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 전체글 2 티스토리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구글 트렌드
속담 모음

2024년 06월 15일 속담 (5) ⭕️

by 사계절1 2024. 6. 15.




728x90
반응형

* 表叔(표숙)*: *어머니*의 남자 형제를 이르는 말.
* 自國之亂(자국지란)*: 나라 안에서 정권을 차지할 목적으로 벌어지는 큰 *싸움*.
"* 盤根錯節(반근착절)*: (1)서린 *뿌리*와 얼크러진 마디라는 뜻으로,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사건을 이르는 말. ≪후한서≫ 에
나오는 말이다. (2)세력이 깊이 *뿌리*박고 있어 흔들리지 아니함.
#일 #말 #착잡 #나무 #난관 #사건 #상황 #비유 #마디 #세상일 #세력 #*뿌리* #처리 #곤란 #세상"
* 獨宿空房(독숙공방)*: 아내가 남편 없이 혼자 지내는 것.
"* 西河之痛(서하지통)*: 서하의 고통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하(子夏)가 서하(西河)에 있을 때 자식을 잃고 너무
슬픈 나머지 소경이 된 고사에서 온 말에서 자식을 잃은 슬픔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자식 #말 #때 #사용 #제자 #孔子 #고통 #소경 #슬픔 #부모 #*공자* #고사 #서하"
* 花容月態(화용월태)*: 아름다운 여인의 *얼굴*과 맵시를 이르는 말.
"* 鳳麟芝蘭(봉린지란)*: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난초* #여자 #재능 #말 #남녀 #형용 #표현 #기린 #봉황 #비유 #지초 #남자 #아름다움"

"* 事以密成(사이밀성)*: 무슨 일이나 기밀(機密)을 지킴으로써 성취(成就)됨.
#기밀 #일 #성취"
* 前後矛盾(전후모순)*: 앞서 한 말과 뒤에 한말이나 행동(行動)이 *서로* 일치(一致)하지 아니함.
* 不眠不休(불면불휴)*: 자지도 않고 쉬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조금도 쉬지 않고 힘써 일함을 이르는 말.
* 金蘭之契(금란지계)*: 친구 *사이*의 매우 두터운 정을 이르는 말.
"* 勞而不怨(노이불원)*: *효*자(孝子)는 부모(父母)를 위(爲)해 어떤 고생(苦生)을 하더라도 결코 부모(父母)를 원망(怨望)하지
않음."
* 任子之典(임자지전)*: 나라에 공로를 세운 신하의 자손에게 *벼슬*을 주던 특전(特典).
"* 馬革裹屍(마혁과시)*: 말*가죽*으로 자기 시체를 싼다는 뜻으로, 싸움터에 나가 살아 돌아오지 않겠다는 결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장수 #싸움터 #전쟁 #비유 #결의 #옛날 #시체 #*가죽*"
* 面壁九年(면벽구년)*: 달마가 *중국* 쑹산산(嵩山山)의 소림사에서 9년 동안 벽을 보고 좌선하여 도를 깨달은 일을 이르는 말.
"* 江上風月主人(강상풍월주인)*: 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주인 #욕심 #차지 #산수 #*풍월* #경치 #산 #사람"
"* 繫臂之寵(계비지총)*: 군주의 *특별*한 총애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무제(武帝)가 예쁜 궁녀를 골라 그 팔꿈치에 붉은
비단을 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무제 #총애 #*특별* #나라 #중국 #팔꿈치 #비단 #주의 #유래 #군주"
* 婆羅門行(바라문행)*: 승려의 건방지고 거친 *행동*.
* 無道之人(무도지인)*: 도가 없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도리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의미함.
* 學文千載寶貪物一朝塵(학문천재보탐물일조진)*: 글을 배움은 천년의 보배요, *물*건(物件)을 탐함은 하루 아침의 티끌임.
"* 華燭之典(화촉지전)*: 부부 관계를 맺는 서약을 하는 *의식*.
#부부 #말 #관계 #*의식*"
"* 見物生心(견물생심)*: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그것 #마음 #욕심 #의미 #물건 #사람"
"* 當來道師(당래도사)*: 내세(來世)에 출현(出現)하는 *도사*(導師). 지금으로부터 56억 7천만 세(歲)를 지나 이 세계(世界)에
출현(出現), 성도(成道)하여 중생(衆生)을 화도(化導) 한다는 미륵(彌勒) 보살(菩薩).
#천만 #출현 #성 #세계 #보살 #화 #성도 #지금 #중생 #*도사*"
"* 兄飢弟飽禽獸之遂(형기제포금수지수)*: 형은 굼주리는 데 아우만 배부르다면 새나 *짐승*의 할 짓임.
#새 #*짐승* #형 #아우"
"* 地靈人傑(지령인걸)*: *땅*은 영묘(靈妙)하고 사람은 빼어나다는 뜻으로, 산천이 수려하고 지세가 빼어나서, 그 지기를 띠고 태어난
그 곳 주민도 한결 뛰어나다는 의미."
"* 猪突(저돌)*: (1) (멧돼지처럼)앞뒤를 헤아리지 않고 불쑥 돌진(突進)함 (2) 앞일을 *생각*지 않고 맹목적(盲目的)으로 일을
처리(處理)함."
"* 室家之樂(실가지락)*: 부부 사이의 화목한 즐거움.
#화목 #미인 #거처 #방 #화 #의미 #즐거움 #집안 #부부 #가정 #사이"
"* 恬筆倫紙(염필륜지)*: 진국 몽염(蒙恬)은 *토끼*털로 처음 붓을 만들었고, 후한(後漢) 채륜(蔡倫)은 처음 종이를 만들었음.
#후한 #*토끼* #붓 #털 #종이 #처음"
"* 寸草春暉(촌초춘휘)*: 작은 풀과 봄볕이라는 뜻으로, 봄철의 작은 풀이 봄 햇살에 무럭무럭 자랄 수 있듯이 부모의 은혜는 만분의
*하나*라도 갚기가 어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寸草’는 봄풀로 자식의 효심을, ‘春暉’는 봄볕으로 부모의 은혜를 비유."
"* 勞而無功(노이무공)*: 애는 썼으나 보람이 없음을 이르는 말. ≪장자≫ , ≪관자(管子)≫ <*형세*편(形勢篇)>에 나오는 말이다.
#장자 #말 #*형세* #보람"
"* 堅白同異(견백동이)*: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문인 공손룡이 논한 궤변. 단단하고 흰 *돌*은 눈으로 보아 흰 것은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아 단단한 것은 알 수 있으나 빛이 흰지는 모르므로, 단단한 *돌*과 흰 *돌*은 동시에 성립하는
개념이 아니라고 하였다."
"* 亡國富庫(망국부고)*: 나라를 망하게 하면서도 창고는 부유해진다는 뜻으로, 망하는 나라의 *임금*은 백성을 부(富)하게 하지 못하고
헛되이 자신의 창고만 가득 채운다는 의미.
#백성 #*임금* #나라 #의미 #창고 #자신 #부유"
"* 江南一枝春(강남일지춘)*: 강*남*에서 매화나무 가지 하나를 꺾어 보낸다는 뜻으로, 친구에게 선물이나 정표를 보내 우정을 전함을
이르는 말."
"* 伏魔殿(복마전)*: (1)마귀가 숨어 있는 집이나 굴. (2)비밀리에 나쁜 일을 꾸미는 무리들이 모이거나 활동하는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天知地知汝知我知(천지지지여지아지)*: 하늘이 알고, 땅이 알며, 자네가 알고, 내가 안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에 비밀(秘密)이란
있을 수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밀 #땅 #비유 #자네 #하늘 #세상"
"* 斑衣之戱(반의지희)*: 색동저고리의 놀이라는 뜻으로, 춘추시대 노나라의 노래자가 일흔 살이 되어도 색동저고리를 입고 노모 앞에서
어리광을 부려 어머니의 늙음을 잊게 했다는 고사에서 *효*양(孝養)을 비유."
"* 脫兎之勢(탈토지세)*: 달아나는 *토끼*의 형세라는 뜻으로, 매우 빠른 기세를 이르는 말.
#*토끼* #기세 #형세"
* 目前之計(목전지계)*: 눈앞에 보이는 한때만을 *생각*하는 꾀.
"* 解裘衣之(해구의지)*: 자기(自己) 갑옷을 벗어 남에게 입힌다는 뜻으로, 남에게 은혜(恩惠)를 베풂을 이르는 말.
#갑옷 #은혜 #베풂"
"* 天高地下(천고지하)*: 먼 훗날까지 남을 큰 *웃음*거리.
#훗날 #*웃음*거리"
"* 性猶湍水(성유단수)*: 성품은 여울물 같다는 뜻으로, 세차게 흐르는 여울의 물이 *동서* 어느 쪽으로도 흐를 수 있듯이, 사람의
본성은 차하게도 되고 악하게도 됨을 이르는 말.
#성 #물 #*동서* #본성 #성품 #쪽 #사람"
"* 臨陣易將(임진역장)*: *전쟁*터에서 장수를 바꾼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생겼을 때 그 일에 알맞은 자격을 지닌 사람을 쓰지
아니하고 자격을 지니지 못한 사람을 씀을 이르는 말.
#일 #자격 #중요 #장수 #때 #비유 #*전쟁*터 #사람"
"* 四海兄弟(사해형제)*: 온 세상 사람이 모두 형제와 같다는 뜻으로, *친밀*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에서 사해 안에 있는 사람을
모두 형제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말 #뭇사람들 #사람 #*친밀*함 #뭇사람 #천하 #형제 #*친밀* #天下 #모두 #유래 #세상"
* 愛人如己(애인여기)*: 남을 *자기* 몸처럼 사랑함.
"* 問東答西(문동답서)*: 물음과는 전혀 *상관*없는 엉뚱한 대답.
#물음 #말 #엉뚱 #*상관* #동쪽 #대답 #서쪽"
"* 濟濟多士(제제다사)*: 여러 *선비*가 모두 뛰어남을 이르는 말. ≪시경≫의 문왕편(文王篇)에 나오는 말이다.
#위엄 #말 #의미 #인재 #의례 #*선비* #훌륭"
"* 胡越一家(호월일가)*: (1)중국 북쪽의 호(胡)와 남쪽의 월(越)이 한집안이라는 뜻으로, 온 *천하*가 한집안 같음을 이르는 말.
(2)멀리 떨어져 있던 사람들이 한곳에 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千方百計(천방백계)*: 천 가지 방책과 *백* 가지 계략이라는 뜻으로, 온갖 꾀를 이르는 말.
"* 呼不給吸(호불급흡)*: 불었다가 마*시기*를 더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너무 놀라서 숨을 내쉬고는 들이쉬지 못하는 것처럼 사물의
진행이 너무 빨라서 미처 응할 시간이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사물 #시간 #진행 #비유"
"* 枯木死灰(고목사회)*: 겉모습은 마른나무와 같고 마음은 재와 같다는 뜻으로, 생기와 의욕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의욕 #마음 #마른나무 #나무 #겉모습 #고목 #외형 #사람"
"* 孝悌忠信(효제충신)*: 어버이에 대한 효도, 형제끼리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성과 *벗*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
#충성 #사이 #*벗* #친구 #임금 #관계 #나라 #형제끼리 #효도 #공경 #형제 #의미 #신의 #어버이 #믿음 #이상 #우애"
"* 三綱五倫(삼강오륜)*: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과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통틀어 이른다.
#떳떳 #유교 #아내 #강 #바탕 #신하 #말 #남편 #임금 #아들 #인륜 #뼈대 #도덕 #부모 #자유 #부부 #기본 #군신 #실천"
"* 弄瓦(농와)*: (1)‘농와’의 북한어. (2)*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말 #한문투 #*딸* #옛일 #실패 #중국 #옛날 #즐거움 #흙 #유래"
"* 賞一人而天下譽之(상일인이천하예지)*: 한 사람에게 상을 주면 천하(天下)가 기린다는 뜻으로, *군주*(君主)가 정치(政治)를 베풀어
선인을 한 사람 표창(表彰)하면 천하(天下)의 백성(百姓)은 그 정사(政事)의 공평(公平)함을 칭송(稱頌)한다는 말.
#백성 #말 #칭송 #정사 #천하 #天下 #공평 #선인 #정치 #*군주* #사람"
"* 四俱一生(사구일생)*: (1)넷이 모여 하나를 이룸. 목화 네 근이 솜 한 근이 되고 수삼 네 근이 건삼 한 근이 되는 것 따위를
이른다. (2)이랬다저랬다 하여 걷잡을 수 없는 *모양*을 이르는 말.
#일 #성 #따위 #*모양*"
* 百事不成(백사불성)*: 여러 *가지* 일이 하나도 이루어지지 않음. 또는 하는 일마다 실패하여 일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
"* 千年一淸(천년일청)*: 천 년에 한 번 맑아진다는 *황하*의 물이 맑아지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가능하지 아니한 일을 바람을 이르는
말.
#일 #이름 #*황하* #바람 #물 #지기 #가능"
"* 千篇一律(천편일률)*: (1)여러 시문의 격조(格調)가 모두 비슷하여 개*별*적 특성이 없음. (2)여럿이 개*별*적 특성이 없이
모두 엇비슷한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匪石之心(비석지심)*: *돌*처럼 단단하여 어떤 일에 쉽게 동요하지 않는 마음을 이르는 말.
"* 屋下架屋(옥하가옥)*: 지붕 *아래* 또 지붕을 만든다는 뜻으로, 선인(先人)들이 이루어 놓은 일을 후세의 사람들이 무익하게
거듭하여 발전한 바가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
"* 虎豹豈受犬羊欺(호표기수견양기)*: 범과 표범이 어찌 개나 양에게 속임을 당(當)하겠느냐는 뜻으로, *군자*(君子)는 소인(小人)의
업신여김을 받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當來之職(당래지직)*: *신분*에 알맞은 직위나 직무. 또는 마땅히 차례에 올 직위나 직무.
