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上下相蒙(상하상몽)*: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속임.
#웃사람 #아랫사람 #윗사람 #사람"
"* 萬人之上(만인지상)*: 예전에, 영의정의 *지위*를 이르던 말.
#아래 #예전 #정승 #*지위* #만인 #영의정 #과거 #사람"
"* 羚羊挂角(영양괘각)*: 영양이 밤에 잘 때에는 나뭇가지에 뿔을 걸어서 위해(危害)를 막는다는 뜻으로, 흔적(痕跡ㆍ痕迹)을 찾을 수
없음. 모든 것을 초탈하여 자유분방(奔放)한 시의 *세계*(世界)를 이르는 말."
* 不卽不離(부즉불리)*: (1)두 관계가 붙지도 아니하고 떨어지지도 아니함. (2)찬성도 아니 하고 반대도 아니 함.
* 幕天席地(막천석지)*: 하늘을 장막으로 삼고 *땅*을 자리로 삼는다는 뜻으로, 지기(志氣)가 웅대함을 이르는 말.
"* 魚水之樂(어수지락)*: 물고기와 물의 관계처럼 어진 임금과 *신하*가 서로 이해하고 돕는 즐거움.
#*신하* #임금 #관계 #물 #물의 #이해 #즐거움"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男女相悅之詞(남녀상열지사)*: 남녀가 서로 *사랑*하면서 즐거워하는 가사라는 뜻으로, 조선 시대에 사대부들이 ‘고려 가요’를 낮잡아
이르던 말.
#남녀 #장면 #노래 #*사랑* #고려 #시대 #유학자 #사대부 #낮 #조선"
"* 讀書三到(독서삼도)*: *독서*를 하는 세 가지 방법. 입으로 다른 말을 아니 하고 책을 읽는 구도(口到), 눈으로 다른 것을 보지
않고 책만 잘 보는 안도(眼到), 마음속에 깊이 새기는 심도(心到)를 이른다."
"* 好色不淫(호색불음)*: 여색을 좋아하나 음란하지 않다는 뜻으로, *정도*(定度)를 넘지 않는 기본적인 가치를 지킨다는 의미인데,
시경(詩經)의 국풍(國風)을 평하여 이르는 의미임."
"* 誰怨誰咎(수원수구)*: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겠냐는 뜻으로, 남을 *원망*하거나 탓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원망* #누구 #허물"
"* 有無相生(유무상생)*: 유와 무가 *서로* 생겨난다는 뜻으로, 有無가 *서로* 교호(交互)하여 생겨나는 것에서, 유에서 무가 무에서
유가 생겨나는 상대적 관계를 이르는 말.
#상대 #관계"
* 泡幻(포환)*: 물거품과 환상이라는 뜻으로, *세상*의 허무함을 이르는 말.
"* 天道至則反(천도지즉반)*: 사물(事物)이 그 극에 이르면 도리어 그 반대(反對)로 됨을 이르는 말.
#사물 #반대"
"* 行不由徑(행불유경)*: 길을 가는데 지름길을 말미암지 않는다는 뜻으로, 행동을 공명정대(公明正大)하게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비유 #길 #지름길 #공명정대 #행동"
* 自開自落(자개자락)*: 사람이 가꾸지 아니하여도 *꽃*이나 열매 따위가 저절로 피고 맺고 떨어짐.
* 安不忘危(안불망위)*: 편안한 *가운데*서도 위태로움을 잊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항상 마음을 놓지 않고 스스로를 경계함을 이르는 말.
* 妙年才格(묘년재격)*: *젊은* 나이에 타고난 재주와 높은 품격.
* 縮地補天(축지보천)*: 땅을 줄이고 하늘을 깁는다는 뜻으로, 임금이 *천하*의 행정 기구를 크게 개혁함을 이르는 말.
"* 雲捲天晴(운권천청)*: (1)구름이 걷히고 하늘이 맑게 갬. (2)병이나 *근심* 따위가 씻은 듯이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병 #비유 #구름 #*근심* #하늘 #따위"
"* 魚鹽柴水(어염시수)*: 생선ㆍ소금ㆍ땔나무ㆍ물이라는 뜻으로,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
#땔나무 #물품 #소금 #물 #사용 #필요 #*생활* #총칭"
* 如得萬金(여득만금)*: 많은 *금*을 얻은 것과 같이 흡족하게 여김.
"* 能孝能悌莫非師恩(능효능제막비사은)*: *부모*(父母)님께 효도(孝道)하고 어른을 공경(恭敬)할 수 있음은 스승의 은혜(恩惠)가
아님이 없음."
"* 楚材晉用(초재진용)*: 초*나라*의 인재를 진(晉)*나라*에서 쓴다는 뜻으로, 같은 무리 안에서는 그 진가를 알아주지 못하고 남이
그것을 이용함을 이르는 말."
"* 見兎放狗(견토방구)*: *토끼*를 발견(發見)한 후(後)에 사냥개를 놓아서 잡게 하여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사태(事態)의 진전을
관망(觀望)한 후(後)에 응(應)하여도 좋다는 말.
#*토끼* #말 #발견 #사냥개 #사태"
"* 走獐落兎(주장낙토)*: 노루를 쫓다가 *토끼*를 잡는다는 뜻으로, 뜻밖의 이익이나 재물을 얻음을 이르는 말.
#*토끼* #뜻밖 #이익 #재물"
"* 至上命令(지상명령)*: 칸트 철학에서, 행위의 결과에 구애됨이 없이 행위 그것 자체가 선(善)이기 때문에 무조건 그 *수행*이
요구되는 도덕적 명령.
#자체 #그것 #명령 #행위 #때문 #선 #철학 #칸트 #도덕 #*수행* #요구 #도덕적 #구애 #결과"
* 整襟端坐(정금단좌)*: 옷깃을 바로잡고 단정하게 앉는다는 뜻으로, 몸가짐을 바르게 하여 수양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
"* 山呼萬歲(산호만세)*: 나라의 중요 *의식*에서 신하들이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하여 두 손을 치켜들고 만세를 부르던 일. 중국
한나라 무제가 쑹산산(嵩山山)에서 제사 지낼 때 신민(臣民)들이 만세를 삼창한 데서 유래한다.
#무제 #일 #강 #중요 #신하 #축수 #유래 #임금 #때 #나라 #만세 #중국 #*의식* #황제 #한나라 #산 #제사"
"* 樵童牧豎(초동목수)*: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땔나무 #*아이* #가축 #식견 #총각 #사람"
"* 天子之孝(천자지효)*: *천자*(天子)가 행(行)하는 효도(孝道).
#효도 #*천자* #행"
"* 無去無來(무거무래)*: 우주의 근본 이치인 대아(大我)와 심체(心體)는 *시작*도 끝도 없이 항상 존재함. 진리 또는 진여(眞如)가
무한함을 이른다.
#불변 #이름 #우주 #무한 #존재 #상주 #진여 #이치 #진리 #끝 #*시작* #윤회 #근본"
"* 夷蠻戎狄(이만융적)*: 동쪽의 이(夷), 남쪽의 만(蠻), *서쪽*의 융(戎), 북쪽의 적(狄)이라는 뜻으로, 모든 오랑캐를 이르는
말. 중국인의 중화사상에서 생겨난 말로 외국인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동이 #말 #표현 #지칭 #사방 #북 #동쪽 #*서쪽* #사상 #중국 #남쪽 #북쪽 #오랑캐 #입장"
"* 無我(무아)*: (1)자신의 욕심을 채우려는 마음이 없음. (2)일체의 존재는 모두 *무상*하며 고(苦)이므로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음. 인무아와 법무아 둘로 나눈다. (3)자기의 존재를 잊음."
* 僕妾之役(복첩지역)*: 남자 종과 *여자* 종이 맡아 해야 할 일.
"* 塞翁之馬(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 傍若無人(방약무인)*: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아무 거리낌 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는 태도가 있음.
#곁 #성 #말 #거리낌 #주위 #태도 #의식 #주변 #행동 #사람"
* 半面之分(반면지분)*: 얼굴만 약간 알 *정도*의, 교분이 두텁지 못한 사이.
"* 桑滄之變(상창지변)*: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이 극심하게 뒤바뀜을 이르는 말.
#*뽕나무* #밭 #*뽕나무*밭 #극심 #세상일"
"* 山明水紫(산명수자)*: *산*과 물이 맑고 자줏빛으로 선명하다는 뜻으로, *산*수의 경치가 맑고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자줏빛 #선명 #물 #*산*수 #경치 #*산* #아름다움"
* 南征北伐(남정북벌)*: 남*쪽*을 정복하고 북*쪽*을 토벌함.
"* 文過其實(문과기실)*: 겉을 꾸미는 것이 자기(自己) *신분*(身分)에 걸맞지 않게 지나침.
#겉 #*신분*"
"* 枯木發榮(고목발영)*: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 紅一點(홍일점)*: (1)푸른 잎 가운데 피어 있는 한 송이의 붉은 꽃. 왕안석의 영석류시(詠石榴詩)에서 유래한다. (2)여럿
속에서 오직 *하나* 이채(異彩)를 띠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많은 남자 사이에 끼어 있는 한 사람의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揖讓之風(읍양지풍)*: 읍양의 예를 잘 지키는 *풍속*.
#*풍속* #양보 #겸손 #의미 #태도"
* 鷄群一鶴(계군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 去惡生新(거악생신)*: 굳은살을 없애고 *새*살이 나오게 함.
"* 毛織婚式(모직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4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모직으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마흔 #결혼 #*선물* #풍속 #의식 #부부 #기념"
* 農時方張(농시방장)*: 농사철이 되어 일이 한창 벌어짐.
* 波瀾重疊(파란중첩)*: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에 여러 가지 곤란이나 시련이 많음.
"* 頭上安頭(두상안두)*: 머리 위에 머리를 편안하게 두다는 뜻으로, 이중으로 머리가 있는 것처럼 사물이 중복되거나 흉내만 내고 발전이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 伯母(백모)*: 아버지 맏형의 *아내*를 이르는 말.
"* 臥薪嘗膽(와신상담)*: 불편한 섶에 몸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의 와 ≪십팔사략≫ 등에 나오는 이야기로,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가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장작더미 위에서 잠을 자며 월나라의 왕 구천(句踐)에게 복수할 것을 맹세하였고, 그에게
패배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몸 #구천 #장작 #시대 #괴로움 #오나라 #월나라 #일 #다짐 #쓸개 #나무 #비유 #맹세 #유래 #섶나무 #춘추 #왕 #복수 #원수 #불편 #어려움 #나라 #중국 #잠 #패배"
* 納粟加資(납속가자)*: 조선 *시대*에, 흉년이 들거나 병란이 있을 때 많은 곡식을 바친 사람에게 공명첩을 주던 일.
* 蓬蓽(봉필)*: 쑥대나 잡목의 가시로 엮어 만든 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사는 집을 이르는 말.
* 惡言相待(악언상대)*: 못된 *소리*를 주고받으며 서로 다툼.
* 名實不副(명실불부)*: 명실이 서로 맞지 아니함.
"* 損者三友(손자삼우)*: 사귀면 손해가 되는 세 종류의 벗. 편벽한 벗, 착하기만 하고 줏대가 없는 벗, 말만 잘하고 성실하지 못한
벗을 이른다.
#말 #벗 #편벽 #종류 #손해 #의미 #성실 #줏대"
"* 去者日疎(거자일소)*: 죽은 사람에 대한 생각은 날이 갈수록 잊게 된다는 뜻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점점 *사이*가 멀어짐을
이르는 말."
* 風樹之歎(풍수지탄)*: 부모(父母)에게 *효*도(孝道)를 다하려고 생각할 때에는 이미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門前沃畓(문전옥답)*: 집 가까이에 있는 *기름*진 논.
#집 #앞 #재산 #가까이 #비옥"
"* 叛服無常(반복무상)*: 배반하였다 복종하였다 하여 그 태도가 *일정*하지 아니함.
#*일정* #언행 #태도 #복종 #배반"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때 #여옹 #인생 #생활 #사이 #메조 #노생 #년간 #유래 #도사 #땅 #소년 #베개 #80년 #꿈 #한단 #밥 #나라 #영화 #중국 #잠 #고사"
"* 不愧屋漏(불괴옥루)*: 사람이 보지 아니하는 곳에서도 *행동*을 경계하고 신중히 하여 부끄럽지 아니함. ≪중용(中庸)≫에 나오는
말이다."
"* 左衝右突(좌충우돌)*: (1)이리저리 마구 찌르고 부딪침. (2)아무에게나 또는 아무 일에나 함부로 맞닥뜨림.
#왼쪽 #일 #쪽 #오른쪽"
"* 望五(망오)*: (1)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마흔하나를 이르는 말. (2)궁중에서, 임금과 왕후, 왕대비의 나이가 쉰이 되기
이삼 년 전에 베*풀*던 경축연.
