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 전체글 2 티스토리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구글 트렌드
속담 모음

2024년 06월 15일 속담 (7) ⭕️

by 사계절1 2024. 6. 15.




728x90
반응형

"* 恒産恒心(항산항심)*: 일정(一定)한 생산(生産)이 있으면 마음이 변(變)치 않는다는 뜻으로, 일정(一定)한 직업(職業)과
재산(財産)을 가진 자는 마음에 그만 큼 여유(餘裕)가 있으나, 그렇지 않은 자는 *정신*적(精神的)으로 늘 불안정(不安定)하여 하찮은
일에도 동요함을 이르는 말.
#일 #마음 #일정 #여유 #*정신* #동요 #재산 #*정신*적 #직업 #불안정"
"* 畵伯(화백)*: *화가*(畵家)의 높임말.
#화 #*화가*"
"* 變化無常(변화무상)*: 늘 변화하여 *일정*하지 않음.
#*일정* #변화"
"* 梟愛其子(효애기자)*: 올빼미는 그 *새끼*를 사랑한다는 뜻인데, 올빼미 *새끼*는 자란 후에 그 어미를 잡아먹는 데서, 은혜를
원수로 갚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올빼미 #사랑 #*새끼* #원수 #비유 #어미 #갚음 #은혜"
"* 雲龍風虎(운룡풍호)*: 구름을 타고 하늘로 오르는 용과 바람을 타고 달리는 *범*이라는 뜻으로, 의기와 기질이 서로 맞거나
성주(聖主)가 현명한 신하를 얻음을 이르는 말."
"* 與虎謀皮(여호모피)*: 호랑이와 더불어 호랑이 *가죽*을 벗길 것을 꾀한다는 뜻으로, 이해관계가 서로 맞지 않는 사람과 의논하면
원하는 바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 #의논 #근본적 #이해관계 #꾀 #호랑이 #근본 #*가죽* #사람"
"* 斗南一人(두남일인)*: 북두칠성의 *남쪽*에서 제일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천하에 으뜸가는 훌륭한 인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인물 #천하 #북두칠성 #의미 #현인 #天下 #*남쪽* #훌륭 #사람"
"* 賓至如歸(빈지여귀)*: 손님이 와서 마치 돌아온 것처럼 한다는 뜻으로, 손으로 온 것이 제 집에 돌아온 것처럼 조금의 불편도 없는
자연스럽고 *편안*하다는 의미."
"* 而立之年(이립지년)*: 홀로 선 나이라는 뜻으로, *공자*가 말한 30세에 홀로 섰다는 말에서 나이 30세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보통 ‘而立’으로 표현함].
#말 #표현 #보통 #사용 #나이 #*공자* #30세"
"* 不夜城(불야성)*: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밤 #형용 #등불 #말 #대낮 #성 #번화 #거리 #중국 #경치 #유래 #따위"
"* 換父易祖(환부역조)*: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바꾼다는 뜻으로, 지체가 낮은 사람이 부정한 방법으로 양반집 뒤를 이어 양반
행세를 함을 이르는 말."
* 阿諛傾奪(아유경탈)*: *지위*나 권세가 있는 사람에게 아첨하여 남의 *지위*를 빼앗음.
"* 望蜀之歎(망촉지탄)*: 촉(蜀) *땅*을 얻고 싶어 하는 탄식(歎息ㆍ嘆息)이라는 뜻으로, 인간(人間)의 욕심(慾心)은 한이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排山壓卵(배산압란)*: *산*을 떠밀어 달걀을 눌러 깨뜨린다는 뜻으로, 일이 아주 쉬움을 이르는 말.
* 不立文字(불립문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므로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
* 懸梁刺股(현량자고)*: *머리*털을 대들보에 묶고, 허벅다리를 찌른다는 뜻으로, 분발하여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 兄弟之國(형제지국)*: 아주 친밀하고 가깝게 지내는 나라. 또는 서로 혼인 관계를 맺은 나라.
#관계 #나라 #친밀 #혼인 #사이"
"* 朝變暮改(조변모개)*: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자주 고침을 이르는 말.
#고침 #계획 #결정 #따위 #아침*저녁*"
"* 漢江投石(한강투석)*: 한강에 *돌* 던지기라는 뜻으로, 지나치게 미미하여 아무런 효과를 미치지 못함을 이르는 말.
#미미 #효과 #한강 #보람"
"* 形而上學(형이상학)*: (1)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2)헤겔ㆍ마르크스 철학에서, 비변증법적 사고를 이르는 말. (3)초경험적인 것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을,
형이하 또는 경험적 대상의 학문인 자연 과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4)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일 철학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다룬 여러 문제의 연구를 후세에 정리한 것으로,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비판하고 실재론을 설명하였다. 스콜라 철학을 통하여 중세의
유럽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 14장(章).
#이름 #정리 #자연 #후세 #형체 #본질 #사물 #사상 #유럽 #설명 #초월 #경험 #유래 #영역 #존재 #문제 #영향 #아리스토텔레스 #*사유* #학문 #명칭 #상대 #근본
#원리 #과학 #비판 #형 #제목 #말 #철학 #중세 #사고 #연구 #대상"
"* 唯唯諾諾(유유낙낙)*: 명령하는 대로 순종함.
#일 #말 #명령 #따름 #순종 #승낙"
* 勇敢無雙(용감무쌍)*: *용*기가 있으며 씩씩하고 기운차기 짝이 없음.
"* 三日天下(삼일천하)*: (1)개화당이 갑신정변으로 3일 동안 정권을 잡은 일. (2)정권을 잡았다가 짧은 기간 내에 밀려나게 됨을
이르는 말. (3)어떤 지위에 발탁ㆍ기용되었다가 며칠 못 가서 떨어지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事已至此(사이지차)*: 일이 이미 이렇게 되었다는 뜻으로, 후회하여도 미치지 못함을 이르는 말.
#일 #후회 #말 #소용"

"* 府夫人(부부인)*: *조선* 시대에, 왕비의 친정어머니나 대군(大君)의 아내에게 주던 작호(爵號). 국대부인을 고친 것으로 품계는
정일품이다.
#*조선* #왕 #시대 #때 #왕비 #어머니 #아내 #품계"
* 口耳之學(구이지학)*: 들은 것을 *자기* 생각 없이 그대로 남에게 전하는 것이 고작인 학문.
"* 開門而揖盜(개문이읍도)*: 문을 열고 절까지 해가며 도둑을 맞이 한다는 뜻으로, 스스로 재화(災禍)를 자초하는 *행동*(行動)이나
태도(態度)를 말함."
"* 佳境(가경)*: (1)한창 재미있는 판이나 *고비*. (2)경치가 좋은 곳.
#*고비* #한창 #창 #경치"
"* 知音(지음)*: (1)새나 짐승의 울음을 가려 잘 알아들음. (2)음악의 곡조를 잘 앎. (3)마음이 서로 통하는 친한 벗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거문고의 명인 백아가 자기의 소리를 잘 이해해 준 벗 종자기가 죽자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고 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에 나오는 말이다. (4)작품을 바르게 느끼고 평가함.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문학 평론(文學評論)에 해당하는 제48장의 제목이다. 문학 작품을 어떻게 감상하고 비평할 것인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협은
작품을 평가할 때에는 현재를 경시하는 태도, 타인을 경멸하는 태도, 진실을 왜곡하는 현상, 편견, 부정확한 평가 따위를 *특별*히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타인 #현상 #때 #문학 #비평 #경멸 #해당 #새 #평론 #작품 #백아 #경계 #태도 #이해 #진실 #유래 #벗 #평가 #지기 #소리 #곡조 #유협 #자신 #음악 #짐승 #앎 #
따위 #제목 #마음 #말 #의미 #울음 #주장 #거문고"
"* 蒙幼未知(몽유미지)*: 철이 없는 어린*아이*는 알지 못한다는 말.
#어린*아이* #말"
"* 早喪父母(조상부모)*: 어려서 *부모*를 여읨.
#*부모*"
"* 指鹿爲馬(지록위마)*: (1)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의 조고(趙高)가 자신의 권세를
시험하여 보고자 황제 호해(胡亥)에게 사슴을 가리키며 말이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2)모순된 것을 끝까지 우겨서 남을 속이려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薄氷如臨(박빙여림)*: 살*얼음*을 밟는 것처럼 대단히 위태함.
#위태 #로움"
"* 風擧雲搖(풍거운요)*: 바람이 움직이고 구름이 흔들린다는 뜻으로, 바람이나 구름이 흔들려 움직이듯이 *여기*저기로 이동함을 이르는
말.
#구름 #바람"
"* 如是我聞(여시아문)*: 모든 불경의 첫머리에 붙은 말.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라는 뜻으로, 불경이 석*가모*니로부터 들은
내용을 전하는 것이라는 것을 밝혀서 불경이 곧 부처의 말이라는 사실을 객관적으로 확증하는 말이다.
#내용 #법 #말 #불경 #부처 #경전 #석가 #객관적 #사실 #석*가모*니 #첫머리 #교법"
"* 南蠻鴃舌(남만격설)*: 남방의 미개한 민족의 말은 때까치의 *소리*와 같다는 뜻으로, 알아들을 수 없는 외국 사람의 말을 낮잡아
이르는 말.
#말 #남방 #외국 #미개 #*소리* #낮잡 #낮 #민족 #통 #경멸 #사람"
* 齒髮不長(치발부장)*: 젖니를 다 갈지 못하고 머리는 다박머리라는 뜻으로, 아직 *나이*가 어림을 이르는 말.
"* 下馬評(하마평)*: 관직의 인*사이*동이나 관직에 임명될 후보자에 관하여 세상에 떠도는 풍설(風說). 예전에, 관리들을 태워 가지고
온 마부들이 상전들이 말에서 내려 관아에 들어가 일을 보는 *사이*에 상전들에 대하여 서로 평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幕天席地(막천석지)*: 하늘을 장막으로 삼고 땅을 *자리*로 삼는다는 뜻으로, 지기(志氣)가 웅대함을 이르는 말.
"* 獨不將軍(독불장군)*: (1)무슨 일이든 자기 생각대로 혼자서 처리하는 사람. (2)다른 사람에게 따돌림을 받는 외로운 사람.
(3)혼자서는 *장군*이 될 수 없다는 뜻으로, 남과 의논하고 협조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일 #의논 #말 #협조 #처리 #무시 #*장군* #혼자 #고립 #생각 #비유 #의견 #사람들 #의미 #무리 #사람"
* 全不顧見(전불고견)*: 전혀 돌보아 주지 아니함.
"* 投瓜得瓊(투과득경)*: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구슬 #*선물* #두고 #답례 #사소 #훌륭"
"* 塞翁之馬(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재앙 #예측 #옛날 #훌륭 #인생 #비유 #다리 #오랑캐 #길흉 #유래 #세상 #*변화* #땅 #인간 #화 #노인 #길흉화복 #말 #복 #죽음 #아들 #전쟁 #중국 #준마 #
늙은이"
"* 山嶽氣像(산악기상)*: *산*악(山岳)같이 씩씩하고 웅장(雄壯)한 기상.
#씩씩 #웅장 #기상"
"* 牛刀割鷄(우도할계)*: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재능 #과장 #칼 #표현 #*비유* #닭 #따위 #도구"
"* 社鼠(사서)*: 사람이 함부로 손댈 수 없는 사당에 숨어 사는 쥐라는 뜻으로, 어떤 기관이나 *세력*가에 의지하여 간사한 일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일 #기관 #쥐 #사당 #*세력* #의지 #간사 #사람"
"* 二律背反(이율배반)*: (1)‘이율배반’의 북한어. (2)서로 모순되어 양립할 수 없는 두 개의 명제. 칸트에 의하여 널리 쓰이게
된 용어로 세계를 인식 능력에서 독립된 완결적 *전체*로서 받아들일 수 있을 때 이성은 필연적으로 이율배반에 빠진다고 한다.
#일 #이율배반 #규율 #이성 #반대 #세계 #대립 #용어 #때 #능력 #동등 #칸트 #모순 #주장 #*전체*"
* 事大交隣(사대교린)*: 큰 *나라*는 섬기고 이웃 *나라*와는 사귐.
* 通宵達旦(통소달단)*: *밤*을 통해 아침에 이르다는 뜻으로, *밤*새 잠을 자지 않고 지새움을 이르는 말.
"* 豚犬(돈견)*: (1)개와 *돼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미련하고 못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말 #아들 #미련 #비유 #겸손 #사람"
"* 魚目(어목)*: (1)물고기의 눈. (2)물고기의 눈은 *구슬*처럼 보이나 *구슬*이 아니라는 뜻으로, 진짜와 비슷하나 본질은
완전히 다른 것을 이르는 말. (3)손이나 발에 생기는 사마귀 비슷한 굳은살. 누르면 속의 신경이 자극되어 아프다.
#진짜 #*구슬* #말 #진주 #눈 #가짜 #신경 #아픔 #사마귀 #비슷 #본질"
* 天之直人(천지직인)*: *하늘*의 도리(道理)에 합치(合致)하는 정직(正直)한 사람.
"* 三從(삼종)*: (1)팔촌이 되는 관계. (2)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3)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恨紫愁紅(한자수홍)*: 꽃이 울긋불긋하여 여러 느낌ㆍ감정ㆍ생각 따위를 불러일으키는 *모양*.
"* 無生(무생)*: (1)모든 법의 실상(實相)은 나고 없어짐이 없음. (2)모든 미로(迷路)를 초월한 경지. (3)*생사*를 이미
초월하여 배울 만한 법도가 없게 된 경지의 부처.
