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死灰復燃(사회부연)*: 죽은 불씨에 다시 불이 붙었다는 뜻으로, 세력을 잃었던 사람이 다시 세력을 얻음을 이르는 말.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잡음#재기#말#재가#곤경#불#비유#세력#훌륭#사람"
* 喜怒哀樂(희노애락)*: 기쁨과 노여움과 슬픔과 *즐거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희로애락’이다.
* 伏幸(복행)*: 주로 편지글에서, *자신*의 다행함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 孝子愛日(효자애일)*: 효자는 날을 아낀다는 뜻으로, 될 수 있는 한 오래 부모에게 효성을 다하여 섬기고자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劍首一吷(검수일혈)*: *바람*이 칼자루 끝에 있는 작은 구멍을 스쳐가는 미세한 소리라는 뜻으로, 들어 둘 만한 가치가 없음을
이르는 말.
#*바람*#미세#끝#소리#가치#구멍"
"* 風流雲散(풍류운산)*: *바람*이 불어 구름을 흩어 버린다는 뜻으로, 자취도 없이 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취#*바람*#구름"
"* 代不乏人(대불핍인)*: 어느 시대(時代)나 *인재*(人材)가 없지 아니함.
#시대#*인재*"
"* 風旛之論(풍번지론)*: *바람*에 흔들리는 깃발의 여론이라는 뜻으로, 깃발이 *바람*에 움직이는 것 같이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는
언론(言論)을 이르는 말."
"* 干城(간성)*: 방패와 성이라는 뜻으로, 나라를 지키는 믿음직한 군대나 *인물*을 이르는 말.
#성#군인#나라#방패#*인물*#밖#군대"
* 曉風殘月(효풍잔월)*: 새벽 바람과 지새는 달이라는 뜻으로, 새벽 무렵의 달과 바람이라는 *의미*.
"* 上援下推(상원하추)*: 윗자리에 있는 자는 아랫*사람*을 끌어올리고, 아랫*사람*은 윗*사람*을 추대(推戴)함.
#아랫*사람*#윗*사람*"
"* 三槐(삼괴)*: ‘삼공’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때에 조정의 뜰에 세 그루의 회화나무를 심고 삼공이 이를 향하여 앉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주나라#말#나무#향#그루#때#이것#조정#삼공#중국#*유래*"
"* 天壤之判(천양지판)*: *하늘*과 땅 사이와 같이 엄청난 차이.
#차이#땅#*하늘*#사이"
* 阿諛傾奪(아유경탈)*: *지위*나 권세가 있는 사람에게 아첨하여 남의 *지위*를 빼앗음.
"* 忘我之境(망아지경)*: 어떤 *사물*에 마음을 빼앗겨 자기 자신을 잊어버리는 경지.
#*사물*#마음#생각#열중#자신"
"* 狐疑未決(호의미결)*: 여우가 의심이 많아 결단을 내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의심이 많아 결행(決行)하지 못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 華菅茅束(화관모속)*: 솔새를 물에 적셔 왕골자리를 짤 때는 띠로 묶어야 한다는 뜻으로, 부부(夫婦)는 *서로* 떨어져서는 안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前車可鑑(전거가감)*: 앞*수레*가 엎어진 것을 보고 뒷*수레*가 경계(警戒)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말로, 전인(前人)의
실패(失敗)를 보고 후인(後人)은 이를 경계(警戒)로 삼아야 한다는 의미.
#말#앞#실패#의미#경계#*수레*"
"* 三從之法(삼종지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결혼#자식#법#*남편*#법도#예전"
"* 堅白同異(견백동이)*: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문인 *공손*룡이 논한 궤변. 단단하고 흰 돌은 눈으로 보아 흰 것은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아 단단한 것은 알 수 있으나 빛이 흰지는 모르므로, 단단한 돌과 흰 돌은 동시에 성립하는 개념이
아니라고 하였다.
#빛#그것#빛깔#단단#눈#시대#전국#때#*공손*#중국#물건#조나라#문인#설명#전국시대#개념#동일"
"* 出天烈女(출천열녀)*: *하늘*이 낸 열녀라는 뜻으로, 매우 절개가 굳은 열녀를 이르는 말.
#절개#이름#여인#*하늘*#정조#부녀자#열녀#정도#실천"
"* 萬分之一(만분지일)*: 만으로 나눈 것의 하*나라*는 뜻으로, 아주 적은 경우를 이르는 말.
#비교#경우"
새끼
"*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조금 낫고 못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차이가 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 양(梁)나라
혜왕(惠王)이 정사(政事)에 관하여 맹자에게 물었을 때, 전쟁에 패하여 어떤 자는 백 보를, 또 어떤 자는 오십 보를 도망했다면, 백
보를 물러간 사람이나 오십 보를 물러간 사람이나 도망한 것에는 양자의 차이가 없다고 대답한 데서 유래한다."
"* 無爲而化(무위이화)*: (1)힘들이지 않아도 저절로 변하여 잘 이루어짐. 출전은 ≪논어≫ 이다. (2)성인의 덕이 크면 클수록
백성들이 좋은 영향을 받아 스스로 잘 변화하게 됨. (3)천도교에서, 한울님의 전지전능으로 이룬 자존 자율의 우주 법칙.
#백성#우주#영향#성인#위정자#천도교#출전#교화#한울#한울님#백성들#법칙#변화"
"* 慈母(자모)*: (1)*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팔모(八母)의 하나. 어머니를 여읜 뒤
자신을 길러 준 아버지의 첩을 이르는 말이다."
"* 風燈(풍등)*: (1)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열기구의 원리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띄우는 등. 대나무로 된 뼈대 위에 한지로 만든 등갓을 붙인
다음 뼈대 가운데에 기름을 먹인 심지를 고정하여 만든다. 과거에는 밤에 하늘로 띄워 군*사용* 신호를 보내는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으나,
보통 복을 기원하거나 놀이를 위하여 띄운다."
"* 堅白同異(견백동이)*: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문인 공손룡이 논한 궤변. 단단하고 흰 돌은 눈으로 보아 흰 것은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아 단단한 것은 알 수 있으나 빛이 흰지는 모르므로, 단단한 돌과 흰 돌은 동시에 성립하는 개념이
아니라고 하였다."
"* 膠柱鼓瑟(교주고슬)*: 아교풀로 비파나 거문고의 기러기발을 붙여 놓으면 음조를 바꿀 수 없다는 뜻으로, 고지식하여 조금도 융통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인상여#인상#기러기발#말#아교풀#풀#융통성#고지식#조금#변통#규칙#거문고#연주"
"* 自受用身(자수용신)*: *수행*이 끝나 복덕과 지혜가 원만하고 밝아 늘 진리를 관조하여 스스로 그 법락(法樂)을 받는 불신(佛身).
#원만#법#복#행#완성#복덕#진리#*수행*#법락#지혜"
"* 三從之禮(삼종지례)*: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결혼#자식#남편#예전"
* 先禮後學(선례후학)*: 먼저 예의를 배우고 나중에 *학*문을 배우라는 뜻으로, 예의가 우선임을 이르는 말.
* 望眼成穿(망안성찬)*: 눈을 바라보아 구멍이 생긴다는 뜻으로, 구멍이 날 *정도*로 응시하는 뚫어지게 바라본다는 의미.
"* 貪名愛利(탐명애리)*: 명예를 탐내고 *이익*에 집착하는 일.
#일#명예#*이익*#집착"
"* 投瓜得瓊(투과득경)*: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구슬*#선물#두고#답례#사소#훌륭"
"* 灰頭土面(회두토면)*: 머리에 재를 뒤집어쓰고 얼굴에 흙을 칠한다는 뜻으로, 속인(俗人)과 같이 어울려 그 처지에서 말하며 같이
고뇌를 나누어야 한다는 중생 교화를 위한 거리낌 없는 노력의 *의미*."
"* 殘月曉星(잔월효성)*: 새벽녘의 달과 별.
#달#별#의미#새벽#쇠"
"* 一敗塗地(일패도지)*: 싸움에 한 번 패하여 간과 뇌가 땅바닥에 으깨어진다는 뜻으로,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 일어날 수 없게 되는
*지경*에 이름을 이르는 말. 한 고조 유방의 말로서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 春露秋霜(춘로추상)*: 봄 이슬과 가을 서리라는 뜻으로, ‘春露’는 은택(恩澤)을, ‘秋霜’은 위엄(威嚴)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로 사용됨.
#이슬#위엄#말#*표현*#사용#서리#봄#가을#은택"
* 廻天挽日(회천만일)*: *하늘*을 돌리고 지는 해를 잡아당긴다는 뜻으로, 힘이 매우 셈을 이르는 말.
"* 內富外貧(내부외빈)*: 겉으로 보기에는 *가난*한 듯하나 속은 부유(富裕)함을 이르는 말.
#겉#*가난*#부유"
"* 破屋數間(파옥수간)*: 부서진 집 몇 칸이라는 뜻으로, *허물*어지고 협소(狹小)한 집을 의미하는 말.
#집#의미"
"* 聲聞過情(성문과정)*: 명성이 실정을 앞선다는 뜻으로, 그 사람의 가치 이상으로 평판이 높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평판#명성#*사용*#가치#이상#실정#사람"
"* 三鐘懺法(삼종참법)*: 죄악(罪惡)을 참회(懺悔)하는 세 *가지* 방법(方法). 곧
작법참(作法懺)ㆍ취상참(取相懺)ㆍ무생참(無生懺)을 이름."
"* 安過太平(안과태평)*: 탈 없이 *태평*하게 지나감. 또는 그렇게 지냄.
#탈#*태평*"
"* 半死之境(반사지경)*: 반죽음이 된 상태.
#*지경*#상태"
"* 在家讀書(재가독서)*: 밖에 나가지 아니하고 집에 머물며 글을 읽음.
#밖#*독서*#집"
"* 無厭之慾(무염지욕)*: 만족할 줄 모르는 끝없는 *욕심*.
#만족#*욕심*"
"* 一龍一蛇(일룡일사)*: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가거나 뱀이 되어 못 속에 숨는다는 뜻으로, 태평한 시대에는 세상에 나와 일을 하고
난세에는 은거하여 *재능*을 나타내지 아니하고 시대에 잘 순응함을 이르는 말."
"* 渾然一體(혼연일체)*: 생각, *행동*, 의지 따위가 완전히 하나가 됨.
#몸#차이#생각#덩어리#자연#융화#차별#의지#*행동*#조금#따위#사람"
"* 絃歌不輟(현가불철)*: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노래#학문#어려움#계속#거문고#공자#*고사*#유래"
"* 短池孤草長通市求利來(단지고초장통시구리래)*: 짧은 연못엔 외로운 풀만 길어나고, 시장(市場)을 통(通)하니 *이익*(利益)을
구(求)하여 옴.
#연못#*이익*#시장"
"* 仁者樂山(인자요산)*: 어진 사람은 의리에 만족하여 *몸*가짐이 무겁고 덕이 두터워 그 마음이 산과 비슷하므로 자연히 산을 좋아함.
#마음#만족#심경#의리#의미#*몸*가짐#행동#산#비슷#사람"
"* 學海(학해)*: (1)학문의 바다라는 뜻으로, 학문의 *세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냇물이 끊임없이 흘러 바다에
들어가듯이, 사람도 꾸준히 학문에 힘써서 끝내 대성함을 이르는 말.
#*세계*#말#냇물#학문#비유#성함#학#사람"
"* 反裘而負薪(반구이부신)*: 갖옷의 털이 상할까하여 뒤집어 입고, 나무를 등(等)에 졌더니 도리어 갖옷이 못쓰게 되었다는 뜻으로,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사람이나 *생각*이 좁은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 輪遞天子(윤체천자)*: 바퀴가 돌 듯 갈마드는 *천자*라는 뜻으로, 돌아가며 한번씩 하는 *천자*자리인 ‘돌림*천자*’라는
의미인데, 사대주의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호방한 기상을 엿볼 수 있는 백호(白湖) 임제(林悌)의 주장에서
유래함.[출전]《성호사설(星湖僿說)》〈선희학(善戱謔)>."
"* 事半功倍(사반공배)*: 들인 *노력*은 적고 얻은 성과는 큼.
#일#배#성#*노력*#성과#효과"
* 擲果滿車(척과만거)*: 던진 과일이 수레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여성(女性)이 남성(男性)에게 *사랑*을 고백(告白)함을 이르는 말.
"* 仰天痛哭(앙천통곡)*: *하늘*을 쳐다보며 몹시 욺.
#*하늘*"
* 無施主衣(무시주의)*: 시주가 없는 옷이란 뜻으로, 승려가 *자신*이 모은 천 조각으로 꿰매어 만든 옷을 이르는 말.
"* 風勢大作(풍세대작)*: *바람*이 세차게 붊.
#*바람*#기세"
"* 慈烏反哺(자오반포)*: 자애로운 까마귀의 돌이켜 먹임이라는 뜻으로, 까마귀가 다 자란 후에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는 데서
*자식*이 부모의 은혜를 갚음을 비유하는 말."