#마흔 #왕대비 #말 #왕 #임금 #왕후 #궁중 #나이 #대비"
"* 抱璧有罪(포벽유죄)*: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귀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彌縫策(미봉책)*: 눈가림만 하는 일시적인 *꾀*나 방법.
"* 猫頭縣鈴(묘두현령)*: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라는 뜻으로, 불가능한 일을 *의논*하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
#일 #*의논* #고양이 #상황 #비유 #방울 #불가능"
"* 獺祭魚(달제어)*: 수달(水獺)이 *물고기*를 잡아 제사 지내는 것처럼 사방에 늘어놓는다는 뜻으로, 시문(詩文)을 지을 때에 많은
참고 서적을 벌여 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東奔西走(동분서주)*: 동쪽으로 뛰고 *서쪽*으로 뛴다는 뜻으로, 사방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사방 #의미 #동쪽 #동서 #*서쪽*"
"* 白額大虎(백액대호)*: 이마와 눈썹의 털이 허옇게 센 늙은 *호랑이*.
#이마 #눈썹 #범 #*호랑이* #털"
"* 威力成黨(위력성당)*: 떼 지어 으르고 협박함. ⇒*규범* 표기는 ‘울력성당’이다.
#일 #기세 #위력 #의미 #*규범* #동아리 #무리 #사람"
"* 山容水相(산용수상)*: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산천의 *형세*를 이르는 말.
#물 #물의 #산천 #모양 #산 #*형세*"
"* 天下第一(천하제일)*: 세상에 견줄 만한 것이 없이 최고임.
#최고 #세상"
"* 唯我獨尊(유아독존)*: (1)우주 가운데 자기보다 더 존귀한 이는 없음.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처음으로 한 말이라고 한다. (2)
*세상*에서 자기 혼자 잘났다고 뽐내는 태도."
"* 無價之寶(무가지보)*: 값을 매길 수 없을 만큼 귀중한 *보배*.
#*보배* #귀중 #값 #보물"
"* 蓬門(봉문)*: (1)쑥으로 지붕을 인 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나 숨어 사는 사람의 집을 이르는 말. (2)*자기* 집을
낮추어 이르는 말."
* 賢閤(현합)*: 남의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
"* 八道江山(팔도강산)*: 팔도의 *강산*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 전체의 *강산*을 이르는 말.
#도의 #팔도 #여덟 #나라 #산수 #우리나라 #우리 #전체 #*강산*"
"* 一龍一蛇(일룡일사)*: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가거나 뱀이 되어 못 속에 숨는다는 뜻으로, 태평한 시대에는 세상에 나와 일을 하고
난세에는 은거하여 *재능*을 나타내지 아니하고 시대에 잘 순응함을 이르는 말."
"* 河海不擇細流(하해불택세류)*: 강과 *바다*는 작은 물줄기도 가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큰사람은 보잘것없는 사람이나 사소한 말도 다
받아들임을 이르는 말."
* 自屈之心(자굴지심)*: 스스로 *자기*를 굽히는 마음.
"* 亡羊(망양)*: (1)독서를 하다가 양을 잃고 노름을 하다가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하는 일은 달라도 한 가지 일에 전념하지
아니하고 이것저것 하면 *실패*함을 이르는 말. ≪장자≫ 에 나오는 말이다. (2)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에 나오는 말이다.
#일 #갈래 #말 #전념 #학문 #양 #*실패*함 #어려움 #*실패* #진리 #독서 #장자 #길 #갈림길 #길이 #노름 #유래 #학"
"* 鳥爲食死(조위식사)*: 새가 좋은 먹이를 찾다가 목숨을 잃는다는 뜻으로, *욕심*(慾心) 때문에 몸을 망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몸 #새 #*욕심* #때문 #목숨 #먹이 #비유"
"* 毒樹毒果(독수독과)*: 독이 든 나무의 열매에도 독이 있다는 뜻으로, *법*에 어긋난 방*법*으로 얻은 증거는 증거로 인정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赫赫之功(혁혁지공)*: 빛나고 *왕성*한 공이라는 뜻으로, 훌륭하고 뛰어난 공적이라는 의미.
#빛 #공적 #의미 #혁혁 #*왕성* #훌륭"
"* 長林深處(장림심처)*: 길게 뻗친 *숲*의 깊숙한 곳.
#깊숙"
* 薄酒山菜(박주산채)*: (1)맛이 변변하지 못한 술과 산나물. (2)*자기*가 내는 술과 안주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 諸母(제모)*: *아버지*와 같은 항렬이 되는 당내친의 아내. 제부(諸父)의 아내를 이른다.
"* 無始無終(무시무종)*: (1)천주의 소극적 품성을 나타내는 말. (2)시작도 없고 끝도 없음. (3)우주의 *근본* 이치인
대아(大我)와 심체(心體)는 시작도 끝도 없이 항상 존재함. 진리 또는 진여(眞如)가 무한함을 이른다.
#가톨릭 #불변 #품성 #우주 #무한 #존재 #진여 #불교 #이치 #끝 #진리 #시작 #윤회 #사용 #의미 #*근본* #하느님 #성품"
* 靑孀寡婦(청상과부)*: 젊어서 남편을 잃고 홀로된 *여자*.
"* 怨入骨髓(원입골수)*: 원한이 골수에 사무친다는 뜻으로, 몹시 원망함을 이르는 말. ≪*사기*≫ 에 나오는 말이다.
#원망 #골수 #말 #진보 #원한 #의미"
"* 鑑貌辨色(감모변색)*: *모양*(模樣)과 거동(擧動)으로 그 마음속을 분별(分別)할 수 있음.
#마음속 #거동 #*모양* #분별"
"* 天下奇才(천하기재)*: (1) 세상(世上)에서 가장 뛰어난 *재능*(才能) (2) 또는, 그 *재능*(才能)을 가진 사람.
#*재능* #세상 #사람"
"* 法古創新(법고창신)*: 옛 것을 *법*으로 삼아 새 것을 창조한다는 뜻으로, 과거를 밑거름으로 해서 새로운 것을 도출해낸다는 의미.
#그것 #*법* #옛것 #의미 #근본 #토대 #과거 #변화"
"* 麥秀黍油(맥수서유)*: *보리*의 이삭과 기장의 윤기라는 뜻으로, 고국의 멸망(滅亡)을 탄식(歎息)함.
#기장 #고국 #탄식 #*보리* #멸망"
* 無道沒倫(무도몰륜)*: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와 인륜이 없음.
"* 桑海之變(상해지변)*: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뽕나무* #밭 #*뽕나무*밭 #세상일 #정도 #변천 #세상"
"* 朝改暮變(조개모변)*: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자주 고침을 이르는 말.
#고침 #아침 #일정 #방침 #계획 #결정 #*저녁* #따위 #아침*저녁*"
"* 虎前乞肉(호전걸육)*: *호랑이* 앞에서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범에게 고기 달래기’로 표현하는 어림도 없는 일을 계획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일 #범 #앞 #*호랑이* #표현 #구걸 #비유 #나라 #계획 #우리 #속담 #우리나라 #어림"
"* 大器晩成(대기만성)*: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역경 #일 #만년 #이름 #*시간* #노력 #완성 #인물 #큰그릇 #의미 #그릇 #공적 #성공 #사람"
"* 良禽擇木(양금택목)*: (1)‘양금택목’의 북한어. (2)좋은 새는 *나무*를 가려서 깃들인다는 뜻으로, 훌륭한 사람은 좋은 군주를
가려서 섬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새 #*나무* #임금 #섬김 #의미 #선택 #자리 #훌륭 #군주 #사람"
"* 下學上達(하학상달)*: *아래*를 배워 위에 도달한다는 뜻으로, 쉬운 지식을 배워 어려운 이치를 깨달음을 이르는 말.
#사리 #말 #*아래* #학문 #인간 #이치 #사용 #도달 #의미 #지식 #하늘 #깨달음 #통달"
"* 黑頭宰相(흑두재상)*: 나이가 젊은 *재상*.
#*재상* #머리 #삼공 #정승 #나이 #지위"
* 懸軍孤鬪(현군고투)*: 본대(本隊)를 떠나 적지에 *깊이* 들어가 외롭게 싸움.
"* 我有歡樂兄弟亦樂(아유환락형제역락)*: 나에게 기쁨과 즐거움이 있으면 형과 아우도 또한 즐거워함.
#기쁨 #즐거움 #형 #아우"
"* 沙羅雙樹(사라쌍수)*: 석가모니가 열반할 때 사방에 한 쌍씩 서 있었던 사라수(沙羅樹). 동*쪽*의 한 쌍은 상주(常住)와
무상(無常)을, 서*쪽*의 한 쌍은 진아(眞我)와 무아(無我)를, 남*쪽*의 한 쌍은 안락(安樂)과 무락(無樂)을, 북*쪽*의 한 쌍은
청정(淸淨)과 부정(不淨)을 상징한다."
* 暮夜無知(모야무지)*: 이슥한 밤에 하는 일이라서 보고 듣는 사람이 없거나 *알* 사람이 없음.
"* 茫無頭緖(망무두서)*: *정신*이 아득하여 일의 순서를 찾지 못하고 있음.
#일 #아득 #*정신* #순서"
* 朝變夕改(조변석개)*: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자주 고침을 이르는 말.
"* 借花獻佛(차화헌불)*: *꽃*을 빌려 부처에 바친다는 뜻으로, 남의 물건으로 자신의 이득을 꾀한다는 의미.
#일 #선물 #이득 #*꽃* #의미 #물건 #자신 #부처 #봄"
* 高峯撐天立長江割地去(고봉탱천립장강할지거)*: 높은 봉우리는 *하늘*을 지탱(支撐)하여 서 있고, 긴 강은 땅을 가르고 감.
* 男尊女卑(남존여비)*: (1)‘*남*존여비’의 북한어. (2)*남*자는 지위가 높고 귀하며, 여자는 지위가 낮고 천하다고 여기는 일.
* 除禮(제례)*: 갖추어야 할 예의를 덜어 버린다는 뜻으로, 간단한 한문 투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말.
* 反顧(반고)*: 뒤를 *돌*아본다는 뜻으로, 가족을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 桑濮之音(상복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뽕나무 #*남녀* #말 #복수 #때문 #밭 #복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土牛木馬(토우목마)*: *흙*으로 만든 소와 나무로 만든 말이라는 뜻으로, 겉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는 것처럼, 가문이 좋을 뿐 아무
재능이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貪者殉財(탐자순재)*: 탐욕스러운 사람은 재물을 위해 *목숨*까지 버린다는 뜻으로, 탐욕스러운 사람은 재물 때문에 *목숨*을 잃음을
이르는 말."
"* 猫項懸鈴(묘항현령)*: 쥐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다는 뜻으로, 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를 이르는 말. 쥐가 고양이의 습격을 미리
막기 위한 *수단*으로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다는 일을 의논하였으나, 실행 불가능으로 끝났다는 우화에서 유래한다.
#일 #의논 #말 #우화 #고양이 #방울 #가능 #쥐 #공연 #실행 #논의 #유래 #불가능 #*수단*"
* 五日一石(오일일석)*: 닷새에 한 돌을 그린다는 뜻으로, 명공(名工)이 애쓰며 소홀히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速登者易顚(속등자이전)*: 빨리 오르는 자는 넘어지기 쉽다는 뜻으로, 출세가 빠른 사람은 도리어 *재난*이 많음을 비유하는 말.
#사람 #출세 #비유 #*재난*"
"* 玉兎銀蟾(옥토은섬)*: 옥토끼와 은 두꺼비라는 뜻으로, 달 속에 사는 토끼와 두꺼비의 전설에서 *유래*한 ‘달’의 별칭(別稱).
#토끼 #달 #*유래* #전설"
* 廻天挽日(회천만일)*: 하늘을 *돌*리고 지는 해를 잡아당긴다는 뜻으로, 힘이 매우 셈을 이르는 말.
"* 短池孤草長通市求利來(단지고초장통시구리래)*: 짧은 연못엔 외로운 풀만 길어나고, 시장(市場)을 통(通)하니 *이익*(利益)을
구(求)하여 옴.
#연못 #*이익* #시장"
"* 無事泰平(무사태평)*: 일이 없이 태평하다는 뜻으로, 아무 탈이 없이 편안하다는 의미거나, 어떤 일에도 개의하지 않고 마음이
태평하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일 #마음 #탈 #개의 #태평 #사용 #의미 #편안"
"* 山容水態(산용수태)*: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산천의 형세를 이르는 말.
#물 #용 #물의 #산천 #*모양* #산 #형세"
"* 辟陋之地(벽루지지)*: 구석지고 비루(鄙陋)한 *땅*.