#직위 #직분 #*신분* #벼슬 #차례"
"* 不誠無物(불성무물)*: (*불*성무물) 정성이 없으면 사물도 없다는 뜻으로, 정성은 모든 사물의 근본이므로, 정성이 없는 곳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
* 折枝之易(절지지이)*: 나뭇*가지*를 꺾는 것과 같이 쉽다는 뜻으로, 대단히 용이(容易)한 일을 이르는 말.
"* 露尾藏頭(노미장두)*: 꼬리는 드러낸 채 *머리*만 숨긴다는 뜻으로, 잘못을 숨기려 해도 결국 드러나게 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腐鼠(부서)*: 썩은 쥐라는 뜻으로, 작고 비천한 물건이나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春夏秋冬節東西南北方(춘하추동절동서남북방)*: 봄, 여름, 가을, 겨울은 계절(季節)이요, 동서(東西) *남*북(南北)은
방위(方位)임."
"* 獅子吼(사자후)*: (1)부처의 위엄 있는 설법을, 사자의 울부짖음에 모든 *짐승*이 두려워하여 굴복하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2)사자의 우렁찬 울부짖음이란 뜻으로, 크게 부르짖어 열변을 토하는 연설을 이르는 말. (3)질투심이 강한 아내가 남편에게 암팡스럽게
떠드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설법 #일 #여자 #위엄 #굴복 #남편 #사자 #진리 #비유 #소리 #의미 #석가모니 #부처 #아내 #*짐승* #정도 #사설 #목소리"
* 年末年始(년말년시)*: (1)한 해의 마지막 때와 *새*해의 첫머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2)‘연말연시’의 북한어.
* 吾鼻三尺(오비삼척)*: 내 코가 석 자라는 뜻으로, 자기 사정이 급하여 남을 *돌*볼 겨를이 없음을 이르는 말.
"* 登高自卑(등고자비)*: (1)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오른다는 뜻으로, 일을 순서대로 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2)지위가 높아질수록 자신을 낮춤을 이르는 말.
#일 #말 #때 #사용 #비유 #길 #걸음 #의미 #천리 #지위 #자신 #순서 #낮춤 #스스로 #차례"
"* 自見耳(자견이)*: *자기*(自己)의 귀를 본다는 뜻으로, 귀가 큼을 이르는 말.
#귀"
* 破僻(파벽)*: 양반이 없는 시골이나 인구수가 적은 성씨에 *인재*가 나서 본래의 미천한 상태를 벗어남.
"* 傅生之論(부생지론)*: 이미 내린 사형 선고에 대하여 다른 의견이 있을 때에 감형을 *주장*하는 변론.
#사형 #때 #선고 #의견 #*주장* #변론"
"* 士大夫(사대부)*: (1)사(士)와 대부(大夫)를 아울러 이르는 말. 문무 양반(文武兩班)을 일반 평민층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2)벼슬이나 문벌이 높은 *집안*의 사람."
* 自信滿滿(자신만만)*: ‘*자신*만만하다’의 어근.
"* 康衢煙月(강구연월)*: 번화한 큰 길거리에서 달빛이 연기에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로,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을
이르는 말."
"* 靑山一髮(청산일발)*: 먼 수평선(水平線) 저*쪽*의 푸른 산이 아득히 안 올의 머리카락처럼 보임.
#머리카락 #저*쪽* #산"
"* 題目之件(제목지건)*: 제목(題目)의 건이라는 뜻으로, 글의 *첫머리*에 쓰는 제목을 이르는 말.
#제목 #*첫머리*"
"* 赤手空拳(적수공권)*: 맨손과 맨주*먹이*라는 뜻으로,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맨주먹 #준말 #맨손 #의미 #빈손"
"* 吸風飮露(흡풍음로)*: 바람을 호흡하며 *이슬*을 마신다는 뜻으로, 신선(神仙)의 생활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이슬* #바람 #신선 #비유 #생활"
"* 炎凉世態(염량세태)*: 더웠다가 차가워지는 세상 인심이라는 뜻으로, 권세가 있을 때는 아부하여 좇고, *세력*이 사라지면 푸대접하는
각박한 세상 인심을 이르는 말.
#푸대접 #아첨 #인심 #권세 #때 #형편 #세태 #*세력* #아부 #세속 #세상"
"* 反裘而負薪(반구이부신)*: 갖옷의 털이 상할까하여 뒤집어 입고, *나무*를 등(等)에 졌더니 도리어 갖옷이 못쓰게 되었다는 뜻으로,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사람이나 생각이 좁은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 望蜀(망촉)*: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후한 #말 #경우 #*욕심* #만족 #평정 #지방 #밖 #유래 #광무제"
"* 別有風景(별유풍경)*: 좀처럼 볼 수 없는 아주 좋은 풍경.
#풍경 #보통 #특*별*"
"* 一字千金(일자천금)*: 글자 하나의 값이 천금의 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글씨나 문장이 아주 훌륭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
여불위가 ≪여씨춘추≫를 지어 셴양(咸陽)의 성문에 놓아두고, 내용 가운데 한 글자라도 첨삭(添削)하는 사람이 있다면 천금을 주겠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 仁漿義粟(인장의속)*: 어진 음식과 의로운 곡식이라는 뜻으로, 인의(仁義)가 담긴 음식과 곡식의 의미로 자선가(慈善家)가 베푸는
음식물의 의*미인*데, 의연금(義捐金) 등의 모금함에 많이 쓰여짐."
"* 許由掛瓢(허유괘표)*: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 各房居處(각방거처)*: 부부 또는 가족이 한집에 살면서 각각 딴 방에서 *생활*함.
#한집 #가족 #방 #부부 #*생활*"
"* 胡蝶夢(호접몽)*: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나온
말. ≪장자(莊子)≫ 에서 나온 말이다.
#말 #*꿈* #장자 #비유 #현실 #중국 #나비 #구별 #인생"
"* 男唱女隨(남창여수)*: *남*자가 앞에 나서서 서두르고 여자는 따라만 함.
#여자 #앞 #*남*자"
"* 毫末之利(호말지리)*: 아주 적은 이익.
#근소 #이익 #끝 #털 #털끝"
* 永世不忘(영세불망)*: 영원히 잊지 아니함.
"* 覆巢破卵(복소파란)*: 둥지를 뒤엎고 알을 깬다는 뜻으로, 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한다는 뜻이나, 근본(根本)이 망하면
지엽(枝葉)도 따라 망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자식 #*재난* #화 #사용 #의미 #근본 #부모"
"* 脣齒輔車(순치보거)*: 입술과 이 중에서 또는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 중에서 어느 한쪽만 없어도 안 된다는 뜻으로, 서로
없어서는 안 될 깊은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獸聚鳥散(수취조산)*: 짐승처럼 모였다가 새처럼 흩어진다는 뜻으로, 정돈되지 못한 오합지중(烏合之衆)의 의미로 사용됨.
"* 懷橘(회귤)*: 귤을 품속에 품는다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이르는 말.
#*지극* #효성 #귤"
"* 斑衣之戱(반의지희)*: 색동저고리의 놀이라는 뜻으로, *춘추*시대 노나라의 노래자가 일흔 살이 되어도 색동저고리를 입고 노모 앞에서
어리광을 부려 어머니의 늙음을 잊게 했다는 고사에서 효양(孝養)을 비유.
#옷 #노래 #*춘추* #앞 #시대 #때 #놀이 #나라 #비유 #노래자 #어머니 #부모 #노나라 #저고리 #고사 #일흔"
"* 破甕救兒(파옹구아)*: 항아리를 깨뜨려 아이를 구한다는 뜻으로, 송(宋)의 사마광(司馬光)이 어릴 때 물독에 빠진 아이를 돌로
깨뜨려 구했다는 고사에서 어린아이의 *지혜*로움을 의미함.
#어린아이 #항아리 #아이 #때 #물 #의미 #*지혜* #고사 #돌"
* 骨肉相殘(골육상잔)*: 가까운 혈족끼리 *서로* 해치고 죽임.
"* 好物不在多(호물부재다)*: 좋은 물건(物件)이 반드시 많아야 할 필요(必要)는 없다는 뜻으로, 위험(危險)한 일을 *시작*(始作)해
놓고 계속(繼續)할 수도 그만둘 수도 없는 난처(難處)한 지경(地境)을 이르는 말.
#일 #위험 #*시작* #물건 #필요 #지경"
"* 風旛之論(풍번지론)*: 바람에 흔들리는 깃발의 여론이라는 뜻으로, 깃발이 바람에 움직이는 것 같이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는
언론(言論)을 이르는 말.
#바람 #일정 #여론 #깃발 #언론 #*변화*"
"* 伐柯(벌가)*: *도끼* 자루감을 *도끼*로 벤다는 뜻으로, (1) 진리(眞理)는 눈앞에 있는 것이니, 먼 데서 구(求)할 것이
아니라는 비유(比喩) (2) 어진 사람을 맞아들이는 데는 어진 사람이 가야한다는 비유(比喩)(3) 혼인(婚姻)에는 중매(仲媒)가 있어야
한다는 비유(比喩).
#눈앞 #진리 #비유 #중매 #혼인 #자루 #*도끼* #사람"
* 內從兄弟(내종형제)*: ‘고종*형제*’를 외종*형제*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南倭北虜(남왜북로)*: 중국에서, 15세기에서 16세기까지 명(明)나라를 괴롭히던 남*쪽*의 왜구(倭寇)와 북*쪽*의 몽고 여러
부족을 아울러 이르던 말."
"* 錦繡江山(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강산 #아름 #나라 #의미 #산천 #우리 #비단 #우리나라"
"* 假虎威狐(가호위호)*: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백성 #빌어 #말 #신하 #우화 #범 #위세 #*여우* #권세 #약자 #강자 #비유 #세력 #짐승 #군주"
"* 三綱五倫(삼강오륜)*: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과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통틀어 이른다.
#떳떳 #유교 #아내 #강 #바탕 #신하 #말 #남편 #임금 #아들 #인륜 #뼈대 #*도덕* #부모 #자유 #부부 #기본 #군신 #실천"
"* 福過災生(복과재생)*: 복이 너무 지나치면 도리어 *재앙*이 생김.
#복 #말 #*재앙* #의미 #즐거움 #괴로움 #인생"
"* 當禁之地(당금지지)*: 다른 사람이 뫼를 쓰지 못하게 하는 땅.
#허락 #땅 #장사 #사람"
"* 樞路之鄕(추로지향)*: 공맹(孔孟)의 고향(故鄕)이란 뜻으로, 예절(禮節)을 알고 학문(學文)이 *왕성*(旺盛)한 곳을 이르는 말.
#고향 #*왕성* #예절 #학문"
"* 天假之年(천가지년)*: 하늘이 세월을 빌려준다는 뜻으로, *목숨*을 연장함을 이르는 말.
#일 #하늘 #세월 #*목숨*"
"* 五風十雨(오풍십우)*: 닷새에 한 번씩 바람이 불고 열흘 만에 한 번씩 비가 온다는 뜻으로, 날씨가 순조롭고 풍년이 들어 천하가
태평한 *모양*을 이르는 말."
"* 威風堂堂(위풍당당)*: 풍채나 기세가 *위엄* 있고 떳떳함.
#떳떳 #*위엄* #풍채 #기세 #모양"
* 菽麥不辨(숙맥불변)*: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리 분별을 못 하고 세상 물정을 잘 모름을 이르는 말.
"* 桂林一枝(계림일지)*: (1)대수롭지 않은 출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극선(郤詵)이 현량과에 제일(第一)로 천거되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겨우 계수나무 *숲*에서 나뭇가지 하나를 얻었을 뿐이라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다. (2)사람됨이 출중하면서도 청빈하고
겸손함을 이르는 말.
#출세 #말 #나무 #만족 #출중 #선 #계수나무 #비유 #겸손 #나라 #나뭇가지 #비범 #중국 #천거 #유래 #사람됨 #청빈"
"* 率獸食人(솔수식인)*: 짐승을 거느리고 와서 사람을 잡아먹게 한다는 뜻으로, 위정자가 폭정으로 백성을 *고통*스럽게 함을 이르는 말.
#백성 #위정자 #폭정 #비유 #학정 #*고통* #짐승 #정치 #사람"
"* 燃眉(연미)*: *눈썹*에 불이 붙었다는 뜻으로, 매우 급함을 이르는 말.
#*눈썹* #위험 #불 #비유 #정도"
* 極口辨明(극구변명)*: 말을 다하여 분명하게 분*별*한다는 뜻으로, 온갖 말을 다하여 자기의 잘못이 없음을 변명함.
"* 男左女右(남좌여우)*: 음양설(陰陽說)에서, 왼쪽은 양이고 오른쪽은 음이라 하여 남자는 왼쪽이 소중하고 여자는 오른쪽이 소중함을
이르는 말. 맥, 손금, 자리 따위를 볼 때 여자는 오른쪽을, 남자는 왼쪽을 취한다.
#왼쪽 #여자 #양 #때 #머리 #사용 #의미 #양이 #오른쪽 #소중 #자리 #쪽 #남자 #음양 #따위"
"* 來者勿拒(내자물거)*: 오는 사람을 막지 말라는 말. ≪*춘추*≫ 에 나오는 말이다.
#말 #*춘추* #의사 #자유 #사람"
"* 遷喬(천교)*: 꾀꼬리가 *골짜기*에서 나와 큰 나무로 옮긴다는 뜻으로, 낮은 지위에서 높은 지위로 오름을 이르는 말.
#말 #나무 #꾀꼬리 #지위 #낮"
"* 山薊野鶩(산계야목)*: *산*꿩과 들오리라는 뜻으로, 성미(性味)가 거칠고 사나와서, 제멋대로만 하여 다 잡을 수 없는 사람을
비유(比喩)하여 이르는 말."
"* 粟紅貫朽(속홍관후)*: *곡식*이 붉게 변질되고 돈꿰미가 썩는다는 뜻으로, 태평한 세상에 물자가 남아도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
#*곡식* #돈 #태평 #상황 #비유 #물자 #세상"
"* 胡越一家(호월일가)*: (1)중국 북쪽의 호(胡)와 남쪽의 월(越)이 한집안이라는 뜻으로, 온 천하가 한집안 같음을 이르는 말.
