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於異阿異(어이아이)*: ‘어 다르고 아 다르다’는 우리말 속담의 한역(漢譯)으로,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상대가 받
*아들*이는 기분이 다를 수 있다는 의미나, 항상 말을 조심해서 해야한다는 의미.
#내용#말#표현#달라짐#기분#의미#상대#속담#조심"
"* 朝夕定省(조석정성)*: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단장
"* 故事來歷(고사내력)*: 어떤 사물이나 사건에 대하여 전해 내려오는 유래와 경위.
#사물#역사#이유#사건#유래#결과"
"* 懷金垂紫(회금수자)*: 금을 품고 붉은색을 드리운다는 뜻으로, 황금의 인(印)을 품고, 자주빛의 인끈을 늘어뜨리고 있는 것에서 높은
*벼슬*자리에 오름을 이르는 말."
"* 百不一失(백불일실)*: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의미#백#실수#가운데#*목적*"
"* 螳螂拒轍(당랑거철)*: 제 역량을 *생각*하지 않고, 강한 상대나 되지 않을 일에 덤벼드는 무모한 행동거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 장공(莊公)이 사냥을 나가는데 사마귀가 앞발을 들고 수레바퀴를 멈추려 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장자≫의 에 나오는 말이다."
"* 七步詩(칠보시)*: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지어진 시. 또는 즉석에서 읊은 시나 그러한 *재능*을 지닌 시인. 이 말은 중국
위나라 초대 황제인 문제 조비가 사이가 좋지 않은 그의 동생 조식에게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시를 짓지 못하면 벌을 내리겠다고 하자,
조식이 즉석에서 오언 고시를 지어냈다는 데서 비롯된 말이다.
#조비#시인#조식#사이#위나라#문제#비롯#일곱#동안#동생#형#*재능*#모면#말#죽음#아들#나라#걸음#중국#미움#황제"
* 十中八九(십중팔구)*: 열 가운데 여덟이나 아홉 *정도*로 거의 대부분이거나 거의 틀림없음.
* 胸中無墨(흉중무묵)*: 가슴 속에 먹이 없다는 뜻으로, 시문에 *재주*가 없는 사람이나, 배우지 못한 사람을 이르는 말.
"* 渾然一體(혼연일체)*: 생각, 행동, 의지 따위가 완전히 하나가 됨.
#몸#차이#생각#덩어리#자연#융화#차별#의지#행동#조금#따위#사람"
"* 前後左右(전후좌우)*: 앞과 뒤, 왼쪽과 오른쪽. 곧, *사방*(四方)을 이른다.
#왼쪽#좌우#앞#앞뒤#*사방*#오른쪽#쪽"
"* 面目一新(면목일신)*: 얼굴이 아주 새로워졌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에 대(對)한 체면(體面)이나 명예(名譽), 사물(事物)의
모양(模樣), 일의 상태(狀態)가 *완전*(完全)히 새롭게 됨을 이르는 말.
#사물#일#명예#체면#얼굴#모양#상태#*완전*#세상"
"* 餘桃之罪(여도지죄)*: 같은 행동(行動)이라도 *사랑*을 받을 때와 미움을 받을 때가 각기 다르게 받아 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비유(比喩)하는 말.
#말#*사랑*#때#비유#미움#행동"
"* 推燥居濕(추조거습)*: {아이는} 마른 곳으로 밀고, {자기는} 젖은 자리에 앉는다는 뜻으로, *자식*을 기르는 어머니의
노고(勞苦)를 마다하지 않는 사랑을 이르는 말."
바람
"* 合抱之木生於毫末(합포지목생어호말)*: 한아름되는 나무도 싹에서 자란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은 미세(微細)한 것에서 시작(始作)됨을
이르는 *말*.
#사물#싹#미세#나무#아름#시작"
"* 虎尾春氷(호미춘빙)*: 범의 꼬리와 봄철의 *얼음*이라는 뜻으로, 몹시 위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봄철#범#위험#비유#*얼음*#지경#꼬리#봄"
"* 村學究(촌학구)*: (1)시골 글방의 스승. (2)*학*식이 좁고 고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표현#지칭#*학*식#천박#사용#글방#겸손#스승#시골#자신#선생#*학*#사람"
* 上下寺不及(상하사불급)*: 위로도 *아래*로도 모두 미치지 못함. 또는 두 가지 일이 모두 실패하게 됨.
* 道不同不相爲謀(도부동불상위모)*: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道理)를 *달*리 하는 사람과는 서로 의논(議論)하지도 말라는 말.
"* 不得其所(부득기소)*: 좋은 소질과 충분한 실력을 가지고도 알맞은 *지위*를 얻지 못함.
#훌륭#소질#*지위*#실력"
"* 雲鬢花容(운빈화용)*: *머리털*이 탐스럽고 얼굴이 아름다운 여자의 모습을 이르는 말.
#용모#여자#귀밑머리#여인#머리#꽃#구름#*머리털*#모습#귀#얼굴"
"* 千山萬壑(천산만학)*: 천 개의 산과 만 개의 깊은 *골짜기*라는 뜻으로, 수많은 봉우리와 *골짜기*를 이르는 말.
#산#겹겹#개의"
"* 桑濮之音(상복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뽕*나무*#남녀#말#복수#때문#밭#복#뽕*나무*밭#망국#장소#주변#음악"
"* 雁書(안서)*: 먼 곳에서 소식을 전하는 편지. ≪한서(漢書)≫ 에 나오는 말로, 한무제 때 한나라의 사신 소무가 흉노에게 붙잡혀
있을 당시 기러기의 다리에 편지를 매어 한나라로 보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心腹之患(심복지환)*: (1)없애기 어려운 근심. (2)쉽게 고치기 어려운 병.
"* 三豕金根(삼시금근)*: 三豕와 金根이라는 뜻으로, '己亥(기해)'를 三豕로 '金銀(금은)'을 金根으로, 모두 잘못 보았다는 *고사*에서
글자의 오용오독(誤用誤讀)을 비유하는 말.
#금#비유#글자#三豕#오용#*고사*"
"* 盟寒沙鳥(맹한사조)*: 갈매기와의 약속이 희미해진다는 뜻으로, 은거(隱居)하여 갈매기를 벗삼아 지내다가, 다시 *벼슬*길에 오름을
이르는 말.
#벗#희미#약속#은거"
"* 倒持太阿(도지태아)*: 칼을 거꾸로 잡고 자루를 남에게 준다는 뜻으로, 남에게 이롭게 해 주고 오히려 *자기*(自己)가 해를 입음을
이르는 말."
"* 大姦似忠(대간사충)*: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나쁜 마음을 먹은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잘 보이려는 수단을 약삭빠르게 부려서 마치 *충성*하는
사람과 같아 보임.
#*충성*#마음#이익#아첨#보임#자신#간사#수단#교묘#사람"
"* 弄瓦之慶(롱와지경)*: (1)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농와*지경*’의 북한어."
* 赤貧如洗(적빈여세)*: 마치 물로 씻은 듯이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을 정도로 *가난*함.
"* 前車覆轍(전거복철)*: 앞에 간 *수레*가 뒤집힌 바퀴 자국이라는 뜻으로, 앞의 실패를 본보기 삼아 주의함을 이르는 말.
#전례#바퀴#앞사람#앞#실패#자국#*수레*#교훈#주의#사람"
* 懸解(현해)*: 거꾸로 매*달*린 것이 풀린다는 뜻으로, 생사의 고락을 초월함을 이르는 말.
"* 賣子(매자)*: (1)아이를 파는 행위. (2)자손이 귀하거나 *자식*이 있어도 허약하여 키우기 힘든 집에서, 아이의 장수(長壽)를
비는 뜻으로 불상, 큰 바위, 나무 따위에 장수에 관한 글자를 새기는 일."
* 淺酌低唱(천작저창)*: *알*맞게 술을 마시고 작은 소리로 노래를 부름. 스스로 만족하여 흥겹게 여가를 즐기는 모습을 이른다.
"* 自由放任(자유방임)*: (1)각자의 자유에 맡겨 간섭하지 아니함. (2)경제 정책에서, 국가의 간섭을 제한하고 사유 *재산*과
기업의 자유 활동을 지지하는 주장.
#제한#사유#활동#국가#*재산*#정책#의미#주장#각자#자유#간섭"
"* 結草報恩(결초보은)*: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아버지의 첩을 개가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그 서모 아버지의 혼이 적군의 앞길에 풀을
묶어 적을 넘어뜨려 위과가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逐鹿(축록)*: 사슴을 뒤쫓는다는 뜻으로, 제위나 정권 따위를 얻으려고 다투는 일을 이르는 말.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일#말#다툼#사슴#정권#지위#따위"
"* 惜花愁夜雨病酒怨春鶯(석화수야우병주원춘앵)*: 꽃을 아끼니 밤 비를 근심하고, 술에 병드니 봄 꾀*꼬리*를 원망(怨望)함.
#밤#원망#꽃#꾀*꼬리*#근심#술#봄"
"* 螢窓雪案(형창설안)*: 반딧불이 비치는 창과 눈에 비치는 책상(冊床)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가운데*서도 학문(學問)에 힘씀을
비유(比喩)한 말."
* 鷄鳴丑時(계명축시)*: 첫닭이 울 무렵인 축시(丑時). 곧 새벽 한 시에서 세 시 *사이*를 이른다.
"* 道不同不相爲謀(도부동불상위모)*: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道理)를 달리 하는 사람과는 서로 *의논*(議論)하지도 말라는 말.
#*의논*#말#사람"
"* 山戰水戰(산전수전)*: 산에서도 싸우고 물에서도 싸웠다는 뜻으로, 세상의 온갖 *고생*과 어려움을 다 겪었음을 이르는 말.
#시련#*고생*#어려움#물#경험#세상일#고난#싸움#산#세상"
* 安分知足(안분지족)*: 편안한 *마음*으로 제 분수를 지키며 만족할 줄을 앎.
"* 杞人之憂(기인지우)*: 앞일에 대해 쓸데없는 걱정을 함. 또는 그 걱정. 옛날 중국 기(杞)나라에 살던 한 사람이 ‘만일 *하늘*이
무너지면 어디로 피해야 좋을 것인가?’ 하고 침식을 잊고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어디#사용#나라#의미#침식#걱정#옛날#근심#앞일#*하늘*#중국#유래#기우#사람"
"* 積年懷抱(적년회포)*: 여러 해 *동안* 쌓인 회포.
#*동안*#회포"
"* 無人之境(무인지경)*: (1)사람이 살고 있지 않는 외진 곳. (2)아무것도 거칠 것이 없는 판.
#의미#사람#지역"
"* 大寒(대한)*: (1)이십사절기의 하나.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300도에 이른 때로 한
해의 가장 추운 때이다. 1월 20일경이다. (2)매우 심한 추위.
#일#추위#황경#지독#때#마지막#입춘#다음#*태양*#해#사이"
"* 春風化雨(춘풍화우)*: 봄*바람*과 알맞게 내리는 비라는 뜻으로, (1) 자연(自然)이 만물(萬物)을 육성(育成)하는 힘 (2)
이를 교육(敎育)에 비유(比喩)해 인재(人材) 육성(育成)을 위(爲)한 훌륭한 교육(敎育)을 이르는 말."
* 無風起瀾(무풍기란)*: *바람*도 없는데, 물결이 일어난다는 뜻으로, 대수롭지 않은 일에 큰 소동을 일으킨다는 의미.
"* 天涯孤獨(천애고독)*: 멀리 떨어진 낯선 고장에서 *혼자* 쓸슬히 지낸다는 뜻으로, 의지(依支)할 곳이 없음을 이르는 말.
#의지#*혼자*"
* 自力更生(자력갱생)*: 남에게 *의지*하지 아니하고 자신의 힘만으로 어려운 처지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살아감.
* 表叔(표숙)*: *어머니*의 남자 형제를 이르는 말.
* 萬古逆賊(만고역적)*: *세상*에 비길 데 없이 괘씸한 역적.
* 博聞强記(박문강기)*: 널리 *사물*(事物)을 보고 들어 잘 기억(記憶)하고 있음.
"* 屠門大嚼(도문대작)*: 조선 시대에, 허균이 전국 팔도의 식품과 명산지에 관하여 적은 책.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식품
전문서이다. 1권.
#책#흉내#집#팔도#앞#시대#전국#실현#상상#입#문서#*나라*#의미#우리#조선#유쾌#우리*나라*"
마지막
* 夫婦之情(부부지정)*: 남편과 아내 *사이*의 애정(愛情).
* 花容月態(화용월태)*: 아름다운 여인의 *얼굴*과 맵시를 이르는 말.
* 滅門絶戶(멸문절호)*: 집안을 멸망시키고 가문을 끊어지게 한다는 뜻으로, 일문일가(一門一家)를 모두 전멸시킨다는 *의미*.
* 天下一品(천하일품)*: 세상에 오직 하나밖에 없거나 매우 뛰어나서 세상에서 견줄 만한 것이 없음. 또는 그런 물품.
