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 전체글 2 티스토리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구글 트렌드
카테고리 없음

2024년 6월 17일 (10) ⭕️

by 사계절1 2024. 6. 17.




728x90
반응형

* 偕老(해로)*: *부부*가 한평생 같이 살며 함께 늙음.
"* 同心同德(동심동덕)*: *서로* 같은 마음으로 덕을 함께한다는 뜻으로, 같은 목표를 위하여 여럿이 마음을 합쳐 힘씀을 이르는 말.
#마음#목표#여럿#일치#*서로*#단결"
"* 胡蝶夢(호접몽)*: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나온 말.
≪장자(莊子)≫ 에서 나온 말이다.
#말#꿈#장자#비유#현실#중국#나비#구별#*인생*"
"* 無爲自然(무위자연)*: 사람의 힘을 더하지 않은 그대로의 *자연*. 또는 그런 이상적인 경지.
#의미#사상#*자연*#인공#힘#봄#이상#사람"
* 賞善罰惡(상선벌악)*: 착한 사람에게 상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 벌을 주는 일. 가톨릭교의 네 가지 기본 교리 가운데 *하나*이다.
"* 毫末之利(호말지리)*: 아주 적은 이익.
#근소#이익#끝#털#털끝"
"* 輔車相依(보거상의)*: 수레에서 덧방나무와 *바퀴*처럼 뗄 수 없다는 뜻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서로 돕고 의지함을 이르는 말.
#방#*바퀴*#나무#관계#의미#수레#의지"
"* 風檣陣馬(풍장진마)*: 돛이 *바람*을 타고 말이 진지(陣地)에 선다는 뜻으로, 돛에 순풍을 받아 배가 달리며, 준마(駿馬)가
진두(陳頭)에 서는 것처럼 문장이 웅건하거나 필체가 강하고 굳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兩手兼將(양수겸장)*: (1)‘양수겸장’의 북한어. (2)장기에서, 두 개의 말이 한꺼번에 장을 부름. (3)양*쪽*에서 동시에
하나를 노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薄氷如履(박빙여리)*: 엷은 얼음을 밟듯이 *세상*(世上)의 처세(處世)에 조심함.
* 誰怨誰咎(수원수구)*: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겠냐는 뜻으로, *남*을 원망하거나 탓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 七寶丹粧(칠보단장)*: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꾸밈새.
#*몸*#보배#일곱#꾸밈#단장"
"* 萬愁憂患(만수우환)*: 온갖 시름과 *근심* 걱정.
#시름#걱정#*근심*"
"* 曳白(예백)*: 지필(紙筆)을 손에 들고서도 시문을 짓지 못함. 중국 당나라의 장석(張奭)이 하루 종일 글을 짓지 못하고 임금 앞에
백지를 내놓은 *고사*에서 유래한다."
"* 錦上添花(금상첨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안석의
글에서 유래한다.
#일#꽃#의미#왕안석#*비단*#유래#아름다움"
"* 首鼠兩端(수서양단)*: 구멍에서 머리를 내밀고 나갈까 말까 망설이는 쥐라는 뜻으로, 머뭇거리며 진퇴나 거취를 정하지 못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일#구멍#주저#끝#머리#의미#쥐#결정#양쪽#진퇴#쪽#상태"
* 博聞强知(박문강지)*: 널리 *사물*(事物)을 보고 들어 잘 기억(記憶)하고 있음.
"* 財上分明(재상분명)*: 재물을 다루는 데에 조금도 흐리터분한 데가 없이 셈이 밝고 태도가 명확함.
#돈#재물#분명#태도#조금"
"* 見聞覺知(견문각지)*: 눈으로 빛을 보고, 귀로 *소리*를 듣고, 코ㆍ혀ㆍ몸으로 냄새ㆍ맛ㆍ촉감을 감각하고, 뜻으로 법을 아는
육식(六識) 작용. 외경을 식별ㆍ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이르는 말이다.
#빛#몸#마음#법#눈#*소리*#맛#코#작용#혀#감각#냄새#앎#귀"
"* 磨鐵杵(마철저)*: 쇠로 만든 다듬이 방망이를 갈아서 침을 만들려 한다는 뜻으로, *노력*(努力)하면 아무리 힘든 목표(目標)라도
달성(達成)할 수 있음을 뜻함.
#달성#*노력*#목표#쇠#침"
* 仰不愧於天(앙불괴어천)*: 우러러 *하늘*에 부끄럽지 않다는 뜻으로, 양심에 거리낌이 없다는 의미.
"* 萬全之策(만전지책)*: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위험#실패#계책#안전#*완전*"
"* 大旱望雲霓(대한망운예)*: 큰 가뭄에 구름과 무지개를 바란다는 뜻으로, 자신의 *목적*하는 바의 달성을 매우 초조한 심정으로
갈망하고 있음을 비유하는 말.
#심정#달성#초조#비유#구름#무지개#자신#가뭄#*목적*"
"* 結草報恩(결초보은)*: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아버지의 첩을 개가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그 서모 아버지의 혼이 적군의 앞길에 풀을
묶어 적을 넘어뜨려 위과가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結草報恩(결초보은)*: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아버지의 첩을 개가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그 서모 아버지의 혼이 적군의 앞길에 *풀*을
묶어 적을 넘어뜨려 위과가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未成一簣(미성일궤)*: 산을 만들 때에 마지막 한 삼태기를 덜 얹어 산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뜻으로, 마지막 노력을 소홀히 하면
일이 *실패*함을 이르는 말.
#일#노력#완성#*실패*함#때#마지막#*실패*#비유#흙#산"
"* 七步成詩(칠보성시)*: 일곱 *걸음*에 한 편의 시를 완성한다는 뜻으로, 시를 빨리 잘 짓는 재주를 이르는 말.
#재주#완성#*걸음*#편의#일곱"
"* 綱常罪人(강상죄인)*: 예전에, 삼*강*오상(三綱五常)에 어긋나는 행위를 한 죄인을 이르던 말. 부모나 남편을 죽인 자, 노비로서
주인을 죽인 자, 또는 관노(官奴)로서 관장(官長)을 죽인 자 등을 이른다.
#주인#죄인#행위#남편#노비#부모#예전#사람"
"* 明珠出老蚌(명주출로방)*: 오래 묵은 조개에서 명주(明珠)가 나온다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어버이가 뛰어난 *자식*(子息)을 낳은
것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자식*#조개#어버이#비유"
"* 駙馬都尉(부마도위)*: *임금*의 사위에게 주던 칭호.
#*임금*#사위"
"* 背恩忘德(배은망덕)*: 남에게 입은 은덕을 저버리고 배신하는 *태도*가 있음.
#일#은혜#은덕#입#의미#*태도*#자신#배반"
"* 背任受賂(배임수뢰)*: 본분의 임무(任務)를 어기고 부정(不正)한 청탁(請託)을 받으며 뇌물(賂物)을 받아 *재산*(財産)
상(上)의 이익(利益)을 취득(取得)하는 죄(罪).
#부정#이익#죄#*재산*#임무#본분#뇌물"
"* 畫龍點睛(화룡점정)*: (1)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을 그리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었더니 그 용이 실제 용이 되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글을
짓거나 일을 하는 데서 가장 요긴한 어느 한 대목을 잘함으로써 전체가 생동하게 살아나거나 활기 있게 됨을 이르는 말."
"* 春風駘蕩(춘풍태탕)*: 봄*바람*이 온화(溫和)하게 분다는 뜻으로, 인품(人品)이나 성격(性格)이 온화(溫和)하고 여유(餘裕)가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盈滿之咎(영만지구)*: 가득 찬 재앙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만족할 만큼 충분할 때일수록 재앙을 만나기 쉬움을 이르는 말.
* 父傳子傳(부전자전)*: *아들*의 성격이나 생활 습관 따위가 아버지로부터 대물림된 것처럼 같거나 비슷함.
"* 驚天(경천)*: *하늘*을 놀라게 하고 땅을 뒤흔든다는 뜻으로, 세상을 몹시 놀라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땅#말#비유#*하늘*#세상"
* 愛人如己(애인여기)*: 남을 *자기* 몸처럼 사랑함.
"* 過麥田大醉(과맥전대취)*: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말#사용#술#냄*새*#사람"
* 百年佳偶(백년가우)*: 평생을 같이 지내는 아름다운 배필.
비유
"* 秋葉霜前落春花雨後紅(추엽상전락춘화우후홍)*: *가을* 잎은 서리 앞에서 떨어지고, 봄꽃은 비온 뒤에 붉음.
#앞#비오#잎#서리#*가을*"
"* 龍門點額(용문점액)*: 용문에서 이마에 점을 찍는다는 뜻으로, 용문 아래에서 위로 오른 *물고기*는 용이 되지만, 그렇지 못하면
머리를 부딪혀 상처만 입는다는 고사에서 과거에 낙방해 돌아오는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易簀(역책)*: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이나 임종을 이르는 말. 증자가 죽을 때를 당하여 삿자리를 바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예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궁#말#학식#때#덕망#죽음#옛일#학덕#*유래*#사람"
* 飛沙走石(비사주석)*: 모래가 날리고 돌멩이가 구른다는 뜻으로, *바람*이 세차게 붊을 이르는 말.
* 犬馬之忠(견마지충)*: 주인에 대한 개나 말의 충성이라는 뜻으로, 신하나 백성이 *임금*이나 나라에 바치는 충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 草木同腐(초목동부)*: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跛鼈千里(파별천리)*: 기우뚱거리며 가는 자라도 천 리를 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꾸준히 공부하면 성공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사람#성공#공부#비유"
* 從善如流(종선여류)*: 선을 따르면 모든 것이 물과 같이 흐른다는 뜻으로, *정도*를 지켜야 무난히 성공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胡不歸(호불귀)*: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 라는 뜻으로, 돌아가라는 뜻을 강하게 피력하는 말.
* 花笑聲未聽鳥啼淚難看(화소성미청조제루난간)*: *꽃*은 웃으나 소리는 들리지 않고, 새는 우나 눈물은 보기가 어려움.
"* 頭上安頭(두상안두)*: 머리 위에 머리를 편안하게 두다는 뜻으로, 이중으로 머리가 있는 것처럼 *사물*이 중복되거나 흉내만 내고
발전이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 獺祭魚(달제어)*: 수*달*(水獺)이 물고기를 잡아 제사 지내는 것처럼 사방에 늘어놓는다는 뜻으로, 시문(詩文)을 지을 때에 많은
참고 서적을 벌여 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람#풍자#참고#서적#때#사방#비유#시문#제사"
"* 借風使船(차풍사선)*: *바람*을 빌려 배를 부린다는 뜻으로, 돈을 빌려 임시변통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배#이익#*바람*#돈#임시변통#표현#꾀#의미#임시#변통#힘"
* 狎而敬之(압이경지)*: 친압하면서도 공경한다는 뜻으로, 아주 친근한 *사이*일지라도 공경하는 마음을 잃지 않는다는 의미.
"* 獻芹(헌근)*: 변변치 아니한 미나리를 바친다는 뜻으로, 남에게 선물을 하거나 의견을 적어 보냄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선물#때#*겸손*#웃사람#의견#물건#선사"
"* 富貴榮華(부귀영화)*: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귀하게 되어서 세상에 드러나 온갖 영광을 누림.
#신분#재산#*영화*#의미#부귀#지위#자신#귀#세상"
* 天無二日(천무이일)*: 하늘에는 해가 둘이 있을 수 없다는 뜻으로, 한 나라에 두 *임금*이 있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難兄難弟(난형난제)*: 누구를 형이라 하고 누구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두 *사물*이 비슷하여 낫고 못함을 정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 兄弟姉妹同氣而生(형제자매동기이생)*: *형제*(兄弟)와 자매(姉妹)는 기운(氣運)을 같이하여 태어났음.
* 破除萬事(파제만사)*: 한 *가지* 일에만 전력하기 위하여 다른 일은 다 제쳐 놓음.
바람
"* 風流雲散(풍류운산)*: *바람*이 불어 구름을 흩어 버린다는 뜻으로, 자취도 없이 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취#*바람*#구름"
"* 朝益暮習(조익모습)*: 아침에 더하고 *저녁*에 익힌다는 뜻으로, 아침에 가르침을 받아 지식을 더하고 *저녁*에 그것을 익히는
것처럼 학문 연마에 열중함을 이르는 말.
#그것#아침#학문#연마#열중#*저녁*#지식#가르침"
"* 敲金戛石(고금알석)*: 쇠를 두드리고 돌을 울린다는 뜻으로, 시나 문장(文章)의 어울림이 뛰어남을 이르는 말.