(2)멀리 떨어져 있던 사람들이 한곳에 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집 #한집안 #한곳 #타향 #남방 #고향 #모임 #천하 #중국 #天下 #한족 #북쪽 #집안 #오랑캐 #남쪽 #서로 #통일 #북방 #사람"
"* 無名業火(무명업화)*: 깨우치지 못하고 *번뇌*(煩惱)에 얽혀 짓는 악업(惡業)을 불에 비유(比喩)한 말.
#*번뇌* #말 #악업 #불 #비유"
"* 桂玉之愁(계옥지수)*: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 살면서 겪는 괴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春來梨花白夏至樹葉靑(춘래이화백하지수엽청)*: 봄이 오니 배*꽃*은 희게 피고, 여름이 이르니 나뭇잎이 푸르름.
#나뭇잎 #봄 #여름 #푸르름"
* 獨掌不鳴(독장불명)*: 외손뼉이 올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맞서는 이가 없으면 *싸움*이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祖考餘生(조고여생)*: 어려서 어버이를 잃고 자란 *사람*.
* 弟無衣服兄必與之(제무의복형필여지)*: 아우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형은 반드시 이를 주어야 함.
"* 朝夕定省(조석정성)*: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 風燈(풍등)*: (1)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열기구의 원리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띄우는 등. 대나무로 된 뼈대 위에 한지로 만든 등갓을 붙인
다음 뼈대 가운데에 기름을 먹인 심지를 고정하여 만든다. 과거에는 밤에 하늘로 띄워 *군사*용 신호를 보내는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으나,
보통 복을 기원하거나 놀이를 위하여 띄운다.
#용도 #공중 #다음 #등화 #사물 #밤 #등불 #*군사* #앞 #가운데 #대나무 #과거 #바람 #기원 #신호 #원리 #하늘 #풍 #기름 #복 #이용 #놀이 #보통 #사용 #뼈대"
"* 獅子吼(사자후)*: (1)부처의 위엄 있는 설법을, 사자의 울부짖음에 모든 짐승이 두려워하여 굴복하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2)사자의 우렁찬 울부짖음이란 뜻으로, 크게 부르짖어 열변을 토하는 연설을 이르는 말. (3)질투심이 강한 *아내*가 남편에게
암팡스럽게 떠드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설법 #일 #여자 #위엄 #굴복 #남편 #사자 #진리 #비유 #소리 #의미 #석가모니 #부처 #*아내* #짐승 #정도 #사설 #목소리"
* 上命下服(상명하복)*: 위에서 명령하면 *아래*에서는 복종한다는 뜻으로, 상하 관계가 분명함을 이르는 말.
"* 一敗塗地(일패도지)*: 싸움에 한 번 패하여 간과 뇌가 땅*바닥*에 으깨어진다는 뜻으로,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 일어날 수 없게 되는
지경에 이름을 이르는 말. 한 고조 유방의 말로서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이름 #땅 #말 #비유 #땅*바닥* #지경 #유방 #뇌 #*바닥* #싸움 #고조"
"* 社稷(사직)*: (1)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2)태사(太社)와 태직(太稷)을 아울러 이르는 말. (3)고대 중국에서, 새로
나라를 세울 때 천자나 제후가 제사를 지내던 토*지신*과 곡신.
#곡식 #고대 #제후 #사직 #임금 #때 #국가 #기원 #조정 #나라 #중국 #옛날 #기반 #무사 #토지 #천자 #제사"
"* 德無常師(덕무상사)*: 덕을 닦는 데는 일정(一定)한 *스승*이 없다는 뜻으로, 마주치는 환경(環境), 마주치는 사람 모두가
수행(修行)에 도움이 됨을 이르는 말.
#환경 #도움 #일정 #*스승* #수행 #모두 #사람"
지배
지극
"* 自受用身(자수용신)*: *수행*이 끝나 복덕과 지혜가 원만하고 밝아 늘 진리를 관조하여 스스로 그 법락(法樂)을 받는 불신(佛身).
#원만 #법 #복 #행 #완성 #복덕 #진리 #*수행* #법락 #지혜"
* 同氣連枝(동기연지)*: 형제(兄弟)는 *부모*(父母)의 기운(氣運)을 같이 받았으니 나무의 가지와 같음.
"* 女慕貞烈(여모정렬)*: *여자*(女子)는 정조(貞操)를 굳게 지키고 행실(行實)을 단정(端正)하게 해야 함을 말함.
#*여자* #말 #정조 #행실 #단정"
"* 莫知其子之惡(막지기자지악)*: 자기 자식의 잘못을 모른다는 뜻으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맹*목적*임을 이르는 말.
#자식 #말 #사랑 #잘못 #비유 #어버이 #부모 #맹*목적* #사람"
"* 力學以讀書爲本(역학이독서위본)*: 역학은 *독서*로 근본을 삼는다.
#근본 #*독서*"
* 每事可堪(매사가감)*: 어떤 일이라도 감당할 만함.
"* 螢雪之功(형설지공)*: 반딧불ㆍ눈과 함께 하는 노력이라는 뜻으로, 고생을 하면서 부지런하고 꾸준하게 공부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
중국≪진서(晉書)≫의 ㆍ에 나오는 말로, 진나라 차윤(車胤)이 반딧불을 모아 그 불빛으로 글을 읽고, 손강(孫康)이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에 비추어 글을 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怙恃(호시)*: 믿고 의지한다는 뜻으로, ‘*부모*’를 이르는 말.
* 犬馬之勞(견마지로)*: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말.
"* 坐而待旦(좌이대단)*: 앉아서 아침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밤*중부터 일어나 앉아 날이 새기를 기다리듯이 그것을 얻고자 하는 마음이
깊음을 이르는 말."
"* 人生草露(인생초로)*: 사람의 삶은 풀에 맺힌 이슬 같다는 뜻으로, 인생은 해뜨면 *사라*질 아침에 맺힌 풀 위의 이슬처럼 덧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이슬 #아침 #풀 #비유 #인생 #삶 #사람"
* 庶祖母(서조모)*: 할*아버지*의 첩.

"* 趨炎附熱(추염부열)*: 따뜻한 것을 좇는다는 뜻으로, *권세* 있는 사람에게 아부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비위 #불꽃 #*권세* #부귀 #아부 #사람"
"* 絶弦(절현)*: 절현(絶絃). (1) (현악기(絃樂器)의)줄을 끊음, 또는 그 끊어진 줄 (2) (중국(中國)에서 금(琴)의 명수
백아(伯牙)가 자기(自己) 금의 소리를 알아 준 종자기(鍾子期)가 죽은 후(後)에는 줄을 끊고 그 후(後) 다시는 타지 않았다는
옛일에서 나온 말)자기(自己)의 속마음을 알뜰하게 알아 주던 *친구*(親舊)가 죽음의 비유(比喩).
#말 #*친구* #죽음 #옛일 #금 #비유 #속마음 #소리 #중국 #백아 #백"
"* 舌芒于劍(설망우검)*: {세 치의}혀는 칼보다 날카롭다는 뜻으로, 논봉(論鋒)의 *기세*가 예리하고 날카로움을 비유하는 말.
#*기세* #예리 #칼 #비유 #혀"

"* 東西不變(동서불변)*: 동쪽과 서쪽을 분*별*(分別)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1) 안개 따위가 짙게 끼어서 주위(周圍)를
분간(分揀)하기 어려움 (2) 몽매(蒙昧)하여 아무 것도 모름을 이르는 말."
"* 花有重開日人無更少年(화유중개일인무갱소년)*: *꽃*은 다시 피는 날이 있으나, 사람은 다시 젊은 날은 없음.
#사람 #*꽃*"
"* 衆怒難犯(중노난범)*: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대중 #분노 #어려움 #노여움 #군중 #사람"
"* 決死報國(결사보국)*: 죽기를 각오하고 있는 힘을 다하여 *나라*의 은혜에 보답함.
#보답 #죽음 #*나라* #결정 #각오 #힘 #은혜"
"* 兩得(양득)*: (1)‘양득’의 북한어. (2)장기에서, 자기 말 하나를 죽이고 상대의 말 둘을 잡음. 또는 그런 수. (3)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을 얻음."
* 虎牙鷹爪(호아응조)*: 호랑이의 어금니와 매의 발톱이라는 뜻으로, 자신이 지닌 가장 *의지*할 수 있는 이로운 도구라는 의미.
"* 言者不知(언자부지)*: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안다고 자처하며 지껄이는 자는 사실상 알지 못한다는 도가(道家)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이치를 깨우치는 노자(老子)의 말.
#말 #이치 #사실 #자연 #노자"
"* 乳臭未干(유취미간)*: 젖 냄새가 아직 *가시*지 않았다는 뜻으로, 나이가 적어 무슨 일에 경험이 적고 미숙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
#일 #젖 #비유 #나이 #미숙 #경험 #냄새 #사람"
"* 倚門而望(의문이망)*: *어머니*가 대문에 기대어 서서 자식이 돌아오기를 기다림. 또는 그런 *어머니*의 마음.
#자식 #마음 #*어머니* #부모 #자녀 #외지 #대문"
"* 動彈不得(동탄부득)*: 곤란한 *지경*에 빠져서 꼼짝할 수가 없음.
#곤란 #*지경* #꼼짝"
* 東敗西喪(동패서상)*: 동쪽에서 패하고 서쪽에서 잃는다는 뜻으로, *여기*저기 가는 곳마다 실패하거나 망함을 이르는 말.
"* 各樣各色(각양각색)*: 각기 다른 여러 가지 모양과 *빛깔*.
#의미 #각각 #*빛깔* #모양"
"* 席卷之勢(석권지세)*: 돗자리를 마는 *기세*라는 뜻으로, 세력이 빠르고 거침없이 휩쓸어 나가는 *기세*를 이르는 말.
#말 #*기세* #준말 #의미 #세력 #자리 #형세"
"* 再三再四(재삼재사)*: 여러 번 되*풀*이하여.
#의미 #되*풀*이"
"* 三不去(삼불거)*: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 賢母(현모)*: 어진 *어머니*.
#*어머니*"
"* 白龍魚服(백룡어복)*: (1)흰 용이 물고기의 옷을 입었다는 뜻으로, 신분이 높고 귀한 사람이 남 모르게 나다님을 이르는 말.
(2)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남모르게 나다니다가 뜻하지 않게 욕을 봄을 이르는 말. 신령스러운 흰 용이 물고기로 변하여 다니다가
어부의 그물에 잡혔다는 데서 유래한다."
"* 破家縣令(파가현령)*: 집안을 부수는 현령이라는 뜻으로, 백성들에게 가렴주구(苛斂誅求)의 횡포를 부리는 지방 *관리*를 이르는 말.
#백성 #횡포 #지방 #*관리* #집안 #백성들 #부수"
* 半死半生(반사반생)*: 거의 죽게 되어 죽을지 살지 모를 *지경*에 이름.
"* 乞兒得錦(걸아득금)*: 거지애가 비단(緋緞)을 얻었다는 뜻으로, 제 *분수*(分數)에 넘치는 일을 지나치게 자랑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일 #*분수* #비유 #자랑함 #자랑"
"* 富貴榮華(부귀영화)*: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귀하게 되어서 세상에 드러나 온갖 영광을 누림.
#신분 #재산 #*영화* #의미 #부귀 #지위 #자신 #귀 #세상"
"* 群鷄一鶴(군계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 草廬三顧(초려삼고)*: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 剛腸(강장)*: 굳센 창자라는 뜻으로, 굳세고 굽히지 않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忽如鳥過目(홀여조과목)*: 홀연히 *새*가 눈앞을 지나가는 것 같다는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萬人周知(만인주지)*: 모든 *사람*이 두루 앎.
"* 枯木生花(고목생화)*: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 白身(백신)*: (1)탕건(宕巾)을 쓰지 못하였다는 뜻으로, 지체는 높으나 벼슬하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던 말. (2)소나
개, *돼지* 따위를 잡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일 #버들 #탕건 #옛날 #직업 #벼슬 #지체 #따위 #사람"
* 意氣揚揚(의기양양)*: 뜻한 바를 이루어 만족한 마음이 얼굴에 나타난 *모양*.
선물
* 喋喋喃喃(첩첩남남)*: 작은 목소리로 즐겁게 이야기를 주고받는 모습이나 *남*녀(男女)가 정답게 속삭이는 모습.
"* 朝三暮四(조삼모사)*: (1)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저공(狙公)의 고사로,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들이 적다고 화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2)‘생계’의 북한어.
#원숭이 #간사 #아침 #모름 #말 #*꾀* #화 #눈앞 #비유 #먹이 #저녁 #중국 #고사 #당장 #차별 #생계 #유래 #송나라 #결과"
가모
* 弊衣破冠(폐의파관)*: 헤진 도포와 부서진 삿갓이라는 뜻으로, 너절하고 구차한 차림*새*를 이르는 말.
* 愛憎厚薄(애증후박)*: *사랑*과 미움과 후함과 박함.
* 四大六身(사대육신)*: 두 팔, 두 다리, *머리*, 몸뚱이라는 뜻으로, 온몸을 이르는 말.
* 來人去客(내인거객)*: (1)‘내인거객’의 북한어. (2)오는 사람과 가는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 珊瑚婚式(산호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3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산호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풍속 #의식 #*부부* #기념"
"* 竊鈇之疑(절부지의)*: 공연한 혐의를 이르는 말. 도끼를 훔쳐 갔다고 의심받은 사람의 행동이나 말이 모두 틀림없이 훔쳐 간 것처럼
보였으나, 다른 데서 그 도끼가 발견되어 누명을 벗은 후에는 그렇게 보이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南倭北虜(남왜북로)*: *중국*에서, 15세기에서 16세기까지 명(明)나라를 괴롭히던 남쪽의 왜구(倭寇)와 북쪽의 몽고 여러 부족을
아울러 이르던 말."
* 輕薄浮虛(경박부허)*: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신중하지 못하고 가벼움.
* 溫故知新(온고지신)*: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 擧放錢債(거방전채)*: *조선* 시대에, 벼슬아치가 그의 관내 주민에게 이자를 받고 돈을 꾸어 주던 일.
#일 #돈 #시대 #때 #주민 #벼슬아치 #*조선*"
"* 學貫天人(학관천인)*: 학문이 하늘과 사람을 꿰뚫었다는 뜻으로, 학문을 하여 하늘의 이치와 사람의 도리를 꿰뚫을 *정도*로 정통함을
이르는 말."