"* 煙幕戰術(연막전술)*: (1)적의 관측이나 사격으로부터 아군의 군사 *행동* 따위를 감추기 위하여 연막을 치는 전술. (2)어떤
사실을 숨기기 위하여 약삭빠르고 능청스러운 말이나 수단 따위를 써서 상대편이 갈피를 못 잡게 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自勝之癖(자승지벽)*: *자기* 스스로 남보다 낫다고 여기는 버릇.
"* 腹心之疾(복심지질)*: (1)배나 가슴을 앓는 고치기 어려운 병. (2)떨쳐 버릴 수 없는 *근심*이나 걱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질병#배#병#비유#걱정#*근심*#가슴"
"* 風斯在下(풍사재하)*: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오름을 이르는 말.
#오름#새#때#*바람*"
"* 羚羊挂角(영양괘각)*: 영양이 밤에 잘 때에는 나뭇가지에 뿔을 걸어서 위해(危害)를 막는다는 뜻으로, 흔적(痕跡ㆍ痕迹)을 찾을 수
없음. 모든 것을 초탈하여 자유분방(奔放)한 시의 *세계*(世界)를 이르는 말."
* 衆口一辭(중구일사)*: 여러 사람의 입에서 하나의 말을 한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하는 말이 *일*치함을 이르는 말.
자식
"* 吳越同舟(오월동주)*: 서로 적의를 품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된 경우나 서로 협력하여야 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서로 적대시하는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으나 풍랑을 만나서 서로 단합하여야 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출전은 ≪손자(孫子)≫의 이다.
#풍랑#배#사람#경우#춘추#시대#전국#출전#원수#*상황*#나라#적의#중국#손자#서로#유래#오나라#월나라"
"* 人鬼相半(인귀상반)*: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쇠약#형용#병#비유#뼈#*고통*#생사#경계#상태#중병#절반#귀신#사람"
"* 篳門圭竇(필문규두)*: 섶*나무* 울타리 사립문과 모나고 둥근 허술한(규격이 없는) 창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篳門閨竇’으로도 표현함."
"* 長蛇陣(장사진)*: (1)많은 사람이 줄을 지어 길게 늘어선 *모양*을 이르는 말. (2)예전의 병법에서, 한 줄로 길게 벌인
군진(軍陣)의 하나."
"* 一葉知秋(일엽지추)*: 하나의 나뭇잎을 보고 가을이 옴을 안다는 뜻으로, 조그마한 일을 가지고 장차 올 일을 미리 짐작함.
≪회남자(淮南子)≫ 에서 *유래*한다."
"* 雉膏不食(치고불식)*: 꿩 기름을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몸에 좋은 꿩 기름도 먹지 않는 것처럼 재덕이 있어도 임금에게 채용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출전- 주역(周易)]."
"* 上壽(상수)*: (1)나이가 보통 사람보다 썩 많음. 또는 그 나이. (2)100세의 나이. 또는 그 나이가 된 노인. *장수*한
것을 상ㆍ중ㆍ하로 나누었을 때 가장 많은 나이를 이른다. (3)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잔치#말#술잔#주인공#*장수*#보통#때#100세#수명#나이#노인#환갑잔치#이상#따위#사람"
* 私利私慾(사리사욕)*: 사사로운 *이익*과 욕심.
"* 石蹲壯士拳峰尖文章筆(석준장사권봉첨문장필)*: 돌이 박혀 있는 것은 장사의 주*먹이*요, 봉오리의 뾰족함은 문장(文章)의(글쓰는)
붓임.
#장사#돌이#붓#문장"
"* 別世界(별세계)*: (1)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 밖의 다른 세상. (2)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특별#경치#우리#밖#세상"
시대
"* 棟梁之器(동량지기)*: 마룻대와 들보로 쓸 만한 재목(材木)이라는 뜻으로, *나라*의 중임을 맡을 만한 큰 인재(人材).
#인재#재목#들보#*나라*"
"* 三千世界(삼천세계)*: 소천, 중천, 대천의 세 종류의 천*세계*가 이루어진 *세계*. 이 끝없는 *세계*가 부처 하나가 교화하는
범위가 된다.
#범위#*세계*#준말#불교#종류#교화#부처#세상"
아들
"* 方便道德(방편도덕)*: 그 자체가 *목적*이 되지 못하고 다른 것의 수단이 되는 도덕.
#자체#일#생각#도덕#수단#*목적*"
* 聲振林木(성진임목)*: 목소리가 숲의 나무를 떨게 한다는 뜻으로, 노랫소리의 격렬함을 *비유*하는 말.
"* 臥薪嘗膽(와신상담)*: 불편한 섶에 *몸*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의 와 ≪십팔사략≫ 등에 나오는 이야기로,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가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장작더미 위에서 잠을 자며 월나라의 왕 구천(句踐)에게 복수할 것을 맹세하였고, 그에게
패배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丹脣皓齒(단순호치)*: 붉은 *입술*과 하얀 치아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를 이르는 말.
#여자#미인#*입술*#아름#여인#의미#자태#얼굴"
"* 邯鄲之夢(한단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일생#허무#여옹#침#인생#영고성쇠#메조#노생#꿈속#유래#인간#일장춘몽#부귀영화#*베개*#동안#80년#말#꿈#한단#밥#영화#부귀#잠"
* 命世之雄(명세지웅)*: 한 *시대*(時代)를 바로잡아 구(救)할 만한 뛰어난 인재(人材).
"* 溫衣美飯(온의미반)*: 따뜻한 옷과 맛좋은 밥이라는 뜻으로, 따뜻한 의복을 입고 맛있는 음식을 먹는 안락한 *생활*을 한다는 의미.
#옷#안락#의복#밥#의미#음식#맛#*생활*"
"* 强顔(강안)*: 얼굴 *가죽*이 두껍다는 뜻으로, 부끄러움을 모름.
#부끄러움#*가죽*#모름#얼굴"
"* 灰頭土面(회두토면)*: 머리에 재를 뒤집어쓰고 얼굴에 흙을 칠한다는 뜻으로, 속인(俗人)과 같이 어울려 그 처지에서 말하며 같이
고뇌를 나누어야 한다는 중생 교화를 위한 거리낌 없는 *노력*의 의미.
#고뇌#말#*노력*#거리낌#속인#머리#의미#얼굴#중생#흙#교화"
"* 開山祖師(개산조사)*: 절을 처음 세우거나 종파를 새로 연 *승려*.
#처음#종파#*승려*#사람"
"* 河海之恩(하해지은)*: 큰 강이나 *바다*와 같이 넓고 큰 은혜.
#은혜#강"
"* 疾風怒濤(질풍노도)*: (1)몹시 빠르게 부는 바람과 무섭게 소용돌이치는 물결. (2)18세기 후반에 독일에서 일어난 *문학*
운동. 계몽주의 사조에 반항하면서 감정의 해방, 개성의 존중 및 천재주의를 주장하였다. 하만과 헤르더가 선구(先驅)를 이루고 괴테와
실러 등이 중심이 되었다.
#중심#거침#후반#개성#행위#바람#말#운동#사조#물결#비유#의미#감정#*문학*#주장#주의#존중#독일"
"* 轍迹(철적)*: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물*이 지나간 흔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물*#흔적#자국#수레바퀴"
"* 殺生有擇(살생유택)*: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 洋洋大海(양양대해)*: 한없이 넓고 큰 *바다*.
"* 忍之爲德(인지위덕)*: 참는 것이 덕이 됨을 이르는 말.
#미덕"
* 匿跡消聲(익적소성)*: 종적을 감추고 *소리*를 없앤다는 뜻으로, 숨어살면서 세상일을 알려고도 하지 않고 묻지도 않는다는 의미.
"* 腹高如山(복고여산)*: (1)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아이 밴 여자의 배부른 모양을 이르는 말. (2)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부자의 거만스러운 모습을 이르는 말."
"* 末學膚受(말학부수)*: 말단의 학문을 피부로만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근본*을 배우지 않고 겉껍질만을 배우는 학문의 천박함을 이르는
말."
"* 百年偕樂(백년해락)*: 부부가 되어 한평생을 같이 즐겁게 지냄.
#부부#한평생"
"* 莫往莫來(막왕막래)*: *서로*가 오고 가지 않음.
#*서로*#왕래"
시대
* 稱家有無(칭가유무)*: 집의 유무에 맞춘다는 뜻으로, 집의 빈부에 따라, 곧 가산(家産)에 따라 일을 *알*맞게 함을 이르는 말.
"* 蝸角之爭(와각지쟁)*: (1)작은 나라끼리의 싸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달팽이의 더듬이 위에서 싸운다는 뜻으로, 하찮은
일로 벌이는 싸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의 에 나오는 말이다.
#일#양편#말#달팽이#다툼#나라#영토#사용#의미#*장자*#고사#촉수#싸움#뿔"
"* 百官有司(백관유사)*: 조정(朝廷)의 많은 벼슬아치. 또는 모든 관리(官吏).
#조정#벼슬아치#관리"
* 無故作散(무고작산)*: 아무런 까닭 없이 *벼슬*을 빼앗음.
"* 南蠻北狄(남만북적)*: *남*쪽과 북쪽에 있는 오랑캐. 예전에 중국에서 거란이나 몽고, 인도차이나 따위의 여러 민족을 이르던 말이다.
#말#예의#의미#중국#족속#한족#오랑캐#북쪽#*남*쪽#주변#민족#예전#따위"
"* 寒往暑來(한왕서래)*: *추위*가 물러가고 무더위가 온다는 뜻으로, 세월(歲月)이 흘러감을 이르는 말.
#세월#*추위*"
* 此月彼月(차월피월)*: 이 *달* 저 *달* 하고 자꾸 기한을 미루는 모양.
"* 禮別尊卑(예별존비)*: 예도(禮度)에 존비(尊卑)의 분별(分別)이 있으니 군신(君臣), 부자(父子), *부부*(夫婦),
장유(長幼), 붕우(朋友)의 차별(差別)이 있음."
"* 風磨雨洗(풍마우세)*: *바람*에 갈리고 비에 씻김.
#*바람*#비*바람*#자연#동안#침식"
"* 同舟相救(동주상구)*: 같은 배를 탄 사람끼리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같은 *운명*이나 처지에 놓이면 아는 사람이나 모르는 사람이나
서로 돕게 됨을 이르는 말.
#모아#배#때#관계#*운명*#이해#구조#힘#사람"
"* 泰極否來(태극비래)*: 편안함이 다하면 비극이 온다는 뜻으로, 안태(安泰)한 좋은 운이 지극함에 이르면 이윽고 나쁜 재앙(災殃)의
액운이 온다는 *의미*."
"* 紅一點(홍일점)*: (1)푸른 잎 가운데 피어 있는 한 송이의 붉은 꽃. 왕안석의 영석류시(詠石榴詩)에서 *유래*한다. (2)여럿
속에서 오직 하나 이채(異彩)를 띠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많은 남자 사이에 끼어 있는 한 사람의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池魚之殃(지어지앙)*: 못의 물고기에 미치는 재앙이라는 뜻으로, 제삼자가 엉뚱하게 *재난*을 당함을 이르는 말. 성문(城門)에 난
불을 끄려고 못의 물을 전부 퍼 온 탓으로 그 못의 물고기가 말라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죄#엉뚱#*재난*#때문#때#재앙#불#생각#비유#성문#물#나라#의미#말라#연못#제삼자#고사#유래#화재"
"* 白首殘年(백수잔년)*: 늙어서 머리가 세고 살날이 얼마 남지 않음.
#늙바탕#얼마#머리"
"* 落張不入(낙장불입)*: (1)‘낙장*불*입’의 북한어. (2)화투ㆍ투전ㆍ트럼프 따위를 할 때에, 판에 한번 내어놓은 패는 물리기
위하여 다시 집어 들이지 못함."
"* 鳳鳴朝陽(봉명조양)*: (1)봉황새가 산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길조(吉兆)를 이르는 말. (2)뛰어난 행위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
"* 搜章摘句(수장적구)*: 문장을 찾아 구절을 따낸다는 뜻으로, 문장 중의 중요한 어구를 기억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거나 남의 문장을
표절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중요#*사용*#문장#의미#구절#기억"
"* 孝悌忠信(효제충신)*: 어버이에 대한 *효*도, 형제끼리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성과 벗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
#충성#사이#벗#친구#임금#관계#나라#형제끼리#*효*도#공경#형제#의미#신의#어버이#믿음#이상#우애"
"* 我及兄弟同受親血(아급형제동수친혈)*: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형제*#어버이#한가지"
"* 善行無鐵迹(선행무철적)*: 길을 잘 가는 사람은 *수레* 자국이나 발자국을 남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참된 선행은 남의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의미.
#발자국#눈#자국#길#의미#*수레*#선행#사람"
"* 自取富貴(자취부귀)*: 제 힘으로 *부귀*(富貴)를 누리게 됨.
#누리#힘#*부귀*"
* 風樹之悲(풍수지비)*: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推位讓國(추위양국)*: *벼슬*을 미루고 나라를 사양(辭讓)하니 요(堯)임금이 순(舜)임금에게 전위(傳位)하였음.