#법 #법도 #*생사* #열반 #부처 #초월 #실상"
"* 如山若海(여산약해)*: 산과 *바다*와 같이 매우 크고 넓음.
#산"
* 面面相顧(면면상고)*: 아무 말도 없이 서로 *얼굴*만 물끄러미 바라봄.
* 連日連夜(련일련야)*: (1)어떤 일을 낮이나 *밤*이나 계속함. (2)낮이나 *밤*이나 계속하여. (3)‘연일연야’의 북한어.
"* 戞過(알과)*: (1)어떤 곳의 근처를 지나면서 그곳을 들르지 아니하고 그냥 지나감. (2)*사물*이나 글을 볼 때 어느 부분을
빠뜨리고 지나감."
"* 惠而不費(혜이불비)*: *은혜*로우나 낭비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에게는 많은 혜택을 주나 그 때문에 낭비는 하지 않는다는 의미.
#백성 #위정자 #때문 #혜택 #의미 #낭비 #*은혜*"
* 縱橫無盡(종횡무진)*: 자유자재로 *행동*하여 거침이 없는 상태.
"* 虎溪三笑(호계삼소)*: 동양화 화제(畫題)의 하나. 중국 진(晉)나라의 혜원 법사가 루산산(廬山山)의 동림사(東林寺)에 은거하면서,
후시(虎溪)를 건너지 않기로 하였으나 도연명,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할 때 무심코 건너 버려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 *고사*를
바탕으로 한다."
"* 淸談(청담)*: (1)명예와 *이익*을 떠난, 맑고 고상한 이야기. (2)남의 이야기를 높여 이르는 말.
#명예 #청아 #*이익* #고상"
"* 岳丈(악장)*: '장인(丈人)'의 높임말. *아내*의 아버지.
#장인 #*아내*"
"* 已發之矢(이발지시)*: 이미 쏘아 놓은 화살이라는 뜻으로, 이왕에 시작한 일이라 *중도*에 그만두기 어려운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화살 #어려움 #중지 #시작 #형편 #*중도* #이왕"
"* 糟糠不飽(조강불포)*: *가난*하여 술찌끼와 쌀겨조차 배부르게 먹을 수 없음.
#쌀겨 #술 #*가난*"
"* 倚門而望(의문이망)*: 어머니가 대문에 기대어 서서 *자식*이 돌아오기를 기다림. 또는 그런 어머니의 마음.
#*자식* #마음 #어머니 #부모 #자녀 #외지 #대문"
* 沐雨櫛風(목우즐풍)*: 비로 목욕하고 바람으로 *머리* 빗는다는 뜻으로, 비바람 무릅쓰고 어려운 고통을 겪는다는 의미.
동안
"* 截髮易酒(절발역주)*: *머리*를 잘라 술과 바꾼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에 대(對)한 모정(母情)의 지극(至極)함을 이르는 말.
#자식 #술 #지극 #*머리*"
"* 紅毛碧眼(홍모벽안)*: 붉은 털과 푸른 눈이라는 뜻으로, 빨간 머리털과 파란 눈을 지닌 *서양* 사람을 가리키는 말.
#눈 #털 #머리털 #파란 #사람"
* 沐露(목로)*: (1)이슬에 젖음. (2)모든 일에 고생을 이겨 내며 부지런히 노력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情狀參酌(정상참작)*: 법률적으로는 특별한 사유가 없더라도 범죄의 정상에 참작할 만한 사유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법원이 그
형을 줄이거나 가볍게 하는 것.
#일 #경우 #사유 #범죄 #법원 #법률 #정상 #특별 #법률적 #형벌 #사정 #*판단* #형"
"* 炊骨易子(취골역자)*: 뼈로 밥을 짓고 *자식*과 바꾼다는 뜻으로, 전시에 성 안에 갇혀 식량이 다 떨어져 시체로 밥을 짓고 차마
*자식*을 먹을 수 없어 *자식*을 바꾼다는 참혹한 상황을 형용한 말."
* 樂極哀生(낙극애생)*: 즐거움이 다하면 슬픔이 생긴다는 뜻으로, *인생*에는 기복(起伏)이 있기 마련이라는 의미.
* 北進政策(북진정책)*: 북방으로 *나라*의 세력을 뻗쳐 나가려는 정책.
* 朝蠅暮蚊(조승모문)*: 아침에는 파리가 *꾀*고 저녁에는 모기가 들끓는다는 뜻으로, 소인(小人)이 날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擧案齊眉(거안제미)*: 밥상을 눈썹과 가지런하도록 *공손*히 들어 남편 앞에 가지고 간다는 뜻으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이르는
말.
#후한 #말 #양 #가지런 #눈 #시대 #앞 #때 #*공손* #남편 #눈썹 #의미 #공경 #중국 #고사 #맹광 #아내 #높이 #유래 #공양"
* 筆力扛鼎(필력강정)*: 문장의 힘이 *강*건함.
"* 天經地緯(천경지위)*: 하늘이 정하고 땅이 받드는 길이라는 뜻으로,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나 법칙을 이르는 말.
#떳떳 #땅 #영원 #이치 #진리 #길 #하늘 #법칙"
욕심
* 自疑不信人(자의불신인)*: *자신*(自身)을 의심(疑心)하는 사람은 남을 믿지 않음.
"* 感懷(감회)*: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일 #마음 #때 #준말 #생각 #회포"
"* 麥秀之嘆(맥수지탄)*: *보리*만 무성함을 보고 탄식한다는 뜻으로, 지나간 왕조에 대한 회상의 의미.
#왕조 #회상 #고국 #탄식 #무성함 #*보리* #의미 #무성 #멸망 #성함"
* 平身低頭(평신저두)*: 몸을 낮추고 *머리*를 숙임.
"* 於異阿異(어이아이)*: ‘어 다르고 아 다르다’는 우리말 속담의 한역(漢譯)으로,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상대가 받
*아들*이는 기분이 다를 수 있다는 의미나, 항상 말을 조심해서 해야한다는 의미.
#내용 #말 #표현 #달라짐 #기분 #의미 #상대 #속담 #조심"
"* 白髮紅顔(백발홍안)*: *머리털*은 허옇게 세었으나 얼굴은 소년처럼 붉다는 뜻으로, 나이는 많은데 매우 젊어 보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년 #머리 #*머리털* #얼굴 #나이 #사람"
"* 醉翁之意(취옹지의)*: 취한 노인의 뜻이라는 뜻으로, 다른 의도나 속셈이 있거나 안팎의 모습이 다른 *상황*을 이르는 말.
#안팎 #의도 #*상황* #속셈 #노인 #모습"
* 私其飮食禽雖之類(사기음식금수지류)*: 형제(兄弟) 간(間)에 음식(飮食)을 사사(私事)로이 한다면 *새*나 짐승의 무리와 같음.
"* 春蘭秋菊(춘란추국)*: 봄의 *난초*(蘭草)와 가을의 국화(菊花)는 각각(各各) 특색(特色)이 있어 어느 것이 더 낫다고 할 수
없음.
#특색 #*난초* #각각 #국화 #봄 #가을"
"* 反裘而負薪(반구이부신)*: 갖옷의 털이 상할까하여 뒤집어 입고, 나무를 등(等)에 졌더니 도리어 갖옷이 못쓰게 되었다는 뜻으로,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사람이나 생각이 좁은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 沙羅雙樹(사라쌍수)*: 석가모니가 열반할 때 사방에 한 쌍씩 서 있었던 사라수(沙羅樹). 동쪽의 한 쌍은 상주(常住)와
무상(無常)을, 서쪽의 한 쌍은 진아(眞我)와 무아(無我)를, *남쪽*의 한 쌍은 안락(安樂)과 무락(無樂)을, 북쪽의 한 쌍은
청정(淸淨)과 부정(不淨)을 상징한다.
#때 #사방 #서쪽 #북쪽 #안락 #그루 #무상 #석가 #무아 #성 #여덟 #*남쪽* #석가모니 #열반 #뿌리 #부정 #상주 #80세 #상징 #동쪽 #밖"
"* 怒蹴巖(노축암)*: 성이 나서 *바위*를 찬다는 뜻으로, 애꿎은 분풀이로 도리어 손해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몸 #*바위* #성 #비유 #손해 #침 #봄"
"* 河淸(하청)*: (1)*중국* 황허강(黃河江)의 물이 맑아지는 일. 흐린 황허강의 물이 천 년에 한 번 맑아진다고 한다. (2)
*중국* 북제 무성제(武成帝) 때의 연호(562~565). 무성제의 두 번째 연호이다."
"* 文過遂非(문과수비)*: 잘못된 허물을 잘못이 아닌 것처럼 꾸미어 고치지 아니함.
#허물 #잘못 #그릇됨 #그릇 #조금"
"* 齊紫敗素(제자패소)*: 제자(齊紫)는 제(齊)나라에서 나는 자색 천을 말하고, 패소(敗素)는 거칠고 흰 비단(緋緞)을 말하는 것으로
거칠고 나쁜 물건(物件)이라도 자줏빛 물만 들이면 *값*이 열 곱으로 뛴다는 데서, 어진 사람은 풍부(豊富)한 지식(知識)으로
재난(災難)을 복으로 돌리고, 실패(失敗)를 성공(成功)으로 이끈다는 말.
#자줏빛 #복 #*값* #말 #풍부 #재난 #실패 #물 #나라 #제자 #물건 #지식 #비단 #자색 #성공 #사람"
"* 百金之士(백금지사)*: *백*금의 값을 하는 선비나 무사(武士)라는 뜻으로, 어진 선비나 큰 공을 세운 무장(武將)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不言之化(불언지화)*: 말하지 않는 교화(敎化)라는 뜻으로, 말로 하지 않고 자연히 德(덕)으로 주는 感化(감화)의 *의미*.
"* 眼孔小(안공소)*: 눈*구멍*이 작다는 뜻으로, 식견이 좁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눈 #비유 #식견 #*구멍*"
* 鷄鳴丑時(계명축시)*: 첫닭이 울 무렵인 축시(丑時). 곧 새벽 한 시에서 세 시 *사이*를 이른다.
"* 暗索(암색)*: (1)물건 따위를 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음. (2)어림으로 무엇을 알*아내*거나 찾*아내*려 함.
#따위 #어둠 #준말 #물건 #무엇 #어림"
"* 微官末職(미관말직)*: *지위*가 아주 낮은 벼슬. 또는 그런 위치에 있는 사람.
#미천 #관직 #의미 #위치 #낮 #*지위* #벼슬 #사람"
"* 富在知足(부재지족)*: 부유함은 만족함을 아는 것에 있다는 뜻으로, 자기 *분수*를 알아 이에 만족해야 한다는 의미.
#만족 #*분수* #의미 #부유 #만족함"
"* 蹈海(도해)*: (1)*바다*에 몸을 던져 죽는다는 뜻으로, 고결한 절개와 지조를 지킴을 이르는 말. (2)위험을 무릅쓰고 *바다*를
항해함."
"* 四分五裂(사분오열)*: (1)여러 *갈래*로 갈기갈기 찢어짐. (2)질서 없이 어지럽게 흩어지거나 헤어짐. (3)천하가 심히
어지러워짐.
#*갈래* #상황 #비유 #천하 #의미 #天下 #내부 #모양"
* 夜不閉門(야불폐문)*: *밤*에 대문을 닫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세상이 태평하여 인심이 순박함을 이르는 말.
"* 三鐘懺法(삼종참법)*: 죄악(罪惡)을 참회(懺悔)하는 세 가지 방*법*(方法). 곧 작*법*참(作法懺)ㆍ취상참(取相懺)ㆍ무생참(無生懺)을
이름.
#이름 #무생 #죄악 #참회 #방*법*"
"* 驚天(경천)*: *하늘*을 놀라게 하고 땅을 뒤흔든다는 뜻으로, 세상을 몹시 놀라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땅 #말 #비유 #*하늘* #세상"
"* 博學審問(박학심문)*: 널리 배우고 *깊이* 묻는다는 뜻으로, 널리 배우고 상세하게 묻는 에 서술된 학문 연구 방법.
#학문 #상세 #자세 #중용 #태도 #방법 #연구 #사람"
* 彌縫策(미봉책)*: 눈가림만 하는 일시적인 꾀나 방법.
"* 江湖煙波(강호연파)*: (1)대*자연*의 풍경. (2)강이나 호수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기운. 또는 그 수면의 잔물결.
#강 #안개 #풍경 #의미 #경치 #산수 #*자연* #기운 #잔물결 #대*자연*"
"* 修學務早(수학무조)*: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수행은 기억력이 *왕성*한 소년시절에 해야 한다는
의미.
#일 #학문 #소년 #때 #의미 #학업 #시절 #수행 #*왕성*"
"* 松都契員(송도계원)*: 송도의 계원이라는 뜻으로, 낮은 *지위*나 작은 세력을 믿고 남을 멸시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세력 #낮 #*지위* #사람"
"* 互相入葬(호상입장)*: *서로* 장례를 들인다는 뜻으로, 친족을 한 묘지에 장사지낸다는 뜻으로 쓰이거나, 주인이 없는 산에 아무나
마음대로 장사지냄을 이르는 말.
#주인 #마음 #친족 #장사 #묘지 #산 #장례"
"* 是父是子(시부시자)*: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뜻으로, 그 *아비*를 닮은 그 자식이라는 의미에서 부자(父子)가 모두 훌륭함을
이르는 말.
#자식 #아들 #부자 #*아비* #의미 #훌륭"
* 德業相勸(덕업상권)*: 향약의 네 가지 덕목 *가운데* 하나. 좋은 일은 서로 권하여 장려해야 함을 이른다.
