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 전체글 2 티스토리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구글 트렌드
속담 모음

2024년 06월 15일 속담 (1) ⭕️

by 사계절1 2024. 6. 15.




728x90
반응형

"* 安樂國(안락국)*: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 恨紫愁紅(한자수홍)*: *꽃*이 울긋불긋하여 여러 느낌ㆍ감정ㆍ생각 따위를 불러일으키는 모양.
"* 豊取刻與(풍취각여)*: 넉넉하게 취하고 각박하게 나주어 준다는 뜻으로, 많이 차지하고 조금 주는 *욕심*이 많고 인색(吝嗇)함을
이르는 말.
#*욕심* #각박 #차지 #넉넉 #조금 #인색"
"* 多賤寡貴(다천과귀)*: 모든 상품(商品)은 다과(多寡)에 의(依)해서 그 *값*의 고하(高下)가 이루어짐.
#고하 #*값* #상품"
"* 生死存沒(생사존몰)*: 살아서 존재하는 것과 죽어서 없어지는 것.
#존재 #*생사*"
"* 過目成誦(과목성송)*: 어떤 책이든 한번 보기만 하면 곧 왼다는 뜻으로, *기억*력이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책 #한번 #눈 #비유"
"* 下馬評(하마평)*: 관직의 인사이동이나 관직에 임명될 후보자에 관하여 세상에 떠도는 풍설(風說). 예전에, *관리*들을 태워 가지고
온 마부들이 상전들이 말에서 내려 관아에 들어가 일을 보는 사이에 상전들에 대하여 서로 평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상전 #일 #부임 #말 #평론 #후보자 #유래 #민간 #평판 #관직 #*관리* #관아 #임명 #세상 #인사 #예전 #사이"
"* 逐鹿者不顧兎(축록자불고토)*: 사슴을 쫓는 자는 *토끼*를 돌아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명예(名譽)나 욕심(慾心)에 사로잡힌
사람은 도리(道理)를 저버리거나 눈앞의 위험(危險)을 돌보지 않음의 비유(比喩) (2) 큰 일을 이루려는 사람은 작은 일에 사로잡히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토끼* #명예 #일 #욕심 #눈앞 #위험 #비유 #사슴 #사람"
"* 天高馬肥(천고마비)*: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하늘이 맑아 높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이 익는 가을철을 이르는 말.
#초목 #*곡식* #말 #원래 #계절 #가을철 #결실 #때 #중국 #옛날 #경계 #하늘 #가을 #침입"
"* 天日照臨(천일조림)*: (1)하늘과 해가 내려다본다는 뜻으로, 속*일*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2)임금이 잘 살펴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作義兄弟(작의형제)*: ‘결의*형제*’의 북한어.
* 何關大事(하관대사)*: 커다란 *관계*가 없음을 이르는 말.
* 萬折必東(만절필동)*: 황허는 아무리 굽이가 많아도 반드시 동*쪽*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충신의 절개는 꺾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半途而廢(반도이폐)*: 일을 하다가 *중도*에서 그침.
#일 #*중도*"
* 女中豪傑(여중호걸)*: (1)‘여중호걸’의 북한어. (2)도량이 크고 의협심이 강하여 타고난 기품이 있는 *여자*.
* 兩鳳齊飛(양봉제비)*: 두 마리의 봉황이 나란히 날아간다는 뜻으로, *형제*가 함께 출세함을 이르는 말.
"* 掣肘(철주)*: 팔굽을 당긴다는 뜻으로, 간섭하여 마음대로 하지 못하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여씨춘추≫ 의 *공자*의 제자
복자천(宓子賤)에 얽힌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 命世之才(명세지재)*: (1)한 *시대*를 바로잡아 구원할 만한 큰 인재. (2)‘맹자’의 다른 이름.
"* 考例施賞(고례시상)*: 전례를 참*고하*여 상을 줌.