#쇠#문장"
"* 辭達而已矣(사달이이의)*: 말이 통달할 뿐이라는 뜻으로, 말은 그 뜻이 남에게 전달되면 그것으로 족하다는 말의 정교함[辭巧]보다는
*의미*의 전달[辭達]에 역점을 둔 공자(孔子)의 입장. ."
"* 希聖希賢(희성희현)*: 성인이 되길 바라고 현인이 되길 바란다는 뜻으로, 사람은 *자기*보다 더욱 뛰어난 사람을 이상으로 삼을
것임을 이르는 말.
#현인#이상#성인#사람"
* 犬猿之間(견원지간)*: 개와 원숭이의 사이라는 뜻으로, 사이가 매우 나쁜 두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自國之亂(자국지란)*: 나라 안에서 정권을 차지할 *목적*으로 벌어지는 큰 싸움.
"* 天災地變(천재지변)*: 지진, 홍수, 태풍 따위의 *자연* 현상으로 인한 재앙.
#땅#현상#변고#재앙#홍수#*자연*#하늘#따위"
"* 丙舍傍啓(병사방계)*: 병사(丙舍) 곁에 통로(通路)를 열어 궁전(宮殿) 내(內)를 출입(出入)하는 사람들의 편리(便利)를
도모(圖謀)하였음.
#곁#병사#편리#도모#궁전#통#출입#사람"
"* 大樹將軍(대수장군)*: ‘*장군*’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광무제의 *장군* 풍이(風異)가 겸손하여 공을 논하지 않고 늘 큰
나무 밑에 물러가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말#나무#*장군*#겸손#중국#수고#매사#풍#고사#유래#광무제#사람"
"* 嗟爾小子敬受此(書차이소자경수서)*: 자, 너희 어린이들아! *공경*(恭敬)하는 마음으로 이글을 받아들여야 함.
#*공경*#마음#어린이"
"* 筆削褒貶(필삭포폄)*: 쓰고 삭제하고 칭찬하고 *나무*란다는 뜻으로, 글에 대해 쓸 곳은 써 넣고 지울 곳은 지우고, 칭찬해야 할
곳은 칭찬하고, *나무*랄 곳은 *나무*라는 공자의 춘추필법(春秋筆法)의 의미처럼 대의명분(大義名分)을 밝혀 세우는 사필(史筆)의
준엄한 논법(論法)의 의미."
"* 人生無常(인생무상)*: 인생이 덧없음.
#상주#사람#불#확대#사용#만물#인생#불가#삶#변화"
* 靑雲之士(청운지사)*: (1)학문과 덕행을 함께 갖춘 고결한 사람. (2)높은 *지위*나 벼슬에 오른 사람.
"* 惡顔相對(악안상대)*: 불쾌한 *얼굴*로 서로 대한다는 뜻으로, 불편한 관계에 있는 사람이 서로 같이 있게 되거나 같이 일하게 됨을
이르는 말."
* 薄酒山菜(박주산채)*: (1)맛이 변변하지 못한 술과 산나물. (2)*자기*가 내는 술과 안주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 名家子弟(명가자제)*: 명망이 높은 가문의 *자제*.
#*자제*#이름#명망#가문#집안#사람"
"* 標記之件(표기지건)*: *표기*(標記)의 건이라는 뜻으로, 글의 첫머리에 쓰는 제목을 이르는 말.
#제목#첫머리"
"* 鶯遷(앵천)*: 꾀*꼬리*가 깊은 골짜기에서 나와 높은 나무에 앉는다는 뜻으로, 과거에 급제함을 이르는 말. 승진이나 이사 따위를
축하할 때 쓰는 말이기도 하다.
#승진#따위#말#축하#나무#쓰임#때#급제#꾀*꼬리*#이사#시험#과거#사람"
* 輕慮淺謀(경려천모)*: 경솔(輕率)하고 얕은 *생각*.
"* 沐露(목로)*: (1)이슬에 젖음. (2)모든 일에 고생을 이겨 내며 부지런히 *노력*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이슬#*노력*#고생#비유"
"* 刎頸之友(문경지우)*: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인상여#인상#벗#친구#시대#전국#생사#정도#중국#*고사*#서로#후회#유래#사이"
* 病風傷暑(병풍상서)*: *바람*에 병들고 더위에 상하였다는 뜻으로, 고생스러운 세상살이에 시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謀事在人(모사재인)*: 일을 꾸미는 것은 *사람*에게 달렸다는 뜻으로, 결과는 하늘에 맡기고 일을 힘써 꾀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量體裁衣(양체재의)*: *몸*에 맞게 옷을 고친다는 뜻으로, 일의 처한 형편(形便)에 따라 적합(適合)하게 일을 처리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魂不附體(혼불부체)*: 혼백이 어지러이 흩어진다는 뜻으로, 몹시 놀라 넋을 잃음을 이르는 말.
#혼백#넋"
"* 天時不如地利地利不如人和(천시불여지리지리불여인화)*: 하늘이 주는 좋은 때는 지리적(地理的) 이로움만 못하고 지리적(地理的) 이로움도
*사람*의 화합(和合)만 못함.
#때#지리#하늘#화합#*사람*"
"* 南蠻北狄(남만북적)*: *남쪽*과 북쪽에 있는 오랑캐. 예전에 중국에서 거란이나 몽고, 인도차이나 따위의 여러 민족을 이르던 말이다.
#말#예의#의미#중국#족속#한족#오랑캐#북쪽#*남쪽*#주변#민족#예전#따위"
"* 他生之緣(타생지연)*: 타생의 인연(因緣)이라는 뜻으로, *불교*(佛敎)에서 낯모르는 사람끼리 길에서 소매를 스치는 것 같은
사소(些少)한 일이라도 모두가 전생(前生)의 깊은 인연(因緣)에 의(依)한 것임을 이르는 말.
#일#사소#소매#*불교*#길#전생#인연#모두#사람"
"* 千里行龍(천리행룡)*: (1)어떤 일을 바로 말하지 아니하고 그 유래를 말하여 차차 그 일에 미치도록 하는 것. (2)풍수지리에서,
산맥이 높았다 낮았다 하며 *힘*차게 멀리 뻗음.
#일#말#차차#설명#유래"
* 同心之言(동심지언)*: *마음*을 합친 말이라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합치시킨 사람들의 언행은 그 향기가 난초와도 같다는 의미.
"* 蒲柳之姿(포류지자)*: 갯버들의 모습이라는 뜻으로, 갯버들 잎이 일찍 시들어 떨어지는 데서, 쇠약한 몸이라는 것을 스스로 표현할 때
*사용*하거나, 선천적으로 유약한 체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 *사용*됨.
#쇠약#몸#유약#표현#때#선천적#*사용*#비유#허약#잎#체질#모습#갯버들"
"* 使鷄司夜(사계사야)*: 닭으로 하여금 밤을 맡긴다는 뜻으로, 닭에게 밤 시각을 알리는 일을 맡기는 것처럼, 알맞은 인재에 적합한
일을 맡긴다는 *의미*."
"* 草木皆兵(초목개병)*: (1)적을 두려워한 나머지 초목이 모두 적군으로 보인다는 뜻으로, 몹시 놀라서 두려워하며 의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군사의 수효가 너무 많아 산야에 가득 찬 *상태*."
"* 後生可畏(후생가외)*: *젊은* 후학들을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 후진들이 선배들보다 젊고 기력이 좋아, 학문을 닦음에 따라 큰
인물이 될 수 있으므로 가히 두렵다는 말.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선배#한편#말#진보#기력#학문#때문#후배#인물#의미#선배들#나이"
사용
"* 非帛不煖(비백불난)*: *비단*이 아니면 따뜻하지 않다는 뜻으로, *비단*옷이 아니면 따뜻함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쇠약해진 노년기를
이르는 말.
#쇠약#*비단*옷#따뜻#따뜻함#*비단*#정도"
"* 形容枯槀(형용고고)*: *용*모(容貌)가 여위고 쇠약(衰弱)해짐.
#*용*모#쇠약"
"* 耽讀翫市(탐독완시)*: 한(漢)나라의 왕총은 *독서*(讀書)를 즐겨 서점에 가서 탐독(耽讀)하였음.
#*독서*#나라#왕"
"* 朝出夕沒(조출석몰)*: *아침*에 나타났다가 저녁에 사라짐. 또는 나왔다가 곧 스러짐.
#저녁#*아침*"
* 事親以孝(사친이효)*: 세속 오계의 하나. 어버이를 섬기기를 *효*도로써 함을 이른다.
"* 治而不忘亂(치이불망란)*: 다스려질 때 어지러워짐을 잊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자(君子)는 먼 훗날의 일을 *생각*함을 이르는 말.
#일#훗날#*생각*함#때#*생각*#군자"
"* 述者之能(술자지능)*: (1)글이 잘되고 못 되는 것은 쓴 사람의 *능력*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2)일이 잘되고 안되는 것은 그
사람의 수단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저술#재능#일#성패#*능력*#사용#의미#수단#사람"
"* 大歸(대귀)*: (1)*여자*가 이혼을 하고 친정으로 돌아옴. (2)근본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을 이르는 말.
#*여자*#친정#죽음#근본#이혼#사람"
"* 囚首喪面(수수상면)*: 죄수의 머리에 상주의 얼굴이라는 뜻으로, 죄수처럼 머리를 빗지 않고 상주(喪主)처럼 얼굴을 씻지 않듯이
용모를 꾸미지 않음을 *형용*한 말.[본래 송(宋)나라의 왕안석(王安石)을 기롱(欺弄)한 말에서 연유함].
#용모#*형용*#말#상주#머리#나라#왕안석#죄수#얼굴#본래#연유"
* 行道遲遲(행도지지)*: 길을 걷는 걸음이 더디고 더디다는 뜻으로, *마음*에 근심과 슬픔이 있음을 이르는 말.
"* 見奔獐放獲兎(견분장방획토)*: 달아나는 노루 보다가 잡은 토끼 놓친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큰 것에 *욕심*을 내다가 도리어
자기가 가진 것마저 잃어버린다는 말."
* 乾沒作錢(건몰작전)*: (1)강제로 빼앗아 팖. (2)강제로 빼앗은 *물건*을 팔아 돈을 벎.
"* 女子善懷(여자선회)*: *여자*(女子)는 무슨 생각에 잠기기를 잘함.
#잠#*여자*#생각"
"* 內無主張(내무주장)*: *집안* 살림을 맡아 할 안주인이 없음.
#살림#안주#*집안*"
* 三從兄弟(삼종형제)*: 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 風雲開闔(풍운개합)*: 바람에 구름이 열렸다 닫혔다한다는 뜻으로, 때로는 바람이 구름을 헤쳐 밝게 하고, 때로는 구름이 하늘을 덮어
어둡게 하는 것처럼, *풍운*이 크게 요동치며 변화무쌍하다는 의미.
#*풍운*#바람#때#의미#구름#하늘"
"* 朝令暮改(조령모개)*: 아침에 명령을 내렸다가 저녁에 다시 고친다는 뜻으로, 법령을 자꾸 고쳐서 갈피를 잡기가 어려움을 이르는 말.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아침#말#명령#개정#어려움#나라#갈피#저녁#법령"
"* 管鮑之交(관포지교)*: 관중과 포숙의 사귐이란 뜻으로, 우정이 아주 돈독한 친구 *관계*를 이르는 말.
#교제#사람#춘추#포숙#친구#시대#관중#*관계*#우정#나라#돈독#의미#중국#친밀#이해#서로#유래#사이"
* 人面獸心(인면수심)*: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나 *행동*이 몹시 흉악함을 이르는 말.
"* 犬馬之心(견마지심)*: 개나 말이 주인을 위하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신하*나 백성이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하는 마음을 낮추어 이르는
말."
"* 艾年(애년)*: *머리털*이 약쑥같이 희어지는 나이라는 뜻으로, 쉰 살을 이르는 말.
#*머리털*#말#쑥#나이"
* 朝不食夕不食(조불식석불식)*: 아침도 굶고 저녁도 굶는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여 끼니를 늘 굶음을 이르는 말.
"* 遽篨戚施(거저척이)*: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병이란 뜻으로, 오만(傲慢)하고 아첨(阿諂)하는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거저(遽篨)는 새가슴, 척이(戚施)는 곱사등이."
"* 兄肥弟瘦(형비제수)*: 형은 살찌고 아우는 마르다는 뜻으로, 형제의 신분이 다름을 이르거나, 형은 동생 대신 동생은 형 대신 *서로*
돕는 일의 의미로 사용됨."
