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 전체글 2 티스토리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구글 트렌드
카테고리 없음

2024년 6월 17일 (6) ⭕️

by 사계절1 2024. 6. 17.




728x90
반응형

"* 南橘北枳(남귤북지)*: 강*남*의 귤을 강북에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은 사는 곳의 환경에 따라 착하게도 되고 악하게도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敬天愛人(경천애인)*: 하늘을 숭배하고 인간을 *사랑*함.
생사
* 月白風淸(월백풍청)*: 달은 빛나고 *바람*은 맑다는 뜻으로, 달 밝은 가을밤을 이르는 말.
* 父傳子傳(부전자전)*: 아들의 성격이나 *생활* 습관 따위가 아버지로부터 대물림된 것처럼 같거나 비슷함.
"* 無量世界(무량세계)*: 한없이 크고 넓은 *세계*.
#*세계*#광대"
"* 如眞如夢(여진여몽)*: *꿈*인지 생시인지 모를 지경임.
#*꿈*#지경"
"* 絶海孤島(절해고도)*: *바다* 건너 외로운 섬이라는 뜻으로, 육지에서 아주 멀리 떨러져 있는 외딴 섬의 의미.
#의미#육지"
"* 事親以孝(사친이효)*: 세속 오계의 하나. 어버이를 섬기기를 *효*도로써 함을 이른다.
#*효*성#화#*효*도#어버이#부모#통일#세속#세속오계"
* 韓信匍匐(한신포복)*: 한신이 엎드려 기다의 뜻으로, 큰 뜻을 가진 자는 눈앞의 부끄러움을 참고 이겨냄을 이르는 말.
"* 八年風塵(팔년풍진)*: 오랜 세월 동안 *고생*함을 이르는 말. 중국에서, 유방이 8년을 *고생*한 끝에 항우를 멸한 데서 유래한다.
#항우#바람#*고생*#끝#8년#세월#중국#유방#동안#유래#해"
"* 萬物博士(만물박사)*: 여러 방면에 모르는 것이 없는 매우 박식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방면#사람"
"* 邯鄲之夢(한단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일생#허무#여옹#침#인생#영고성쇠#메조#노생#꿈속#유래#인간#일장춘몽#*부귀*영화#베개#동안#80년#말#꿈#한단#밥#영화#*부귀*#잠"
"* 妻城子獄(처성자옥)*: 아내는 성(城)이고 *자식*은 감옥이라는 뜻으로, 처자가 있는 사람은 거기에 얽매여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禮義廉恥(예의염치)*: 예절, *의리*, 청렴,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
#부끄러움#일#예의범절#예의#일정#출전#염치#*의리*#구분#정사#의미#치욕#태도#명백#선악#예절#청렴"
"* 君子三樂(군자삼락)*: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 讀書尙友(독서상우)*: 책을 읽음으로써 옛날의 현인들과 벗이 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책#벗#현인#옛날"
"* 出處語默(출처어묵)*: 나아가 *벼슬*하는 일과 물러나 집에 있는 일 또는 의견을 발표하는 일과 침묵을 지키는 일이라는 뜻으로,
사람이 처세하는 데 근본이 되는 일을 이르는 말."
"* 蛾子時術(아자시술)*: 나방의 새끼는 작은 벌레이지만 때로는 그 어미가 하는 일을 배워 *흙*을 물어다 작은 개미둑을 이루고
나중에는 큰 개미둑을 이룬다는 뜻으로, 학자(學者)가 쉼 없이 학문(學問)을 닦아 큰 도(道)를 성취(成就)함을 이르는 말.
#일#학자#방#새끼#학문#나중#때#성취#나방#벌레#어미#개미#*흙*"
"* 隻愛獨樂(척애독락)*: 혼자서만 사랑하고 혼자서만 즐긴다는 뜻으로, 상대편에서는 아무런 반응도 없는데 이*쪽*에서만 혼자 마음 씀을
이르는 말."
"* 聰明不如鈍筆(총명불여둔필)*: 총명(聰明)은 둔필만 못하다는 뜻으로, 아무리 *기억*력(記憶力)이 좋다 해도 그때그때 적어 두어야
한다는 말.
#말#총명"
* 利害打算(이해타산)*: *이해*관계를 이모저모 모두 따져 봄. 또는 그런 일.
"* 與虎謀皮(여호모피)*: 호랑이와 더불어 호랑이 *가죽*을 벗길 것을 꾀한다는 뜻으로, 이해관계가 서로 맞지 않는 사람과 의논하면
원하는 바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의논#근본적#이해관계#꾀#호랑이#근본#*가죽*#사람"
"* 老而不死(노이불사)*: 늙었으나 죽지 못한다는 뜻으로, 늙은 *나이*에 꼴사납고 어지러운 일들이 생겨도 마지못해 살아감을 한탄하여
이르는 말."
"* 俯仰無傀(부앙무괴)*: *하늘*을 우러러보나 땅을 굽어보나 양심(良心)에 부끄러움이 없음을 이르는 말.
#부끄러움#땅#양심#*하늘*"
* 賜牌基地(사패기지)*: *임금*이 내려 준 터.
"* 他山之石(타산지석)*: 다른 산의 나쁜 돌이라도 자신의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본이 되지 않은 남의 말이나
행동도 자신의 *지식*과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 에 나오는 말이다.
#도움#말#지덕#모범#비유#의미#인격#언행#*지식*#소용#수양#자신#돌이#행동#산#숫돌#사람"
* 婦老爲姑(부로위고)*: 며느리가 늙으면 시*어머니*가 된다는 뜻으로, 나이가 어리다고 업신여기지 말라는 말.
"* 虎前乞肉(호전걸육)*: 호랑이 앞에서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범에게 고기 달래기’로 표현하는 어림도 없는 일을 계획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 渺滄海之一粟(묘창해지일속)*: 넓고 푸른 망망한 바다에 한 알의 좁쌀이라는 뜻으로, 매우 큰 것 속에 *하나*의 아주 작고
보잘것없는 것이 끼여 있다는 뜻. 또는 이 넓은 세상(世上)에 사는 *하나*의 작은 인간(人間)이라는 뜻을 비유(比喩)함."
* 天生緣分(천생연분)*: *하늘*이 정하여 준 연분.
"* 萬古不滅(만고불멸)*: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없어지지 아니함.
#*동안*#세월"
* 自賤拜他(자천배타)*: 자기 것은 *천하*게 여기고 남의 것만 받듦.
"* 兩虎相鬪(양호상투)*: 두 마리의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힘이 센 두 편이 맞붙어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다툼*#범#영웅#호랑이#나라#비유#마리#힘#싸움#사람"
"* 結草報恩(결초보은)*: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아버지*의 첩을 개가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그 서모 *아버지*의 혼이 적군의 앞길에
풀을 묶어 적을 넘어뜨려 위과가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乃心王室(내심왕실)*: 마음을 *왕*실에 둔다는 뜻으로, 나라에 충성함을 이르는 말.
"* 父父子子(부부자자)*: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자식*은 *자식*답다는 뜻으로, 자신의 직분을 충실하게 행할 때, 모든 사회 구성원의
바른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는 공자(孔子)의 정명론(正名論) 내용."
"* 切磋琢磨(절차탁마)*: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시경≫의
과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빛#말#*덕행*#학문#친구#격려#과정#돌#학이#비유#사용#인격#학#따위#사람"
"* 木婚式(목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나무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선물#나무#풍속#의식#부부#기념"
"* 囊頭(낭두)*: 주머니나 *자루*를 머리에 뒤집어 쓴다는 뜻으로, 입을 다물고 머리가 땅에 닿도록 절을 함을 이르는 말.
#땅#돈#머리#입#*자루*#주머니"
* 病風傷暑(병풍상서)*: *바람*에 병들고 더위에 상하였다는 뜻으로, 고생스러운 세상살이에 시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無道之人(무도지인)*: 도가 없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도리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의미함.
"* 度德量力(탁덕양력)*: 자기 자신의 덕행과 *능력*을 헤아리고 살핌.
#*능력*#역량#의미#자신#힘#덕행"
"* 攬髮而拯(남발이증)*: 물에 빠진 사람은 머리털을 잡아당겨 건진다는 뜻으로, 위급(危急)한 때에는 사소(些少)한 예의(禮儀)를
차리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多情多恨(다정다한)*: (1)애틋한 *정도* 많고 한스러운 일도 많음. (2)일본의 소설가 오자키 고요의 장편 소설. 1896년
2월부터 12월까지 ≪요미우리 신문≫에 연재되었고, 1897년 7월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한 애환을 담은
것으로, 오자키 고요의 사실주의 문학 가운데 최고로 꼽히는 작품이다."
"* 花鳥風月(화조풍월)*: (1)꽃과 새와 *바람*과 달이라는 뜻으로, 천지간의 아름다운 경치를 이르는 말. (2)멋스럽고 풍치가 있는
일. 또는 그렇게 노는 일."
* 戮力同心(육력동심)*: *힘*을 합하고 마음을 같이한다는 뜻으로, 마음을 합쳐서 *힘*을 하나로 한다는 것.
"* 汝南月旦(여남월단)*: 여남*지방*의 매월 첫날 평이라는 뜻으로, 여남*지방*의 허소(許昭)와 그 종형 허정(許靖)이라는 사람이
매월 첫날에 향리의 인물들을 평가했는데, 아주 정확하여 후에 조조의 평까지 남길 정도로 유명해졌다는 고사에서 유래..
#유래#평가#*지방*#인물#첫날#향리#유명#정확#고사#정도#사람"
"* 泡沫夢幻(포말몽환)*: 물 위에 뜨는 거품과 꿈이라는 뜻으로, 삶의 덧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꿈#물#삶#비유"
"* 敗柳殘花(패류잔화)*: 잎이 다 떨어진 버드나무와 시든 *꽃*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움을 잃은 미인이나 권세를 잃은 실력자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용모#미인#권세#비유#*꽃*#잎#버드나무#쇠#모습#안색#아름다움"
"* 狗尾續貂(구미속초)*: (1)담비 *꼬리*가 모자라 개의 *꼬리*로 잇는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부로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훌륭한 것 뒤에 보잘것없는 것이 뒤따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부족#개의#비유#의미#모자라#*꼬리*#벼슬#모자#본래#고사#훌륭"
"* 不知不識間(부지불식간)*: *생각*하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는 사이.
#일#파악#현상#상황#*생각*#사이"
"* 登科外方(등과외방)*: 과거에 급제하여 *지방*관에 임명되던 일.
#과거#일#급제#임명"
* 事理明白(사리명백)*: 사물(事物)의 이치(理致)나 일의 *도리*(道理)가 명백(明白)함.
* 背向(배향)*: 등지는 것과 좇는 것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되어 가는 추세나 어떤 일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를 이르는 말.
"* 不誠無物(불성무물)*: (불성무물) 정성이 없으면 *사물*도 없다는 뜻으로, 정성은 모든 *사물*의 근본이므로, 정성이 없는 곳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
#*사물*#정성#물#의미#근본"
* 盤石之固(반석지고)*: 큰 바위 같은 견고함이라는 뜻으로, 일이 매우 견고할 *정도*로 편안함을 비유한 말.
"* 山上說敎(산상설교)*: 신약 성경 가운데 5~7장에 실려 있는 예수의 가르침. 신앙생활의 *근본* 원리가 간명하게 정리ㆍ기술되어
있다."
"* 名從主人(명종주인)*: *사물*(事物)의 이름은 원래 주인이 붙인 이름을 따른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의 명칭은 현지의
호칭법(號稱法)을 따라야 함을 이르는 말."
"* 寶學之人(보학지인)*: 학문을 *보배*로 여기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보배*롭게 여기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상아탑에 들어박혀
있는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보배*#학문#사용#의미#사람"
"* 風雲月露(풍운월로)*: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심에 조금도 유익하지 않은 화조월석만을 읊은, 실속이 없고 겉만 화려한 시문.
#실속#도움#화#세도#유익#풍월#필요#자연#*세상*#풍#겉#조금#시문#인심"
"* 釜底抽薪(부저추신)*: 솥 밑의 장작을 뺀다는 뜻으로, 타는 장작을 빼내 솥이 끓어오르는 것을 막는 것처럼 어떤 일을 근본적으로
해결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 百無一失(백무일실)*: 무슨 일이든지 실패하는 것이 *하나*도 없음.