"* 老鼠燒尾(노서소미)*: *재능*(才能)이 없으면서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재능* #급제 #과거 #비유"
"* 棟梁之材(동량지재)*: 기둥과 들보로 쓸 만한 재목이라는 뜻으로, 한 집안이나 한 나라를 떠받치는 중대한 일을 맡을 만한 *인재*를
이르는 말.
#일 #중대 #나라 #의미 #기둥 #들보 #재목 #집안 #*인재* #훌륭"
"* 桑濮之音(상복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뽕나무 #남녀 #말 #복수 #때문 #밭 #복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血誠男子(혈성남자)*: 용감(勇敢)스럽고 의기(義氣)가 있어서 죽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나이.
#사나이 #용감"
* 家親(가친)*: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弱冠(약관)*: (1)젊은 *나이*. (2)남자의 스무 살 전후의 *나이*.
"* 蓬頭歷齒(봉두역치)*: 쑥대강이같이 헙수룩하게 흐트러진 *머리털*에 성긴 이라는 뜻으로, 노인의 용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모 #노인 #강 #쑥 #비유 #*머리털* #쑥대 #대강"
"* 奇貨可居(기화가거)*: 진기한 물건은 잘 간직하여 나중에 *이익*을 남기고 판다는 뜻으로,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함을 이르는
말."
"* 二八靑春(이팔청춘)*: 16세 무렵의 꽃다운 청춘. 또는 혈기 왕성한 *젊은* 시절.
#자체 #무렵 #여섯 #봄철 #전후 #청춘 #꽃 #시절 #나이 #왕성 #사람"
"* 虎死留皮人死留名(호사유피인사유명)*: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은 죽어서
명예를 남겨야 함을 이르는 말."
"* 得意之秋(득의지추)*: 일이 뜻대로 이루어졌거나 이루어질 좋은 기회.
#일 #기회"
* 浮艶(부염)*: 겉은 화려(華麗)*하나* 실속(實-)은 없음.
"* 在三之義(재삼지의)*: *군사*부(君師父)의 은혜(恩惠)에 보답(報答)하고자 정성(精誠)을 다하는 도리(道理)를 이르는 말.
#君師父 #은혜 #보답 #정성"
* 白菊粉山面丹楓脂洞口(백국분산면단풍지동구)*: 흰국화는 산의 *얼굴*에 단장(丹粧)을 하고, 단풍은 마을의 입구(入口)에 연지를 바름.
"* 堅白同異(견백동이)*: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문인 공손룡이 논한 궤변. 단단하고 흰 돌은 눈으로 보아 흰 것은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아 단단한 것은 알 수 있으나 빛이 흰지는 모르므로, 단단한 돌과 흰 돌은 동시에 성립하는 개념이
아니라고 하였다.
#빛 #그것 #빛깔 #단단 #눈 #시대 #전국 #때 #공손 #*중국* #물건 #조나라 #문인 #설명 #전국시대 #개념 #동일"
"* 面壁修道(면벽수도)*: *얼굴*을 벽에 대고 도를 닦는 것.
#*얼굴*"
* 男兒須讀五車書(남아수독오거서)*: 남자(男子)는 모름지기 다섯수레에 실을 만큼의 *책*을 읽으라는 말.
"* 薄酒山菜(박주산채)*: (1)맛이 변변하지 못한 술과 산나물. (2)자기가 내는 술과 안주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변변 #*겸손* #안주 #맛 #술 #산나물"
* 多友之人當事無誤(다우지인당사무오)*: *벗*이 많은 사람은 일을 당(當)하여 그르침이 없음.
"* 零落掃地(영락소지)*: 지위나 *부귀* 따위가 쓸려 내려간 듯이 싹 없어짐.
#*부귀* #땅 #따위 #지위"
"* 剪草除根(전초제근)*: 풀을 베고 뿌리를 캐내다는 뜻으로, 즉 미리 폐단(弊端)의 *근본*(根本)을 없애 버림.
#폐단 #버림 #*근본* #뿌리"
* 海誓山盟(해서산맹)*: 영구히 존재하는 *바다*와 산에 맹세한다는 뜻으로, 매우 굳게 맹세함을 이르는 말.
"* 家徒四壁(가도사벽)*: *집안*이 네 벽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 형편(形便)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형편 #*집안*"
"* 濟濟蹌蹌(제제창창)*: 몸가짐이 *위엄*이 있고 질서가 정연함.
#몸가짐 #*위엄* #정연"
"* 護疾忌醫(호질기의)*: 병을 숨겨 의사에게 보여 주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에게 충고받기를 꺼려 *자신*의 잘못을 숨기려 함을 이르는
말.
#충언 #말 #결점 #보호 #과정 #병 #의사 #잘못 #의미 #비유 #수양 #의원 #*자신* #충고 #사람"
첫머리
"* 死灰復然(사회부연)*: 사그라진 재에서 불이 되살아난다는 뜻으로, 세력(勢力)을 잃은 사람이 다시 세력(勢力)을 얻음.
#사람 #불 #세력"
* 浩氣(호기)*: (1)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 (2)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
"* 頭上安頭(두상안두)*: 머리 위에 머리를 편안하게 두다는 뜻으로, 이중으로 머리가 있는 것처럼 *사물*이 중복되거나 흉내만 내고
발전이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 何以得此(하이득차)*: 무슨 까닭으로 이것을 얻는가의 뜻으로, 뜻밖의 소득이 있는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이것 #뜻밖 #소득 #까닭"
"* 兩窮相合(양궁상합)*: (1)‘양궁상합’의 북한어. (2)가난한 두 사람이 함께 모여 *관계*를 맺는다는 뜻으로, 일이 잘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勿輕小事(물경소사)*: 작은 일도 가볍게 여기지 말라는 뜻으로, 사소한 일이라 하더라도 신중하게 대처하라는 의미.
#의미 #일 #신중 #대처"
* 桑碧(상벽)*: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單文孤證(단문고증)*: 한 *쪽*의 문서ㆍ한 개의 증거라는 뜻으로, 불충분한 증거를 이르는 말.
"* 眼光撤紙背(안광철지배)*: 눈빛이 종이의 뒤까지 꿰뚫어본다는 뜻으로, 독서(讀書)의 이해력(理解力)이 날카롭고 깊음을 이르는 말.
#종이 #눈빛 #독서 #이해력"
"* 春北秋南雁朝西暮東虹(춘북추남안조서모동홍)*: 봄에는 북으로 가을에는 *남*으로 가는 기러기요, 아침에는 서쪽에서 저녁에는 동쪽에서
빛나는 무지개임."
"* 無念無想(무념무상)*: 무아의 경지에 이르러 일체의 마음속에 품고 있는 여러 가지 생각을 떠남.
#마음속 #일체 #번뇌 #생각 #의미 #무아"
"* 狐鼠之盜(호서지도)*: 여우와 쥐 같은 도둑이라는 뜻으로, 여우와 쥐를 소인(小人)이나 좀도둑에 비유들어 그러한 소인배와 같은
간사하고 못된 무리나 좀도둑을 이르는 말로 *사용*함."
* 大智如愚(대지여우)*: 슬기로운 *사람*은 그 슬기를 함부로 드러내지 않으므로 겉으로는 어리석게 보인다는 말.
* 波涌雲亂(파용운란)*: 물결이 *용*솟음치고, 구름이 어지럽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이 어지럽게 혼란(混亂)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街說巷談(가설항담)*: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
"* 魯魚之謬(노어지류)*: 노(魯)와 어(魚)는 *글자* 모양(模樣)이 비슷해 틀리기 쉽다는 뜻으로, *글자*를 잘못 쓰는 일을 이르는
말.
#일 #모양 #*글자*"
"* 洗手奉職(세수봉직)*: 손을 씻고 공직에 봉사한다는 뜻으로, 공사(公事)에 청렴*결백*(淸廉潔白)함을 이르는 말.
#公事 #청렴*결백* #*결백* #청렴"
"* 蛾眉(아미)*: 누에나방의 *눈썹*이라는 뜻으로, 가늘고 길게 굽어진 아름다운 *눈썹*을 이르는 말. 미인의 *눈썹*을 이른다.
#미인 #말 #*눈썹* #나방 #비유"
"* 雲煙過眼(운연과안)*: 구름이나 연기가 문득 눈을 지나 *사라*진다는 뜻으로, 사물이 순식간에 *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물 #마음 #눈 #눈앞 #일시적 #비유 #안개 #구름 #즐거움"
"* 不知不識間(부지불식간)*: *생각*하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는 사이.
#일 #파악 #현상 #상황 #*생각* #사이"
"* 戴星(대성)*: 별을 머리 위에 이고 있다는 뜻으로, *아침* 일찍 집을 나가 밤늦게 돌아옴을 이르는 말.
#*아침* #별 #집 #머리 #비유 #저녁"
* 豪傑男子(호걸남자)*: 호걸의 면모를 지닌 *남*자.
* 閑談客說(한담객설)*: 심심*풀*이로 하는 실없는 말.
"* 頭重脚輕(두중각경)*: *정신*이 어찔하고 다리에 힘이 빠져 쓰러짐.
#힘 #*정신* #다리"
유유
"* 會稽之恥(회계지치)*: 회계산에서의 수치라는 뜻으로, 전쟁에 패한 치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에게 후이지산(會稽山)에서 패전하고 생포되어 굴욕적인 강화를 맺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結草報恩(결초보은)*: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아버지의 첩을 개가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그 서모 아버지의 혼이 적군의 앞길에 풀을
묶어 적을 넘어뜨려 위과가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高踏主義(고답주의)*: 속세에 초연하며 현실과 동떨어진 것을 고상하게 여기는 사상이나 *태도*.
* 棟樑之臣(동량지신)*: 한 나라의 중요(重要)한 책임(責任)을 맡아 수행(遂行)할 만한 *신하*(臣下).
"* 驚蟄(경칩)*: 이십사절기의 하나.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들며, 양력 3월 5일경이다. 겨울잠을 자던 벌레, 개구리
따위가 깨어 꿈틀거리기 *시작*한다는 시기이다."
* 力學以讀書爲本(역학이독서위본)*: 역학은 독서로 *근본*을 삼는다.
"* 魚頭鳳尾(어두봉미)*: *물고기*는 머리 쪽이 맛이 있고 짐승 고기는 꼬리 쪽이 맛이 있다는 말.
#머리 #꼬리 #맛 #쪽 #짐승"
"* 潛德之幽光(잠덕지유광)*: 숨겨져 있는 덕의 그윽한 빛이라는 뜻으로,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유덕(有德)한 사람의 그윽한 빛이라는
의미."
"* 非帛不煖(비백불난)*: 비단이 아니면 따뜻하지 않다는 뜻으로, 비단옷이 아니면 따뜻함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쇠약해진 노년기를 이르는
말."
"* 嗟爾小子敬受此(書차이소자경수서)*: 자, 너희 어린이들아! *공경*(恭敬)하는 마음으로 이글을 받아들여야 함.
#*공경* #마음 #어린이"
"* 寸鐵殺人(촌철살인)*: 한 치의 쇠붙이로도 *사람*을 죽일 수 있다는 뜻으로, 간단한 말로도 남을 감동하게 하거나 남의 약점을 찌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恬而不知怪(염이부지괴)*: 마음이 태평하여 평*범*히 보아 넘기거나 조금도 이상하게 여기지 아니함.
"* 一生一代(일생일대)*: 한 사람이 나서 죽을 때까지의 동안.
#세대 #때 #평생 #동안 #한평생 #삶 #사람"
"* 我身不善辱及父母(아신불선욕급부모)*: 내 몸이 착하지 못하면 욕됨이 *부모*(父母)님께 미침.
#몸 #*부모* #욕"
* 傍若無人(방약무인)*: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아무 거리낌 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는 태도가 있음.
* 天何言哉(천하언재)*: *하늘*은 아무 말도 하지 않지만 도(道)는 반드시 행(行)함.
"* 朝出暮入(조출모입)*: (1)날마다 아침에 일찍 나갔다가 저녁에 늦게 들어온다는 뜻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얼마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사물*이 항상 바뀌어 정체됨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물* #아침 #시간 #집 #저녁 #얼마 #귀"
"* 篳路藍縷(필로남루)*: 거친 수레와 누더기 옷이라는 뜻으로, 섶나무로 거칠게 만든 허술한 수레를 타고 누더기 옷을 입는 것처럼
천신만고를 참으며 *노력*하는 일의 의미하거나, 일을 처음으로 창시(創始)하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借人典籍勿毁必完(차인전적물훼필완)*: 남의 *책*을 빌려 오면 훼손(毁損)시키지 말고 반드시 온전(穩全)하게 함.
"* 靑春(청춘)*: (1)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이라는 뜻으로,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을 이르는 말. (2)1914년 10월에 최남선이 창간한 우리나라 최초의 월간 종합지. 청년을 상대로 한 계몽지로서 ≪소년≫지가
폐간된 후 그 후신으로 발간한 것으로, 신문학 운동이 일어나던 무렵에 문학 작품의 발표 및 문예 작품 현상 모집에 의한 창작 의욕의
진작, 해외 문학 번역 소개 등 문학 발전에 큰 구실을 하였다. 1918년 8월까지 통권 15호를 냈다. (3)독일의 극작가
할베(Halbe, M.)가 지은 희곡. 주인공 안헨은 대학생인 한스와 사랑을 나누나, 안헨의 이복 오빠가 질투심에서 한스를 죽이려다
잘못해서 동생 안헨을 죽이게 된다는 내용이다. 청춘의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그 당시 연애 희곡의 대표작이다. 1893년에
초연되었다. 3막. (4)1936년에 극작가 남궁만(南宮滿)이 쓴 희곡. 평양 변두리의 빈민굴에서 살아가는 실직 노동자 가족의 비극을
다룬 작품이다.