#참고 #전례"
"* 老而不死(노이불사)*: 늙었으나 죽지 못한다는 뜻으로, 늙은 *나이*에 꼴사납고 어지러운 일들이 생겨도 마지못해 살아감을 한탄하여
이르는 말."
"* 諸子百家(제자백가)*: 춘추 전국 시대의 여러 학파. *공자*(孔子), 관자(管子), 노자(老子), 맹자(孟子), 장자(莊子),
묵자(墨子), 열자(列子), 한비자(韓非子), 윤문자(尹文子), 손자(孫子), 오자(吳子), 귀곡자(鬼谷子) 등의 유가(儒家),
도가(道家), 묵가(墨家), 법가(法家), 명가(名家), 병가(兵家), 종횡가(縱橫家), 음양가(陰陽家) 등을 통틀어 이른다."
* 强近之族(강근지족)*: 도움을 줄 만한 아주 가까운 친척(親戚).
"* 不費之惠(불비지혜)*: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이익* #손해 #의미 #자신 #은혜"
"* 玄尙白(현상백)*: 검지만 아직도 희다는 뜻으로, 아직 다 검어지지 않았다는 *의미*에서 도(道)가 미숙(未熟)함을 비웃어 일컫는
말."
* 明察秋毫(명찰추호)*: 밝음이 *가을* 터럭을 살핀다는 뜻으로, 안력(眼力)의 날카로움을 의미함.
"* 黃金時代(황금시대)*: (1)사회의 진보가 최고조에 이르러 행복과 평화가 *가득* 찬 시대. 그리스 사람이 인류의 역사를 금, 은,
청동, 철의 네 시대로 나눈 가운데서 첫째의 시대를 이르는 말이다. (2)일생에서 가장 번영한 시기. (3)러시아의 작곡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 발레 대본 공모에 당선된 이바노브스키(Ivanovsky, A.)의 의 3막 6장의 발레 음악이다. 초연은
1930년 키로프 극장에서 이루어졌다. (4)16세기 초부터 17세기 말까지 이어진 에스파냐 문학의 전성기. 에스파냐의 국토 회복과
정치적 통일이 이룩되고 신대륙의 발견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것이 그 배경이 되었다. 에스파냐 문학사에서 가장 찬란한 시기로
손꼽힌다."
* 綠楊芳草(녹양방초)*: 푸른 버드나무와 향기로운 *풀*.
"* 百事不成(백사불성)*: 여러 가지 일이 하나도 이루어지지 않음. 또는 하는 일마다 *실패*하여 일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
#일 #*실패*"
"* 病風傷暑(병풍상서)*: 바람에 병들고 더위에 상하였다는 뜻으로, *고생*스러운 세상살이에 시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바람 #상하 #살이 #*고생* #더위 #비유 #세상"
* 以頭搶地(이두창지)*: *머리*를 땅에 대고 비빈다는 뜻으로, 무엇을 호소하거나 잘못을 뉘우쳐 용서를 빎을 이르는 말.
"* 大樹將軍(대수장군)*: ‘장군’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광무제의 장군 풍이(風異)가 *겸손*하여 공을 논하지 않고 늘 큰
나무 밑에 물러가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말 #나무 #장군 #*겸손* #중국 #수고 #매사 #풍 #고사 #유래 #광무제 #사람"
"* 浮浪悖類(부랑패류)*: *일정*하게 사는 곳과 하는 일 없이 떠돌아다니며 못된 짓이나 하는 무리.
#떳떳 #일 #무리들 #*일정* #행동 #의미 #직업 #무리 #주소"
"* 山鷄野鶩(산계야목)*: *산* 꿩과 들오리라는 뜻으로, 성질이 사납고 거칠어서 제 마음대로만 하며 다잡을 수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마음 #성질 #꿩 #비유 #성미 #*산* #사람"
"* 法界悋氣(법계인기)*: 자기(自己)에게 직접(直接) 관계(關係)없는 일로 남을 질투(嫉妬)하는 일. 특(特)히 남의 *사랑*을
시샘하여 질투(嫉妬)하는 것을 두고 이르는 말."