#*땅*"
"* 象牙塔(상아탑)*: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三從(삼종)*: (1)팔촌이 되는 관계. (2)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3)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人生草露(인생초로)*: 사람의 삶은 풀에 맺힌 이슬 같다는 뜻으로, *인생*은 해뜨면 사라질 아침에 맺힌 풀 위의 이슬처럼 덧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이슬 #아침 #풀 #비유 #*인생* #삶 #사람"
* 稱家有無(칭가유무)*: 집의 유무에 맞춘다는 뜻으로, 집의 빈부에 따라, 곧 *가*산(家産)에 따라 일을 알맞게 함을 이르는 말.
"* 騎虎之勢(기호지세)*: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형세라는 뜻으로, 이미 *시작*한 일을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형세 #경우 #호랑이 #*시작* #중도"
"* 之東之西(지동지서)*: 동쪽으로도 가고 *서쪽*으로도 간다는 뜻으로, 뚜렷한 목적 없이 이리저리 갈팡질팡함을 이르는 말.
#일 #동쪽 #*서쪽* #뚜렷 #주견 #목적"
"* 好學近乎知(호학근호지)*: 배움을 좋아하면 앎에 가깝다는 뜻으로, *학*문은 격물치지(格物致知)하는 길이므로, *학*문 좋아하는 것
자체가 벌써 ‘知’에 가까움을 이르는 말."
* 天傾西北邊地卑東南界(천경서북변지비동남계)*: 하늘은 서북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땅*은 동남쪽(東南-) 경계(境界)로 낮음.
* 深謀遠慮(심모원려)*: 깊은 꾀와 먼 장래를 내다보는 *생각*.
"* 夫爲婦綱(부위부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유교 #남편 #모범 #덕목 #의미 #도덕 #근본 #부부간 #가치 #*아내* #벼리 #기본"
"* 非僧非俗(비승비속)*: *승려*도 아니고 속인도 아니라는 뜻으로, 이것도 저것도 아닌 어중간함을 이르는 말.
#속인 #이것 #*승려* #저것 #비유 #중도"
"* 君臣有義(군신유의)*: 오륜(五倫)의 하나.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신하 #임금 #*의리* #사이"
"* 鹿野苑(녹야원)*: 인도 중부에 있던 동산. *석가모니*가 다섯 비구를 위하여 처음으로 설법한 곳이다.
#설법 #석가 #*석가모니* #비구 #처음 #동산"
* 禍轉爲福(화전위복)*: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 墨子悲染(묵자비염)*: 묵자가 실이 염색되는 것을 보고 슬퍼했다는 뜻으로, 사람이 습성에 따라 성품이 선하게 되거나 악하게 될 수
있다는 *주장*에서 나온 말.
#환경 #선 #*주장* #습성 #묵자 #악 #성품 #습관 #사람"
* 血風血雨(혈풍혈우)*: 피 *바람*과 피 비라는 뜻으로, 격심한 혈전을 이르는 말.
* 顧復之恩(고복지은)*: 늘 돌보시는 *은혜*라는 뜻으로, 자나 깨나 자식을 걱정하는 부모의 *은혜*를 이르는 말.
"* 益者三友(익자삼우)*: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佩鈴自戒(패령자계)*: 방울을 차서 스스로를 경계한다는 뜻으로, 나쁜 습관을 고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는 자세의 의미로 *조선*
중기의 문인 이상의(李尙毅)의 어린 시절의 일화에서 유래함."
"* 百花齊放(백화제방)*: (1)많은 꽃이 일제히 핌. (2)온갖 학문이나 예술, 사상 따위가 함께 성(盛)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의 예술 정책으로 한때 고창되던 말이다."
"* 聲振林木(성진임목)*: 목소리가 숲의 *나무*를 떨게 한다는 뜻으로, 노랫소리의 격렬함을 비유하는 말.
#*나무* #목소리 #노랫소리 #비유"
"* 頓首再拜(돈수재배)*: 머리가 *땅*에 닿도록 두 번 절을 함. 또는 그렇게 하는 절. 경의를 표한다는 뜻으로 주로 편지의 첫머리나
끝에 쓴다."
"* 滄桑之變(창상지변)*: 푸른 바다가 뽕밭으로 바뀌는 변화라는 뜻으로, *자연*이나 사회에 심한 변화가 일어남. 또는 그 일어난
변화를 이르는 말. 당나라 시인 유정지(劉廷芝)의 이라는 시에서 유래하였다.
#뽕밭 #당나라 #뽕나무 #밭 #비유 #무상 #시인 #시절 #*자연* #세상 #대비 #사회 #유래 #변천 #변화"
"* 月明星稀(월명성희)*: *달*이 밝으니 별이 드물다는 뜻으로, 밝은 *달*로 인해 별이 숨듯이 드물게 보이는 것처럼 대인(大人)이
나타남에 소인(小人)이 빛을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尺寸之利(척촌지리)*: 얼마 되지 않는 약간의 *이익*.
#사소 #얼마 #*이익* #약간"
"* 換父易祖(환부역조)*: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바꾼다는 뜻으로, 지체가 낮은 사람이 부정한 *방법*으로 양반집 뒤를 이어 양반 행세를
함을 이르는 말.
#일 #부정 #말 #양반 #집 #할아비 #할아버지 #아비 #자손 #*방법* #지체 #수단 #사람"
"* 墨城之守(묵성지수)*: 묵자가 성을 지키는 데 조금도 굴하지 않았다는 뜻으로, 너무 완고(頑固)하여 변통(變通)할 줄 모르거나
자기(自己)의 의견(意見)이나 *주장*(主張)을 끝까지 밀고 나가는 것.
#성 #완고 #끝 #의견 #변통 #*주장* #묵자 #조금"
"* 界首主人(계수주인)*: *조선* 시대에, 서울에 있으면서 각 도 감영(監營)의 일을 맡아보던 사람.
#일 #서울 #시대 #감영 #*조선* #사람"
"* 貪名愛利(탐명애리)*: 명예를 탐내고 *이익*에 집착하는 일.
#일 #명예 #*이익* #집착"
* 忠君愛國(충군애국)*: 임금에게 충성을 다하고 나라를 *사랑*함.
"* 目不忍見(목불인견)*: *눈앞*에 벌어진 상황 따위를 눈 뜨고는 차마 볼 수 없음.
#참혹 #눈 #*눈앞* #상황 #비유 #정도 #따위"
"* 食無求飽(식무구포)*: 먹는 것에 배부름을 구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배불리 먹기를 바라지 않고 허기를 면할 정도로 만족한다는 *군자*(君子)의
마음가짐의 하나를 의미함."
"* 必欲甘心(필욕감심)*: 품은 *원한*을 기어이 풀고자 애를 씀.
#원망 #마음 #달 #노력 #*원한*"
"* 荷花鴛鴦(하화원앙)*: 연꽃 속의 원앙이라는 뜻으로, 부부 금슬(琴瑟)이 좋은 것을 연꽃 *아래* 원앙이 노니는 것으로 비유하여
표현하는 말."
* 花中王(화중왕)*: 여러 가지 *꽃* 가운데 왕이라는 뜻으로, ‘모란*꽃*’을 달리 이르는 말.
"* 刎頸之友(문경지우)*: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인상여 #인상 #벗 #친구 #*시대* #전국 #생사 #정도 #중국 #고사 #서로 #후회 #유래 #사이"
"* 北馬南船(북마남선)*: 중국의 북쪽은 산과 사막이 많아서 말을 이용하고 *남쪽*은 강이 많아서 배를 이용한다는 뜻으로, 늘 쉬지
않고 여기저기 여행을 하거나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배 #강 #말 #방 #이용 #여행 #사방 #중국 #*남쪽* #북쪽 #산"
"* 先病者醫(선병자의)*: 먼저 병을 앓아 본 사람이 의원이라는 뜻으로, 먼저 경험을 해 본 사람은 비슷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도와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말 #병 #의사 #사용 #의미 #*상황* #의원 #경험 #비슷 #사람"
"* 隨病投藥(수병투약)*: 병에 따라 약을 쓴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학문*이나 교양 등의 정도에 따라 설법(說法)을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
#교양 #설법 #*학문* #병 #비유 #약 #상대방 #정도"
"* 索居閑處(색거한처)*: 퇴직(退職)하여 한가(閑暇)한 곳에서 *세상*(世上)을 보냄.
#*세상*"
"* 萬古風雪(만고풍설)*: 아주 오랜 세월 동안 겪어 온 많은 *고생*.
#동안 #세월 #*고생*"
* 角枕粲錦禽爛(각침찬금금란)*: 각침과 비단(緋緞) 이불이 찬란(燦爛)하다는 뜻으로, 신혼의 *금*침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一寸光陰(일촌광음)*: 매우 짧은 *동안*의 시간.
* 禍兮福之所倚(화혜복지소의)*: 화와 복은 *서로* 의지(依支)하고 있음.
"* 殘月曉星(잔월효성)*: 새벽녘의 달과 별.
#달 #별 #의미 #새벽 #쇠"
"* 弄璋之喜(농장지희)*: 아들을 낳은 즐거움. 예전에,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규옥(圭玉)으로 된 구슬의 덕을 본받으라는 뜻으로
구슬을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구슬 #예전 #아들 #기쁨 #*중국* #즐거움 #유래"
* 貧賤之交(빈천지교)*: *가난*하고 천할 때 사귄 사이. 또는 그런 벗.
"*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조금 낫고 못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차이가 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 양(梁)나라
혜왕(惠王)이 정사(政事)에 관하여 맹자에게 물었을 때, 전쟁에 패하여 어떤 자는 백 보를, 또 어떤 자는 오십 보를 *도망*했다면,
백 보를 물러간 사람이나 오십 보를 물러간 사람이나 *도망*한 것에는 양자의 차이가 없다고 대답한 데서 유래한다.
#후퇴 #때 #본질 #비유 #백 #유래 #정도 #사람 #왕 #차이 #*도망* #양자 #대답 #본질적 #양 #정사 #전쟁 #걸음 #나라 #중국 #맹자 #조금"
"* 傾家破産(경가파산)*: 재산을 모두 털어 없애어 집안이 *형편*없이 기울어짐.
#*형편* #어짐 #재산 #집안"
"* 去者必反(거자필반)*: 가버린 사람은 반드시 돌아온다는 뜻으로, *불교*의 윤회 사상에 의거해 '會者定離(회자정리)와 함께 만물의
운명은 계속해서 돌고 돈다는 의미.
#정리 #*불교* #운명 #의미 #윤회 #사상 #만물 #계속 #사람"
"* 出於禍福(출어화복)*: *화복*(禍福)을 생각하고 두려워함.
#생각"
"* 呂翁枕(여옹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無邊大洋(무변대양)*: 끝없이 넓은 *바다*.
송곳
"* 完璧(완벽)*: (1)빌린 물건을 정중히 돌려보냄.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인상여(藺相如)가 진(秦)나라의 소양왕이 열다섯
성(城)과 화씨(和氏)의 벽(璧)을 바꾸자고 하여 진나라에 갔으나 소양왕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목숨*을 걸고 그 벽을
고스란히 도로 찾아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2)흠이 없는 구슬이라는 뜻으로, 결함이 없이 완전함을 이르는 말.
#인상여 #인상 #구슬 #성 #거짓말 #시대 #전국 #보전 #화씨 #*목숨* #나라 #의미 #중국 #물건 #전함 #조나라 #진나라 #완전함 #유래 #완전"
* 殉國先烈(순국선열)*: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윗대의 열사.
* 南田北畓(남전북답)*: 밭은 *남*쪽에 논은 북쪽에 있다는 뜻으로, 가지고 있는 논밭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 定省溫淸(정성온청)*: 아침 *저녁*으로 부모(父母)의 이부자리를 보살펴 안부(安否)를 묻고, 따뜻하고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부모(父母)를 섬기는 도리(道理)를 이르는 말.
#자식 #아침 #따뜻 #*저녁* #부모 #안부 #서늘"
* 淸淡虛無(청담허무)*: 맑고 담박한 무의 상태라는 뜻으로, 조촐하여 *사물*에 구애되지 않고 담박하다는 의미.
"* 千紫萬紅(천자만홍)*: 울긋불긋한 여러 가지 꽃의 빛깔. 또는 그런 빛깔의 꽃.
#형용 #빛깔 #꽃 #만발 #상태"
"* 冶家無食刀(야가무식도)*: 대장간에서 식칼이 논다는 뜻으로, *생활*에 쫓겨 남의 바라지만 하고 정작 제 집엔 등한시한다는 의미나,
마땅히 흔해야 할 곳에 도리어 그 물건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황을 이르는 의미를 지닌 한역(漢譯) 속담."
* 風霜高潔(풍상고결)*: 바람은 높이 불고, 서리는 희고 깨끗하다는 뜻으로, *가을*의 경치를 이르는 말.
"* 群鷄一鶴(군계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 擊壤歌(격양가)*: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한다.
#때 #이상향 #옛날 #*태평*성대 #생활 #노래 #농부 #*태평* #정치 #땅 #요임금 #임금 #땅바닥 #天下 #완벽 #상태 #말 #풍년 #의미 #세월 #중국 #천하 #대의 #
구가"
* 山中開野(산중개야)*: 산속에 넓게 *자리* 잡은 편평한 평야.
