼*가 죽으니 여우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동류(同類)가 서로 동정(同情)함을 이르는 말.
#*토끼* #불행 #말 #동류 #여우 #죽음 #동정 #무리"
감동
"* 望蜀(망촉)*: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無理難題(무리난제)*: (1)*무리*하게 떠맡기는 어렵고 까다로운 문제. (2)터무니없는 시비.
#조건 #문제 #이치 #시비 #터무니 #是非 #*무리*"
"* 顯高祖考(현고조고)*: 돌아가신 고조할아버지의 신주나 축문 *첫머리*에 쓰는 말.
#신주 #할아버지 #*첫머리* #고조"
"* 界首主人(계수주인)*: 조선 시대에, 서울에 있으면서 각 도 감영(監營)의 일을 맡아보던 사람.
#일 #서울 #시대 #감영 #조선 #사람"
"* 渾金璞玉(혼금박옥)*: 정련하지 않은 광석인 원광(原鑛)과 다듬지 않은 옥(玉)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좋은 바탕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亡羊(망양)*: (1)독서를 하다가 양을 잃고 노름을 하다가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하는 일은 달라도 한 가지 일에 전념하지
아니하고 이것저것 하면 실패함을 이르는 말. ≪장자≫ 에 나오는 말이다. (2)*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에 나오는 말이다."
"* 別乾坤(별건곤)*: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밖 #경치 #세상"
"* 養子息知親力(양자식지친력)*: *자식*을 길어야봐야 어버이의 힘든 것을 안다는 뜻으로, 부모가 되어보아야 지고지순(至高至純)한
부모의 사랑을 깨달을 수 있다는 의미.
#*자식* #사랑 #의미 #어버이 #부모"
"* 花發多風雨(화발다풍우)*: *꽃*이 피면 비바람이 많다는 뜻으로, *꽃*샘추위의 비바람이 *꽃*을 떨어뜨리듯이, 인간 세상의 만사가
마음대로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忘形之友(망형지우)*: 외형을 잊고 사귄 *친구*라는 뜻으로. 외형적인 것을 상관하지 않고 마음으로서 사귄 친밀한 *친구*의 의미.
#마음 #*친구* #상관 #의미 #친밀 #외형"
* 無用之物(무용지물)*: 쓸모없는 물건이나 사람.
"* 燕趙悲歌士(연조비가사)*: 우국지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에, 연나라와 조나라에는 세상을 비관하여 슬픈 노래를
부르는 선비가 많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람 #노래 #춘추 #*시대* #전국 #나라 #중국 #조나라 #세상 #선비 #유래 #비관"
* 縱橫無盡(종횡무진)*: *자유*자재로 행동하여 거침이 없는 상태.
"* 活死人(활사인)*: 살아있으면서 죽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한평생 세상일에 관여하지 않는 사람의 의미에서 바보나 천치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 各樣各色(각양각색)*: 각기 다른 여러 가지 *모양*과 빛깔.
"* 泣斬馬謖(읍참마속)*: 큰 목적을 위하여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버림을 이르는 말. ≪삼국지≫의 〈마속전(馬謖傳)〉에 나오는 말로,
중국 촉나라 제갈량이 군령을 어기어 가정(街亭) *싸움*에서 패한 마속을 눈물을 머금고 참형에 처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참형 #부하 #법 #사람 #촉나라 #눈물 #삼국지 #말 #군령 #제갈량 #중국 #버림 #대의 #처단 #가정 #*싸움* #유래 #목적"
"* 風雲魚水(풍운어수)*: 바람ㆍ구름ㆍ고기ㆍ물이라는 뜻으로, 임금과 신하의 친밀한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바람 #신하 #임금 #물 #비유 #구름 #친밀 #밀접 #사이"
"* 白色恐怖(백색공포)*: 권력자나 지배 계급이 반정부 *세력*이나 혁명 운동에 대하여 행하는 탄압.
#혁명 #권력 #탄압 #지배 #백색 #운동 #프랑스 #왕실 #두려움 #흰색 #계급 #*세력* #본래 #유래"
"* 學海(학해)*: (1)*학문*의 바다라는 뜻으로, *학문*의 세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냇물이 끊임없이 흘러 바다에
들어가듯이, 사람도 꾸준히 *학문*에 힘써서 끝내 대성함을 이르는 말."
"* 愛子之情(애자지정)*: 자식을 *사랑*하는 정.
#자식 #*사랑*"
"* 豪氣滿發(호기만발)*: 꺼드럭거리며 뽐내는 *기운*이 온몸에 가득 차서 겉으로 드러남.
#온몸 #외모 #*기운* #겉 #기상"
"* 極樂往生(극락왕생)*: 죽어서 극락에 다시 태어남.
#아미타불 #극락 #용어 #불교 #목숨 #의미"
"* 不如歸(불여귀)*: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사라
"* 蛇心佛口(사심불구)*: *뱀*의 마음에 부처의 입이라는 뜻으로, 속으로는 간악한 마음을 품고 있으면서 입으로는 착한 말을 하는
행동이나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자비 #일 #마음 #말 #악독 #간악 #입 #의미 #부처 #*뱀* #겉 #행동 #사람"
* 孝悌忠信(효제충신)*: 어버이에 대한 효도, *형제*끼리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성과 벗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
"* 君子三樂(군자삼락)*: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 谿壑之慾(계학지욕)*: 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의 욕심이라는 뜻으로, 물릴 줄 모르는 한없는 욕심(慾心)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 乘風破浪(승풍파랑)*: 먼 곳까지 불어 가는 바람을 타고 끝없는 바다의 파도를 헤치고 배를 달린다는 뜻으로, 원*대한* 뜻이 있음을
이르는 말."
"* 塗中曳尾(도중예미)*: 진흙 속에 꼬리를 끌고 다닌다는 뜻으로, 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사는 생활의 *자유*로움을 이르는 말. 거북이
죽은 뒤에 그 등껍질이 점치는 데 귀하게 쓰이는 것보다는 살아서 꼬리를 진흙 속에 끌고 다니는 것이 더 좋은 것처럼 벼슬하여 속박을
받기보다는 은거하여 *자유*롭게 사는 것이 더 낫다고 한 장자(莊子)의 말에서 유래하였다.
#진흙 #거북이 #말 #은거 #거북 #껍질 #속박 #장자 #의미 #편안 #꼬리 #*자유* #벼슬 #흙 #유래 #생활 #세상"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