"* 恬而不知怪(염이부지괴)*: 마음이 태평하여 평범히 보아 넘기거나 조금도 이상하게 *여기*지 아니함.
#마음#태평#조금#평범#이상"
"* 豐年化子(풍년화자)*: *풍년*거지라는 뜻으로, ‘化子’는 중국 백화로 ‘거지’의 뜻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모두 이익을 볼 때
혼자 빠져 이익을 못 봄을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이익#*풍년*#때문#때#혼자#나라#중국#우리#속담#봄#우리나라#사람"
* 一資半級(일자반급)*: 예전에, 보잘것없는 작은 *벼슬*을 이르던 말.
"* 棟梁才(동량재)*: (1) 마룻대와 들보 (2) 기둥이 될 만한 *인물*(人物).
#기둥#들보#*인물*"
"* 朝不慮夕(조불려석)*: 형세가 절박하여 아침에 *저녁* 일을 헤아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당장을 걱정할 뿐이고 앞일을 생각할 겨를이
없음을 이르는 말."
"* 坑儒焚書(갱유분서)*: 중국 진(秦)나라의 시황제가 학자들의 정치적 비판을 막기 위하여 민간의 *책* 가운데 의약(醫藥),
복서(卜筮), 농업에 관한 것만을 제외하고 모든 서적을 불태우고 수많은 유생을 구덩이에 묻어 죽인 일."
"* 江左七賢(강좌칠현)*: 고려 후기에 명예와 *이익*을 떠나 사귀던 일곱 선비. 이인로, 오세재, 임춘, 조통,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를 중국 진나라 때의 죽림칠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 自中之難(자중지난)*: *자기*네(自己-) 한 동아리 안에서 일어나는 싸움.
"* 啜菽飮水(철숙음수)*: 콩을 먹고 물을 마신다는 뜻으로, 집은 *가난*하여도 부모(父母)에게 효도(孝道)를 극진(極盡)히 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排滿復明(배만복명)*: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를 물리치고 명나라를 도와 부흥시키자는 주장. 조선에서는 병자호란 뒤에 일어나 효종 때에
성하였다."
"* 三遷之敎(삼천지교)*: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 錦上添花(금상첨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안석의
글에서 유래한다.
#일#꽃#의미#왕안석#비단#유래#아름다움"
* 表裏山河(표리산하)*: 밖에는 강이 있고 안에는 *산*이 있다는 뜻으로 견고한 요새(要塞)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互角之勢(호각지세)*: 역량이 *서로* 비슷비슷한 위세.
"* 無量淸淨土(무량청정토)*: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세계#아미타불#불토#안락#사람#정토#*인간*#이곳#완전#불#서쪽#자유#괴로움#세상"
"* 別風淮雨(별풍회우)*: 문자를 잘못 옮긴 것을 뜻함. 문자의 와자(訛字).
#문자"
"* 愛人如己(애인여기)*: 남을 자기 몸처럼 사랑함.
#사랑함#몸#사랑"
"* 如魚得水(여어득수)*: 물고기가 물을 얻음과 같다는 뜻으로, *본래*의 영역으로 다시 돌아와 크게 활약할 수 있게 됨을 이르는 말.
#영역#물#비유#활약#*본래*#사람"
"* 萬二千峰(만이천봉)*: 산봉우리가 많다는 뜻으로, 금*강산*(金剛山)의 절승한 산세를 이르는 말.
#산봉우리"
"* 風檣陣馬(풍장진마)*: 돛이 *바람*을 타고 말이 진지(陣地)에 선다는 뜻으로, 돛에 순풍을 받아 배가 달리며, 준마(駿馬)가
진두(陳頭)에 서는 것처럼 문장이 웅건하거나 필체가 강하고 굳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簞食豆羹(단사두갱)*: 대그릇 *하나*에 담은 밥과 한 그릇의 국이라는 뜻으로, 변변치 못한 소량의 음식을 이르는 말.
"* 風雲月露(풍운월로)*: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심에 조금도 유익하지 않은 화조월석만을 읊은, 실속이 없고 겉만 화려한 *시문*.
#실속#도움#화#세도#유익#풍월#필요#자연#세상#풍#겉#조금#*시문*#인심"
* 無情之責(무정지책)*: 아무 까닭 없이 *책*망함. 또는 그런 *책*망.
* 高文大冊(고문대책)*: (1)문장이 뛰어나고 내용이 웅대한 글. (2)임금의 명령에 따라 지은 국가적인 귀중한 저술.
* 瘡疣百出(창우백출)*: 부스럼, 혹, 굳은살 따위가 매우 많이 생긴다는 뜻으로, 말과 *행동*에 흠이 많음을 이르는 말.
"* 乞火不若取燧(걸화불약취수)*: 남의 불을 꾸기보다는 제 부시로 불을 일으키는 것이 낫다는 뜻으로, 구걸(求乞)하기보다는 스스로
*노력*(努力)하는 것이 낫다는 말.
#구걸#말#불#*노력*"
"* 同床各夢(동상각몽)*: 같은 침상(寢床)에서 서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1) 겉으로는 같이 행동(行動)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 *생각*을 함을 이르는 말 (2) 비유적(比喩的)으로, 같은 입장(立場)ㆍ일인 데도 목표(目標)가 저마다 다름을 일컫는 말(3)
기거(起居)를 함께 하면서 서로 다른 *생각*을 함."
"* 淸貧樂道(청빈락도)*: (1)청렴결백하고 *가난*하게 사는 것을 옳은 것으로 여기고 즐김. (2)‘청빈낙도’의 북한어.
#청렴결백#결백#*가난*#청빈#청렴"
"* 天知地知汝知我知(천지지지여지아지)*: 하늘이 알고, *땅*이 알며, 자네가 알고, 내가 안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에
비밀(秘密)이란 있을 수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公平無私(공평무사)*: 개인의 감정에 따라 어느 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고름.
#개인#의미#私事#로움#공평#감정#치우#쪽#고름#사람"
"* 餘桃啗君(여도담군)*: 먹다 남은 복숭아를 임금에게 먹게 했다는 뜻으로, 똑같은 행위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의 애증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위(衛)나라의 미자하(彌子瑕)가 임금의 총애를 받을 때에는 제가 먹던 복숭아를 바쳐 신임을
얻었으나, 총애를 잃은 후에는 그 *행동* 때문에 죄를 얻어 처벌되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風雨大作(풍우대작)*: *바람*이 몹시 불고 비가 많이 쏟아짐.
#*바람*"
"* 不如歸(불여귀)*: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부리#새#*새끼*#가로#휘파람#정도#여름#두견#푸른빛#소리#길이#날개#소쩍새#배#무늬#집#흰색#사용#의미#길#한국"
"* 靑出於藍而靑於藍(청출어람이청어람)*: 푸른 색이 쪽에서 나왔으나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弟子)가 스승보다 나은 것을
비유(比喩)하는 말.
#말#*제자*#비유#스승#쪽"
* 才學兼有(재학겸유)*: 재주와 *학*식을 아울러 갖춤.
"* 達八十(달팔십)*: *부귀*와 관록이 따르는 영달의 삶을 이르는 말. 강태공이 여든 살에 주(周)나라 무왕을 만나 정승이 된 후
80년을 호화롭게 살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강#왕#무왕#영달#나라#호화#여든#*부귀*#정승#80년#유래#삶"
"* 負荊(부형)*: 스스로 가시*나무*를 짊어진다는 뜻으로, 사죄함을 이르는 말.
#땔*나무*#사죄#말"
* 魚頭一味(어두일미)*: 물고기는 머리 쪽이 그중 맛이 있다는 *말*.
"* 望雲(망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이 타향에서 부모가 계신 쪽의
구름을 바라보고 어버이를 그리워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당나라#타향#고향#때#생각#비유#중국#구름#어버이#부모#*객지*#쪽#유래"
* 補過拾遺(보과습유)*: *임금*의 잘못을 바로잡아 고치게 함.
"* 刺草之臣(자초지신)*: 예전에, 풀을 베는 천한 신하라는 뜻으로, 평민이 임금에 대하여 자신을 낮추어 이르던 말.
#말#신하#풀#임금#평민#자신#예전#사람"
"* 臨農奪耕(임농탈경)*: (1)농사지을 시기에 이르러 경작자를 바*꿈*. (2)‘임농탈경’의 북한어. (3)남이 이미 다 마련하여
놓은 것을 가로채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事上磨鍊(사상마련)*: 개념(槪念)을 통(通)해서가 아니고, 실제(實際)로 일을 하면서 정신(精神)을 단련(鍛鍊)함. *중국*(中國)
명(明)나라의 유학자(儒學者) 왕양명(王陽明)이 학문(學問)을 설명(說明)한 말."
"* 覆雨飜雲(복우번운)*: *소인*배(小人輩)의 우정(友情)의 변덕스러움을 이르는 말.
#*소인*배#우정"
"* 心腹之患(심복지환)*: (1)없애기 어려운 *근심*. (2)쉽게 고치기 어려운 병.
#의미#마음속#*근심*#병"
* 人心如面(인심여면)*: 사람의 마음이 그 *얼굴*과 같다는 뜻으로, *얼굴* 모양처럼 사람마다 마음이 다 다름을 이르는 말.
* 斜風細雨(사풍세우)*: 비껴 부는 *바람*과 가늘게 내리는 비.
"* 韋編三絶(위편삼절)*: 가죽으로 엮은 것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뜻으로, 공자가 역경(易經)을 세 번이나 애독하여 죽간(竹簡)을
엮은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고사에서 *독서*에 힘씀을 이르는 말.
#역경#가죽#*독서*#공자#고사#죽간"
"* 四寶(사보)*: 네 가지의 *보배*라는 뜻으로, 붓ㆍ먹ㆍ종이ㆍ벼루를 소중하게 이르는 말.
#*보배*#붓#소중#종이#벼루"
* 庶孼差待(서얼차대)*: 조선 시대에, 첩의 *자식* 및 그 자손을 차별하여 대우하던 일.
* 天經地緯(천경지위)*: *하늘*이 정하고 땅이 받드는 길이라는 뜻으로,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나 법칙을 이르는 말.
"* 善騎者墮(선기자타)*: 말을 잘 타는 사람이 말에서 떨어진다는 뜻으로, 한 가지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그 재주만 믿고 자만하다가
*도리*어 재앙을 당한다는 의미.
#재주#말#재앙#의미#자만#사람"
"* 碧巖幽石(벽암유석)*: 푸른 이끼가 낀 *바위*와 그윽한 돌.
#*바위*#그윽"
"* 奸臣賊子(간신적자)*: 간사한 신하와 부모를 거스르는 *자식*.
#*자식*#신하#거역#부모#간사"
"* 黃河千年一淸(황하천년일청)*: *황하*(黃河)가 천년에 한번쯤 맑아질는지도 모르겠다는 뜻으로, (1) 성인(聖人)의 탄생(誕生)이
이처럼 어려움 (2) 이루어지기 힘든 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일#*황하*#성#성인#천년#어려움#비유"
"* 出藍之譽(출람지예)*: 청출어람의 *명예*라는 뜻으로,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낫다는 평판을 얻는 *명예*를 이르는 말.
#선배#*명예*#후배#평판#청#명성#제자#스승"
* 春府丈(춘부장)*: 남의 *아버지*에 대(對)한 존칭(尊稱).
* 經世之策(경세지책)*: 세상을 다스려 나가는 방*책*(方策).
* 淸風明月(청풍명월)*: 맑은 *바람*과 밝은 달.
"* 性猶湍水(성유단수)*: *성품*은 여울물 같다는 뜻으로, 세차게 흐르는 여울의 물이 동서 어느 쪽으로도 흐를 수 있듯이, 사람의
본성은 차하게도 되고 악하게도 됨을 이르는 말.
#성#물#동서#본성#*성품*#쪽#사람"
* 傾城之色(경성지색)*: 성을 기울게 할 *정도*의 미인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 人生朝露(인생조로)*: 사람의 인생은 마치 *아침* 이슬 같다는 뜻으로, 해가 뜨면 마르는 *아침* 이슬처럼 인생은 짧고 덧없다는
말."
"* 愚公移山(우공이산)*: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집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대대로 산의 흙을 파서 나르겠다고 하여 이에 감동한 하느님이 산을 옮겨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에 나오는 말이다.
#일#말#노력#집#공이#감동#*유래*#비유#우공#하느님#노인#흙#산#성공"
"* 風波之民(풍파지민)*: *바람*과 물결 같은 백성이라는 뜻으로, 마음이 동요(動搖) 되기 쉬운 백성이나, 마음이 동요되기 쉬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請老(청로)*: 늙은 *재상*이 벼슬을 내놓고 은퇴하기를 임금에게 주청하던 일.
#일#*재상*#임금#벼슬#은퇴"
가난
"* 圖寫禽獸(도사금수)*: 궁전(宮殿) 내부(內部)에는 유명(有名)한 *화가*(畵家)들이 그린 그림 조각 등(等)으로 장식(裝飾)되어
있음.