"* 夢幻(몽환)*: (1)꿈과 환상이라는 뜻으로, 헛되고 터무니없는 생각을 이르는 말. (2)이 세상의 모든 *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七顚八起(칠전팔기)*: 일곱 번 넘어지고 여덟 번 일어난다는 뜻으로, 여러 번 실패하여도 굴하지 아니하고 꾸준히 *노력*함을 이르는
말.
#거듭 #*노력* #여덟 #실패 #일곱"
* 異口同聲(이구동성)*: 입은 다르나 목*소리*는 같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말이 한결같음을 이르는 말.
"* 攬髮而拯(남발이증)*: 물에 빠진 사람은 *머리털*을 잡아당겨 건진다는 뜻으로, 위급(危急)한 때에는 사소(些少)한 예의(禮儀)를
차리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예의 #때 #물 #비유 #*머리털* #위급 #사소 #사람"
"* 酌量減輕(작량감경)*: 법률적으로는 특별한 *사유*가 없더라도 범죄의 정상에 참작할 만한 *사유*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법원이
그 형을 줄이거나 가볍게 하는 것.
#일 #경우 #*사유* #범죄 #법원 #때 #법률 #정상 #특별 #법률적 #판단 #형"
"* 寄與補裨(기여보비)*: *이익*을 주고 모자라는 것을 보탬.
#의미 #이바지 #*이익*"
"* 夢寐間(몽매간)*: 잠을 자며 꿈을 꾸는 *동안*.
#잠 #*동안* #꿈"
"* 東食西宿(동식서숙)*: 동*쪽* 집에서 먹고 서*쪽* 집에서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다니며 얻어먹고 지내는 일이나 사람. 혹은 주소가
일정하지 않은 사람."
"* 七去之惡(칠거지악)*: (1)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2)독일 출생의 미국 작곡가 바일의 *작품*.
샹젤리제의 파리 극장에서 1933년 6월 7일에 초연되었다.
#유교 #악행 #조건 #이름 #음탕 #도둑질 #말썽 #굴레 #초연 #도둑 #여자 #일 #허물 #속박 #*작품* #도덕 #사회 #아내 #예전 #과거 #일곱 #파리 #강요 #따위 #
자식 #말 #이유 #지난날 #병 #명분 #부모 #가치 #행실 #독일 #시부모"
"* 知音(지음)*: (1)새나 *짐승*의 울음을 가려 잘 알아들음. (2)음악의 곡조를 잘 앎. (3)마음이 서로 통하는 친한 벗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거문고의 명인 백아가 자기의 소리를 잘 이해해 준 벗 종자기가 죽자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고 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에 나오는 말이다. (4)작품을 바르게 느끼고 평가함.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문학 평론(文學評論)에 해당하는 제48장의 제목이다. 문학 작품을 어떻게 감상하고 비평할 것인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협은
작품을 평가할 때에는 현재를 경시하는 태도, 타인을 경멸하는 태도, 진실을 왜곡하는 현상, 편견, 부정확한 평가 따위를 특별히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타인 #현상 #때 #문학 #비평 #경멸 #해당 #새 #평론 #작품 #백아 #경계 #태도 #이해 #진실 #유래 #벗 #평가 #지기 #소리 #곡조 #유협 #자신 #음악 #*짐승* #앎
#따위 #제목 #마음 #말 #의미 #울음 #주장 #거문고"
"* 向火乞兒(향화걸아)*: 권세(權勢)와 이욕(利慾)을 붙좇는 *소인*(小人)을 꾸짖어 이르는 말.
#*소인* #권세 #붙좇"
"* 匍匐救之(포복구지)*: 급(急)히 서둘러 구(救)한다는 뜻으로(포*복*은 손과 발이 함께 간다는 말이므로), 남의 상사(喪事)에
힘을 다하여 도움을 이르는 말."
* 花間蝶舞(화간접무)*: 나비가 *꽃* 사이를 춤추며 날아다님.
"* 螳螂拒轍(당랑거철)*: 제 역량을 *생각*하지 않고, 강한 상대나 되지 않을 일에 덤벼드는 무모한 행동거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 장공(莊公)이 사냥을 나가는데 사마귀가 앞발을 들고 수레바퀴를 멈추려 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장자≫의 에 나오는 말이다."
"* 莫逆之友(막역지우)*: 서로 거스름이 없는 친구라는 뜻으로, *허물*이 없이 아주 친한 친구를 이르는 말.
#일 #마음 #*허물* #친구 #벗 #거스름 #의미 #생사 #친밀"
* 同氣連枝(동기연지)*: *형제*(兄弟)는 부모(父母)의 기운(氣運)을 같이 받았으니 나무의 가지와 같음.
* 內紛(내분)*: 특정 조직이나 단체의 내부에서 *자기*편끼리 일으킨 분쟁.
* 人間苦海(인간고해)*: 인간세상의 고뇌의 바다라는 뜻으로, 한 없이 괴롭고 힘든 *인생*살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目容必端口容必止(목용필단구용필지)*: 눈의 모습은 반드시 단정(端正)하게 하고 입의 모습은 반드시 다물고 있는 듯이 함.
#눈 #모습 #단정 #입"
"* 伯夷之廉(백이지렴)*: 백이의 *청렴*함이라는 뜻으로, 주(周)나라 고죽군(孤竹君)의 두 아들인 백이와 숙제(叔齊)가 충절을 위해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충신의 대명사격으로 백이를 표현함.
#충절 #*청렴*결백 #표현 #백이 #아들 #나라 #결백 #백 #고사 #충신 #*청렴*"
"* 散華(산화)*: (1) 꽃같이 진다는 뜻으로 꽃다운 목숨이 전장(戰場) 등(等)에서 죽는 것 (2) 부처에게 공양(供養)하기
위(爲)하여 꽃을 뿌리는 일.
#일 #꽃 #목숨 #공양 #부처 #뿌리"
"* 三寒四溫(삼한사온)*: 한국을 비롯하여 아시아의 동부, 북부에서 나타나는 겨울 기온의 *변화* 현상. 7일을 주기로 사흘 동안 춥고
나흘 동안 따뜻하다.
#일 #추위 #차고 #날씨 #변경 #기후 #현상 #겨울철 #겨울 #따뜻 #비롯 #계속 #중국 #한국 #기온 #다음 #사흘 #동안 #따뜻함 #*변화*"
"* 山上說敎(산상설교)*: 신약 성경 가운데 5~7장에 실려 있는 예수의 가르침. 신앙*생활*의 근본 원리가 간명하게 정리ㆍ기술되어
있다."
"* 驚蟄(경칩)*: 이십사절기의 하나.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들며, 양력 3월 5일경이다. 겨울잠을 자던 벌레, 개구리
따위가 깨어 *꿈*틀거리기 시작한다는 시기이다."
"* 望塵而拜(망진이배)*: 먼지가 일어나는 것을 바라보면서 절을 한다는 뜻으로, 귀인이 타고 달리는 *수레*의 후진(後塵)을 바라보면서
절하는 것처럼 아첨하여 상관을 섬기는 모습을 이르는 말."
"* 澤被蒼生(택피창생)*: *은혜*로운 덕과 혜택이 모든 백성에게 고루 미침.
#백성 #미침 #혜택 #만민 #*은혜* #덕택"
"* 回光反照(회광반조)*: 석양빛이 반사한다는 뜻으로, *등불*이나 사람의 목숨이 다하려고 하는 마지막 한 때에 잠시 기운을 되차리는
일을 의미함.
#빛 #일 #*등불* #때 #마지막 #목숨 #의미 #기운 #사람"
"* 鑿枘(조예)*: (1)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규범
표기는 ‘조예’이다. (2)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 抱腹(포복)*: (1)배를 그러안음. (2)배를 그러안고 넘어질 정도로 몹시 웃음.
* 永不敍用(영불서용)*: 죄를 지어서 파면된 *벼슬*아치를 영구히 재임용하지 아니하던 일.
* 父母衣服勿踰勿踐(부모의복물유물천)*: 부모(父母)님의 의*복*(衣服)은 넘어다니지 말고 밟지 않음.
* 表裏一體(표리일체)*: 안팎이 한 덩어리가 된다는 뜻으로, 두 가지 *사물*의 관계가 밀접하게 됨을 이르는 말.
"* 世降俗末(세강속말)*: 세상이 *그릇*되어 풍속이 어지러움.
#속세 #풍속 #의미 #*그릇* #세상"
"* 白首風神(백수풍신)*: 머리가 센 늙은이의 점잖고 *위엄* 있는 풍채.
#*위엄* #풍채 #머리 #이의 #늙은이"
"* 鐵甕山城(철옹산성)*: 쇠로 만든 독처럼 *튼튼*하게 둘러쌓은 산성이라는 뜻으로, 방비나 단결 따위가 견고한 사물이나 상태를 이르는
말.
#사물 #강 #견고 #*튼튼* #방비 #산성 #쇠 #힘 #단결 #따위 #상태"
"* 父子有親君臣有義(부자유친군신유의)*: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臣下) 사이에는 의리(義理)가
있어야 함."
"* 弄璋之慶(롱장지경)*: (1)아들을 낳은 *즐거움*. 예전에,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규옥(圭玉)으로 된 구슬의 덕을 본받으라는
뜻으로 구슬을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농장지경’의 북한어."
"* 自己矛盾(자기모순)*: 스스로의 생각이나 주장이 앞뒤가 맞지 아니함. *자기* 자신의 정립에 대하여 동시에 그것을 폐기ㆍ부정하는
작용이 동일한 주체에 갖추어져 있는 일을 이른다.
#일 #그것 #부정 #논리 #대립 #앞뒤 #생각 #모순 #주장 #내부 #작용 #자신 #스스로 #실천 #동일"
* 內柔外剛(내유외강)*: 속은 부드러우나 겉으로 보기에는 *강*함.
"* 綱紀肅正(강기숙정)*: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강 #법 #풍속 #나라 #풍습 #엄숙 #기율"
"* 非池中物(비지중물)*: 연못 속의 *인물*이 아니라는 뜻으로, 용이 때를 만나면 물을 벗어나 하늘로 올라가듯이 영웅도 때가 되면
세상에 나와 뜻을 편다는 것에서 장차 대성할 *인물*을 비유함.
#영웅 #때 #물 #*인물* #용 #비유 #하늘 #연못 #세상"
"* 人傑地靈(인걸지령)*: 뛰어난 인재는 땅의 신령스러움에서 난다는 뜻으로, 위대한 인물이 난 곳에 이름이 나는 것처럼 사람의 *운명*은
그가 태어나 자란 산천의 기운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견해임. [= 地靈人傑 ].
#이름 #땅 #견해 #신령 #인물 #*운명* #결정 #기운 #산천 #인재 #사람"
* 言聽計用(언청계용)*: 이야기하면 들어주고 계*책*을 세우면 쓴다는 뜻으로, 매우 신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自今以往(자금이왕)*: 지금으로부터 뒤.
#이후 #지금"
"* 慈母(자모)*: (1)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팔모(八母)의 하나. 어머니를 여읜 뒤
자신을 길러 준 아버지의 첩을 이르는 말이다."
* 土壤細流(토양세류)*: 작은 흙덩이와 가느다란 시내라는 뜻으로, 미세한 것도 이것을 쌓으면 큰 것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物心如一(물심여일)*: *물*질과 정신이 한결같다는 뜻으로, 정신과 형체가 구분됨이 없이 하나로 일치한 상태를 의미하는 말.
#정신 #구분 #의미 #일치 #형체 #*물*질 #상태"
"* 單刀直入(단도직입)*: (1)혼자서 칼 한 자루를 들고 적진으로 곧장 쳐들어간다는 뜻으로, 여러 말을 늘어놓지 아니하고 바로
요점이나 본문제를 중심적으로 말함을 이르는 말. (2)생각과 *분별*과 말에 거리끼지 아니하고 진실의 경계로 바로 들어감.
#문제 #본론 #중심 #말 #칼 #너절 #혼자 #생각 #문장 #의미 #경계 #요점 #적진 #자루 #진실 #풀이 #*분별* #언론"
"* 土牛木馬(토우목마)*: 흙으로 만든 소와 나무로 만든 말이라는 뜻으로, 겉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는 것처럼, 가문이 좋을 뿐 아무
*재능*이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琴瑟之樂(금슬지락)*: ‘*금*실지락’의 원말.
* 在家讀書(재가독서)*: 밖에 나*가*지 아니하고 집에 머물며 글을 읽음.
* 慶弔相問(경조상문)*: 경사스러운 일은 *서로* 축하하고 불행한 일은 *서로* 위문함.
* 河梁別(하량별)*: 떠나는 *사람*을 전송할 때에 강의 근처에서 헤어진다는 뜻으로, ‘송별’을 이르는 말.
"* 京華巨族(경화거족)*: 번화한 서울에서 권력 있고 *번성*한 집안.