"* 滄桑之變(창상지변)*: 푸른 바다가 뽕밭으로 바뀌는 *변화*라는 뜻으로, 자연이나 사회에 심한 *변화*가 일어남. 또는 그 일어난
*변화*를 이르는 말. 당나라 시인 유정지(劉廷芝)의 이라는 시에서 유래하였다.
#뽕밭 #당나라 #뽕나무 #밭 #비유 #무상 #시인 #시절 #자연 #세상 #대비 #사회 #유래 #변천 #*변화*"
* 銘肌鏤骨(명기누골)*: 살갗에 새기고 뼈에 새긴다는 뜻으로, 마음에 *깊이* 새겨 잊지 않음을 이르는 말.
"* 山林門下(산림문하)*: 학덕은 높으나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산속에 숨어 사는 *선비*의 제자.
#산속 #학덕 #제자 #벼슬 #*선비*"
"* 咳唾成珠(해타성주)*: 기침과 침이 다 구슬이 된다는 뜻으로, 권세가(權勢家)를 *형용*하거나 일언일구(一言一句)가 다 귀중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혹은 시문(詩文)의 재주가 뛰어남을 *형용*하기도 함. 〔= 月章星句(월장성구)〕.
#일 #재주 #구슬 #귀중 #*형용* #권세 #사용 #비유 #의미 #침 #시문"
* 萬有一體(만유일체)*: 우주의 온갖 것은 한 *몸*임.
"* 牛刀割鷄(우도할계)*: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재능 #과장 #칼 #*표현* #비유 #닭 #따위 #도구"
"*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 #여옹 #산 #귀 #인생 #공명 #비유 #노생 #유래 #도사 #*주인* #소년 #누리 #쓰임 #부귀영화 #베개 #80세 #꿈 #영화 #부귀 #잠"
* 難言之地(난언지지)*: 밝혀 말하기 어려운 경우나 *처지*.
"* 借風使船(차풍사선)*: 바람을 빌려 배를 부린다는 뜻으로, 돈을 빌려 *임시*변통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배 #이익 #바람 #돈 #*임시*변통 #표현 #꾀 #의미 #*임시* #변통 #힘"
"* 山呼萬歲(산호만세)*: 나라의 중요 의식에서 신하들이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하여 두 손을 치켜들고 만세를 부르던 일. *중국*
한나라 무제가 쑹산산(嵩山山)에서 제사 지낼 때 신민(臣民)들이 만세를 삼창한 데서 유래한다."
"* 兩虎共鬪(량호공투)*: (1)두 마리의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힘이 센 두 편이 맞붙어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양호공투’의 북한어.
#일 #*다툼* #범 #마리 #힘"
* 百藥無效(백약무효)*: 온갖 약이 효과가 없다는 뜻으로, 온갖 약을 써도 효력이 없는 것처럼 해결이 난감한 *상황*을 이르는 말.
"* 奴主之分(노주지분)*: 종과 *주인*의 나뉨이라는 뜻으로, 매우 거리가 있어 바뀌어 설 수 없는 대인 관계를 이르는 말.
#*주인* #상전 #이름 #관계 #거리"
아내
"* 隻愛獨樂(척애독락)*: 혼자서만 *사랑*하고 혼자서만 즐긴다는 뜻으로, 상대편에서는 아무런 반응도 없는데 이쪽에서만 혼자 마음 씀을
이르는 말."
* 不恥下問(불치하문)*: 손아랫사람이나 지위나 학식이 *자기*만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일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함.
* 天無淫雨(천무음우)*: 하늘에서 궂은비가 내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태평한 *나라*나 태평한 시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象牙塔(상아탑)*: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上下撑石(상하탱석)*: 윗돌 빼서 아랫돌 괴고, 아랫돌 빼서 윗돌을 괸다는 뜻으로, 몹시 꼬이는 일을 당(當)하여 *임시*변통(臨時變通)으로
이리저리 맞추어 나감을 이르는 말.
#일 #*임시*변통 #윗돌 #*임시* #변통 #아랫돌"
* 天光之貴(천광지귀)*: *하늘*에서 빛나는 것 가운데 가장 귀한 것이라는 뜻으로, ‘태양’을 이르는 말.
"* 靑出於藍而靑於藍(청출어람이청어람)*: 푸른 색이 쪽에서 나왔으나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弟子)가 *스승*보다 나은 것을
비유(比喩)하는 말."
"* 東家食西家宿(동가식서가숙)*: *동쪽* 집에서 밥 먹고 서쪽 집에서 잠잔다는 뜻으로, 일정한 거처가 없이 떠돌아다니며 지냄을 이르는
말. 나중에는 자기의 잇속을 차리기 위하여 지조 없이 여기저기 빌붙어 사는 행태를 이르게 되었다."
"* 晴雲秋月(청운추월)*: 갠 하늘의 구름과 *가을*의 달이라는 뜻으로, 가슴 속이 맑고 깨끗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달 #마음 #비유 #구름 #하늘 #깨끗 #*가을* #가슴"
* 綠水鷗前鏡靑松鶴後屛(녹수구전경청송학후병)*: 푸른 물은 갈매기 앞의 거울이요, 푸른 소나무는 *학* 뒤의 병풍(屛風)임.
* 同心之言(동심지언)*: 마음을 합친 말이라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합치시킨 사람들의 언행은 그 향기가 난초와도 같다는 의미.
"* 量體裁衣(양체재의)*: 몸에 맞게 옷을 고친다는 뜻으로, 일의 처한 *형편*(形便)에 따라 적합(適合)하게 일을 처리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몸 #일 #옷 #*형편* #처리 #적합"
"* 葉錢(엽전)*: (1)예전에 사용하던, 놋쇠로 만든 돈. 둥글고 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다. 고려 시대의
삼한중보ㆍ삼한통보ㆍ동국중보ㆍ해동중보 따위와, 조선 시대의 조선통보ㆍ상평통보ㆍ당백전ㆍ당오전 따위를 들 수 있다. (2)우리*나라* 사람이
스스로를 낮잡아 이르는 말. (3)소나 말 같은 길짐승의 머리 앞부분에 장식으로 다는 둥글넓적한 금속.
#부분 #시대 #때 #장식 #옛날 #낮 #스스로 #길짐승 #돈 #고려 #앞 #머리 #쇠 #가운데 #예전 #낮잡 #사람 #우리 #구멍 #우리*나라* #따위 #말 #사용 #*나라* #
대의 #조선"
"* 知音(지음)*: (1)새나 짐승의 울음을 가려 잘 알아들음. (2)음악의 곡조를 잘 앎. (3)마음이 서로 통하는 친한 벗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거문고의 명인 백아가 자기의 소리를 잘 이해해 준 벗 종자기가 죽자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고 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에 나오는 말이다. (4)작품을 바르게 느끼고 평가함.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문학 평론(文學評論)에 해당하는 제48장의 제목이다. 문학 작품을 어떻게 감상하고 비평할 것인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협은
작품을 평가할 때에는 현재를 경시하는 *태도*, 타인을 경멸하는 *태도*, 진실을 왜곡하는 현상, 편견, 부정확한 평가 따위를 특별히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天尊地卑(천존지비)*: 하늘을 존중하고 *땅*을 천시한다는 뜻으로, 윗사람만 받들고 아랫사람은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비천 #아랫사람 #윗사람 #*땅* #존귀 #천하 #의미 #하늘 #존중"
"* 蝨處頭而黑(슬처두이흑)*: 흰 이도 머리 속에 있으면 검다는 뜻으로, *사람*도 사귀는 *사람*에 따라 성질이 달라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先妣(선비)*: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어머니* #세상"
"* 沸聲如雷(비성여뢰)*: 시끄럽게 떠드는 소리가 마치 우레와 같다는 뜻으로, 사람의 울부짖는 소리가 우레와 같이 심하듯이 *전쟁*의
참상을 비유하는 말.
#우레 #*전쟁* #비유 #소리 #사람"
"* 花無十日紅(화무십일홍)*: 열흘 동안 *붉은* 꽃은 없다는 뜻으로, 한 번 성한 것이 얼마 못 가서 반드시 쇠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성 #권세 #열흘 #비유 #꽃 #영화 #부귀영화 #부귀 #쇠 #세력 #동안 #얼마"
* 北風寒雪(북풍한설)*: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차가운 눈.
* 男尊女卑(남존여비)*: (1)‘남존여비’의 북한어. (2)남자는 지위가 높고 귀하며, 여자는 지위가 낮고 천하다고 *여기*는 일.
"* 背水陣(배수진)*: (1)강이나 바다를 등지고 치는 진. 중국 한(漢)*나라*의 한신이 강을 등지고 진을 쳐서 병사들이 물러서지
못하고 힘을 다하여 싸우도록 하여 조(趙)*나라*의 군사를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어떤 일을 성취하기 위하여 더 이상 물러설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衣冠禽獸(의관금수)*: 의관을 갖춘 *짐승*이라는 뜻으로, 횡포하고 무례한 관리를 비난하는 말이나, 무지막지하고 덕행이 없는 사람을
욕하여 이르는 말로 사용됨.
#말 #횡포 #덕행 #의관 #사용 #관리 #비난 #욕 #*짐승* #무례 #사람"
"* 佩韋佩弦(패위패현)*: 가죽을 차고 활시위를 찬다는 뜻으로, 성질이 급한 사람은 부드러운 가죽을 차고, 성질이 느린 사람은 팽팽한
활시위를 차서 스스로 反省(반성)하고 修養(*수양*)함.
#차고 #성질 #반성 #*수양* #가죽 #사람"
"* 尾生之信(미생지신)*: 우직하여 융통성이 없이 약속만을 굳게 지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미생(尾生)이라는 자가
다리 밑에서 만나자고 한 여자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하여 홍수에도 피하지 않고 기다리다가 마침내 익사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지킴 #여자 #말 #춘추 #미생 #시대 #융통성 #약속 #미련 #소진 #홍수 #나라 #중국 #다리 #고사 #유래 #신의 #사람"
"* 反哺之孝(반포지효)*: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孝)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를 갚는 효성을 이르는 말.
#자식 #봉양 #*새끼* #효성 #까마귀 #비유 #먹이 #어미 #어버이 #부모 #갚음 #은혜"
"* 同床各夢(동상각몽)*: 같은 침상(寢床)에서 서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1) 겉으로는 같이 행동(行動)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 생각을 함을 이르는 말 (2) 비유적(比喩的)으로, 같은 입장(立場)ㆍ일인 데도 목표(目標)가 저마다 다름을 일컫는 말(3)
기거(起居)를 함께 하면서 서로 다른 생각을 함.
#일 #말 #기거 #*꿈* #목표 #생각 #비유 #겉 #행동 #입장"
"* 月旦評(월단평)*: 사람에 *대한* 평(評). 중국 후한(後漢) 때에 허소(許劭)라는 사람이 매월 초하루마다 마을 사람들의 인물을
평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후한 #초하루 #때 #인물 #첫날 #중국 #비평 #유래 #마을 #사람"
"* 急難之風(급난지풍)*: 남이 어려운 일에 처했을 때 구해 주는 의로운 *태도*.
#일 #어려움 #때 #상황 #기풍 #의미 #구원 #*태도* #위급"
* 父子有親(부자유친)*: 오륜(五倫)의 *하나*.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 飛沙走石(비사주석)*: 모래가 날리고 돌멩이가 구른다는 뜻으로, *바람*이 세차게 붊을 이르는 말.
"* 堅甲利兵(견갑이병)*: (1)‘견갑이병’의 북한어. (2)*튼튼*한 갑옷과 날카로운 무기를 갖춘 군사.
#군사 #견고 #강 #*튼튼* #갑옷 #군대"
"* 剝面皮(박면피)*: (1) 낯가죽을 *벗*김 (2) 낯가죽이 두꺼운 자를 욕보임.
#낯 #가죽 #낯가죽"
"* 巫山之夢(무산지몽)*: 무산(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낮잠 #남녀 #미인 #말 #왕 #양 #유래 #초나라 #꿈 #사용 #의미 #꿈속 #중국 #즐거움 #무산 #침 #*고사* #산 #남녀간 #정교"
* 便同一室(변동일실)*: *사이*가 아주 가까워 한 가족 같음.
"* 山中宰相(산중재상)*: 산중에 은거하면서 나라에 중대한 일이 있을 때만 나와 일을 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양(梁)나라의 도홍경이 산속에 살면서 나라에 대사(大事)가 있을 때는 늘 참여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산중 #중대 #은거 #양 #산속 #참여 #유래 #때 #나라 #중국 #산 #사람"
"* 頓悟漸修(돈오점수)*: 고려 시대에, 지눌이 주장한 *불교*의 선(禪) 수행 방법. 무인 정권 시기에 *불교* 교단을 개혁하기
위하여 주장한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부처가 되려면 진심을 깨닫고,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점진적 #지눌 #시대 #이전 #*불교* #정권 #고려 #불 #진심 #사상 #수행 #가운데 #불가 #과정 #국사 #선 #부처 #방법 #깨달음 #의미 #주장 #강조 #개혁"
"* 彼一時此一時(피일시차일시)*: 그때는 그때이고 지금은 지금이다라는 뜻으로, 저때 한 *일*과 이때 한 *일*이 서로 사정이 다름을
이르는 말."
* 一日三秋(일일삼추)*: 하루가 삼 년 같다는 뜻으로, 몹시 애태우며 기다림을 이르는 말.
* 女尊男卑(녀존남비)*: (1)사회적 *지위*나 권리에 있어 여자를 남자보다 우대하고 존중하는 일. (2)‘여존남비’의 북한어.
"* 毫末爲丘山(호말위구산)*: 터럭 끝이 언덕 *산*이 된다는 뜻으로, 지극히 작은 것도 쌓이면 *산*도 될 수 있다는 의미.
#터럭 #끝 #언덕 #의미 #*산*"
"* 白飯靑蒭(백반청추)*: 종에게 흰 밥을 주고 말에게 싱싱한 풀을 준다는 뜻으로, 주인(主人)의 *인심*(人心)이 넉넉하여 남을
후대(厚待)함을 이르는 말.