#화#*화가*#장식#내부#궁전#유명#조각#그림"
"* 其勢兩難(기세양난)*: 이럴 수도 없고 저럴 수도 없어 그 형세가 딱함.
#의미#형세#형"
"* 龍頭蛇尾(용두사미)*: (1)‘*용*두사미’의 북한어. (2)*용*의 머리와 뱀의 꼬리라는 뜻으로, 처음은 왕성하나 끝이 부진한
현상을 이르는 말."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三從之道(삼종지도)*: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예기≫의 의례(儀禮) 에 나오는 말이다."
"* 假虎威(가호위)*: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 形端表正(형단표정)*: *몸* 형상(形像)이 단정(端正)하고 깨끗하면 마음도 바르며 또 겉으로도 나타남.
#*몸*#마음#깨끗#겉#단정#형상"
"* 博而精(박이정)*: 여러 방면(方面)으로 널리 알 뿐 아니라 깊게도 앎. 즉 '나무도 보고 *숲*도 본다'는 뜻.
#나무#앎#방면"
* 子與孫間(자여손간)*: 아들과 손자(孫子) *사이*.
* 春雉自鳴(춘치자명)*: 봄철의 꿩이 스스로 운다는 뜻으로, 제 *허물*을 제 스스로 드러냄으로써 남이 알게 된다는 말.
"* 彈丸之地(탄환지지)*: *사방*이 적국에 싸여 공격의 대상이 되는 매우 좁은 땅.
#땅#적국#방#*사방*#의미#포위#공격#대상"
* 風燭殘年(풍촉잔년)*: *바람* 앞의 촛불 같은 남은 해라는 뜻으로, 나이가 많아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驚天(경천)*: *하늘*을 놀라게 하고 땅을 뒤흔든다는 뜻으로, 세상을 몹시 놀라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땅#말#비유#*하늘*#세상"
"* 草木怒生(초목노생)*: 봄이 되어 초목이 싱싱하게 싹이 틈.
#싱싱#싹#나무#풀이#봄#산#초목"
"* 游閑公子(유한공자)*: 한가하게 노는 공자라는 뜻으로, 의식 걱정이 없이 한가롭게 노는 사람이나 부귀한 집안의 자제를 일컫는 말로
*사용*됨."
"* 逆鱗(역린)*: *임금*의 노여움을 이르는 말. 용의 턱 아래에 거꾸로 난 비늘을 건드리면 용이 크게 노하여 건드린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한비자≫의 에서 유래한다."
* 人微言輕(인미언경)*: 사람이 미천하면 말이 가볍다는 뜻으로, 사람이 미천한 *지위*에 있으면 말의 힘이 없다는 의미.
"* 鳥飛枝二月風吹葉八分(조비지이월풍취엽팔분)*: *새*가 나니 가지는 한들한들(한달+한달=두달), 바람이 불니 잎이
사뿐사뿐함(사분+사분=팔분)."
"* 風雨凄凄(풍운처처)*: 비바람에 쓸쓸하다는 뜻으로, 바람불고 비 뿌려 뼛속까지 추위가 스며드는 일에서 난세(亂世)를 의미함 .
#일#추위#바람#비바람#의미#쓸쓸#난세"
"* 蒼蒼少年(창창소년)*: 앞길이 창창하여 희망에 차 있는 젊은이.
#창창#희망#앞#앞길#젊은이#길이"
"* 兵車之會(병거지회)*: 전쟁할 때에 쓰는 *수레*를 거느리고 무력으로 제후를 회합시키는 일. 또는 그런 회합.
#무력#일#병사#제후#모임#때#전쟁#의미#*수레*#병거"
"* 硏之究之(연지구지)*: (1) 어떤 *사물*(事物)을 과학적(科學的)으로 분석(分析), 관찰(觀察)하는 일 (2) 어떤 일에
대(對)하여 깊이 생각하고 사리(事理)를 따지어 보는 일."
"* 七顚八倒(칠전팔도)*: 일곱 번 구르고 여덟 번 거꾸러진다는 뜻으로, 수없이 실패를 거듭하거나 매우 심하게 *고생*함을 이르는 말.
#거듭#여덟#*고생*#고비#실패#일곱#겪음"
"* 懸車(현거)*: (1)수레를 건다는 뜻으로, 나이가 들어 벼슬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의 설광덕(薛廣德)이 관직을
그만두고 은거할 때, 임금이 내린 안거(安車)를 매달아 놓고 자손에게 전한 *고사*에서 유래한다. (2)일흔 살의 나이를 이르는 말.
(3)해 질 무렵.
#무렵#은거#임금#때#관직#중국#자손#수레#나이#벼슬#한나라#*고사*#유래#일흔"
* 寸草心(촌초심)*: 보잘것없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은혜(恩惠)에 보답(報答)하려는 *자식*(子息)의 마음을 이르는 말.
"* 推燥居濕(추조거습)*: {*아이*는} 마른 곳으로 밀고, {자기는} 젖은 자리에 앉는다는 뜻으로, 자식을 기르는 어머니의
노고(勞苦)를 마다하지 않는 사랑을 이르는 말.
#자식#*아이*#사랑#노고#어머니#자리"
"* 乞骸骨(걸해골)*: 심신은 임금께 바친 것이지만 해골만은 돌려달라는 뜻으로, 늙은 재상이 *벼슬*을 내놓고 은퇴하기를 임금에게
주청하던 일. ≪사기(史記)≫의 에서 유래한다."
"*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 頓悟漸修(돈오점수)*: 고려 시대에, 지눌이 주장한 불교의 선(禪) 수행 방법. 무인 정권 시기에 불교 교단을 개혁하기 위하여
주장한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부처가 되려면 진심을 깨닫고,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점진적#지눌#시대#이전#불교#정권#고려#불#진심#사상#수행#*가운데*#불가#과정#국사#선#부처#방법#깨달음#의미#주장#강조#개혁"
"* 鑿飮耕食(착음경식)*: 우물을 파서 마시며 밭을 갈아먹는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하고 생활이 안락함을 이르는 말. 요나라 때에
어떤 노인이 부른 배와 땅을 두들기며 읊은 노래에서 유래한다."
* 寂滅之道(적멸지도)*: 열반에 이르는 도리라는 뜻으로, ‘불교’를 *달*리 이르는 말.
"* 手握汗(수악한)*: 불끈 쥔 손바닥에서 땀이 난다는 뜻으로, 위험한 광경이나 사건의 추이를 보고 두렵고 위급하여 *자신*도 모르게
몸이 긴장됨을 이르는 말.
#몸#손바닥#사건#위험#땀#위급#*자신*"
"* 同腹兄(동복형)*: 한 어머니에게서 난 형.
#어머니#형"
"* 硏之究之(연지구지)*: (1) 어떤 *사물*(事物)을 과학적(科學的)으로 분석(分析), 관찰(觀察)하는 일 (2) 어떤 일에
대(對)하여 깊이 생각하고 사리(事理)를 따지어 보는 일."
"* 櫛風沐雨(즐풍목우)*: 머리털을 바람으로 빗질하고 몸은 빗물로 목욕한다는 뜻으로, 오랜 세월을 *객지*에서 방랑하며 온갖 고생을 다
함을 이르는 말.
#목욕#몸#방랑#바람#고생#머리#비유#빗물#세월#머리털#*객지*"
"* 思慮分別(사려분별)*: 깊게 *생각*해 다른 일이나 사물을 구별하여 가름.
#사물#일#분수#*생각*#구별"
"* 弄瓦之慶(롱와지경)*: (1)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농와*지경*’의 북한어.
#여자#아이#표현#딸#실패#기쁨#의미#중국#*지경*#장난#즐거움#경사#흙#유래#아이들"
* 名實不副(명실불부)*: 명실이 서로 맞지 아니함.
"* 黃口乳兒(황구유아)*: 새 *새끼*의 주둥이가 노랗다는 뜻에서, '어린아이'를 일컬음.
#어린아이#*새끼*"
"* 匪躬之節(비궁지절)*: 자기 개인의 이해(利害)를 돌아보지 아니하고 오로지 나라에 *충성*을 다하는 지조.
#절개#일#*충성*#충절#이익#정성#개인#국가#나라#생각#의미#이해#자신#지조"
"* 過麥田大醉(과맥전대취)*: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말#*사용*#술#냄새#사람"
"* 木石(목석)*: (1)나무와 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나무#감정#비유#사람"
"* 臺上聽令(대상청령)*: 대뜰에서 *윗사람*의 명령을 받아 전달함.
#일#*윗사람*#전달#명령"
"* 形枉影曲(형왕영곡)*: *물건*의 형체가 굽어 있으면 그 그림자도 반드시 굽는다는 뜻으로, 원인과 결과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同音異義(동음이의)*: *글자*의 소리가 서로 같으나 뜻이 다름.
"* 讀書不求甚解(독서불구심해)*: 책을 읽는 데 *이해*(理解)하기 어려운 것은 그대로 접어두고 그 뜻을 깊이 연구(硏究)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독서(讀書)는 즐겨 하나 참된 학문(學文)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 되풀이하여 몇 번이고 숙독(熟讀)하면 뜻이
통(通)하지 않던 곳도 저절로 알게 됨. 숙독(熟讀)을 권(勸)하는 것.
#책#되풀이#학문#독서#숙독#*이해*#연구"
"* 南風不競(남풍불경)*: 남쪽 *지방*의 노래가 활기가 없다는 뜻으로, 남쪽 *지방*의 세력이 부진함을 이르는 말.
#노래#미약#*지방*#부진#중국#남쪽#세력#음악"
"* 去者日疎(거자일소)*: 죽은 사람에 대한 *생각*은 날이 갈수록 잊게 된다는 뜻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점점 사이가 멀어짐을
이르는 말."
"* 末大必折(말대필절)*: 나무 *가지*가 너무 커지면 반드시 줄기가 부러진다는 뜻으로, 자손(子孫)이 강성해지면 종가(宗家)를 망하게
한다는 의미. 또는 변방(邊方)의 힘이 강해지면 나라가 위태하다는 의미도로 사용됨."
"* 大器晩成(대기만성)*: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역경#일#만년#이름#시간#노력#완성#인물#큰*그릇*#의미#*그릇*#공적#성공#사람"
"* 朝蠅暮蚊(조승모문)*: 아침에는 파리가 꾀고 저녁에는 모기가 들끓는다는 뜻으로, *소인*(小人)이 날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아침#*소인*#비유#파리#저녁#*소인*배"
* 月白風淸(월백풍청)*: 달은 빛나고 *바람*은 맑다는 뜻으로, 달 밝은 가을밤을 이르는 말.
* 物我一體(물아일체)*: 객관적 세계의 모든 대상과 자아, 객관과 주관, 또는 *물*질의 세계와 정신의 세계가 어울려 하나가 됨.
"* 自生自決(자생자결)*: 자기가 살아 나갈 길을 남의 힘에 *의지*하지 아니하고 자신의 힘으로 개척함.
#길#*의지*#힘#자신"
"* 黃雀伺蟬(황작사선)*: 참새가 매미를 엿본다는 뜻으로, 자신에게 장차 다가올 위태로운 재난을 인지하지 못하고 눈앞의 *이익*에만
몰두함을 이르는 말.[= 螳螂窺蟬(당랑규선)]."
"* 亡羊(망양)*: (1)독서를 하다가 양을 잃고 노름을 하다가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하는 일은 달라도 한 가지 일에 전념하지
아니하고 이것저것 하면 실패함을 이르는 말. ≪장자≫ 에 나오는 말이다. (2)*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에 나오는 말이다."
"* 天下太平(천하태평)*: 온 세상이 *태평*하다는 뜻으로, 세상이 잘 다스려저 평화롭다는 뜻이나, 성질이 느긋하여 세상 물정을 모르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天下泰平’으로도 표현함.
#느긋#성질#물정#표현#*태평*#천하#평화#편안#걱정#근심#세상#사람"
"* 朝露人生(조로인생)*: 아침 이슬과 같은 *인생*이라는 뜻으로, 허무하고 덧없는 *인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허무#이슬#아침#*인생*"
* 秋月春風(추월춘풍)*: 가을 달과 봄*바람*이라는 뜻으로, 흘러가는 세월(歲月)을 이르는 말.
* 三不惑(삼불혹)*: 혹하여 빠지지 말아야 할 세 가지. 술, *여자*, 재물을 이른다.
"* 以心傳心(이심전심)*: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뜻이 통함. ≪전등록≫에 나오는 말로 원래는 불교의 법통을 계승할 때에 쓰였다.
#계승#마음#말#원래#불교#때#문자#가섭#전함#석가#*서로*#통#유래"
* 絶世佳人(절세가인)*: *세상*에서 빼어난 아름다운 사람이라는 뜻으로, 당대에 비할 데 없이 아름다운 여인을 이르는 말.