#내용 #의욕 #창작 #당시 #후반 #주인공 #현상 #진작 #8월 #시절 #문학 #나이 #초연 #인생 #봄철 #사랑 #운동 #안헨 #작품 #발전 #10월 #무렵 #가족 #소년 #
상대 #발표 #우리 #동생 #우리나라 #주제 #구실 #비극 #잘못 #나라 #청년 #만물 #청춘 #독일"
* 蓬頭垢面(봉두구면)*: 흐트러진 머리와 때 묻은 *얼굴*이라는 뜻으로, 성질이 털털하여 외양에 개의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電光石火(전광석화)*: 번갯불이나 부싯돌의 불이 번쩍거리는 것과 같이 매우 짧은 *시간*이나 매우 재빠른 움직임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부싯돌 #말 #*시간* #형용 #신속 #움직임 #불 #번갯불 #비유 #번개 #동작 #따위"
"* 刺客奸人(자객간인)*: 남을 몰래 찔러 죽이는 *사람*과 남을 헐뜯고 이간질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마음씨가 몹시 모질고 악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마음 #마음씨 #악 #이간질 #간사 #*사람*"
"* 糟糠不飽(조강불포)*: 가난하여 술찌끼와 *쌀*겨조차 배부르게 먹을 수 없음.
#*쌀*겨 #술 #가난"
* 風樹之悲(풍수지비)*: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父公(부공)*: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捉襟見肘(착금현주)*: 옷깃을 당기면 팔꿈치가 드러난다는 뜻으로, 생활이 극도로 빈한(貧寒)하거나 이것저것 미처 돌볼 수 없는 딱한
사정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眼光紙背撤(안광지배철)*: 눈빛이 종이의 뒤까지 꿰뚫어본다는 뜻으로, *독서*(讀書)의 이해력(理解力)이 날카롭고 깊음을 이르는 말.
#종이 #눈빛 #*독서* #이해력"
"* 登高而招(등고이초)*: 높은 곳에 올라가서 부른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올라가 사람을 부르면 먼 곳에 있는 사람도 잘 볼 수 있는
것처럼 효과를 얻으려면 *물건*을 이용해야 한다거나 수신을 하려면 배움에 의해야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忘年之交(망년지교)*: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벗*.
#재주 #사귐 #일 #허물 #학문 #*벗* #차이 #나이 #존중"
"* 朝得暮失(조득모실)*: 아침에 얻어 *저녁*에 잃는다는 뜻으로, 얻은 지 얼마 되지 않아 곧 잃어버림을 이르는 말.
#*저녁* #아침 #얼마 #말"
"* 泡幻(포환)*: 물거품과 환상이라는 뜻으로, 세상의 *허무*함을 이르는 말.
#환상 #물 #비유 #*허무* #전함 #세상"
"* 乘風破浪(승풍파랑)*: 먼 곳까지 불어 가는 *바람*을 타고 끝없는 바다의 파도를 헤치고 배를 달린다는 뜻으로, 원대한 뜻이 있음을
이르는 말."
"* 華胥之夢(화서지몽)*: 낮잠 또는 좋은 *꿈*을 이르는 말. ≪열자≫의 에 나오는 말로, 고대 중국의 황제가 낮잠을 자다 *꿈*을
꾸었는데 화서라는 나라에 가서 그 나라의 어진 정치를 보고 깨어나 깊이 깨달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고대 #말 #황제 #*꿈* #화 #사용 #나라 #의미 #길 #중국 #깊이 #낮잠 #유래 #정치"
"* 桑麻之交(상마지교)*: 뽕나무와 삼나무를 벗 삼아 지낸다는 뜻으로, 전원에 은거하여 *시골* 사람들과 사귀며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귐 #뽕나무 #은거 #농부 #벗 #권세 #영달 #사람들 #전원 #길 #*시골* #사람"
"* 虎吻(호문)*: 호랑이의 입술이라는 뜻으로, 위험한 *지경*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입술 #호랑이 #*지경* #위험"
"* 北馬南船(북마남선)*: 중국의 북쪽은 산과 사막이 많아서 말을 이용하고 남쪽은 강이 많아서 배를 이용한다는 뜻으로, 늘 쉬지 않고
*여기*저기 여행을 하거나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배 #강 #말 #방 #이용 #여행 #사방 #중국 #남쪽 #북쪽 #산"
"* 同惡相助(동악상조)*: 악인(惡人)도 악(惡)한 일을 이루기 위(爲)해서는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끼리 *서로*
도움을 이르는 말.
#일 #도움 #동류 #악인 #악 #끼리"
"* 升堂入室(승당입실)*: (1)마루에 오른 다음 방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일에는 차례가 있음을 이르는 말. (2)*학문*이 점점
깊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錦繡江山(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강*산 #아름 #나라 #의미 #산천 #우리 #비단 #우리나라"
"* 建安詞人(건안사인)*: 중국 *후한* 건안 때의 문학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후한* #이름 #때 #문장 #중국"
"* 股肱(고굉)*: (1)다리와 팔이라는 뜻으로, 온*몸*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
#온*몸* #신하 #임금 #신임 #다리"
* 蒼顔白髮(창안백발)*: 늙은이의 쇠한 얼굴빛과 센 머리털.
태평
"* 下凌上替(하릉상체)*: 아래가 능멸하여 위가 쇠퇴한다는 뜻으로,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능멸(凌犯)하여 *윗사람*의 권위(權威)가
땅에 떨어짐을 이르는 말.
#아랫사람 #*윗사람* #땅 #아래 #권위 #능멸 #쇠퇴"
"* 巫山雲(무산운)*: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醉飽淫臥(취포음와)*: 취하도록 배불리 먹고 음탕하게 누워잔다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배불리 먹고 음탕하게 잠을 자듯 문란한 *생활*을
이르는 말.
#음탕 #음식 #문란 #잠 #술 #*생활*"
"* 天地玄黃(천지현황)*: 하늘은 위에 있어 그 빛이 검고 땅은 *아래* 있어서 그 빛이 누름.
#빛 #누름 #땅 #*아래* #하늘"
* 徹天之寃(철천지원)*: 하늘에 사무치는 원한이라는 뜻으로, 하늘에 사무칠 *정도*의 크나큰 원한.
"* 萬事太平(만사태평)*: (1) 어리석어서 모든 일에 아무 걱정이 없이 지냄을 비웃는 말 (2) 모든 일이 잘 되어서 험난(險難)함이
없음.
#일 #험난 #걱정 #말"
* 一言居士(일언거사)*: 말참견하기를 좋아하는 사람.
"* 頓悟漸修(돈오점수)*: 고려 시대에, 지눌이 주장한 불교의 선(禪) 수행 방법. 무인 정권 *시기*에 불교 교단을 개혁하기 위하여
주장한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부처가 되려면 진심을 깨닫고,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점진적 #지눌 #시대 #이전 #불교 #정권 #고려 #불 #진심 #사상 #수행 #가운데 #불가 #과정 #국사 #선 #부처 #방법 #깨달음 #의미 #주장 #강조 #개혁"
"* 望五(망오)*: (1)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마흔하나를 이르는 말. (2)궁중에서, 임금과 *왕*후, *왕*대비의 나이가
쉰이 되기 이삼 년 전에 베풀던 경축연."
"* 木婚式(목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나무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나무 #풍속 #*의식* #부부 #기념"
* 三分鼎足(삼분정족)*: 셋으로 나뉜 것이 솥의 발 같다는 뜻으로, 솥발처럼 삼자(三者) *천하*를 삼분(三分)하고 있다는 의미.
"* 太平人樂德而惡刑(태평인락덕이오형)*: *태평*(太平)한 세상(世上) 사람은 덕을 행(行)하기는 즐기나, 형법(刑法)에
저촉(抵觸)됨은 몹시 싫어함.
#*태평* #사람 #행 #세상"
* 岳父(악부)*: *아내*의 친아버지.
* 山間僻村(산간벽촌)*: 구석지고 후미진 *산*골의 마을.
"* 捐金沈珠(연금침주)*: 금을 산에 버리고 구슬을 못에 빠뜨린다는 뜻으로, 재물(財物)을 가벼이 보고 *부귀*(富貴)를 탐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구슬 #재물 #금 #*부귀* #산"
* 孝悌忠信(효제충신)*: 어버이에 대한 효도, 형제끼리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성과 벗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
"* 高拱(고공)*: (1)팔짱을 높이 낀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관계*하지 않고 방관하는 것을 이르는 말. (2)도가(道家)에서,
대법사를 이르는 말.
#일 #*관계* #비유 #팔짱"
"* 花鳥使(화조사)*: *남녀* 사이의 애정에 관계되는 일을 심부름하여 주는 사람.
#일 #새 #사신 #*남녀* #애정 #심부름 #사랑 #사이 #관계 #꽃 #사람"
* 朝露人生(조로인생)*: *아침* 이슬과 같은 인생이라는 뜻으로, 허무하고 덧없는 인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七步成詩(칠보성시)*: 일곱 걸음에 한 편의 시를 완성한다는 뜻으로, 시를 빨리 잘 짓는 *재주*를 이르는 말.
#*재주* #완성 #걸음 #편의 #일곱"
"* 無緣慈悲(무연자비)*: *부처*가 모든 중생에게 차별 없이 베푸는 절대 평등의 자비.
#자비 #평등 #*부처* #차별 #중생 #절대"
"* 詠雪之才(영설지재)*: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국 진나라 사(謝) 씨의 *딸*이 시를 짓는데 눈을 보고 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재주 #여자 #말 #글재주 #바람 #눈 #*딸* #버들 #씨 #비유 #중국 #진나라 #유래"
"* 薄氷如履(박빙여리)*: 엷은 *얼음*을 밟듯이 세상(世上)의 처세(處世)에 조심함.
#*얼음* #조심 #처세 #세상"
* 開物成務(개물성무)*: 만물의 뜻을 깨*달*아 모든 일을 이룸.
* 星行夜歸(성행야귀)*: 별 보고 가서 밤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아침* 일찍 집을 나가서 밤늦게 돌아옴을 의미함.
* 晝思夜度(주사야탁)*: 밤낮으로 깊이 *생각*하고 헤아림.
"* 頭東尾西(두동미서)*: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일 #때 #제물 #머리 #동쪽 #서쪽 #*꼬리* #제사상 #따위 #제사"
* 無風起瀾(무풍기란)*: *바람*도 없는데, 물결이 일어난다는 뜻으로, 대수롭지 않은 일에 큰 소동을 일으킨다는 의미.
* 曉風殘月(효풍잔월)*: *새*벽 바람과 지*새*는 달이라는 뜻으로, *새*벽 무렵의 달과 바람이라는 의미.
"* 落榜擧子(낙방거자)*: (1)‘낙방거자’의 북한어. (2)과거에 떨어진 *선비*. (3)어떤 일에 참여하려다가 제외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참여 #낙방 #제외 #*선비* #과거 #사람"
"* 貪官汚吏(탐관오리)*: 백성의 재물을 탐내어 빼앗는, 행실이 깨끗하지 못한 *관리*.
#백성 #부정 #욕심 #재물 #*관리* #의미 #탐욕 #깨끗 #벼슬아치 #행실"
벌레
* 滅門之患(멸문지환)*: 한 *집안*이 다 죽임을 당하는 끔찍한 재앙.
"* 非池中物(비지중물)*: 연못 속의 인물이 아니라는 뜻으로, 용이 때를 만나면 물을 벗어나 하늘로 올라가듯이 *영웅*도 때가 되면
세상에 나와 뜻을 편다는 것에서 장차 대성할 인물을 비유함.
#*영웅* #때 #물 #인물 #용 #비유 #하늘 #연못 #세상"
* 卵育(란육)*: (1)어미 닭이 *알*을 품듯, 품에 안아서 고이 기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난육’의 북한어.
"* 煙塵千里(연진천리)*: 연기와 먼지가 천리에 이른다는 뜻으로, 군마(軍馬)의 발굽에서 일어나는 흙먼지가 천리까지 끊이지 않는 것처럼
온 *세상*이 전란으로 어지러움을 비유한 말."
"* 道不拾遺(도불습유)*: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형벌이 준엄하여 백성이 *법*을 범하지 아니하거나 민심이
순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한비자≫의 에 나오는 말이다."
"* 自學自習(자학자습)*: 남의 가르침을 받지 아니하고 스스로 배우고 익힘.
#가르침 #스스로"
"* 五行相生(오행상생)*: 오행이 서로 가까이하여 생성하여 주는 *이치*.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의 *이치*이다."
"* 一炊之夢(일취지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 #여옹 #산 #인생 #비유 #노생 #유래 #도사 #세상 #주인 #소년 #누리 #부귀영화 #베개 #동안 #80세 #꿈 #밥 #영화 #부귀 #잠"
* 賴及萬方(뇌급만방)*: 만*방*(萬方)이 극(極)히 넓으나 어진 덕(德)이 고루 미치게 됨.
* 昨是今非(작시금비)*: 전날에는 옳다고 여기던 것이 오늘날에 와서는 그르다고 여기게 됨.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주색 #둘째 #사내 #인생 #장수 #교만 #형제 #*손자* #절도 #가운데 #사람 #셋째 #벗 #선 #교육 #天下 #하늘 #즐거움 #음악 #무고 #첫째 #갈래 #말 #천하 #군자
#부모"
"* 莫重國事(막중국사)*: 더할 수 없이 중대한 나랏일.