#권력 #서울 #번영 #번화 #*번성* #집안"
* 東走西顧(동주서고)*: 동쪽에 가서는 서쪽을 *돌*아본다는 뜻으로, 여기저기 여러 곳에 마음을 쓰고 있다는 의미.
강산
* 積功之塔不隳(적공지탑불휴)*: 공든 탑이 무너지랴의 속담(俗談)의 한역.
* 釋眼儒心(석안유심)*: 석가모니의 눈과 *공자*의 마음이라는 뜻으로, 매우 자비롭고 어진 마음으로 사랑함을 이르는 말.
"* 兵戈(병과)*: (1)싸움에 쓰는 창이라는 뜻으로, ‘무기’를 이르는 말. (2)국가와 국가, 또는 교전(交戰) 단체 사이에 무력을
*사용*하여 싸움."
* 貧寒到骨(빈한도골)*: *가난*하여 쓸쓸함이 골수까지 스며든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게 사는 것을 이르는 말.
"* 以心傳心(이심전심)*: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뜻이 통함. ≪전등록≫에 나오는 말로 원래는 *불교*의 법통을 계승할 때에 쓰였다.
#계승 #마음 #말 #원래 #*불교* #때 #문자 #가섭 #전함 #석가 #서로 #통 #유래"
"* 封豕長蛇(봉시장사)*: 큰 *돼지*와 긴 구렁이라는 뜻으로, 먹기를 탐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두고 #악인 #비유 #먹이 #탐욕 #뱀 #악 #왕성 #사람"
"* 畫龍點睛(화룡점정)*: (1)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을 그리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었더니 그 용이 실제 용이 되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글을 짓거나 일을
하는 데서 가장 요긴한 어느 한 대목을 잘함으로써 전체가 생동하게 살아나거나 활기 있게 됨을 이르는 말.
#사물 #일 #긴요 #부분 #주제 #중요 #완성 #실제 #눈동자 #유래 #*마지막* #문장 #용 #의미 #구름 #하늘 #생동 #전체 #고사 #가운데"
"* 適時適地(적시적지)*: 알맞은 *시기*와 장소.
#장소"
* 難忘之澤(난망지택)*: 잊을 수 없는 *은혜*.
"* 刺股懸梁(자고현량)*: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目使氣使(목사기사)*: 눈으로 부리고 기세(氣勢)로 부린다는 뜻으로, (1) 말로써 지시(指示)하지 않고 눈빛이나 *얼굴*
표정(表情)으로 부하(部下)를 부리는 것 (2) 권세(權勢)를 떨치는 모양(模樣)."
* 圖寫禽獸(도사금수)*: 궁전(宮殿) 내부(內部)에는 유명(有名)한 화가(畵家)들이 그린 그림 조각 등(等)으로 장식(裝飾)되어 있음.
* 鳳毛麟角(봉모인각)*: 봉황의 깃털과 기린의 뿔이라는 뜻으로, 보기 *힘*든 매우 희귀한 물건을 이르는 말.
"* 望梅止渴(망매지갈)*: 매실은 *시기* 때문에 이야기만 나와도 침이 돌아 해갈(解渴)이 된다는 뜻으로, (1) 매실의 맛이 아주 심
(2) 공상으로 마음의 위안을 얻음.
#마음 #공상 #때문 #매실 #맛 #침"
"* 適本主義(적본주의)*: *목적*(目的)은 다른 곳에 있는 것처럼 꾸미고, 실상(實相)은 그 하고자 하는 *목적*(目的)으로 나아가는
일.
#일 #실상 #*목적*"
"* 內無主張(내무주장)*: *집안* 살림을 맡아 할 안주인이 없음.
#살림 #안주 #*집안*"
"* 恩山德海(은산덕해)*: 산과 바다처럼 크고 넓은 *은혜*.
#의미 #*은혜* #산 #덕행"
"* 無心道人(무심도인)*: (1)도를 *깊이* 닦아 세속의 번뇌와 물욕에서 벗어난 경지에 도달하여 진리를 깨달은 사람.
(2)천진(天眞)과 본연(本然)에 합한 승려.
#번뇌 #천진 #진리 #승려 #도달 #수행 #세속 #물욕 #사람"
"* 蕩盡家産(탕진가산)*: *집안*의 재산을 모두 써서 없애 버림.
#이름 #재산 #가산 #버림 #*집안*"
* 玉昆金友(옥곤금우)*: 옥 같은 형과 *금* 같은 아우라는 뜻으로, 남의 형제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 衝斗(충두)*: 북두칠성과 부딪친다는 뜻으로, 아주 크고 거센 *세력*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북두칠성 #*세력*"
"* 以珠彈雀(이주탄작)*: *구슬*로 참새를 쏘아 잡는다는 뜻으로,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크다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구슬* #참새 #비유"
* 風木之悲(풍목지비)*: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山珍海饌(산진해찬)*: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 點睛(점정)*: (1)사람이나 *짐승* 따위를 그릴 때 맨 나중에 눈동자를 그려 넣음. (2)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을 그리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었더니 그 용이 실제 용이 되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일 #부분 #중요 #완성 #실제 #눈동자 #나중 #때 #마지막 #용 #구름 #고사 #하늘 #*짐승* #유래 #따위 #사람"
"* 氷炭相愛(빙탄상애)*: 얼음과 숯불이 서로 *사랑*한다는 뜻으로, 세상에 있을 수 없는 일이나, 얼음과 숯이 서로 본질을 보전한다는
의미에서 친구끼리 서로 훈계해 나감을 비유하기도 함."
"* 夏山欲友(하산욕우)*: 여름날 산에 비*구름*이 모임을 이르는 말.
#모임 #*구름* #산"
"* 雪泥鴻爪(설니홍조)*: 눈 위에 난 기러기의 발자국이 눈이 녹으면 없어진다는 뜻으로, 인생의 자취가 눈 녹듯이 사라져 *무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才學兼有(재학겸유)*: 재주와 *학식*을 아울러 갖춤.
#재주 #*학식*"
"* 春無三日晴(춘무삼일청)*: 봄에는 사흘 맑은 날이 없다는 뜻으로, (1) 봄에 꽃필 무렵이면 비가 많이 내린다는 말 (2)
전(傳)하여 좋은 *일*에는 어려움도 많이 따름을 이르는 말."
"* 要言不煩(요언불번)*: 요령 있는 말은 번거롭지 않다는 뜻으로, 요점을 파악하여 하는 말은 번거롭게 수다를 떨지 않아도 그 취지를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
#번거 #파악 #말 #의미 #요점 #요령 #*이해*"
* 無障無碍(무장무애)*: 아무런 막힘이나 거리낌이 없다는 뜻으로, 마음에 아무런 집착이 없는 평온한 *상태*를 의미함.
"* 他界(타계)*: (1)다른 세계. (2)인간계를 떠나서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 특히 귀인(貴人)의 죽음을 이르는
말. (3)불교의 십계(十界) *가운데* 인간계 이외의 세계."
"* 用行舍藏(용행사장)*: 쓰면 행하고 버리면 감춘다는 뜻으로, 세상에 쓰일 때는 나아가 *자신*의 도를 행하고 쓰이지 않을 때는
물러나 숨는다는 의미.
#의미 #때 #세상 #*자신*"
"* 游必有方(유필유방)*: 놀 때에는 반드시 방향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먼 곳으로 놀러 갈 때는 반드시 자신의 행방을 부모에게 *알*려야
한다는 자식의 도리."
* 壯言大語(장언대어)*: 씩씩하고 큰 말*소리*라는 뜻으로, 의기양양(意氣揚揚)해서 장담하고 큰*소리*친다는 의미. [= 大言壯談 ].
"* 八道江山(팔도강산)*: 팔도의 강산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 *전체*의 강산을 이르는 말.
#도의 #팔도 #여덟 #나라 #산수 #우리나라 #우리 #*전체* #강산"
"* 見機而作(견기이작)*: 낌새를 *알*아채고 미리 조치함.
#일 #조처 #조치 #의미 #변통 #행동 #기미"
"* 弟雖有過須勿聲責(제수유과수물성책)*: 아우에게 비록 허물이 있더라도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않음.
#큰*소리* #허물 #아우"
"* 冶家無食刀(야가무식도)*: 대장간에서 식칼이 논다는 뜻으로, 생활에 쫓겨 남의 바라지만 하고 정작 제 집엔 등한시한다는 의미나,
마땅히 흔해야 할 곳에 *도리*어 그 물건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황을 이르는 의미를 지닌 한역(漢譯) 속담."
"* 南柯一夢(남가일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春波投石(춘파투석)*: 봄 물결에 돌을 던진다는 뜻으로, 삼봉 *정도*전이 전국 팔도의 사람들의 특성을 표현한 것 중에서 황해도를
표현한 것인데, 봄바람 타고 살랑대는 물결에 돌을 던져 파문이 일어나는 것처럼 부드럽게 호응 하는 특성을 이르는 말."
"* 三枝之禮(삼지지례)*: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발라 #지극 #아래 #효성 #예의 #새끼 #비유 #어미"
"* 滄桑世界(창상세계)*: 급격히 바뀌어 변모하는 *세상*.
#*세상*"
* 高枕而臥(고침이와)*: 베개를 높이해서 눕는다는 뜻으로, *근심* 없이 편히 자는 안심할 수 있는 상태를 비유.
"* 破麥剖梨(파맥부리)*: 보리를 찧고 배를 가른다는 뜻으로, 보리를 찧으면 기울(麩(부):속껄질)이 생기고 배를 쪼개면
씨(종자(種子))가 나오는 것처럼 부(麩)와 부(夫), 종(種)과 子(자)를 연결하여 잃거나 헤어졌던 남편과 자식을 다시 만나는 일을
일컫는 말로 사용됨.
#일 #자식 #배 #말 #남편 #보리 #사용 #씨 #연결"
"* 杞人之憂(기인지우)*: 앞일에 대해 쓸데없는 걱정을 함. 또는 그 걱정. 옛날 *중국* 기(杞)나라에 살던 한 사람이 ‘만일 하늘이
무너지면 어디로 피해야 좋을 것인가?’ 하고 침식을 잊고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어디 #사용 #나라 #의미 #침식 #걱정 #옛날 #근심 #앞일 #하늘 #*중국* #유래 #기우 #사람"
"* 亡羊之歎(망양지탄)*: 양을 잃어버리고 난 *탄식*이라는 뜻으로, 갈림길이 많아서 잃어버린 양을 찾을 수 없음을 한탄하는 의미인데,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구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갈래 #말 #학문 #*탄식* #양 #어려움 #진리 #비유 #한탄 #의미 #갈림길 #길이 #길 #학"
* 無所不在(무소부재)*: 하나님의 적극적 품성의 하나로, 그 존재와 섭리가 모든 피조물 속에 미쳐 있음을 이르는 *말*.
"* 淨松汚竹(정송오죽)*: 깨끗한 땅에는 소나무를 심고, 더럽고 지저분한 땅에는 *대나무*를 심음.
#절개 #환경 #땅 #*대나무* #깨끗 #인재 #소나무 #기상 #지조 #등용"
"* 利害得失(이해득실)*: (1)‘*이해*득실’의 북한어. (2)이로움과 해로움과 얻음과 잃음을 아울러 이르는 말.
#해로움 #발생 #행위 #이로움 #의미 #상대 #*이해*"
"* 一敗塗地(일패도지)*: *싸움*에 한 번 패하여 간과 뇌가 땅바닥에 으깨어진다는 뜻으로,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 일어날 수 없게 되는
지경에 이름을 이르는 말. 한 고조 유방의 말로서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 盲人摸象(맹인모상)*: 일부분을 *알*면서도 전체를 아는 것처럼 여기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 三不孝(삼불효)*: 세 가지의 큰 불*효*. 부모를 불의(不義)에 빠지게 하는 일, 부모가 늙고 집이 가난하여도 벼슬하지 않는 일,
자식이 없어 조상의 제사를 끊어지게 하는 일을 이른다."
* 無法天地(무법천지)*: *법*이나 제도가 확립되지 않고 질서가 문란한 세상.
"* 大聲疾呼(대성질호)*: 큰 목*소리*로 급히 외침.
#목*소리*"
"* 虎溪三笑(호계삼소)*: 동양화 화제(畫題)의 하나. 중국 진(晉)나라의 혜원 법사가 루산산(廬山山)의 동림사(東林寺)에 *은거*하면서,
후시(虎溪)를 건너지 않기로 하였으나 도연명,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할 때 무심코 건너 버려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 고사를 바탕으로
한다.
#법 #바탕 #*은거* #사람 #동양화 #때 #나라 #중국 #도연명 #고사 #산 #동양"
"* 百金之士(백금지사)*: 백금의 값을 하는 *선비*나 무사(武士)라는 뜻으로, 어진 *선비*나 큰 공을 세운 무장(武將)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백금 #값 #무장 #무사 #*선비* #정도"
* 別乾坤(별건곤)*: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 自信滿滿(자신만만)*: ‘*자신*만만하다’의 어근.