"* 傾城(경성)*: (1)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태롭게 할 정도로 뛰어남을 이르는 말. (2)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미인*#성#위태#준말#나라#정도"
* 糊口之方(호구지방)*: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 善隣友好(선린우호)*: 이웃 나라 또는 이웃과 사이좋게 지내며 잘 사귄다는 뜻으로, 외교(外交) 상(上) 이웃 나라와 우호(友好)
*관계*(關係)를 맺는 일.
#일#외교#*관계*#나라#이웃"
"* 明天之下(명천지하)*: 밝은 하늘 아래라는 뜻으로, 총명한 임금이 다스리는 *태평*한 세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총명#아래#임금#*태평*#하늘#세상"
* 樵童牧豎(초동목수)*: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天雷(천뢰)*: (1) 천연(天然)ㆍ*자연*(自然)의 소리. 곧 바람 소리, 빗소리 따위 (2) 아주 뛰어난 시문(詩文).
#따위#바람#천연#소리#*자연*#시문"
* 師心自是(사심자시)*: 자기(自己)의 *생각*만을 옳다고 함.
"* 因緣爲市(인연위시)*: 인연으로 시장을 삼는다는 뜻으로, 재판할 때 관리가 사정에 의해 부정한 판결을 한다는 의미. ‘因緣’은 뇌물
같은 사적 *관계*, ‘爲市’는 물품 흥정하는 시장 같은 형(刑)의 경중(輕重)을 좌우하는 일."
* 狼貪虎視(낭탐호시)*: 이리같이 탐내고 *범*처럼 노려봄을 이르는 말.
"* 西瓜皮舐(서과피지)*: 수박 껍질 핥기라는 뜻으로, 우리말 속담 ‘수박 겉핥기’의 한역인데, 사물의 속 내용은 모르고 겉만 건드리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사용*됨."
"* 排佛崇儒(배불숭유)*: *불교*(佛敎)를 배척(排斥)하고 유교(儒敎)를 숭상(崇尙)하는 일.
#일#유교#숭상#배척#*불교*"
"* 太乙仙女(태을선녀)*: *하늘*에 있는 선녀.
#*하늘*#선녀"
* 桃梨千機錦江山一畵屛(도리천기금강산일화병)*: 복숭아와 배는 일 천 개 베틀의 비단(緋緞)이요, *강*과 산은 한 폭의 병풍(屛風)임.
"* 道不拾遺(도불습유)*: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형벌이 준엄하여 백성이 *법*을 범하지 아니하거나 민심이
순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한비자≫의 에 나오는 말이다."
* 恃德者昌(시덕자창)*: 덕을 믿는 사람은 창성한다는 뜻으로, 올바른 덕에 의지하는 사람은 번영(繁榮)한다는 *의미*.
* 凡樹常草(범수상초)*: 흔히 볼 수 있는 보통의 *나무*나 풀.
"* 百不一失(백불일실)*: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의미*#백#실수#가운데#목적"
"* 盛水不漏(성수불루)*: 가득 찬 물이 조금도 새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물*이 빈틈없이 꽉 짜였거나 매우 정밀함을 이르는 말.
#*사물*#빈틈#새#정밀#물#조금"
"* 本非我物(본비아물)*: 본디 내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뜻밖에 얻은 *물*건은 잃어버려도 과히 섭섭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본래#*물*건#말#뜻밖"
"* 閉門造車(폐문조거)*: 문을 닫고 *수레*를 만든다는 뜻으로, 실제 상황에 부합하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자기 고집이나 생각대로만 일을
처리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高麗公事三日(고려공사삼일)*: 고려 때의 공적인 일은 삼 일밖에 안 갔다는 뜻으로, 오래 참고 견디지 못하고 자주 변동함. 고려
무신정권 때의 *고사*.
#일#말#법령#고려#때#비유#시작#정책#변동#계속#정권#사흘#*고사*#공적"
"* 事有終始(사유종시)*: 일은 *시작*과 끝이 있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는 일의 순서상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과 나중에 해야 할 일이
있기 마련이라는 의미."
"* 拔山蓋世(발산개세)*: 힘은 산을 뽑을 만큼 매우 세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큼 웅대함을 이르는 말.
#기력#웅대#비유#기운#기개#기상#힘#산#*세상*"
"* 巫山雲(무산운)*: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多多益善(다다익선)*: (1)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음. 중국 한(漢)나라의 장수 한신이 고조(高祖)와 장수의 역량에 대하여 얘기할
때, 고조는 10만 정도의 병사를 지휘할 수 있는 *그릇*이지만, 자신은 병사의 수가 많을수록 잘 지휘할 수 있다고 한 말에서
유래한다. (2)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1988년에, 10월 3일 개천절의 의미를 담아 1003개의 티브이 모니터로 마치 하나의 거대한
탑처럼 구성하여 제작하였다. 이 작품은 전화, 라디오, 티브이 방송 따위의 신호를 받는 수신의 의미를 담고 있다.
#때#탑#일#병사#장수#역량#작품#*그릇*#백#10월#유래#정도#고조#상황#신호#자신#따위#지휘#말#구성#나라#의미#중국"
"* 搜章摘句(수장적구)*: 문장을 찾아 구절을 따낸다는 뜻으로, 문장 중의 중요한 어구를 *기억*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거나 남의 문장을
표절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중요#사용#문장#의미#구절#*기억*"
"* 莫莫窮山(막막궁산)*: 인적(人跡)이 없어 적막(寂寞)하도록 깊고 높은 *산*.
#*산*#적막"
"* 自尊自大(자존자대)*: *자기*를 높고 크게 여김.
#여김"
"* 露凝千片玉菊散一叢金(노응천편옥국산일총금)*: *이슬*이 어리니 천 조각의 구슬이요, 국화(菊花)가 날리니 한떨기 금임.
#*이슬*#구슬#금#국화#조각"
"* 藏頭隱尾(장두은미)*: 머리를 감추고 *꼬리*를 숨긴다는 뜻으로, 일의 전말을 분명히 밝히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일#확실#머리#경과#의미#분명#*꼬리*#전말"
"* 專對之才(전대지재)*: 상대편의 물음에 지혜롭게 대답할 수 있어 외국의 사신으로 보낼 만한 *인재*.
#물음#사신#외국#상대편#혼자#대답#*인재*#지혜"
"* 破瓜之年(파과지년)*: (1)여자의 *나이* 16세를 이르는 말. ‘瓜’ 자를 파자(破字)하면 ‘八’이 두 개로 ‘二八’은 16이
되기 때문이다. (2)남자의 *나이* 64세를 이르는 말. ‘瓜’ 자를 파자하면 ‘八’이 두 개로 두 개의 ‘八’을 곱하면 64가 되기
때문이다."
"* 死生關頭(사생관두)*: 죽고 사는 것이 달린 매우 위태로운 *고비*.
#위태#*고비*"
"* 盲者丹靑(맹자단청)*: 맹자의 단청 구경이라는 뜻으로, 보아도 *이해*하지 못할 사물을 보는 것을 이르는 말.
#사물#소경#맹자#*이해*#구경"
"* 不問可知(불문가지)*: 묻지 아니하여도 알 수 있음.
#의미#그름#확인"
"* 溫衣美飯(온의미반)*: 따뜻한 옷과 맛좋은 밥이라는 뜻으로, 따뜻한 의복을 입고 맛있는 음식을 먹는 안락한 생활을 한다는 *의미*.
#옷#안락#의복#밥#*의미*#음식#맛#생활"
* 別而聽之(별이청지)*: 구별해서 듣는다는 뜻으로, 한사람 한사람에 대하여 따로따로 듣거나 따로 묻는 상황을 *의미*하는 말.
* 天光之貴(천광지귀)*: *하늘*에서 빛나는 것 가운데 가장 귀한 것이라는 뜻으로, ‘태양’을 이르는 말.
"* 慈母(자모)*: (1)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팔모(八母)의 하나. 어머니를 여읜 뒤
자신을 길러 준 아버지의 첩을 이르는 말이다."
"* 死生榮辱(사생영욕)*: 죽음과 삶과 영예와 치욕의 뜻으로, 인간 삶의 파란만장(波瀾萬丈) *인생* 역정의 의미.
#인간#죽음#의미#치욕#*인생*#삶"
"* 破麥剖梨(파맥부리)*: 보리를 찧고 배를 가른다는 뜻으로, 보리를 찧으면 기울(麩(부):속껄질)이 생기고 배를 쪼개면
씨(종자(種子))가 나오는 것처럼 부(麩)와 부(夫), 종(種)과 子(자)를 연결하여 잃거나 헤어졌던 남편과 자식을 다시 만나는 일을
일컫는 말로 *사용*됨."
* 夢中占夢(몽중점몽)*: *꿈*속에서 *꿈*을 점친다는 뜻으로, 사람의 인생이 덧없다는 의미.
* 大辯如訥(대변여눌)*: 말을 잘하는 사람은 함부로 지껄이지 아니하여 *도리*어 말이 서투른 것처럼 보임.
"* 慈烏反哺(자오반포)*: 자애로운 까마귀의 돌이켜 먹임이라는 뜻으로, 까마귀가 다 자란 후에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는 데서
*자식*이 부모의 은혜를 갚음을 비유하는 말."
"* 一木難支(일목난지)*: 한 *나무*로는 지탱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큰 집이 무너지는 것을 한 기둥으로는 받치지 못하는 것처럼,
기울어지는 대세를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지탱#대세#집#*나무*#혼자#비유#기둥"
"* 粉骨碎身(분골쇄신)*: (1)뼈를 가루로 만들고 *몸*을 부순다는 뜻으로, 정성으로 노력함을 이르는 말. 또는 그렇게 하여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짐. (2)참혹하게 죽음.
#참혹#*몸*#가루#정성#노력#희생#죽음#비유#뼈#수고#각오#힘#전력"
* 隔世卽忘(격세즉망)*: 사람이 이 *세상*에 다시 태어날 때는 전생의 일을 모두 잊어버린다는 말.
* 良工苦心(양공고심)*: 훌륭한 장인(匠人)은 애쓴다는 뜻으로, *재주*가 뛰어난 사람의 가슴 속에는 고심이 많다는 말.
"* 粉骨碎身(분골쇄신)*: (1)뼈를 가루로 만들고 *몸*을 부순다는 뜻으로, 정성으로 노력함을 이르는 말. 또는 그렇게 하여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짐. (2)참혹하게 죽음.
#참혹#*몸*#가루#정성#노력#희생#죽음#비유#뼈#수고#각오#힘#전력"
"* 下石上臺(하석상대)*: 아랫돌 빼서 윗돌 괴고 윗돌 빼서 아랫돌 괸다는 뜻으로,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둘러맞춤을 이르는 말.
#일#말#임시*변통*#윗돌#*변통*#임시#처리#아랫돌"
* 蓬生麻中不扶自直(봉생마중불부자직)*: 쑥이 삼 가운데서 자라면 붙들어 주지 않아도 스스로 곧아짐.
"* 錐刀之末(추도지말)*: 뾰족한 송곳의 끝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일을 이르는 *말*.
#사물#일#이익#칼#끝#비유#송곳#얼마"
"* 靑春(청춘)*: (1)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이라는 뜻으로,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을 이르는 말. (2)1914년 10월에 최남선이 창간한 우리나라 최초의 월간 종합지. 청년을 상대로 한 계몽지로서 ≪소년≫지가
폐간된 후 그 후신으로 발간한 것으로, 신문학 운동이 일어나던 무렵에 문학 작품의 발표 및 문예 작품 현상 모집에 의한 창작 의욕의
진작, 해외 문학 번역 소개 등 문학 발전에 큰 구실을 하였다. 1918년 8월까지 통권 15호를 냈다. (3)독일의 극작가
할베(Halbe, M.)가 지은 희곡. *주인*공 안헨은 대학생인 한스와 사랑을 나누나, 안헨의 이복 오빠가 질투심에서 한스를 죽이려다
잘못해서 동생 안헨을 죽이게 된다는 내용이다. 청춘의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그 당시 연애 희곡의 대표작이다. 1893년에
초연되었다. 3막. (4)1936년에 극작가 남궁만(南宮滿)이 쓴 희곡. 평양 변두리의 빈민굴에서 살아가는 실직 노동자 가족의 비극을
다룬 작품이다.
#내용#의욕#창작#당시#후반#*주인*공#현상#진작#8월#시절#문학#나이#초연#인생#봄철#사랑#운동#안헨#작품#발전#10월#무렵#가족#소년
#상대#발표#우리#동생#우리나라#주제#구실#비극#잘못#나라#청년#만물#청춘#독일"
"* 壽則多辱(수즉다욕)*: 오래 살수록 그만큼 욕됨이 많음을 이르는 말. ≪*장자*≫ 에 나오는 말이다.