* 分段同居(분단동거)*: 부처와 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분단생사하는 세계에서 *범*부와 함께 사는 일.
"* 千里同風(천리동풍)*: 천 리에 걸쳐 같은 *바람*이 분다는 뜻으로, 세상이 통일되어 천 리나 떨어진 곳까지 풍속이 같아짐을 이르는
말."
"* 挺身出戰(정신출전)*: 앞장서서 나가 싸운다는 뜻으로, *위급*(危急)할 때 과감히 나서 모든 책임(責任)을 다함을 이르는 말.
#책 #책임 #때 #*위급*"
* 忠則盡命(충칙진명)*: 충성(忠誠)함에는 곧 목숨을 다하니 임금을 섬기는 데 *몸*을 사양(辭讓)해서는 안됨.
"* 寒露(한로)*: (1)이십사절기의 하나. 추분과 상강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195도인 때이다. 10월 8일경이다.
(2)늦가을에서 초겨울 무렵까지의 이슬.
#이슬 #일 #황경 #무렵 #한창 #때 #늦가을 #일곱 #기온 #*태양* #10월 #8일 #추분 #사이"
"* 滄海一粟(창해일속)*: 넓고 큰 바닷속의 좁쌀 한 알이라는 뜻으로, 아주 많거나 넓은 것 가운데 있는 매우 하찮고 작은 것을 이르는
말. 중국 북송의 문인 *소식*의 에 나오는 말이다.
#보잘것 #허무 #천지간 #작음 #비유 #가운데 #세상 #사람 #존재 #인간 #북 #좁쌀 #지극 #말 #바닷속 #사용 #의미 #중국 #문인 #*소식*"
"* 府部院廳(부부원청)*: 서울의 각 관아를 통틀어 이르던 말.
#관아 #말 #서울"
붉은
"* 齊紫敗素(제자패소)*: 제자(齊紫)는 제(齊)나라에서 나는 자색 천을 말하고, 패소(敗素)는 거칠고 흰 비단(緋緞)을 말하는 것으로
거칠고 나쁜 물건(物件)이라도 자줏빛 물만 들이면 값이 열 곱으로 뛴다는 데서, 어진 사람은 풍부(豊富)한 지식(知識)으로
재난(災難)을 복으로 돌리고, *실패*(失敗)를 성공(成功)으로 이끈다는 말.
#자줏빛 #복 #값 #말 #풍부 #재난 #*실패* #물 #나라 #제자 #물건 #지식 #비단 #자색 #성공 #사람"
* 才子佳人(재자가인)*: 재주 있는 남자와 아름다운 여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 利害打算(이해타산)*: *이해*관계를 이모저모 모두 따져 봄. 또는 그런 일.
"* 凌雲之志(능운지지)*: 높은 구름을 훨씬 넘는 뜻이라는 말로, (1) 속세(俗世)에 초연(超然)한 *태도*(態度) (2)
속세(俗世)를 떠나서 초탈(超脫)하려는 마음.
#마음 #말 #속세 #구름 #*태도* #초연"
"* 無餘涅縏(무여열반)*: 온갖 번뇌(煩惱)를 다 없애고 분*별*(分別)하는 슬기를 떠나 육신(肉身)까지도 없애어 완전(完全)히
정적(靜寂)으로 들어선 경지(境地)."
"* 東漂西浪(동표서랑)*: 동쪽으로 표류하고 서쪽으로 방랑한다는 뜻으로, 이리저리 정처 없이 떠*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방랑 #정처 #동쪽 #동서 #서쪽"
"* 百代之親(백대지친)*: 먼 조상 때부터 가까이 지내 온 *집안* 사이의 친분.