#주인 #말 #싱싱 #후대 #밥 #넉넉 #*인심*"
* 父主前(부주전)*: *아버지*에게 쓰는 편지에서, ‘*아버지*께’의 뜻으로 쓰는 말.
* 山外山不盡路中路無窮(산외산부진로중로무궁)*: *산* 밖에 *산*이 다함이 없고, 길 가운데에 길이 다함이 없음.
"* 白雲(백운)*: (1)절의 큰방 윗목 벽에 써 붙여서 손님의 자리를 *알*게 하는 문자. 오고 가고 한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이다.
(2)색깔이 흰 구름."
* 雲散鳥沒(운산조몰)*: *구름*처럼 흩어지고 새처럼 사라진다는 뜻으로, 종적이 없어짐을 이르는 말.
* 山珍海味(산진해미)*: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 奸臣賊子(간신적자)*: 간사한 신하와 부모를 거스르는 *자식*.
#*자식* #신하 #거역 #부모 #간사"
"* 都邑華夏(도읍화하)*: 도읍(都邑)은 *왕*성(王城)의 지위(地位)를 말한 것이고, 화하(華夏)는 당시(當時) 중국(中國)을
지칭(指稱)하던 말임."
"* 高談雄辯(고담웅변)*: 도도하게 거리낌 없이 *의논*함.
#거리낌 #*의논* #물"
"* 雲雨之情(운우지정)*: 구름 또는 비와 나누는 정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회왕(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이 떠나면서 자기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아침 #남녀 #아래 #왕 #초나라 #잠자리 #사용 #부인 #의미 #꿈속 #구름 #*저녁* #중국 #본래 #고사 #유래 #정교"
"* 肥馬輕裘(비마경구)*: 살진 말과 가벼운 가죽옷이라는 뜻으로, *부귀*한 사람들의 나들이 차림새를 이르는 말.
#옷 #말 #갖옷 #때 #*부귀* #가죽옷 #가죽 #차림새 #사람"
"* 天賦人權(천부인권)*: *자연*법에 의하여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권리. 자기 보존이나 자기 방위의 권리, 자유나 평등의
권리 따위가 있다."
"* 山東出相山西出將(산동출상산서출장)*: 산동(山東)에서는 재상(宰相)이 나고 산서(山西)에서는 장수(將帥)가 난다는 말로, 곳에 따라
다른 *인재*(人才)가 난다는 뜻."
"* 邯鄲之步(한단지보)*: 함부로 자기 본분을 버리고 남의 행위를 따라 하면 두 가지 모두 잃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어떤 사람이
한단이란 도시에 가서 그곳의 *걸음*걸이를 배우려다 미처 배우지 못하고, 본래의 *걸음*걸이도 잊어버려 기어서 돌아왔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의 ≪추수(秋水)≫에서 나온 말이다.
#말 #흉내 #행위 #그곳 #분수 #도시 #유래 #한단 #장자 #비유 #시골 #본분 #본래 #고사 #예전 #*걸음*걸이 #사람"
* 鐵甕城(철옹성)*: 쇠로 만든 독처럼 튼튼하게 둘러쌓은 산성이라는 뜻으로, 방비나 단결 따위가 견고한 사물이나 *상태*를 이르는 말.
방울
"* 一朝之患(일조지환)*: 어느 한때의 *근심*이나 재앙.
#아침 #때 #재앙 #하루아침 #*근심* #하루 #한때"
"* 楚歌(초가)*: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롭고 곤란한 *지경*에 빠진 형편을 이르는 말. 초나라 항우가 사면을 둘러싼
한나라 군사 쪽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랫소리를 듣고 초나라 군사가 이미 항복한 줄 알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항우 #사면 #항복 #도움 #말 #군사 #노래 #초가 #유래 #초나라 #나라 #노랫소리 #*지경* #형편 #한나라 #쪽 #곤란"
* 諸說紛紛(제설분분)*: 여러 *가지* 의견(意見)이 뒤섞여 혼란(混亂)함.
"* 脣腐齒落(순부치락)*: *입술*이 썩고 이가 빠진다는 뜻으로, 너무 많이 읽어 *입술*과 이가 다 상하듯이 몇 번이고 되풀이하여
읊고 읽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입술* #일 #비유 #되풀이"
* 遐邇壹體(하이일체)*: 멀고 가까운 *나라*가 전부(全部) 그 덕망(德望)에 귀순(歸順)케 하며 일체(一體)가 될 수 있음.
"* 放蕩無賴(방탕무뢰)*: 술과 *여자*(女子)에 빠져 일은 하지 아니하고 불량(不良)한 짓만 함.
#일 #술 #*여자*"
"* 亡羊(망양)*: (1)독서를 하다가 양을 잃고 노름을 하다가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하는 일은 달라도 한 가지 일에 전념하지
아니하고 이것저것 하면 실패함을 이르는 말. ≪*장자*≫ 에 나오는 말이다. (2)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에 나오는 말이다.
#일 #갈래 #말 #전념 #학문 #양 #실패함 #어려움 #실패 #진리 #독서 #*장자* #길 #갈림길 #길이 #노름 #유래 #학"
"* 伏幸(복행)*: 주로 편지글에서, 자신의 다행함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겸손* #낮춤 #자신"
"* 螳螂拒轍(당랑거철)*: 제 역량을 생각하지 않고, 강한 상대나 되지 않을 일에 덤벼드는 무모한 행동거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 장공(莊公)이 사냥을 나가는데 사마귀가 앞발을 들고 수레*바퀴*를 멈추려 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장자≫의 에 나오는
말이다.
#생각 #무모 #사마귀 #일 #강 #용맹 #강자 #비유 #역량 #사냥 #힘 #유래 #대항 #인간 #수레 #상대 #제나라 #말 #수레*바퀴* #약자 #나라 #장자 #의미 #중국"
공자
"* 鼻祖(비조)*: (1)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2)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3)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사물 #일 #바탕 #중요 #*학문* #나중 #때 #겨레 #시작 #의미 #시초 #코 #세상 #기술 #태아 #처음 #조상 #형상 #따위 #사람"
* 泡沫夢幻(포말몽환)*: 물 위에 뜨는 거품과 *꿈*이라는 뜻으로, 삶의 덧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鐘鳴漏盡(종명누진)*: 때를 알리는 종이 울리고 물시계의 물이 다한다는 뜻으로, 깊은 *밤*이나 늙고 병든 늙바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仰事俯畜(앙사부휵)*: 우러러 섬기고 굽어서 기른다는 뜻으로, 위로는 부모를 봉양하고 아래로는 처*자식*을 기른다는 의미.
* 似蘭斯馨(사란사형)*: 난초(蘭草)같이 *꽃*다우니 군자(君子)의 지조(志操)를 비유(比喩)한 것임.
"* 四海兄弟(사해형제)*: 온 세상 사람이 모두 *형제*와 같다는 뜻으로, 친밀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에서 사해 안에 있는 사람을
모두 *형제*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말 #뭇사람들 #사람 #친밀함 #뭇사람 #천하 #*형제* #친밀 #天下 #모두 #유래 #세상"
"* 陶者用缺盆(도자용결분)*: 도공(陶工)은 깨진 동이만 사*용*(使用)한다는 뜻으로, 남을 위(爲)해서는 하지만 자기(自己)를
위(爲)해서는 하지 못함을 두고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見利思義(견리사의)*: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리를 먼저 생각함.
"* 釜中之魚(부중지어)*: 솥 안에 든 물고기라는 뜻으로, 앞으로 오래지 않아 곧 죽게될 *목숨*이 위태로운 상태를 비유하거나, 닥칠
위험을 모르고 방탕에 빠진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방탕 #말 #생명 #앞 #위험 #사용 #비유 #*목숨* #솥 #상태 #사람"
"* 千里一跳(천리일도)*: 큰 새가 단번에 천 리를 난다는 뜻으로, 먼 길을 짧은 시간(時間)에 가거나 갑*자기* 성공(成功)함을
이르는 말."
"* 敬復(경복)*: 경복(敬覆). 공경(恭敬)하여 삼가 답장(答狀)한다는 뜻으로, 주(主)로 한문투(漢文-)의 회답(回答) 편지(便紙)
첫*머리*에 쓰는 말.
#말 #답장 #한문투 #공경 #경복 #회답 #첫*머리*"
"* 春山如笑(춘산여소)*: 봄철의 *산*이 온자(蘊藉)함을 이르는 말.
#*산* #봄철"
"* 自屎不覺臭(자시불각취)*: 제 똥은 냄*새*를 깨닫지 못한다는 뜻으로, 제 똥 구린지 모르는 것처럼 제 결점을 알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枕戈待旦(침과대단)*: 전투태세를 철저히 갖춘 군인의 자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장수* 유곤이 매일 창을 베개 삼아
잠을 자고 아침을 기다리면서 적을 물리칠 태세를 준비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 輔車(보거)*: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라는 뜻으로, 뗄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이르는 말.
#방 #*수레*바퀴 #나무 #바퀴 #관계 #*수레* #정도"
"* 濫竽(남우)*: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天知地知汝知我知(천지지지여지아지)*: 하늘이 *알*고, 땅이 *알*며, 자네가 *알*고, 내가 안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에
비밀(秘密)이란 있을 수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松竹梅(송죽매)*: 소*나무*와 대*나무*와 매화*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예로부터 세한삼우라고 하여 시나 그림의 소재로 많이
삼아 왔다."
"* 爪角(조각)*: 짐승의 발톱과 뿔이라는 뜻으로, 자신을 적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호 #발톱 #비유 #*물건* #자신 #짐승 #뿔"
* 東走西奔(동주서분)*: 동*쪽*으로 뛰고 서*쪽*으로 뛴다는 뜻으로, 사방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 割肉去皮(할육거피)*: *짐승*을 잡아서 가죽을 벗기고 살을 베어 냄.
#가죽 #*짐승* #베어"
"* 變易生死(변역생사)*: 보살이 삼계(三界)의 윤회를 떠난 뒤 성불하기까지 그 원력(願力)에 의하여 현세에 나타나서 일부러 받는
*생사*. 미계(迷界)와 오계(悟界)의 경계를 지나가는 상태를 이른다.
#몸 #성불 #보살 #삼계 #윤회 #*생사* #경계 #밖 #현세 #상태"
"* 鶴企(학기)*: 학처럼 고개를 길게 빼고 바라본다는 뜻으로, 어떠한 것을 *간절*히 바라는 일을 이르는 말.
#일 #바람 #*간절* #고개 #학"
"* 嘗膽(상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일 #구천 #다짐 #*춘추* #쓸개 #왕 #복수 #시대 #원수 #준말 #나라 #중국 #괴로움 #유래 #오나라 #월나라"
"* 最後一刻(최후일각)*: *마지막* 순간.
#순간 #*마지막*"
"* 大海一粟(대해일속)*: 큰 바닷속의 좁*쌀* 한 알이라는 뜻으로, ‘창해일속’을 달리 이르는 말.
#일 #좁*쌀* #작음 #존재 #바닷속 #창 #비유 #사람"
"* 寸草春暉(촌초춘휘)*: 작은 풀과 봄볕이라는 뜻으로, 봄철의 작은 풀이 봄 햇살에 무럭무럭 자랄 수 있듯이 부모의 은혜는 만분의
하나라도 갚기가 어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寸草’는 봄풀로 자식의 *효*심을, ‘春暉’는 봄볕으로 부모의 은혜를 비유."
"* 大覺世尊(대각세존)*: 도를 크게 깨달아 세상에서 높이 숭배를 받는 이라는 뜻으로, ‘*부처*’를 높여 이르는 말.
#*부처* #숭배 #높이 #세상"
"* 冬至(동지)*: 이십사절기의 하나.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동지점을 통과하는 때인 12월 22일이나
23일경이다. 북반구에서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 동지에는 음기가 극성한 *가운데* 양기가 새로 생겨나는 때이므로
일 년의 시작으로 간주한다. 이날 각 가정에서는 팥죽을 쑤어 먹으며 관상감에서는 달력을 만들어 벼슬아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 天道至則反(천도지즉반)*: 사물(事物)이 그 극에 이르면 *도리*어 그 반대(反對)로 됨을 이르는 말.
"* 大樹將軍(대수장군)*: ‘*장군*’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광무제의 *장군* 풍이(風異)가 겸손하여 공을 논하지 않고 늘 큰
나무 밑에 물러가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말 #나무 #*장군* #겸손 #중국 #수고 #매사 #풍 #고사 #유래 #광무제 #사람"
* 晝耕夜讀(주경야독)*: 낮에는 농사짓고, *밤*에는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꿋꿋이 공부함을 이르는 말.
* 奸臣賊子(간신적자)*: 간사한 신하와 *부모*를 거스르는 자식.
"* 假虎威狐(가호위호)*: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백성 #빌어 #말 #신하 #우화 #범 #위세 #여우 #권세 #약자 #강자 #비유 #세력 #*짐승* #군주"
"* 頂門眼(정문안)*: 모든 사물의 이치를 환히 아는 *특별*한 안력(眼力). 본디 두 눈 외에 정수리에 있는 또 하나의 눈이라는
뜻이다.
#사물 #정수리 #사리 #눈 #보통 #이치 #*특별* #사람"
"* 不言之化(불언지화)*: 말하지 않는 교화(敎化)라는 뜻으로, 말로 하지 않고 *자연*히 德(덕)으로 주는 感化(감화)의 의미.
#의미 #감화 #말 #교화"
"* 類類相從(유유상종)*: (1)‘*유유*상종’의 북한어. (2)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왕래 #종류 #의미 #동아리 #무리"
"* 極口辨明(극구변명)*: 말을 다하여 분명하게 *분별*한다는 뜻으로, 온갖 말을 다하여 자기의 잘못이 없음을 변명함.
#말 #잘못 #분명 #변명 #*분별*"
"* 皮骨相接(피골상접)*: 살*가죽*과 뼈가 맞붙을 정도로 몹시 마름.
#몸 #뼈 #정도 #살갗"
* 薄物細故(박물세고)*: 아주 자질구레하고 변변하지 못한 *사물*.