"* 非帛不煖(비백불난)*: 비단이 아니면 따뜻하지 않다는 뜻으로, 비단옷이 아니면 따뜻함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쇠약해진 노년기를 이르는
말."
"* 三冬文史(삼동문사)*: *가난*한 사람은 농사(農事) 짓느라고 여가(餘暇)가 없어 다만 삼동에 학문(學問)을 닦는다는 뜻으로,
자기(自己)를 겸손(謙遜)히 이르는 말.
#농사#학문#여가#겸손#*가난*#사람"
"* 左袒(좌단)*: 왼*쪽* 소매를 벗는다는 뜻으로, 남을 편들어 동의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한(前漢) 때에, 여후(呂后)가 반란을
꾀할 때 공신 주발(周勃)이 군중(軍中)에서, 여후를 돕고자 하는 자는 오른*쪽* 소매를 벗고 한나라 왕실을 돕고자 하는 자는 왼*쪽*
소매를 벗으라고 명하자 모두 왼*쪽* 소매를 벗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 依草附木(의초부목)*: 풀에 의지하고 나무에 붙는다는 뜻으로, 초목에 의지하는 것처럼 남에게 의뢰함을 이르거나, 불가(佛家)에서
사후(死後)에 다음 생(生)을 받지 못한 중간에 영혼이 초목의 그늘에 머물고 있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敗柳殘花(패류잔화)*: 잎이 다 떨어진 버드나무와 시든 꽃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움을 잃은 *미인*이나 권세를 잃은 실력자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용모#*미인*#권세#비유#꽃#잎#버드나무#쇠#모습#안색#아름다움"
* 眼中無人(안중무인)*: 눈에 보이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방자하고 교만하여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 萬端愁心(만단수심)*: 온갖 *근심* 걱정.
"* 慈母(자모)*: (1)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팔모(八母)의 하나. *어머니*를 여읜 뒤
자신을 길러 준 아버지의 첩을 이르는 말이다."
"* 休戚相關(휴척상관)*: 기쁨과 슬픔이 서로 관계한다는 뜻으로, 서로의 관계가 밀접하여 *이해*(利害)가 일치되거나 고락(苦樂)을
함께 나누는 사이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休戚與共 (휴척여공)].
#고락#관계#기쁨#비유#일치#*이해*#서로#슬픔#밀접#사이"
"* 感慨無量(감개무량)*: 마음속에서 느끼는 *감동*이나 느낌이 끝이 없음. 또는 그 *감동*이나 느낌.
#사물#일#마음속#탄식#*감동*#끝#회포#깊이#느낌#정도"
"* 千金然諾(천금연낙)*: 천*금*같이 귀중한 허락.
#허락#귀중#천*금*"
"* 精敏强幹(정민강간)*: 사리(事理)에 밝고, 판단(判斷)에 민첩(敏捷)하며, 역량(力量)과 *재능*(才能)이 뛰어남.
#*재능*#사리#역량#판단#민첩"
"* 江風明月(강풍명월)*: 강가의 *바람*과 하늘의 밝은 달의 뜻으로, 자연(自然)의 풍광(風光)을 의미.
#풍광#달#*바람*#의미#자연#하늘"
* 事理明白(사리명백)*: 사물(事物)의 이치(理致)나 일의 도리(道理)가 명*백*(明白)함.
"* 凱旋將軍(개선장군)*: (1)적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온 장군. (2)어떤 일에 성공하여 의기양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見聞覺知(견문각지)*: 눈으로 빛을 보고, 귀로 소리를 듣고, 코ㆍ혀ㆍ*몸*으로 냄새ㆍ맛ㆍ촉감을 감각하고, 뜻으로 법을 아는
육식(六識) 작용. 외경을 식별ㆍ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이르는 말이다."
"* 知者不言(지자불언)*: 지자는 *깊이* 재능을 감추고 함부로 말을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노자(老子)≫ 56장에 나오는 말이다.
#사물#마음속#재능#말#표현#이치#의미#노자#*깊이*#사람"
"* 人生草露(인생초로)*: 사람의 삶은 풀에 맺힌 이슬 같다는 뜻으로, *인생*은 해뜨면 사라질 아침에 맺힌 풀 위의 이슬처럼 덧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이슬#아침#풀#비유#*인생*#삶#사람"
"* 靑紗燈籠(청사등롱)*: (1)궁중에서 사용하던 등롱. 푸른 운문사(雲紋紗)로 바탕을 삼고 위아래에 붉은 천으로 동을 달아서 만든
옷을 둘러씌웠다. (2)조선 시대에, 정삼품부터 정이품의 *벼슬*아치가 밤에 다닐 때 쓰던 품등(品燈). 푸른 사로 둘러씌웠다."
* 鏤月裁雲(누월재운)*: *달*을 아로새기고 구름을 마른다는 뜻으로, 세공이 아기자기하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師弟同行(사제동행)*: (1)스승과 *제자*가 함께 길을 감. (2)스승과 *제자*가 한마음으로 연구하여 나아감.
#나아감#마음#한마음#활동#사용#교육#*제자*#스승#의미#길#연구#총칭"
"* 牛刀割鷄(우도할계)*: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재능#과장#칼#표현#비유#닭#따위#도구"
"* 秋風索莫(추풍삭막)*: 가을*바람*이 황량하고 쓸쓸하게 분다는 뜻으로, 예전의 권세는 간 곳이 없고 초라해진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바람*#권세#예전#초라#쓸쓸#옛날#모양#가을*바람*#모습#가을"
"* 修學務早(수학무조)*: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수행은 기억력이 왕성한 *소년*시절에 해야 한다는
의미.
#일#학문#*소년*#때#의미#학업#시절#수행#왕성"
"* 池魚籠鳥(지어농조)*: 못 속의 *물고기*와 새장 속의 새라는 뜻으로, 자유롭지 못한 대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신세#새장#비유#자유#연못#대상"
* 補過拾遺(보과습유)*: *임금*의 잘못을 바로잡아 고치게 함.
"* 多事多端(다사다단)*: 여러 가지 일이나 까*닭*이 서로 뒤얽혀 복잡함.
#일#복잡#까*닭*"
"* 抱炭希凉(포탄희량)*: 숯불을 안고 서늘하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행동*(行動)과 목적(目的)이 상치됨을 이르는 말.
#서늘#숯불#*행동*#목적"
"* 秋風落葉(추풍낙엽)*: (1)*가을*바람에 떨어지는 나뭇잎. (2)어떤 형세나 세력이 갑자기 기울어지거나 헤어져 흩어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恕而行之(서이행지)*: 용서하고 *행동*한다는 뜻으로, 남의 처지를 깊이 동정하는 마음으로써 일을 행한다는 의미.
#일#마음#용서#의미#동정#*행동*"
"* 捉襟見肘(착금현주)*: 옷깃을 당기면 팔꿈치가 드러난다는 뜻으로, 생활이 극도로 빈한(貧寒)하거나 이것저것 미처 돌볼 수 없는 딱한
사정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天日照臨(천일조림)*: (1)하늘과 해가 내려다본다는 뜻으로, 속일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2)*임금*이 잘 살펴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塞翁之馬(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재앙#예측#옛날#훌륭#인생#비유#다리#오랑캐#길흉#유래#세상#*변화*#땅#인간#화#노인#길흉화복#말#복#죽음#아들#전쟁#중국#준마#
늙은이"
"* 形而上學(형이상학)*: (1)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2)헤겔ㆍ마르크스 철학에서, 비변증법적 사고를 이르는 말. (3)초경험적인 것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을, 형이하
또는 경험적 대상의 학문인 *자연* 과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4)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일 철학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다룬 여러 문제의 연구를 후세에 정리한 것으로,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비판하고 실재론을 설명하였다. 스콜라 철학을 통하여 중세의
유럽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 14장(章)."
"* 府部院廳(부부원청)*: 서울의 각 관아를 통틀어 이르던 말.
#관아#말#서울"
"* 綠衣使者(녹의사자)*: 푸른 옷을 입은 사자(使者)라는 뜻으로, 앵무*새*의 다른 명칭.
#명칭#사자#옷#입"
* 蜂蟻君臣(봉의군신)*: 벌과 개미에게도 *임금*과 신하의 구별이 있다는 뜻으로, 신분 관계의 질서가 중요함을 이르는 말.
"* 博學而詳說之(박학이상설지)*: 군자(君子)가 박학함으로써 상세(詳細)히 풀이하는 것은 世人(세인)에게 *학문*(學問)을 자랑하려
함이 아니라, 요점(要點)을 알아듣도록 설명(說明)하기 위함이라는 말.
#말#*학문*#세인#상세#요점#군자#학#설명#풀이#자랑"
"* 天假之年(천가지년)*: 하늘이 세월을 빌려준다는 뜻으로, *목숨*을 연장함을 이르는 말.
#일#하늘#세월#*목숨*"
"* 炊骨易子(취골역자)*: 뼈로 밥을 짓고 *자식*과 바꾼다는 뜻으로, 전시에 성 안에 갇혀 식량이 다 떨어져 시체로 밥을 짓고 차마
*자식*을 먹을 수 없어 *자식*을 바꾼다는 참혹한 상황을 형용한 말."
"* 白面書郞(백면서랑)*: (1) 희고 고운 *얼굴*에 글만 읽는 사람이란 뜻 (2) 세상일(世上-)에 조금도 경험(經驗)이 없는 사람.
#일#사람#세상#세상일#경험#조금#*얼굴*"
"* 難保之境(난보지경)*: 보존하기 어려운 *지경*.
#*지경*#보존"
"* 望門寡婦(망문과부)*: 정혼한 남자가 죽어서 시집도 가 보지 못하고 과부가 되었거나, 혼례는 하였으나 첫날밤을 치르지 못하여 처녀로
있는 *여자*."
"* 益者三友(익자삼우)*: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破除萬事(파제만사)*: 한 *가지* 일에만 전력하기 위하여 다른 일은 다 제쳐 놓음.
"* 下陵上替(하릉상체)*: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능가하여 윗사람의 권위(權威)가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이 어지러움을
이르는 말."
"* 四時山色(사시산색)*: 계절(季節)에 따라 *변화*(變化)하는 산의 풍경(風景)을 이름.
#이름#계절#풍경#산#*변화*"
"* 蝶夢(접몽)*: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 淸心寡慾(청심과욕)*: (1)마음을 깨끗이 하여 *욕심*을 적게 가짐. (2)마음이 깨끗하여 *욕심*이 적음.
#의미#마음#깨끗#*욕심*"
"* 慈母(자모)*: (1)*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팔모(八母)의 하나. 어머니를 여읜 뒤
자신을 길러 준 아버지의 첩을 이르는 말이다."
"* 草莽之臣(초망지신)*: 벼슬을 하지 않고 초야에 묻혀 사는 사람.
#백성#풀숲#신하#초야#벼슬#스스로#사람"
"* 匪躬之節(비궁지절)*: 자기 개인의 *이해*(利害)를 돌아보지 아니하고 오로지 나라에 충성을 다하는 지조.
#절개#일#충성#충절#이익#정성#개인#국가#나라#생각#의미#*이해*#자신#지조"
"* 擇子莫如父(택자막여부)*: *자식*을 가려내는 데에는 아버지만 함이 없다는 뜻으로, 아버지는 누구보다도 아들의 현명함과 어리석음을
잘 알아 가려낼 수 있다는 의미."
"* 言美響美(언미향미)*: 말이 아름다우면 그 울림도 아름답다는 뜻으로, 인격이나 행동이 훌륭하면 *자연* 명예도 얻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명예#말#비유#인격#*자연*#행동#훌륭#울림"
"* 望蜀(망촉)*: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후한#말#경우#욕심#만족#평정#*지방*#밖#유래#광무제"
"* 魂飛中天(혼비중천)*: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無媒獨子(무매독자)*: 딸이 없는 이의 외*아들*.
#이의#딸#외*아들*"
"* 松柏之茂(송백지무)*: 소*나무*와 잣*나무*가 항상 푸른 것처럼 영원토록 번영함을 이르는 말.
#영원#번영#무성함#푸른빛#비유#백#잣*나무*#소*나무*#성함"
* 舍短取長(사단취장)*: 단점은 버리고 장점은 취한다는 뜻으로, 나쁜 점은 버리고 좋은 점을 취한다는 *의미*.
"* 半面之識(반면지식)*: 얼굴만 약간 알 정도의, 교분이 두텁지 못한 사이.