"* 東山高臥(동산고와)*: 속세의 번잡함을 피하여 산중에 은거함을 이르는 말. 진(晉)나라의 사안(謝安)이 속진(俗塵)을 피하여
저장성(浙江省)의 둥산산에 은거하였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 割剝之政(할박지정)*: 예전에, *벼슬*아치가 백성의 재물을 강제로 빼앗던 일.
#백성#일#고을#강제#재물#정사#*벼슬*아치#예전"
"* 雲蒸龍變(운증용변)*: 물이 증발하여 구름이 되고 뱀이 변하여 용이 되어 *하늘*로 오른다는 뜻으로, 영웅호걸이 기회를 얻어
일어남을 이르는 말."
"* 海棠睡未足(해당수미족)*: 해당화가 아직 잠이 부족하다는 뜻으로, 갓 깨어난 *미인*이 아직 잠에 취한 듯 하늘하늘 가냘프게 보이는
모양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형용#*미인*#부족#해당화#모양#잠"
"* 咳唾成珠(해타성주)*: 기침과 침이 다 구슬이 된다는 뜻으로, 권세가(權勢家)를 형용하거나 일언일구(一言一句)가 다 귀중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혹은 시문(詩文)의 *재주*가 뛰어남을 형용하기도 함. 〔= 月章星句(월장성구)〕."
"* 風行霜烈(풍행상렬)*: *바람*처럼 빠르고 서리처럼 매섭고 엄혹(嚴酷)하다는 뜻으로, 기세가 맹렬함을 이르는 말.
#서리#맹렬#기세#*바람*"
"* 防敵之策(방적지책)*: 적을 막을 수 있는 *계책*이나 방책.
#방책#*계책*"
* 萬不近理(만불근리)*: 전혀 *이치*에 맞지 아니함.
* 木石(목석)*: (1)*나무*와 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好學近乎知(호학근호지)*: 배움을 좋아하면 앎에 가깝다는 뜻으로, *학*문은 격물치지(格物致知)하는 길이므로, *학*문 좋아하는 것
자체가 벌써 ‘知’에 가까움을 이르는 말."
* 恬而不知怪(염이부지괴)*: 마음이 태평하여 평*범*히 보아 넘기거나 조금도 이상하게 여기지 아니함.
* 送舊迎新(송구영신)*: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 懸弧之辰(현호지신)*: 활을 매달아 놓은 날이라는 뜻으로, 남자가 태어나면 활을 문에 걸어 드는 데서 *유래*해 남자의 탄생일을
이르는 말."
"* 四十而不惑(사십이불혹)*: 나이 사십이 되어서 미혹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상*의 도리를 분명하게 알게 되어 어떠한 일에도
의혹되는 일이 없었다는 공자의 말로, '不惑'은 나이 40세로 사용됨. [ 不惑之年(불혹지년) ]."
* 月白風淸(월백풍청)*: 달은 빛나고 *바람*은 맑다는 뜻으로, 달 밝은 가을밤을 이르는 말.
"* 狐鼠之盜(호서지도)*: 여우와 쥐 같은 도둑이라는 뜻으로, 여우와 쥐를 소인(小人)이나 좀도둑에 비유들어 그러한 소인배와 같은
간사하고 못된 무리나 좀도둑을 이르는 말로 *사용*함."
"* 桑田碧海(상전벽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뽕나무#밭#뽕나무밭#의미#세상일#정도#변천#세상"
* 同氣連枝(동기연지)*: 형제(兄弟)는 부모(父母)의 기운(氣運)을 같이 받았으니 나무의 *가지*와 같음.
"* 風雲魚水(풍운어수)*: 바람ㆍ*구름*ㆍ고기ㆍ물이라는 뜻으로, 임금과 신하의 친밀한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바람#신하#임금#물#비유#*구름*#친밀#밀접#사이"
"* 無心(무심)*: (1)다른 종류의 털로 속을 박지 않은 붓. (2)*감정*이나 생각하는 마음이 없음. (3)속세에 전혀 관심이 없는
경지.
#마음#붓#속세#준말#종류#생각#털#관심#*감정*#경계#간섭#물욕"
* 階卑職高(계비직고)*: 품계는 낮고 *벼슬*은 높음.
"* 朋友有信(붕우유신)*: 오륜(五倫)의 하나.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인간#친구#*벗*#믿음#사이"
"* 獨掌難鳴(독장난명)*: (1)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2)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일어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大驚小怪(대경소괴)*: 몹시 놀라서 좀 괴이쩍게 *생각*함.
"* 脫兎之勢(탈토지세)*: 달아나는 토끼의 *형세*라는 뜻으로, 매우 빠른 기세를 이르는 말.
#토끼#기세#*형세*"
* 上天下地(상천하지)*: 위에 있는 *하늘*과 아래에 있는 땅이라는 뜻으로, 온 천지(天地)를 이르는 말.
* 熊虎之士(웅호지사)*: 곰과 호랑이 같은 선비라는 뜻으로, 용맹한 무사나 장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名門巨族(명문거족)*: 이름나고 크게 번창한 *집안*.
#이름#권세#겨레#의미#족속#*집안*#번창"
"* 三革五刃(삼혁오인)*: 갑옷, 투구, 방패의 세 가지 가죽 *무장*(武裝)과 칼, 큰 칼, 세모창, 가지 달린 창, 화살의 다섯
가지 쇠붙이 무기.
#화살#칼#창#방패#갑옷#*무장*#쇠붙이#가죽"
* 棗東栗西(조동율서)*: 제사상을 차릴 때에 대추는 동쪽에, *밤*은 서쪽에 놓는다는 말.

* 權門勢家(권문세가)*: 벼슬이 높고 권세가 있는 *집안*.
"* 女子善懷(여자선회)*: 여자(女子)는 무슨 *생각*에 잠기기를 잘함.
#잠#여자#*생각*"
"* 淸心寡慾(청심과욕)*: (1)마음을 깨끗이 하여 *욕심*을 적게 가짐. (2)마음이 깨끗하여 *욕심*이 적음.
#의미#마음#깨끗#*욕심*"
* 助長(조장)*: *바람*직하지 않은 일을 더 심해지도록 부추김.
* 前軌(전궤)*: 앞에 지나간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이전 사람의 그릇된 일이나 *행동*의 자취를 이르는 말.
"* 廓然大公(확연대공)*: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사물#*마음*#성인#학문#거리낌#의미#사심#군자#공평#태도"
"* 空念佛(공염불)*: (1)신심(信心)이 없이 입으로만 외는 헛된 염불. (2)실천이나 내용이 따르지 않는 *주장*이나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내용#말#실제#선전#염불#비유#입#*주장*#신심#효과#실천"
"* 天下萬國(천하만국)*: *세상*에 있는 모든 나라.
#나라#*세상*"
"* 泰山鴻毛(태산홍모)*: 태산과 기러기 터럭이라는 뜻으로, *물건*의 무거움을 비유하는 ‘泰山’과 *물건*의 가벼움을 비유하는
‘鴻毛’를 이르는 말.
#터럭#비유#*물건*#가벼움#태산"
* 面目可憎(면목가증)*: *얼굴* 생김생김이 남에게 미움을 살 만한 데가 있음.
"* 切磋琢磨(절차탁마)*: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시경≫의
과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 夫婦之道二姓之合(부부지도이성지합)*: *부부*(夫婦)의 도(道)는 두 성씨가 결합(結合)하는 것임.
#성씨#결합#*부부*"
"* 松菊主人(송국주인)*: 소나무와 국화의 *주인*이라는 뜻으로, 자연 속에 은둔(隱遁)하고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
#*주인*#국화#자연#소나무#사람"
"* 方寸(방촌)*: (1)한 치 *사방*의 넓이. (2)사람의 마음은 가슴속의 한 치 *사방*의 넓이에 깃들어 있다는 뜻으로,
‘마음’을 달리 이르는 말."
"* 慘草除根(참초제근)*: 풀을 베고 *뿌리*를 제거한다는 뜻으로, 걱정이나 화근(禍根)이 될 일은 *뿌리* 채 뽑아 없애야 한다는 말.
#일#화근#제거#걱정#*뿌리*"
"* 借公濟私(차공제사)*: 공적인 명의를 빌려서 사사로운 일을 처리한다는 뜻으로, 직권을 남용하거나 공사(公事)를 빙자하여 개인의
*이익*이나 편의를 도모함을 이르는 말.
#남용#일#公事#*이익*#직권#개인#도모#구제#편의#명의#빙자#처리#공적"
"* 弟雖有過須勿聲責(제수유과수물성책)*: 아우에게 비록 *허물*이 있더라도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않음.
#큰소리#*허물*#아우"
"* 天之小人(천지소인)*: 하늘에서 보면 사람은 모두 *소인*임을 이르는 말.
#*소인*#하늘#사람"
"* 筆翰如流(필한여류)*: 글을 쓰는 것이 마치 물 흐르듯 한다는 뜻으로, 문장을 거침없이 써 내려가는 *모양*이나 운필(運筆)이 물
흐르듯이 빠름을 이르는 말."
"* 詠雪之才(영설지재)*: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국 진나라 사(謝) 씨의 딸이 시를 짓는데 눈을 보고 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재주*#여자#말#글*재주*#바람#눈#딸#버들#씨#비유#중국#진나라#유래"
"* 府夫人(부부인)*: 조선 *시대*에, 왕비의 친정어머니나 대군(大君)의 아내에게 주던 작호(爵號). 국대부인을 고친 것으로 품계는
정일품이다."
* 出藍之譽(출람지예)*: 청출어람의 명예라는 뜻으로,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낫다는 평판을 얻는 명예를 이르는 말.
"* 絜矩之道(혈구지도)*: 자기를 척도로 삼아 남을 생각하고 살펴서 바른길로 향하게 하는 *도덕*상의 길.
#바른길#집#때#비유#생각#조절#곱자#길#*도덕*#척도#원리#자신#정확#행동#사람"
* 大驚失色(대경실색)*: 몹시 놀라 *얼굴*빛이 하얗게 질림.
"* 情弟(정제)*: 주로 편지글에서, 정다운 아우라는 뜻으로 다정한 벗 사이에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말#사이#아우#벗#아우라#다정"
* 百方千計(백방천계)*: 여러 가지 방*법*과 온갖 계교.
"* 精敏强幹(정민강간)*: 사리(事理)에 밝고, 판단(判斷)에 민첩(敏捷)하며, 역량(力量)과 *재능*(才能)이 뛰어남.
#*재능*#사리#역량#판단#민첩"
* 嫡弟(적제)*: 서자가 자기 아버지의 정실에게서 난 아우를 이르는 *말*.
"* 莫知東西(막지동서)*: *동서*(東西)를 분간(分揀)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리(事理)를 모르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분간#*동서*#사리"
* 家貧思賢妻國難思良相(가빈사현처국난사양상)*: 집이 *가난*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고, 나라가 어지러우면 어진 재상(宰相)을 생각함.
"* 言過其實(언과기실)*: 말이 *사실*보다 과장되고 실행이 부족함.
#부족함#말#실제#과장#부족#상황#소문#*사실*#실행#실상"
"* 朝三暮四(조삼모사)*: (1)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저공(狙公)의 *고사*로,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들이 적다고 화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2)‘생계’의 북한어.
#원숭이#간사#아침#모름#말#꾀#화#눈앞#비유#먹이#저녁#중국#*고사*#당장#차별#생계#유래#송나라#결과"
* 三從叔(삼종숙)*: 아버지의 팔촌 *형제*.
"* 怒甲移乙(노갑이을)*: 갑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을에게 옮긴다는 뜻으로, 어떠한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애꿎은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을
이르는 말."
"* 萬古絶色(만고절색)*: 오래도록 빼어난 여색이라는 뜻으로, 이 세상에는 따라갈 여지가 없을 만큼 아주 뛰어난 여인의 의미.
#미인#여인#여색#의미#고금#세상"
"* 慈母(자모)*: (1)*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팔모(八母)의 하나. 어머니를 여읜 뒤
자신을 길러 준 아버지의 첩을 이르는 말이다."
"* 人傑地靈(인걸지령)*: 뛰어난 인재는 *땅*의 신령스러움에서 난다는 뜻으로, 위대한 인물이 난 곳에 이름이 나는 것처럼 사람의
운명은 그가 태어나 자란 산천의 기운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견해임. [= 地靈人傑 ].
#이름#*땅*#견해#신령#인물#운명#결정#기운#산천#인재#사람"
"* 邯鄲之夢(한단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일생#허무#여옹#침#인생#영고성쇠#메조#*노생*#꿈속#유래#인간#일장춘몽#부귀영화#베개#동안#80년#말#꿈#한단#밥#영화#부귀#잠"
"* 秋月寒江(추월한강)*: *가을* 달과 차가운 강이라는 뜻으로, 유덕(遺德)한 사람은 그 마음이 맑기가 *가을* 달과 찬 강물 같다는
의미.