"* 松菊主人(송국주인)*: *소나무*와 국화의 주인이라는 뜻으로, 자연 속에 은둔(隱遁)하고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
#주인 #국화 #자연 #*소나무* #사람"
* 感之德之(감지덕지)*: 분에 넘치는 듯싶어 매우 고맙게 *여기*는 모양.
"* 有志之士(유지지사)*: 어떤 일에 뜻이 있거나 관심이 있는 사람.
#일 #한탄 #관심 #근심 #선비 #사람"
"* 天時不如地利(천시불여지리)*: 하늘의 때는 자리만 같지 못하다는 뜻으로, *전쟁*(戰爭)을 함에 있어 설사(泄瀉) 때가
아군(我軍)에 유리(有利)하다 할지라도 적이 이편보다 유리(有利)한 지형(地形)을 차지하고 있으면 승리(勝利)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차지 #승리 #때 #*전쟁* #지형 #하늘 #아군 #자리 #유리"
"* 末流之弊(말류지폐)*: 내려오던 끝판이나, 잘해 나가던 일의 마지막에 생기는 폐단.
#폐단 #일 #마지막"
"* 好家居(호가거)*: *집안*에 머무르는 것이 좋다는 뜻으로, 덕이 부족한 어린 나이로 벼슬길에 나아감은 화(禍)를 부르기 때문에
*집안*에 있으면서 덕을 잘 닦으라는 말."
"* 拔群(발군)*: 여럿 *가운데*에서 특별히 뛰어남.
#여럿 #*가운데* #특별"
"* 踐土會盟(천토회맹)*: 진(晉)나라 문공(文公)이 제후(諸侯)를 천토(踐土)에 모아, 주(周)나라의 *천자*(天子)를
공경(恭敬)하고 조공(朝貢)할 것을 맹세(盟誓)함.
#모아 #제후 #나라 #공경 #맹세 #*천자*"
"* 厚往薄來(후왕박래)*: 갈 때는 후하게 하고, 올 때는 박하게 한다는 뜻으로, 과거 왕이 제후에게 돌아갈 때는 후하게 선물을
내리고, 조회를 올 때는 공물을 적게 바치게 함으로써 제후나 신하를 회유(懷柔)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회유 #신하 #왕 #선물 #제후 #때 #*방법* #과거"
"* 無邊世界(무변세계)*: 끝없이 넓고 큰 *세계*.
#*세계*"
"* 矛盾(모순)*: (1)어떤 사실의 앞뒤, 또는 두 사실이 이치상 어긋나서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상인이 창과
방패를 팔면서 창은 어떤 방패로도 막지 못하는 창이라 하고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지 못하는 방패라 하여, 앞뒤가 맞지 않은 말을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2)두 가지의 판단, 사태 따위가 양립하지 못하고 서로 배척하는 상태. 두 판단이 중간에 존재하는 것이 없이
대립하여 양립하지 못하는 관계로, 이를테면 ‘고양이는 동물이지만 동물이 아니다.’ 따위이다. (3)투쟁 관계에 있는 두 대립물이
공존하면서 맺는 상호 관계. 논리적 모순과 변증법적 모순이 있는데, 논리적 모순이 사유의 영역에만 존재하는 데 비해 변증법적 모순은
사물, 체계 따위의 객관적 실재에 속하며 모든 운동과 *변화*, 발전의 근원이 된다. (4)2001년 류석훈이 발표한 안무 작품.
앵벌이 소년의 삶과 죽음을 통해 사회의 모순을 고발한 작품이다."
"* 天無私覆(천무사복)*: 천도(天道)는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는 말.
#공평 #천도"
"* 和氏之璧(화씨지벽)*: 화씨의 구슬이라는 뜻으로, 천하의 명옥(名玉)을 이르는 말. 초나라 화씨가 옥돌 원석을 여왕(厲王)에게
바쳤으나 돌로 판정되어 왼쪽 다리와 오른발을 잘려 사흘 밤낮을 운다는 소문을 문왕이 듣고 그 원석을 다듬게 하여 천하에 둘도 없는
보물이 된 데서 *유래*한다."
"* 蜀路(촉로)*: 촉(蜀)에 이르는 험난한 길이라는 뜻으로, 험난한 *세상*살이를 이르는 말.
#행 #나라 #길 #험난 #인생"
"* 禮別尊卑(예별존비)*: 예도(禮度)에 존비(尊卑)의 분별(分別)이 있으니 군신(君臣), 부자(父子), *부부*(夫婦),
장유(長幼), 붕우(朋友)의 차별(差別)이 있음."
"* 村學究(촌학구)*: (1)*시골* 글방의 스승. (2)학식이 좁고 고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표현 #지칭 #학식 #천박 #사용 #글방 #겸손 #스승 #*시골* #자신 #선생 #학 #사람"
* 冊床退物(책상퇴물)*: 책상 앞에 앉아 글공부만 하여 세상일을 잘 모르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惶恐無地(황공무지)*: *위엄*이나 지위 따위에 눌리어 두려워서 몸 둘 데가 없음.
#*위엄* #몸 #모름 #의미 #지위 #자리 #따위"
"* 北門之歎(북문지탄)*: 북문에서 한탄(恨歎)함이라는 뜻으로, 벼슬*자리*에 나가기는 했으나, 뜻대로 성공(成功)하지 못한 것을
한탄(恨歎)함."
"* 脅肩諂笑(협견첨소)*: 어깨를 옹송그리고 아첨하며 *웃음*.
#아첨 #비유 #모양 #아부 #*웃음*"
"* 結髮夫妻(결발부처)*: 귀밑머리를 *풀*어 쪽을 찌고 상투를 튼 부부(夫婦)라는 뜻으로, 정식(正式)으로 결혼(結婚)한
부부(夫婦)를 이르는 말."
결백
"* 祿不疊受(록불첩수)*: (1)두 가지 *벼슬*을 겸하는 사람이 양쪽의 녹을 겹쳐 받지 아니하고 한 *벼슬*의 녹만 받도록 하던
규정. (2)‘녹불첩수’의 북한어."
"* 以孝傷孝(이효상효)*: 효로써 효를 *상하*게 한다는 뜻으로, 효성이 지극한 나머지 어버이의 죽음을 너무 슬퍼하여 병이 나거나
죽음을 이르는 말.
#지극 #효성 #죽음 #병 #효도 #의미 #어버이 #부모"
"* 難行苦行(난행고행)*: (1)아주 심하게 고생함. (2)몹시 괴로운 *수행*.
#몸 #일 #마음 #행 #연마 #심신 #고생 #불도 #불 #사용 #의미 #고통 #*수행*"
"* 水到渠成(수도거성)*: 물이 흐르면 도랑이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학문*을 깊이 닦으면 저절로 도가 이루어진다는 의미나, 때가 되면
일이 저절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로 사용됨."
"* 西施捧心(서시봉심)*: 서시가 가슴을 움켜잡는다는 뜻으로, 가슴앓이를 견디기 어려워 가슴에 손을 대고 찌푸린 서시의 얼굴이 매우
아름다웠는데, 못난 *여자*가 따라해 사람들이 놀랐다는 고사에서, 주관 없이 맹목적으로 남을 따르는 잘못된 행위를 비판하는 의미로
사용됨."
* 此忘憂物(차망우물)*: 이것은 근심을 잊게 하는 *물건*이라는 뜻으로, 근심을 떨쳐버릴 수 있는 ‘술’을 이르는 말.
"* 桑戶(상호)*: 뽕나무로 만든 *지게*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집 #가난 #뽕나무"
"* 虎死留皮(호사유피)*: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은 죽어서 명예를 남겨야 함을 이르는 말.
#명예 #이름 #말 #범 #호랑이 #명성 #비유 #가죽 #사람"
"* 無腸公子(무장공자)*: (1)기개나 담력이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2)창자가 없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게’를 이르는
말.
#이름 #창자 #기력 #동물 #창 #사용 #담력 #기개 #*공자* #사람"
"* 讀書三到(독서삼도)*: *독서*를 하는 세 가지 방법. 입으로 다른 말을 아니 하고 책을 읽는 구도(口到), 눈으로 다른 것을 보지
않고 책만 잘 보는 안도(眼到), 마음속에 깊이 새기는 심도(心到)를 이른다.
#책 #마음속 #참뜻 #마음 #법 #말 #눈 #구도 #때 #*독서* #입 #의미 #숙독 #방법"
"* 孟軻敦素(맹가돈소)*: 맹자(孟子)는 그 모친(母親)의 교훈(敎訓)을 받아 자사(子思) 문하(門下)에서 배움.
#모친 #맹자 #교훈"
"* 執彈而招鳥(집탄이초조)*: 탄궁(彈弓)을 잡고 새를 부른다는 뜻으로, 목적을 달성하는데 상반되는 *수단*을 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궁 #새 #달성 #비유 #*수단* #목적"
"* 濫吹(남취)*: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무능 #일 #재능 #가장 #제나라 #실력 #유래 #때 #남곽 #불 #*도망* #옛일 #나라 #저서 #생황 #중국 #지위 #한때 #가운데 #사람"
"* 淸白吏(청백리)*: (1)재물에 *대한* 욕심이 없이 곧고 깨끗한 관리. (2)조선 시대에, 이품 이상의 당상관과 사헌부ㆍ사간원의
수직(首職)들이 추천하여 뽑던 청렴한 벼슬아치."
"* 鷄鳴之助(계명지조)*: 어질고 현명한 왕비의 내조를 이르는 말. 예전에 어진 왕비는 새벽이면 반드시 왕께 나아가 *닭*이 울었으니
일어나라고 권하여 왕이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정사를 보도록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아침 #도움 #왕 #예전 #정사 #나라 #왕비 #내조 #새벽 #*닭* #울음 #아내 #유래 #현명"
"* 伯仲之勢(백중지세)*: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든 *형세*. 위나라 문제(文帝)의 ≪전론(典論)≫에서 나온 말이다.
#장남 #문제 #말 #맏형 #차이 #둘째 #형제 #위나라 #우열 #*형세* #사이"
"* 大言不慙(대언불참)*: 큰*소리*만 내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실천 못할 일을 말로만 떠들어대면서도 부끄러운 줄 모르는
것을 이르는 말.
#일 #말 #*소리* #큰*소리* #실천"
* 兄弟不如友生(형제불여우생)*: *형제*(兄弟)는 안락무사(安樂無事)한 때에는 친구(親舊)만 못함.
* 自學自習(자학자습)*: *남*의 가르침을 받지 아니하고 스스로 배우고 익힘.
"* 童男童女(동남동녀)*: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여자 #사내 #*아이* #남자"
"* 錐處囊中(추처낭중)*: *송곳*이 주머니에 있으면 그 끝이 밖으로 뚫고 나오는 것과 같이 재능 있는 사람은 머지않아 그 재능이
알려지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마련 #재능 #눈 #끝 #비유 #*송곳* #지기 #의미 #위치 #밖 #주머니 #사람"
* 散之四方(산지사방)*: 사방으로 흩어짐. 또는 흩어져 있는 각 방향.
"* 綠衣使者(녹의사자)*: 푸른 옷을 입은 사자(使者)라는 뜻으로, 앵무*새*의 다른 명칭.
#명칭 #사자 #옷 #입"
"* 徙家忘妻(사가망처)*: *이사*를 갈 때 아내를 잊고 두고 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잘 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두고 #때 #의리 #비유 #*이사* #무엇 #아내 #분별 #사람"
"* 萬物之靈長(만물지영장)*: 세상(世上)에 존재(存在)하는 모든 것들 *가운데*서 가장 영묘(靈妙)하고 뛰어난 것이라는 뜻으로,
인간(人間)을 일컫는 말."
"* 葛藤(갈등)*: (1)칡과 등나무가 서로 얽히는 것과 같이,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목표나 이해관계가 달라 서로 적대시하거나 충돌함.
또는 그런 상태. (2)소설이나 희곡에서, 등장인물 사이에 일어나는 대립과 충돌 또는 등장인물과 환경 사이의 모순과 대립을 이르는 말.
(3)두 가지 이상의 상반되는 요구나 욕구, *기회* 또는 목표에 직면하였을 때, 선택을 하지 못하고 괴로워함. 또는 그런 상태.
#견해 #때 #소설 #선택 #복잡 #개념 #*기회* #사이 #일 #목표 #비유 #인물 #이해 #힘 #방향 #충돌 #개인 #정신 #차이 #사정 #근본 #요구 #따위 #상태 #환경 #
대립 #이해관계 #모순 #집단 #화합 #내부 #이상"
* 生面大責(생면대책)*: 어떠한 일의 상황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잘못이 없는 사람을 호되게 꾸짖음.
"* 都邑華夏(도읍화하)*: 도읍(都邑)은 *왕성*(王城)의 지위(地位)를 말한 것이고, 화하(華夏)는 당시(當時) 중국(中國)을
지칭(指稱)하던 말임.
#당시 #말 #도읍 #지칭 #화 #중국 #지위 #*왕성*"
"* 風飄電激(풍표전격)*: 바람이 회오리처럼 불고, 번개가 격렬하게 친다는 뜻으로, *기세*가 맹렬함을 이르는 말.
#맹렬 #바람 #*기세* #격렬 #번개"
"* 知女莫如母(지녀막여모)*: 딸을 아는 것은 *어머니*만 같은 이가 없다는 뜻으로, *어머니*라야 딸의 마음을 가장 잘 안다는 의미.
#의미 #*어머니* #마음 #딸"
"* 照松之勤(조송지근)*: 소나무에 비춘 부지런함이라는 뜻으로, 등불을 켤 돈이 없어서 관솔불[송진이 많이 엉긴 소나무 가지나 옹이에
붙인 불]에 비춰 글을 읽는 일에서 면학(勉學)에 *간절*함을 이르는 말.
#일 #등불 #돈 #불 #*간절* #부지런 #부지런함 #소나무"
향기
"* 十伐之木(십벌지목)*: 열 번 찍어 베는 *나무*라는 뜻으로,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을 이르는 말.
#말 #결국 #*나무* #의미 #속담 #유인 #사람"
"* 同工異體(동공이체)*: *재주*나 솜씨는 같지만 표현된 내용이나 맛이 다름을 이르는 말.