#*자신*"
"* 鷄鶩爭食(계목쟁식)*: 닭과 집오리가 *먹이*를 서로 먼저 먹으려고 다툰다는 뜻으로, 여염(閭閻)의 사람들이 서로 다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다툼 #집오리 #*먹이* #비유 #닭 #서로 #사람"
* 沖和之氣(충화지기)*: 하늘과 *땅* 사이의 조화를 이루는 기운.
"* 百戰老將(백전로장)*: (1)수많은 *싸움*을 치른 노련한 장수. (2)온갖 어려운 일을 많이 겪은 노련한 사람.
(3)‘백전노장’의 북한어. (4)‘백전노장’의 북한어."
"* 假夫子(가부자)*: 가짜 *공자*(孔子)라는 뜻으로, 옛날 성균관 유생(儒生)들 사이에서 유난히 공부에 골몰하거나 언행을
성인(聖人)처럼 하는 이를 놀림조로 이르던 말.
#말 #사람 #성인 #성 #공부 #가짜 #골몰 #유생 #孔子 #언행 #옛날 #*공자* #사이"
"* 定省溫淸(정성온청)*: *아침* 저녁으로 부모(父母)의 이부자리를 보살펴 안부(安否)를 묻고, 따뜻하고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부모(父母)를 섬기는 도리(道理)를 이르는 말.
#자식 #*아침* #따뜻 #저녁 #부모 #안부 #서늘"
"* 智圓行方(지원행방)*: 슬기로움은 원만하고 행동은 방정하다는 뜻으로, 슬기로움은 두루 통하여 모르는 것이 없기를 원하고, 행실은
방정하여 예에 어긋남이 없기를 *원한*다는 의미.
#원만 #의미 #행실 #행동 #방정"
"* 蝶夢(접몽)*: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 惡戰苦鬪(악전고투)*: 매우 어려운 조건을 무릅쓰고 힘을 다하여 *고생*스럽게 싸움.
#조건 #다툼 #노력 #*고생* #강력 #비유 #고통 #계속 #힘 #싸움 #곤란 #상태"
* 出於禍福(출어화복)*: 화복(禍福)을 *생각*하고 두려워함.
"* 胡蝶夢(호접몽)*: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나온 말. ≪
*장자*(莊子)≫ 에서 나온 말이다.
#말 #꿈 #*장자* #비유 #현실 #중국 #나비 #구별 #인생"
"* 忘年之交(망년지교)*: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벗.
#재주 #사귐 #일 #*허물* #학문 #벗 #차이 #나이 #존중"
"* 長袖善舞多錢善賈(장수선무다전선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사람은 춤을 잘 추고, 돈 많은 사람은 장사하기 좋다는 뜻으로,
재물(財物)이 넉넉하면 성공(成功)하기도 쉽다는 말.
#옷 #소매 #말 #재물 #돈 #춤 #장사 #넉넉 #성공 #사람"
* 下堂伏地(하당복지)*: 윗*사람*에 대한 존경의 뜻으로 아랫*사람*이 방이나 마루에서 내려와 땅에 엎드림.
"* 車轍馬跡(거철마적)*: *수레*바퀴 자국과 말 발자국이라는 뜻으로, *수레*나 말을 타고 천하를 두루 돌아다니며 노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雷逢電別(뢰봉전별)*: (1)천둥같이 만났다가 번개같이 헤어진다는 뜻으로, 잠깐 만났다가 곧 헤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뇌봉전*별*’의 북한어.
#번개 #우레 #뇌"
* 三冬雪寒(삼동설한)*: 눈 내리고 추운 겨울 석 *달* 동안.
* 仰不愧於天(앙불괴어천)*: 우러러 *하늘*에 부끄럽지 않다는 뜻으로, 양심에 거리낌이 없다는 의미.
"* 草廬三顧(초려삼고)*: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 一敗塗地(일패도지)*: 싸움에 한 번 패하여 간과 뇌가 땅바닥에 으깨어진다는 뜻으로,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 일어날 수 없게 되는
*지경*에 이름을 이르는 말. 한 고조 유방의 말로서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 才子佳人(재자가인)*: 재주 있는 남자와 아름다운 *여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재주 #*여자* #보통 #남자 #사람"
* 華首之老(화수지노)*: 흰*머리*의 노인이라는 뜻으로, 백발노인(白髮老人)을 이르는 말.
"* 萬物之靈(만물지령)*: 온갖 *물건*의 정령(精靈).
#말 #만물 #*물건* #가운데 #사람"
"* 夫唱婦隨(부창부수)*: 남편이 *주장*하고 아내가 이에 잘 따름. 또는 부부 사이의 그런 도리.
#아내 #노래 #남편 #따름 #창 #의미 #*주장* #화합 #부부 #가정 #부수 #사이"
"* 調御丈夫(조어장부)*: 여래 십호(如來十號)의 하나. 중생을 잘 이끌어 가르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를 달리 이르는
말이다.
#장부 #말 #*부처* #중생 #사람"
* 大覺世尊(대각세존)*: 도를 크게 깨달아 세상에서 높이 숭배를 받는 이라는 뜻으로, ‘부처’를 높여 이르는 *말*.
"* 乍往乍來(사왕사래)*: 갑자기 갔다가 갑자기 온다는 뜻으로, *변화*(變化)가 심함을 이르는 말.
#*변화*"
* 可呵(가가)*: 주로 편지에서, 스스로 *생각*하여도 우습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 二八靑春(이팔청춘)*: 16세 무렵의 *꽃*다운 청춘. 또는 혈기 왕성한 젊은 시절.
#자체 #무렵 #여섯 #봄철 #전후 #청춘 #*꽃* #시절 #나이 #왕성 #사람"
"* 亡國之恨(망국지한)*: 나라가 망하여 없어진 것에 *대한* 한(恨).
#탄식 #나라"
"* 夜以繼晝(야이계주)*: 어떤 일에 몰두하여 조금도 쉴 사이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아니함.
#*밤* #일 #형용 #몰두 #시작 #낮 #조금 #*밤*낮 #사이"
* 一觸卽發(일촉즉발)*: 한 번 건드리기만 해도 폭발할 것같이 몹시 위급한 *상태*.
"* 榮枯一炊(영고일취)*: *인생*이 꽃피고 시드는 것은 한번 밥짓는 순간같이 덧없고 부질없음을 이르는 말.
#한번 #순간 #*인생* #밥"
"* 載道之器(재도지기)*: 도덕적 가치를 담는 *그릇*이라는 뜻으로, ‘문학’ 또는 ‘시’를 이르는 말.
#정의 #실현 #도덕 #문학 #*그릇* #가치 #도덕적 #도구"
"* 呂翁枕(여옹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때 #여옹 #인생 #생활 #사이 #메조 #비유 #노생 #년간 #유래 #도사 #*소년* #베개 #말 #꿈 #한단 #밥 #영화 #중국 #잠 #고사"
"* 意馬心猿(의마심원)*: 생각은 말처럼 달리고 마음은 원숭이처럼 설렌다는 뜻으로, 사람의 마음이 세속의 *번뇌*와 욕정 때문에 항상
어지러움을 이르는 말.
#원숭이 #*번뇌* #진정 #성 #마음 #말 #때문 #중생 #욕 #생각 #비유 #조금 #세속 #불가 #사람"
"* 社稷(사직)*: (1)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2)태사(太社)와 태직(太稷)을 아울러 이르는 말. (3)고대 중국에서, 새로
나라를 세울 때 *천자*나 제후가 제사를 지내던 토지신과 곡신."
* 剖腹藏珠(부복장주)*: 배를 갈라 구슬을 감춘다는 뜻으로, 재물만을 소중하게 여겨 자신의 몸을 망친다는 의미.
"* 繫臂之寵(계비지총)*: 군주의 특별한 총애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무제(武帝)가 예쁜 궁녀를 골라 그 팔꿈치에 *붉은*
비단을 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무제 #총애 #특별 #나라 #중국 #팔꿈치 #비단 #주의 #유래 #군주"
* 先富後貧(선부후빈)*: 처음에는 잘살던 사람이 나중에는 *가난*해짐.
"* 連理(연리)*: (1)여러 가지 *이치*를 논함. (2)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 (3)화목한 부부나
남녀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羊頭狗肉(양두구육)*: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보기만 그럴듯하게 보이고 속은 변변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減膳撤樂(감선철악)*: 나라에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가 있을 때에 *임금*이 몸소 근신하는 뜻으로 수라상의 음식 가짓수를 줄이고
노래와 춤을 가까이하지 아니하던 일."
* 本願往生(본원왕생)*: 부처의 발원으로 구제를 받아 극락에 *왕*생하는 일.
"* 無風地帶(무풍지대)*: (1)*바람*이 불지 아니하는 지역. (2)다른 곳의 재난이나 번거로움이 미치지 아니하는 평화롭고 안전한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兔死狗烹(토사구팽)*: 토끼가 죽으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 없게 되어 *주인*에게 삶아 먹히게 된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야박하게 버리는 경우를 이르는 말."
"* 切磋琢磨(절차탁마)*: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시경≫의
과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 萬全策(만전책)*: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위험 #실패 #계책 #안전 #*완전*"
"* 拔本塞源(발본색원)*: 좋지 않은 일의 *근본* 원인이 되는 요소를 완전히 없애 버려서 다시는 그러한 일이 생길 수 없도록 함.
≪춘추좌씨전≫에 나온 말이다."
"* 人山人海(인산인해)*: 사람이 산을 이루고 바다를 이루었다는 뜻으로, 사람이 수없이 많이 모인 *상태*를 이르는 말.
#*상태* #산 #사람"
"* 一騎當千(일기당천)*: 한 사람의 기병이 천 사람을 당한다는 뜻으로, 싸우는 *능력*이 아주 뛰어남을 이르는 말.
#일 #용맹 #*능력* #기병 #사람"
"* 天下有三危(천하유삼위)*: 세상(世上)에 세 가지 위험(危險)한 일이 있다는 뜻으로, 덕이 적은 사람이 총애(寵愛)를 받고,
재능(才能)이 없는 사람이 높은 지위(地位)에 있으며, 큰공이 없는 사람이 녹을 많이 받는 일.
#일 #재능 #사람 #큰공 #총애 #위험 #지위 #세상"
"* 百足之蟲(백족지충)*: (1)발이 많은 그리마, 노래기, 지네 따위의 벌레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친척*이나 아는 사람이 많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노래 #벗 #겨레 #*친척* #벌레 #따위 #사람"
"* 附會(부회)*: 작품을 조직하는 원리.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창작론(創作論)에 해당하는 제43장의 제목이다. 말을 하나로 모으고
뜻과 이치를 통하게 한다는 뜻을 지니는 ‘부사회의(附辭會義)’의 준말이다. 문학 작품에 깃든 언어와 사고를 폭넓게 이해할 것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개념이다. 이 장에서 유협은 작품이 예술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서술하였다.
#창작 #때 #문학 #개념 #해당 #조직 #이론 #작품 #이해 #사회 #준말 #유협 #원리 #언어 #제목 #말 #조화 #예술 #이치 #*사용* #강조 #사고"
"* 天下絶色(천하절색)*: 세상에 드문 아주 뛰어난 미인(美人).
#미인 #세상"
"* 鶴首苦待(학수고대)*: 학의 목처럼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림.
#머리 #*간절* #기다림 #고통 #학"
* 推位讓國(추위양국)*: *벼슬*을 미루고 나라를 사양(辭讓)하니 요(堯)임금이 순(舜)임금에게 전위(傳位)하였음.
"* 生殺與奪(생살여탈)*: (1)살리고 죽이는 일과 주고 빼앗는 일. (2)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마음대로 쥐고 흔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물* #일 #주고 #마음 #재물 #목숨 #의미 #사람"
"* 不欺二字(불기이자)*: '불기' 두 자라는 뜻으로, '속이지 않는다'는 '不欺'라는 두 글자는 일생토록 지켜야 할 *인생*의
신조(信條)라는 의미에서 모든 일은 정성을 다해야 함을 이르는 의미."
"* 倉氏庫氏(창씨고씨)*: 옛날 *중국*에서 창씨와 고씨가 대대로 곳집을 맡아보았다는 데서, 사물이 오래도록 바뀌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借虎威狐(차호위호)*: *호랑이*의 위세(威勢)를 빌려 허세(虛勢) 부리는 여우라는 뜻으로, 윗사람의 권위(權威)를 빌려
공갈(恐喝)하는 자를 이르는 말. 남의 권세(權勢)를 빌어 뽐내는 것을 비유(比喩)한 말.
#빌어 #말 #윗사람 #위세 #권세 #*호랑이* #여우 #권위 #비유 #허세"
* 事親之道(사친지도)*: 어버이를 섬기는 *도리*.