#말#표현#고생#*장자*#욕"
"* 樂而思蜀(낙이사촉)*: (1) 타향(他鄕)의 생활(生活)이 즐거워 고향(故鄕) *생각*을 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2) 눈앞의
즐거움에 겨워 근본(根本)을 잊게 될 때를 비유(比喩)."
* 私其飮食禽雖之類(사기음식금수지류)*: 형제(兄弟) 간(間)에 음식(飮食)을 사사(私事)로이 한다면 새나 짐승의 무리와 같음.
"* 死有餘睾(사유여고)*: 죽어도 오히려 죄(罪)가 남음.
#죄"
* 女尊男卑(녀존남비)*: (1)사회적 *지위*나 권리에 있어 여자를 남자보다 우대하고 존중하는 일. (2)‘여존남비’의 북한어.
* 雨露之澤(우로지택)*: 이슬과 비의 덕택이라는 뜻으로, *왕*의 넓고 큰 은혜를 이르는 말.
"* 夢幻(몽환)*: (1)꿈과 환상이라는 뜻으로, 헛되고 터무니없는 생각을 이르는 말. (2)이 세상의 모든 *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先花後果(선화후과)*: 먼저 *꽃*이 피고 나중에 열매가 맺힌다는 뜻으로, 먼저 딸을 낳고 나중에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 壁有耳(벽유이)*: 벽에 귀가 있다는 뜻으로, *비밀*은 새기 쉽다는 것을 경계하는 의미의 속담.
#새#*비밀*#의미#경계#속담#귀"
"* 白髮悲花落靑雲羨鳥飛(백발비화락청운선조비)*: 늙은이는 *꽃*이 떨어짐을 슬퍼하고, 관리(官吏)는 새가 날음을 부러워함. 즉 높은
관직에 오르고자 함.
#새#관직#관리#*꽃*#늙은이"
* 絶海孤島(절해고도)*: 바다 건너 외로운 섬이라는 뜻으로, 육지에서 아주 멀리 떨러져 있는 외딴 섬의 *의미*.
"* 野廣天低樹江淸月近人(야광천저수강청월근인)*: 들이 넓으니 하늘이 나무보다 낮은 듯하고, *강*이 맑으니 달이 사람에게 가까이 있는
듯함."
"* 撻楚(달초)*: (1)어버이나 스승이 자식이나 제자의 잘못을 징계하기 위하여 회초리로 볼기나 종아리를 때림. (2)닦*달*하거나
문초함.
#자식#때#잘못#징계#제자#스승#경계#어버이"
"* 無事泰平(무사태평)*: 일이 없이 *태평*하다는 뜻으로, 아무 탈이 없이 편안하다는 의미거나, 어떤 일에도 개의하지 않고 마음이
*태평*하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일#마음#탈#개의#*태평*#사용#의미#편안"
"* 與虎謀皮(여호모피)*: *호랑이*와 더불어 *호랑이* 가죽을 벗길 것을 꾀한다는 뜻으로, 이해관계가 서로 맞지 않는 사람과 의논하면
원하는 바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의논#근본적#이해관계#꾀#*호랑이*#근본#가죽#사람"
"* 絃歌不輟(현가불철)*: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노래#*학문*#어려움#계속#거문고#공자#고사#유래"
"* 完璧(완벽)*: (1)빌린 물건을 정중히 돌려보냄.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인상여(藺相如)가 진(秦)나라의 소양*왕*이 열다섯
성(城)과 화씨(和氏)의 벽(璧)을 바꾸자고 하여 진나라에 갔으나 소양*왕*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목숨을 걸고 그 벽을
고스란히 도로 찾아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2)흠이 없는 구슬이라는 뜻으로, 결함이 없이 완전함을 이르는 말."
"* 望雲之情(망운지정)*: 자식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하는 마음.
#자식#마음#타향#고향#생각#의미#사모#구름#감정#어버이#부모#*객지*#부모님"
* 滅族之禍(멸족지화)*: 한 *집안*이 다 죽임을 당하는 끔찍한 재앙.
"* 雲龍風虎(운룡풍호)*: *구름*을 타고 하늘로 오르는 용과 바람을 타고 달리는 범이라는 뜻으로, 의기와 기질이 서로 맞거나
성주(聖主)가 현명한 신하를 얻음을 이르는 말."
"* 言聽計從(언청계종)*: 이야기하면 들어주고 *계책*을 세우면 따른다는 뜻으로, 매우 신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인격#*계책*#신임"
"* 古今東西(고금동서)*: 동양과 *서양*, 옛날과 지금을 통틀어 이르는 말.
#말#때#옛날#지금#지역#동양"
"* 叩謝(고사)*: (1)머리를 조아려서 고마운 마음을 나타냄. (2)머리를 조아려서 죄를 빎.
#사례#마음#죄#사죄#머리"
"* 樂而思蜀(낙이사촉)*: (1) 타향(他鄕)의 생활(生活)이 즐거워 고향(故鄕) 생각을 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2) *눈앞*의
즐거움에 겨워 근본(根本)을 잊게 될 때를 비유(比喩).
#타향#눈#고향#앞#때#*눈앞*#생각#비유#근본#즐거움#생활"
"* 渴不飮盜泉水(갈불음도천수)*: 목이 말라도 도천의 물을 마시지는 않음.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처하여도 잘못된 길을 가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 乃心王室(내심왕실)*: 마음을 왕실에 둔다는 뜻으로, 나라에 *충성*함을 이르는 말.
#*충성*#마음#국사#왕실#나라"
* 運斤成風(운근성풍)*: 도끼를 움직여 *바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아주 교묘한 장인(匠人)의 최고 경지의 솜씨를 형용하는 말.
* 百億世界(백억세계)*: 부처가 백억 화신이 되어 교화하는 *세계*. 온 세상을 이른다.
"* 言辭安定(언사안정)*: *태도*(態度)만 침착(沈着)할 뿐 아니라 말도 안정(安定)케 하며 쓸데없는 말을 삼감.
#침착#안정#말#*태도*"
* 和而不同(화이부동)*: 남과 사이좋게 지내기는 *하나* 무턱대고 어울리지는 아니함.
"* 風餐露宿(풍찬노숙)*: 바람을 먹고 이슬에 잠잔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많은 *고생*을 겪음을 이르는 말.
#이슬#바람#*고생*#비유#겪음#생활#객지"
* 天下第一(천하제일)*: *세상*에 견줄 만한 것이 없이 최고임.
변화
* 忠臣不諂其君(충신불첨기군)*: 충신(忠臣)은 *임금*에게 아첨(阿諂)하지 않음.
"* 采薇之歌(채미지가)*: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이 은(殷)나라를 누르고 임금이 되었을 때에 은(殷)나라의 백이(伯夷)와
숙제(叔齊) *형제*(兄弟)는 주(周)나라 곡식(穀食)을 먹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먹으며 지냈는 데, 그들이
죽을 적에 읊었다는 노래."
"* 伉儷之年(항려지년)*: 장가들고 시집갈 *나이*.
#시집#*나이*"
"* 南橘北枳(남귤북지)*: 강*남*의 귤을 강북에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은 사는 곳의 환경에 따라 착하게도 되고 악하게도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萬全策(만전책)*: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위험#*실패*#계책#안전#완전"
바퀴
"* 一刻如三秋(일각여삼추)*: 일각이 삼 년 같다는 뜻으로, 순간의 짧은 시간이 삼 년의 세월같이 여겨지듯이 기다리는 *마음*이 매우
간절함을 이르는 말."
"* 俯察仰觀(부찰앙관)*: *아래*로 살피고 위로 본다는 뜻으로, 아랫사람의 형편을 두루 굽어 살피고 윗사람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우러러본다는 의미."
"* 白色宣傳(백색선전)*: 믿을 만한 증거나 자료를 *가지*고 하는 선전.
#출처#자료#증거#선전"
"* 函谷鷄鳴(함곡계명)*: 함곡관의 닭 울음 *소리*라는 뜻으로, (1) 점잖은 사람이 배울 것이 못되는 천(賤)한 기능(技能) (2)
그런 기능(技能)을 가진 사람(3) 천(賤)한 기능(技能)을 가진 사람도 때로는 쓸모가 있음의 비유(比喩)."
"* 三從之義(삼종지의)*: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猛虎伏草(맹호복초)*: 사나운 범이 풀숲에 엎드려 있다는 뜻으로, 영웅은 일시적으로 숨어 있어도 때가 되면 *세상*에 드러나게
마련이라는 말."
"* 良弓難張(양궁난장)*: 좋은 활은 당기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좋은 활도 힘을 들여 당겨야 쓸 수 있는 것처럼 아무리 좋은 것도
그것을 쓸 수 있는 *재능*을 가진 사람을 만나야 효력이 나타난다는 의미."
"* 犬羊之質(견양지질)*: 개나 양과 같은 소질이라는 뜻으로, *재능*이 없이 태어난 바탕을 이르는 말.
#*재능*#바탕#소질#양"
"* 望蜀之歎(망촉지탄)*: 촉(蜀) 땅을 얻고 싶어 하는 *탄식*(歎息ㆍ嘆息)이라는 뜻으로, 인간(人間)의 욕심(慾心)은 한이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땅#욕심#인간#*탄식*#비유"
* 流芳百世(유방백세)*: (1)‘유방*백*세’의 북한어. (2)꽃다운 이름이 후세에 길이 전함.
* 黃粱一炊(황량일취)*: 메조죽을 쑤는 짧은 동안이라는 뜻으로, *부귀*(富貴)와 공명(功名)의 덧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當來道師(당래도사)*: 내세(來世)에 출현(出現)하는 도사(導師). 지금으로부터 56억 7천만 세(歲)를 지나 이 *세계*(世界)에
출현(出現), 성도(成道)하여 중생(衆生)을 화도(化導) 한다는 미륵(彌勒) 보살(菩薩).
#천만#출현#성#*세계*#보살#화#성도#지금#중생#도사"
"* 燎原之火(료원지화)*: (1)무서운 형세로 타 나가는 벌판의 불이라는 뜻으로, *세력*이 매우 대단하여 막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요원지화’의 북한어.
#대단#맹렬#기세#불#비유#불길#들판#*세력*#악#형세#사이"
* 名譽回復(명예회복)*: 실추된 명예를 원래의 *상태*로 돌이킴.
* 白蹀紛紛雪黃鶯片片金(백접분분설황앵편편금)*: 흰 나비는 날리고 날리는 눈과 같고, 누런 꾀꼬리는 조각조각 금과 같음.
"* 無始無終(무시무종)*: (1)천주의 소극적 품성을 나타내는 말. (2)*시작*도 없고 끝도 없음. (3)우주의 근본 이치인
대아(大我)와 심체(心體)는 *시작*도 끝도 없이 항상 존재함. 진리 또는 진여(眞如)가 무한함을 이른다.
#가톨릭#불변#품성#우주#무한#존재#진여#불교#이치#끝#진리#*시작*#윤회#사용#의미#근본#하느님#성품"
"* 刺客奸人(자객간인)*: 남을 몰래 찔러 죽이는 사람과 남을 헐뜯고 이간질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마음*씨가 몹시 모질고 악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마음*#*마음*씨#악#이간질#간사#사람"
"* 甕算畵餠(옹산화병)*: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실속#장수#고생#꿈#*사용*#떡#소용#수고#그림#고사"
"* 顧名思義(고명사의)*: 어떤 일을 당하여 자신의 *명예*를 더럽히는 일이 아닌지 돌이켜 보고, 또한 의리에 어긋나는 일이 아닌지
생각함.
#일#*명예*#생각함#의리#생각#자신"
"* 榮枯(영고)*: *번성*함과 쇠퇴함.
#사물#번영#죽음#비유#무성#*번성*#쇠퇴#*번성*함"
"* 假虎威(가호위)*: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 傾城之色(경성지색)*: 성을 기울게 할 *정도*의 미인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 莫顯乎隱(막현호은)*: 숨는 것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것이 없다는 뜻으로, 남이 보지 않는 곳에서 한 일은 매우 잘 드러나는 것처럼
홀로 있을 때에도 도리(道理)에 어그러짐이 없도록 삼가야 한다[愼獨(신독)]는 *의미*.
#*의미*#일#때"
* 徹天之冤(철천지원)*: *하늘*에 사무치는 크나큰 원한.
"* 匠石運斤(장석운근)*: 장석이 도끼를 사용한다는 뜻으로, 고대 전설적 명공(名工)인 장석(匠石)이 자귀를 휘둘러 *물건*을 만드는데
조금의 착오도 없었다는 데서 ‘기예(技藝)가 오묘한 경지’에 이름을 이르는 말."
"* 四鳥別(사조별)*: 모자(母子)가 서로 이별(離別)함. 네 마리의 *새끼* 새가 그 어미를 떠난다는 고사에서 비롯됨.
#새#*새끼*#어미#마리#모자#고사"
"* 活死人(활사인)*: 살아있으면서 죽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한평생 세상일에 관여하지 않는 사람의 의미에서 바보나 천치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 居家之樂(거가지락)*: 세속의 *영화*에 마음을 두지 않고 집에서 시(詩)나 서도(書道) 따위로 세월을 보내는 즐거움.