#중대 #나랏일"
"* 三革五刃(삼혁오인)*: 갑옷, 투구, 방패의 세 가지 *가죽* 무장(武裝)과 칼, 큰 칼, 세모창, 가지 달린 창, 화살의 다섯
가지 쇠붙이 무기.
#화살 #칼 #창 #방패 #갑옷 #무장 #쇠붙이 #*가죽*"
"* 狐不二雄(호불이웅)*: 여우는 수놈이 짝을 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수놈 두 *마리*가 동거하지 못하는 여우처럼 양웅(兩雄)은
병립(竝立)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여우 #영웅 #병 #비유 #*마리* #수놈 #짝"
"* 去弊生弊(거폐생폐)*: (1)‘거폐생폐’의 북한어. (2)부정적이거나 잘못된 것을 없애려다 *도리*어 다른 잘못이 생김.
#일 #부정 #잘못 #의미 #폐해 #생김"
* 患得患失(환득환실)*: 물건이나 *지위* 따위를 얻기 전에는 그것을 얻으려고 걱정하고, 얻은 후에는 그것을 잃지 아니하려고 근심함.
"* 百孔千瘡(백공천창)*: (1)온통 *구멍*과 상처투성이라는 뜻으로, 온갖 폐단과 결함으로 엉망진창이 된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옷이 여기저기 *구멍*이 나고 갈기갈기 찢어져 못 쓰게 된 상태를 이르는 말.
#폐단 #옷 #갖가지 #상처 #엉망 #백 #모양 #*구멍* #상태"
"* 簞食瓢飮(단사표음)*: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나무 #만족 #밥 #물 #의미 #대그릇 #음식 #그릇 #밥그릇 #표주박 #가난 #소박 #*대나무* #생활 #청빈"
* 一資半級(일자반급)*: 예전에, 보잘것없는 작은 *벼슬*을 이르던 말.
"* 酌量減輕(작량감경)*: 법률적으로는 특별한 사유가 없더라도 범죄의 정상에 참작할 만한 사유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법원이 그
형을 줄이거나 가볍게 하는 것.
#일 #경우 #사유 #범죄 #법원 #때 #법률 #정상 #특별 #법률적 #*판단* #형"
"* 途不拾遺(도불습유)*: 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나라가 잘 다스려져 백성(百姓)의 풍속(風俗)이
돈후(敦厚)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2) 형벌(刑罰)이 준엄(峻嚴)하여 백성(百姓)이 *법*을 범(犯)하지 아니함의 뜻으로도
쓰임."
* 上漏下濕(상루하습)*: 위에서는 비가 새고 *아래*에서는 습기가 오른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한 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伯兪之孝(백유지효)*: 백유의 *효*도.
"* 入鄕循俗(입향순속)*: 다른 지방에 들어가서는 그 지방의 풍속을 따름. ≪회남자≫의 과 ≪*장자*≫의 에 나오는 말이다.
#말 #따름 #풍속 #*장자* #지방 #의미 #마을"
"* 江南一枝春(강남일지춘)*: 강남에서 매화나무 가지 하나를 꺾어 보낸다는 뜻으로, 친구에게 선물이나 정표를 보내 우정을 *전함*을
이르는 말.
#말 #대신 #선물 #나무 #친구 #때 #우정 #돈독 #*전함* #강남 #매화 #사이"
* 滄海一滴(창해일적)*: 넓고 큰 바다 속의 물방울 하나라는 뜻으로, 아주 큰 *물건*(物件) 속에 있는 아주 작은 *물건*(物件).
* 仰事俯畜(앙사부휵)*: 우러러 섬기고 굽어서 기른다는 뜻으로, 위로는 *부모*를 봉양하고 아래로는 처자식을 기른다는 의미.
"* 紅一點(홍일점)*: (1)푸른 잎 가운데 피어 있는 한 송이의 *붉은* 꽃. 왕안석의 영석류시(詠石榴詩)에서 유래한다. (2)여럿
속에서 오직 하나 이채(異彩)를 띠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많은 남자 사이에 끼어 있는 한 사람의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여자 #사람 #가운데 #송이 #남자 #비유 #꽃 #의미 #잎 #여럿 #왕안석 #점 #유래 #사이"
"* 煙幕作戰(연막작전)*: 어떤 *사실*을 숨기기 위하여 약삭빠르고 능청스러운 말이나 수단 따위를 써서 상대편이 갈피를 못 잡게 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문제 #말 #상대편 #교묘 #갈피 #전술 #*사실* #상대방 #핵심 #수단 #따위"
"* 人給家足(인급가족)*: 사람들이 넉넉하고 집안이 풍족하다는 뜻으로, 집집마다 *의식*주에 부족함이 없다는 의미.[ = 家給人足].
#집집 #부족함 #부족 #의미 #풍족 #집안 #넉넉 #사람"
기름
"* 七去(칠거)*: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 鴻漸(홍점)*: 큰 기러기가 *아래*로부터 차차 위로 날아 올라간다는 뜻으로, 차례로 벼슬이 올라감을 이르는 말.
* 同文同軌(동문동궤)*: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 妻城子獄(처성자옥)*: 아내는 성(城)이고 자식은 감옥이라는 뜻으로, 처자가 있는 사람은 거기에 얽매여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일 #자식 #성 #처자 #감옥 #*자유* #활동 #비유 #집안 #성과 #아내 #행동 #사람"
* 山影推不出月光掃還生(산영추불출월광소환생)*: 산 그림자는 밀어도 나*가지* 않고, 달빛은 쓸어도 다시 생김.
"* 風波之民(풍파지민)*: 바람과 *물결* 같은 백성이라는 뜻으로, 마음이 동요(動搖) 되기 쉬운 백성이나, 마음이 동요되기 쉬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백성 #마음 #바람 #*물결* #동요 #비유 #사람"
"* 蛇心佛口(사심불구)*: 뱀의 *마음*에 부처의 입이라는 뜻으로, 속으로는 간악한 *마음*을 품고 있으면서 입으로는 착한 말을 하는
행동이나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上下相蒙(상하상몽)*: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속임.
* 夫婦有別(부부유별)*: 오륜(五倫)의 하나.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 欺人取物(기인취물)*: 사람을 속이고 재*물*을 빼앗음.
"* 粒粒辛苦(입립신고)*: (1)낟알 하나하나가 모두 농부의 피땀이 어린 결정체라는 뜻으로, *곡식*의 소중함을 이르는 말. (2)어떤
일을 이루기 위하여 고심하여 애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곡식* #농부 #고생 #의미 #고통 #괴로움 #결과"
"* 犬馬之役(견마지역)*: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말.
#충성 #윗사람 #말 #노력 #자신 #*힘* #정도"
"* 代馬依北風(대마의북풍)*: 북쪽 *지방*(地方)인 代郡(대군)에서 태어난 말은 늘 북풍을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고향(故鄕)을 잊기가
매우 어려움.
#말 #고향 #어려움 #*지방* #북풍 #북쪽"
"* 江山萬古主人物百年賓(강산만고주인물백년빈)*: 강과 산은 만고의 *주인*(主人)이요, 사람은 백년(잠시(暫時) 왔다가는)의 손님임.
#*주인* #강 #백년 #만고 #손님 #백 #산 #사람"
"* 兄弟鬩牆外禦其侮(형제혁장외어기모)*: *형제*(兄弟)는 담장 안에서는 싸우기도 하나, 밖에서 모욕(侮辱)을 당(當)하면 함께 이를
막음.
#밖 #*형제* #담장 #모욕"
"* 兄弟姉妹友愛而已(형제자매우애이이)*: 형제(兄弟)와 자매(姉妹)는 서로 우애(友愛)할 따름임.
#따름 #자매 #형제 #서로 #우애"
"* 同室同居(동실동거)*: 같은 집에서 같이 산다는 뜻으로, 같은 방을 쓰는 부부(夫婦)를 의미하거나 *일가*(一家)를 이르기도 함.
#일 #방 #집 #의미 #부부 #*일가*"
"* 毛織婚式(모직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4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모직으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마흔 #결혼 #선물 #풍속 #*의식* #부부 #기념"
"* 狐死首丘(호사수구)*: (1)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제가 살던 굴이 있는 언덕으로 *돌*린다는 뜻으로, 죽을 때라도 자기의 근본을
잊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2)고향을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 風行霜烈(풍행상렬)*: 바람처럼 빠르고 서리처럼 매섭고 엄혹(嚴酷)하다는 뜻으로, *기세*가 맹렬함을 이르는 말.
#서리 #맹렬 #*기세* #바람"
* 孑孑單身(혈혈단신)*: 의지할 곳이 없는 외로운 홀*몸*.
"* 蓮花世界(연화세계)*: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 猫鼠同眠(묘서동면)*: 쥐와 고양이가 함께 잔다는 뜻으로, 상하(上下)가 *부정*(不正)하게 결탁(結託)하여 나쁜 짓을 함을 이르는
말.
#쥐 #고양이 #*부정* #상하"
* 三綱五常(삼강오상)*: 삼*강*(三綱)과 오상(五常)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를 이른다.
* 天崩地壞(천붕지괴)*: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짐.
"* 積如丘山(적여구산)*: *산*더미같이 많이 쌓임.
#*산* #*산*더미"
"* 董狐之筆(동호지필)*: 사실을 숨기지 아니하고 그대로 씀을 이르는 말.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사관(史官)이었던 동호(董狐)가
위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실을 사실대로 직필(直筆)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滿庭桃花(만정도화)*: 뜰에 가득한 복숭아*꽃*.
#가득 #복숭아*꽃*"
"* 內無主張(내무주장)*: 집안 살림을 맡아 할 안주인이 없음.
#살림 #안주 #집안"
"* 父子有親君臣有義(부자유친군신유의)*: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臣下) 사이에는 의리(義理)가
있어야 함.
#*신하* #임금 #의리 #아들 #사이"
"* 同床各夢(동상각몽)*: 같은 침상(寢床)에서 서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1) 겉으로는 같이 행동(行動)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 *생각*을 함을 이르는 말 (2) 비유적(比喩的)으로, 같은 입장(立場)ㆍ일인 데도 목표(目標)가 저마다 다름을 일컫는 말(3)
기거(起居)를 함께 하면서 서로 다른 *생각*을 함."
"* 一虛一實(일허일실)*: 없어졌다 생겨났다 한다는 뜻으로, *변화*가 무쌍함을 이르는 말.
#어려움 #*변화*"
"* 塵飯塗羹(진반도갱)*: 먼지를 담아 밥이라 하고 진*흙*을 담아 국이라 한다는 뜻으로, 어린 아이의 소꿉놀이란 의미에서 실제에
소용되지 않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진*흙* #일 #아이 #실제 #놀이 #밥 #비유 #의미 #소용"
* 江山不老(강산불로)*: 강*산*(江山)은 늙지 않고 영구(永久) 불변(不變)이라는 뜻으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비는 말.
* 上下之分(상하지분)*: 위와 아래의 분*별*.
"* 犬馬之心(견마지심)*: 개나 말이 *주인*을 위하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신하나 백성이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하는 마음을 낮추어 이르는
말."
* 葛巾野服(갈건야복)*: 갈건과 베옷이라는 뜻으로, 은사(隱士)나 처사(處士)의 거칠고 소박한 옷차림을 이르는 말.
"* 殺生禁斷(살생금단)*: 자비의 *정신*으로 생물을 죽이지 못하게 금지하는 일.
#자비 #일 #새 #*정신* #불교 #금 #살생 #생물 #짐승"
"* 三水甲山(삼수갑산)*: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산*골 #조선 #시대 #양지 #나라 #함경도 #우리나라 #우리 #지세 #귀"
"* 半醉半醒(반취반성)*: 반쯤 취하고 반쯤 깨어 있음. 술이 덜 깬 *상태*를 이른다.
#술 #*상태*"
"* 下堂伏地(하당복지)*: 윗사람에 대한 존경의 뜻으로 아랫사람이 방이나 마루에서 내려와 *땅*에 엎드림.
#아랫사람 #윗사람 #*땅* #대청 #방 #마루 #의미 #존경 #복종 #사람"
* 語文一致(어문일치)*: 실제로 쓰는 말과 그 말을 적은 글이 *일*치함.
"* 鳥之兩翼(조지양익)*: 새의 양 날개라는 뜻으로, 꼭 필요(必要)한 *관계*(關係).
#새 #양 #*관계* #필요 #날개"
"* 文房四友(문방사우)*: 종이, *붓*, 먹, 벼루의 네 가지 문방구.
#*붓* #방 #벗 #문인 #종이 #벼루"
* 博引旁證(박인방증)*: 널리 예(例)를 인*용*하고 두루 증거를 보여 논함.
"* 落落辰星(낙락신성)*: 드물기가 새벽별 같다는 뜻으로, 같은 나이의 *친구*(親舊)가 새벽별처럼 드물다는 말.
#*친구* #말 #나이"
"* 八珍之味(팔진지미)*: *중국*에서 성대한 음식상에 갖춘다고 하는 진귀한 여덟 가지 음식의 아주 좋은 맛. 순모(淳母),
순오(淳熬), 포장(炮牂), 포돈(炮豚), 도진(擣珍), 오(熬), 지(漬), 간료(肝膋)를 이르기도 하고 용간(龍肝), 봉수(鳳髓),
토태(兔胎), 이미(鯉尾), 악적(鶚炙), 웅장(熊掌), 성순(猩脣), 수락(酥酪)을 이르기도 한다.