"* 沙羅雙樹(사라쌍수)*: 석가모니가 열반할 때 사방에 한 쌍씩 서 있었던 사라수(沙羅樹). *동쪽*의 한 쌍은 상주(常住)와
무상(無常)을, 서쪽의 한 쌍은 진아(眞我)와 무아(無我)를, 남쪽의 한 쌍은 안락(安樂)과 무락(無樂)을, 북쪽의 한 쌍은
청정(淸淨)과 부정(不淨)을 상징한다.
#때 #사방 #서쪽 #북쪽 #안락 #그루 #무상 #석가 #무아 #성 #여덟 #남쪽 #석가모니 #열반 #뿌리 #부정 #상주 #80세 #상징 #*동쪽* #밖"
"* 達八十(달팔십)*: 부귀와 관록이 따르는 영*달*의 삶을 이르는 말. 강태공이 여든 살에 주(周)나라 무왕을 만나 정승이 된 후
80년을 호화롭게 살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강 #왕 #무왕 #영*달* #나라 #호화 #여든 #부귀 #정승 #80년 #유래 #삶"
* 相互扶助(상호부조)*: 공동생활에서 개인들끼리 *서로* 돕는 일. 사회 진화의 근본적 동력이 된다.
"* 絶世代美(절세대미)*: 이 *세상*(世上)에서는 견줄 사람이 없을 정도(程度)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여자(女子).
#여자 #정도 #사람 #*세상*"
* 桑田滄海(상전창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沙羅雙樹(사라쌍수)*: *석가모니*가 열반할 때 사방에 한 쌍씩 서 있었던 사라수(沙羅樹). 동쪽의 한 쌍은 상주(常住)와
무상(無常)을, 서쪽의 한 쌍은 진아(眞我)와 무아(無我)를, 남쪽의 한 쌍은 안락(安樂)과 무락(無樂)을, 북쪽의 한 쌍은
청정(淸淨)과 부정(不淨)을 상징한다.
#때 #사방 #서쪽 #북쪽 #안락 #그루 #무상 #석가 #무아 #성 #여덟 #남쪽 #*석가모니* #열반 #뿌리 #부정 #상주 #80세 #상징 #동쪽 #밖"
"* 輕事重報(경사중보)*: 조그마한 일에 *후한* 답례(答禮)를 함.
#*후한* #일 #답례"
"* 長江大海(장강대해)*: 길고 큰 *강*과 너른 바다를 아울러 이르는 말.
#*강*"
"* 蛾眉(아미)*: 누에나방의 눈썹이라는 뜻으로, 가늘고 길게 굽어진 아름다운 눈썹을 이르는 말. *미인*의 눈썹을 이른다.
#*미인* #말 #눈썹 #나방 #비유"
"* 種瓜得瓜(종과득과)*: 오이를 심으면 반드시 오이가 나온다는 뜻으로,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김을 이르는 말.
#원인 #오이 #*결과*"
* 丹脣皓齒(단순호치)*: 붉은 입술과 하얀 치아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를 이르는 말.
"* 零丁孤苦(영정고고)*: 가난해지고 세력(勢力)이 꺾여 도와 주는 사람도 없어, *혼자*서 괴로움을 당(當)하는 어려운 처지(處地)를
이르는 말.
#*혼자* #세력 #가난 #괴로움 #사람"
* 風打浪打(풍타낭타)*: 바람이 치고 물결이 친다는 뜻으로, 일정한 주의(主義)나 *주장* 없이 그저 대세에 따라 행동함을 이르는 말.
"* 泰山樑木(태산양목)*: 산 중(中)의 산인 태산(泰山)이나 지붕을 받치는 대들보처럼 *의지*(依支)가 되는 사람이나 *의지*(依支)할
수 있는 거룩한 것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禳禍求福(양화구복)*: *재앙*을 물리치고 복(福)을 구함.
#기구 #복 #구함 #화 #*재앙* #의미 #행복"
"* 讀書三昧(독서삼매)*: 다른 생각은 전혀 아니 하고 오직 책 읽기에만 골몰하는 경지.
#책 #일 #집중 #마음 #정신 #골몰 #*독서* #생각 #의미 #상태"
"* 畏影惡迹(외영오적)*: *그림자*를 두려워하고 발자국을 미워한다는 뜻으로, *그림자*나 발자국을 미워해 질주하다가 죽음에 이른다는
우화에서 성정(性情)을 고요하게 유지하며 천진한 마음을 기르지 않고 함부로 남을 미워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유지 #발자국 #마음 #성 #고요 #우화 #천진 #죽음 #비유 #*그림자*"
"* 杯酒解怨(배주해원)*: 술을 잔에 따르며 원망을 푼다는 뜻으로, 서로 술잔을 나누는 사이에 묵은 *원한*을 잊어버린다는 의미.
#원망 #술잔 #*원한* #의미 #술 #사이"
"* 輔車(보거)*: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라는 뜻으로, 뗄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이르는 말.
#방 #수레바퀴 #나무 #바퀴 #관계 #수레 #*정도*"
"* 赤繩繫足(적승계족)*: 혼인의 인연을 맺어줌. 전설에 나오는 월하노인(月下老人)이 *붉은* 끈을 가지고 다니다가 인연이 있는 남녀가
있으면 그들이 모르게 그 끈으로 다리를 매어 놓는데, 그렇게 되면 어떤 경우라도 반드시 부부가 된다고 한다.
#전설 #남녀 #경우 #인연 #다리 #혼인 #노인 #부부"
* 紅顔婢子(홍안비자)*: *나이*가 젊고 얼굴이 곱게 생긴 계집종.
"* 木婚式(목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나무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나무 #풍속 #의식 #부부 #기념"
* 亡子計齒(망자계치)*: 죽은 자식 나이 세기라는 뜻으로, 이미 *그릇*된 일은 생각하여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
"* 萬分之一(만분지일)*: 만으로 나눈 것의 하나라는 뜻으로, 아주 적은 *경우*를 이르는 말.
#비교 #*경우*"
"* 漆室之憂(칠실지우)*: 자기 *분수*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서 신분이 낮은 여자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를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칠실 #여자 #일 #방 #고을 #*분수* #신분 #끝 #나라 #중국 #걱정 #고사 #근심 #노나라 #근심함 #유래 #마을"
"* 萬古不滅(만고불멸)*: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없어지지 아니함.
#*동안* #세월"
"* 跛鼈千里(파별천리)*: 기우뚱거리며 가는 자라도 천 리를 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꾸준히 공부하면 성공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사람 #성공 #공부 #비유"
* 上奉下率(상봉하솔)*: 위로는 부모님을 모시고 *아래*로는 처자식을 거느림.
"* 切磋琢磨(절차탁마)*: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시경≫의
과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빛 #말 #덕행 #학문 #친구 #격려 #과정 #돌 #학이 #비유 #사용 #인격 #학 #따위 #사람"
"* 狐假虎威(호가호위)*: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림. ≪전국책≫의 에 나오는 말로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호기를 부린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책 #아랫사람 #빌어 #강 #윗사람 #말 #범 #위세 #호랑이 #여우 #권위 #*권세* #비유 #대답 #나라 #세력 #유래 #형"
"* 我欺兄弟如欺父母(아기형제여기부모)*: 내가 *형제*(兄弟)를 속이는 것은 부모(父母)님을 속이는 것과 같음.
#*형제* #부모"
"* 惡婦破家(악부파가)*: 악처는 남편(男便)의 *일생*(一生)을 망칠 뿐 아니라, 가정(家庭)의 평화(平和)를 파괴(破壞)하고,
자손(子孫)에게까지 나쁜 영향(影響)을 미침.
#영향 #*일생* #남편 #평화 #자손 #악 #가정"
자식
"* 父子相傳(부자상전)*: *아들*의 성격이나 생활 습관 따위가 아버지로부터 대물림된 것처럼 같거나 비슷함.
#따위 #*아들* #비슷 #성격 #습관 #생활"
"* 如眞如夢(여진여몽)*: 꿈인지 생시인지 모를 *지경*임.
#꿈 #*지경*"
"* 面目一新(면목일신)*: *얼굴*이 아주 새로워졌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에 대(對)한 체면(體面)이나 명예(名譽), 사물(事物)의
모양(模樣), 일의 상태(狀態)가 완전(完全)히 새롭게 됨을 이르는 말."
"* 狡兎三窟(교토삼굴)*: 교활한 *토끼*의 세 개 굴이라는 뜻으로, *토끼*가 위험한 고비를 피하려 구멍 세 개를 만드는 것처럼,
자신안전을 위하여 미리 몇 가지의 계책을 짜 놓음을 이르는 말.
#*토끼* #고비 #교활 #위험 #계책 #안전 #자신 #구멍"
"* 三從之道(삼종지도)*: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예기≫의 의례(儀禮) 에 나오는 말이다."
"* 鷄鳴之助(계명지조)*: 어질고 현명한 왕비의 내조를 이르는 말. 예전에 어진 왕비는 새벽이면 반드시 왕께 나아가 닭이 울었으니
일어나라고 권하여 왕이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정사를 보도록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天羅地網(천라지망)*: 하늘에 새 그물, 땅에 고기 그물이라는 뜻으로, 아무리 하여도 벗어나기 어려운 경계망이나 피할 수 없는
*재앙*으로 인한 불행을 이르는 말."
"* 干祿(간록)*: (1)행복을 구함. (2)*관리*가 되어 녹봉을 구한다는 뜻으로, *관리*가 되고자 함을 이르는 말.
#벼슬 #행복 #*관리* #녹봉"
"* 一龍一蛇(일룡일사)*: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가거나 *뱀*이 되어 못 속에 숨는다는 뜻으로, 태평한 시대에는 세상에 나와 일을 하고
난세에는 은거하여 재능을 나타내지 아니하고 시대에 잘 순응함을 이르는 말.
#일 #재능 #땅 #은거 #시대 #적응 #때 #태평 #용 #처세 #하늘 #*뱀* #순응 #난세 #세상"
"* 豁達大度(활달대도)*: 너그럽고 커서 작은 일에 거리낌이 없는 활*달*한 도량.
#일 #마음 #거리낌 #도량 #의미 #구애"
"* 自己滿足(자기만족)*: *자기* 자신이나 *자기*의 행위에 대하여 스스로 흡족하게 여김.
#일 #행위 #흡족 #만족 #자신 #여김"
* 變化不側(변화불측)*: 끊임없이 달라져서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음.
"* 喜怒哀樂(희노애락)*: 기쁨과 노여움과 슬픔과 즐거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희로애락’이다.
#인간 #희로애락 #기쁨 #*규범* #노여움 #감정 #슬픔 #즐거움"
"* 山川萬里(산천만리)*: 산을 넘고 내를 건너 아주 멂.
#*산천* #산"
"* 將相之材(장상지재)*: 장수나 *재상*이 될 만한 인재.
#장수 #인재 #*재상* #인물"
"* 冬氷可折(동빙가절)*: 겨울철 *얼음*은 부러질 수 있다는 뜻으로, 흐르는 물도 *얼음*이 되면 손쉽게 부러지듯이, 사람의
강유(剛柔)의 성질도 때에 따라 달라진다는 의미. 또는 때를 얻으면 쉽게 처리할 수 있으나 그 때를 얻기가 어려움을 비유하기도 함.
#성질 #겨울철 #달라짐 #때 #어려움 #비유 #물 #의미 #*얼음* #겨울 #처리 #사람"
"* 南柯夢(남가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당나라 #부마 #나무 #남가군 #꿈 #때 #영화 #중국 #부귀영화 #부귀 #*남쪽* #잠 #동안 #술 #한때 #유래"
"* 蓬轉(봉전)*: 쑥이 *뿌리*째 뽑혀 나가 바람에 굴러다닌다는 뜻으로, 정처 없이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바람 #정처 #쑥 #비유 #*뿌리*"
* 明火盜賊(명화도적)*: 남의 재물(財物)을 마구 빼앗으며 행패(行悖)를 부리고 돌아 다니는 *무리*.
* 才學兼有(재학겸유)*: 재주와 *학*식을 아울러 갖춤.
"* 被堅執銳(피견집예)*: 견고함을 입고 날카로움을 잡았다는 뜻으로, 갑주(甲冑)로 몸을 싸고 예리한 병기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완전
*무장*(完全武裝)함을 이르는 말.
#몸 #견고함 #견고 #예리 #*무장* #완전"
* 上行下效(상행하효)*: *윗사람*이 하는 일을 아랫사람이 본받음.
"* 草網着虎(초망착호)*: 썩은 *새끼*로 엮은 망으로 범을 잡으려고 한다는 뜻으로, 되지도 않을 일을 허황되게 꾀함을 이르는 말.
#일 #*새끼* #허황 #범 #꾀"
"* 虎豹豈受犬羊欺(호표기수견양기)*: 범과 표범이 어찌 개나 양에게 속임을 당(當)하겠느냐는 뜻으로, 군자(君子)는 소인(小人)의
업신여김을 받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표범 #양 #소인 #범 #군자"
"* 長遠之計(장원지계)*: 먼 앞날에 *대한* 계획.