#마음#집#속세#*영화*#세월#즐거움#세속#따위"
"* 康哉之歌(강재지가)*: 온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함을 칭송(稱頌)한 노래.
#노래#칭송#*태평*#천하#天下"
* 盛衰興廢(성쇠흥폐)*: 성하고 쇠하며, 흥하고 폐한다는 뜻으로, 융성과 쇠퇴, 흥*왕*(興旺)과 퇴폐하는 일을 의미함.
* 興盡悲來(흥진비래)*: 즐거운 일이 다하면 슬픈 일이 닥쳐온다는 뜻으로, *세상*일은 순환되는 것임을 이르는 말.
"* 孤掌難鳴(고장난명)*: (1)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2)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일어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百年佳約(백년가약)*: 젊은 남녀가 *부부*가 되어 평생을 같이 지낼 것을 굳게 다짐하는 아름다운 언약.
* 乘望風旨(승망풍지)*: 망루에 올라 *바람*결을 헤아린다는 뜻으로, 남의 눈치를 보아 가며 비위를 잘 맞추어 줌을 이르는 말.
* 玩好之物(완호지물)*: 신기하고 보기 좋은 *물건*.
* 曉風殘月(효풍잔월)*: *새*벽 바람과 지*새*는 달이라는 뜻으로, *새*벽 무렵의 달과 바람이라는 의미.
"* 連理(연리)*: (1)여러 가지 이치를 논함. (2)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 (3)화목한 부부나 *남녀*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三從兄弟(삼종형제)*: 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형제*#자녀#팔촌#재종숙#고조"
"* 與民同樂(여민동락)*: *임금*이 백성과 함께 즐김.
#백성#중심#왕#위정자#*임금*#정치#태도#나눔#이상"
"* 餘桃啗君(여도담군)*: 먹다 남은 복숭아를 임금에게 먹게 했다는 뜻으로, 똑같은 행위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의 애증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위(衛)나라의 미자하(彌子瑕)가 임금의 총애를 받을 때에는 제가 먹던 복숭아를 바쳐 신임을
얻었으나, 총애를 잃은 후에는 그 행동 때문에 죄를 얻어 처벌되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令堂(령당)*: (1)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2)‘영당’의 북한어.
#*어머니*"
"* 八珍之味(팔진지미)*: 중국에서 성대한 음식상에 갖춘다고 하는 진귀한 여덟 *가지* 음식의 아주 좋은 맛. 순모(淳母),
순오(淳熬), 포장(炮牂), 포돈(炮豚), 도진(擣珍), 오(熬), 지(漬), 간료(肝膋)를 이르기도 하고 용간(龍肝), 봉수(鳳髓),
토태(兔胎), 이미(鯉尾), 악적(鶚炙), 웅장(熊掌), 성순(猩脣), 수락(酥酪)을 이르기도 한다."
* 任子之典(임자지전)*: 나라에 공로를 세운 *신하*의 자손에게 벼슬을 주던 특전(特典).
"* 銅婚式(동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1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구리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선물#축하#구리#풍속#혼인#의식#부부#기념"
"* 沙羅雙樹(사라쌍수)*: *석가모니*가 열반할 때 사방에 한 쌍씩 서 있었던 사라수(沙羅樹). 동쪽의 한 쌍은 상주(常住)와
무상(無常)을, 서쪽의 한 쌍은 진아(眞我)와 무아(無我)를, 남쪽의 한 쌍은 안락(安樂)과 무락(無樂)을, 북쪽의 한 쌍은
청정(淸淨)과 부정(不淨)을 상징한다.
#때#사방#서쪽#북쪽#안락#그루#무상#석가#무아#성#여덟#남쪽#*석가모니*#열반#뿌리#부정#상주#80세#상징#동쪽#밖"
"* 鷄鳴之助(계명지조)*: 어질고 현명한 왕비의 내조를 이르는 말. 예전에 어진 왕비는 새벽이면 반드시 왕께 나아가 *닭*이 울었으니
일어나라고 권하여 왕이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정사를 보도록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아침#도움#왕#예전#정사#나라#왕비#내조#새벽#*닭*#울음#아내#유래#현명"
* 投笏(투홀)*: 홀(笏)을 내던진다는 뜻으로, *벼슬*살이를 그만둠을 이르는 말.
"* 糊口策(호구책)*: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책#*가난*#살림#방책"
"* 同苦之人(동고지인)*: 함께 *고생*한 사람.
#*고생*#사람"
* 流金鑠石(유금삭석)*: 쇠가 흐르고 돌이 녹는다는 뜻으로, 더위가 몹시 심하여 *금*석이 녹아 흐를 정도라는 의미.
"* 揠苗(알묘)*: 곡식의 싹을 뽑아 올린다는 뜻으로, 성공을 서두르다가 도리어 해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곡식#이익#말#싹#성급#때문#손해#봄#성공"
"* 江風明月(강풍명월)*: 강가의 *바람*과 하늘의 밝은 달의 뜻으로, 자연(自然)의 풍광(風光)을 의미.
#풍광#달#*바람*#의미#자연#하늘"
"* 埋頭沒身(매두몰신)*: (1)*머리*와 몸이 파묻혔다는 뜻으로, 일에 파묻혀 헤어나지 못함을 이르는 말. (2)일에 매달려 물러날
줄 모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辭達而已矣(사달이이의)*: 말이 통달할 뿐이라는 뜻으로, 말은 그 뜻이 남에게 전달되면 그것으로 족하다는 말의 정교함[辭巧]보다는
*의미*의 전달[辭達]에 역점을 둔 공자(孔子)의 입장. ."
"* 法服貴族(법복귀족)*: 프랑스 절대 왕정의 관료 귀족. 관직 매매 제도를 통하여 주로 사법(司法) 관계의 관직을 사서 귀족의 *신분*으로
오르게 된 신흥 귀족으로, 오래된 봉건 귀족인 대검(帶劍) 귀족과 구별된다. 그들이 입은 관복에서 명칭이 유래하였으며, 부를 소유하고
관직을 장악하였으므로 주도적으로 개혁에 반대하였다.
#관료#소유#귀족#명칭#프랑스#관계#관직#입#*신분*#사서#제도#절대#관복#반대#구별#유래#개혁"
* 意氣揚揚(의기양양)*: 뜻한 바를 이루어 만족한 마음이 *얼굴*에 나타난 모양.
"* 折骨之痛(절골지통)*: 뼈가 부러지는 아픔이라는 뜻으로, 매우 견디기 어려운 *고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뼈#*고통*#아픔"
"* 乘夜越墻(승야월장)*: *밤*을 타고 담을 넘는다는 뜻으로, 어두운 *밤*을 이용해 남의 집의 담을 넘어 들어가는 도둑질 같은
행위를 이름."
"* 三枝之禮(삼지지례)*: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발라#지극#아래#효성#예의#*새*끼#비유#어미"
* 山空野靜(산공야정)*: *산*과 들이 텅 빈 것처럼 고요하고 쓸쓸함.
"* 納淸場(납청장)*: 되게 얻어맞거나 눌려서 납작해진 사람이나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평안북도 정주의 납청 시장에서 만드는
국수는 잘 쳐서 질기다는 데서 유래한다."
"* 椽大之筆(연대지필)*: (1)서까래만 한 큰 붓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대문장(大文章)이나 대논문(大論文)을 이르는 말. 중국 남조
*시대*의 감엄(江淹)이 꿈에 곽박(郭璞)에게 서까래만 한 큰 붓을 받은 후 훌륭한 문장을 남겼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훌륭한
문장을 짓는 재능. (3)다른 사람의 문장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 身兼奴僕(신겸노복)*: 자기 몸이 노복을 겸하였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종을 두지 못하고 몸소 궂은일을 함을 이르는 말.
* 福至心靈(복지심령)*: *복*이 이르면 마음도 영묘해진다는 뜻으로, 행*복*이 찾아 올 때는 정신도 영명(靈明)해 진다는 의미.
* 徹天之冤(철천지원)*: *하늘*에 사무치는 크나큰 원한.
"* 僧敲月下門(승고월하문)*: 스님이 달빛 아래에서 문을 두드린다는 뜻으로, 당(唐)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시구를 완성하지 못하고
‘推(퇴)’자와 ‘敲(고)’자를 고민하던 *고사* 퇴고(推敲)의 유래가 된 의 구절."
"* 走伏無地(주복무지)*: 달아나고 엎드리기가 *땅*이 없다는 뜻으로, 도망치고 숨으려 해도 그럴 만한 곳이 없는 달아나 숨을 곳이
없다는 의미.
#의미#*땅*"
"* 赤手空拳(적수공권)*: 맨손과 맨주*먹이*라는 뜻으로,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맨주먹#준말#맨손#의미#빈손"
"* 春分(춘분)*: 이십사절기의 하나. 경칩(驚蟄)과 청명(淸明)의 사이에 들며 양력 3월 21일 무렵이다. 태양이 춘분점에 이르러
적도의 위를 직사(直射)하여 *밤*과 낮의 길이가 거의 같지만, 빛의 굴절 현상 때문에 낮의 길이가 약간 더 길다."
"* 反哺報恩(반포보은)*: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 까마귀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어 보답한다는 뜻으로, 자식이 자라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함으로써 효를 행함을 이르는 말."
* 長久之策(장구지책)*: 어떤 일이 오래 계속되도록 꾀하는 계*책*.
* 能言鸚鵡(능언앵무)*: 말은 잘하나 실제 *학문*은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 善供無德(선공무덕)*: *부처*에게 공양을 잘하여도 아무 공덕이 없다는 뜻으로, 남을 위하여 힘을 썼으나 그것에 대한 소득이 없음을
이르는 말."
"* 風林火山(풍림화산)*: *바람*과 숲과 불과 산이라는 뜻으로, *바람*처럼 빠르게, 숲처럼 고요하게, 불처럼 맹렬하게, 산처럼
묵직하게 적을 엄습(掩襲)해서 공격하는 것처럼, 기회가 왔을 때 이를 가장 적절하게 이용해서 승리를 거두라는 의미."
"* 螢雪之功(형설지공)*: 반딧불ㆍ눈과 함께 하는 노력이라는 뜻으로, 고생을 하면서 부지런하고 꾸준하게 공부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
중국≪진서(晉書)≫의 ㆍ에 나오는 말로, 진나라 차윤(車胤)이 반딧불을 모아 그 불빛으로 글을 읽고, 손강(孫康)이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에 비추어 글을 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勞謙謹勅(노겸근칙)*: 근로(勤勞)하고 *겸손*(謙遜)하며 삼가고 신칙(申飭)하면 중용(中庸)의 도(道)에 이름.
#*겸손*#이름#중용"
"* 望五(망오)*: (1)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마흔하나를 이르는 말. (2)궁중에서, *임금*과 왕후, 왕대비의 나이가 쉰이
되기 이삼 년 전에 베풀던 경축연.
#마흔#왕대비#말#왕#*임금*#왕후#궁중#나이#대비"
"* 非池中物(비지중물)*: 연못 속의 인물이 아니라는 뜻으로, 용이 때를 만나면 물을 벗어나 *하늘*로 올라가듯이 영웅도 때가 되면
세상에 나와 뜻을 편다는 것에서 장차 대성할 인물을 비유함."
"* 盤根錯節(반근착절)*: (1)서린 뿌리와 얼크러진 마디라는 뜻으로,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사건을 이르는 말. ≪*후한*서≫ 에
나오는 말이다. (2)세력이 깊이 뿌리박고 있어 흔들리지 아니함.
#일#말#착잡#나무#난관#사건#상황#비유#마디#세상일#세력#뿌리#처리#곤란#세상"
* 萬全之計(만전지계)*: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 都尉(도위)*: *임금*의 사위에게 주던 칭호.
#*임금*#부마#사위"
"* 三從之托(삼종지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自初至末(자초지말)*: 처음부터 끝까지의 과정.
#처음#과정#끝"
* 放牛歸馬(방우귀마)*: 전쟁에 *사용*했던 마소를 산야에 놓아준다는 뜻으로, 전쟁이 끝나고 천하가 태평함을 비유하는 말.
"* 風雲才子(풍운재자)*: 비*바람*을 무릅쓰는 인재라는 뜻으로, 어지러운 세상에 위급하고 곤란한 상황을 무릅쓰고 활약하여 공명을
세우는 전도양양(前途揚揚)한 청년을 이르는 말.
#전도양양#*바람*#비*바람*#공명#상황#활약#청년#양양#인재#위급#곤란#전도#세상"
"* 呼天不聞(호천불문)*: *하늘*을 불러도 듣지 않는다는 뜻으로, *하늘*을 부르며 죄의 억울함을 하소연하여도 *하늘*에 들리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하소연#*하늘*#죄"
"* 沃野千里(옥야천리)*: 끝없이 넓은 *기름*진 들판.
#농사#끝#의미#들판#비옥#*기름*"
* 藍田生玉(남전생옥)*: *남*전(藍田)에서 옥이 난다는 뜻으로, 명문(名門)에서 뛰어난 젊은이가 나옴을 칭찬(稱讚)하는 말.