#달#강#마음#강물#의미#*가을*#사람"
* 名母(명모)*: 자식이 어머니의 이름을 직접 부른다는 뜻으로, 배운 것을 잘못 이용하여 경솔하게 *행동*함을 이르는 말.
"* 白魚入舟(백어입주)*: 적이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강을 건널 때,
백어가 배에 뛰어들어 은*나라*가 항복할 조짐을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白)은 은*나라*를 상징하는 빛깔이었다."
"* 服不再降(복불재강)*: 양자 나간 사람이나 출가한 *여자*가 본생가나 친정의 부재모상(父在母喪)에 상복(喪服)을 한 등급 떨어뜨리지
않는 일."
"* 是父是子(시부시자)*: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뜻으로, 그 아비를 닮은 그 자식이라는 *의미*에서 부자(父子)가 모두 훌륭함을
이르는 말.
#자식#아들#부자#아비#*의미*#훌륭"
* 慘慽之變(참척지변)*: 자손(子孫)이 *부모*나 조*부모*(祖父母)보다 일찍 죽는 변고(變故).
* 報復之理(보복지리)*: 대갚음이 되는 *자연*의 이치.
"* 使臣以禮事君以忠(사신이례사군이충)*: *신하*(臣下)를 예로써 부려야 하고 임금을 충성(忠誠)으로써 섬겨야 함.
#충성#임금#*신하*"
* 勞而不怨(노이불원)*: 효자(孝子)는 부모(父母)를 위(爲)해 어떤 고생(苦生)을 하더라도 결코 부모(父母)를 원망(怨望)하지 않음.
"* 歷歷可知(역력가지)*: 분명하게 알 수 있음.
#분명"
"* 行禪祝願(행선축원)*: *아침*저녁의 예불 때, 부처에게 나라와 백성이 평안하기를 기원하고 구도와 중생 교화를 위하여 끝없이 정진할
것을 다짐하는 일."
* 知名之士(지명지사)*: 이름이 *세상*에 널리 알려진 사람.
"* 七去之惡(칠거지악)*: (1)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2)독일 출생의 미국 작곡가 바일의 작품.
샹젤리제의 파리 극장에서 1933년 6월 7일에 초연되었다."
"* 畫龍點睛(화룡점정)*: (1)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을 그리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었더니 그 용이 실제 용이 되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글을
짓거나 일을 하는 데서 가장 요긴한 어느 한 대목을 잘함으로써 전체가 생동하게 살아나거나 활기 있게 됨을 이르는 말."
* 賊出關門(적출관문)*: 도둑이 나간 뒤에 문을 닫는다는 뜻으로,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의미*.
"* 傾家破産(경가파산)*: *재산*을 모두 털어 없애어 집안이 형편없이 기울어짐.
#형편#어짐#*재산*#집안"
"* 粉骨碎身(분골쇄신)*: (1)뼈를 가루로 만들고 *몸*을 부순다는 뜻으로, 정성으로 노력함을 이르는 말. 또는 그렇게 하여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짐. (2)참혹하게 죽음.
#참혹#*몸*#가루#정성#노력#희생#죽음#비유#뼈#수고#각오#힘#전력"
"* 薄氷如履(박빙여리)*: 엷은 *얼음*을 밟듯이 세상(世上)의 처세(處世)에 조심함.
#*얼음*#조심#처세#세상"
* 連枝(연지)*: (1)‘연지’의 북한어. (2)한 뿌리에서 난 이어진 가지라는 뜻으로, *형제*자매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百花草葉(백화초엽)*: 온갖 꽃과 *풀*잎.
#*풀*잎#꽃"
"* 城狐社鼠(성호사서)*: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 通家之誼(통가지의)*: 절친한 *친구* 사이에 친척처럼 내외를 트고 지내는 정의.
#내외#정의#*친구*#친척#서로#집안#통#일가#사이"
"* 無形學(무형학)*: 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사물#영역#존재#제목#말#아리스토텔레스#사유#*학문*#명칭#철학#근본#원리#과학#초월#형체#유래#형#본질"
"* 拈華微笑(염화미소)*: 말로 통하지 아니하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 석가모니가 영산회(靈山會)에서 연꽃 한 송이를 대중에게
보이자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깨닫고 미소 지으므로 그에게 *불교*의 진리를 주었다고 하는 데서 유래한다.
#*불교*#웃음#일#용어#불#석가#유래#불가#연꽃#문자#전함#석가모니#마음#말#송이#대중#가섭#진리#꽃#제자#고사"
"* 自今以往(자금이왕)*: 지금으로부터 뒤.
#이후#지금"
"* 聰明不如鈍筆(총명불여둔필)*: 총명(聰明)은 둔필만 못하다는 뜻으로, 아무리 기억력(記憶力)이 좋다 해도 그때그때 적어 두어야
한다는 말.
#말#총명"
* 來者勿禁(내자물금)*: 오는 사람을 막지 말라는 말.
* 助長(조장)*: *바람*직하지 않은 일을 더 심해지도록 부추김.
"* 詞海(사해)*: 문장이나 시가(詩歌)의 풍부함을 바다의 *깊이*와 넓이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말#풍부#사조#문장#비유#시가#*깊이*"
* 杜口呑聲(두구탄성)*: 입을 닫고 소리를 삼킨다는 뜻으로, 입 다*물*고 말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
"* 風檣陣馬(풍장진마)*: 돛이 *바람*을 타고 말이 진지(陣地)에 선다는 뜻으로, 돛에 순풍을 받아 배가 달리며, 준마(駿馬)가
진두(陳頭)에 서는 것처럼 문장이 웅건하거나 필체가 강하고 굳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指東指西(지동지서)*: 동*쪽*을 가리키기도 하고 서*쪽*을 가리키기도 한다는 뜻으로, 근본은 제쳐 놓고 딴것을 가지고
이러쿵저러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엉뚱#동*쪽*#의미#서*쪽*#근본"
"* 弟雖有過須勿聲責(제수유과수물성책)*: 아우에게 비록 허물이 있더라도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않음.
#큰*소리*#허물#아우"
"* 百孔千瘡(백공천창)*: (1)온통 구멍과 상처투성이라는 뜻으로, 온갖 폐단과 결함으로 엉망진창이 된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옷이 여기저기 구멍이 나고 갈기갈기 찢어져 못 쓰게 된 *상태*를 이르는 말."
"* 比而不周(비이부주)*: 치우치고 두루 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에서 孔子가 *소인*배들은 사사로움에 치우치므로 특별한 사람만 친할 뿐
널리 사귀지 못함을 비유한 말.
#특별#비유#孔子#치우#*소인*배#사람"
* 難上之木勿仰(난상지목물앙)*: 오르지 못할 나무 쳐다보지도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될 수 없는 일은 바라지 말라는 뜻.
* 輕慮淺謀(경려천모)*: 경솔(輕率)하고 얕은 *생각*.
* 武斷鄕曲(무단향곡)*: 시골에서 세도를 잡은 *집안*의 사람들이 백성들을 억압하고 수탈하는 일.
"* 輔車相依(보거상의)*: 수레에서 덧방나무와 *바퀴*처럼 뗄 수 없다는 뜻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서로 돕고 의지함을 이르는 말.
#방#*바퀴*#나무#관계#의미#수레#의지"
"* 衣錦尙絅(의금상경)*: *비단* 옷에 오히려 홑옷이라는 뜻으로, *비단* 옷 위에 얇은 홑옷을 더 입어 표시 안 나게 하는 것처럼
군자(君子)는 미덕이 있어도 드러내지 않음을 비유한 말.
#표시#옷#비유#군자#*비단*#미덕"
"* 割半之痛(할반지통)*: 몸의 반쪽을 베어 내는 *고통*이라는 뜻으로, 형제자매가 죽었을 때의 슬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몸#베어#형제자매#때#*고통*#슬픔"
"* 旁得香氣(방득향기)*: 곁에서 *향기*를 얻는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향을 가지고 있으면, 곁에 있는 사람도 그 좋은 *향기*를
얻는 것처럼 주변의 벗은 좋은 사람을 사귀야 한다는 의미.
#곁#벗#의미#주변#사람"
"* 下馬評(하마평)*: 관직의 인사이동이나 관직에 임명될 후보자에 관하여 세상에 떠도는 풍설(風說). 예전에, *관리*들을 태워 가지고
온 마부들이 상전들이 말에서 내려 관아에 들어가 일을 보는 사이에 상전들에 대하여 서로 평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상전#일#부임#말#평론#후보자#유래#민간#평판#관직#*관리*#관아#임명#세상#인사#예전#사이"
* 非肉不飽(비육불포)*: 고기를 먹지 아니하면 배가 부르지 아니하다는 뜻으로, 늙은이가 쇠약해진 *지경*을 이르는 말.
"* 錢本糞土(전본분토)*: 돈은 본래 똥을 섞은 흙이라는 뜻으로, 돈은 원래 썩은 인분(人糞)처럼 천한 것이라는 *의미*.
#원래#돈#똥#본래#*의미*#흙"
"* 貪者怨之本(탐자원지본)*: 무엇을 탐한다는 것은 남의 원한(怨恨)을 사는 *근본*(根本)임.
#원한#*근본*#무엇"
"* 萬古逆賊(만고역적)*: 세상에 비길 데 없이 괘씸한 역적.
#세월#세상"
"* 平隴望蜀(평롱망촉)*: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후한*#경우#욕심#인간#만족#지방#비유#평정#유래#광무제"
"* 兩輪(양륜)*: 수레의 두 바퀴라는 뜻으로, *서로* 떨어져서는 제구실을 못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실#수레#비유#바퀴"
"* 糟糠之妻(조강지처)*: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후한서≫의 에 나오는 말이다.
#아내#본처#말#곤궁#쌀겨#고생#때#끼니#의미#집안#가난#술"
* 犬牙差互(견아차호)*: 개의 이빨처럼 *사물*이 서로 어긋남.
"* 不正名色(부정명색)*: 옳지 아니한 *방법*으로 얻은 깨끗하지 못한 재물.
#*방법*#깨끗#재물"
"* 上和下睦(상화하목)*: 위에서 사랑하고 *아래*에서 공경(恭敬)함으로써 화목(和睦)이 됨.
#공경#화목#사랑#*아래*"
"* 貪夫徇財(탐부순재)*: 욕심(慾心) 많은 사람은 재물(財物)이라면 *목숨*도 아랑곳하지 않고 좇음을 이르는 말.
#*목숨*#사람#욕심#재물"
"* 家貧落魄(가빈낙탁)*: 집안이 *가난*하여 혼백(魂魄)이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失意)에 빠짐."
"* 漁人得利(어인득리)*: 고기 잡는 사람이 이익(利益)을 얻음을 뜻하는 말로, 쌍방이 다투는 틈을 타서, 제 3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利得)을 보는 *경우*(境遇)를 가리키는 말.
#이익#말#*경우*#이득#사람"
"* 法服貴族(법복귀족)*: 프랑스 절대 왕정의 관료 귀족. 관직 매매 제도를 통하여 주로 사법(司法) *관계*의 관직을 사서 귀족의
신분으로 오르게 된 신흥 귀족으로, 오래된 봉건 귀족인 대검(帶劍) 귀족과 구별된다. 그들이 입은 관복에서 명칭이 유래하였으며, 부를
소유하고 관직을 장악하였으므로 주도적으로 개혁에 반대하였다."
* 薪盡火滅(신진화멸)*: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불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 萬全之策(만전지책)*: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 壓卷(압권)*: (1)여러 *책*이나 작품 가운데 제일 잘된 *책*이나 작품. 고대 중국의 관리 등용 시험에서 가장 뛰어난 답안지를
다른 답안지 위에 얹어 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2)하나의 *책*이나 작품 가운데 가장 잘된 부분. (3)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
"* 緣高木望四方(연고목망사방)*: 높은 나무 위에 올라가 *사방*(四方)을 바라보면 그 때는 유쾌(愉快)하지만, 큰바람이 일면 떨어질
염려(念慮)가 있다는 뜻으로, 아무런 공도 없이 큰 이득(利得)을 보는 사람을 경계(警戒)해 이르는 말.
#염려#일면#방#나무#이득#때#*사방*#경계#유쾌#사람"
"* 眼前莫同(안전막동)*: 못생긴 *아이*라도 늘 가까이 두면 저절로 정이 붙음을 이르는 말.