* 高峯撐天立長江割地去(고봉탱천립장강할지거)*: 높은 봉우리는 *하늘*을 지탱(支撐)하여 서 있고, 긴 강은 땅을 가르고 감.
"* 棟梁之材(동량지재)*: 기둥과 들보로 쓸 만한 재목이라는 뜻으로, 한 *집안*이나 한 나라를 떠받치는 중대한 일을 맡을 만한 인재를
이르는 말."
"* 朝三(조삼)*: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저공(狙公)의 고사로,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들이 적다고 화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원숭이#간사#아침#말#꾀#화#먹이#저녁#*중국*#고사#송나라#유래"
"* 廓然大公(확연대공)*: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사물*#마음#성인#학문#거리낌#의미#사심#군자#공평#태도"
"* 朝三(조삼)*: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저공(狙公)의 고사로,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들이 적다고 화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白首北面(백수북면)*: 재주와 덕이 없는 사람은 늙어서도 북쪽을 향하여 스승의 가르침을 받음이 마땅하다는 말. 배움에는 *나이*
제한이 없으므로 백발의 노인이 되어서도 배워야 함을 이르는 말이다."
"* 慈親(자친)*: 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애정#말#인자#*어머니*#어버이"
"* 荊山之玉(형산지옥)*: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물#중국#형산#산#형#사람"
"* 無明長夜(무명장야)*: 어두운 긴 밤이라는 뜻으로, 번뇌에 사로잡혀서 진리의 광명을 보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밤#번뇌#진리#*비유*#광명#어두움"
"* 浩然之氣(호연지기)*: (1)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 ≪맹자≫ <*공손*추(公孫丑)>의 상편에 나오는 말이다.
(2)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
#처음#천지간#사이#일#강#*공손*#도덕#자유#땅#원리#하늘#뿌리#마음#말#도의#기운#공명정대#맹자#근거#기개#도덕적#조금"
"* 氷炭相愛(빙탄상애)*: 얼음과 숯불이 서로 사랑한다는 뜻으로, 세상에 있을 수 없는 일이나, 얼음과 숯이 서로 본질을 보전한다는
의미에서 *친구*끼리 서로 훈계해 나감을 비유하기도 함."
"* 敬復(경복)*: 경복(敬覆). *공경*(恭敬)하여 삼가 답장(答狀)한다는 뜻으로, 주(主)로 한문투(漢文-)의 회답(回答)
편지(便紙) 첫머리에 쓰는 말.
#말#답장#한문투#*공경*#경복#회답#첫머리"
"* 回賓作主(회빈작주)*: 손님으로 온 사람이 도리어 *주인* 행세를 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주장하는 사람을 제쳐 놓고 자기
마음대로 처리함을 이르는 말."
"* 握髮(악발)*: 어진 *인재*를 간절히 구함을 이르는 말. 중국의 주공(周公)이 머리를 감을 동안 찾아온 인사들을 감던 머리를
거머쥐고 지체하지 않고 만났다는 데서 유래한다."
"* 烏合之卒(오합지졸)*: *까마귀*가 모인 것처럼 질서가 없이 모인 병졸이라는 뜻으로, 임시로 모여들어서 규율이 없고 무질서한 병졸
또는 군중을 이르는 말.
#규율#병졸#*까마귀*#의미#임시#군중"
* 羞花閉月(수화폐월)*: 꽃도 부끄러워하고 달도 숨는다는 뜻으로, 여인의 *얼굴*과 맵시가 매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衆口難防(중구난방)*: 뭇사람의 말을 막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막기 어려울 정도로 여럿이 마구 지껄임을 이르는 말.
"* 桃源境(도원경)*: (1)이 세상이 아닌 무릉도원처럼 아름다운 경지. (2)*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최선의 상태를 갖춘 완전한
사회.
#최선#세계#*인간*#무릉도원#속계#생각#별천지#비유#이상향#사상#지경#사회#설명#상태#완전#세상"
* 大驚小怪(대경소괴)*: 몹시 놀라서 좀 괴이쩍게 *생각*함.
* 貧寒到骨(빈한도골)*: *가난*하여 쓸쓸함이 골수까지 스며든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게 사는 것을 이르는 말.
"* 天上天下(천상천하)*: 하늘 위와 하늘 *아래*라는 뜻으로, 온 세상을 이르는 말.
#우주#사이#*아래*#하늘#세상"
"* 風行霜烈(풍행상렬)*: 바람처럼 빠르고 서리처럼 매섭고 엄혹(嚴酷)하다는 뜻으로, *기세*가 맹렬함을 이르는 말.
#서리#맹렬#*기세*#바람"
"* 風霜雪雨(풍상설우)*: *바람*과 서리와 눈과 비를 아울러 이르는 말.
#눈#서리#*바람*"
* 白玉微瑕(백옥미하)*: 흰 옥의 작은 티라는 뜻으로, 작은 과실이나 조그마한 실수의 의미.
* 恃德者昌(시덕자창)*: 덕을 믿는 사람은 창성한다는 뜻으로, 올바른 덕에 의지하는 사람은 번영(繁榮)한다는 *의미*.
"* 風雨大作(풍우대작)*: *바람*이 몹시 불고 비가 많이 쏟아짐.
#*바람*"
* 象牙婚式(상아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3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상아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 變化無常(변화무상)*: 늘 *변화*하여 일정하지 않음.
#일정#*변화*"
"* 水湧山出(수용산출)*: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
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재주#풍부#훌륭#물#비유#생각#산#시문"
"* 藍筍象牀(남순상상)*: 푸른 대순과 코끼리 상이니, 즉 한가(閑暇)한 사람의 침대임.
#코끼리#사람"
* 破涕爲笑(파체위소)*: 울음을 그치고 웃음을 짓는다는 뜻으로, 슬픔을 기쁨으로 바꾼다는 *의미*.
"* 換骨(환골)*: (1)뼈대를 바꾸어 낀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2)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 (3)도가(道家)에서, 인간이 속골(俗骨)을 선골(仙骨)로
바꾸어 몸에 털이 난다는 뜻으로, 신선이 되는 일을 이르는 말.
#일#몸#환골탈태#방향#우화#인간#신선#선#먼저#털#뼈대#선고#얼굴#형식#고인#딴사람#*시문*#사람"
* 金玉滿堂(금옥만당)*: (1)*금*관자나 옥관자를 붙인 높은 벼슬아치들이 방 안에 가득함. (2)현명한 신하가 조정에 가득함.
"* 池魚之殃(지어지앙)*: 못의 물고기에 미치는 재앙이라는 뜻으로, 제삼자가 엉뚱하게 *재난*을 당함을 이르는 말. 성문(城門)에 난
불을 끄려고 못의 물을 전부 퍼 온 탓으로 그 못의 물고기가 말라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죄#엉뚱#*재난*#때문#때#재앙#불#생각#비유#성문#물#나라#의미#말라#연못#제삼자#고사#유래#화재"
"* 淸白吏(청백리)*: (1)재물에 대한 욕심이 없이 곧고 깨끗한 *관리*. (2)조선 시대에, 이품 이상의 당상관과 사헌부ㆍ사간원의
수직(首職)들이 추천하여 뽑던 청렴한 벼슬아치.
#선정#욕심#재물#시대#본래#*관리*#추천#결백#천거#벼슬아치#깨끗#당상관#조선#유래#이상#청렴"
* 代不乏人(대불핍인)*: 어느 *시대*(時代)나 인재(人材)가 없지 아니함.
* 自愧之心(자괴지심)*: 스스로 부끄럽게 여기는 *마음*.
"* 內無主張(내무주장)*: *집안* 살림을 맡아 할 안주인이 없음.
#살림#안주#*집안*"
* 剖腹藏珠(부복장주)*: 배를 갈라 구슬을 감춘다는 뜻으로, 재물만을 소중하게 여겨 자신의 *몸*을 망친다는 의미.
"* 咳唾成珠(해타성주)*: 기침과 침이 다 구슬이 된다는 뜻으로, 권세가(權勢家)를 형용하거나 일언일구(一言一句)가 다 귀중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혹은 시문(詩文)의 재주가 뛰어남을 형용하기도 함. 〔= 月章星句(월장성구)〕."
"*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여옹#산#귀#인생#공명#비유#노생#유래#도사#주인#소년#누리#쓰임#*부귀*영화#베개#80세#꿈#영화#*부귀*#잠"
* 本支百世(본지백세)*: 종손(宗孫)과 지손(支孫)의 *집안*이 백세를 잇는다는 뜻으로, 한 민족이 번성함을 이르는 말.
"* 前轍(전철)*: 앞에 지나간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이전 사람의 *그릇*된 일이나 행동의 자취를 이르는 말.
#일#자취#수레바퀴#앞#이전#실패#자국#비유#*그릇*#행동#사람"
"* 朝三(조삼)*: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저공(狙公)의 *고사*로,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들이 적다고 화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원숭이#간사#아침#말#꾀#화#먹이#저녁#중국#*고사*#송나라#유래"
* 搖頭顚目(요두전목)*: 머리를 흔들고 눈알을 굴린다는 뜻으로, *행동*이 침착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 下問不恥(하문불치)*: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이 수치가 아니라는 뜻으로, 모르는 것은 누구에게든지 물어서 식견을 넓히라는 말.
"* 斷機之戒(단기지계)*: 학문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처럼 아무 쓸모 없음을 경계한 말. ≪후한서≫의 에 나오는
것으로, *맹자*가 수학(修學) 도중에 집에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짜던 베를 끊어 그를 훈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쓸모#이익#포기#집#학문#때#학업#어머니#경계#*맹자*#수학#훈계#베틀#유래#중도"
"* 太平聖代(태평성대)*: 어진 임금이 잘 다스리어 태평한 *세상*이나 시대.
#성#시대#임금#태평#의미#*세상*"
"* 灞橋折柳(파교절류)*: 파교에서 버들가지를 꺾는다는 뜻으로, 灞橋는 장안 동쪽 파수에 걸린 다리 이름인데, 옛날 사람들이 이 다리에
이르러 버들가지를 꺾어 송별의 뜻을 전했던 것에서 유래하여 시상을 떠올리기 가장 좋은 곳의 의미로 *사용*됨."
"* 人生草露(인생초로)*: 사람의 삶은 풀에 맺힌 이슬 같다는 뜻으로, 인생은 해뜨면 *사라*질 아침에 맺힌 풀 위의 이슬처럼 덧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이슬#아침#풀#비유#인생#삶#사람"
"* 泰而不驕(태이불교)*: 태연하나 교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자(君子)의 태도를 이르는 말로 쓰이거나, 권력 있는 지위에 있어도
교만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로도 *사용*됨."
* 天下大勢(천하대세)*: *세상*이 돌아가는 추세.
* 多男多懼(다남다구)*: *아들*을 많이 두면 여러 가지로 두려움과 근심 걱정이 많음.
"* 物薄情厚(물박정후)*: 물건은 엷지만 정은 두텁다는 뜻으로, 남과 사귐에 있어서 *선물*이나 향응(饗應)은 변변하지 않다 하더라도
정의(情誼)만은 두터이 한다는 의미.
#변변#정의#*선물*#의미#물건"
"* 强弩之末(강노지말)*: 힘찬 활에서 튕겨나온 화살도 *마지막*에는 힘이 떨어져 비단(緋緞)조차 구멍을 뚫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강(强)한 힘도 *마지막*에는 결국 쇠퇴(衰退)하고 만다는 의미(意味).
#강#결국#화살#*마지막*#의미#힘#비단#쇠퇴#구멍#활"
"* 頓悟漸修(돈오점수)*: 고려 시대에, 지눌이 주장한 불교의 선(禪) *수행* 방법. 무인 정권 시기에 불교 교단을 개혁하기 위하여
주장한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부처가 되려면 진심을 깨닫고,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점진적#지눌#시대#이전#불교#정권#고려#불#진심#사상#*수행*#가운데#불가#과정#국사#선#부처#방법#깨달음#의미#주장#강조#개혁"
* 放歸田里(방귀전리)*: 조선 시대에, *벼슬*을 삭탈하고 제 고향으로 내쫓던 형벌. 유배보다는 한 등급 가벼운 형벌이다.
"* 命世才(명세재)*: 한 시대를 바로잡아 구원할 만한 큰 *인재*.
#시대#구원#*인재*"
"* 騷人墨客(소인묵객)*: *시문*(詩文)과 서화(書畫)를 일삼는 사람.
#객#풍아#의미#시인#풍#그림#*시문*#사람"
"* 亡夫(망부)*: 죽은 *남편*.
#*남편*"
* 得衆得國(득중득국)*: 대중을 얻으면 나라를 얻는다는 뜻으로, 대중의 *마음*을 얻으면 나라도 얻을 수 있다는 의미.
* 吮犢之情(연독지정)*: 어미 소가 송아지를 핥아 주는 정이라는 뜻으로, 자기의 자녀나 부하에 대한 *사랑*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 讀書三餘(독서삼여)*: 책을 읽기에 적당한 세 *가지* 한가한 때. 겨울, 밤, 비가 올 때를 이른다.