"* 第看下回(제간하회)*: 나중에 *결과*가 나타나게 되는 일.
#일#나중#*결과*"
"* 刻畵無鹽(각화무염)*: 아무리 꾸며도 무염이란 뜻으로, 얼굴이 못생긴 *여자*(女子)가 아무리 화장(化粧)을 해도 미인(美人)과
비교(比較)할 바가 못됨, 즉 비교(比較)가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여자*#미인#화장#비교#얼굴"
"* 無面渡江(무면도강)*: 일에 실패하여 고향에 돌아갈 면목이 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항우가 *싸움*에서 패하고
오강(烏江)에 이르렀을 때, 정장(亭長)이 그에게 고향인 강동으로 돌아가 다시 일을 도모할 것을 권하자 무슨 면목으로 고향에
돌아가겠느냐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항우#일#강#고향#면목#초나라#때#실패#준말#목숨#도모#중국#형편#*싸움*#유래"
* 普天率土(보천솔토)*: 온 하늘의 *아래*와 온 땅의 끝이라는 뜻으로, 온 세상을 이르는 말.
"* 鶴立鷄群(학립계군)*: 학이 닭의 무리 속에 서 있다는 뜻으로, 호걸(豪傑)이 뭇사람 *가운데*에서 뚜렷하게 두각(頭角)을 나타냄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鷄鳴狗盜(계명구도)*: 비굴하게 남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맹상군이
진(秦)나라 소왕(昭王)에게 죽게 되었을 때, 식객(食客) 가운데 개를 가장하여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빠져나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 四方之志(사방지지)*: 천하 *사방*을 돌아다니며 다스리려는 큰 뜻.
#세계#*사방*#천하#각국#天下#기록#경영"
"* 谿壑之慾(계학지욕)*: 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의 *욕심*이라는 뜻으로, 물릴 줄 모르는 한없는 *욕심*(慾心)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시냇물#*욕심*#비유"
"* 幸反爲禍(행반위화)*: 幸이 도리어 禍가 된다는 뜻으로, 좋은 일이 도리어 재앙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일#재앙#*변화*"
"* 言身之文(언신지문)*: 말은 몸의 문채라는 뜻으로, 말은 그 사람의 인격과 심정을 나타내는 문채라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말은
마음의 문장이라는 의미로 표현됨.
#몸#마음#말#사람#문채#표현#*사용*#문장#의미#인격#심정"
* 靑山一髮(청산일발)*: 먼 수평선(水平線) 저쪽의 푸른 산이 아득히 안 올의 머리카락처럼 보임.
* 永不敍用(영불서용)*: 죄를 지어서 파면된 *벼슬*아치를 영구히 재임용하지 아니하던 일.
"* 風雲才子(풍운재자)*: 비바람을 무릅쓰는 인재라는 뜻으로, 어지러운 세상에 위급하고 곤란한 상황을 무릅쓰고 활약하여 공명을 세우는
전도양양(前途揚揚)한 청년을 이르는 말.
#전도양양#바람#비바람#공명#상황#활약#청년#양양#인재#위급#곤란#전도#세상"
"* 斜行抵京(사행저경)*: 비스듬히 가도 서울에 다다른다는 뜻으로, 수단이나 방법은 어찌 되었든 간에 *목적*만 이루면 된다는 의미.
#서울#의미#방법#수단#*목적*"
"* 獅孫(사손)*: *딸*이 낳은 자식. 외손자와 외손녀를 이른다.
#자식#말#사자#*딸*#옛일#외손#외손자#그림"
* 自由自在(자유자재)*: 거침없이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음.
"* 皮相之見(피강지견)*: 겉 표면만 본다는 뜻으로, 외모만 보고 내심을 깊이 살피지 못하는 일. *지식*, 관찰, 판단 등이 천박한
일을 이르는 말.
#일#천박#외모#*지식*#내심#판단#겉#표면"
* 福過禍生(복과화생)*: 지나친 행복(幸福)은 *도리*어 재앙(災殃)의 원인(原因)이 됨.
"* 家貧則思良妻(가빈즉사양처)*: 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
"* 我及兄弟同受親血(아급형제동수친혈)*: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형제*#어버이#한가지"
"* 圖寫禽獸(도사금수)*: 궁전(宮殿) 내부(內部)에는 유명(有名)한 화가(畵家)들이 그린 그림 조각 등(等)으로 장식(裝飾)되어 있음.
#화#화가#장식#내부#궁전#유명#조각#그림"
"* 四時長靑(사시장청)*: 소*나무*나 대*나무*같이 식물의 잎이 일 년 내내 푸름.
#일#푸름#*나무*#1년#식물#잎#소*나무*#대*나무*"
"* 落髮爲僧(락발위승)*: (1)머리털을 깎고 *승려*가 됨. (2)‘낙발위승’의 북한어.
#머리#머리털#*승려*"
"* 三不孝(삼불효)*: 세 가지의 큰 불효. 부모를 불의(不義)에 빠지게 하는 일, 부모가 늙고 집이 가난하여도 *벼슬*하지 않는 일,
자식이 없어 조상의 제사를 끊어지게 하는 일을 이른다."
"* 坐食山空(좌식산공)*: 일을 하지 아니하고 놀기만 하면 산도 빈다는 뜻으로, 산더미 같은 *재산*도 놀고먹기만 하면 결국 다
없어지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일#결국#산더미#*재산*#비유#산"
"* 胡蝶夢(호접몽)*: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나온 말.
≪장자(莊子)≫ 에서 나온 말이다.
#말#꿈#장자#비유#현실#중국#나비#구별#*인생*"
"* 莫知其子之惡(막지기자지악)*: 자기 *자식*의 잘못을 모른다는 뜻으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맹목적임을 이르는 말.
#*자식*#말#사랑#잘못#비유#어버이#부모#맹목적#사람"
"* 黃粱夢(황량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일생#때#여옹#산#인생#비유#노생#유래#도사#세상#주인#빌어#*소년*#누리#부귀영화#베개#말#80세#꿈#한단#나라#길#영화#중국
#부귀#잠"
"* 東馳西走(동치서주)*: 동쪽으로 뛰고 서쪽으로 뛴다는 뜻으로, *사방*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서쪽#동쪽#동분서주#*사방*"
"* 長久之策(장구지책)*: 어떤 일이 오래 계속되도록 꾀하는 *계책*.
#일#계속#*계책*#꾀"
"* 游必有方(유필유방)*: 놀 때에는 반드시 방향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먼 곳으로 놀러 갈 때는 반드시 자신의 행방을 부모에게
알려야 한다는 *자식*의 도리."
"* 解語花(해어화)*: (1)‘기생’을 달리 이르는 말. (2)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으로, ‘미인’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에, 현종이 양 귀비를 가리켜 말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富貴在天(부귀재천)*: 부귀를 *누리*는 일은 하늘의 뜻에 달려 있어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일#운수#행#어찌#의미#부귀#하늘#힘#귀#사람"
"* 河山之陽(하산지양)*: 강과 *산*의 양기라는 뜻으로, 강의 북쪽과 *산*의 남쪽의 인 양지(陽地)바른 농경(農耕)에 적당한 땅을
이르는 말."
"* 四海兄弟(사해형제)*: 온 세상 사람이 모두 형제와 같다는 뜻으로, 친밀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에서 사해 안에 있는 사람을
모두 형제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말#뭇사람들#사람#친밀함#뭇사람#천하#형제#친밀#天下#모두#*유래*#세상"
"* 拜復(배복)*: 절하고 회답(回答)한다는 뜻으로, 흔히 친구(親舊) 사이에 답장(答狀)하는 편지(便紙) *첫머리*에 또는
편지(便紙) 끝머리의 자기(自己) 이름 아래에 쓰는 말.
#이름#말#아래#친구#답장#끝#머리#회답#*첫머리*#사이"
"* 靑春(청춘)*: (1)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이라는 뜻으로,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을 이르는 말. (2)1914년 10월에 최남선이 창간한 우리나라 최초의 월간 종합지. 청년을 상대로 한 계몽지로서 ≪소년≫지가
폐간된 후 그 후신으로 발간한 것으로, 신문학 운동이 일어나던 무렵에 문학 작품의 발표 및 문예 작품 현상 모집에 의한 창작 의욕의
진작, 해외 문학 번역 소개 등 문학 발전에 큰 구실을 하였다. 1918년 8월까지 통권 15호를 냈다. (3)독일의 극작가
할베(Halbe, M.)가 지은 희곡. 주인공 안헨은 대학생인 한스와 사랑을 나누나, 안헨의 이복 오빠가 질투심에서 한스를 죽이려다
잘못해서 동생 안헨을 죽이게 된다는 내용이다. 청춘의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그 당시 연애 희곡의 대표작이다. 1893년에
초연되었다. 3막. (4)1936년에 극작가 남궁만(南宮滿)이 쓴 희곡. 평양 변두리의 빈민굴에서 살아가는 실직 노동자 가족의 비극을
다룬 작품이다.
#내용#의욕#창작#당시#후반#주인공#현상#진작#8월#시절#문학#나이#초연#*인생*#봄철#사랑#운동#안헨#작품#발전#10월#무렵#가족#소년
#상대#발표#우리#동생#우리나라#주제#구실#비극#잘못#나라#청년#만물#청춘#독일"
* 感之德之(감지덕지)*: 분에 넘치는 듯싶어 매우 고맙게 여기는 *모양*.
"* 冥冥之志(명명지지)*: *마음* 속에 깊이 간직하여 외부(外部)에 드러내지 않고 힘쓰는 뜻.
#외부#간직#*마음*"
"* 附會(부회)*: 작품을 조직하는 원리.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창작론(創作論)에 해당하는 제43장의 제목이다. 말을 하나로 모으고
뜻과 이치를 통하게 한다는 뜻을 지니는 ‘부*사회*의(附辭會義)’의 준말이다. 문학 작품에 깃든 언어와 사고를 폭넓게 이해할 것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개념이다. 이 장에서 유협은 작품이 예술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서술하였다.
#창작#때#문학#개념#해당#조직#이론#작품#이해#*사회*#준말#유협#원리#언어#제목#말#조화#예술#이치#사용#강조#사고"
"* 末大必折(말대필절)*: 나무 가지가 너무 커지면 반드시 줄기가 부러진다는 뜻으로, 자손(子孫)이 강성해지면 종가(宗家)를 망하게
한다는 의미. 또는 변방(邊方)의 힘이 강해지면 나라가 위태하다는 의미도로 사용됨.
#*말*#나무#위태#나라#사용#의미#자손#힘"
"* 如鳥數飛(여조삭비)*: 새가 *하늘*을 날기 위해 자주 날갯짓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배우기를 쉬지 않고 끊임없이 연습하고 익힘.
#새#연습#*하늘*"
"* 英雄忌人(영웅기인)*: *영웅*은 다른 뛰어난 사람을 꺼린다는 말.
#꺼림#*영웅*#사람"
* 斜行抵京(사행저경)*: 비스듬히 가도 서울에 다다른다는 뜻으로, 수단이나 방법은 어찌 되었든 간에 목적만 이루면 된다는 *의미*.
"* 癡猿捉月(치원착월)*: 어리석은 원숭이가 달을 잡는다는 뜻으로, 물에 비친 달을 잡으려는 어리석은 원숭이의 *행동*처럼 무지하고
무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得魚忘筌(득어망전)*: *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잊는다는 뜻으로, 바라던 바를 이루고 나면 이를 이루기 위하여 했던 일들을
잊어버림을 이르는 말. ≪장자≫의 에 나오는 말이다."
"* 內三千外八百(내삼천외팔백)*: 경관(京官)이 삼천 명, 외관(外官)이 팔*백* 명이라는 뜻으로, 문무*백*관이 의장(儀裝)을 갖추고
모이는 것을 이르던 말."
"* 千里一跳(천리일도)*: 큰 새가 단번에 천 리를 난다는 뜻으로, 먼 길을 짧은 시간(時間)에 가거나 갑자기 *성공*(成功)함을
이르는 말.
#길#새#시간#*성공*"
"* 高官大爵(고관대작)*: 지위가 높고 훌륭한 *벼슬*. 또는 그런 위치에 있는 사람.
#직위#사용#관리#의미#현대#*벼슬*자리#위치#자리#지위#*벼슬*#훌륭#귀#사람"
* 思無邪(사무사)*: 생각함에 사특함이 없음. *공자*가 시 305편을 산정(刪定)한 후 한 말이다.
* 改過遷善(개과천선)*: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魚水之樂(어수지락)*: 물고기와 물의 *관계*처럼 어진 임금과 신하가 서로 이해하고 돕는 즐거움.
#신하#임금#*관계*#물#물의#이해#즐거움"
"* 盲龜浮木(맹귀부목)*: 눈먼 거북이 우연히 뜬 나무를 붙잡았다는 뜻으로, 어려운 *형편*에 우연히 행운을 얻게 됨을 이르는 말.