#성대 #성 #돈 #여덟 #종류 #용 #음식 #*중국* #웅장 #맛 #악"
"* 知者不言(지자불언)*: 지자는 깊이 *재능*을 감추고 함부로 말을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노자(老子)≫ 56장에 나오는 말이다.
#사물 #마음속 #*재능* #말 #표현 #이치 #의미 #노자 #깊이 #사람"
"* 山峻水急(산준수급)*: 산의 *형세*가 험하고 물살이 빠름.
#산 #*형세*"
"* 無爲徒食(무위도식)*: 하는 일 없이 놀고먹음.
#의미 #일 #능력 #사람"
* 風流雲散(풍류운산)*: 바람이 불어 구름을 흩어 버린다는 뜻으로, 자취도 없이 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水至淸無魚(수지청무어)*: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없다는 뜻으로, 사람이 너무 지나치게 따지고 재면 따르는 무리가 없다는
의미. [= 水淸無大魚(수청무대어)].
#의미 #무리 #물 #사람"
"* 墨守(묵수)*: 제 의견이나 생각, 또는 옛날 습관 따위를 굳게 지킴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송나라의 묵자(墨子)가 성을
잘 지켜 초나라의 공격을 아홉 번이나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성 #말 #*춘추* #아홉 #시대 #초나라 #공격 #끝 #생각 #소신 #의견 #옛날 #관습 #중국 #묵자 #송나라 #유래 #습관 #따위"
"* 三刀之夢(삼도지몽)*: 칼 세 *자루*의 꿈이라는 뜻으로, 영전(榮轉)함을 이르는 말.
#칼 #꿈 #*자루*"
"* 形容枯槁(형용고고)*: 얼굴 모양이 야위어 파리하다는 뜻으로, 얼굴이 몹시 야위고 파리해서 외모가 초라해짐을 이르는 말.
#외모 #초라 #모양 #파리 #얼굴"
"* 石破天驚(석파천경)*: 돌을 깨뜨려 하늘도 놀란다는 뜻으로, 아주 의표(意表)를 찔러 형용할 수 없다는 것에서, '착상이
기발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 揮淚斬馬謖(후루참마속)*: 눈물을 뿌리면서 마속을 베다라는 뜻으로, 군율을 지키기 위해 아까운 장수 마속을 눈물을 흘리면서 베었던
제갈량의 고사에서, *천하*의 법도에는 사정(私情)이 있을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도사
"* 八珍之味(팔진지미)*: 중국에서 성*대한* 음식상에 갖춘다고 하는 진귀한 여덟 가지 음식의 아주 좋은 맛. 순모(淳母),
순오(淳熬), 포장(炮牂), 포돈(炮豚), 도진(擣珍), 오(熬), 지(漬), 간료(肝膋)를 이르기도 하고 용간(龍肝), 봉수(鳳髓),
토태(兔胎), 이미(鯉尾), 악적(鶚炙), 웅장(熊掌), 성순(猩脣), 수락(酥酪)을 이르기도 한다.
#성대 #성 #돈 #여덟 #종류 #용 #음식 #중국 #웅장 #맛 #악"
* 天下第一(천하제일)*: 세상에 견줄 만한 것이 없이 최고임.
* 如醉如夢(여취여몽)*: 취한 듯하기도 하고 *꿈* 같기도 함.
"* 與虎謨皮(여호모피)*: 호랑이에게 *가죽*을 내어 놓으라고 꾀다라는 뜻으로, 근본적으로 이룰 수 없는 일을 이르는 말.
#일 #근본적 #꾀 #호랑이 #근본 #*가죽*"
"* 春水滿四澤夏雲多奇峯(춘수만사택하운다기봉)*: 봄 물은 사방(四方) 연못에 *가득*하고, 여름 구름은 기이(奇異)한 봉우리가 많음.
#여름 #물 #사방 #구름 #봄 #연못 #*가득*"
"* 博學而詳說之(박학이상설지)*: *군자*(君子)가 박학함으로써 상세(詳細)히 풀이하는 것은 世人(세인)에게 학문(學問)을 자랑하려
함이 아니라, 요점(要點)을 알아듣도록 설명(說明)하기 위함이라는 말.
#말 #학문 #세인 #상세 #요점 #*군자* #학 #설명 #풀이 #자랑"
* 筆力扛鼎(필력강정)*: 문장의 *힘*이 강건함.
"* 破甑不顧(파증불고)*: 깨진 시루는 *돌*아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이미 깨진 그릇은 어쩔 수 없듯이 *돌*이키거나 만회할 수 없는
일을 아쉬워하거나 애통해 할 필요가 없이 단념한다는 의미."
"* 萬古不滅(만고불멸)*: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없어지지 아니함.
#동안 #세월"
"* 風燈(풍등)*: (1)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열기구의 원리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띄우는 등. 대나무로 된 뼈대 위에 한지로 만든 등갓을 붙인
다음 뼈대 가운데에 *기름*을 먹인 심지를 고정하여 만든다. 과거에는 밤에 하늘로 띄워 군사용 신호를 보내는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으나,
보통 복을 기원하거나 놀이를 위하여 띄운다.
#용도 #공중 #다음 #등화 #사물 #밤 #등불 #군사 #앞 #가운데 #대나무 #과거 #바람 #기원 #신호 #원리 #하늘 #풍 #*기름* #복 #이용 #놀이 #보통 #사용 #뼈대"
* 無本大商(무본대상)*: 밑천 없이 장사하는 큰 *장수*라는 뜻으로, 도둑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病風喪性(병풍상성)*: 병에 시*달*려 본성을 잃어버림.
"* 風聲鶴唳(풍성학려)*: 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에도 놀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전진 때 진왕 부견(苻堅)이 비수(淝水)에서 크게
패하고 바람 *소리*와 학의 울음*소리*를 듣고도 적군이 쫓아오는 것이 아닌가 하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소동 #바람 #약간 #병사 #왕 #놀람 #전진 #때 #비유 #*소리* #적군 #중국 #싸움 #유래 #울음*소리* #학 #사람"
"* 白色恐怖(백색공포)*: 권력자나 *지배* 계급이 반정부 세력이나 혁명 운동에 대하여 행하는 탄압.
#혁명 #권력 #탄압 #*지배* #백색 #운동 #프랑스 #왕실 #두려움 #흰색 #계급 #세력 #본래 #유래"
"* 男負女戴(남부여대)*: (1)‘남부여대’의 북한어. (2)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兎羅稚罹(토라치리)*: 토끼 그물에 꿩이 걸린다는 뜻으로, *소인*(小人)은 계교(計巧)로 좌에서 벗어나고, 군자(君子)가 도리어
화를 입음을 이르는 말.
#토끼 #*소인* #그물 #화 #꿩 #군자 #계교"
* 白首風塵(백수풍진)*: 늘그막에 *세상*의 어지러운 일이나 온갖 곤란을 겪게 됨을 이르는 말.
"* 不費之惠(불비지혜)*: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이익 #손해 #의미 #자신 #*은혜*"
"* 撤家逃走(철가도주)*: 가족을 모두 데리고 살림을 챙기어 *도망*감.
#살림 #*도망* #가족"
"* 筆大如椽(필대여연)*: *붓*의 크기가 마치 서까래와 같다는 뜻으로, 대문장가(大文章家)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대문 #서까래 #*붓* #비유"
"* 雲開見日(운개견일)*: *구름*이 열려 해를 보게된다는 뜻으로, 오랫동안 막히고 갇혔던 것이 비로소 열리어 통하는 의미나, 의문
또는 불안하던 것이 해소되거나 불화(不和)한 사이가 화해를 하게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附會(부회)*: 작품을 조직하는 원리.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창작론(創作論)에 해당하는 제43장의 제목이다. 말을 하나로 모으고
뜻과 이치를 통하게 한다는 뜻을 지니는 ‘부*사회*의(附辭會義)’의 준말이다. 문학 작품에 깃든 언어와 사고를 폭넓게 이해할 것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개념이다. 이 장에서 유협은 작품이 예술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서술하였다.
#창작 #때 #문학 #개념 #해당 #조직 #이론 #작품 #이해 #*사회* #준말 #유협 #원리 #언어 #제목 #말 #조화 #예술 #이치 #사용 #강조 #사고"
"* 八斗才(팔두재)*: 여덟 말의 *재주*라는 뜻으로, 팔 두나 되는 많은 양의 *재주*를 지닌 사람의 의미인데, 주로 시문(詩文)을
짓는 *재주*가 풍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似夢非夢(사몽비몽)*: *완전*히 잠이 들지도 잠에서 깨어나지도 않은 어렴풋한 상태.
#어렴풋 #잠 #상태"
"* 無量淸淨土(무량청정토)*: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세계 #아미타불 #불토 #안락 #사람 #정토 #인간 #이곳 #완전 #불 #서쪽 #*자유* #괴로움 #세상"
주장
"* 斑衣之戱(반의지희)*: 색동저고리의 놀이라는 뜻으로, 춘추시대 노나라의 노래자가 일흔 살이 되어도 색동저고리를 입고 노모 앞에서
어리광을 부려 어머니의 늙음을 잊게 했다는 고사에서 효양(孝養)을 비유.
#옷 #노래 #춘추 #앞 #시대 #때 #놀이 #나라 #비유 #노래자 #어머니 #부모 #노나라 #저고리 #고사 #일흔"
"* 正出之日(정출지일)*: 바로 뜨는 태양이라는 뜻으로, 때마침 돋는 태양처럼 *기세*가 더욱 성해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준말 -
正出].
#성 #*기세* #준말 #비유 #태양"
"* 三十六計走爲上計(삼십육계주위상계)*: 36가지 계책(計策) 중(中)에서 줄행랑이 상책이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할 때에는
기회(機會)를 보아 피함으로써 *몸*의 안전(安全)을 지키는 것이 최상(最上)의 방법(方法)이라는 말."
* 如咀濕飯(여저습반)*: 마치 진 밥을 씹는 듯 한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로 잔*소리*를 되풀이 한다는 의미.
* 目下十行(목하십행)*: 눈이 아래로 열 줄을 간다는 뜻으로, 한 눈에 열 줄을 읽는 '속독(速讀)'의 *의미*.
"* 玉巵無當(옥치무당)*: 옥잔에 밑바닥이 없다는 뜻으로, 물건이 좋기는 *하나* 쓸모가 없음을 이르는 말.
#쓸모 #보배 #술잔 #밑바닥 #의미 #물건 #소용"
"* 獨木橋冤家遭(독목교원가조)*: 원수(怨讐)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회피(回避)할 수 없는 경우(境遇)를
*가*리킴. 일이 나쁜 형태(形態)로 공교(工巧)롭게 마주치는 것을 이르는 말."
"* 火得薪而熾(화득신이치)*: 불은 땔나무를 얻어야 활활 탄다는 뜻으로, 알맞은 때를 만나야 *영화*롭게 됨을 비유한 말.
#땔나무 #때 #불 #비유 #*영화*"
"* 寸之玉必有瑕適(촌지옥필유하적)*: 아주 작은 옥에도 반드시 티가 있다는 뜻으로, *완전*(完全)한 것이란 없음을 이르는 말.
#*완전*"
"* 彭湃(팽배)*: (1) 물결이 맞부딪쳐 솟구침 (2) 전(傳)하여, 사물(事物)이 맹렬(猛烈)한 *기세*(氣勢)로 일어남.
#사물 #맹렬 #*기세* #물결 #침 #일어남"
"* 皮裏春秋(피리춘추)*: 말로는 잘잘못을 가리지 아니하는 사람도 마음속으로는 셈속과 *분별*력이 있음.
#마음속 #평론 #말 #춘추 #피부 #표현 #비유 #의미 #속셈 #활용 #비판 #잘잘못 #사람"
"* 視死如生(시사여생)*: 죽음을 보기를 삶과 같이 한다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 보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의미인데, 죽음을 조금도
두려워하지 않는 *생사*를 초월하는 일의 의미.
#일 #죽음 #의미 #*생사* #초월 #조금 #삶"
"* 亞父(아부)*: (1)‘계부’를 달리 이르는 말. (2)아버지 다음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흔히 임금이 공신을 존경하여 부르던 말.
중국 초(楚)나라의 항우가 *범*증을 존경하여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
"* 圍籬安置(위리안치)*: 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집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가두어 두던 일.
#왕조 #일 #탱자 #*가시* #거처 #탱자나무 #죄인 #집 #나무 #시대 #도주 #편안 #울타리"
* 三日遊街(삼일유가)*: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시험관과 선배 급제자와 친척을 방문하던 *일*.
"* 灞橋折柳(파교절류)*: 파교에서 버들가지를 꺾는다는 뜻으로, 灞橋는 장안 동쪽 파수에 걸린 다리 이름인데, 옛날 사람들이 이 다리에
이르러 버들가지를 꺾어 송별의 뜻을 전했던 것에서 유래하여 시상을 떠올리기 가장 좋은 곳의 의미로 *사용*됨."
* 面看交代(면간교대)*: *서로* 마주 보는 자리에서 사무를 넘겨주고 넘겨받음.
아래
* 藍田生玉(남전생옥)*: *남*전(藍田)에서 옥이 난다는 뜻으로, 명문(名門)에서 뛰어난 젊은이가 나옴을 칭찬(稱讚)하는 말.
* 合緣奇緣(합연기연)*: 이상하게 결합하는 인연이라는 뜻으로, *부부*가 되는 인연을 이르는 말.
"* 名家子弟(명가자제)*: 명망이 높은 가문의 *자제*.