"* 江山萬古主人物百年賓(강산만고주인물백년빈)*: 강과 산은 만고의 *주인*(主人)이요, 사람은 백년(잠시(暫時) 왔다가는)의 손님임.
#*주인*#강#백년#만고#손님#백#산#사람"
"* 蚌鷸之勢(방휼지세)*: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 먹으려고 부리를 넣는 순간 조개가 껍데기를 닫고 놓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대립하는 두
*세력*이 잔뜩 버티고 맞서 겨루면서 조금도 양보하지 아니하는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조개#이익#형세#대립#결국#순간#금#도요새#양보#*세력*#조금#부리"
"* 虎變鼠(호변서)*: 호랑이가 쥐로 변한다는 뜻으로, 임금도 권세(權勢)를 잃으면 *신하*(臣下)에게 업신여김을 당(當)함을 이르는
말."
"* 四時山色(사시산색)*: 계절(季節)에 따라 *변화*(變化)하는 산의 풍경(風景)을 이름.
#이름#계절#풍경#산#*변화*"
"* 活人之方(활인지방)*: (1)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법. (2)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위나 지방.
#위험#지방#사용#의미#*목숨*#구원#방안#방위#방법#사람"
"* 會稽之恥(회계지치)*: 회계산에서의 수치라는 뜻으로, 전쟁에 패한 치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에게 후이지산(會稽山)에서 패전하고 생포되어 굴욕적인 강화를 맺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月露風雲(월로풍운)*: 달, 이슬, 바람, *구름*이라는 뜻으로, 시문을 짓는 것이 月露風雲을 형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무용무익(無用無益)한 문사(文辭)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 自今以往(자금이왕)*: 지*금*으로부터 뒤.
#이후#지*금*"
"* 榮耀榮華(영요영화)*: 권력(權力)이나 부를 얻어서 *번성*(繁盛)한다는 뜻으로, (1) 사치(奢侈)를 다함 (2) 호화(豪華)롭고
화려(華麗)함.
#권력#사치#화#호화#*번성*#화려"
"* 白首殘年(백수잔년)*: 늙어서 *머리*가 세고 살날이 얼마 남지 않음.
#늙바탕#얼마#*머리*"
"* 遠交近攻(원교근공)*: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격함. 중국 전국 시대의 외교 정책으로,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소유#외교#말#범#시대#전국#나라#정책#중국#공격#전국시대"
"* 不愧屋漏(불괴옥루)*: 사람이 보지 아니하는 곳에서도 *행동*을 경계하고 신중히 하여 부끄럽지 아니함. ≪중용(中庸)≫에 나오는
말이다."
"* 寒露(한로)*: (1)이십사절기의 하나. 추분과 상강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195도인 때이다. 10월 8일경이다.
(2)늦*가을*에서 초겨울 무렵까지의 이슬."
"* 宿西食東(숙서식동)*: 잠은 서에서 자고 음식은 동에서 먹는다는 뜻으로, *욕심*이 많음을 이르는 말.
[東家食西家息(동가식서가식)].
#잠#음식#가식#*욕심*"
"* 化若偃草(화약언초)*: 교화가 마치 풀이 쓰러지듯 한다는 뜻으로, 풀이 *바람* 부는 방향으로 쏠리어 눕듯이 백성이 어진 군주의
교화를 따름을 이르는 말."
"* 塞翁爲福(새옹위복)*: 한때의 이(利)가 장래(將來)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화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
#복#화#때#화가#장래#한때"
"* 虎牙鷹爪(호아응조)*: *호랑이*의 어금니와 매의 발톱이라는 뜻으로, 자신이 지닌 가장 의지할 수 있는 이로운 도구라는 의미.
#*호랑이*#어금니#발톱#의미#자신#의지#도구"
"* 三嚴(삼엄)*: (1)세 사람의 엄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임금ㆍ아버지ㆍ스승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거둥할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임금과 문무백관이 근정전(勤政殿)이나 지정된 *장소*에 나가 모든 의식 준비를
완전히 끝냈다. (3)군사 행동에 들어갈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행군을 시작하였다.
#셋째#군사#임금#때#이것#북#시작#스승#문무#준비#의식#*장소*#행동#사람"
* 格物致知(격물치지)*: 실제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지식을 완전하게 함. ≪대학≫에 나오는 말이다.
"* 無緣法界(무연법계)*: (1)차별이 없는 평등한 일체. 무연이란 피차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은 것이고, *법*계는 *법*의 한계를
이른다. (2)인연도 연고도 없음. 또는 그런 사람."
"* 伯夷之廉(백이지렴)*: 백이의 *청렴*함이라는 뜻으로, 주(周)나라 고죽군(孤竹君)의 두 아들인 백이와 숙제(叔齊)가 충절을 위해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충신의 대명사격으로 백이를 표현함.
#충절#*청렴*결백#표현#백이#아들#나라#결백#백#고사#충신#*청렴*"
* 自彊不息(자강불식)*: 스스로 *힘*써 쉬지 아니함.
"* 兩袖淸風(양수청풍)*: 두 소매에 맑은 *바람*이라는 뜻으로, 양 손 모두 깨끗함을 유지하고 있는 관리의 청렴결백(淸廉潔白)함을
이르는 말."
* 肝膽胡越(간담호월)*: *사물*(事物)은 보기에 따라 몹시 닮은 것도 서로 다르게 보임을 비유(比喩)하여 이르는 말.
"* 春風化雨(춘풍화우)*: 봄*바람*과 알맞게 내리는 비라는 뜻으로, (1) 자연(自然)이 만물(萬物)을 육성(育成)하는 힘 (2)
이를 교육(敎育)에 비유(比喩)해 인재(人材) 육성(育成)을 위(爲)한 훌륭한 교육(敎育)을 이르는 말."
"* 席卷之勢(석권지세)*: 돗자리를 마는 기세라는 뜻으로, *세력*이 빠르고 거침없이 휩쓸어 나가는 기세를 이르는 말.
#말#기세#준말#의미#*세력*#자리#형세"
"* 秋高馬肥(추고마비)*: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하늘이 맑아 높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이 익는 가을철을 이르는 말.
#*곡식*#말#계절#가을철#하늘#가을"
"* 敦睦之誼(돈목지의)*: (1)두텁고 화목한 정. (2)일가*친척* 사이에 오가는 두텁고 화목한 정.
#화목#돈#사이"
* 虛而往實而歸(허이왕실이귀)*: 지덕이 없는 사람이 성현(聖賢)의 가르침을 받아 충실(充實)하게 됨을 이르는 말.
* 高眠(고면)*: 베개를 높이 베고 잔다는 뜻으로, *마음* 편히 잠을 이르는 말.
"* 狼狽(낭패)*: (1)‘낭패’의 북한어. (2)계획한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기대에 어긋나 매우 딱하게 됨.
#일#낭패#*실패*#계획#형편"
"* 主聖臣直(주성신직)*: 임금이 성군이면 신하도 곧다는 뜻으로, 임금이 어질고 바르면 신하도 바르게 되는 것처럼, 위에서 행하는 바를
*아래*에서 이를 본보기 삼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성군#*아래*#신하#임금#비유"
* 患難相救(환난상구)*: 향약의 네 가지 덕목 가운데 *하나*.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서로 도와야 함을 이른다.
"* 魚頭鳳尾(어두봉미)*: 물고기는 머리 쪽이 맛이 있고 짐승 고기는 *꼬리* 쪽이 맛이 있다는 말.
#머리#*꼬리*#맛#쪽#짐승"
"* 萬夫不當(만부부당)*: 수많은 장부(丈夫)로도 능히 당할 수 없음.
#장부#남자#명의"
* 辱及父兄(욕급부형)*: *자식*의 잘못이 부모까지 욕되게 함.
"* 鷄鳴之助(계명지조)*: 어질고 현명한 왕비의 내조를 이르는 말. 예전에 어진 왕비는 *새*벽이면 반드시 왕께 나아가 닭이 울었으니
일어나라고 권하여 왕이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정사를 보도록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男中一色(남중일색)*: 남자의 *얼굴*이 썩 뛰어나게 잘생김. 또는 그런 사람.
"* 恬筆倫紙(염필륜지)*: 진국 몽염(蒙恬)은 *토끼*털로 처음 붓을 만들었고, 후한(後漢) 채륜(蔡倫)은 처음 종이를 만들었음.
#후한#*토끼*#붓#털#종이#처음"
"* 大書特記(대서특기)*: 특별히 두드러*지게* 보이도록 글자를 크게 쓴다는 뜻으로, 신문 따위의 출판물에서 어떤 기사에 큰 비중을
두어 다룸을 이르는 말.
#글씨#여론#글자#누구#신문#뚜렷#기사#따위"
세상
* 前言往行(전언왕행)*: 옛사람이 남겨 놓은 말과 *행동*.
"* 懷玉有罪(회옥유죄)*: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귀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훗날#죄#분수#재앙#*물건*#귀"
"* 見而不食(견이불식)*: *눈앞*에 보고도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탐나는 것이 있어도 이용할 수 없거나 차지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차지#*눈앞*#이용"
* 毁瓦畫墁(훼와획만)*: 기와를 헐고 *흙*손질을 해 놓은 벽에 금을 긋는다는 뜻으로, 남의 집에 해를 끼침을 이르는 말.
"* 桃夭時節(도요시절)*: (1)복숭아*꽃*이 필 무렵이란 뜻으로, 혼인을 올리기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2)처녀가 나이로 보아
시집가기에 알맞은 때.
#무렵#복숭아*꽃*#때#*꽃*#혼인#시절#나이#처녀#시집"
"* 許由掛瓢(허유괘표)*: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이름#속세#나뭇가지#모양#표주박#*청렴*"
"* 士氣衝天(사기충천)*: *사기*가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음.
#하늘"
* 落地(락지)*: (1)*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남을 이르는 말. (2)‘낙지’의 북한어.
"* 太平烟月(태평연월)*: *태평*한 세월이라는 뜻으로, 편안하고 즐거운 세월을 이르는 말. [烟月은 煙月. 곧 *태평*한 시절의
의미].
#안락#*태평*#때#의미#세월#편안#평화#시절#세상"
"* 半面美人(반면미인)*: 측면에서 얼굴의 한쪽 면만을 그린 *미인*의 그림.
#옆#쪽#*미인*#얼굴#그림#모습#한쪽"
"* 拜復(배복)*: 절하고 회답(回答)한다는 뜻으로, 흔히 친구(親舊) 사이에 답장(答狀)하는 편지(便紙) 첫머리에 또는 편지(便紙)
끝머리의 자기(自己) 이름 *아래*에 쓰는 말."
"* 首邱初心(수구초심)*: 언덕에 머리를 향한 처음 마음이라는 뜻으로,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본디 살던 언덕 쪽으로 두고 죽는다는
데서 *근본*을 잊지 않거나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의 의미."
"* 弄璋之慶(롱장지경)*: (1)아들을 낳은 즐거움. 예전에,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규옥(圭玉)으로 된 구슬의 덕을 본받으라는 뜻으로
구슬을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농장*지경*’의 북한어.
#구슬#아이#표현#예전#놀이#아들#남자#기쁨#의미#중국#*지경*#장난#즐거움#경사#유래#아이들"
"* 智慧利劍(지혜이검)*: 지혜가 번뇌나 *생사*에 얽매임을 끊는 것을 잘 드는 칼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일체#번뇌#사리#칼날#예리#칼#표현#비유#*생사*#지혜"
* 燕雀處屋(연작처옥)*: *편안*(便安)히 지내느라 장차 화가 자기(自己)에게 닥칠 것을 깨닫지 못함을 비유(比喩)한 말.
* 連理比翼(연리비익)*: 연리지와 비익조라는 뜻으로, *부부*가 아주 화목함을 이르는 말.
"* 充閭之慶(충려지경)*: 집안에 가득한 경사라는 뜻으로, 손님이 집안 문설주까지 가득 찰 정도로 집안이 번성했다는 의미로 쓰이거나
득남(得男)을 축하하는 말로도 사용됨.
#말#축하#사용#의미#손님#번성#집안#경사#정도#가득"
"* 甕算畵餠(옹산화병)*: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실속#장수#고생#꿈#사용#떡#소용#수고#그림#고사"
"* 四知(사지)*: 두 사람만의 비밀이라도 어느 때고 반드시 남이 알게 됨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後漢)의 양진(楊震)이 형주
자사(荊州刺史)로 부임했을 때, 왕밀(王密)이 밤중에 찾아와서 당신과 나밖에는 아무도 알 사람이 없다 하며 금(金) 열 근을 바쳤을
때,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내가 알고 자네가 안다 하며 받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후한*서≫의 에 나오는 말이다.
#*후한*#마련#비밀#땅#말#사람#부임#왕#상대편#때#금#자네#중국#하늘#밖#밤중#유래#형#사이"
"* 變化無常(변화무상)*: 늘 변화하여 일정하지 않음.