#사이#정도#교분#얼굴"
"* 指鹿爲馬(지록위마)*: (1)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의 조고(趙高)가 자신의 권세를
시험하여 보고자 황제 호해(胡亥)에게 사슴을 가리키며 말이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2)모순된 것을 끝까지 우겨서 남을 속이려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偃仰(언앙)*: (1)누웠다 일어났다 한다는 뜻으로, 기거(起居)를 자기 마음대로 함을 이르는 말. (2)엎드리고 우러러본다는
뜻으로,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함을 이르는 말. (3)*편안*하게 한가로이 지냄."
"* 詠雪之才(영설지재)*: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국 진나라 사(謝) 씨의 딸이 시를 짓는데 눈을 보고 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재주#*여자*#말#글재주#바람#눈#딸#버들#씨#비유#중국#진나라#유래"
"* 七去之惡(칠거지악)*: (1)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2)독일 출생의 미국 작곡가 바일의 *작품*.
샹젤리제의 파리 극장에서 1933년 6월 7일에 초연되었다.
#유교#악행#조건#이름#음탕#도둑질#말썽#굴레#초연#도둑#여자#일#허물#속박#*작품*#도덕#사회#아내#예전#과거#일곱#파리#강요#따위#
자식#말#이유#지난날#병#명분#부모#가치#행실#독일#시부모"
"* 太古時代(태고시대)*: 아주 오랜 옛적 *시대*(時代).
#*시대*#옛적"
"* 江上風月主人(강상풍월주인)*: 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주인*#욕심#차지#산수#풍월#경치#산#사람"
"* 慈母(자모)*: (1)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팔모(八母)의 하나. *어머니*를 여읜 뒤
자신을 길러 준 아버지의 첩을 이르는 말이다."
* 薄氷如履(박빙여리)*: 엷은 얼음을 밟듯이 *세상*(世上)의 처세(處世)에 조심함.
"* 一龍一蛇(일룡일사)*: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가거나 뱀이 되어 못 속에 숨는다는 뜻으로, 태평한 *시대*에는 세상에 나와 일을 하고
난세에는 은거하여 재능을 나타내지 아니하고 *시대*에 잘 순응함을 이르는 말."
"* 夜不閉門(야불폐문)*: 밤에 대문을 닫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세상이 태평하여 *인심*이 순박함을 이르는 말.
#밤#말#순박#태평#세상#대문#*인심*"
"*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 竝州故鄕(병주고향)*: 오래 살아서 정든 타향을 고향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가도(賈島)가 병주(竝州)에 오래
살다가 떠나면서 한 말에서 유래한다.
#*당나라*#말#타향#고향#병#제2#비유#중국#유래"
* 天雷(천뢰)*: (1) 천연(天然)ㆍ자연(自然)의 소리. 곧 *바람* 소리, 빗소리 따위 (2) 아주 뛰어난 시문(詩文).
* 患得患失(환득환실)*: 물건이나 *지위* 따위를 얻기 전에는 그것을 얻으려고 걱정하고, 얻은 후에는 그것을 잃지 아니하려고 근심함.
"* 上求菩提(상구보리)*: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노력하는 일.
#일#노력#*보리*#깨달음#지혜"
* 矛盾撞着(모순당착)*: 같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아니하고 모순됨.
"* 杏林(행림)*: (1)‘의원’을 달리 이르는 말. 예전에 동봉(董奉)이라는 의원이 치료의 보수로 중환자에게는 다섯 그루,
경환자에게는 한 그루씩 살구*나무*를 심게 하였는데, 이것이 몇 년 뒤에 가서 울창한 숲을 이루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살구*나무*가
무성하게 꽉 들어찬 곳."
"* 毫末爲丘山(호말위구산)*: 터럭 끝이 언덕 산이 된다는 뜻으로, 지극히 작은 것도 쌓이면 산도 될 수 있다는 *의미*.
#터럭#끝#언덕#*의미*#산"
"* 望梅止渴(망매지갈)*: 매실은 시기 때문에 이야기만 나와도 침이 돌아 해갈(解渴)이 된다는 뜻으로, (1) 매실의 맛이 아주 심
(2) 공상으로 *마음*의 위안을 얻음."
"* 春夏秋冬節東西南北方(춘하추동절동서남북방)*: 봄, 여름, 가을, 겨울은 계절(季節)이요, *동서*(東西) 남북(南北)은
방위(方位)임.
#남북#여름#계절#겨울#*동서*#방위#봄#가을"
"* 婦人之仁(부인지인)*: (1)*여자*가 지니는 좁은 소견의 인정. (2)하찮은 인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견#*여자*#마음#인정"
* 車胤聚螢(차윤취형)*: 차윤이 반딧불이를 모아 그 빛으로 글을 읽었다는 *고사*.
"* 愚公移山(우공이산)*: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집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대대로 산의 *흙*을 파서 나르겠다고 하여 이에 감동한 하느님이 산을 옮겨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에 나오는 말이다.
#일#말#노력#집#공이#감동#유래#비유#우공#하느님#노인#*흙*#산#성공"
"* 比屋可封(비옥가봉)*: 집집마다 *덕행*이 있어 모두 표창할 만하다는 뜻으로, 나라에 어진 사람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집집#백성#*덕행*#성군#집#시대#태평#때#나라#의미#구가#감화#모두#정도#요순#사람"
* 輕擧妄動(경거망동)*: 경솔하여 생각 없이 망령되게 *행동*함. 또는 그런 *행동*.
"* 惡言相待(악언상대)*: 못된 소리를 주고받으며 서로 *다툼*.
#*다툼*#서로#소리"
"* 催枯拉朽(최고납후)*: 마른 *나무*를 꺾고 썩은 *나무*를 부러뜨린다는 뜻으로, 일이 대단히 용이(容易)함을 이르는 말.
#*나무*#일#용"
"* 齊紫敗素(제자패소)*: 제자(齊紫)는 제(齊)나라에서 나는 자색 천을 말하고, 패소(敗素)는 거칠고 흰 *비단*(緋緞)을 말하는
것으로 거칠고 나쁜 물건(物件)이라도 자줏빛 물만 들이면 값이 열 곱으로 뛴다는 데서, 어진 사람은 풍부(豊富)한 지식(知識)으로
재난(災難)을 복으로 돌리고, 실패(失敗)를 성공(成功)으로 이끈다는 말.
#자줏빛#복#값#말#풍부#재난#실패#물#나라#제자#물건#지식#*비단*#자색#성공#사람"
* 飛沙走石(비사주석)*: 모래가 날리고 돌멩이가 구른다는 뜻으로, *바람*이 세차게 붊을 이르는 말.
* 面面相顧(면면상고)*: 아무 말도 없이 서로 *얼굴*만 물끄러미 바라봄.
"* 抑弱扶强(억약부강)*: 약한 자를 억누르고 *강*(强)한 자를 도와 줌.
#*강*"
* 移天易日(이천역일)*: *하늘*을 옮기고 해를 바꾼다는 뜻으로, 정권을 빼앗음을 이르는 말.
"* 餘桃之罪(여도지죄)*: 같은 행동(行動)이라도 사랑을 받을 때와 미움을 받을 때가 각기 다르게 받아 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비유*(比喩)하는
말."
"* 一樹百穫(일수백확)*: 나무 한 그루를 심어서 백 가지의 *이익*을 본다는 뜻으로, 유능한 인재 하나를 길러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음을 이르는 말."
"* 兩足仙(양족선)*: 두 발을 가진 존재 중에서 가장 높은 이라는 뜻으로, ‘부처01’를 높여 이르는 말. 양족(兩足)은 복덕과
지혜, 계(戒)와 정(定), 대원(大願)과 *수행*을 원만하게 갖추었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존재#원만#복#복덕#*수행*#부처#지혜#풀이#사람"
사용
"* 業感緣起(업감연기)*: 세계의 삼라만상과 모든 현상은 중생의 업(業)에 의하여 생겨남. 또는 그런 세계관이나 *인생*관.
#일체#세계#현상#선#중생#악"
"* 惡戰苦鬪(악전고투)*: 매우 어려운 조건을 무릅쓰고 힘을 다하여 *고생*스럽게 싸움.
#조건#다툼#노력#*고생*#강력#비유#고통#계속#힘#싸움#곤란#상태"
"* 忘形之友(망형지우)*: 외형을 잊고 사귄 *친구*라는 뜻으로. 외형적인 것을 상관하지 않고 마음으로서 사귄 친밀한 *친구*의 의미.
#마음#*친구*#상관#의미#친밀#외형"
"* 風磨雨洗(풍마우세)*: *바람*에 갈리고 비에 씻김.
#*바람*#비*바람*#자연#동안#침식"
"* 無爲自然(무위자연)*: 사람의 힘을 더하지 않은 그대로의 *자연*. 또는 그런 이상적인 경지.
#의미#사상#*자연*#인공#힘#봄#이상#사람"
"* 文質彬彬(문질빈빈)*: (1)겉모양의 아름다움과 속내가 서로 잘 어울림. (2)공자가 문학의 내용과 형식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한
*주장*. 꾸밈과 바탕이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야 군자라고 *주장*한 것으로, ≪논어≫의 에 나온다.
#내용#바탕#최상#문학#외형#쪽#본질#겉모양#공자#한쪽#꾸밈#상태#유지#조화#말#문채#군자#*주장*#형식#논의#아름다움"
* 天生因緣(천생인연)*: *하늘*이 정하여 준 연분.
"* 餘桃之罪(여도지죄)*: 같은 행동(行動)이라도 *사랑*을 받을 때와 미움을 받을 때가 각기 다르게 받아 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비유(比喩)하는 말.
#말#*사랑*#때#비유#미움#행동"
지위
"* 莫顯乎隱(막현호은)*: 숨는 것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것이 없다는 뜻으로, 남이 보지 않는 곳에서 한 일은 매우 잘 드러나는 것처럼
홀로 있을 때에도 도리(道理)에 어그러짐이 없도록 삼가야 한다[愼獨(신독)]는 *의미*.
#*의미*#일#때"
"* 單鶴胸背(단학흉배)*: 당하관 문관이 입는 공복(公服)의 가슴과 등에 붙이던 헝겊 조각. 학 한 *마리*를 수놓았다.
#문관#공복#*마리*#조각#학#가슴"
"* 揠苗(알묘)*: *곡식*의 싹을 뽑아 올린다는 뜻으로, 성공을 서두르다가 도리어 해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곡식*#이익#말#싹#성급#때문#손해#봄#성공"
임금
* 慷慨之士(강개지사)*: *세상*의 옳지 못한 일에 대하여 의분을 느끼고 탄식하는 사람.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府夫人(부부인)*: *조선* 시대에, 왕비의 친정어머니나 대군(大君)의 아내에게 주던 작호(爵號). 국대부인을 고친 것으로 품계는
정일품이다.
#*조선*#왕#시대#때#왕비#어머니#아내#품계"
"* 出告反面(출곡반면)*: 나갈 때는 아뢰고 돌아와서 대면한다는 뜻으로, 자식 된 도리로 외출과 귀가 시에 부모님께 아뢰고 인사를
드린다는 *의미*. [出必告反必面(출필곡반필면)]."
"* 狎而敬之(압이경지)*: 친압하면서도 *공경*한다는 뜻으로, 아주 친근한 사이일지라도 *공경*하는 마음을 잃지 않는다는 의미.
#마음#*공경*#의미#친압#사이"
"* 風雲才子(풍운재자)*: 비*바람*을 무릅쓰는 인재라는 뜻으로, 어지러운 세상에 위급하고 곤란한 상황을 무릅쓰고 활약하여 공명을
세우는 전도양양(前途揚揚)한 청년을 이르는 말.
#전도양양#*바람*#비*바람*#공명#상황#활약#청년#양양#인재#위급#곤란#전도#세상"
"* 刻舟求劍(각주구검)*: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여씨춘추≫의
에 나오는 말이다."
"* 喪家之狗(상가지구)*: 상가집의 개라는 뜻으로, 상가에서는 경황이 없이 개밥도 제대로 주지 못하므로 개가 몹시 여윈다는 데서 몹시
수척한 사람을 빈정거리는 말로 사용됨.
#말#별#상가#초라#비유#사용#이곳저곳#모습#대접#사람"
"* 喙長三尺(훼장삼척)*: (1)부리의 길이가 석 자라는 뜻으로, 말을 거침없이 잘함을 이르는 말. (2)주둥이가 석 자나 길어도
변명할 수 없다는 뜻으로, *허물*이 드러나서 숨겨 감출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말#*허물*#비유#길이#변명#부리"
"* 渾然一體(혼연일체)*: 생각, *행동*, 의지 따위가 완전히 하나가 됨.