#앞날 #계획 #계책 #장래"
"* 良禽擇木(양금택목)*: (1)‘양*금*택목’의 북한어. (2)좋은 새는 나무를 가려서 깃들인다는 뜻으로, 훌륭한 사람은 좋은 군주를
가려서 섬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새 #나무 #임*금* #섬김 #의미 #선택 #자리 #훌륭 #군주 #사람"
"* 刎頸之交(문경지교)*: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殺身成仁(살신성인)*: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인(仁)을 이룸.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 千古不易(천고불역)*: (1) 오래도록 *변화*(變化)하지 않음 (2) 영구(永久)히 변(變)하지 않음.
#*변화*"
"* 天無三日晴(천무삼일청)*: 좋은 날씨는 사흘씩 계속되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세상*일이 무사한 상태는 오래 계속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走馬燈(주마등)*: (1)등(燈)의 하나. 등 한가운데에 가는 대오리를 세우고 대 끝에 두꺼운 종이로 만든 *바퀴*를 붙이고 종이로
만든 네 개의 말 형상을 달아서 촛불로 데워진 공기의 힘으로 종이 *바퀴*에 의하여 돌게 되어 있다. (2)무엇이 언뜻언뜻 빨리
지나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오리 #쪽 #사물 #안팎 #등불 #갖가지 #때문 #촛불 #비유 #종이 #힘 #가운데 #끝 #중앙 #무엇 #풍 #바깥 #말 #*바퀴* #사용 #그림 #형상"
"* 草露人生(초로인생)*: 풀잎에 맺힌 이슬과 같은 *인생*이라는 뜻으로, 허무하고 덧없는 *인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슬 #비유 #허무 #풀잎 #*인생*"
"* 鷄肋(계륵)*: (1)*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이르는 말. ≪후한서(後漢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2)몸이 몹시 약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追悔莫及(추회막급)*: 이미 잘못된 뒤에 아*무리* 후회하여도 다시 어찌할 수가 없음.
"* 兼聽則明(겸청즉명)*: 여러 사람의 의견(意見)을 들어 보면 시비(是非)를 정확하게 *판단*(判斷)할 수 있음.
#是非 #시비 #의견 #*판단* #정확 #사람"
"* 間世之材(간세지재)*: 여러 세대를 통하여 드물게 나는 *인재*.
#세대 #*인재*"
"* 老蚌生珠(노방생주)*: 늙은 방합(蚌蛤)에서 *구슬*이 나온다는 뜻으로, (1) 총명(聰明)한 아들을 둔 사람에게 그를 기려
축하(祝賀)하는 말 (2) 부자(父子)가 모두 영명(令名)을 가졌음을 이르는 말(3) 만년(晩年)에 아들을 얻음을 이름.
#만년 #*구슬* #이름 #말 #총명 #방 #축하 #아들 #부자 #사람"
"* 北門之嘆(북문지탄)*: 북문에서 한탄(恨歎)함이라는 뜻으로, 벼슬*자리*에 나가기는 하였으나, 뜻대로 성공(成功)하지 못한 것을
한탄(恨歎)함.
#북문 #한탄 #벼슬*자리* #*자리* #벼슬 #성공"
* 前後矛盾(전후모순)*: 앞서 한 말과 뒤에 한말이나 *행동*(行動)이 서로 일치(一致)하지 아니함.
* 山棲谷飮(산서곡음)*: 산에 깃들어 살며 계곡 물을 마신다는 뜻으로, 은자(隱者)의 *생활*을 비유하는 말.
"* 連理之樂(연리지락)*: 부부가 화합하는 *즐거움*.
#부부 #화합 #*즐거움*"
"* 男欣女悅(남흔여열)*: 부부 사이가 화평하고 즐거움.
#*남*녀 #화 #즐거움 #부부 #사이"
* 出於何典(출어하전)*: 어느 *책*에 나왔냐는 뜻으로, 근거가 되는 출전(出典)이 무엇이냐고 묻는 말.
"* 生面不知(생면부지)*: 서로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어서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 또는 그런 *관계*.
#일 #이전 #선 #*관계* #의미 #낯 #얼굴 #사람"
시문
"* 父母愛之喜而勿忘(부모애지희이물망)*: *부모*(父母)님께서 사랑해 주시면 기뻐하여 잊지 않음.
#*부모* #사랑"
"* 同心之言(동심지언)*: 마음을 합친 말이라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합치시킨 사람들의 언행은 그 *향기*가 난초와도 같다는 의미.
#난초 #마음 #말 #의미 #언행 #사람"
* 無上大福(무상대복)*: 더할 수 없이 큰 *복*.
* 女尊男卑(녀존남비)*: (1)사회적 지위나 권리에 있어 여자를 *남*자보다 우대하고 존중하는 일. (2)‘여존*남*비’의 북한어.
* 豪氣不除(호기부제)*: 호기가 제거되지 않았다는 뜻으로, 선비에게 *군자*의 아량이 없음을 이르는 말.
"* 飯噴(반분)*: 입 속에 있는 밥을 내뿜는다는 뜻으로, 참을 수가 없어서 *웃음*이 터져 나옴을 이르는 말.
#밥 #*웃음* #입"
"* 麥秀之嘆(맥수지탄)*: 보리만 무성함을 보고 탄식한다는 뜻으로, 지나간 왕조에 *대한* 회상의 의미.
#왕조 #회상 #고국 #탄식 #무성함 #보리 #의미 #무성 #멸망 #성함"
"* 永字八法(영자팔법)*: 서예에서, ‘永’ 자 한 글자로써 모든 한자에 공통되는 여덟 가지 쓰기를 보이는 *법*. 중국 한(漢)나라의
채옹이 고안하였다고 전한다."
"* 逢場作戱(봉장작희)*: 공터를 만나자 놀이를 한다는 뜻으로, 아무데서나 유희(遊戱)를 행하듯이 임기응변(臨機應變)의 조치를 취하거나
미봉*책*(彌縫策)을 쓴다는 의미."
"* 才學識三長(재학식삼장)*: 재주와 학*문과* 식견 세 방면에 빼어나다는 뜻으로, 훌륭한 역사를 쓰는 데는 이 세 가지가 모두
필요하다는 말에서 유래됨.
#재주 #말 #학문 #역사 #훌륭 #방면 #식견 #필요 #유래"
"* 慈堂(자당)*: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어머니*"
"* 南面(남면)*: (1)남쪽으로 향함. (2)각 군(郡)의 남쪽에 있는 면(面). (3)임금이 앉던 *자리*의 방향. (4)임금의
*자리*에 오르거나 임금이 되어 나라를 다스림을 이르는 말. 임금이 남쪽을 향하여 신하와 대면한 데서 유래한다."
"* 引而不發(인이불발)*: (1)활시위를 당길 뿐 놓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람을 가르치되 그 *방법*만 가르치고 스스로 핵심을 터득하게
함을 이르는 말. (2)힘을 길러 때를 기다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無師獨學(무사독학)*: *스승*이 없이 혼자 배움.
"* 巫山之雲(무산지운)*: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四十而不惑(사십이불혹)*: *나이* 사십이 되어서 미혹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상의 도리를 분명하게 알게 되어 어떠한 일에도
의혹되는 일이 없었다는 공자의 말로, '不惑'은 *나이* 40세로 사용됨. [ 不惑之年(불혹지년) ].
#일 #말 #미혹 #사용 #분명 #의혹 #*나이* #공자 #세상"
"* 東施效矉(동시효빈)*: 동시(東施), 곧 못생긴 여자(女子)가 서시(西施)의 *눈썹* 찌푸림을 본받는다는 뜻으로, 시비(是非)나
선악(善惡)의 판단(判斷) 없이 남을 흉내냄을 이르는 말. 서시(西施)는 월(越)나라의 미녀.
#여자 #서시 #흉내 #*눈썹* #시비 #나라 #판단 #是非 #선악"
* 山紫水麗(산자수려)*: *산*은 자줏빛이고 물은 곱다는 뜻으로, 경치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酌水成禮(작수성례)*: 물 한 *그릇*만 떠 놓고 혼례를 치른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안의 혼례를 이르는 말.
#혼례 #말 #예식 #물 #혼인 #*그릇* #집안 #가난"
"* 焚書坑儒(분서갱유)*: 중국 진(秦)나라의 시황제가 학자들의 정치적 비판을 막기 위하여 민간의 책 *가운데* 의약(醫藥),
복서(卜筮), 농업에 관한 것만을 제외하고 모든 서적을 불태우고 수많은 유생을 구덩이에 묻어 죽인 일."
* 渙然氷釋(환연빙석)*: 의심스럽던 것이 얼음 녹듯이 *풀*리어 없어짐.
* 罔夜逃走(망야도주)*: *밤*을 새워서 달아남.
"* 壢馬籠禽(역마농금)*: 마구간에 매인 말과 새장에 든 새라는 뜻으로, 속박(束縛)되어 *자유*롭지 않은 몸을 이르는 말.
#몸 #말 #새장 #속박 #*자유*"
* 從善如登(종선여등)*: 착한 일을 쫓아 하는 것은 산을 오르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착한 일을 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는 말.
* 自屈之心(자굴지심)*: 스스로 자기를 굽히는 *마음*.
"* 北進政策(북진정책)*: 북방으로 나라의 *세력*을 뻗쳐 나가려는 정책.
#나라 #정책 #북쪽 #*세력* #북방"
"* 白雲(백운)*: (1)절의 큰방 윗목 벽에 써 붙여서 손님의 자리를 알게 하는 문자. 오고 가고 한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이다.
(2)색깔이 흰 *구름*.
#문자 #손님 #*구름* #자리 #절의"
* 乘勝長驅(승승장구)*: *싸움*에 이긴 형세를 타고 계속 몰아침.
* 丹筆定罪(단필정죄)*: *법*규 적용에서 서면에 왕이 주필(朱筆)로써 그 죄형을 정하여 기록하던 일.
사이
즐거움
"* 群鷄一鶴(군계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 鷽鳩笑鵬(학구소붕)*: 작은 비둘기가 큰 붕새를 보고 웃는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소인배가 위대한 사람을 몰라보고 비웃음을 이르는 말.
"* 難行苦行(난행고행)*: (1)아주 심하게 *고생*함. (2)몹시 괴로운 수행.
#몸 #일 #마음 #행 #연마 #심신 #*고생* #불도 #불 #사용 #의미 #고통 #수행"
"* 破麥剖梨(파맥부리)*: 보리를 찧고 배를 가른다는 뜻으로, 보리를 찧으면 기울(麩(부):속껄질)이 생기고 배를 쪼개면
씨(종자(種子))가 나오는 것처럼 부(麩)와 부(夫), 종(種)과 子(자)를 연결하여 잃거나 헤어졌던 남편과 *자식*을 다시 만나는
일을 일컫는 말로 사용됨."
"* 江南一枝春(강남일지춘)*: 강남에서 매화나무 가지 하나를 꺾어 보낸다는 뜻으로, *친구*에게 선물이나 정표를 보내 우정을 전함을
이르는 말."
"* 玉石混淆(옥석혼효)*: 옥과 돌이 한데 섞여 있다는 뜻으로, 좋은 것과 나쁜 것이 한데 섞여 있음을 이르는 말.
#선악 #구별 #비유"
"* 恒産恒心(항산항심)*: *일정*(一定)한 생산(生産)이 있으면 마음이 변(變)치 않는다는 뜻으로, *일정*(一定)한 직업(職業)과
재산(財産)을 가진 자는 마음에 그만 큼 여유(餘裕)가 있으나, 그렇지 않은 자는 정신적(精神的)으로 늘 불안정(不安定)하여 하찮은
일에도 동요함을 이르는 말.
#일 #마음 #*일정* #여유 #정신 #동요 #재산 #정신적 #직업 #불안정"
"* 抱痛西河(포통서하)*: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가 서하에 있을 때, 그의 아들을 잃고 너무
비통한 나머지 실명한 고사에서 유래되어 자식을 잃고 슬퍼하는 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일 #자식 #때 #아들 #사용 #제자 #*고통* #부모 #공자 #고사 #유래 #서하"
"* 火得薪而熾(화득신이치)*: 불은 땔나무를 얻어야 활활 탄다는 뜻으로, 알맞은 때를 만나야 영화롭게 됨을 비유한 말.
#땔나무 #때 #불 #비유 #영화"
"* 鑿枘(조예)*: (1)*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규범
표기는 ‘조예’이다. (2)*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사물* #장부 #방 #규범 #구멍 #유래"
"* 寫字此是學(사지차시학)*: 글자를 베끼는 것이 바로 배움이라는 뜻으로, 경건한 마음으로 글자를 베껴 쓰면 그 베껴 쓰는 일 자체가
이미 갈고 닦는 *학*문이라는 의미."
속담 모음
2024년 06월 15일 속담 (3)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