#일정#변화"
제자
"* 累卵之危(누란지위)*: 층층이 쌓아 놓은 알의 위태로움이라는 뜻으로, 몹시 아슬아슬한 위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 에
나오는 말이다."
* 情意投合(정의투합)*: (1)따뜻한 마음과 뜻이 서로 잘 맞아서 합함. (2)남녀 간에 *관계*가 이루어짐.
* 開示悟入(개시오입)*: 부처가 이 세상에 출현한 네 *가지* 뜻. 중생이 진리를 열고, 보고, 깨닫고, 그 길에 들게 하는 일이다.
"* 肝腦塗地(간뇌도지)*: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참혹#땅#곤경#모습#죽음#나라#*목숨*#의미#뇌#힘#간장#활용"
"* 行常帶經(행상대경)*: 나다닐 때 늘 경서를 가진다는 뜻으로, 학문에 열심히 *노력*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노력*#학문#때#비유#경서"
* 發福之地(발복지지)*: 자손이 *복*을 받게 되는 좋은 집터나 묏자리.
"* 不憤不啓(불분불계)*: 분발하지 않으면 계도(啓導)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스스로 터득하려고 애쓰는 사람이라야 스승의 가르침으로
미묘한 이치에 통달할 수 있다는 *의미*."
"* 華菅茅束(화관모속)*: 솔새를 물에 적셔 *왕*골자리를 짤 때는 띠로 묶어야 한다는 뜻으로, 부부(夫婦)는 서로 떨어져서는 안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坐食山空(좌식산공)*: 일을 하지 아니하고 놀기만 하면 *산*도 빈다는 뜻으로, *산*더미 같은 재*산*도 놀고먹기만 하면 결국 다
없어지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獸聚鳥散(수취조산)*: 짐승처럼 모였다가 새처럼 흩어진다는 뜻으로, 정돈되지 못한 오합지중(烏合之衆)의 의미로 사용됨.
"* 父母俱沒(부모구몰)*: 아버지와 *어머니*가 다 돌아가심.
#*어머니*"
"* 恒産恒心(항산항심)*: 일정(一定)한 생*산*(生産)이 있으면 마음이 변(變)치 않는다는 뜻으로, 일정(一定)한 직업(職業)과 재
*산*(財産)을 가진 자는 마음에 그만 큼 여유(餘裕)가 있으나, 그렇지 않은 자는 정신적(精神的)으로 늘 불안정(不安定)하여 하찮은
일에도 동요함을 이르는 말."
"* 活死人(활사인)*: 살아있으면서 죽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한평생 세상일에 관여하지 않는 사람의 의미에서 바보나 천치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 高歇無常(고헐무상)*: 값의 오르고 내림이 *일정*하지 아니함.
#쌈#값#*일정*#물건값#의미#변동#비쌈#물건#낮#내림"
부귀
"* 大樹將軍(대수장군)*: ‘장군’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광무제의 장군 풍이(風異)가 *겸손*하여 공을 논하지 않고 늘 큰
나무 밑에 물러가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말#나무#장군#*겸손*#중국#수고#매사#풍#고사#유래#광무제#사람"
"* 撻楚(달초)*: (1)어버이나 스승이 자식이나 *제자*의 잘못을 징계하기 위하여 회초리로 볼기나 종아리를 때림. (2)닦달하거나
문초함.
#자식#때#잘못#징계#*제자*#스승#경계#어버이"
* 變化不側(변화불측)*: 끊임없이 달라져서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음.
"* 禮尙往來(예상왕래)*: 예절은 서로 *왕*래하여 사귐을 귀하게 여긴다는 말.
#예의#교제#예절#*왕*래"
* 四大六身(사대육신)*: 두 팔, 두 다리, 머리, *몸*뚱이라는 뜻으로, 온*몸*을 이르는 말.
"* 助長拔苗(조장발묘)*: 빨리 자라라고 모를 뽑는다는 뜻으로, 빠른 성과(成果)를 보려고 무리하게 다른 *힘*을 더하여 도리어 그것을
해(害)치게 됨을 이르는 말.
#그것#성#성과#*힘*#무리"
"* 蕩産(탕산)*: 집안의 *재산*을 모두 써서 없애 버림.
#*재산*#버림#죄#집안"
* 殺身立節(살신입절)*: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절개를 세움.
* 萬人周知(만인주지)*: 모든 *사람*이 두루 앎.
"* 干將莫邪(간장막사)*: 명검도 사람의 손길이 가야만 비로소 빛나듯이 사람의 성품(性品)도 원래(原來)는 악하므로 *노력*(努力)을
기울여야 선하게 될 수 있다는 의미(意味).
#원래#*노력*#선#의미#가야#악#성품#사람"
"* 同價紅裳(동가홍상)*: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는 뜻으로, 같은 *값*이면 좋은 물건을 가짐을 이르는 말.
#조건#마음#*값*#치마#편리#의미#물건#속담#이왕"
"* 若得一敵國(약득일적국)*: 자기(自己) 나라와 힘이 대등(對等)한 나라를 얻은 것과 같다는 뜻으로, 훌륭한 *인재*(人材)를 얻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秤新而爨(칭신이찬)*: 땔나무를 저울로 달아 땐다는 뜻으로, 소소한 일에 너무 잔*소리*가 심함을 이르는 말.
#땔나무#일#저울#잔*소리*"
"* 當來道師(당래도사)*: 내세(來世)에 출현(出現)하는 *도사*(導師). 지금으로부터 56억 7천만 세(歲)를 지나 이 세계(世界)에
출현(出現), 성도(成道)하여 중생(衆生)을 화도(化導) 한다는 미륵(彌勒) 보살(菩薩).
#천만#출현#성#세계#보살#화#성도#지금#중생#*도사*"
"* 盟山誓海(맹산서해)*: 영구히 존재하는 산과 *바다*에 맹세한다는 뜻으로, 매우 굳게 맹세함을 이르는 말.
#맹세#존재#산"
"* 反面敎師(반면교사)*: (1)사람이나 사물 따위의 *부정*적인 면에서 얻는 깨달음이나 가르침을 주는 대상을 이르는 말. (2)극히
나쁜 면만을 가르쳐 주는 선생이란 뜻으로, 중국에서 제국주의자ㆍ반동파ㆍ수정주의자를 이르는 말.
#사물#깨달음#실수#반대#*부정*#잘못#사용#비유#인물#스승#의미#중국#본래#대상#자신#가르침#쪽#선생#따위#사람"
* 傳家之寶(전가지보)*: 대대로 *집안*에 전하여 내려오는 보물.
"* 塗中曳尾(도중예미)*: 진흙 속에 꼬리를 끌고 다닌다는 뜻으로, *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사는 생활의 자유로움을 이르는 말. 거북이
죽은 뒤에 그 등껍질이 점치는 데 귀하게 쓰이는 것보다는 살아서 꼬리를 진흙 속에 끌고 다니는 것이 더 좋은 것처럼 벼슬하여 속박을
받기보다는 은거하여 자유롭게 사는 것이 더 낫다고 한 장자(莊子)의 말에서 유래하였다."
"* 靑春(청춘)*: (1)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이라는 뜻으로,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을 이르는 말. (2)1914년 10월에 최남선이 창간한 우리나라 최초의 월간 종합지. 청년을 상대로 한 계몽지로서 ≪소년≫지가
폐간된 후 그 후신으로 발간한 것으로, 신문학 운동이 일어나던 무렵에 문학 작품의 발표 및 문예 작품 현상 모집에 의한 창작 의욕의
진작, 해외 문학 번역 소개 등 문학 발전에 큰 구실을 하였다. 1918년 8월까지 통권 15호를 냈다. (3)독일의 극작가
할베(Halbe, M.)가 지은 희곡. 주인공 안헨은 대학생인 한스와 사랑을 나누나, 안헨의 이복 오빠가 질투심에서 한스를 죽이려다
잘못해서 동생 안헨을 죽이게 된다는 내용이다. 청춘의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그 당시 연애 희곡의 대표작이다. 1893년에
초연되었다. 3막. (4)1936년에 극작가 남궁만(南宮滿)이 쓴 희곡. 평양 변두리의 빈민굴에서 살아가는 실직 노동자 가족의 비극을
다룬 작품이다.
#내용#의욕#창작#당시#후반#주인공#현상#진작#8월#시절#문학#나이#초연#*인생*#봄철#사랑#운동#안헨#작품#발전#10월#무렵#가족#소년
#상대#발표#우리#동생#우리나라#주제#구실#비극#잘못#나라#청년#만물#청춘#독일"
"* 父母有疾捨置他事(부모유질사치타사)*: *부모*(父母)님이 병환(病患)을 앓으시면 다른 일은 버려둠.
#일#병환#*부모*"
"* 人傑地靈(인걸지령)*: 뛰어난 인재는 땅의 신령스러움에서 난다는 뜻으로, 위대한 인물이 난 곳에 이름이 나는 것처럼 사람의 운명은
그가 태어나 자란 산천의 *기운*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견해임. [= 地靈人傑 ].
#이름#땅#견해#신령#인물#운명#결정#*기운*#산천#인재#사람"
"* 懸頭刺股(현두자고)*: 새끼줄로 상투를 대들보에 걸어 매고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며 졸음을 쫓는다는 뜻으로, 학업에 매우 *힘*쓴다는
말."
* 松風水月(송풍수월)*: 소나무에 부는 *바람*과 물에 비친 달이라는 뜻으로, 맑고 깨끗한 것을 비유하는 말.
* 東作西收(동작서수)*: 봄철에 농사를 지어 *가을*에 거두어들임.
"* 若得一敵國(약득일적국)*: 자기(自己) 나라와 힘이 대등(對等)한 나라를 얻은 것과 같다는 뜻으로, 훌륭한 *인재*(人材)를 얻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春樹暮雲(춘수모운)*: 봄철의 나무와 저문 날의 구름이라는 뜻으로, 먼 곳에 있는 *벗*을 그리는 마음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一諾千金(일낙천금)*: (1)한번 승낙한 것은 천금같이 귀중하다는 뜻으로, 약속을 소중히 *여기*라는 말. (2)천금같이 귀중한
승낙."
* 風窓破壁(풍창파벽)*: 뚫어진 창과 헌 담벼락이라는 뜻으로, 돌보지 아니하여 허술한 집의 *상태*를 이르는 말.
"* 形容枯槁(형용고고)*: *얼굴* 모양이 야위어 파리하다는 뜻으로, *얼굴*이 몹시 야위고 파리해서 외모가 초라해짐을 이르는 말.
#외모#초라#모양#파리#*얼굴*"
* 慈無量心(자무량심)*: 사무량심(四無量心)의 하나. 무진(無瞋)을 *근본*으로 하여 모든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려는 마음을 이른다.
* 專心致志(전심치지)*: 오직 한 가지 일에만 *마음*을 쏟아 뜻한 바를 이룸.
"* 棗栗梨柿(조율이시)*: 대추, 밤, 배, 감이라는 뜻으로, 제사상을 차릴 때 과일을 진설(陳設)하는 순서로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놓은 것을 이르는 말."
"* 不卽不離(부즉불리)*: (1)두 *관계*가 붙지도 아니하고 떨어지지도 아니함. (2)찬성도 아니 하고 반대도 아니 함.
#사물#찬성#*관계*#성도#반대#사이"
"* 拜復(배복)*: 절하고 회답(回答)한다는 뜻으로, 흔히 친구(親舊) 사이에 답장(答狀)하는 편지(便紙) *첫머리*에 또는
편지(便紙) 끝머리의 자기(自己) 이름 아래에 쓰는 말.
#이름#말#아래#친구#답장#끝#머리#회답#*첫머리*#사이"
* 削奪官職(삭탈관직)*: 죄를 지은 자의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그 이름을 지우던 일.
* 猜惡之心(시오지심)*: 시기하고 미워하는 *마음*.
"* 懸車之年(현거지년)*: 관직을 그만둔 나이라는 뜻으로, *벼슬*에서 물러나야 하는 나이 곧 일흔 살을 이르는 말.
#*벼슬*#일흔#관직#나이"
* 如合符節(여합부절)*: *사물*이 꼭 들어맞음.
"* 無腸公子(무장공자)*: (1)기개나 담력이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2)창자가 없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게’를 이르는
말.
#이름#창자#기력#동물#창#사용#담력#기개#공자#사람"
* 德業相勸(덕업상권)*: 향약의 네 가지 덕목 *가운데* 하나. 좋은 일은 서로 권하여 장려해야 함을 이른다.
"* 負薪入火(부신입화)*: 섶을 짊어지고 불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자신의 *그릇*된 짓으로 인해 화를 당한다는 의미.
#화#불#의미#*그릇*#자신"
"* 壺天(호천)*: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항아리#*세계*#별#별천지#기한#따위#세상"
"* 三從叔母(삼종숙모)*: 삼종숙의 *아내*.