#일#거북이#눈#거북#나무#만남#어려움#물#뜻밖#의미#비유#*형편*#지경#행운"
* 父母俱存(부모구존)*: 부모님이 모두 생존하신다는 뜻으로, 맹자의 *군자*삼락(君子三樂) 가운데 한 가지.
"* 子爲父隱(자위부은)*: 아들이 아버지를 위해서 숨긴다는 뜻으로, *자식*이 타인을 위해 아비의 나쁜 일을 숨기는 것처럼 부자간의
천륜(天倫)을 일컫는 말. .
#일#*자식*#천륜#타인#아들#부자#아비"
"* 白魚入舟(백어입주)*: 적이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강을 건널 때, 백어가
배에 뛰어들어 은나라가 항복할 조짐을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白)은 은나라를 상징하는 빛깔이었다."
"* 知小謀大(지소모대)*: 지력(知力)은 적으면서 도모함은 크다는 뜻으로, 자신의 *능력*에 넘치는 일을 계획함을 이르는 말.
#일#도모함#*능력*#도모#계획#지력#자신"
"* 莫知其故(막지기고)*: 일의 까*닭*을 알지 못함.
#일#까*닭*"
"* 轍迹(철적)*: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물이 지나간 흔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물#흔적#자국#*수레*바퀴"
* 百藥無效(백약무효)*: 온갖 약이 효과가 없다는 뜻으로, 온갖 약을 써도 효력이 없는 것처럼 해결이 난감한 *상황*을 이르는 말.
"* 莊周之夢(장주지몽)*: 나와 외물(外物)은 본디 하나이던 것이 현실에서 갈라진 것에 불과하다는 이치를 비유적으로 설명하는 말.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었다가 깬 뒤에 자기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었는지 원래 나비였던 자기가 *꿈*속에서 장주가 되었는지 알 수
없게 되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장자 사상의 으뜸을 이룬다."
"* 虎前乞肉(호전걸육)*: *호랑이* 앞에서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범에게 고기 달래기’로 표현하는 어림도 없는 일을 계획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일#범#앞#*호랑이*#표현#구걸#비유#나라#계획#우리#속담#우리나라#어림"
"* 賜牌之地(사패지지)*: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외교#땅#고려#시대#*임금*#나라#논밭#벼슬아치#분야#토지#조선#따위"
"* 貨取勢求(화취세구)*: 재화로 취하거나 세가(勢家)에게 구한다는 뜻으로, 재물(財物)로 *벼슬*을 사고 세가에게 아첨하여 관직을
얻는다는 의미."
* 爭臣(쟁신)*: *임금*의 잘못에 대(對)하여 바른말로 간하는 신하(臣下).
"* 刻鵠類鵝(각곡유아)*: 고니를 새기려다 *실패*(失敗)해도 거위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1) 성현(聖賢)의 글을 배움에
그것을 완전(完全)히 다 익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最小限) 선인(善人)은 될 수 있다는 말 (2) 학업(學業)에 정진(精進)하여 어느
정도(程度) 성과(成果)가 있다는 말."
"* 鼠竊狗偸(서절구투)*: 쥐나 개처럼 몰래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좀도둑’을 이르는 말.
#좀도둑#표현#준말#욕#*물건*"
"* 車同軌(거동궤)*: 여러 지방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지방#*글자*#천하#거동#수레#통일#상태"
"* 天下泰平(천하태평)*: (1)정치가 잘되어 온 세상이 평화로움. (2)어떤 일에 무관심한 상태로 걱정 없이 편안하게 있는 태도를
가벼운 놀림조로 이르는 말.
#일#느긋#성질#*태평*#천하#평화#편안#걱정#근심#태도#세상#무관심#상태#정치#사람"
* 死中求生(사중구생)*: 죽을 수밖에 없는 *처지*에서 한 가닥 살길을 찾음.
고생
"* 漆室之憂(칠실지우)*: *자기* 분수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서 신분이 낮은 여자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를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獨守空房(독수공방)*: (1)*혼자*서 지내는 것. (2)아내가 남편 없이 *혼자* 지내는 것.
#여자#부부#남편#*혼자*#의미#잠#아내#빈방"
"* 金聲玉振(금성옥진)*: (1)시가(詩歌)나 음악의 아름다운 가락. (2)사물을 집대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은 종(鐘),
옥은 경(磬)을 뜻하는 것으로, 팔음(八音)을 합주할 때에 종을 쳐서 *시작*하고 마지막에 경을 치는 데서 유래한다. (3)지(智)와
덕(德)을 아울러 갖춘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사상이나 언론이 세상에 널리 알려져 존중받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때#마지막#집대성#존중#언론#사물#*시작*#사상#쇠#공자#유래#세상#아름#겸비#금#소리#음악#울림#상태#지덕#가락#마무리#의미#시가"
"* 白砂靑松(백사청송)*: 백사청송(白沙靑松). 흰 모래와 푸른 소*나무*라는 뜻으로, 흰 모래톱의 사이사이에 푸른 소*나무*가
드문드문 섞여 있는 바닷가의 아름다운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 圓木警枕(원목경침)*: 둥근 나무로 만든 경계하는 베개라는 뜻으로, 둥근 목침으로 베개가 굴러 잠에서 깨도록 만든 것인데,
고학(苦學)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로 사*용*됨."
"* 鉛刀一割(연도일할)*: (1)납으로 만든 칼도 한 번은 자를 힘이 있다는 뜻으로, 자기의 힘이 없음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2)다시는 쓰지 못함을 이르는 말. (3)우연히 얻게 된 공명이나 영예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말#칼#공명#미약#뜻밖#*겸손*#힘#결과"
* 斜風細雨(사풍세우)*: 비껴 부는 *바람*과 가늘게 내리는 비.
"* 借花獻佛(차화헌불)*: 꽃을 빌려 부처에 바친다는 뜻으로, 남의 물건으로 *자신*의 이득을 꾀한다는 의미.
#일#선물#이득#꽃#의미#물건#*자신*#부처#봄"
* 萬年不敗(만년불패)*: 매우 튼튼하여 오래도록 깨지지 아니함.
"* 輔弼之臣(보필지신)*: 임금의 덕업을 돕는 *신하*.
#임금#보필#*신하*"
* 天覆地載(천부지재)*: *하늘*이 덮고 땅은 싣는다는 뜻으로, 천지(天地)의 큰 사랑을 이르는 말.
남
"* 丙舍傍啓(병사방계)*: 병사(丙舍) 곁에 통로(通路)를 열어 궁전(宮殿) 내(內)를 출입(出入)하는 사람들의 편리(便利)를
도모(圖謀)하였음."
"* 修身齊家(수신제가)*: 몸과 마음을 닦아 수양하고 *집안*을 다스림.
#일#몸#마음#심신#의미#수양#다스림#*집안*#자신"
"* 慈姑(자고)*: (1)인자한 시*어머니*라는 뜻으로, 며느리가 시*어머니*를 이르는 말. (2)듣는 이의 시*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3)택사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10미터이며, 잎은 뿌리에서 나와 서로 엉키면서 자란다. 꽃은 8~9월에 잎 사이에서
흰색으로 피며, 열매는 연한 녹색의 둥근 모양으로 모여 달린다. 덩이줄기는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물속에서 자라며, 중국이 원산지이다."
"*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여옹#산#귀#인생#공명#비유#노생#유래#도사#*주인*#소년#누리#쓰임#부귀영화#베개#80세#꿈#영화#부귀#잠"
* 千變萬化(천변만화)*: 끝없이 *변화*함.
* 茫茫大洋(망망대양)*: 한없이 크고 넓은 *바다*.
"* 曳尾塗中(예미도중)*: 꼬리를 진*흙* 속에 묻고 끈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으로써 속박(束縛)되기보다는 가난하더라도 집에서
편안(便安)히 사는 편이 나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진*흙*#집#속박#비유#편안#꼬리#벼슬#가난"
"* 姑息之計(고식지계)*: 우선 당장 편한 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 한때의 안정을 얻기 위하여 임시로 둘러맞추어 처리하거나 이리저리
주선하여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른다.
#눈가림#처리#오줌#임시변통#꾀#안정#때#비유#주선#변통#속담#*계책*#당장#임시#방법#한때"
"* 望雲(망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이 타향에서 부모가 계신 쪽의
구름을 바라보고 어버이를 그리워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당나라#타향#고향#때#생각#비유#중국#구름#어버이#부모#*객지*#쪽#유래"
"* 百里負米(백리부미)*: 백 리를 쌀을 지고 간다는 뜻으로, 공자(孔子)의 제자 자로(子路)가 어버이를 위하여 백 리나 떨어진 곳에
쌀을 지고 간 *고사*에서 가난한 가운데서 효양(孝養)함을 비유하는 말."
"* 橫海鱗(횡해린)*: 바다에 가득 찰 물고기라는 뜻으로, 바다를 채울 정도의 큰 물고기의 의미에서 훌륭한 인물을 이르는 말로 *사용*
됨."
"* 艾年(애년)*: *머리털*이 약쑥같이 희어지는 나이라는 뜻으로, 쉰 살을 이르는 말.
#*머리털*#말#쑥#나이"
"* 染舊作新(염구작신)*: 옛 것을 물들여 새 것을 만든다는 뜻으로, 헌 것을 물들여 새 것으로 만든다는 개혁과 *변화*의 의미.
#의미#*변화*#물#개혁"
"* 假虎威狐(가호위호)*: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백성#빌어#말#*신하*#우화#범#위세#여우#권세#약자#강자#비유#세력#짐승#군주"
* 晩秋佳景(만추가경)*: 늦*가을*의 아름다운 경치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풍경 또는 뒤늦게 큰 결실을 맺음을 이르는 말.
"* 鳳皇來儀(봉황래의)*: 봉황이 와서 의례를 한다는 뜻으로, 봉황이 덕에 감동해 찾아와 의용(儀容)을 정제(整齊)하고 있다는 것에서,
태평*세상*(太平世上)이 될 상서로운 조짐의 의미."
"* 麒麟兒(기린아)*: *지혜*와 재주가 썩 뛰어난 사람.
#재주#사람#성인#동물#기린#상상#비유#*지혜*#신성"
* 對岸之火(대안지화)*: 강 건너 불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자기에게는 아무 *관계*도 없다는 듯이 무관심함을 이르는 말.
"* 伸寃雪恥(신원설치)*: *원한*을 풀고 치욕을 씻는다는 뜻으로, 마음에 맺힌 *원한*을 풀고, 수치스러운 일을 씻어버린다는 의미.
#일#마음#*원한*#수치#의미#치욕"
"* 太阿倒持(태아도지)*: 태아를 거꾸로 쥐고 있다는 뜻으로, 太阿라는 보검(寶劍)을 거꾸로 쥐고 다른 사람에게 주는 것과 같이 *천자*가
대권(大權)을 신하에게 빼앗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山鷄野鶩(산계야목)*: 산 꿩과 들오리라는 뜻으로, 성질이 사납고 거칠어서 제 마음대로만 하며 다잡을 수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綠鬢紅顔(록빈홍안)*: (1)윤이 나는 검은 귀밑머리와 발그레한 얼굴이라는 뜻으로, 젊고 아름다운 여자의 얼굴 또는 *젊은* 여자의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2)‘녹빈홍안’의 북한어.
#여자#귀밑머리#머리#아름다움#얼굴"
"* 無腸公子(무장공자)*: (1)기개나 담력이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2)창자가 없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게’를 이르는
말.
#이름#창자#기력#동물#창#사용#담력#기개#공자#사람"
* 絜矩之道(혈구지도)*: 자기를 척도로 삼아 남을 *생각*하고 살펴서 바른길로 향하게 하는 도덕상의 길.
"* 樂爲之事(낙위지사)*: 즐거워서 하는 일. 또는 *즐거움*으로 삼는 일.
#일#*즐거움*"
분별
"* 小隙沈舟(소극침주)*: 조그만 틈으로 물이 새어 들어 배가 가라앉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을 게을리하면 큰 *재앙*이 닥치게 됨을
이르는 말.
#일#새#배#*재앙*#물#비유#의미"
"* 太平天國(태평천국)*: (1)근심이나 걱정이 없는 편안한 이상국. (2)1851년에 홍수전과 농민 반란군이 중국 광시성(廣西省)에
세운 나라. 청나라의 지배에 항거하고, 기독교의 평등사상과 토지의 균등 분배 따위를 바탕으로 한 이상 국가를 세우고자 하였으나,
1864년에 내부의 분열과 증국번ㆍ이홍장 등이 이끄는 한인 의용군, 외국 의용군의 힘을 빌린 청나라에 의하여 망하였다.
#한편#바탕#지배#외국#홍수#근심#청나라#안락#청#*태평*#사상#걱정#힘#국가#평화#농민#따위#평등#나라#편안#중국#분열#내부#토지#공격
#군대#이상"
"* 變化無雙(변화무쌍)*: 변하는 정도가 비할 데 없이 심함.