#눈#앞#*아이*#눈앞"
"* 反哺之孝(반포지효)*: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孝)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를 갚는 효성을 이르는 말.
#*자식*#봉양#새끼#효성#까마귀#비유#먹이#어미#어버이#부모#갚음#은혜"
"* 江山萬古主人物百年賓(강산만고주인물백년빈)*: 강과 산은 만고의 *주인*(主人)이요, 사람은 백년(잠시(暫時) 왔다가는)의 손님임.
#*주인*#강#백년#만고#손님#백#산#사람"
"* 色思必溫貌思必恭(색사필온모사필공)*: *얼굴*빛은 반드시 온화(溫和)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얼굴* 모습은 반드시 공손(恭遜)하게
할 것을 생각함."
"* 江風明月(강풍명월)*: 강가의 *바람*과 하늘의 밝은 달의 뜻으로, 자연(自然)의 풍광(風光)을 의미.
#풍광#달#*바람*#의미#자연#하늘"
* 死後功名(사후공명)*: 죽은 뒤에 내리는 *벼슬*이나 시호(諡號).
"* 先憂後樂(선우후락)*: 세상의 *근심*할 일은 남보다 먼저 *근심*하고 즐거워할 일은 남보다 나중에 즐거워한다는 뜻으로,
지사(志士)나 어진 사람의 마음씨를 이르는 말. ≪범중엄(范仲淹)≫ 에 나오는 말이다.
#일#마음#말#사람#인자#사랑#마음씨#나중#*근심*#자신#훌륭#세상"
"* 雷歎(뇌탄)*: *탄식*(歎息)하는 소리가 우레와 같다는 뜻으로, 크게 *탄식*(歎息)함.
#*탄식*#우레#소리"
* 氷肌玉骨(빙기옥골)*: (1)살결이 맑고 깨끗한 *미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매화의 곱고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父母俱沒(부모구몰)*: 아버지와 어머니가 다 *돌*아가심.
* 臨河羨魚(임하선어)*: 물가에 임해서 물고기를 탐낸다는 뜻으로, 부질없이 행복이나 이득을 바란다는 *의미*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言美響美(언미향미)*: 말이 아름다우면 그 울림도 아름답다는 뜻으로, 인격이나 행동이 훌륭하면 자연 *명예*도 얻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명예*#말#비유#인격#자연#행동#훌륭#울림"
"* 珊瑚婚式(산호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3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산호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선물#풍속#의식#부부#기념"
"* 貧賤不能移(빈천불능이)*: 빈천도 옮기게 할 수 없다는 뜻으로, 대장부(大丈夫)는 빈천한 처지에 처하더라도 자신의 바른 뜻으로
굽히거나 어기지 않는다는 *의미*."
* 頂門金椎(정문금추)*: 정수리를 쇠망치로 두들긴다는 뜻으로, *정신*을 바짝 차리도록 깨우침을 이르는 말.
"* 三戒(삼계)*: (1)사람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세 가지 계. 청년 *시절*에는 여색을, 장년 *시절*에는 투쟁을, 노년 *시절*에는
이욕(利慾)을 경계하여야 한다는 공자의 교훈이다. (2)부처의 세 가지 계율. 재가계, 출가계, 도속 공수계를 이른다.
#말#재가#제정#계율#때#종류#청년#여색#경계#*시절*#교훈#탐욕#부처#공자#투쟁#출가#사람"
"* 矯枉過直(교왕과직)*: 굽은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정도에 지나치게 곧게 한다는 뜻으로, 잘못된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너무 지나쳐서
오히려 나쁘게 됨을 이르는 말.
#일#*왕*#과정#잘못#의미#정도#중용"
"* 一炊之夢(일취지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여옹#산#인생#비유#노생#유래#도사#세상#주인#소년#누리#*부귀*영화#베개#동안#80세#꿈#밥#영화#*부귀*#잠"
재상
"* 歲寒松柏(세한송백)*: 추운 겨울의 *소나무*와 잣나무라는 뜻으로, 어떤 역경 속에서도 지조를 굽히지 않는 사람 또는 그 지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역경#푸름#계절#곤궁#겨울#비유#군자#백#잣나무#*소나무*#지조#환난#사람"
"* 驚神泣鬼(경신읍귀)*: 신이 놀라고 귀신(鬼神)이 운다는 뜻으로, 매우 뛰어난 *시문*(詩文)은 귀신(鬼神)을 감동(感動)시킨다는
말 또는 그런 *시문*(詩文).
#말#감동#귀신#귀#*시문*"
"* 枕戈待旦(침과대단)*: 전투태세를 철저히 갖춘 군인의 자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장수* 유곤이 매일 창을 베개 삼아
잠을 자고 아침을 기다리면서 적을 물리칠 태세를 준비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 三十六計走爲上計(삼십육계주위상계)*: 36가지 *계책*(計策) 중(中)에서 줄행랑이 상책이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할 때에는
기회(機會)를 보아 피함으로써 몸의 안전(安全)을 지키는 것이 최상(最上)의 방법(方法)이라는 말.
#책#몸#말#최상#때#안전#*계책*#방법#곤란#기회"
"* 村學究(촌학구)*: (1)시골 글방의 *스승*. (2)학식이 좁고 고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표현#지칭#학식#천박#사용#글방#겸손#*스승*#시골#자신#선생#학#사람"
"* 糟糠(조강)*: (1)*지게*미와 쌀겨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변변치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2)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3)교만한 승려나 거친 교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변변#법#사람#쌀겨#고생#때#교만#승려#음식#가난#아내#교법"
* 風朝雨夕(풍조우석)*: 바람부는 *아침*과 비오는 저녁.
가난
"* 刺股(자고)*: (1)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2)다리를 찌름.
#머리카락#극복#대들보#*새끼*#공부#졸음#시대#초나라#전국#소진#송곳#중국#다리#유래"
"* 道不拾遺(도불습유)*: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형벌이 준엄하여 백성이 법을 범하지 아니하거나 민심이
순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한비자≫의 에 나오는 말이다.
#백성#민심#말#돈#법#범#쓰임#풍속#사용#비유#나라#길#준엄#*물건*#의미#형#형벌"
"* 自身放賣(자신방매)*: 자기의 몸을 스스로 팔아 망침.
#종이#몸#침#*자신*"
"* 稱之不容口(칭지불용구)*: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稱讚)함.
#칭찬#침#입"
"* 臭如蘭(취여란)*: 냄새가 마치 *난초*와 같다는 뜻으로, 꽃다운 향내가 *난초*의 향기와 닮은 것처럼, 여럿이 합심하여 하는 말이
다른 것에 미치는 힘은 몹시 크다는 의미.
#*난초*#방향#말#향내#비유#꽃#의미#합심#여럿#힘#냄새"
"* 乃公(내공)*: (1)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주로 임금이 신하를, 또는 아버지가 아들을
상대하여 *자기*를 이를 때 쓴다. (2)‘그 사람’이라는 뜻으로,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아닌 사람을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
"* 草廬三顧(초려삼고)*: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 淸白宰相(청백재상)*: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재상*(宰相).
#청렴결백#*재상*#결백#청렴"
* 不在此限(부재차한)*: 어떤 규정이나 한계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벗*어남.
"* 南郭濫吹(남곽남취)*: 남곽(南郭)이 함부로 분다는 뜻으로, 학예(學藝)에 전문(專門) *지식*(知識)도 없이 함부로 날뜀을 두고
이르는 말.
#두고#*지식*#남곽"
"* 兔死狗烹(토사구팽)*: 토끼가 죽으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 없게 되어 *주인*에게 삶아 먹히게 된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야박하게 버리는 경우를 이르는 말."
"* 珪璋特達(규장특달)*: 규홀과 장홀만 이른다는 뜻으로, 혼약(婚約)의 예물로 다른 폐물(幣物)은 보내지 않고 다만 규장(珪璋)만을
보내는 것으로, 덕(德)이 출중(出衆)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물#예물#비유"
"* 私其飮食禽雖之類(사기음식금수지류)*: 형제(兄弟) 간(間)에 음식(飮食)을 사사(私事)로이 한다면 새나 짐승의 무리와 같음.
#새#형제#음식#私事#무리#짐승"
"* 瞎虎(할호)*: 한쪽 눈이 먼 *호랑이*라는 뜻으로, 잔인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사람#눈#*호랑이*#잔인#쪽#한쪽"
왕성
"* 夫貴妻榮(부귀처영)*: 남편이 귀하면 *아내*가 영화롭다는 뜻으로, 남편의 신분 고하(高下)에 따라 *아내*의 영화가 변한다는
의미이나, 현대에 와서는 배우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역설적 의미로 활용함이 좋을 듯 함."
"* 八面六臂(팔면육비)*: (1)‘팔면육비’의 북한어. (2)여덟 개의 얼굴과 여섯 개의 팔이라는 뜻으로, 언제 어디서 어떤 일에
부딪치더라도 능히 처리하여 내는 수완과 *능력*을 이르는 말.
#일#다방면#여섯#발휘#여덟#*능력*#사방#역량#수완#얼굴#언제#처리#어디#사람"
"* 傷弓之鳥(상궁지조)*: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 和風甘雨(화풍감우)*: 솔솔 부는 화창한 *바람*과 알맞은 비.
"* 傾蓋如故(경개여고)*: 처음 만나 잠깐 사귄 것이 마치 오랜 *친구* 사이처럼 친함.
#*친구*#처음#사이"
* 閉月羞花(폐월수화)*: 달도 숨고 꽃도 부끄러워한다는 뜻으로, 여인의 *얼굴*과 맵시가 매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兩雄相爭(양웅상쟁)*: 용과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강자끼리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
#다툼#범#비유#용#강자#승부#끼리#*싸움*"
"* 肝腦塗地(간뇌도지)*: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참혹#땅#곤경#모습#죽음#나라#*목숨*#의미#뇌#힘#간장#활용"
* 規矩準繩(규구준승)*: (1)목수가 쓰는 걸음쇠, 곱자, 수준기, 다림줄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법도.
"* 勉其祗植(면기지식)*: 착한 것으로 자손(子孫)에 줄 것을 힘써야 좋은 가정(家庭)을 이룰 것임.
#가정#자손"
"* 整襟端坐(정금단좌)*: 옷깃을 바로잡고 단정하게 앉는다는 뜻으로, 몸가짐을 바르게 하여 *수양*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
#옷깃#자세#몸가짐#*수양*#단정"
"* 望雲(망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이 타향에서 부모가 계신 쪽의
구름을 바라보고 어버이를 그리워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당나라#타향#고향#때#생각#비유#*중국*#구름#어버이#부모#객지#쪽#유래"
* 問鼎輕重(문정경중)*: 솥의 무게를 묻는다는 뜻으로, *왕*좌를 노리거나 상대방의 실력을 떠보는 마음을 이르는 말.
"* 弁轉疑星(변전의성)*: 많은 사람들의 관에서 번쩍이는 *구슬*이 별안간 의심(疑心)할 정도(程度)임.
#*구슬*#정도#의심#사람"
"* 乞骸(걸해)*: 심신은 임금께 바친 것이지만 해골만은 돌려달라는 뜻으로, 늙은 재상이 *벼슬*을 내놓고 은퇴하기를 임금에게 주청하던
일. ≪사기(史記)≫의 에 나오는 말이다."
"* 背水陣(배수진)*: (1)강이나 바다를 등지고 치는 진. *중국* 한(漢)나라의 한신이 강을 등지고 진을 쳐서 병사들이 물러서지
못하고 힘을 다하여 싸우도록 하여 조(趙)나라의 군사를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어떤 일을 성취하기 위하여 더 이상 물러설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병사들#강#군사#병사#성취#나라#목숨#물#*중국*#지경#힘#유래#이상"
"* 善男善女(선남선녀)*: (1)성품이 착한 남자와 여자란 뜻으로, 착하고 어진 사람들을 이르는 말. (2)곱게 *단장*을 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 (3)불법에 귀의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
#여자#남녀#귀의#불가#불법#불교#불#사람들#사용#의미#신심#*단장*#성품#남자#귀#사람"
* 反哺(반포)*: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
* 凡胎肉身(범태육신)*: 사람의 *몸*에서 태어난 평범한 사람의 *몸*. 환골탈태나 화신(化身)이 아닌 *몸*을 이른다.
"* 晴耕雨讀(청경우독)*: 날이 개면 논밭을 갈고 비가 오면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일하며 공부함을 이르는 말.