#내용 #*재주* #솜씨 #광채 #표현 #특이 #동등 #곡조 #맛"
"* 弱而能强(약이능강)*: 약하면서도 강한 것을 능가한다는 뜻으로, 겉보기는 약한 듯*하나* 내실은 매우 강함을 이르는 말.
#강"
"* 等像(등상)*: 나무, 돌, *흙*, 쇠 따위로 만든 사람의 형상이라는 뜻으로,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따위 #말 #사람 #나무 #쇠 #낮 #*흙* #형상 #낮잡 #돌"
* 木石草花(목석초화)*: 나무ㆍ*돌*ㆍ풀ㆍ꽃이라는 뜻으로, ‘자연’을 이르는 말.
"* 合緣奇緣(합연기연)*: 이*상하*게 결합하는 인연이라는 뜻으로, 부부가 되는 인연을 이르는 말.
#말 #인연 #부부 #결합 #이상"
"* 臨時變通(임시변통)*: (1)‘임시*변통*’의 북한어. (2)갑자기 터진 일을 우선 간단하게 둘러맞추어 처리함.
#일 #간단 #처리 #임시*변통* #일시적 #의미 #*변통* #임시 #통"
"* 恬而不知怪(염이부지괴)*: 마음이 *태평*하여 평범히 보아 넘기거나 조금도 이상하게 여기지 아니함.
#마음 #*태평* #조금 #평범 #이상"
"* 繫臂之寵(계비지총)*: 군주의 특별한 총애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무제(武帝)가 예쁜 궁녀를 골라 그 팔꿈치에 붉은
*비단*을 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무제 #총애 #특별 #나라 #중국 #팔꿈치 #*비단* #주의 #유래 #군주"
"* 百家爭鳴(백가쟁명)*: (1)많은 학자나 문화인 등이 자기의 학설이나 주장을 자유롭게 발표하여, 논쟁하고 토론하는 일.
(2)1956년에 중국 공산당이 정치 투쟁을 위하여 내세운 슬로건. 마르크스주의는 다른 사상과 경쟁하면서 지도적 위치를 차지하여야
하며, 처음부터 절대적 유일사상은 없다고 주장하였다. 문화 혁명 기간 중에는 이 운동이 *사라*졌다가, 1976년에 문화 혁명 세력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문예ㆍ학술 분야에서 장려되기도 했다.
#제거 #시대 #분야 #활발 #처음 #일 #혁명 #논쟁 #기간 #운동 #학설 #전국 #경쟁 #사상 #자유 #절대 #정치 #수단 #사람 #춘추 #차지 #문화 #발표 #자신 #세력 #
장려 #투쟁 #학파 #사상가들 #학자 #의미 #중국 #위치 #주장"
* 發福之地(발복지지)*: 자손이 *복*을 받게 되는 좋은 집터나 묏자리.
"* 炎凉世態(염량세태)*: 더웠다가 차가워지는 세상 인심이라는 뜻으로, 권세가 있을 때는 아*부하*여 좇고, 세력이 사라지면 푸대접하는
각박한 세상 인심을 이르는 말.
#푸대접 #아첨 #인심 #권세 #때 #형편 #세태 #세력 #아부 #세속 #세상"
"* 東食西宿(동식서숙)*: *동쪽* 집에서 먹고 서쪽 집에서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다니며 얻어먹고 지내는 일이나 사람. 혹은 주소가
일정하지 않은 사람.
#일 #집 #일정 #*동쪽* #서쪽 #주소 #사람"
"* 得意之色(득의지색)*: 일이 뜻대로 이루어져 *만족*해하거나 뽐내는 기색.
#*만족* #일 #기색"
"* 弄瓦(농와)*: (1)‘농와’의 북한어. (2)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말 #한문투 #딸 #옛일 #*실패* #중국 #옛날 #즐거움 #흙 #유래"
"* 滄桑之變(창상지변)*: 푸른 *바다*가 뽕밭으로 바뀌는 변화라는 뜻으로, 자연이나 사회에 심한 변화가 일어남. 또는 그 일어난
변화를 이르는 말. 당나라 시인 유정지(劉廷芝)의 이라는 시에서 유래하였다.
#뽕밭 #당나라 #뽕나무 #밭 #비유 #무상 #시인 #시절 #자연 #세상 #대비 #사회 #유래 #변천 #변화"
"* 勉其祗植(면기지식)*: 착한 것으로 자손(子孫)에 줄 것을 힘써야 좋은 가정(家庭)을 이룰 것임.
#가정 #자손"
자리
* 怏怏之心(앙앙지심)*: 매우 마음에 차지 아니하거나 야속하게 *여기*는 마음.
* 手足之愛(수족지애)*: 손과 발의 사랑이라는 뜻으로, 손발 같은 *형제*간의 우애(友愛)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望門寡婦(망문과부)*: 정혼한 남자가 죽어서 시집도 가 보지 못하고 과부가 되었거나, 혼례는 하였으나 첫날*밤*을 치르지 못하여
처녀로 있는 여자."
"* 臨陣易將(임진역장)*: 전쟁터에서 *장수*를 바꾼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생겼을 때 그 일에 알맞은 자격을 지닌 사람을 쓰지
아니하고 자격을 지니지 못한 사람을 씀을 이르는 말.
#일 #자격 #중요 #*장수* #때 #비유 #전쟁터 #사람"
"* 疾風勁草(질풍경초)*: 질풍에도 꺾이지 않는 굳센 풀이라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을 당하여도 뜻이 흔들리지 않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移天易日(이천역일)*: *하늘*을 옮기고 해를 바꾼다는 뜻으로, 정권을 빼앗음을 이르는 말.
"* 損者三友(손자삼우)*: 사귀면 손해가 되는 세 종류의 *벗*. 편벽한 *벗*, 착하기만 하고 줏대가 없는 *벗*, 말만 잘하고
성실하지 못한 *벗*을 이른다."
"* 毛施淑姿(모시숙자)*: 모(毛)는 오의 모타라는 *여자*(女子)이고, 시(施)는 월의 서시(西施)라는 *여자*(女子)인데, 모두
절세미인(絶世美人)이었음.
#*여자* #서시 #미인"
"* 希聖希賢(희성희현)*: 성인이 되길 바라고 현인이 되길 바란다는 뜻으로, 사람은 *자기*보다 더욱 뛰어난 사람을 이상으로 삼을
것임을 이르는 말.
#현인 #이상 #성인 #사람"
"* 桑土綢繆(상토주무)*: 새는 폭풍우(暴風雨)가 닥치기 전(前)에 뽕나무 뿌리를 물어다가 둥지의 구멍을 막는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準備)하여 닥쳐 올 *재앙*(災殃)을 막음을 이르는 말."
"* 辦事二妙(판사이묘)*: 일에 힘쓰는 두 가지 묘수라는 뜻으로, 일처리 하는 두 가지 묘수인 거전(鋸箭)과 보과(補鍋)처럼 시늉만
하고 책임질 일은 절대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 #절대 #처리"
"* 河東獅吼(하동사후)*: 황하(黃河)의 동쪽 언덕에서 사자(獅子)가 으르렁거린다는 뜻으로, 아내가 사나워서 *남편*에게 큰 소리로
욕설을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河東獅子吼(하동사자후)]."
"* 愛國愛族(애국애족)*: 자기(自己)의 나라와 겨레를 *사랑*함.
#*사랑*함 #나라 #겨레 #*사랑*"
* 至貧無依(지빈무의)*: 매우 가난하여 *의지*할 곳조차 없음.
* 鏤月裁雲(누월재운)*: 달을 아로*새*기고 구름을 마른다는 뜻으로, 세공이 아기자기하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愛之敬之夫婦之禮(애지경지부부지례)*: 서로 *사랑*하고 공경(恭敬)하는 것이 부부(夫婦) 간(間)의 예의(禮儀)임.
"* 聾暗(농암)*: 귀머거리와 벙어리라는 뜻으로, 윗사람과 아랫사람 간에 *서로* 정의(情宜)가 통(通)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아랫사람 #윗사람 #정의 #벙어리 #통"
"* 夜行被繡(야행피수)*: 수놓은 좋은 옷을 입고 *밤*길을 간다는 뜻으로, 공명이 세상에 알려지지 않아 아무 보람도 없음을 이르는 말.
#옷 #공명 #*밤*길 #세상 #보람"
"* 無似(무사)*: 어진 *사람*을 닮지 못함이라는 뜻으로, 주로 편지에서 글쓴이가 아버지나 할아버지에게 자기를 못난 *사람*이라고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 魚爛土崩(어란토붕)*: 물고기가 문드러져 썩고 흙이 무너진다는 뜻으로, 물고기가 내*장부*터 썩고 쌓아 올린 흙이 위부터 점점
무너져 내리는 것처럼 나라가 내부로부터 어지러워지고 무너진다는 의미.
#나라 #의미 #내부 #흙 #내장"
"* 暗香疎影(암향소영)*: 그윽한 *향기*(香氣)와 성긴 그림자라는 뜻으로, 매화(梅花)를 두고 이름.
#그림자 #매화 #이름 #그윽"
* 男中一色(남중일색)*: 남자의 *얼굴*이 썩 뛰어나게 잘생김. 또는 그런 사람.
"* 弟無衣服兄必與之(제무의복형필여지)*: 아우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형은 반드시 이를 주어야 함.
#아우 #형 #*의복*"
"* 三嚴(삼엄)*: (1)세 사람의 엄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임금ㆍ아버지ㆍ스승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거둥할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임금과 문무백관이 근정전(勤政殿)이나 지정된 장소에 나가 모든 의식 준비를 완전히
끝냈다. (3)*군사* 행동에 들어갈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행군을 시작하였다.
#셋째 #*군사* #임금 #때 #이것 #북 #시작 #스승 #문무 #준비 #의식 #장소 #행동 #사람"
* 月章星句(월장성구)*: 문장은 *달*과 같고 구절은 별과 같다는 뜻으로, 훌륭하고 아름다운 문장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 鑿枘(조예)*: (1)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규*범*
표기는 ‘조예’이다. (2)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사물 #장부 #방 #규*범* #구멍 #유래"
"* 頓悟漸修(돈오점수)*: 고려 시대에, 지눌이 주장한 불교의 선(禪) 수행 방법. 무인 정권 시기에 불교 교단을 개혁하기 위하여
주장한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부처가 되려면 진심을 깨닫고,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점진적 #지눌 #시대 #이전 #불교 #정권 #고려 #불 #진심 #사상 #수행 #*가운데* #불가 #과정 #국사 #선 #부처 #방법 #깨달음 #의미 #주장 #강조 #개혁"
"* 雲蒸龍變(운증용변)*: 물이 증발하여 구름이 되고 뱀이 변하여 용이 되어 *하늘*로 오른다는 뜻으로, 영웅호걸이 기회를 얻어
일어남을 이르는 말."
"* 再生之人(재생지인)*: 죽을 고비를 겪은 *사람*.
#고비 #*사람*"
"* 二八靑春(이팔청춘)*: 16세 무렵의 꽃다운 청춘. 또는 혈기 *왕성*한 젊은 시절.
#자체 #무렵 #여섯 #봄철 #전후 #청춘 #꽃 #시절 #나이 #*왕성* #사람"
"* 自由闊達(자유활달)*: 마음이 넓고 *자유*(自由)로워 사물(事物)에 구애(拘礙)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의 언동(言動)을
받아들이려 하는 마음의 준비(準備)가 있어 인간적(人間的)이고 의지(依支)할 만함을 이르는 말.
#사물 #마음 #인간 #언동 #준비 #*자유* #의지 #구애"
"* 表而出之(표이출지)*: 겉으로 두드러*지게* 드러남. 또는 그렇게 드러냄.
#겉"
* 無事不涉(무사불섭)*: 천도교에서, 한울님은 간섭하지 않는 일이 없음을 이르는 말.
* 娼家責禮(창가책례)*: 창기(娼妓)의 집에서 예의를 따진다는 뜻으로, 예의나 격식을 차리는 것이 격에 맞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積惡之家必有餘殃(적악지가필유여앙)*: 악함을 쌓는 집에는 반드시 자손(子孫)에게까지 미치는 *재앙*(災殃)이 있음.
"* 家狗向裏吠(가구향리폐)*: 집에서 기르는 개가 집 안 *쪽*을 향(向)해 짖는다는 뜻으로, 은혜(恩惠)를 원수(怨讐)로 갚음을
이르는 말."
"* 得一忘十(득일망십)*: 하나를 얻고 열을 잊는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을 알면 열 가지 다른 *일*을 잊어버리는 것에서 기억력이
없음을 이르는 말."
* 羞花閉月(수화폐월)*: 꽃도 부끄러워하고 달도 숨는다는 뜻으로, 여인의 *얼굴*과 맵시가 매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痛定思痛(통정사통)*: 아픔이 진정되면 아픔을 회상한다는 뜻으로, 종전의 *고통*이나 실패를 반성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진정 #회상 #반성 #실패 #비유 #*고통* #아픔"
"* 虛往實歸(허왕실귀)*: 비우고 가서 채워서 돌아온다는 뜻으로, 잡념 없는 마음으로 대해 나가면 사물의 이치는 저절로 깨닫데 되어
배가 가득 채운 *상태*로 돌아오게 됨을 의미하거나, 또는 아직 배우지 않고 가서 덕을 얻어서 돌아옴을 이르는 말."
"* 決河之勢(결하지세)*: 홍수가 져서 큰물이 둑을 무너뜨리고 넘쳐흐르는 *기세*라는 뜻으로, 걷잡을 수 없이 세찬 *기세*를 이르는
말.
#*기세* #홍수 #강물 #넘쳐흐르 #형세"
* 徒善不如惡(도선불여악)*: 한갓 착하기만 함은 악함 보다도 못하다는 뜻으로, 너무 약해 빠져서 오히려 주변성이 없음을 비웃는 *말*.
"* 兄弟姉妹同氣而生(형제자매동기이생)*: *형제*(兄弟)와 자매(姉妹)는 기운(氣運)을 같이하여 태어났음.
#*형제* #기운 #자매"
"* 萬代榮華(만대영화)*: 여러 대를 이어 가며 누리는 *영화*.