#*아내*#부인"
"* 波瀾萬丈(파란만장)*: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이 여러 가지 곡절과 시련이 많고 변*화가* 심함.
#일#시련#말#물결#쓰임#파도#기복#비유#길#진행#곡절#변화#생활#사람"
"* 內剛外柔(내강외유)*: 겉으로는 부드럽고 순하게 보이나 속은 곧고 굳셈.
#겉#단단#속마음"
"* 辭讓之心(사양지심)*: 사단(四端)의 하나. *겸손*히 남에게 사양하는 마음을 이른다. 인의예지(仁義禮智) 가운데 예에서 우러나온다.
#마음#양보#*겸손*#근본#사양#가운데"
* 北風寒雪(북풍한설)*: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차가운 눈.
"* 華胥之國(화서지국)*: 잘 다스려진 *태평*(太平)한 나라.
#*태평*#나라"
"* 海不揚波(해불양파)*: *바다*에 파도가 일지 않는다는 뜻으로, 임금의 선정(善政)으로 백성이 편안함을 이르는 말.
#백성#선정#말#임금#파도#편안#정치"
"* 自覺聖智(자각성지)*: 스승 없이 스스로 깨치어 얻은 *지혜*.
#스승#*지혜*"
"* 常寂光土(상적광토)*: 사토(四土) 가운데 하나. 천태종에서 세운 교의로, 부처가 머무는 진리의 *세계* 또는 깨달음의 *세계*를
이르는 말이다.
#빛#*세계*#마음#말#거처#진리#광명#부처#깨달음#가운데"
가죽
"* 懸車之年(현거지년)*: 관직을 그만둔 *나이*라는 뜻으로, 벼슬에서 물러나야 하는 *나이* 곧 일흔 살을 이르는 말.
#벼슬#일흔#관직#*나이*"
* 兄飢弟飽禽獸之遂(형기제포금수지수)*: 형은 굼주리는 데 아우만 배부르다면 *새*나 짐승의 할 짓임.
"* 風雲才子(풍운재자)*: 비*바람*을 무릅쓰는 인재라는 뜻으로, 어지러운 세상에 위급하고 곤란한 상황을 무릅쓰고 활약하여 공명을
세우는 전도양양(前途揚揚)한 청년을 이르는 말.
#전도양양#*바람*#비*바람*#공명#상황#활약#청년#양양#인재#위급#곤란#전도#세상"
"* 邑各不同(읍각부동)*: (1)규칙이나 *풍속*이 각 고을마다 차이가 있음. (2)사람마다 의견이 서로 다름.
#고을#차이#*풍속*#비유#규범#의견#각각#규칙#사람"
"* 糊口策(호구책)*: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책#*가난*#살림#방책"
"* 濫竽(남우)*: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皓齒丹脣(호치단순)*: 하얀 치아와 붉은 *입술*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를 이르는 말.
#*입술*#여자"
* 河魚之疾(하어지질)*: ‘복통’을 *달*리 이르는 말.
지위
"* 龍門點額(용문점액)*: 용문에서 이마에 점을 찍는다는 뜻으로, 용문 아래에서 위로 오른 물고기는 용이 되지만, 그렇지 못하면 머리를
부딪혀 상처만 입는다는 *고사*에서 과거에 낙방해 돌아오는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粟紅貫朽(속홍관후)*: 곡식이 붉게 변질되고 돈꿰미가 썩는다는 뜻으로, *태평*한 세상에 물자가 남아도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
"* 何遵約法(하준약법)*: 소하(蕭荷)는 한고조(漢高祖)와 더불어 약*법*삼장(約法三章)을 정(定)하여 준행(遵行)함.
#*법*#고조"
"* 弦上箭(현상전)*: 시위 위의 화살이라는 뜻으로, 활시위를 먹인 화살처럼 신속(迅速)함이나 한 번 가서 돌아오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三不去(삼불거)*: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 誤字落書(오자낙서)*: *글자*를 잘못 쓰거나 빠뜨리고 쓰는 일. 또는 그 *글자*.
#일#오류#잘못#*글자*#의미"
"* 已發之矢(이발지시)*: 이미 쏘아 놓은 화살이라는 뜻으로, 이왕에 시작한 일이라 중도에 그만두기 어려운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화살#어려움#중지#시작#*형편*#중도#이왕"
* 曲肱之樂(곡굉지락)*: 베개가 없어서 팔을 구부려 베고 잘 *정도*로 가난하지만 그러한 삶에 만족하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 表裏不同(표리부동)*: 겉으로 드러나는 언행과 속으로 *가지*는 생각이 다름.
* 借風使船(차풍사선)*: 바람을 빌려 배를 부린다는 뜻으로, 돈을 빌려 임시변통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 輻湊幷臻(폭주병진)*: 수레*바퀴*의 살이 *바퀴*통에 모이듯 한다는 뜻으로, 한곳으로 많이 몰려듦을 이르는 말.
#한곳#*바퀴*#수레*바퀴*#살이#통"
* 鍊石補天(연석보천)*: 돌을 다루어 무너진 *하늘*을 수리(修理)한다는 뜻으로, 큰 공격(攻擊)을 세움을 이르는 말.
* 父母妻子(부모처자)*: 어버이와 *아내*와 자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 漁夫之利(어부지리)*: 두 사람이 이해관계로 서로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익을 이르는 말. 도요새가
무명조개의 속살을 먹으려고 *부리*를 조가비 안에 넣는 순간 무명조개가 껍데기를 꼭 다물고 *부리*를 안 놔주자, 서로 다투는 틈을
타서 어부가 둘 다 잡아 이익을 얻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이익#사람#조개#엉뚱#이해관계#어부#순간#관계#도요새#지리#이해#유래#*부리*#사이"
"* 白髮紅顔(백발홍안)*: 머리털은 허옇게 세었으나 *얼굴*은 소년처럼 붉다는 뜻으로, 나이는 많은데 매우 젊어 보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년#머리#머리털#*얼굴*#나이#사람"
"* 犬馬之心(견마지심)*: 개나 말이 주인을 위하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신하나 백성이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하는 마음을 낮추어 이르는
말.
#주인#몸#백성#*충성*#마음#말#신하#임금#나라#겸손"
* 春寒老健(춘한노건)*: 봄추위와 늙은이의 건강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오래가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懸輿(현여)*: 수레를 건다는 뜻으로, 나이가 들어 *벼슬*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 三顧草廬(삼고초려)*: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 賢聖之君(현성지군)*: 어질고 현명하며 거룩한 *임금*.
#거룩#*임금*#현명"
* 山珍海錯(산진해착)*: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 栢舟之操(백주지조)*: 백주지조(柏舟之操). 공백(共伯)의 아내가 공강(共姜)이 백주(栢舟)라는 시를 지어 맹세(盟誓)하고
절개(節槪)를 지킨 *고사*에서 유래(由來)한 말로, 남편(男便)이 일찍 죽은 아내가 절개(節槪)를 지키는 것을 의미(意味)."
"* 三絶(삼절)*: (1) 위편(韋編) 삼절 (2) 세 가지의 뛰어난 사물(事物)(3) 세 가지의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 조 선
때의 시(詩), 서화(書畵)에 능(能)했던 안견(安堅), 최 경과 중종(中宗) 때의 강희안(姜希顔)을 가리키는 말.
#사물#*재주*#말#선#때#경과#사람"
* 千載一遇(천재일우)*: 천 년 *동안* 단 한 번 만난다는 뜻으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를 이르는 말.
"* 生死可判(생사가판)*: 사느냐 죽느냐를 능히 *판단*함.
#*판단*"
"* 食肉富貴(식육부귀)*: 고기만 먹으며 누리는 *부귀*.
#귀함#의미#*부귀*#부유함#부유"
"* 四時山色(사시산색)*: 계절(季節)에 따라 *변화*(變化)하는 산의 풍경(風景)을 이름.
#이름#계절#풍경#산#*변화*"
"* 色思必溫貌思必恭(색사필온모사필공)*: *얼굴*빛은 반드시 온화(溫和)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얼굴* 모습은 반드시 공손(恭遜)하게
할 것을 생각함."
"* 棟樑之材(동량지재)*: 동량지재(棟梁之材). 기둥이나 들보가 될 만한 훌륭한 *인재*(人材)라는 뜻으로, 한 집이나 한 나라의
중요(重要)한 일을 맡을 만한 사람을 의미(意味).
#일#중요#집#나라#의미#기둥#들보#*인재*#훌륭#사람"
"* 臥遊江山(와유강산)*: 누워서 *강산*을 노닌다는 뜻으로, 산수화를 보며 즐김을 이르는 말.
#산수#그림#*강산*#비유"
* 豊亨豫大(풍형예대)*: 세상(世上)이 *태평*성대(太平聖代)라 백성(百姓)이 행복(幸福)을 누림.
* 夏蟲疑氷(하충의빙)*: 여름철 벌레가 얼음을 의심한다는 뜻으로, 견문이 옅은 사람이 함부로 *사물*을 의심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因循姑息(인순고식)*: 낡은 관습이나 폐단을 *벗*어나지 못하고 당장의 편안함만을 취함.
자연
"* 白眼視(백안시)*: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봄. 중국의 ≪진서(晉書)≫ 에서 나온 말로, 진나라 때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백*안(白眼)으로 대하고, 반가운 손님은 청안(靑眼)으로 대한 데서 유래한다."
"* 蒲柳之姿(포류지자)*: 갯버들의 모습이라는 뜻으로, 갯버들 잎이 일찍 시들어 떨어지는 데서, 쇠약한 *몸*이라는 것을 스스로 표현할
때 사용하거나, 선천적으로 유약한 체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 사용됨.
#쇠약#*몸*#유약#표현#때#선천적#사용#비유#허약#잎#체질#모습#갯버들"
"* 唯我獨尊(유아독존)*: (1)우주 가운데 자기보다 더 존귀한 이는 없음.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처음으로 한 말이라고 한다.
(2)세상에서 자기 혼자 잘났다고 뽐내는 *태도*.
#존귀#우주#말#때#불#혼자#천하#*태도*#석가#석가모니#처음#가운데#불가#세상"
"* 家貧思良妻(가빈사양처)*: 집이 가난해지면 좋은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궁핍(窮乏)한 지경(地境)이 되면 훌륭한 *관리*자(管理者)가
생각난다는 의미(意味).
#집#*관리*#의미#생각#지경#집이#가난#아내#훌륭"
"* 草滿囹圄(초만영어)*: 감옥 안에 풀이 가득 자랐다는 뜻으로, 나라를 잘 다스려 죄인이 없음을 이르는 말. ≪수서≫의
순리(循吏)편에 나오는 유광(劉曠)이라는 *벼슬*아치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鯨飮馬食(경음마식)*: 고래가 물을 마시듯, 말이 *풀*을 먹듯이 많이 먹고 많이 마심.
* 曲肱之樂(곡굉지락)*: 베개가 없어서 팔을 구부려 베고 잘 *정도*로 가난하지만 그러한 삶에 만족하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 運否天賦(운부천부)*: 좋은 운명이건 나쁜 운명이건 모두 *하늘*이 내림을 이르는 말.
"* 先大夫人(선대부인)*: 돌아가신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어머니*#말"
* 花天月地(화천월지)*: *꽃* 피고 달 밝은 봄밤의 좋은 경치.
* 妬賢嫉能(투현질능)*: 어질고 *재주* 있는 사람을 시기하며 미워함.
"* 活人積德(활인적덕)*: 사람의 *목숨*을 살리어 음덕을 쌓음.
#일#음덕#*목숨*#사람"
"* 士農工商(사농공상)*: 예전에, 백성을 나누던 네 가지 계급. *선비*, 농부, 공장(工匠), 상인을 이르던 말이다.
#백성#말#사회#농부#관념#시대#신분#장인#농민#상인#계급#중세#순서#*선비*#예전#과거"
"* 家貧思賢妻國難思良相(가빈사현처국난사양상)*: 집이 가난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고, 나라가 어지러우면 어진 *재상*(宰相)을 생각함.
#*재상*#집#생각함#나라#생각#집이#가난#아내"
"* 風前之塵(풍전지진)*: 바람 앞의 먼지라는 뜻으로, 사물의 *변화*가 덧없음을 이르는 말.
#사물#티끌#바람#앞#비유#무상#*변화*"
"* 政如魯衛(정여노위)*: 두 나라의 정치가 서로 비슷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의 시조 주공(周公)과 위나라의 시조
강숙(康叔)이 형제인 데에서 온 말이다."
"* 破器相接(파기상접)*: 깨진 *그릇* 맞추기라는 뜻으로, 이미 망그러진 일을 고치고자 쓸데없이 애를 씀을 이르는 말.
#일#잘못#비유#의미#*그릇*#조각#힘#수습"
* 天傾西北邊地卑東南界(천경서북변지비동남계)*: *하늘*은 서북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땅은 동남쪽(東南-) 경계(境界)로 낮음.