#책#일#농사#공부#밭#비오#논밭#농사일#밖"
* 閉閤思過(폐합사과)*: 방 안에 칩거(蟄居)하며 제 잘못을 *생각*함.
"* 愛國之誠(애국지성)*: 자기 나라를 *사랑*하는 정성.
#나라#정성#*사랑*"
"* 爪角(조각)*: 짐승의 발톱과 뿔이라는 뜻으로, 자신을 적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호#발톱#*비유*#물건#자신#짐승#뿔"
"* 刻鵠類鵝(각곡유아)*: 고니를 새기려다 *실패*(失敗)해도 거위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1) 성현(聖賢)의 글을 배움에
그것을 완전(完全)히 다 익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最小限) 선인(善人)은 될 수 있다는 말 (2) 학업(學業)에 정진(精進)하여 어느
정도(程度) 성과(成果)가 있다는 말."
"* 老紅少靑(로홍소청)*: (1)장기를 둘 때, *나이*가 많은 사람이 붉은 빛깔인 ‘한’ 자가 쓰인 말을 가지고, *나이*가 적은
사람이 푸른 빛깔인 ‘초’ 자가 쓰인 말을 가지고 두는 일. (2)‘노홍소청’의 북한어."
"* 無腸公子(무장공자)*: (1)기개나 담력이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2)창자가 없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게’를 이르는
말.
#이름#창자#기력#동물#창#사용#담력#기개#*공자*#사람"
"* 稍解文字(초해문자)*: 글자나 겨우 볼 *정도*로 무식을 면함.
#해독#표현#사용#문자#겸손#글자#무식#지식#낮#*정도*#조금"
"* 八方美人(팔방미인)*: (1)어느 모로 보나 아름다운 사람. (2)여러 방면에 능통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한 가지
일에 정통하지 못하고 온갖 일에 조금씩 손대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4)주관이 없이 누구에게나 잘 보이도록 처세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일#*미인*#정통#주관#능통#방면#누구#조롱#처세#낮#방법#조금#낮잡#사람"
* 反客爲主(반객위주)*: 손님이 도리어 *주인* 노릇을 한다는 뜻으로, 수동적인 상황에서 틈을 노려 주도권을 빼앗음을 이르는 말.
"* 出將入相(출장입상)*: 나가서는 장수가 되고 들어와서는 *재상*이 된다는 뜻으로, 문무를 다 갖추어 장상(將相)의 벼슬을 모두
지냄을 이르는 말.
#*재상*#양#장수#장군#싸움터#의미#문무#인재#벼슬#정치"
"* 渾然一體(혼연일체)*: *생각*, 행동, 의지 따위가 완전히 하나가 됨.
#몸#차이#*생각*#덩어리#자연#융화#차별#의지#행동#조금#따위#사람"
* 終南捷經(종남첩경)*: 종남산(終南山)이 지름길이라는 뜻으로, 쉽게 *벼슬*하는 길을 이르는 말.
"* 多情多恨(다정다한)*: (1)애틋한 정도 많고 한스러운 일도 많음. (2)일본의 소설가 오자키 고요의 장편 소설. 1896년
2월부터 12월까지 ≪요미우리 신문≫에 연재되었고, 1897년 7월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한 애환을 담은
것으로, 오자키 고요의 사실주의 문학 가운데 최고로 꼽히는 *작품*이다.
#일#고요#2월#사랑#가운데#애틋#최고#원한#소설#12월#*작품*#문학#우리#신문#정도"
"* 活潑潑地(활발발지)*: 활기가 넘친다는 뜻으로, 물고기가 뛰는 것처럼 *힘*이 좋은 일이나, 넘칠 정도의 활기가 있는 상태를
의미함. * ‘地’는 접미사 역할.
#일#기세#활동#의미#모양#*힘*#역할#정도#상태"
"* 鷄犬相聞(계견상문)*: *닭*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인가(人家)가 잇대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인가#원래#개가#소리#동쪽#서쪽#*닭*"
"* 萬物博士(만물박사)*: 여러 방면에 모르는 것이 없는 매우 박식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방면#사람"
"* 吸風飮露(흡풍음로)*: *바람*을 호흡하며 이슬을 마신다는 뜻으로, 신선(神仙)의 생활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이슬#*바람*#신선#비유#생활"
"* 惜指失掌(석지실장)*: 손가락을 아끼려다가 손*바닥*마저 잃는다는 뜻으로, 작을 것을 아끼려다 큰 일을 그르치는 상황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일#손가락#손*바닥*#상황#비유"
"* 無學文盲(무학문맹)*: 배우지 못하여 글을 읽지 못함. 또는 그런 사람.
#배#배움#사람"
"* 曉風殘月(효풍잔월)*: 새벽 바람과 지새는 달이라는 뜻으로, 새벽 무렵의 달과 바람이라는 의미.
#무렵#바람#달#의미#새벽"
"* 見佛聞法(견불문법)*: 눈으로 대자대비한 *부처*를 보고, 귀로 오묘한 교법을 듣는 일.
#일#오묘#법#눈#대비#*부처*#귀#교법"
* 兄弟姉妹友愛而已(형제자매우애이이)*: *형제*(兄弟)와 자매(姉妹)는 서로 우애(友愛)할 따름임.
지신
"* 鏤月裁雲(누월재운)*: 달을 아로새기고 *구름*을 마른다는 뜻으로, 세공이 아기자기하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아름다움#달#*구름*#교묘"
* 賢人君子(현인군자)*: (1)현인과 *군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2)어진 사람을 이르는 말.
* 自力更生(자력갱생)*: 남에게 의지하지 아니하고 자신의 힘만으로 어려운 *처지*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살아감.
"* 嗟爾小子敬受此(書차이소자경수서)*: 자, 너희 어린이들아! *공경*(恭敬)하는 마음으로 이글을 받아들여야 함.
#*공경*#마음#어린이"
"* 顔筋柳骨(안근유골)*: 당(唐)*나라*의 안진경(顔眞卿)과 유공권(柳公權)의 필법(筆法)의 진수를 터득(攄得)했다는 뜻으로, 글씨가
매우 뛰어남을 이르는 말."
"* 惡戰苦鬪(악전고투)*: 매우 어려운 조건을 무릅쓰고 힘을 다하여 고생스럽게 *싸움*.
#조건#다툼#노력#고생#강력#비유#고통#계속#힘#*싸움*#곤란#상태"
"* 長夜之飮(장야지음)*: 밤*새*도록 술을 마심. 또는 그 술.
#*새*#창#불#며칠#술자리#술"
"* 生面江山(생면강산)*: (1)처음으로 보는 *강산*. (2)처음으로 보고 듣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처음#*강산*"
* 假道滅虢(가도멸괵)*: 다른 *나라*의 길을 임시로 빌려 쓰다가 나중에 그 *나라*를 쳐서 없앰.
* 舍短取長(사단취장)*: 단점은 버리고 장점은 취한다는 뜻으로, 나쁜 점은 버리고 좋은 점을 취한다는 *의미*.
* 難上之木不可仰(난상지목불가앙)*: 오르지 못할 *나무* 쳐다보지도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될 수 없는 일은 바라지 말라는 뜻.
* 曉風殘月(효풍잔월)*: 새벽 바람과 지새는 달이라는 뜻으로, 새벽 무렵의 달과 바람이라는 *의미*.
"* 匍匐救之(포복구지)*: 급(急)히 서둘러 구(救)한다는 뜻으로(포복은 손과 발이 함께 간다는 말이므로), 남의 상사(喪事)에 *힘*을
다하여 도움을 이르는 말."
"* 時和年豊(시화연풍)*: 때가 화하여 해가 풍요롭다는 뜻으로, 기후가 순조로워 풍년이 든다는 의미. 보통 나라가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는 의미의 입춘첩(立春帖)으로 많이 *사용*됨.[= 時和歲豊]."
"* 家給千兵(가급천병)*: 제후(諸侯) 나라에 일천 *군사*(軍士)를 주어 그의 집을 호위(護衛)시킴.
#*군사*#제후#집#나라#호위"
* 叛服無常(반복무상)*: 배반하였다 복종하였다 하여 그 *태도*가 일정하지 아니함.
"* 鼓盆(고분)*: 물동이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아내의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莊子)의 아내가 죽어서 혜자(惠子)가
조문하러 갔더니 장자가 다리를 뻗고 앉아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하고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百病通治(백병통치)*: (1)한 가지 처방으로 온갖 병을 다 고침. (2)어떤 한 가지 대책이 여러 가지 *경우*에 두루 효력을
나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침#*경우*#병#대책#효력#약#보람"
"* 居家之樂(거가지락)*: 세속의 *영화*에 마음을 두지 않고 집에서 시(詩)나 서도(書道) 따위로 세월을 보내는 즐거움.
#마음#집#속세#*영화*#세월#즐거움#세속#따위"
* 生面大責(생면대책)*: 어떠한 일의 상황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잘못이 없는 사람을 호되게 꾸짖음.
* 魚鹽柴水(어염시수)*: 생선ㆍ소금ㆍ땔*나무*ㆍ물이라는 뜻으로,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
"* 錦繡江山(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강산#아름#*나라*#의미#산천#우리#비단#우리*나라*"
"* 見利忘義(견리망의)*: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리를 잊음.
#이익#눈#앞#*눈앞*#의리"
"* 風雲大手(풍운대수)*: 천도교에서, 시대 *형편*의 대세를 이르는 말.
#시대#천도교#*형편*#대세"
"* 獨不將軍(독불장군)*: (1)무슨 일이든 자기 생각대로 *혼자*서 처리하는 사람. (2)다른 사람에게 따돌림을 받는 외로운 사람.
(3)*혼자*서는 장군이 될 수 없다는 뜻으로, 남과 의논하고 협조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일#의논#말#협조#처리#무시#장군#*혼자*#고립#생각#비유#의견#사람들#의미#무리#사람"
"* 眼光撤紙背(안광철지배)*: 눈빛이 종이의 뒤까지 꿰뚫어본다는 뜻으로, *독서*(讀書)의 이해력(理解力)이 날카롭고 깊음을 이르는 말.
#종이#눈빛#*독서*#이해력"
"* 四知(사지)*: 두 사람만의 *비밀*이라도 어느 때고 반드시 남이 알게 됨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後漢)의 양진(楊震)이 형주
자사(荊州刺史)로 부임했을 때, 왕밀(王密)이 밤중에 찾아와서 당신과 나밖에는 아무도 알 사람이 없다 하며 금(金) 열 근을 바쳤을
때,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내가 알고 자네가 안다 하며 받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후한서≫의 에 나오는 말이다.
#후한#마련#*비밀*#땅#말#사람#부임#왕#상대편#때#금#자네#중국#하늘#밖#밤중#유래#형#사이"
"* 隱居放言(은거방언)*: 은거하며 살면서 마음속에 품고 있는 *생각*을 털어놓음.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마음속#마음#말#은거#거리낌#속세#*생각*#의미"
"* 主客之勢(주객지세)*: *주인*과 손 사이의 형세라는 뜻으로, 종속적인 처지에 있는 사람이 중요한 위치의 사람을 당하여 내지 못하는
형세를 이르는 말.
#*주인*#사람#중요#의미#위치#지리#객#자리#형세#사이"
"* 漁人之功(어인지공)*: 두 사람이 이해관계로 서로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익*을 이르는 말.
#말#*이익*#사람#엉뚱#조개#어부#다툼#이해관계#관계#결과#이해#사이"
"* 三從之法(삼종지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결혼#*자식*#법#남편#법도#예전"
"* 鶴乘軒(학승헌)*: 학이 수레를 탄다는 뜻으로, 산에서 살면서 날아다녀야 할 학이 수레를 탄다는 것은 의(宜: 마*땅*함)를
잃었음을 이르는 말."
"* 豊年花子(풍년화자)*: 풍년(豊年) 거지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여러 사람이 다 이익(利益)을 볼 때에 *혼자* 빠져
이익(利益)을 못 봄을 이르는 말.
#이익#풍년#때#*혼자*#속담#봄#사람"
"* 良禽擇木(양금택목)*: (1)‘양금택목’의 북한어. (2)좋은 새는 나무를 가려서 깃들인다는 뜻으로, 훌륭한 *사람*은 좋은 군주를
가려서 섬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多岐亡羊(다기망양)*: (1)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한다는 뜻으로, 두루 섭렵하기만 하고 전공하는 바가 없어 끝내
성취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열자(列子)≫에 나오는 말이다. (2)방침이 많아서 *도리*어 갈 바를 모름."