#*영화* #공명 #부귀"
"* 拈華示衆(염화시중)*: 말로 통하지 아니하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 석가모니가 영산회(靈山會)에서 연꽃 한 송이를 대중에게
보이자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깨닫고 미소 지으므로 그에게 *불교*의 진리를 주었다고 하는 데서 유래한다.
#일 #마음 #말 #송이 #대중 #*불교* #연꽃 #진리 #꽃 #석가 #무리 #석가모니 #통 #유래"
"* 懷璧有罪(회벽유죄)*: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귀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훗날 #죄 #분수 #*재앙* #물건 #귀"
"* 老萊之戱(노래지희)*: 자식(子息)이 *나이*가 들어도 부모(父母)의 자식(子息)에 대(對)한 마음은 똑같으니 변(變)함없이
효도(孝道)를 해야 한다는 말.
#자식 #마음 #말 #효도 #부모 #*나이*"
"* 朝聞道夕死可矣(조문도석사가의)*: 아침에 천하(天下)가 올바른 정도(正道)로 행(行)해지고 있다는 말을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뜻으로, 사람이 참된 *이치*(理致)를 깨달으면 당장 죽어도 한(恨)이 없다는 뜻으로 쓰이며, 짧은 인생(人生)을 값있게 살아야 한다는
의미(意味).
#아침 #말 #행 #*이치* #천하 #의미 #저녁 #天下 #당장 #정도 #인생 #사람"
"* 易簀(역책)*: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이나 임종을 이르는 말. 증자가 죽을 때를 당하여 삿자리를 바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예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궁 #말 #학식 #때 #덕망 #죽음 #옛일 #학덕 #유래 #사람"
* 首尾相應(수미상응)*: (1)서로 응하여 도와줌. (2)양*쪽* 끝이 서로 통함.
"* 愛人下士(애인하사)*: 백성을 사랑하고 *선비*에게 자기 몸을 낮춤.
#백성 #몸 #사랑 #낮춤 #*선비*"
* 萬物之衆(만물지중)*: 온갖 것.
"* 稱體裁衣(칭체재의)*: 몸에 맞추어서 옷을 만든다는 뜻으로, 사람에 따라 그 *경우*에 맞도록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몸 #일 #옷 #*경우* #비유 #형편 #처리 #적합 #사람"
"* 白雲孤飛(백운고비)*: (1) 타향(他鄕)에서 고향(故鄕)에 계신 *부모*(父母)를 생각함 (2) 멀리 떠나온 자식(子息)이
어버이를 사모(思慕)하여 그리는 정."
"* 城狐社鼠(성호사서)*: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몸 #이름 #성 #곁 #여우 #관청 #임금 #비유 #간신 #쥐 #사당 #안전 #*세력* #무리 #과거 #사람"
"* 錢本糞土(전본분토)*: 돈은 본래 똥을 섞은 흙이라는 뜻으로, 돈은 원래 썩은 인분(人糞)처럼 천한 것이라는 *의미*.
#원래 #돈 #똥 #본래 #*의미* #흙"
"* 七顚八起(칠전팔기)*: 일곱 번 넘어지고 여덟 번 일어난다는 뜻으로, 여러 번 *실패*하여도 굴하지 아니하고 꾸준히 노력함을 이르는
말.
#거듭 #노력 #여덟 #*실패* #일곱"
"* 不達時變(부달시변)*: 매우 완고하여 시대의 흐름을 따르려는 변통성이 없음.
#변통성 #완고 #시대 #융통성 #의미 #변통 #통*달* #변화 #흐름"
"* 河淸海晏(하청해안)*: 황하가 맑아지고 바다가 잔잔하다는 뜻으로, 태평한 *세상*의 조짐, 곧 성군(聖君)이 나서 *세상*이
편안해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同床各夢(동상각몽)*: 같은 침상(寢床)에서 서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1) 겉으로는 같이 *행동*(行動)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 생각을 함을 이르는 말 (2) 비유적(比喩的)으로, 같은 입장(立場)ㆍ일인 데도 목표(目標)가 저마다 다름을 일컫는 말(3)
기거(起居)를 함께 하면서 서로 다른 생각을 함."
"* 妄言多謝(망언다사)*: *자기*가 한 말 속에 망언이 있으면 깊이 사과한다는 뜻으로, 편지나 비평문 따위의 글에서 자신의 글을
낮추어 이르는 말."
"* 竊鈇之疑(절부지의)*: 공연한 혐의를 이르는 말. 도끼를 훔쳐 갔다고 의심받은 사람의 행동이나 말이 모두 틀림없이 훔쳐 간 것처럼
보였으나, 다른 데서 그 도끼가 발견되어 누명을 *벗*은 후에는 그렇게 보이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萬綠叢中紅一點(만록총중홍일점)*: 전체(全體)가 푸른 잎으로 덮인 가운데 한 송이의 붉은 꽃이 피어 있다는 뜻으로, (1) 평*범*(平凡)한
것이 많은 가운데서 하나가 뛰어남 (2) 또는 많은 남자(男子) 가운데 여자(女子)가 한 사람 끼여 있음을 이르는 말.
#여자 #송이 #가운데 #꽃 #잎 #평*범* #전체 #남자 #사람"
"* 景行維賢(경행유현)*: 행실(行實)을 훌륭하게 하고 당당(堂堂)하게 행(行)하면 어진 *사람*이 된다는 것을 말함.
#말 #행 #행실 #훌륭 #*사람*"
* 天壤懸隔(천양현격)*: 하늘과 땅 *사이* 같이 아주 현격(懸隔)한 차이(差異).
"* 私思妄念(사사망념)*: 몰래 사사로이 품은 망령된 *생각*.
#私事 #망령 #*생각*"
* 南男北女(남남북녀)*: 우리나라에서, *남*자는 *남*쪽 지방 사람이 잘나고 여자는 북쪽 지방 사람이 고움을 이르는 말.
"* 塗中曳尾(도중예미)*: 진흙 속에 꼬리를 끌고 다닌다는 뜻으로, 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사는 *생활*의 자유로움을 이르는 말. 거북이
죽은 뒤에 그 등껍질이 점치는 데 귀하게 쓰이는 것보다는 살아서 꼬리를 진흙 속에 끌고 다니는 것이 더 좋은 것처럼 벼슬하여 속박을
받기보다는 은거하여 자유롭게 사는 것이 더 낫다고 한 장자(莊子)의 말에서 유래하였다.
#진흙 #거북이 #말 #은거 #거북 #껍질 #속박 #장자 #의미 #편안 #꼬리 #자유 #벼슬 #흙 #유래 #*생활* #세상"
"* 東走西奔(동주서분)*: 동쪽으로 뛰고 *서쪽*으로 뛴다는 뜻으로, 사방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서쪽* #동쪽 #동분서주 #사방"
"* 草綠同色(초록동색)*: 풀색과 녹색은 같은 색이라는 뜻으로, 서로 같은 *무리*끼리 어울린다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명칭은 달라도
성질이나 내용은 같다는 뜻으로도 사용됨.
#내용 #빛 #성질 #빛깔 #명칭 #녹색 #사용 #의미 #*무리* #사람"
* 內助之功(내조지공)*: 안에서 돕는 공이란 뜻으로, *아내*가 집안 일을 잘 다스려 남편(男便)을 돕는 일을 말함.
"* 雨露之澤(우로지택)*: 이슬과 비의 덕택이라는 뜻으로, 왕의 넓고 큰 *은혜*를 이르는 말.
#이슬 #왕 #임금 #혜택 #하늘 #부모 #*은혜* #덕택"
"* 下等痛悔(하등통회)*: 통회의 동기가 하느님에 대한 사랑에 있지 아니하고 죄를 지은 결과로 자기에게 해가 미치기 때문에 뉘우치는
*태도*."
"* 永字八法(영자팔법)*: 서예에서, ‘永’ 자 한 글자로써 모든 한자에 공통되는 여덟 가지 쓰기를 보이는 법. 중국 한(漢)*나라*의
채옹이 고안하였다고 전한다."
* 名母(명모)*: *자식*이 어머니의 이름을 직접 부른다는 뜻으로, 배운 것을 잘못 이용하여 경솔하게 행동함을 이르는 말.
"* 虛往實歸(허왕실귀)*: 비우고 가서 채워서 돌아온다는 뜻으로, 잡념 없는 마음으로 대해 나가면 *사물*의 이치는 저절로 깨닫데 되어
배가 가득 채운 상태로 돌아오게 됨을 의미하거나, 또는 아직 배우지 않고 가서 덕을 얻어서 돌아옴을 이르는 말."
*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집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 累卵之勢(루란지세)*: (1)층층이 쌓아 놓은 알의 *형세*라는 뜻으로, 몹시 위태로운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누란지세’의 북한어.
#위태 #상황 #위험 #비유 #계란 #층층 #지세 #*형세*"
"* 春北秋南雁朝西暮東虹(춘북추남안조서모동홍)*: 봄에는 북으로 가을에는 남으로 가는 기러기요, 아침에는 서쪽에서 저녁에는 *동쪽*에서
빛나는 무지개임."
* 桑海之變(상해지변)*: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垂于竹帛(수우죽백)*: 대나무와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죽간(竹簡)이나 비단에 글을 써서 기록으로 남긴
것에서 이름을 역사에 남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天下有三危(천하유삼위)*: 세상(世上)에 세 가지 위험(危險)한 일이 있다는 뜻으로, 덕이 적은 사람이 총애(寵愛)를 받고,
재능(才能)이 없는 사람이 높은 *지위*(地位)에 있으며, 큰공이 없는 사람이 녹을 많이 받는 일."
"* 西瓜皮舐(서과피지)*: 수박 껍질 핥기라는 뜻으로, 우리말 속담 ‘수박 겉핥기’의 한역인데, 사물의 속 내용은 모르고 겉만 건드리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사용*됨."
"* 草滿囹圄(초만영어)*: 감옥 안에 풀이 가득 자랐다는 뜻으로, 나라를 잘 다스려 죄인이 없음을 이르는 말. ≪수서≫의
순리(循吏)편에 나오는 유광(劉曠)이라는 *벼슬*아치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不生不滅(불생불멸)*: (1)죽지도 살지도 아니하고 겨우 목숨만 붙어 있음. (2)생겨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고 항상 그대로
변함이 없음. 모든 존재의 실상을 이른다."
"* 樂而思蜀(낙이사촉)*: (1) 타향(他鄕)의 생활(生活)이 즐거워 고향(故鄕) 생각을 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2) *눈앞*의
즐거움에 겨워 근본(根本)을 잊게 될 때를 비유(比喩).
#타향 #눈 #고향 #앞 #때 #*눈앞* #생각 #비유 #근본 #즐거움 #생활"
"* 乃公(내공)*: (1)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주로 임금이 신하를, 또는 아버지가 아들을
상대하여 *자기*를 이를 때 쓴다. (2)‘그 사람’이라는 뜻으로,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아닌 사람을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
* 登高能賦(등고능부)*: *군자*(君子)는 높은 산에 오르면 반드시 시를 지어 회포(懷抱)를 품.
"* 射魚指天(사어지천)*: *물고기*를 쏘는데 하늘을 가리킨다는 뜻으로, *물고기*를 잡는데 하늘을 바라보는 것처럼 당치 않은 일을
하려한다는 의미."
* 連理比翼(연리비익)*: 연리지와 비익조라는 뜻으로, *부부*가 아주 화목함을 이르는 말.
"* 三日遊街(삼일유가)*: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시험관과 선배 급제자와 친척을 방문하던 일.
#선배 #일 #급제 #방문 #친척 #제자 #사흘 #*동안* #과거 #사람"
* 嚴祖(엄조)*: 엄한 할*아버지*.
* 虛虛實實(허허실실)*: 허를 찌르고 실을 *꾀*하는 계책.
"* 約婚式(약혼식)*: 약혼할 때 올리는 *의식*.
#*의식* #약속 #때 #혼인"
* 皤皤老人(파파노인)*: *머리*털이 하얗게 센 늙은이.
"* 利害打算(이해타산)*: *이해*관계를 이모저모 모두 따져 봄. 또는 그런 일.
#일 #해로움 #*이해*관계 #관계 #이로움 #의미 #*이해* #봄"
* 豚蹄一酒(돈제일주)*: 돼지 발굽과 술 한 잔이라는 뜻으로, 작은 *물건*으로 많은 *물건*을 구하려 한다는 뜻.
* 精敏强幹(정민강간)*: 사리(事理)에 밝고, 판단(判斷)에 민첩(敏捷)하며, 역량(力量)과 재능(才能)이 뛰어남.
"* 猛虎爲鼠(맹호위서)*: 사나운 호랑이가 쥐가 된다는 뜻으로, *범*도 위엄을 잃으면 쥐 신세가 되듯이 제왕도 권력을 잃으면 권신의
제어를 받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幸災不仁(행재불인)*: 남의 *재난*(災難)을 다행(多幸)으로 여기는 것은 어질지 못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말 #비유 #*재난*"
"* 鶴立(학립)*: 학처럼 고개를 길게 빼고 바라본다는 뜻으로, 어떠한 것을 *간절*히 바라는 일을 이르는 말.
#일 #고개 #학"
"* 多情多恨(다정다한)*: (1)애틋한 정도 많고 한스러운 일도 많음. (2)일본의 소설가 오자키 고요의 장편 소설. 1896년
2월부터 12월까지 ≪요미우리 신문≫에 연재되었고, 1897년 7월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한* 애환을
담은 것으로, 오자키 고요의 사실주의 문학 가운데 최고로 꼽히는 작품이다.
#일 #고요 #2월 #사랑 #가운데 #애틋 #최고 #원한 #소설 #12월 #작품 #문학 #우리 #신문 #정도"
"* 伯仲之間(백중지간)*: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든 *형세*.
#우열 #비슷 #*형세* #사이"
* 節用愛人(절용애인)*: 나라의 재물(財物)을 아껴 쓰는 것이 곧 백성(百姓)을 사랑함을 말함.
"* 半面之識(반면지식)*: 얼굴만 약간 알 *정도*의, 교분이 두텁지 못한 사이.
#사이 #*정도* #교분 #얼굴"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