#*자제* #이름 #명망 #가문 #집안 #사람"
"* 吮疽之仁(연저지인)*: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 血脈上昇(혈맥상승)*: *서로* 계승(繼承)하여 법통을 전(傳)하는 일.
#계승 #일"
"* 千辛萬苦(천신만고)*: 천 가지 매운 것과 만 가지 쓴 것이라는 뜻으로, 온갖 어려운 *고비*를 다 겪으며 심하게 고생함을 이르는
말.
#몸 #그것 #천만 #무한 #마음 #*고비* #고생 #수고 #겪음"
"* 故事來歷(고사내력)*: 어떤 사물이나 사건에 대하여 전해 내려오는 유래와 경위.
#사물 #역사 #이유 #사건 #유래 #결과"
"*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오이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말라는 뜻으로, 의심받기 쉬운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함을 이르는 말.
≪문선(文選)≫의 ‘*군자*행(君子行)’에 나오는 말이다."
겸손
* 互相連結(호상연결)*: *서로* 관계(關係)를 맺어 이음.
* 失於空中(실어공중)*: 공중에서 잃었다는 뜻으로, *물건*을 아무렇게나 씀을 이르는 말.
"* 廳而不聞(청이불문)*: (1) 아*무리* 귀를 기울이고 들어도 들리지 않음 (2) 듣고도 못 들은 체함.
#귀"
"* 附和隨行(부화수행)*: 줏대 없이 다른 사람의 주장에만 따라서 그가 하는 짓을 따라 행동함.
#움직임 #의견 #주장 #줏대 #주견 #행동 #사람"
"* 鑿枘(조예)*: (1)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규범
표기는 ‘조예’이다. (2)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사물 #장부 #방 #규범 #구멍 #*유래*"
"* 子與孫間(자여손간)*: 아들과 *손자*(孫子) 사이.
#*손자* #아들 #사이"
"* 緣高木望四方(연고목망사방)*: 높은 나무 위에 올라가 *사방*(四方)을 바라보면 그 때는 유쾌(愉快)하지만, 큰바람이 일면 떨어질
염려(念慮)가 있다는 뜻으로, 아무런 공도 없이 큰 이득(利得)을 보는 사람을 경계(警戒)해 이르는 말.
#염려 #일면 #방 #나무 #이득 #때 #*사방* #경계 #유쾌 #사람"
* 天地藏萬物江河束千山(천지장만물강하속천산)*: 하늘과 땅은 온갖 물건(物件)을 감추고, *강*과 바다는 모든 산을 묶음.
"* 博我以文(박아이문)*: 글로써 나를 넓힌다는 뜻으로, (1) 시서(詩書)로 자신의 견식(見識)을 넓힘 (2) 널리 독서하여 자기
인격을 높이자는 뜻임.
#견식 #인격 #독서 #자신"
* 達人大觀(달인대관)*: 사물의 *이치*에 널리 통달한 사람은 사물을 옳고 정당하게 관찰함.
"* 無形學(무형학)*: 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사물 #영역 #존재 #제목 #말 #아리스토텔레스 #*사유* #학문 #명칭 #철학 #근본 #원리 #과학 #초월 #형체 #유래 #형 #본질"
* 傍照引用(방조인용)*: 적용할 만한 법조문이 없을 때에 비슷한 다른 법조문을 끌어다 적용하는 일.
"* 强弩之末(강노지말)*: 힘찬 활에서 튕겨나온 화살도 마지막에는 힘이 떨어져 비단(緋緞)조차 구멍을 뚫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강(强)한 힘도 마지막에는 결국 쇠퇴(衰退)하고 만다는 의미(意味).
#강 #결국 #화살 #마지막 #의미 #힘 #비단 #쇠퇴 #구멍 #활"
"* 慘草除根(참초제근)*: *풀*을 베고 뿌리를 제거한다는 뜻으로, 걱정이나 화근(禍根)이 될 일은 뿌리 채 뽑아 없애야 한다는 말.
#일 #화근 #제거 #걱정 #뿌리"
* 雲鬢花容(운빈화용)*: 머리털이 탐스럽고 얼굴이 아름다운 여자의 모습을 이르는 말.
"* 養志(양지)*: (1)*부모*님을 즐겁게 해 드림. (2)뜻을 기름. 자기가 마음먹은 뜻을 이루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함을 이른다.
#일 #지극 #노력 #효도 #기름 #*부모* #*부모*님 #고상"
"* 平隴望蜀(평롱망촉)*: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鰣魚多骨(시어다골)*: 맛이 좋은 준치에 *가시*가 많다는 뜻으로, 좋은 면의 한편에는 좋지 못한 면이 있음을 이르는 말.
#방해 #일 #*가시* #한편 #뼈 #맛 #준치"
* 眼中無人(안중무인)*: 눈에 보이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방자하고 교만하여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 赤手成家(적수성가)*: 몹시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제 스스로의 *힘*으로 노력하여 가산(家産)을 이룸.
#살림 #노력 #집 #맨손 #이룸 #가산 #집안 #가난 #*힘* #스스로 #사람"
* 天賦自然(천부자연)*: *하늘*로부터 받아서 사람의 힘으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본연의 성질.
"* 獨陽不生(독양불생)*: *혼자*서는 아이를 낳을 수 없듯이, 반드시 상대(相對)가 있어야 한다는 말.
#상대 #아이 #말 #*혼자*"
"* 染舊作新(염구작신)*: 옛 것을 물들여 새 것을 만든다는 뜻으로, 헌 것을 물들여 새 것으로 만든다는 개혁과 *변화*의 의미.
#의미 #*변화* #물 #개혁"
"* 無生(무생)*: (1)모든 법의 실상(實相)은 나고 없어짐이 없음. (2)모든 미로(迷路)를 초월한 경지. (3)생사를 이미
초월하여 배울 만한 법도가 없게 된 경지의 *부처*.
#법 #법도 #생사 #열반 #*부처* #초월 #실상"
"* 四君子(사군자)*: 동양화에서, 매화ㆍ난초ㆍ*국화*ㆍ대나무를 그린 그림. 또는 그 소재. 고결함을 상징으로 하는 문인화의 대표적
소재이다.
#난초 #이름 #고결 #나무 #동양화 #그림 #상징 #비유 #식물 #소재 #군자 #*국화* #매화 #대나무"
"* 夜而忘寢(야이망침)*: *밤*이 되어도 잠자는 것을 잊었다는 뜻으로, 어떤 사물에 열중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사물 #일 #*밤* #열중"
"* 生死骨肉(생사골육)*: 죽은 사람을 살려 내어 뼈에 살을 붙인다는 뜻으로, 큰 *은혜*를 베풂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뼈 #*은혜* #베풂 #사람"
* 禍福無門惟人自招(화복무문유인자초)*: 화와 복에는 문이 따로 없음. 오직 *사람*이 스스로 부르는 것임.
"* 鳳麟芝蘭(봉린지란)*: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 生死關頭(생사관두)*: 살고 죽는 것이 달린 매우 위태로운 *고비*.
#*고비*"
"* 諸子百家(제자백가)*: *춘추* 전국 시대의 여러 학파. 공자(孔子), 관자(管子), 노자(老子), 맹자(孟子), 장자(莊子),
묵자(墨子), 열자(列子), 한비자(韓非子), 윤문자(尹文子), 손자(孫子), 오자(吳子), 귀곡자(鬼谷子) 등의 유가(儒家),
도가(道家), 묵가(墨家), 법가(法家), 명가(名家), 병가(兵家), 종횡가(縱橫家), 음양가(陰陽家) 등을 통틀어 이른다.
#법 #시대 #일가 #일 #전국 #孔子 #손자 #노자 #공자 #오자 #*춘추* #문자 #묵자 #학자들 #음양 #학자 #학파 #병 #저서 #장자 #맹자"
"* 知音(지음)*: (1)새나 짐승의 울음을 가려 잘 알아들음. (2)음악의 곡조를 잘 앎. (3)마음이 서로 통하는 친한 벗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거문고의 명인 백아가 자기의 소리를 잘 이해해 준 벗 종자기가 죽자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고 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에 나오는 말이다. (4)작품을 바르게 느끼고 평가함.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문학 평론(文學評論)에 해당하는 제48장의 제목이다. 문학 작품을 어떻게 감상하고 비평할 것인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협은
작품을 평가할 때에는 현재를 경시하는 태도, 타인을 경멸하는 태도, 진실을 왜곡하는 현상, 편견, 부정확한 평가 따위를 특별히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타인 #현상 #때 #문학 #비평 #경멸 #해당 #새 #평론 #작품 #백아 #경계 #태도 #이해 #진실 #유래 #벗 #평가 #지기 #소리 #곡조 #유협 #자신 #음악 #짐승 #앎 #
따위 #제목 #마음 #말 #의미 #울음 #*주장* #거문고"
"* 竝皆佳妙(병개가묘)*: 모두*가* 아름다우며 묘한 재주임.
#묘 #모두"
"* 繫臂之寵(계비지총)*: 군주의 특별한 총애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무제(武帝)가 예쁜 궁녀를 골라 그 팔*꿈*치에 붉은
비단을 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父交(부교)*: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어른을 높여 이르는 말.
작품
"* 萬頃蒼波(만경창파)*: 만 이랑의 푸른 *물결*이라는 뜻으로, 한없이 넓고 넓은 바다를 이르는 말.
#*물결* #표현 #파도 #비유"
"* 下流之輩(하류지배)*: 하류 사회에 속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사람들 #낮 #사회 #낮잡 #사람"
"* 九死一生(구사일생)*: 아홉 번 죽을 뻔하다 한 번 살아난다는 뜻으로, 죽을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기고 겨우 살아남을 이르는 말.
#의미 #*고비* #아홉 #차례"
"* 上石下臺(상석하대)*: 윗돌 빼서 아랫돌 괴고 아랫돌 빼서 윗돌 괸다는 뜻으로,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둘러맞춤을 이르는 말.
#*임시*변통 #윗돌 #*임시* #변통 #상대 #아랫돌"
* 平氣虛心(평기허심)*: 평온한 기운과 거리낌 없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마음*이 평온(平溫)하고 걸리는 일이 없음을 이르는 말.
"* 三不孝(삼불효)*: 세 가지의 큰 불효. 부모를 불의(不義)에 빠지게 하는 일, 부모가 늙고 집이 가난하여도 *벼슬*하지 않는 일,
자식이 없어 조상의 제사를 끊어지게 하는 일을 이른다."
만고
* 相事失之貧(상사실지빈)*: 뛰어난 선비도 지나치게 *가난*하면 세상(世上)이 알아주지 않아서 활동(活動)할 길이 열리기 어렵다는 말.
"* 知足不辱(지족불욕)*: *분수*를 지켜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욕되지 아니함.
#만족 #*분수* #욕 #의미 #만족함 #사람"
* 樞路之鄕(추로지향)*: 공맹(孔孟)의 고향(故鄕)이란 뜻으로, 예절(禮節)을 알고 학문(學文)이 *왕*성(旺盛)한 곳을 이르는 말.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出藍之譽(출람지예)*: 청출어람의 *명예*라는 뜻으로,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낫다는 평판을 얻는 *명예*를 이르는 말.
#선배 #*명예* #후배 #평판 #청 #명성 #제자 #스승"
"* 海千山千(해천산천)*: 바다에서 천년, 산에서 천년을 산 *뱀*은 용이 된다는 뜻으로, 오랜 경험(經驗)으로 세상(世上) 안팎을 다
알아 지나치게 약삭빠름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안팎 #천년 #비유 #용 #세상 #*뱀* #경험 #산 #사람"
"* 白露(백로)*: (1)‘*이슬*’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 (2)이십사절기의 하나. 처서(處暑)와 추분(秋分) 사이에 들며, 9월
8일경이다.
#*이슬* #처서 #8일 #추분 #사이"
* 形不如面面不如眼(형불여면면불여안)*: *사람*됨을 알아보는 데는 형체(形體)보다는 얼굴, 얼굴보다는 눈.
가시
"* 三省吾身(삼성오신)*: 매일 세 번 자신을 *반성*함.
#몸 #하루 #*반성* #자신 #행동"
"* 春秋筆法(춘추필법)*: ≪춘추≫와 같이 비판적이고 엄정한 필법을 이르는 말. 대의명분을 밝히어 세우는 역사 서술 *방법*이다.
#법 #춘추 #역사 #필법 #의미 #명분 #준엄 #대의명분 #태도 #대의 #비판 #*방법*"
"* 刮目相對(괄목상대)*: 눈을 비비고 상대편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늚을 이르는 말.
#*재주* #눈 #상대편 #학식 #주의 #본래 #결과"
"* 形端表正(형단표정)*: *몸* 형상(形像)이 단정(端正)하고 깨끗하면 마음도 바르며 또 겉으로도 나타남.
#*몸* #마음 #깨끗 #겉 #단정 #형상"
"* 璇璣懸斡(선기현알)*: 선기(璿璣)는 천기(天紀)를 보는 기구(器具)이고, 그 기구(器具)가 높이 걸려 도는 것을 말함.
#기구 #말"
"* 孫康映雪(손강영설)*: 어려운 가운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손강(孫康)이 몹시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으로 공*부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책 #밤 #강 #공부 #눈 #손강 #유래 #겨울철 #나라 #중국 #집안 #가난 #눈빛 #고사 #가운데"
"* 完璧(완벽)*: (1)빌린 물건을 정중히 돌려보냄.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인상여(藺相如)가 진(秦)나라의 소양왕이 열다섯
성(城)과 화씨(和氏)의 벽(璧)을 바꾸자고 하여 진나라에 갔으나 소양왕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목숨을 걸고 그 벽을
고스란히 도로 찾아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2)흠이 없는 구슬이라는 뜻으로, 결함이 없이 *완전*함을 이르는 말.