#몸#차이#생각#덩어리#자연#융화#차별#의지#*행동*#조금#따위#사람"
"* 寶學之人(보학지인)*: 학문을 보배로 여기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보배롭게 여기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상아탑에 들어박혀 있는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 雲散鳥沒(운산조몰)*: 구름처럼 흩어지고 새처럼 *사라*진다는 뜻으로, 종적이 없어짐을 이르는 말.
#새#비유#종적#구름#형"
"* 臥薪嘗膽(와신상담)*: 불편한 섶에 몸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의 와 ≪십팔사략≫ 등에 나오는 이야기로,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가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장작더미 위에서 잠을 자며 월나라의 왕 구천(句踐)에게 복수할 것을 맹세하였고, 그에게
패배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杯酒解怨(배주해원)*: 술을 잔에 따르며 원망을 푼다는 뜻으로, 서로 술잔을 나누는 사이에 묵은 *원한*을 잊어버린다는 의미.
#원망#술잔#*원한*#의미#술#사이"
"* 雲雨之情(운우지정)*: 구름 또는 비와 나누는 정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회왕(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이 떠나면서 자기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謀殺未遂(모살미수)*: 미리 *꾀*하여 사람을 죽이려다가 이루지 못하는 일.
#일#사람#행위#*꾀*"
"* 濟世之才(제세지재)*: 세상을 구제할 만한 *재주*. 또는 그 *재주*를 가진 사람.
#*재주*#역량#구제#인재#세상#사람"
* 衆口一辭(중구일사)*: 여러 사람의 입에서 하나의 말을 한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하는 말이 *일*치함을 이르는 말.
고사
"* 魚頭一味(어두일미)*: 물고기는 머리 쪽이 그중 맛이 있다는 말.
#그중#말#대가리#머리#맛#쪽"
* 漁焦閑話(어초한화)*: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克己復禮(극기복례)*: 자기의 욕심을 누르고 예의*범*절을 따름.
* 塞翁爲福(새옹위복)*: 한때의 이(利)가 장래(將來)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화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
"* 士大夫(사대부)*: (1)사(士)와 대부(大夫)를 아울러 이르는 말. 문무 양반(文武兩班)을 일반 평민층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2)*벼슬*이나 문벌이 높은 집안의 사람."
"* 草木俱朽(초목구후)*: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이름#죽음#초목#*세상*"
"* 無邊法界(무변법계)*: 넓고 끝이 없어 온갖 법을 갖추고 있는 *세계*.
#*세계*#법#끝"
"* 才色兼備(재색겸비)*: 어떤 여자가 *재주*와 아름다운 용모를 두루 갖춤.
#용모#여자#재능#*재주*#여성"
"* 希聖希賢(희성희현)*: 성인이 되길 바라고 현인이 되길 바란다는 뜻으로, 사람은 *자기*보다 더욱 뛰어난 사람을 이상으로 삼을
것임을 이르는 말.
#현인#이상#성인#사람"
* 破落戶(파락호)*: 재산이나 세력이 있는 *집안*의 자손으로서 *집안*의 재산을 몽땅 털어먹는 난봉꾼을 이르는 말.
"* 萬分之一(만분지일)*: 만으로 나눈 것의 하*나라*는 뜻으로, 아주 적은 경우를 이르는 말.
#비교#경우"
"* 半上半下(반상반하)*: 태도나 성질이 모호하여 위나 *아래* 어느 쪽에도 붙지 아니함.
#쪽#성질#*아래*#태도"
"* 四方之志(사방지지)*: 천하 *사방*을 돌아다니며 다스리려는 큰 뜻.
#세계#*사방*#천하#각국#天下#기록#경영"
* 風前之塵(풍전지진)*: *바람* 앞의 먼지라는 뜻으로, 사물의 변화가 덧없음을 이르는 말.
"* 家貧思良妻(가빈사양처)*: 집이 가난해지면 좋은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궁핍(窮乏)한 *지경*(地境)이 되면 훌륭한
관리자(管理者)가 생각난다는 의미(意味).
#집#관리#의미#생각#*지경*#집이#가난#아내#훌륭"
"* 八年兵火(팔년병화)*: *싸움*이 오랫동안 계속되어도 승부가 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중국에서, 항우와 유방의 *싸움*이 8년이나
걸린 데서 유래한다."
"* 受和受采(수화수채)*: 받아들여 화합하고 받아들여 채색된다는 뜻으로, 단 맛은 다른 맛과 잘 조화되고, 흰색은 다른 색과 잘
조화된다는 의미에서 진실한 *성품*을 가진 사람은 예의를 잘 익혀 행할 수 있다는 의미를 비유한 말.
#조화#예의#채색#흰색#비유#의미#화합#진실#맛#*성품*#사람"
"* 三餘之功(삼여지공)*: *독서*(讀書)하기에 가장 좋은 '겨울ㆍ밤ㆍ음우(陰雨)'를 일컬음.
#밤#*독서*#겨울"
"* 百乘之家(백승지가)*: *전쟁*이 일어나면 수레 백 대를 내놓을 수 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경대부의 집을 이르던 말.
#말#집#전시#*전쟁*#수레#백#집안"
"* 法古創新(법고창신)*: 옛 것을 법으로 삼아 새 것을 창조한다는 뜻으로, 과거를 밑거름으로 해서 새로운 것을 도출해낸다는 *의미*.
#그것#법#옛것#*의미*#근본#토대#과거#변화"
"* 存心養性(존심양성)*: 마음을 간직하고 성품을 기른다는 뜻으로, 양심(良心)을 잃지 말고 그대로 간직하여, *하늘*이 주신
본성(本性)을 키워 나가는 것을 이르는 말.
#간직#마음#본성#*하늘*#성품#양심"
* 專房之寵(전방지총)*: 여러 첩 가운데에서 어느 한 첩에게 가장 많이 쏟는 사랑.
"* 布衣之位(포의지위)*: 포의는 서민(庶民)의 옷으로 비천한 *신분*(身分)을 두고 이르는 말.
#비천#옷#서민#두고#*신분*"
* 自家撞着(자가당착)*: 같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아니하고 모순됨.
"* 割肉去皮(할육거피)*: *짐승*을 잡아서 가죽을 벗기고 살을 베어 냄.
#가죽#*짐승*#베어"
* 大有之年(대유지년)*: 큰 소득이 있는 해라는 뜻으로, 크게 풍년(豊年)이 든 해를 *의미*함.
"* 風燈(풍등)*: (1)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열기구의 원리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띄우는 등. 대나무로 된 뼈대 위에 한지로 만든 등갓을 붙인
다음 뼈대 가운데에 기름을 먹인 심지를 고정하여 만든다. 과거에는 밤에 하늘로 띄워 군*사용* 신호를 보내는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으나,
보통 복을 기원하거나 놀이를 위하여 띄운다."
"* 榮枯一炊(영고일취)*: *인생*이 꽃피고 시드는 것은 한번 밥짓는 순간같이 덧없고 부질없음을 이르는 말.
#한번#순간#*인생*#밥"
"* 回光反照(회광반조)*: 석양빛이 반사한다는 뜻으로, *등불*이나 사람의 목숨이 다하려고 하는 마지막 한 때에 잠시 기운을 되차리는
일을 의미함.
#빛#일#*등불*#때#마지막#목숨#의미#기운#사람"
"* 黃冠(황관)*: (1)누런빛의 관. (2)풀로 만든 평민의 관이라는 뜻으로, 벼슬하지 못한 사람을 이르는 말. (3)*도사*(道士)의
관. 또는 그 관을 쓴 *도사*.
#빛#평민#벼슬#*도사*#누런빛#사람"
* 朝雲暮月(조운모월)*: 아침의 구름과 저녁의 *달*.
성품
* 千金駿馬(천금준마)*: 천*금*의 값이 나갈 만큼 썩 좋은 말.
"* 積薪之嘆(적신지탄)*: 섶*나무*를 쌓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땔감을 쌓을 때 새로 해온 것을 늘 위에 있고, 먼저 해 온 것은 늘
아래에 눌려있듯이, 상급자로 승진하지 못하고 항상 남의 아랫자리에 머물러 있음을 한탄하는 말."
"* 事以密成(사이밀성)*: 무슨 일이나 기밀(機密)을 지킴으로써 성취(成就)됨.
#기밀#일#성취"
"* 落眉之厄(락미지액)*: (1)*눈앞*에 닥친 재앙. (2)‘낙미지액’의 북한어.
#눈#눈썹#앞#*눈앞*#재앙#의미#액운#당장"
* 痛入骨髓(통입골수)*: 억울하고 분한 *마음*이 골수에 깊이 사무침.
"* 錦衣夜行(금의야행)*: (1)*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다닌다는 뜻으로, 자랑삼아 하지 않으면 생색이 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아무 보람이 없는 일을 함을 이르는 말.
#일#출세#*비단*옷#밤길#의미#생색#밤중#행동#자랑#보람"
* 風雨場中(풍우장중)*: (1)몹시 바쁜 판. (2)비*바람* 속에서 치르는 과장(科場)의 안.
* 掩目捕雀(엄목포작)*: 눈을 가리고 참*새*를 잡는다는 뜻으로, 아주 얕은 꾀로 남을 속이려 함을 이르는 말.
"* 與虎謀皮(여호모피)*: 호랑이와 더불어 호랑이 가죽을 벗길 것을 꾀한다는 뜻으로, 이해관계가 서로 맞지 않는 사람과 *의논*하면
원하는 바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의논*#근본적#이해관계#꾀#호랑이#근본#가죽#사람"
"* 解衣抱火(해의포화)*: 옷을 *벗*고 불을 안는다는 뜻으로, 재난을 자초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옷#재난#불#비유#자초"
"* 壓卷(압권)*: (1)여러 책이나 작품 *가운데* 제일 잘된 책이나 작품. 고대 중국의 관리 등용 시험에서 가장 뛰어난 답안지를
다른 답안지 위에 얹어 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2)하나의 책이나 작품 *가운데* 가장 잘된 부분. (3)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
"* 陶婚式(도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2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사기*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선물#축하#풍속#혼인#의식#부부#기념#20주년"
"* 徹地之冤(철지지원)*: 하늘에 사무치는 크나큰 *원한*.
#*원한*#하늘"
"* 掩耳偸鈴(엄이투령)*: 제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1) 얕은 꾀로 남을 속이려 하나 아무 소용(所用)이 없음을
이르는 말 (2) *방울* 소리가 제 귀에 들리지 않으면 남의 귀에도 들리지 않으리라는 어리석은 생각을 이름.
#이름#꾀#생각#*방울*#소리#소용#귀"
"* 濯髮雲漢(탁발운한)*: 은하수에 머리를 감는다는 뜻으로, *벼슬*하여 출세함을 이르는 말.
#*벼슬*#출세#머리#은하수"
* 同氣連枝(동기연지)*: 형제(兄弟)는 부모(父母)의 기운(氣運)을 같이 받았으니 *나무*의 가지와 같음.
* 錦繡江山(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自大妄想(자대망상)*: 스스로 *자기*가 크고 강하다는 망령된 생각.
"* 忠臣之道不事二君(충신지도불사이군)*: 충성(忠誠)스러운 신하(臣下)의 도리(道理)는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 것임.
#충성#임금#신하"
"* 三千世界(삼천세계)*: 소천, 중천, 대천의 세 종류의 천*세계*가 이루어진 *세계*. 이 끝없는 *세계*가 부처 하나가 교화하는
범위가 된다.
#범위#*세계*#준말#불교#종류#교화#부처#세상"
* 綱紀肅正(강기숙정)*: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 伯牙絶絃(백아절현)*: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 속 *깊이* 이해하는 절친한 친구의 죽음을 의미.
* 負俗之累(부속지루)*: 지조가 고상하여 세속을 멀리하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로부터 좋지 아니한 말을 들어야 하는 괴로움.
"* 三顧草廬(삼고초려)*: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 西瓜皮舐(서과피지)*: 수박 껍질 핥기라는 뜻으로, 우리말 속담 ‘수박 겉핥기’의 한역인데, 사물의 속 내용은 모르고 겉만 건드리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사용*됨."
"* 虎視眈眈(호시탐탐)*: 범이 눈을 부릅뜨고 먹이를 노려본다는 뜻으로, 남의 것을 빼앗기 위하여 형세를 살피며 가만히 기회를 엿봄.
또는 그런 *모양*. ≪주역≫의 에 나오는 말이다.