바다
"* 白魚入舟(백어입주)*: 적이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강을 건널 때,
백어가 배에 뛰어들어 은나라가 항복할 조짐을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白)은 은나라를 상징하는 빛깔이었다."
"* 八包大商(팔포대상)*: (1)*조선* 후기에, 중국 청나라 연경에 가는 사신을 따라가서 홍삼을 팔도록 허가를 받은 의주 상인.
(2)생활에 걱정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신#말#상인#중국#걱정#수행#청나라#*조선*#생활#사람"
"* 舐犢之愛(지독지애)*: 어미 소가 송아지를 핥는 사랑이란 뜻으로, *자식*에 대한 어버이의 지극한 사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식*#지극#사랑#어미#겸손#어버이#사랑함"
"* 鑿飮耕食(착음경식)*: 우물을 파서 마시며 밭을 갈아먹는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하고 생활이 안락함을 이르는 말. 요나라 때에
어떤 노인이 부른 배와 땅을 두들기며 읊은 노래에서 유래한다."
* 禮俗相交(예속상교)*: 향약의 네 가지 덕목 가운데 *하나*. 서로 사귈 때에는 예의를 지켜야 함을 이른다.
"* 阿鼻地獄(아비지옥)*: 오역죄를 짓거나, 절이나 탑을 헐거나, 시주한 재물을 축내거나 한 사람이 가는 지옥. 한 겁(劫) *동안*
끊임없이 고통을 받는다는 지옥이다."
* 徹天之寃(철천지원)*: *하늘*에 사무치는 원한이라는 뜻으로, *하늘*에 사무칠 정도의 크나큰 원한.
"* 知斧斫足(지부작족)*: 믿는 도끼에 발등이 찍힌다는 뜻의 우리말 속담을 한역한 것으로, 믿는 사람에게서 배신을 당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櫛風沐雨(즐풍목우)*: 머리털을 *바람*으로 빗질하고 몸은 빗물로 목욕한다는 뜻으로, 오랜 세월을 객지에서 방랑하며 온갖 고생을 다
함을 이르는 말."
* 兎角龜毛(토각귀모)*: *토끼*의 뿔과 거북의 털이라는 뜻으로, 이 세상에 있을 수 없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我田引水(아전인수)*: 자기 논에 물 대기라는 뜻으로, 자기에게만 이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함을 이르는 말.
"* 好生之物(호생지물)*: 아무렇게나 굴려도 죽지 않고 잘 사는 식*물*.
#사*물*#죽지#식*물*"
"* 絶弦(절현)*: 절현(絶絃). (1) (현악기(絃樂器)의)줄을 끊음, 또는 그 끊어진 줄 (2) (중국(中國)에서 금(琴)의 명수
백아(伯牙)가 자기(自己) 금의 소리를 알아 준 종자기(鍾子期)가 죽은 후(後)에는 줄을 끊고 그 후(後) 다시는 타지 않았다는
옛일에서 나온 말)자기(自己)의 속마음을 알뜰하게 알아 주던 *친구*(親舊)가 죽음의 비유(比喩).
#말#*친구*#죽음#옛일#금#비유#속마음#소리#중국#백아#백"
결백
"* 渾然一體(혼연일체)*: 생각, *행동*, 의지 따위가 완전히 하나가 됨.
#몸#차이#생각#덩어리#자연#융화#차별#의지#*행동*#조금#따위#사람"
"* 春風和氣(춘풍화기)*: 봄날의 화창한 *기운*.
#화창#*기운*#봄날#봄바람"
* 輕薄才子(경박재자)*: *재주*는 있으나 경박한 사람.
* 連枝(연지)*: (1)‘연지’의 북한어. (2)한 뿌리에서 난 이어진 *가지*라는 뜻으로, 형제자매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當來道師(당래도사)*: 내세(來世)에 출현(出現)하는 *도사*(導師). 지금으로부터 56억 7천만 세(歲)를 지나 이 세계(世界)에
출현(出現), 성도(成道)하여 중생(衆生)을 화도(化導) 한다는 미륵(彌勒) 보살(菩薩).
#천만#출현#성#세계#보살#화#성도#지금#중생#*도사*"
"* 弄瓦(농와)*: (1)‘농와’의 북한어. (2)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말#한문투#딸#옛일#*실패*#중국#옛날#즐거움#흙#유래"
"* 大器小用(대기소용)*: 유능한 사람을 *능력*에 걸맞지 않은 낮은 자리에 앉히고 부림.
#일#재능#유능#두고#*능력*#비유#큰그릇#누구#인재#지위#낮#자리#그릇#사람"
"* 胡蝶之夢(호접지몽)*: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 에서 나온 말이다."
"* 芝焚蕙嘆(지분혜탄)*: 지초가 불타니 혜초가 탄식한다는 뜻으로, 동류(同類)가 입은 재앙이 자기에게도 *근심*이 되는 것처럼
안타까워함.
#혜초#초가#탄식#동류#재앙#입#지초#*근심*"
"* 腹高如山(복고여산)*: (1)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아이 밴 *여자*의 배부른 모양을 이르는 말. (2)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부자의 거만스러운 모습을 이르는 말.
#*여자*#권력#배#아이#돈#교만#비유#거만#부자#의미#모양#모습#높이#산#사람"
"* 快犢破車(쾌독파거)*: 기세 좋은 송아지가 *수레*를 깨뜨린다는 뜻으로, 기세 좋은 송아지는 흔히 끄는 *수레*를 부서뜨리는 것처럼
장래에 큰일을 하려는 젊은이는 스스로를 경계해야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말#기세#성질#소년#난폭#젊은이#비유#인물#경계#*수레*#장래#큰일#가능성#스스로"
"* 富貴榮華(부귀영화)*: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귀하게 되어서 세상에 드러나 온갖 영광을 누림.
#신분#재산#영화#의미#*부귀*#지위#자신#귀#세상"
"* 動彈不得(동탄부득)*: 곤란한 *지경*에 빠져서 꼼짝할 수가 없음.
#곤란#*지경*#꼼짝"
* 北進政策(북진정책)*: 북방으로 *나라*의 세력을 뻗쳐 나가려는 정책.
"* 餓死之境(아사지경)*: 굶어 죽게 된 *지경*.
#*지경*"
"* 背任受賂(배임수뢰)*: 본분의 임무(任務)를 어기고 부정(不正)한 청탁(請託)을 받으며 뇌물(賂物)을 받아 *재산*(財産)
상(上)의 이익(利益)을 취득(取得)하는 죄(罪).
#부정#이익#죄#*재산*#임무#본분#뇌물"
"* 子欲養而親不待(자욕양이친부대)*: *자식*(子息)이 부모(父母)에게 봉양(奉養)하고자 하나 부모(父母)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뜻으로, 효도(孝道)를 다하지 못한 채 부모(父母)를 잃은 *자식*(子息)의 슬픔을 가리키는 말로 부모(父母)가 살아계실 때
효도(孝道)를 다하라는 뜻."
"* 天下有三危(천하유삼위)*: 세상(世上)에 세 가지 위험(危險)한 일이 있다는 뜻으로, 덕이 적은 사람이 총애(寵愛)를 받고, *재능*(才能)이
없는 사람이 높은 지위(地位)에 있으며, 큰공이 없는 사람이 녹을 많이 받는 일.
#일#*재능*#사람#큰공#총애#위험#지위#세상"
* 父母衣服勿踰勿踐(부모의복물유물천)*: 부모(父母)님의 의*복*(衣服)은 넘어다니지 말고 밟지 않음.
"* 豐年化子(풍년화자)*: 풍년거지라는 뜻으로, ‘化子’는 중국 백화로 ‘거지’의 뜻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모두 *이익*을 볼 때
혼자 빠져 *이익*을 못 봄을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 上漏下濕(상루하습)*: 위에서는 비가 새고 아래에서는 습기가 오른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한 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天上天下唯我獨尊(천상천하유아독존)*: 우주 가운데 *자기*보다 더 존귀한 이는 없음.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처음으로 한 말이라고
한다."
* 出天之孝(출천지효)*: 하늘이 낸 *효*자라는 뜻으로, 지극한 *효*자나 *효*성을 이르는 말.
* 雲煙過眼(운연과안)*: 구름이나 연기가 문득 눈을 지나 사라진다는 뜻으로, *사물*이 순식간에 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苫塊(점괴)*: 거적*자리*와 흙덩이 베개라는 뜻으로, 어버이의 상중에 있는 사람이 앉는 *자리*를 이르는 말.
"* 靑春(청춘)*: (1)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이라는 뜻으로,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을 이르는 말. (2)1914년 10월에 최남선이 창간한 우리나라 최초의 월간 종합지. 청년을 상대로 한 계몽지로서 ≪소년≫지가
폐간된 후 그 후신으로 발간한 것으로, 신문학 운동이 일어나던 무렵에 문학 작품의 발표 및 문예 작품 현상 모집에 의한 창작 의욕의
진작, 해외 문학 번역 소개 등 문학 발전에 큰 구실을 하였다. 1918년 8월까지 통권 15호를 냈다. (3)독일의 극작가
할베(Halbe, M.)가 지은 희곡. 주인공 안헨은 대학생인 한스와 사랑을 나누나, 안헨의 이복 오빠가 질투심에서 한스를 죽이려다
잘못해서 동생 안헨을 죽이게 된다는 내용이다. 청춘의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그 당시 연애 희곡의 대표작이다. 1893년에
초연되었다. 3막. (4)1936년에 극작가 남궁만(南宮滿)이 쓴 희곡. 평양 변두리의 빈민굴에서 살아가는 실직 노동자 가족의 비극을
다룬 작품이다.
#내용#의욕#창작#당시#후반#주인공#현상#진작#8월#시절#문학#나이#초연#인생#봄철#사랑#운동#안헨#작품#발전#10월#무렵#가족#소년#
상대#발표#우리#동생#우리나라#주제#구실#비극#잘못#나라#청년#만물#청춘#독일"
"* 忘我之境(망아지경)*: 어떤 사물에 *마음*을 빼앗겨 자기 자신을 잊어버리는 경지.
#사물#*마음*#생각#열중#자신"
"* 末流之弊(말류지폐)*: 내려오던 끝판이나, 잘해 나가던 일의 *마지막*에 생기는 폐단.
#폐단#일#*마지막*"
"* 詞海(사해)*: 문장이나 시가(詩歌)의 풍부함을 바다의 *깊이*와 넓이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말#풍부#사조#문장#비유#시가#*깊이*"
"* 累卵之危(누란지위)*: 층층이 쌓아 놓은 알의 위태로움이라는 뜻으로, 몹시 아슬아슬한 위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 에
나오는 말이다.
#말#범#위태#층층#형세"
* 十顚九倒(십전구도)*: 열 번 구르고 아홉 번 거꾸러진다는 뜻으로, 수없이 실패를 거듭하거나 매우 심하게 *고생*함을 이르는 말.
* 江風明月(강풍명월)*: 강가의 바람과 하늘의 밝은 *달*의 뜻으로, 자연(自然)의 풍광(風光)을 의미.
"* 蚌鷸之勢(방휼지세)*: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 먹으려고 부리를 넣는 순간 조개가 껍데기를 닫고 놓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대립하는 두
*세력*이 잔뜩 버티고 맞서 겨루면서 조금도 양보하지 아니하는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조개#이익#형세#대립#결국#순간#금#도요새#양보#*세력*#조금#부리"
"* 鯨呑(경탄)*: 고래가 작은 *물고기*를 삼킨다는 뜻으로,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제 손아귀에 넣고 자기 마음대로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愛人如己(애인여기)*: 남을 자기 몸처럼 *사랑*함.
#*사랑*함#몸#*사랑*"
"* 三省(삼성)*: (1)매일 세 번 자신을 반성함. (2)의정부, 사헌부, 의금부의 관원들이 합좌하여 패륜을 범한 죄인을 국문하던
일. (3)만주 지린성 북부에 있는 개시장(開市場). 무단강과 쑹화강이 만나는 곳에 있으며 잡곡, 목재, 소가죽 따위의 집산지이다.
⇒규범 표기는 ‘싼성’이다. (4)고려 시대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5)중국
*당나라*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6)발해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대성, 선조성, 정당성을 이른다.
#기관#*당나라*#시대#최고#때#관원#여부#하루#일#강#소가죽#고려#시장#패륜#가죽#성#선#규범#기능#자신#정당#선악#따위#죄인#반성#
중국#선조"
"* 愛別離苦(애별리고)*: 팔고(八苦)의 하나.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괴로움을 이른다.
#말#*사랑*#불교#괴로움#사람"
"* 忽如鳥過目(홀여조과목)*: 홀연히 새가 눈앞을 지나가는 것 같다는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새#눈앞#*인생*#비유"
"* 後來三杯(후래삼배)*: 술*자리*에 뒤늦게 온 사람에게 권하는 석 잔의 술.
#의미#*자리*#술*자리*#술#사람"
카테고리 없음
2024년 6월 17일 (5)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