"* 杯水救車(배수구거)*: 한 잔의 물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려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도저히 미치지 않아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어리석은 짓을 한다는 말."
"* 烏飛梨落(오비이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뜻으로, 아무 관계도 없이 한 일이 공교롭게도 때가 같아 억울하게 의심을
받거나 난처한 위치에 서게 됨을 이르는 말.
#일#배#관련#때#관계#*까마귀*#공교#비유#위치#의심#혐의"
"* 可高可下(가고가하)*: 높아도 가(可)하고 낮아도 가(可)하다는 뜻으로, 인자(仁者)는 *벼슬*이 높아도 거만(倨慢)하지 않고
낮아도 두려워하지 않음으로써 직위(職位)의 고하를 가리지 않음."
"* 朝夕不倦(조석불권)*: 아침부터 *저녁*까지 싫증을 내지 아니함.
#*저녁*#아침#싫증"
* 春花秋月(춘화추월)*: 봄철의 *꽃*과 가을철의 달이라는 뜻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仰望不及(앙망불급)*: 우러러 바라보아도 미치지 못함.
* 寸草心(촌초심)*: 보잘것없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은혜(恩惠)에 보답(報答)하려는 *자식*(子息)의 마음을 이르는 말.
"* 形影相同(형영상동)*: 형체의 움직임에 따라 그림자도 그대로 나타난다는 뜻으로, 마음먹은 바가 그대로 *행동*으로 나타남을 이르는
말."
"* 股肱(고굉)*: (1)다리와 팔이라는 뜻으로, 온몸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
#온몸#*신하*#임금#신임#다리"
"* 悔毒之歎(회독지탄)*: 독약을 마신 뒤에 누우치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뉘우쳐도 이미 소용이 없는 것을 뉘우친다는 의미.
#*탄식*#독약#소용#의미"
"* 一樹百穫(일수백확)*: 나무 한 그루를 심어서 백 가지의 이익을 본다는 뜻으로, 유능한 *인재* 하나를 길러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음을 이르는 말.
#이익#수확#나무#이득#그루#유능#의미#백#*인재*#사회#효과#사람"
"* 餓狼之口(아랑지구)*: 굶주린 이리의 아가리라는 뜻으로, 탐욕스럽고 잔인한 사람의 비유로 *사용*됨.
#이리#*사용*#비유#잔인#탐욕#사람"
"* 寸善尺魔(촌선척마)*: 좋은 일은 한 치 *정도*이고 언짢은 일은 한 자 *정도*라는 뜻으로, 좋은 일은 적고 언짢은 일은 많음을
이르는 말."
* 面目不知(면목부지)*: 서로 *얼굴*을 전혀 모름.
"* 孤掌難鳴(고장난명)*: (1)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2)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일어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일#손바닥#어려움#*혼자*#소리#의미#외손뼉#힘#싸움#사람"
* 夫婦有別(부부유별)*: 오륜(五倫)의 하나.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 秋風索莫(추풍삭막)*: 가을바람이 황량하고 쓸쓸하게 분다는 뜻으로, 예전의 권세는 간 곳이 없고 초라해진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바람#권세#예전#초라#쓸쓸#옛날#*모양*#가을바람#모습#가을"
"* 寄與補裨(기여보비)*: 이익을 주고 *모자*라는 것을 보탬.
#의미#이바지#이익"
"* 蓬頭亂髮(봉두난발)*: *머리털*이 쑥대강이같이 헙수룩하게 마구 흐트러짐. 또는 그 *머리털*.
#머리카락#용모#쑥#머리#의미#북#*머리털*#쑥대#대강"
* 勞而無功(노이무공)*: 애는 썼으나 보람이 없음을 이르는 *말*. ≪장자≫ , ≪관자(管子)≫ 에 나오는 *말*이다.
* 白面書郞(백면서랑)*: (1) 희고 고운 얼굴에 글만 읽는 사람이란 뜻 (2) *세상*일(世上-)에 조금도 경험(經驗)이 없는 사람.
"* 圖寫禽獸(도사금수)*: 궁전(宮殿) 내부(內部)에는 유명(有名)한 화가(畵家)들이 그린 그림 조각 등(等)으로 장식(裝飾)되어 있음.
#화#화가#장식#내부#궁전#유명#조각#그림"
"* 懸車(현거)*: (1)수레를 건다는 뜻으로, 나이가 들어 벼슬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의 설광덕(薛廣德)이 관직을
그만두고 은거할 때, 임금이 내린 안거(安車)를 매달아 놓고 자손에게 전한 고사에서 유래한다. (2)일흔 살의 나이를 이르는 말.
(3)해 질 무렵."
"* 不患無位(불환무위)*: *지위*가 없음을 근심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자는 벼슬자리에 오르지 못함을 개의치 않는다는 의미.
#벼슬#개의#의미#벼슬자리#군자#근심#*지위*#자리"
"* 高麗公事三日(고려공사삼일)*: 고려 때의 공적인 일은 삼 일밖에 안 갔다는 뜻으로, 오래 참고 견디지 못하고 자주 변동함. 고려
무신정권 때의 *고사*.
#일#말#법령#고려#때#비유#시작#정책#변동#계속#정권#사흘#*고사*#공적"
* 擊壤老人(격양노인)*: 태평(太平)한 생활(生活)을 즐거워하여 노인(老人)이 *땅*을 치며 노래함.
"* 同門同學(동문동학)*: 한 *스승* 밑에서 함께 학문을 배우거나 수업을 받음.
#*스승*#학문"
"* 貪夫徇財(탐부순재)*: *욕심*(慾心) 많은 사람은 재물(財物)이라면 목숨도 아랑곳하지 않고 좇음을 이르는 말.
#목숨#사람#*욕심*#재물"
"* 人生無常(인생무상)*: *인생*이 덧없음.
#상주#사람#불#확대#사용#만물#*인생*#불가#삶#변화"
* 三冬雪寒(삼동설한)*: 눈 내리고 추운 겨울 석 *달* 동안.
"* 洛花狼藉(낙화낭자)*: 떨어진 *꽃*잎이 흩어져 어지럽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이 뒤섞여 흩어져 있는 모양(模樣).
#사물#모양"
"* 輪廻轉生(윤회전생)*: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 육도(三界六道)의 생사 세계를
그치지 아니하고 돌고 도는 일."
"* 甕算畵餠(옹산화병)*: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실속#장수#*고생*#꿈#사용#떡#소용#수고#그림#고사"
"* 打草驚蛇(타초경사)*: 수풀을 휘저어 뱀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의도하지 않은 *행동*이 뜻밖의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치밀#일#풀#때#의도#징계#수풀#사용#뜻밖#경계#의미#뱀#상대방#*행동*#기회#결과"
"* 互相入葬(호상입장)*: 서로 장례를 들인다는 뜻으로, 친족을 한 묘지에 장사지낸다는 뜻으로 쓰이거나, *주인*이 없는 산에 아무나
마음대로 장사지냄을 이르는 말.
#*주인*#마음#친족#장사#묘지#산#장례"
"* 容之如地(용지여지)*: 포*용*함이 땅과 같다는 뜻으로, 대지(大地)가 만물을 포*용*하듯이 받아들이는 마음이 너그럽고 큼을
비유하는 말."
"* 波瀾萬丈(파란만장)*: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이 여러 가지 곡절과 시련이 많고 *변화*가 심함.
#일#시련#말#물결#쓰임#파도#기복#비유#길#진행#곡절#*변화*#생활#사람"
* 骸垢想浴(해구상욕)*: 몸에 때가 끼면 목욕(沐浴)하기를 *생각*함.
* 正襟端坐(정금단좌)*: 매무시를 바로 하고 단정하게 앉음.
"* 儺儺之聲(나나지성)*: 푸닥거리하는 *소리*.
#거리#*소리*"
"* 間世之材(간세지재)*: 여러 세대를 통하여 드물게 나는 *인재*.
#세대#*인재*"
"* 兎營三窟(토영삼굴)*: 토끼가 세 굴을 경영한다는 뜻으로, 토끼가 위험한 고비를 피하려고 구멍 세 개를 만드는 것처럼,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 미리 몇 가지의 *계책*을 짜 놓음을 이르는 말.
#마련#토끼#말#고비#위험#비유#안전#*계책*#자신#구멍#경영"
"* 與狐謨皮(여호모피)*: 여우하고 여우의 모피(毛皮)를 벗길 모의(謀議)를 한다는 뜻으로, 이해(利害)가 상충하는 사람하고 *의논*(議論)하면
결코 이루어지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의논*#여우#비유#이해#사람"
고생
"* 能士匿謀(능사익모)*: *재능*(才能)이 있는 자는 계책(計策)을 숨기고 남에게 알리지 않음.
#*재능*#계책"
"* 金科玉條(금과옥조)*: *금*이나 옥처럼 귀중히 여겨 꼭 지켜야 할 법칙이나 규정.
#규정#귀중#조목#*금*#의미#소중#법칙#귀"
"* 貴脚踏賤地(귀각답천지)*: 귀한 발로 천한 *땅*을 밟았다는 뜻으로, 누추한 곳에 잘 오셨다는 겸손한 인사말의 의미.
#의미#겸손#*땅*#인사말"
"* 他山之石(타산지석)*: 다른 산의 나쁜 돌이라도 자신의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본이 되지 않은 남의 말이나
행동도 자신의 지식과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 에 나오는 말이다."
* 風打浪打(풍타낭타)*: 바람이 치고 물결이 친다는 뜻으로, 일정한 주의(主義)나 주장 없이 그저 대세에 따라 *행동*함을 이르는 말.
"* 噲伍(쾌오)*: 여쾌등오(與噲等伍)의 준말로, (1) 평범(平凡)한 *인물*(人物) (2) 벗으로 사귐을 부끄럽게 여김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벗#준말#비유#*인물*#평범#여김"
"* 扶桑(부상)*: (1)해가 뜨는 동쪽 *바다*. (2)중국 전설에서, 해가 뜨는 동쪽 바닷속에 있다고 하는 상상의 나무. 또는 그
나무가 있다는 곳.
#전설#나무#바닷속#신령#상상#사용#동해#동쪽#의미#중국#나라"
"* 蘭亭殉葬(난정순장)*: 난정첩(蘭亭帖)을 순장(殉葬)한다는 뜻으로, 서화(書畵)나 도자기(陶瓷器) 등(等)의 물건(物件)을 *사랑*하는
마음이 두터움을 이르는 말."
"* 吮疽之仁(연저지인)*: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부하#말#군사#사랑#지극#시대#장군#장수#전국#옛일#입#나라#중국#손자#사랑함#유래"
* 向陽花木(향양화목)*: 볕을 잘 받은 *꽃*나무라는 뜻으로, 크게 잘될 사람을 이르는 말.
* 自成一家(자성일가)*: 자기 혼자의 힘으로 어떤 *재주*나 기술에 통달하여 따로 일가(一家)를 이룸.
"* 山林處士(산림처사)*: 벼슬을 하지 않고 세속을 떠나 산골에 파묻혀 글이나 읽고 지내는 *선비*.
#산골#속세#시골#초야#벼슬#세속#*선비*#산"
* 上奉下率(상봉하솔)*: 위로는 부모님을 모시고 아래로는 처*자식*을 거느림.
"* 生寄死歸(생기사귀)*: 사람이 이 *세상*에 사는 것은 잠시 머무는 것일 뿐이며 죽는 것은 원래 자기가 있던 본집으로 돌아가는
것임을 이르는 말.
#말#원래#죽음#잠깐#*세상*#동안#본래#삶#사람"
* 至貧無依(지빈무의)*: 매우 *가난*하여 의지할 곳조차 없음.
"* 濮上之音(복상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남녀#*뽕나무*#말#복수#때문#밭#*뽕나무*밭#망국#장소#주변#음악"
"* 風燈(풍등)*: (1)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열기구의 원리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띄우는 등. 대나무로 된 뼈대 위에 한지로 만든 등갓을 붙인
다음 뼈대 가운데에 기름을 먹인 심지를 고정하여 만든다. 과거에는 밤에 하늘로 띄워 *군사*용 신호를 보내는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으나,
보통 복을 기원하거나 놀이를 위하여 띄운다.
#용도#공중#다음#등화#사물#밤#등불#*군사*#앞#가운데#대나무#과거#바람#기원#신호#원리#하늘#풍#기름#복#이용#놀이#보통#사용#뼈대"
"* 大樹將軍(대수장군)*: ‘장군’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광무제의 장군 풍이(風異)가 겸손하여 공을 논하지 않고 늘 큰 나무
밑에 물러가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飛龍乘雲(비룡승운)*: 용이 구름을 타고 하늘에 오른다는 뜻으로, *영웅*이 때를 만나 세력을 얻음을 비유하는 말. .