#의미#정도#*변화*#세상"
"* 捲土重來(권토중래)*: (1)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하였으나 힘을 회복하여 다시
쳐들어옴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두목의 에 나오는 말로, 항우가 유방과의 결전에서 패하여 오강(烏江) 근처에서 자결한 것을 *탄식*한
말에서 유래한다. (2)어떤 일에 실패한 뒤에 힘을 가다듬어 다시 그 일에 착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항우#일#당나라#땅#말#기세#*탄식*#자결#실패#비유#의미#결전#중국#회복#힘#유방#근처#흙#전력#유래"
"* 風前燈火(풍전등화)*: (1)*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右往左往(우왕좌왕)*: (1)이리저리 왔다 갔다 하며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을 종잡지 못함. (2)이리저리 왔다 갔다 하며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을 종잡지 못하는 모양."
* 再起不能(재기불능)*: 다시 일어설 능력(能力)이 없음.
"* 沸聲如雷(비성여뢰)*: 시끄럽게 떠드는 *소리*가 마치 우레와 같다는 뜻으로, 사람의 울부짖는 *소리*가 우레와 같이 심하듯이
전쟁의 참상을 비유하는 말."
풍속
* 頂門一針(정문일침)*: 정수리에 침을 놓는다는 뜻으로, 사람의 급소를 짚어 따끔한 훈계를 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長者萬燈(장자만등)*: *장자*의 일만 개의 등(等)이라는 뜻으로, 불교(佛敎)에서, 부자(富者)가 신불(神佛)에게 일만 개의
등(等)을 올리는 반면에 가난한 여인(女人)은 단 하나의 등(等)을 바치지만, 그 참뜻만 있으면 가난한 여인(女人)의 한 등(等)이
*장자*의 만 등(等)에 못지 않다는 말.
#일#참뜻#말#신부#불교#여인#부자#개의#*장자*#신불#가난"
"* 前車覆轍(전거복철)*: 앞에 간 *수레*가 뒤집힌 바퀴 자국이라는 뜻으로, 앞의 실패를 본보기 삼아 주의함을 이르는 말.
#전례#바퀴#앞사람#앞#실패#자국#*수레*#교훈#주의#사람"
"* 單虎胸背(단호흉배)*: 당하관 무관이 입는 상복(常服)의 가슴과 등에 붙이던 헝겊 조각. *호랑이* 한 마리를 수놓았다.
#상복#*호랑이*#마리#조각#무관#가슴"
* 母后(모후)*: *임금*의 어머니.
"* 三五之隆(삼오지륭)*: (1)중국에서, 삼황오제(三皇五帝) 때 융성했던 세상. (2)중국 한나라의 삼대 문제(文帝)와 오대
무제(武帝) 때의 융성했던 *시대*."
"*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여옹#산#귀#인생#공명#비유#노생#유래#도사#주인#소년#누리#쓰임#부귀영화#베개#80세#*꿈*#영화#부귀#잠"
"* 倉廩實則知禮節(창름실즉지예절)*: *재산*(財産)이 풍족하고서야 비로소 예절(禮節)을 알아 차린다는 뜻.
#예절#풍족#*재산*"
"* 雲心月性(운심월성)*: 구름 같은 마음과 달 같은 *성품*이라는 뜻으로, 맑고 깨끗하여 욕심이 없음을 이르는 말.
#명예#달#이익#마음#욕심#구름#심성#깨끗#세속#*성품*"
"* 愛莫助之(애막조지)*: 사랑*하나* 도와줄 수가 없음.
#사랑#마음#도움#실제"
"* 四百四病(사백사병)*: (1)사람의 오장에 있는 405종의 병 중에서 죽는 병을 제외한 404종의 병. (2)사람의 *몸*에서 땅,
물, 불, 바람의 네 요소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얻는 병. 한 요소마다 101가지이므로 모두 404가지가 된다."
"* 本門開顯(본문개현)*: 법화경에서, 석가모니가 자신이 *보리*수 아래에서 성불한 새로운 부처가 아니라 구원겁(久遠劫) 전의 근본
부처임을 밝힌 일.
#일#새#성#성불#아래#말#구원#근본#석가#성도#자신#부처#처음#석가모니"
"* 家貧則思良妻(가빈즉사양처)*: 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
"* 千里同風(천리동풍)*: 천 리에 걸쳐 같은 바람이 분다는 뜻으로, *세상*이 통일되어 천 리나 떨어진 곳까지 풍속이 같아짐을 이르는
말."
"* 零丁孤苦(영정고고)*: 가난해지고 세력(勢力)이 꺾여 도와 주는 사람도 없어, *혼자*서 괴로움을 당(當)하는 어려운 처지(處地)를
이르는 말.
#*혼자*#세력#가난#괴로움#사람"
* 天賦自然(천부자연)*: *하늘*로부터 받아서 사람의 힘으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본연의 성질.
"* 風雲魚水(풍운어수)*: 바람ㆍ구름ㆍ고기ㆍ물이라는 뜻으로, 임금과 *신하*의 친밀한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바람#*신하*#임금#물#비유#구름#친밀#밀접#사이"
"* 仰天大笑(앙천대소)*: 터져 나오는 웃음을 참을 수 없거나 어이가 없어서 *하늘*을 쳐다보고 크게 웃음.
#큰소리#*하늘*#웃음"
"* 與虎謨皮(여호모피)*: 호랑이에게 가죽을 내어 놓으라고 *꾀*다라는 뜻으로, 근본적으로 이룰 수 없는 일을 이르는 말.
#일#근본적#*꾀*#호랑이#근본#가죽"
"* 萬折必東(만절필동)*: 황허는 아무리 굽이가 많아도 반드시 *동쪽*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충신의 절개는 꺾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절개#방향#꼬불꼬불#황하#강#말#결국#사용#*동쪽*#의미#중국#근거#곡절#무리#충신"
* 朝不食夕不食(조불식석불식)*: 아침도 굶고 저녁도 굶는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여 끼니를 늘 굶음을 이르는 말.
"* 覆杯之水(복배지수)*: 엎지른 물이라는 뜻으로, 다시 수습하기 곤란한 *상황*을 이르는 말.
#일#*상황*#물#비유#물의#회복#수습#곤란"
* 鳥逐花間蹀鷄爭草中蟲(조축화간접계쟁초중충)*: 새는 *꽃* 사이의 나비를 쫓고, 닭은 풀가운데의 벌레와 다툼.
"* 浮生若夢(부생약몽)*: 덧없는 *인생*이 마치 꿈과 같다는 뜻으로, *인생*이 꿈처럼 덧없음을 의미하는 말.
#의미#허무#꿈#*인생*"
"* 歡如平昔(환여평석)*: *원한*을 버리고 옛정을 다시 회복함.
#원망#않고#*원한*#기쁨#의미#생각#회복#예전"
"* 秋風索莫(추풍삭막)*: 가을바람이 황량하고 쓸쓸하게 분다는 뜻으로, 예전의 권세는 간 곳이 없고 초라해진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花柳東風(화류동풍)*: 꽃과 버들과 봄*바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꽃#버들#봄*바람*"
"* 亡羊(망양)*: (1)독서를 하다가 양을 잃고 노름을 하다가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하는 일은 달라도 한 가지 일에 전념하지
아니하고 이것저것 하면 실패함을 이르는 말. ≪장자≫ 에 나오는 말이다. (2)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에 나오는 말이다."
"* 旋乾轉坤(선건전곤)*: (1)천지를 뒤집는다는 뜻으로, *나라*의 난을 평정함을 이르는 말. (2)*나라*의 나쁜 풍습을 크게
고침을 이르는 말."
* 明珠彈雀(명주탄작)*: *새*를 잡는 데 구슬을 쓴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탐내다가 큰 것을 손해 보게 됨을 이르는 말.
"* 風斯在下(풍사재하)*: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오름을 이르는 말.
#오름#새#때#*바람*"
"* 四鳥之別(사조지별)*: 네 마리 새의 이별(離別)이라는 뜻으로, *모자*(母子)의 이별(離別)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모자*#마리#새#비유"
"* 沈魚落雁(침어낙안)*: 미인을 보고 물 위에서 놀던 물고기가 부끄러워서 물속 깊이 숨고 하늘 높이 날던 기러기가 부끄러워서 땅으로
떨어졌다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인의 *용모*를 이르는 말. ≪장자≫ 에 나오는 말이다.
#*용모*#땅#미인#말#형용#물속#동물#여인#물#장자#하늘#높이"
"* 相互扶助(상호부조)*: 공동*생활*에서 개인들끼리 서로 돕는 일. 사회 진화의 근본적 동력이 된다.
#일#근본적#개인#근본#사회"
"* 象牙塔(상아탑)*: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프랑스#현실#시인#탑#비평#생활#태도#대학#유래#사람#학문#관념#어금니#열중#주의#학자들#코끼리#세계#학자#예술#*속세*#사용#의미#
연구"
"* 滿壁書畵(만벽서화)*: 벽에 *가득*히 걸거나 붙인 글씨와 그림.
#그림#글씨"
"* 治國若鎒田(치국약누전)*: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농부*가 밭의 김을 매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치국은 백성(百姓)을 괴롭히는 자를
제거하는 데 있음을 이르는 말.
#백성#제거#*농부*#밭#나라"
"* 南柯夢(남가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당나라*#부마#나무#남가군#꿈#때#영화#중국#부귀영화#부귀#남쪽#잠#동안#술#한때#유래"
* 親三寸(친삼촌)*: 친아버지의 *형제*.
"* 三分五裂(삼분오열)*: 여러 *갈래*로 갈려 흩어짐.
#*갈래*"
"* 面引廷爭(면인정쟁)*: 임금의 면전에서 *허물*을 기탄없이 직간하고 쟁론함.
#*허물*#직간#앞#임금#면전"
* 旭日昇天(욱일승천)*: 아침 해가 *하늘*에 떠오름. 또는 그런 기세.
* 男尊女卑(남존여비)*: (1)‘남존여비’의 북한어. (2)남자는 지위가 높고 귀하며, *여자*는 지위가 낮고 천하다고 여기는 일.
"* 傳不習乎(전불습호)*: ‘전해 받은 것을 익히지 못했는가?’라는 뜻으로, *스승*에게 전수 받은 학문 수양을 게을리 하지 않았는가를
반성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아직 익숙하지 못한 것을 남에게 전해 가르치는 일은 없었는가를 반성하는 것으로도 해석함."
"* 谿壑之慾(계학지욕)*: 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의 욕심이라는 뜻으로, 물릴 줄 모르는 한없는 욕심(慾心)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시냇물#욕심#비유"
"* 顔面不知(안면부지)*: *얼굴*을 모름. 또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
#일#모름#사람#*얼굴*"
"* 黃粱一炊之夢(황량일취지몽)*: *노생*이 잠들기 전(前)에 짓던 기장밥이 꿈에서 깨어보니 아직 익지 않은 짧은 시간(時間)이었음.
#기장#시간#꿈#밥#*노생*"
* 擇言擇行(택언택행)*: 말을 가리고 *행동*을 가린다는 뜻으로, 선과 악을 가려서 해야 할 말이나 *행동*을 이르는 말.
* 傾國之色(경국지색)*: 임금이 혹하여 *나라*가 기울어져도 모를 정도의 미인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 兄弟爲手足(형제위수족)*: *형제* 사이는 손발과 같아서 한번 잃으면 다시 얻을 수 없다는 뜻으로, *형제*끼리 우애 있게 지내야
한다는 말."
* 我身能孝兄弟亦效(아신능효형제역효)*: 내 *몸*이 능히 효를 하면 형과 아우도 또한 본받음.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때#여옹#인생#생활#사이#메조#노생#년간#유래#도사#땅#소년#베개#80년#꿈#한단#밥#나라#영화#중국#잠#고사"
"* 言笑自若(언소자약)*: *근심*이나 놀라운 일을 당하였을 때도 보통 때와 같이 웃고 이야기함.
#일#침착#말#기색#보통#때#의미#태연#*근심*#태도#조금#평소"
"* 學如不及(학여불급)*: 학문은 미치지 못하는 것처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을 연마하는 것은 마치 달아나는 사람을 뒤쫓되 늘 미치지
못하는 것 같다는 의미. 곧 끈질긴 *노력*을 거듭하여도 학문의 오묘한 진리에 도달하기가 어려우므로, 한결 더 분발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
"* 騷人墨客(소인묵객)*: 시문(詩文)과 서화(書畫)를 일삼는 사람.
#객#풍아#의미#시인#풍#그림#시문#사람"
"* 博聞强記(박문강기)*: 널리 사물(事物)을 보고 들어 잘 *기억*(記憶)하고 있음.
#사물#*기억*"
* 自受用身(자수용신)*: 수행이 끝나 복덕과 *지혜*가 원만하고 밝아 늘 진리를 관조하여 스스로 그 법락(法樂)을 받는 불신(佛身).
"* 巫山之夢(무산지몽)*: 무산(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낮잠#남녀#미인#말#왕#양#유래#초나라#*꿈*#사용#의미#*꿈*속#중국#즐거움#무산#침#고사#산#남녀간#정교"
*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집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 吮疽之仁(연저지인)*: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4년 6월 17일 (8)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