#말#형세#눈#범#약자#비유#먹이#주역#*모양*#날카#기회"
"* 行則思義(행즉사의)*: 행하면 의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일거일동(一擧一動)에 예(禮)를 잃지 않으며, 한 가기 일을 행함에도
의(義)를 생각한다는 *의미*."
"* 河梁別(하량별)*: 떠나는 사람을 전송할 때에 강의 근처에서 헤어진다는 뜻으로, ‘송*별*’을 이르는 말.
#송*별*#강#때#작*별*#다리#근처#하천#사람"
* 念佛誦經(염불송경)*: 마음속으로 *부처*를 생각하고 불경을 외는 일.
* 適地敵樹(적지적수)*: 알맞은 땅에 알맞은 *나무*를 심음.
"* 日薄西山(일박서산)*: (1)해가 서*산*에 가까워진다는 뜻으로, 해가 짐을 이르는 말. (2)늙어서 죽을 때가 가까워졌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寸草春暉(촌초춘휘)*: 작은 풀과 봄볕이라는 뜻으로, 봄철의 작은 풀이 봄 햇살에 무럭무럭 자랄 수 있듯이 부모의 은혜는 만분의 하
*나라*도 갚기가 어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寸草’는 봄풀로 자식의 효심을, ‘春暉’는 봄볕으로 부모의 은혜를 비유."
"* 楊布之狗(양포지구)*: 양포의 개라는 뜻으로, 겉모습의 *변화*를 보고 섣불리 판단하는 것을 경계해야 함을 이르는 말. 전국 시대의
사람인 양포가 외출할 때에는 흰 옷을 입었다가 귀가할 때 검은 옷을 입었더니 양포의 개가 주인을 알아보지 못하고 짖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주인#말#옷#양#개가#양포#시대#전국#때#겉모습#경계#판단#유래#*변화*#사람"
"* 餘桃啗君(여도담군)*: 먹다 남은 복숭아를 임금에게 먹게 했다는 뜻으로, 똑같은 행위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의 애증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위(衛)나라의 미자하(彌子瑕)가 임금의 총애를 받을 때에는 제가 먹던 복숭아를 바쳐 신임을
얻었으나, 총애를 잃은 후에는 그 행동 때문에 죄를 얻어 처벌되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用行舍藏(용행사장)*: 쓰면 행하고 버리면 감춘다는 뜻으로, 세상에 쓰일 때는 나아가 자신의 도를 행하고 쓰이지 않을 때는 물러나
숨는다는 의미.
#의미#때#세상#자신"
"* 殺生有擇(살생유택)*: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 就伏白(취복백)*: 나아가 엎드려 여쭙는다는 뜻으로, 웃어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안부를 물은 뒤에 하고자 하는 말을 적기 *시작*할
때 쓰는 말.
#윗사람#말#인사말#때#*시작*#웃어른#안부"
"* 耳順之年(이순지년)*: 귀가 순해지는 나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가 나이 60이 되어서 천지 만물의 이치를 통달하고, 듣는
대로 모두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에서 나이 60세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됨. [= 耳順(이순)] ."
"* 江郞才盡(강랑재진)*: 강엄의 재주가 다했다는 뜻으로, 어떤 분야에 뛰어났던 *재능*이 차차 쇠퇴하여 더 이상 두각을 나타내지
못함을 이르는 말.
#재주#*재능*#강#말#학문#차차#분야#쇠퇴#이상"
"* 君子三樂(군자삼락)*: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의미#형제#경계#천하#하늘#즐거움#*군자*#부모#무고#사람"
* 腹心之臣(복심지신)*: 마음과 뜻을 같이하는 가까운 *신하*.
"* 我身不孝兄弟亦則(아신불효형제역칙)*: 내 몸이 효도(孝道)를 하지 않으면 형과 아우도 능히 본받음.
#효도#몸#형#아우"
"* 百千萬事(백천만사)*: 온갖 일.
#일"
* 欽明文思(흠명문사)*: 심신을 삼가고, 도리에 밝고, 문장이 빛나고, 생각이 깊다는 뜻으로, 요*임금*의 덕을 기리는 말.
"* 舌乾脣焦(설건순초)*: 혀가 마르고 입술이 탄다는 뜻으로, 혀와 입술이 타고 마를 정도로 말을 빨리 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초조해
안절부절못함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天下有三危(천하유삼위)*: 세상(世上)에 세 가지 위험(危險)한 일이 있다는 뜻으로, 덕이 적은 사람이 총애(寵愛)를 받고, *재능*(才能)이
없는 사람이 높은 지위(地位)에 있으며, 큰공이 없는 사람이 녹을 많이 받는 일.
#일#*재능*#사람#큰공#총애#위험#지위#세상"
"* 臥龍鳳雛(와룡봉추)*: 누워있는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영웅(英雄)이 아직 *세상*에 나타나지 않고 숨어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伏龍鳳雛(복룡봉추)]."
"* 不惡而嚴(불오이엄)*: 미워하지 않으면서도 엄하다는 뜻으로, 미워하여 꾸짖거나 하지 않으면서도 위엄 있는 태도를 가진다는 의미인데,
주로 *소인*을 멀리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위엄#*소인*#의미#태도#방법"
* 旭日昇天(욱일승천)*: 아침 해가 *하늘*에 떠오름. 또는 그런 기세.
* 借花獻佛(차화헌불)*: 꽃을 빌려 부처에 바친다는 뜻으로, 남의 물건으로 자신의 이득을 꾀한다는 *의미*.
"* 安如磐石(안여반석)*: 편안함이 마치 반석과 같다는 뜻으로, 넓고 튼튼한 큰 바위처럼 *마음*이 든든하고 믿음직스럽게 안심된다는
의미. [=安如盤石]."
* 犬牙相制(견아상제)*: *땅*의 경계가 일직선으로 되어 있지 않고 개의 이빨처럼 들쭉날쭉 서로 어긋남.
"* 放歸田里(방귀전리)*: *조선* 시대에, 벼슬을 삭탈하고 제 고향으로 내쫓던 형벌. 유배보다는 한 등급 가벼운 형벌이다.
#벼슬#고향#탈#시대#때#시골#등급#*조선*#귀양#형벌"
* 半字不成(반자불성)*: (1)글자를 반만 쓰고 중간에 그만둠. (2)일을 중도에서 그만두어 이루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四時山色(사시산색)*: 계절(季節)에 따라 *변화*(變化)하는 산의 풍경(風景)을 이름.
#이름#계절#풍경#산#*변화*"
"* 內從兄弟(내종형제)*: ‘고종*형제*’를 외종*형제*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형제*#상대#사촌"
* 七落八落(칠락팔락)*: (1)*사물*이 가지런하게 고르지 못함. (2)제각기 뿔뿔이 흩어지거나 이리저리 없어짐.
"* 伴食宰相(반식재상)*: 곁에 모시고 밥을 먹는 *재상*(宰相)이라는 뜻으로, 무위도식(無爲徒食)으로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무능(無能)(無能)한 대신(大臣)을 비꼬아 이르는 말.
#무능#곁#*재상*#대신#차지#밥#자리"
"* 權門勢家(권문세가)*: 벼슬이 높고 *권세*가 있는 집안.
#권력#*권세*#가문#세도#집안#벼슬"
이득
* 天雷(천뢰)*: (1) 천연(天然)ㆍ자연(自然)의 소리. 곧 *바람* 소리, 빗소리 따위 (2) 아주 뛰어난 시문(詩文).
* 夢中夢(몽중몽)*: 꿈속의 꿈이란 뜻으로, 이 *세상*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延命息災(연명식재)*: (1) 무사히 오래 삶 (2) 재앙(災殃)이 없이 *목숨*을 연장(延長)함.
#재앙#삶#*목숨*"
"* 借人典籍勿毁必完(차인전적물훼필완)*: 남의 책을 빌려 오면 훼손(毁損)시키지 말고 반드시 온전(穩全)하게 함.
#책"
"* 出將入相(출장입상)*: 나가서는 장수가 되고 들어와서는 *재상*이 된다는 뜻으로, 문무를 다 갖추어 장상(將相)의 벼슬을 모두
지냄을 이르는 말.
#*재상*#양#장수#장군#싸움터#의미#문무#인재#벼슬#정치"
"* 同業相仇(동업상구)*: 같은 업은 *이해*(利害) 관계(關係)로 인(因)하여 서로 원수(怨讐)가 되기 쉬움.
#원수#서로#관계#*이해*"
"* 東西奔走(동서분주)*: *동쪽*으로 뛰고 서쪽으로 뛴다는 뜻으로, 사방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서쪽#*동쪽*#사방"
"* 傍若無人(방약무인)*: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아무 거리낌 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는 태도가 있음.
#곁#성#말#거리낌#주위#태도#의식#주변#*행동*#사람"
"* 雌伏(자복)*: (1)새의 암컷이 수컷에게 *복*종한다는 뜻으로, 남에게 스스로 *복*종함을 이르는 말. (2)가만히 숨어 지냄.
#일#새#수컷#굴*복*#숨어#암컷#세상일#*복*종#세상"
"* 桃源境(도원경)*: (1)이 *세상*이 아닌 무릉도원처럼 아름다운 경지. (2)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최선의 상태를 갖춘 완전한
사회."
"* 三笑(삼소)*: 동양화 화제(畫題)의 *하나*. 중국 진(晉)나라의 혜원 법사가 루산산(廬山山)의 동림사(東林寺)에 은거하면서,
후시(虎溪)를 건너지 않기로 하였으나 도연명,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할 때 무심코 건너 버려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 고사를 바탕으로
한다."
"* 白色宣傳(백색선전)*: 믿을 만한 증거나 자료를 가지고 하는 선전.
#출처#자료#증거#선전"
"* 南柯之夢(남가지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일생#부마#나무#남가군#꿈#때#영화#중국#부귀영화#부귀#남쪽#잠#동안#술#한때#유래"
* 慈愛之情(자애지정)*: 아랫사람을 인자하게 *사랑*하는 마음.
* 福善禍淫(복선화음)*: 착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재앙을 줌.
"* 風驅群飛雁月送獨去舟(풍구군비안월송독거주)*: *바람*은 떼지어 나는 기러기를 몰고, 달은 홀로 가는 배를 보냄.
#달#*바람*#배"
"* 末大必折(말대필절)*: 나무 가지가 너무 커지면 반드시 줄기가 부러진다는 뜻으로, 자손(子孫)이 강성해지면 종가(宗家)를 망하게
한다는 의미. 또는 변방(邊方)의 힘이 강해지면 나라가 위태하다는 의미도로 사용됨.
#*말*#나무#위태#나라#사용#의미#자손#힘"
"* 舟非水不行(주비수불행)*: 배는 물이 없으면 나아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임금*은 백성이 없으면 *임금*이 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狐鼠之盜(호서지도)*: 여우와 쥐 같은 도둑이라는 뜻으로, 여우와 쥐를 소인(小人)이나 좀도둑에 비유들어 그러한 소인배와 같은
간사하고 못된 무리나 좀도둑을 이르는 말로 *사용*함."
"* 齊紫敗素(제자패소)*: 제자(齊紫)는 제(齊)나라에서 나는 자색 천을 말하고, 패소(敗素)는 거칠고 흰 비단(緋緞)을 말하는 것으로
거칠고 나쁜 *물건*(物件)이라도 자줏빛 물만 들이면 값이 열 곱으로 뛴다는 데서, 어진 사람은 풍부(豊富)한 지식(知識)으로
재난(災難)을 복으로 돌리고, 실패(失敗)를 성공(成功)으로 이끈다는 말."
"* 積怨深怒(적원심노)*: 오래 쌓이고 쌓인 원망과 마음속 *깊이* 맺힌 노여움.
#원망#마음속#마음#원한#노여움"
* 杵孫(저손)*: 딸이 낳은 *자식*. 외손자와 외손녀를 이른다.
"* 刻燭爲詩(각촉위시)*: 촛불이 한 치 타는 *동안*에 詩(시)를 지음.
#*동안*#촛불#지음"
"* 和氏之璧(화씨지벽)*: 화씨의 구슬이라는 뜻으로, 천하의 명옥(名玉)을 이르는 말. 초나라 화씨가 옥돌 원석을 여왕(厲王)에게
바쳤으나 돌로 판정되어 왼쪽 다리와 오른발을 잘려 사흘 밤낮을 운다는 소문을 문왕이 듣고 그 원석을 다듬게 하여 천하에 둘도 없는
보물이 된 데서 *유래*한다."
"* 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말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리라고 말한다는
의 가치.
#말#본성#하늘#도라#가치#중용#사람"
"* 風雲造化(풍운조화)*: *바람*이나 구름의 예측하기 어려운 변화.