#*영웅*#때#비유#용#구름#하늘#세력"
"* 就伏白(취복백)*: 나아가 엎드려 여쭙는다는 뜻으로, 웃어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안부를 물은 뒤에 하고자 하는 말을 적기 *시작*할
때 쓰는 말.
#윗사람#말#인사말#때#*시작*#웃어른#안부"
"* 合抱之木生於毫末(합포지목생어호말)*: 한아름되는 나무도 싹에서 자란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은 미세(微細)한 것에서
시작(始作)됨을 이르는 말."
"* 白砂靑松(백사청송)*: *백*사청송(白沙靑松). 흰 모래와 푸른 소나무라는 뜻으로, 흰 모래톱의 사이사이에 푸른 소나무가 드문드문
섞여 있는 바닷가의 아름다운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 或出或處(혹출혹처)*: 혹은 나가고 혹은 머물다는 뜻으로, 혹은 *벼슬*하여 조정에 나가고, 혹은 은퇴하여 집에 있는다는 의미.
"* 實事求是(실사구시)*: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 騎虎之勢(기호지세)*: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형세라는 뜻으로, 이미 *시작*한 일을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형세#경우#호랑이#*시작*#중도"
"* 號令如汗(호령여한)*: 호령이 흐르는 땀과 같다는 뜻으로, 큰 명령이 마치 한 번 흘러 되돌아 갈 수 없는 땀처럼 *임금*의 명령
같아, 한 번 발포(發布)한 명령은 최소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호령#명령#*임금*#어려움#땀#한번#최소"
"* 輔車(보거)*: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라는 뜻으로, 뗄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이르는 말.
#방#수레바퀴#나무#바퀴#*관계*#수레#정도"
* 雲心月性(운심월성)*: 구름 같은 마음과 달 같은 성품이라는 뜻으로, 맑고 깨끗하여 *욕심*이 없음을 이르는 말.
* 肥肉大酒(비육대주)*: 살찐 고기와 맛좋은 술이라는 뜻으로, 호화스러운 요리의 *의미*.
"* 我身不善辱及父母(아신불선욕급부모)*: 내 몸이 착하지 못하면 욕됨이 *부모*(父母)님께 미침.
#몸#*부모*#욕"
* 天藏地祕(천장지비)*: *하늘*과 땅속에 감추어져 있다는 뜻으로, 파묻혀서 세상에 알려지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殃及池魚(앙급지어)*: 재앙이 못의 물고기에 미친다는 뜻으로, 제삼자가 엉뚱하게 재난을 당함을 이르는 말. 성문(城門)에 난 불을
끄려고 못의 물을 전부 퍼 온 탓으로 그 못의 물고기가 말라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八街九陌(팔가구맥)*: 여덟 *갈래*의 거리와 아홉 *갈래*의 거리라는 뜻으로, 팔방(八方)으로 통하는 거리와 구방(九方)으로
통하는 거리가 있는 교통의 요충지나 번화한 곳을 이르는 말.
#*갈래*#팔방#아홉#방#여덟#번화#교통#거리"
"* 復古思想(복고사상)*: 복고적인 경향이 있는 사상.
#경향#사상#옛날#생각"
"* 自今以往(자금이왕)*: 지금으로부터 뒤.
#이후#지금"
"* 車同軌書同文(거동궤서동문)*: 여러 *지방*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지방*#글자#천하#수레#통일#상태"
* 天何言哉(천하언재)*: *하늘*은 아무 말도 하지 않지만 도(道)는 반드시 행(行)함.
"* 花信風(화신풍)*: (1)소한(小寒)에서 곡우(穀雨)까지 이십사후(二十四候) 사이에, 닷새마다 새로운 꽃이 피는 것을 알려 주는 봄
*바람*. (2)꽃이 피려고 함을 알리는 *바람*이라는 뜻으로, 꽃이 필 무렵에 부는 *바람*을 이르는 말."
"* 墨城之守(묵성지수)*: 묵자가 성을 지키는 데 조금도 굴하지 않았다는 뜻으로, 너무 완고(頑固)하여 *변통*(變通)할 줄 모르거나
자기(自己)의 의견(意見)이나 주장(主張)을 끝까지 밀고 나가는 것.
#성#완고#끝#의견#*변통*#주장#묵자#조금"
인재
"* 前軌(전궤)*: 앞에 지나간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이전 사람의 그릇된 일이나 행동의 자취를 이르는 말.
#일#자취#수레바퀴#앞#이전#*자국*#그릇#행동#사람"
"* 懷寵尸位(회총시위)*: 총애를 품고 헛되이 자리에 있다는 뜻으로, 임금의 *사랑*을 믿고 물러가야 할 때에 물러가지 않고 직위를
도둑질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 天雷(천뢰)*: (1) 천연(天然)ㆍ자연(自然)의 소리. 곧 *바람* 소리, 빗소리 따위 (2) 아주 뛰어난 시문(詩文).
"* 天無淫雨(천무음우)*: 하늘에서 궂은비가 내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태평*한 나라나 *태평*한 시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대#*태평*#나라#비유#하늘"
* 不立文字(불립문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므로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
* 左思右考(좌사우고)*: 이리저리 *생각*하고 헤아림.
* 鏤月裁雲(누월재운)*: 달을 아로새기고 구름을 마른다는 뜻으로, 세공이 아기*자기*하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島國根性(도국근성)*: 섬*나라*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질. 속이 좁고 배타적인 반면 단결성과 독립성이 강하다고 한다.
"* 白髮悲花落靑雲羨鳥飛(백발비화락청운선조비)*: 늙은이는 꽃이 떨어짐을 슬퍼하고, 관리(官吏)는 새가 날음을 부러워함. 즉 높은 관직에
오르고자 함."
"* 富貴貧賤(부귀빈천)*: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은 것과 *가난*하고 천한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재산#빈천#부귀#지위#*가난*#귀"
"* 鯨鬪鰕死(경투하사)*: 고래 *싸움*에 새우가 죽는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강자(强者)끼리 싸우는 틈에 끼여 약자(弱者)가
아무런 상관(相關)없이 화(禍)를 입는다는 말.
#끼#말#고래#약자#화#상관#강자#속담#끼리#새우#*싸움*"
제후
"* 莫知其子之惡(막지기자지악)*: 자기 자식의 잘못을 모른다는 뜻으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맹목적임을 이르는 말.
#자식#말#사랑#잘못#비유#어버이#부모#맹목적#사람"
"* 天高馬肥(천고마비)*: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하늘이 맑아 높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이 익는 *가을*철을 이르는 말.
#초목#곡식#말#원래#계절#*가을*철#결실#때#중국#옛날#경계#하늘#*가을*#침입"
"* 旁得香氣(방득향기)*: 곁에서 *향기*를 얻는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향을 가지고 있으면, 곁에 있는 사람도 그 좋은 *향기*를
얻는 것처럼 주변의 벗은 좋은 사람을 사귀야 한다는 의미.
#곁#벗#의미#주변#사람"
* 無物不成(무물불성)*: *물*질이나 돈이 없이는 아무 일도 이루어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
* 如印一板(여인일판)*: 한 판(板)에서 찍어 낸 듯이 서로 조금도 다름이 없음.
"* 半面之識(반면지식)*: 얼굴만 약간 알 정도의, 교분이 두텁지 못한 사이.
#사이#정도#교분#얼굴"
"* 黑頭宰相(흑두재상)*: 나이가 젊은 *재상*.
#*재상*#머리#삼공#정승#나이#지위"
"* 布衣之交(포의지교)*: 베옷을 입고 다닐 때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벼슬*을 하기 전 선비 시절에 사귐. 또는 그렇게 사귄 벗을
이르는 말."
"* 迷途知反(미도지반)*: 길을 잃으면 돌아올 줄 안다는 뜻으로, 바른 길을 찾다가 못 찾으면 근본에서 다시 생각할 줄을 안다는 의미.
#길#근본#의미#생각"
"* 無我夢中(무아몽중)*: 자기를 모르고 꿈속에 있는 것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 외곬으로 쏠리거나 넋을 잃어 자기도 모르게 *행동*하는
지경을 이르는 말.
#사물#마음#열중#꿈속#지경#*행동*#넋"
"* 桂林一枝(계림일지)*: (1)대수롭지 않은 출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극선(郤詵)이 현량과에 제일(第一)로 천거되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겨우 계수나무 *숲*에서 나뭇가지 하나를 얻었을 뿐이라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다. (2)사람됨이 출중하면서도 청빈하고
겸손함을 이르는 말.
#출세#말#나무#만족#출중#선#계수나무#비유#겸손#나라#나뭇가지#비범#중국#천거#유래#사람됨#청빈"
"* 牛刀割鷄(우도할계)*: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재능#과장#칼#표현#*비유*#닭#따위#도구"
"* 四君子(사군자)*: 동양화에서, 매화ㆍ*난초*ㆍ국화ㆍ대나무를 그린 그림. 또는 그 소재. 고결함을 상징으로 하는 문인화의 대표적
소재이다.
#*난초*#이름#고결#나무#동양화#그림#상징#비유#식물#소재#군자#국화#매화#대나무"
"* 地靈人傑(지령인걸)*: *땅*은 영묘(靈妙)하고 사람은 빼어나다는 뜻으로, 산천이 수려하고 지세가 빼어나서, 그 지기를 띠고 태어난
그 곳 주민도 한결 뛰어나다는 의미."
"* 冊床兩班(책상양반)*: (1)‘*책*상양반’의 북한어. (2)평민이지만 학문과 덕행(德行)이 있어서 양반이 된 사람.
#덕행#학문#양반#앞#평민#고상#*책*상#사람"
"* 自屎不覺臭(자시불각취)*: 제 똥은 냄*새*를 깨닫지 못한다는 뜻으로, 제 똥 구린지 모르는 것처럼 제 결점을 알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鼓盆(고분)*: 물동이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아내의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莊子)의 아내가 죽어서 혜자(惠子)가
조문하러 갔더니 장자가 다리를 뻗고 앉아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하고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뜻으로, 청결한 덕있는 행동을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미인데, 주로
입춘첩(立春帖)으로 사용하는 글귀."
"* 萬分之一(만분지일)*: 만으로 나눈 것의 하*나라*는 뜻으로, 아주 적은 경우를 이르는 말.
#비교#경우"
"* 七出(칠출)*: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 終不出給(종불출급)*: 빚돈을 갚지 않음.
"* 望五(망오)*: (1)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마흔하나를 이르는 말. (2)궁중에서, 임금과 *왕*후, *왕*대비의 나이가
쉰이 되기 이삼 년 전에 베풀던 경축연."
* 自曲之心(자곡지심)*: 허물이 있는 사람이 스스로 고깝게 *여기*는 마음.
"* 垂于竹帛(수우죽백)*: 대나무와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죽간(竹簡)이나 비단에 글을 써서 기록으로 남긴
것에서 이름을 역사에 남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落眉之厄(락미지액)*: (1)눈앞에 닥친 *재앙*. (2)‘낙미지액’의 북한어.
#눈#눈썹#앞#눈앞#*재앙*#의미#액운#당장"
"* 巫山之雲(무산지운)*: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人面獸心(인면수심)*: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나 행동이 몹시 흉악함을 이르는 말.
"* 下意上達(하의상달)*: 아랫사람의 뜻을 윗사람에게 전*달*함.
#아랫사람#윗사람#전*달*#아래"
* 每人悅之(매인열지)*: 모든 사람의 *마음*을 기쁘게 함.
"* 椽大之筆(연대지필)*: (1)서까래만 한 큰 *붓*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대문장(大文章)이나 대논문(大論文)을 이르는 말. 중국
남조 시대의 감엄(江淹)이 꿈에 곽박(郭璞)에게 서까래만 한 큰 *붓*을 받은 후 훌륭한 문장을 남겼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훌륭한 문장을 짓는 재능. (3)다른 사람의 문장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재능#서까래#*붓*#칭송#시대#꿈#유래#문장#중국#대문장#고사#훌륭#사람"
"* 浮生若夢(부생약몽)*: 덧없는 *인생*이 마치 꿈과 같다는 뜻으로, *인생*이 꿈처럼 덧없음을 의미하는 말.