#인상여 #인상 #구슬 #성 #거짓말 #시대 #전국 #보전 #화씨 #목숨 #나라 #의미 #중국 #물건 #전함 #조나라 #진나라 #*완전*함 #유래 #*완전*"
* 見機之才(견기지재)*: 낌새를 알아채는 *재주*나 기회를 엿보는 *재주*. 또는 그런 *재주*가 있는 사람.
"* 大逆無道(대역무도)*: 임금이나 나라에 큰 죄를 지어 *도리*에 크게 어긋나 있음. 또는 그런 짓.
#임금 #나라 #죄"
"* 河梁別(하량별)*: 떠나는 사람을 전송할 때에 강의 근처에서 헤어진다는 뜻으로, ‘송*별*’을 이르는 말.
#송*별* #강 #때 #작*별* #다리 #근처 #하천 #사람"
"* 煙幕作戰(연막작전)*: 어떤 사실을 숨기기 위하여 약삭빠르고 능청스러운 말이나 *수단* 따위를 써서 상대편이 갈피를 못 잡게 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문제 #말 #상대편 #교묘 #갈피 #전술 #사실 #상대방 #핵심 #*수단* #따위"
"* 誨盜誨淫(회도회음)*: 도둑질을 가르치고 음탕함을 가르친다는 뜻으로, 재물을 허술하게 간직하는 것은 도둑을 끌어들이는 것이고,
여자가 지나치게 몸*단장*을 하는 것은 음탕한 사나이를 불러들이는 것이 된다는 의미에서 유래된 말.
#여자 #간직 #음탕 #도둑질 #재물 #의미 #도둑 #사나이 #유래 #허술"
"* 積薪之嘆(적신지탄)*: 섶나무를 쌓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땔감을 쌓을 때 새로 해온 것을 늘 위에 있고, 먼저 해 온 것은 늘
아래에 눌려있듯이, 상급자로 승진하지 못하고 항상 남의 아랫*자리*에 머물러 있음을 한탄하는 말.
#승진 #섶나무 #아래 #탄식 #나무 #때 #땔감 #한탄"
"* 遠交近攻(원교근공)*: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격함. 중국 전국 시대의 외교 정책으로,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소유 #외교 #말 #범 #시대 #전국 #나라 #정책 #중국 #공격 #전국시대"
"* 顧名思義(고명사의)*: 어떤 일을 당하여 *자신*의 명예를 더럽히는 일이 아닌지 돌이켜 보고, 또한 의리에 어긋나는 일이 아닌지
생각함."
"* 冊床兩班(책상양반)*: (1)‘책상양반’의 북한어. (2)평민이지만 학*문과* 덕행(德行)이 있어서 양반이 된 사람.
#덕행 #학문 #양반 #앞 #평민 #고상 #책상 #사람"
"* 讀書不求甚解(독서불구심해)*: 책을 읽는 데 이해(理解)하기 어려운 것은 그대로 접어두고 그 뜻을 *깊이* 연구(硏究)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독서(讀書)는 즐겨 하나 참된 학문(學文)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 되풀이하여 몇 번이고 숙독(熟讀)하면 뜻이
통(通)하지 않던 곳도 저절로 알게 됨. 숙독(熟讀)을 권(勸)하는 것.
#책 #되풀이 #학문 #독서 #숙독 #이해 #연구"
"* 莊周之夢(장주지몽)*: 나와 외물(外物)은 본디 하나이던 것이 현실에서 갈라진 것에 불과하다는 이치를 비유적으로 설명하는 말.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었다가 깬 뒤에 자기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었는지 원래 나비였던 자기가 꿈속에서 장주가 되었는지 *알* 수 없게
되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장자 사상의 으뜸을 이룬다."
"* 人傑地靈(인걸지령)*: 뛰어난 인재는 땅의 신령스러움에서 난다는 뜻으로, 위대한 인물이 난 곳에 이름이 나는 것처럼 *사람*의
운명은 그가 태어나 자란 산천의 기운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견해임. [= 地靈人傑 ]."
"* 白蹀紛紛雪黃鶯片片金(백접분분설황앵편편금)*: 흰 나비는 날리고 날리는 눈과 같고, 누런 꾀꼬리는 조각조각 *금*과 같음.
#눈 #꾀꼬리 #나비 #*금*"
"* 轉禍爲福(전화위복)*: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일 #말 #불행 #강 #복 #노력 #화 #화가 #재앙 #의미 #걱정 #*근심* #의지 #행복 #처리"
"* 表裏不同(표리부동)*: 겉으로 드러나는 언행과 속으로 가지는 *생각*이 다름.
#마음 #*생각* #언행 #내심 #겉 #표면 #사람"
"* 堂狗三年吠風月(당구삼년폐풍월)*: 서당(書堂)개 삼년이면 *풍월*(風月)을 읊는다는 우리말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무식(無識)한
사람도 유식한 사람과 함께 있으면 감화(感化)를 받는다는 말.
#말 #삼년 #무식 #서당 #*풍월* #속담 #감화 #사람"
"* 受和受采(수화수채)*: 받아들여 화합하고 받아들여 채색된다는 뜻으로, 단 맛은 다른 맛과 잘 조화되고, 흰색은 다른 색과 잘
조화된다는 의미에서 진실한 *성품*을 가진 사람은 예의를 잘 익혀 행할 수 있다는 의미를 비유한 말.
#조화 #예의 #채색 #흰색 #비유 #의미 #화합 #진실 #맛 #*성품* #사람"
"* 命世之雄(명세지웅)*: 한 시대(時代)를 바로잡아 구(救)할 만한 뛰어난 *인재*(人材).
#시대 #*인재*"
"* 夜郞自大(야랑자대)*: 용렬하거나 우매한 무리 *가운데*서 세력이 있어 잘난 체하고 뽐냄을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 때에 서남쪽의
오랑캐 *가운데*서 야랑국이 가장 세력이 강하여 오만한 데서 유래한다."
"* 春露秋霜(춘로추상)*: 봄 이슬과 가을 서리라는 뜻으로, ‘春露’는 은택(恩澤)을, ‘秋霜’은 위엄(威嚴)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로 *사용*됨."
"* 他生之緣(타생지연)*: 타생의 인연(因緣)이라는 뜻으로, *불교*(佛敎)에서 낯모르는 사람끼리 길에서 소매를 스치는 것 같은
사소(些少)한 일이라도 모두가 전생(前生)의 깊은 인연(因緣)에 의(依)한 것임을 이르는 말.
#일 #사소 #소매 #*불교* #길 #전생 #인연 #모두 #사람"
"* 雪中君子(설중군자)*: 눈 속의 군자라는 뜻으로, 사군자(四君子)의 하나인 *매화*의 딴 이름임.
#눈 #*매화* #이름 #군자"
"* 顧命之臣(고명지신)*: 임금의 유언으로 *나라*의 뒷일을 부탁받은 대신.
#대신 #신하 #유언 #임금 #*나라* #부탁"
* 天機漏洩(천기누설)*: 중*대한* 기밀이 새어 나감을 이르는 말.
"* 見虎未見虎(견호미견호)*: *호랑이*를 보기는 보았으나 실지(實地)로는 보지 않았다는 뜻으로, 무엇이나 실제(實際)로 다하지 않으면
생각이 간절(懇切)하지 못하다는 말.
#말 #실제 #*호랑이* #생각 #간절 #무엇 #실지"
* 逐物意移(축물의이)*: 마음이 불안(不安)함은 *욕심*(慾心)이 있어서 그러함. 너무 *욕심*(慾心) 내면 마음도 변함.
"* 豪華子弟(호화자제)*: 호화로운 집안에서 자란 *젊은*이.
#집안 #*젊은*이 #호화"
"* 屋漏痕(옥루흔)*: 지붕이 새는 흔적이라는 뜻으로, 지붕이 새어 천장에 아롱진 빗물 자국처럼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초서(草書)의
필법(筆法)을 이르는 말.
#새 #법 #필법 #자국 #빗물 #흔적 #*자연* #자유 #지붕 #천장"
"* 精金百鍊(정금백련)*: 쇠붙이가 충분(充分)히 단련(鍛鍊)되었다는 뜻으로, 충분(充分)히 숙련(熟練)되고 많은 경험(經驗)을 쌓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鶴鳴之歎(학명지탄)*: 학이 우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벼슬하여 뜻을 펴지 못하고 야(野)에 묻혀있는 *탄식*을 이르는 말.
#*탄식* #벼슬 #학 #초야"
"* 三獸渡河(삼수도하)*: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행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 治國若鎒田(치국약누전)*: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농부*가 밭의 김을 매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치국은 백성(百姓)을 괴롭히는 자를
제거하는 데 있음을 이르는 말.
#백성 #제거 #*농부* #밭 #나라"
"* 不費之惠(불비지혜)*: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이익 #손해 #의미 #자신 #은혜"
"* 胡鬼別星(호귀별성)*: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천연두를 앓게 한다는 여신. 강남에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집집 #사명 #*특별* #강남"
"* 學而知之(학이지지)*: 삼지(三知)의 *하나*. 도(道)를 배워서 깨달음을 이른다.
#정진 #사람 #보통 #의미 #지식 #깨달음 #앎 #덕행"
"* 貪小利失大利(탐소리실대리)*: 작은 이익(利益)을 탐내다가 오히려 큰 이익(利益)을 잃음.
#이익"
* 駭躍超驤(해약초양)*: 뛰고 *달*리며 노는 가축(家畜)의 모습을 말함.
"* 知難行易(지난행이)*: 알기는 어려워도 행동은 쉽다는 뜻으로, 도리를 알기는 어려우나, 알기만 하면 이것을 실천하기는 쉽다는
의미인데, 손문의 *주장*.
#이것 #의미 #*주장* #행동 #실천"
"* 終身不齒(종신불치)*: 그 사람을 한평생(-平生) *인간*(人間)다운 대접(待接)을 해 주지 않는 일.
#일 #*인간* #대접 #한평생 #사람"
"* 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뜻으로, 청결한 덕있는 *행동*을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미인데, 주로
입춘첩(立春帖)으로 사용하는 글귀."
"* 山村水廓(산촌수곽)*: 산중에 있는 마을과 물가에 있는 성(城)이나 마을이라는 뜻으로, *시골*의 여러 마을을 이르는 말.
#산중 #성 #물가 #물 #*시골* #산 #마을"
* 經國大才(경국대재)*: 나라의 일을 맡아 다스릴 만한 큰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인물.
"* 妾御績紡(첩어적방)*: 남자(男子)는 밖에서 일하고, *여자*(女子)는 안에서 길쌈을 함.
#밖 #일 #남자 #*여자*"
"* 東山高臥(동산고와)*: 속세의 번잡함을 피하여 산중에 *은거*함을 이르는 말. 진(晉)나라의 사안(謝安)이 속진(俗塵)을 피하여
저장성(浙江省)의 둥산산에 *은거*하였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산 #산중 #번잡 #*은거* #속세 #나라 #유래 #동산"
"* 肝腦塗地(간뇌도지)*: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참혹 #땅 #곤경 #모습 #죽음 #나라 #*목숨* #의미 #뇌 #힘 #간장 #활용"
"* 秦庭之哭(진정지곡)*: 남에게 원조를 청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초(楚)나라의 신포서(申包胥)가
진(秦)나라로 가서 담에 의지하여 이레 동안 곡(哭)을 한 후에 비로소 원군을 얻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風行草偃(풍행초언)*: *바람*이 불면 풀이 쓰러진다는 뜻으로, 임금이 덕(德)으로서 백성을 교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백성 #*바람* #임금 #비유 #풀이 #교화"
"* 淸風明月無人管(청풍명월무인관)*: 청풍과 명월은 사람의 관할(管轄)이 아닌 것으로 *속세*(俗世)를 벗어나 있음을 이르는 말.
#청 #*속세* #사람"
"* 相卽不離(상즉불리)*: 윗물이 흐리면 아랫물도 맑지 않다는 뜻으로, *윗사람*이 옳지 않으면 아랫사람도 이를 본받아서 행실(行實)이
옳지 못함을 이름."
"* 腹以懷我乳以哺我(복이회아유이포아)*: 배로써 나를 품어 주시고 젖으로써 나를 *먹이*심.
#*먹이* #배 #젖"
"* 一騎當千(일기당천)*: 한 사람의 기병이 천 사람을 당한다는 뜻으로, 싸우는 능력이 아주 뛰어남을 이르는 말.
#*일* #용맹 #능력 #기병 #사람"
"* 腐鼠(부서)*: 썩은 쥐라는 뜻으로, 작고 비천한 *물건*이나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비천 #비유 #쥐 #*물건* #사람"
"* 鼻祖(비조)*: (1)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2)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3)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 黃冠(황관)*: (1)누런빛의 관. (2)풀로 만든 평민의 관이라는 뜻으로, 벼슬하지 못한 사람을 이르는 말. (3)*도사*(道士)의
관. 또는 그 관을 쓴 *도사*.
#빛 #평민 #벼슬 #*도사* #누런빛 #사람"
"* 跖拘吠堯(척구폐요)*: 도둑인 척(跖)임금을 보고 짖는다는 뜻으로, (1) *자기*(自己) 상전(上典)에게 충실(充實)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2) 악(惡)한 편에 서서 어진 사람을 미워함을 이르는 말."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