#구름#*바람*#예측#변화"
"* 杵孫(저손)*: 딸이 낳은 자식. 외*손자*와 외손녀를 이른다.
#자식#이름#방#공이#딸#외*손자*#*손자*#속담"
"* 三從之禮(삼종지례)*: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결혼#*자식*#남편#예전"
* 尊執(존집)*: 아버지의 벗이 될 만한 *나이*의 웃어른을 높여 이르는 말.
"* 雪中松柏(설중송백)*: 눈 속의 소*나무*와 잣*나무*라는 뜻으로, 높고 굳은 절개를 이르는 말.
#절개#빛#눈#비유#의미#절조#잣*나무*#소*나무*"
"* 狗尾續貂(구미속초)*: (1)담비 꼬리가 *모자*라 개의 꼬리로 잇는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부로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훌륭한 것 뒤에 보잘것없는 것이 뒤따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부족#개의#비유#의미#*모자*라#꼬리#벼슬#*모자*#본래#고사#훌륭"
"* 溫柔敦厚(온유돈후)*: (1)성격이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인정이 두터움. (2)한시에서 풍기는 독실한 정취. 기교를 부리거나 노골적인
*표현*이 없는 것을 이르는 말로, 중국에서는 이를 시의 본분으로 여겼다.
#*표현*#한시#인정#의미#중국#온화#성격#성실#기교#본분#성품#정취"
"* 三豕渡河(삼시도하)*: *글자*를 오독(誤讀)하거나 오용(誤用)함을 이르는 말. ‘기해’를 ‘삼시(三豕)’로, ‘섭하(涉河)’를
‘도하’로 잘못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말#옛일#*글자*#三豕#오용#유래"
"* 河山之陽(하산지양)*: 강과 산의 양기라는 뜻으로, 강의 북*쪽*과 산의 남*쪽*의 인 양지(陽地)바른 농경(農耕)에 적당한 땅을
이르는 말."
"* 一炊之夢(일취지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여옹#산#인생#비유#노생#유래#도사#세상#주인#소년#누리#부귀영화#*베개*#동안#80세#꿈#밥#영화#부귀#잠"
"* 面責我過剛直之人(면책아과강직지인)*: 면전(面前)의 나의 *허물*을 꾸짖어 주는 사람이라면 굳세고 정직(正直)한 사람임.
#면전#정직#*허물*#사람"
"* 溫故知新(온고지신)*: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가치#그것#말#바탕#옛것#발견#실현#의미#과거#공자#앎#*새*것"
"* 風霜雨露(풍상우로)*: 바람과 서리와 비와 *이슬*을 아울러 이르는 말.
#*이슬*#서리#바람"
"* 花朝月夕(화조월석)*: (1)*꽃* 피는 아침과 달 밝은 밤이라는 뜻으로, 경치가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2)음력 2월 보름과
8월 보름."
* 萬全之策(만전지책)*: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 冶家無食刀(야가무식도)*: 대장간에서 식칼이 논다는 뜻으로, *생활*에 쫓겨 남의 바라지만 하고 정작 제 집엔 등한시한다는 의미나,
마땅히 흔해야 할 곳에 도리어 그 물건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황을 이르는 의미를 지닌 한역(漢譯) 속담."
"* 奇貨可居(기화가거)*: 진기한 물건은 잘 간직하여 나중에 *이익*을 남기고 판다는 뜻으로,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함을 이르는
말."
* 良法美規(양법미규)*: 좋은 *법*규.
"* 頓悟漸修(돈오점수)*: 고려 시대에, 지눌이 주장한 *불교*의 선(禪) 수행 방법. 무인 정권 시기에 *불교* 교단을 개혁하기
위하여 주장한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부처가 되려면 진심을 깨닫고,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점진적#지눌#시대#이전#*불교*#정권#고려#불#진심#사상#수행#가운데#불가#과정#국사#선#부처#방법#깨달음#의미#주장#강조#개혁"
* 用意周到(용의주도)*: ‘*용*의주도하다’의 어근.
"* 博我以文(박아이문)*: 글로써 나를 넓힌다는 뜻으로, (1) 시서(詩書)로 자신의 견식(見識)을 넓힘 (2) 널리 독서하여 *자기*
인격을 높이자는 뜻임."
"* 過恭非禮(과공비례)*: 지나치게 *공손*하면 오히려 예의에 어긋난다는 뜻으로, *공손*함도 도가 지나치면 오히려 상대방에게 무례를
저지르는 것임을 이르는 말.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말#타인#예의#*공손*#의미#상대방#정도#무례"
"* 冶容之誨(야용지회)*: 얼굴을 예쁘게 *단장*하는 것은 남을 음탕하게 만들기 쉬움.
#일#말#음탕#*단장*#얼굴"
"* 同業相仇(동업상구)*: 같은 업은 이해(利害) *관계*(關係)로 인(因)하여 서로 원수(怨讐)가 되기 쉬움.
#원수#서로#*관계*#이해"
* 絶世佳人(절세가인)*: *세상*에서 빼어난 아름다운 사람이라는 뜻으로, 당대에 비할 데 없이 아름다운 여인을 이르는 말.
* 釋眼儒心(석안유심)*: 석가모니의 눈과 *공자*의 마음이라는 뜻으로, 매우 자비롭고 어진 마음으로 사랑함을 이르는 말.
* 別而聽之(별이청지)*: 구별해서 듣는다는 뜻으로, 한사람 한사람에 대하여 따로따로 듣거나 따로 묻는 상황을 *의미*하는 말.
* 上命下服(상명하복)*: 위에서 명령하면 *아래*에서는 복종한다는 뜻으로, 상하 관계가 분명함을 이르는 말.
* 放牛歸馬(방우귀마)*: 전쟁에 *사용*했던 마소를 산야에 놓아준다는 뜻으로, 전쟁이 끝나고 천하가 태평함을 비유하는 말.
"* 莫逆之友(막역지우)*: 서로 거스름이 없는 친구라는 뜻으로, *허물*이 없이 아주 친한 친구를 이르는 말.
#일#마음#*허물*#친구#벗#거스름#의미#생사#친밀"
"* 百官有司(백관유사)*: 조정(朝廷)의 많은 *벼슬*아치. 또는 모든 관리(官吏).
#조정#*벼슬*아치#관리"
* 花鳥使(화조사)*: 남녀 사이의 애정에 관계되는 일을 심부름하여 주는 *사람*.
"* 俯首聽令(부수청령)*: 고개를 숙이고 명령을 따른다는 뜻으로, *윗사람*의 위엄에 눌려 명령대로 좇아 행함을 이르는 말.
#위엄#*윗사람*#명령#의미#고개#복종"
* 妻祖父(처조부)*: *아내*의 할아버지.
* 宗廟社稷(종묘사직)*: 왕실과 *나라*를 통틀어 이르는 말.
* 攸好德(유호덕)*: 오복(五福)의 *하나*. 덕을 좋아하여 즐겨 행하는 일을 이른다.
장수
"* 雲出無心(운출무심)*: 구름이 가는데 마음이 없다는 뜻으로, 구름이 아무 생각 없이 흘러가듯이 *인생*을 유유하게 사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惜玉憐香(석옥연향)*: 옥을 소중히 아끼고 향기를 어여삐 여긴다는 뜻으로, 옥과 향을 사랑한다는 의미에서 옥과 향이 여자를
비유함으로 여색을 좋아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 忘形之友(망형지우)*: 외형을 잊고 사귄 친구라는 뜻으로. 외형적인 것을 상관하지 않고 *마음*으로서 사귄 친밀한 친구의 의미.
"* 同舟濟江(동주제강)*: 같은 배를 타고 강을 건너간다는 뜻으로, 원수(怨讐)끼리도 공동(共同)의 *목적*(目的)을 위(爲)해서는
같은 배를 타고 서로 협조(協助)하게 된다는 말."
* 仲尼之徒(중니지도)*: 공자의 제자. 또는 공자의 *학문*을 받드는 사람.
"* 天下萬國(천하만국)*: *세상*에 있는 모든 나라.
#나라#*세상*"
"* 秋霜烈日(추상열일)*: (1)‘추상열일’의 북한어. (2)가을에 내리는 찬 서리와 여름의 뜨거운 *태양*이라는 뜻으로, 형벌이
엄하고 권위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밤#여름#가을철#권위#형벌#서리#가을#*태양*#햇살#공정#여름철#해"
"* 喜賞怒刑(희상노형)*: 기쁠 때는 상을 주고 화날 때는 벌을 준다는 뜻으로, 자기 마음이 내키는 대로 멋대로 상벌(賞罰)을 행하는
공정하지 못한 *행동*을 이르는 말."
"* 經達權變(경달권변)*: 그때그때의 처지(處地)나 형편(形便)에 따라 알맞은 수단(手段)을 취함을 이르는 말.
#그때#그때그때#형편#수단"
"* 散華(산화)*: (1) 꽃같이 진다는 뜻으로 꽃다운 목숨이 전장(戰場) 등(等)에서 죽는 것 (2) *부처*에게 공양(供養)하기
위(爲)하여 꽃을 뿌리는 일.
#일#꽃#목숨#공양#*부처*#뿌리"
"* 自由奔放(자유분방)*: 격식이나 관습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행동이 *자유*로움.
#관습#로움#*자유*#행동#격식"
"* 前途多難(전도다난)*: 앞길이나 앞날에 어려움이나 *재난*(災難)이 많음.
#앞날#앞길#어려움#*재난*"
* 夜不閉門(야불폐문)*: 밤에 대문을 닫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세상*이 태평하여 인심이 순박함을 이르는 말.
"* 家貧則思良妻(가빈즉사양처)*: *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
"* 韜光(도광)*: (1)빛을 감추어 밖에 비치지 않도록 함. (2)*재능*이나 학식 따위를 숨겨 감춤.
#빛#*재능*#학식#밖#따위"
"* 丈人(장인)*: (1)아내의 아버지. (2)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3)늙은이를 이르는 말. (4)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5)덕이 많고 학식이 많은 *사람*. (6)아버지의 벗."
군주
"* 暮鼓晨鐘(모고신종)*: 저녁의 북과 새벽의 종이라는 뜻으로, 절에서 조석(朝夕)으로 북과 종을 쳐서 시각을 알린다는 의미인데,
현대에 와서는 미묘한 말로 남을 깨우쳐 주는 일의 의미로 *사용*됨."
"* 四俱一生(사구일생)*: (1)넷이 모여 하나를 이룸. 목화 네 근이 솜 한 근이 되고 수삼 네 근이 건삼 한 근이 되는 것 따위를
이른다. (2)이랬다저랬다 하여 걷잡을 수 없는 모양을 이르는 말.
#*일*#성#따위#모양"
"* 瓊琚(경거)*: (1)아름다운 옥이라는 뜻으로, 훌륭한 선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존귀하고 *아름다움*.
#존귀#선물#아름#훌륭#*아름다움*"
* 風雨凄凄(풍운처처)*: 비*바람*에 쓸쓸하다는 뜻으로, *바람*불고 비 뿌려 뼛속까지 추위가 스며드는 일에서 난세(亂世)를 의미함 .
"* 胡蝶之夢(호접지몽)*: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 에서 나온 말이다.
#일체#말#꿈#장자#현실#비유#무상#물#사용#중국#나비#분간#구별#고사#유래#*인생*"
"* 兄飢弟飽禽獸之遂(형기제포금수지수)*: 형은 굼주리는 데 아우만 배부르다면 새나 짐승의 할 짓임.
#새#짐승#형#아우"
* 松菊主人(송국주인)*: 소나무와 국화의 주인이라는 뜻으로, *자연* 속에 은둔(隱遁)하고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
"* 反哺之孝(반포지효)*: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孝)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를 갚는 효성을 이르는 말.
#자식#봉양#새끼#효성#까마귀#비유#먹이#어미#어버이#부모#갚음#*은혜*"
"* 心中有心(심중유심)*: 마음 속에 마음이 있다는 뜻으로, 마음으로써 마음을 견제한다는 *의미*에서 이성(理性)으로써 감성(感性)을
억제하는 것 같은 뜻으로 사용됨."
"* 化俗結緣(화속결연)*: *속세*의 사람들을 교화하여 불연(佛緣)을 맺게 함.