#의미#허무#꿈#*인생*"
"* 咳唾成珠(해타성주)*: 기침과 침이 다 구슬이 된다는 뜻으로, 권세가(權勢家)를 형용하거나 일언일구(一言一句)가 다 귀중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혹은 시문(詩文)의 *재주*가 뛰어남을 형용하기도 함. 〔= 月章星句(월장성구)〕."
"* 穎脫而出(영탈이출)*: 뾰족한 송곳 끝이 주머니를 뚫고 나온다는 뜻으로, 뛰어나고 훌륭한 *재능*(才能)이 밖으로 드러남을 이르는
말."
"* 火樹銀花(화수은화)*: 불타는 나무와 은색의 꽃 같다는 뜻으로, 붉고 밝게 타오르는 밝은 *등불*이나 촛불처럼 *등불*이 번쩍번쩍
빛남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형용#*등불*#나무#촛불#꽃"
"* 豊衣飽食(풍의포식)*: 넉넉한 옷과 배부른 음식이라는 뜻으로, *의식*이 여유 있고 충분하다는 의미.
#옷#여유#충분#의미#음식#*의식*#넉넉"
* 任子之典(임자지전)*: 나라에 공로를 세운 신하의 자손에게 *벼슬*을 주던 특전(特典).
"* 五獸不動(오수부동)*: *닭*, 개, 사자, 호랑이, 고양이가 한곳에 모이면 서로 두려워하고 꺼리어 움직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회
조직이 서로 견제하는 여러 세력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한곳#조직#범#사자#고양이#호랑이#의미#*닭*#견제#세력#사회#짐승"
"* 獨掌難鳴(독장난명)*: (1)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2)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일어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일#어려움#*혼자*#소리#외손뼉#장난#힘#싸움#사람"
* 臥遊江山(와유강산)*: 누워서 강*산*을 노닌다는 뜻으로, *산*수화를 보며 즐김을 이르는 말.
"* 錢本糞土(전본분토)*: 돈은 본래 똥을 섞은 흙이라는 뜻으로, 돈은 원래 썩은 인분(人糞)처럼 천한 것이라는 *의미*.
#원래#돈#똥#본래#*의미*#흙"
"* 一箭雙雕(일전쌍조)*: 하나의 화살로 두 마리 수리를 잡는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득*을 얻는다는 의미.
#일#화살#*이득*#의미#마리"
"* 華胥之國(화서지국)*: 잘 다스려진 *태평*(太平)한 나라.
#*태평*#나라"
"* 秋扇(추선)*: (1)가을철의 부채라는 뜻으로, 철이 지나서 쓸모없이 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이성의 *사랑*을 잃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微官末職(미관말직)*: 지위가 아주 낮은 *벼슬*. 또는 그런 위치에 있는 사람.
#미천#관직#의미#위치#낮#지위#*벼슬*#사람"
* 自由奔放(자유분방)*: 격식이나 관습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행동이 자유로움.
"* 萬物之靈長(만물지영장)*: 세상(世上)에 존재(存在)하는 모든 것들 *가운데*서 가장 영묘(靈妙)하고 뛰어난 것이라는 뜻으로,
인간(人間)을 일컫는 말."
"* 以毛相馬(이모상마)*: 털빛으로 말의 좋고 나쁨을 *판단*한다는 뜻으로, 사물을 겉만 보고 *판단*하는 것은 잘못임을 이르는 말.
#내용#사물#말#외모#잘못#비유#털#*판단*#겉"
"* 百年偕樂(백년해락)*: 부부가 되어 한평생을 같이 즐겁게 지냄.
#부부#한평생"
"* 鶴鳴之士(학명지사)*: 학이 우는 것 같은 선비라는 뜻으로, 많은 사람으로부터 신뢰와 존경(尊敬)을 받는 인물이나, *벼슬*하지
못한 채 초야(草野)에서 살아가는 선비를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 辟邪進慶(벽사진경)*: 나쁜 귀신을 쫓고 경사스러운 일로 나아감을 이르는 *말*.
"* 粉白黛綠(분백대록)*: *얼굴*에 분을 희게 바르고 눈썹을 푸르게 그린다는 뜻으로, 여인이 곱게 화장하는 일이나 곱게 화장한 여인을
이르는 말.
#일#미인#눈썹#여인#먹이#화장#의미#*얼굴*"
"* 虛傳官令(허전관령)*: 관청이나 상사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
#상사#*명령*#청#관청#전함#거짓"
* 如兄若弟(여형약제)*: 친하기가 *형제*와 같음.
"* 正出之日(정출지일)*: 바로 뜨는 태양이라는 뜻으로, 때마침 돋는 태양처럼 기세가 더욱 성해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준말 -
正出]."
"* 絶世代美(절세대미)*: 이 *세상*(世上)에서는 견줄 사람이 없을 정도(程度)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여자(女子).
#여자#정도#사람#*세상*"
"* 長者萬燈(장자만등)*: 장자의 일만 개의 등(等)이라는 뜻으로, 불교(佛敎)에서, 부자(富者)가 신불(神佛)에게 일만 개의
등(等)을 올리는 반면에 가난한 *여인*(女人)은 단 하나의 등(等)을 바치지만, 그 참뜻만 있으면 가난한 *여인*(女人)의 한
등(等)이 장자의 만 등(等)에 못지 않다는 말.
#일#참뜻#말#신부#불교#*여인*#부자#개의#장자#신불#가난"
"* 鳳鳥不至(봉조부지)*: 봉황새가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성인이 나면 봉황이 온다는 데서, *세상*에 성인(聖人)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한탄하여 이르는 말의 의미.
#새#말#성#성군#성인#봉황#한탄#의미#*세상*"
"* 朝名市利(조명시리)*: *명예*는 조정에서 다투고 이익은 시장에서 다투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알맞은 곳에서 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일#*명예*#말#이익#저자#시장#조정#의미"
"* 破天荒(파천황)*: (1)이전에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해냄을 이르는 말. ≪북몽쇄언(北夢瑣言)≫에 나오는 말로, 중국
당나라의 형주(荊州) 지방에서 과거의 합격자가 없어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한 상태라는 뜻으로 천황(天荒)이라고 불리었는데
유세(劉蛻)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합격하여 천황을 깼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양반이 없는 시골이나 인구수가 적은 성씨에 *인재*가 나서
본래의 미천한 상태를 벗어남.
#당나라#이름#경우#양반#이전#급제#생각#합격#처음#일#행#유래#과거#사람#북#*인재*#형#상태#성씨#말#양#미천#지방#시골#중국#본래"
* 談笑自若(담소자약)*: *근심*이나 놀라운 일을 당하였을 때도 보통 때와 같이 웃고 이야기함.
* 黃粱一炊(황량일취)*: 메조죽을 쑤는 짧은 *동안*이라는 뜻으로, 부귀(富貴)와 공명(功名)의 덧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血肉(혈육)*: (1)피와 살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부모, 자식, *형제* 따위의 한 혈통으로 맺어진 육친.
"* 乞骸骨(걸해골)*: 심신은 임금께 바친 것이지만 해골만은 돌려달라는 뜻으로, 늙은 *재상*이 벼슬을 내놓고 은퇴하기를 임금에게
주청하던 일. ≪사기(史記)≫의 에서 유래한다.
#몸#때#은퇴#군주#일#신하#청#조정#비유#유래#*재상*#왕#심신#임금#해골#자신#벼슬#말#사직#구걸#의미#연로"
* 至貧無依(지빈무의)*: 매우 *가난*하여 의지할 곳조차 없음.
"* 善惡不二(선악불이)*: 선악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각각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평등 무차별한 하나의 이치로 돌아간다는
말."
* 雲心月性(운심월성)*: 구름 같은 마음과 달 같은 성품이라는 뜻으로, 맑고 깨끗하여 *욕심*이 없음을 이르는 말.
* 還歸故國(환귀고국)*: 외국에 나가 있던 사람이 자기 *나라*로 돌아오거나 돌아감.
"* 家有賢妻丈夫不遭橫事(가유현처장부부조횡사)*: *가정*(家庭)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남편(男便)은 부정(不正)한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부정#남편#아내#*가정*"
"* 肥馬輕裘(비마경구)*: 살진 말과 가벼운 *가죽*옷이라는 뜻으로, 부귀한 사람들의 나들이 차림새를 이르는 말.
#옷#말#갖옷#때#부귀#*가죽*옷#*가죽*#차림새#사람"
"* 末大必折(말대필절)*: 나무 가지가 너무 커지면 반드시 줄기가 부러진다는 뜻으로, 자손(子孫)이 강성해지면 종가(宗家)를 망하게
한다는 의미. 또는 변방(邊方)의 힘이 강해지면 나라가 위태하다는 의미도로 *사용*됨.
#말#나무#위태#나라#*사용*#의미#자손#힘"
"* 山東出相山西出將(산동출상산서출장)*: 산동(山東)에서는 재상(宰相)이 나고 산서(山西)에서는 장수(將帥)가 난다는 말로, 곳에 따라
다른 *인재*(人才)가 난다는 뜻."
"* 風雲才子(풍운재자)*: 비바람을 무릅쓰는 *인재*라는 뜻으로, 어지러운 세상에 위급하고 곤란한 상황을 무릅쓰고 활약하여 공명을
세우는 전도양양(前途揚揚)한 청년을 이르는 말.
#전도양양#바람#비바람#공명#상황#활약#청년#양양#*인재*#위급#곤란#전도#세상"
"* 三位一體(삼위일체)*: (1)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의 세 위격이 하나의 실체인 하나님 안에 존재한다는 교의.
325년 제일 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2)세 *가지*의 것이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되는 일."
"* 春夏秋冬(춘하추동)*: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의 네 계절.
#여름#계절#겨울#봄#*가을*"
"* 鶴髮童顔(학발동안)*: 머리털은 하얗게 세었으나 얼굴은 아이와 같다는 뜻으로, 전설 따위에 나오는 신선의 얼굴을 이르는 말.
#전설#형용#말#아이#신선#백발#어린이#머리#비유#얼굴#머리털#학#모습#따위#아이들"
"* 乃心王室(내심왕실)*: 마음을 *왕*실에 둔다는 뜻으로, 나라에 충성함을 이르는 말.
#충성#마음#국사#*왕*실#나라"
"* 座右之銘(좌우지명)*: 자리 오른*쪽*의 새김이라는 뜻으로, 늘 자리 옆에 갖추어 놓고 반성의 재료로 삼는 격언 [ = 座右銘].
#재료#옆#반성#오른*쪽*#자리"
"* 測水深昧人心(측수심매인심)*: 물 속 깊이는 알아도 사람의 마음속은 모른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사람의 마음은 헤아리기가
어렵다는 *말*."
"* 家狗向裏吠(가구향리폐)*: 집에서 기르는 개가 집 안 쪽을 향(向)해 짖는다는 뜻으로, *은혜*(恩惠)를 원수(怨讐)로 갚음을
이르는 말."
"* 染舊作新(염구작신)*: 옛 것을 물들여 새 것을 만든다는 뜻으로, 헌 것을 물들여 새 것으로 만든다는 개혁과 *변화*의 의미.
#의미#*변화*#물#개혁"
* 自棄(자기)*: 절망에 빠져 *자신*을 스스로 포기(抛棄)하고 돌아보지 아니함.
"* 不知甘苦(부지감고)*: 단지 쓴지를 모른다는 뜻으로, *도리*에 어두운 사람이나 극히 알기 쉬운 이치도 알지 못하는 사람의 비유로
사용함."
"* 溫柔敦厚(온유돈후)*: (1)성격이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인정이 두터움. (2)한시에서 풍기는 독실한 정취. 기교를 부리거나
노골적인 표현이 없는 것을 이르는 말로, 중국에서는 이를 시의 본분으로 여겼다.
#표현#한시#인정#의미#중국#*온화*#성격#성실#기교#본분#성품#정취"
* 見事生風(견사생풍)*: 일을 당하면 손*바람*이 난다는 뜻으로, 일을 빨리 처리함을 이르는 말.
"* 敗軍之將不可以言勇(패군지장불가이언용)*: 싸움에 진 군대(軍隊)의 장수(將帥)는 용(勇)을 말할 수 없다는 뜻으로, 패장은 *군사*(軍事)에
관(關)한 한 말할 자격(資格)이 없음을 이르는 말.
#*군사*#말#자격#장수#용#싸움#군대"
"* 祿不疊受(록불첩수)*: (1)두 가지 *벼슬*을 겸하는 사람이 양쪽의 녹을 겹쳐 받지 아니하고 한 *벼슬*의 녹만 받도록 하던
규정. (2)‘녹불첩수’의 북한어."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