#사람#*속세*#속인#사람들#교화"
"* 尾生之信(미생지신)*: 우직하여 융통성이 없이 약속만을 굳게 지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미생(尾生)이라는 자가
다리 밑에서 만나자고 한 여자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하여 홍수에도 피하지 않고 기다리다가 마침내 익사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지킴#여자#말#춘추#미생#시대#융통성#약속#미련#소진#홍수#나라#중국#다리#고사#유래#신의#사람"
"* 兄弟鬩牆外禦其侮(형제혁장외어기모)*: *형제*(兄弟)는 담장 안에서는 싸우기도 하나, 밖에서 모욕(侮辱)을 당(當)하면 함께 이를
막음.
#밖#*형제*#담장#모욕"
"* 經國大才(경국대재)*: 나라의 일을 맡아 다스릴 만한 큰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인물*.
#일#재주#나랏일#나라#*인물*"
"* 鏤月裁雲(누월재운)*: 달을 아로새기고 구름을 마른다는 뜻으로, 세공이 아기자기하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아름다움*#달#구름#교묘"
"* 金枝玉葉(금지옥엽)*: (1)금으로 된 가지와 옥으로 된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매우 소중하고 귀한
*자식*을 이르는 말. (3)구름의 아름다운 모양을 이르는 말."
"* 朝遞暮改(조체모개)*: 아침에 갈았는데 저녁에 다시 고친다는 뜻으로, *벼슬*아치를 너무 자주 갈아 치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저녁#아침#*벼슬*아치"
"* 大逆無道(대역무도)*: *임금*이나 나라에 큰 죄를 지어 도리에 크게 어긋나 있음. 또는 그런 짓.
#*임금*#나라#죄"
* 竹頭木屑(죽두목설)*: 대나무 조각과 나무 부스러기라는 뜻으로, 쓸모가 적은 *물건*을 이르는 말.
"* 下意上達(하의상달)*: 아랫사람의 뜻을 윗사람에게 전*달*함.
#아랫사람#윗사람#전*달*#아래"
* 月白風淸(월백풍청)*: 달은 빛나고 *바람*은 맑다는 뜻으로, 달 밝은 가을밤을 이르는 말.
"* 念玆在玆(염자재자)*: 그 *자리*에 앉힐 사람으로는 적임자임.
#*자리*#사람"
"* 當局者迷(당국자미)*: 일을 담당한 사람이 미혹된다는 뜻으로, 방관자(傍觀者)보다 직접 담당자가 사리의 판단에 더 어둡다는 의미.
‘燈下不明(등하불명)’의 비유적 *표현*.
#일#사리#미혹#*표현*#비유#의미#판단#사람"
"* 無心道人(무심도인)*: (1)도를 *깊이* 닦아 세속의 번뇌와 물욕에서 벗어난 경지에 도달하여 진리를 깨달은 사람.
(2)천진(天眞)과 본연(本然)에 합한 승려.
#번뇌#천진#진리#승려#도달#수행#세속#물욕#사람"
"* 金玉滿堂(금옥만당)*: (1)금관자나 옥관자를 붙인 높은 벼슬아치들이 방 안에 가득함. (2)현명한 *신하*가 조정에 가득함.
#재주#방#*신하*#학문#집#금#조정#비유#벼슬아치#벼슬아치들#보물#현명#가득"
"* 同聲相應(동성상응)*: 같은 소리끼리는 서로 응하여 울린다는 뜻으로, 같은 무리끼리 서로 통하고 *자연*히 모인다는 말.
#소리#의견#*자연*#서로#무리#통"
"* 萬口傳播(만구전파)*: 많은 사람의 입을 통하여 온 *세상*에 널리 퍼짐.
#입#*세상*#사람"
고생
* 擧放錢債(거방전채)*: 조선 시대에, *벼슬*아치가 그의 관내 주민에게 이자를 받고 돈을 꾸어 주던 일.
"* 鷄肋(계륵)*: (1)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이르는 말. ≪*후한*서(後漢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2)몸이 몹시 약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몸#말#상황#의미#닭#연약#소용#형편#맛#가치#사람"
"* 鳳皇來儀(봉황래의)*: 봉황이 와서 의례를 한다는 뜻으로, 봉황이 덕에 감동해 찾아와 의용(儀容)을 정제(整齊)하고 있다는 것에서,
태평세상(太平世上)이 될 상서로운 조짐의 *의미*."
"* 寶學之人(보학지인)*: 학문을 보배로 여기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보배롭게 여기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상아탑에 들어박혀 있는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 學而知之(학이지지)*: 삼지(三知)의 하나. 도(道)를 배워서 깨*달*음을 이른다.
"* 兵盡矢窮(병진시궁)*: *싸움*터에서 병사들이 거의 다 희생되고 화살이 다 떨어짐.
#밤#병사들#병사#화살#희생#*싸움*터#촛불#병#경치#낮#밤중"
"* 擧棋不定(거기부정)*: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兄弟和睦父母喜之(형제화목부모희지)*: 형과 아우가 화목(和睦)하면 부모(父母)님이 기뻐하심.
#화목#형#부모#아우"
"* 鶴鳴之士(학명지사)*: 학이 우는 것 같은 선비라는 뜻으로, 많은 사람으로부터 신뢰와 존경(尊敬)을 받는 인물이나, *벼슬*하지
못한 채 초야(草野)에서 살아가는 선비를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 方枘圓鑿(방예원조)*: 모난 자루와 둥근 구멍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사물#구멍#자루"
"* 四海爲家(사해위가)*: 온 세상이 집이 된다는 뜻으로, 천하를 제 *집안*으로 만든다는 의미로는 제업(帝業)의 광대함을 이르고,
온나라 어느 곳에도 집이 있다는 의미로는 떠돌아다니며 일정한 주거가 없다는 의미로 사용됨."
"* 與羊謨肉(여양모육)*: 양에게 양고기를 내어 놓으라고 꾀다는 뜻으로, *근본*적으로 이룰 수 없는 일을 이르는 말.
#일#*근본*#*근본*적#양"
"* 捨生取義(사생취의)*: *목숨*을 버리고 의를 좇는다는 뜻으로, *목숨*을 버릴지언정 옳은 일을 함을 이르는 말.
#일#말#의리#*목숨*#의미"
"* 胡鬼別星(호귀별성)*: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천연두를 앓게 한다는 여신. *강남*에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집집#사명#특별#*강남*"
"* 無量淸淨土(무량청정토)*: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세계#아미타불#불토#안락#사람#정토#*인간*#이곳#완전#불#서쪽#자유#괴로움#세상"
"* 兼之兼之(겸지겸지)*: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려고, 이 일도 하고 저 일도 할 겸 해서. ⇒규범 *표기*는 ‘겸사겸사’이다.
#규범#일#모양"
"* 四海兄弟(사해형제)*: 온 세상 사람이 모두 형제와 같다는 뜻으로, *친밀*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에서 사해 안에 있는 사람을
모두 형제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말#뭇사람들#사람#*친밀*함#뭇사람#천하#형제#*친밀*#天下#모두#유래#세상"
"* 無故不進(무고부진)*: 아무런 까*닭* 없이 나와야 할 자리에 나오지 않음.
#자리#사고#까*닭*"
"* 白頭(백두)*: (1)허옇게 센 머리. (2)탕건(宕巾)을 쓰지 못하였다는 뜻으로, 지체는 높으나 벼슬하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던 말. (3)함경도와 만주 사이에 있는 산. 장백산맥(長白山脈) *동쪽*에 솟은 우리나라 제일의 산이다. 최고봉인 병사봉에 있는
칼데라호인 천지(天池)에서 압록강, 두만강, 송화강(松花江)이 시작한다. 높이는 2,744미터.
#강#사람#병사#머리#함경도#시작#나라#*동쪽*#탕건#우리#벼슬#지체#산#우리나라#사이"
* 烏有先生(오유선생)*: 세상에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처럼 꾸며 낸 *인물*.
* 患難相恤(환난상휼)*: 향약의 네 가지 덕목 가운데 *하나*.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서로 도와야 함을 이른다.
"* 先花後果(선화후과)*: 먼저 꽃이 피고 나중에 열매가 맺힌다는 뜻으로, 먼저 딸을 낳고 나중에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나중#딸#*아들*#비유#꽃#열매"
"* 亥豕之譌(해시지와)*: 서로 비슷한 글자 가운데 하나를 다른 글자로 잘못 써 뜻을 *그릇* 전하게 됨을 이르는 말. 기해(己亥)를
삼시(三豕)로 잘못 썼다는 데서 유래한다."
"* 八徵九徵(팔징구징)*: 여덟 *가지* 조짐과 아홉 *가지* 조짐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됨됨이나 성품을 판단하는 기준이나 방법을
이르는 말."
"* 寫字此是學(사지차시학)*: 글자를 베끼는 것이 바로 배움이라는 뜻으로, 경건한 마음으로 글자를 베껴 쓰면 그 베껴 쓰는 일 자체가
이미 갈고 닦는 *학문*이라는 의미."
"* 河魚腹疾(하어복질)*: *물고기*의 배앓이 병이라는 뜻으로, *물고기*가 배부터 썩어들기 때문에 뱃속의 병이나 배앓이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 尺璧非寶(척벽비보)*: 지름이 한 자나 되는 보옥(寶玉)도 시간(時間)에 비하면 *보배*라고 할 수 없음.
#지름#*보배*#시간#보옥"
"* 天無淫雨(천무음우)*: 하늘에서 궂은비가 내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태평*한 나라나 *태평*한 시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대#*태평*#나라#비유#하늘"
"* 蓬蓽(봉필)*: 쑥대나 잡목의 *가시*로 엮어 만든 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사는 집을 이르는 말.
#*가시*#쑥대#집#쑥#지붕#가난#사람"
"* 沒頭沒尾(몰두몰미)*: 머리도 *꼬리*도 없다는 뜻으로, 밑도 끝도 없음을 이르는 말.
#머리#의미#*꼬리*#끝"
* 懸輿(현여)*: 수레를 건다는 뜻으로, 나이가 들어 *벼슬*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 揮淚斬馬謖(후루참마속)*: 눈물을 뿌리면서 마속을 베다라는 뜻으로, 군율을 지키기 위해 아까운 *장수* 마속을 눈물을 흘리면서
베었던 제갈량의 고사에서, 천하의 법도에는 사정(私情)이 있을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눈물#*장수*#법도#제갈량#비유#천하#사정#고사#뿌리"
"* 突入內庭(돌입내정)*: *주인*의 허락 없이 남의 집 안으로 불쑥 들어감.
#집#허락#*주인*"
"* 獻芹(헌근)*: 변변치 아니한 미나리를 바친다는 뜻으로, 남에게 선물을 하거나 의견을 적어 보냄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선물#때#*겸손*#웃사람#의견#물건#선사"
* 名滿天下(명만천하)*: 이름이 *세상*에 널리 퍼짐.
"* 忘年友(망년우)*: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벗.
#교제#*허물*#벗#나이#노인"
"* 一炊之夢(일취지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여옹#산#인생#비유#노생#유래#도사#세상#주인#소년#누리#부귀영화#베개#동안#80세#꿈#밥#영화#부귀#잠"
"* 難行苦行(난행고행)*: (1)아주 심하게 *고생*함. (2)몹시 괴로운 수행.
#몸#일#마음#행#연마#심신#*고생*#불도#불#사용#의미#고통#수행"
"* 鐵甕城(철옹성)*: 쇠로 만든 독처럼 *튼튼*하게 둘러쌓은 산성이라는 뜻으로, 방비나 단결 따위가 견고한 사물이나 상태를 이르는 말.
#사물#성#견고#*튼튼*#방비#비유#산성#쇠#단결#따위#상태"
* 嚴令之下(엄령지하)*: 엄한 명령 *아래*.
"* 損上剝下(손상박하)*: 위에 손해를 끼치고 *아래*를 빼앗는다는 뜻으로, 관리가 나라에 해를 끼치고 백성의 재물을 빼앗음을 이르는
말."
* 不得其位(부득기위)*: 좋은 소질과 충분한 실력을 가지고도 알맞은 *지위*를 얻지 못함.
* 和風甘雨(화풍감우)*: 솔솔 부는 화창한 *바람*과 알맞은 비.
* 稱家有無(칭가유무)*: 집의 유무에 맞춘다는 뜻으로, 집의 빈부에 따라, 곧 *가*산(家産)에 따라 일을 알맞게 함을 이르는 말.
"* 藍筍象牀(남순상상)*: 푸른 대순과 코끼리 상이니, 즉 한가(閑暇)한 사람의 침대임.
#코끼리#사람"
* 散之四方(산지사방)*: 사방으로 흩어짐. 또는 흩어져 있는 각 방향.
"* 廟堂公論(묘당공론)*: 조정의 군신이 모여 나라의 일을 *의논*하는 일.
#일#*의논*#나라#조정#논의#군신"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