#일 #친분 #때 #*집안* #조상 #일가 #사이"
* 放牛歸馬(방우귀마)*: 전쟁에 사용했던 마소를 산야에 놓아준다는 뜻으로, 전쟁이 끝나고 천하가 태평함을 비유하는 말.
"* 兩是雙非(양시쌍비)*: (1)‘양시쌍비’의 북한어. (2)양편의 *주장*이 다 이유가 있어서 시비를 가리기 어려움.
#양편 #양 #이유 #어려움 #시비 #양쪽 #*주장* #편의 #분간 #是非"
* 秋月春風(추월춘풍)*: 가을 달과 봄*바람*이라는 뜻으로, 흘러가는 세월(歲月)을 이르는 말.
"* 三冬文史(삼동문사)*: *가난*한 사람은 농사(農事) 짓느라고 여가(餘暇)가 없어 다만 삼동에 학문(學問)을 닦는다는 뜻으로,
자기(自己)를 겸손(謙遜)히 이르는 말.
#농사 #학문 #여가 #겸손 #*가난* #사람"
"* 咸興差使(함흥차사)*: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하거나 늦게 온 사람을 이르는 말. 조선 태조 이성계가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에 있을
때에, 태종이 보낸 차사를 혹은 죽이고 혹은 잡아 가두어 돌려보내지 아니하였던 데서 *유래*한다.
#심부름 #때 #비유 #회답 #한번 #소식 #조선 #왕위 #*유래* #사람"
"* 姑息之計(고식지계)*: 우선 당장 편한 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 한때의 안정을 얻기 위하여 임시로 둘러맞추어 처리하거나
이리저리 주선하여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른다."
"* 木石(목석)*: (1)나무와 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나무 #*감정* #비유 #사람"
"* 在此一擧(재차일거)*: 단판으로 결판을 내어야 할 *형세*.
#끝장 #한번 #*형세*"
"* 伏地不動(복지부동)*: 땅에 엎드려 움직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주어진 일이나 업무를 처리하는 데 몸을 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몸 #땅 #안위 #대처 #*비유* #일관 #자신 #처리"
* 投筆從戎(투필종융)*: 붓을 던지고 창을 쫓는다는 뜻으로, *학문*(學問)을 포기(抛棄)하고 전쟁터로 나아감을 비유(比喩)하는 말.
"* 此一時彼一時(차일시피일시)*: 그때는 그때이고 지금은 지금이다라는 뜻으로, 이때 한 일과 저 때 한 일이 서로 사정이 다름을 이르는
말. ≪맹자≫ <*공손*추(公孫丑)>에 나오는 말이다.
#일 #말 #*공손* #때 #그때 #사정 #지금 #맹자 #한때 #이때"
"* 說長道短(설장도단)*: 장점을 말하고 단점을 말한다는 뜻으로, 이러니저러니 비평함으로 사용되는데, *본래*의 원말은 다음과 같다.
#말 #사용 #비평 #단점 #다음 #장점 #*본래*"
"* 哄然大笑(홍연대소)*: 크게 껄껄 *웃음*.
#대소 #*웃음* #소리"
"* 慈烏反哺(자오반포)*: 자애로운 *까마귀*의 돌이켜 먹임이라는 뜻으로, *까마귀*가 다 자란 후에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는 데서 자식이 부모의 은혜를 갚음을 비유하는 말.
#자식 #자애 #*까마귀* #먹이 #어미 #비유 #부모 #갚음 #은혜"
"* 桑土綢繆(상토주무)*: 새는 폭풍우(暴風雨)가 닥치기 전(前)에 *뽕나무* 뿌리를 물어다가 둥지의 구멍을 막는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準備)하여 닥쳐 올 재앙(災殃)을 막음을 이르는 말.
#새 #*뽕나무* #나무 #재앙 #준비 #구멍 #뿌리"
"* 貧賤不能移(빈천불능이)*: 빈천도 옮기게 할 수 없다는 뜻으로, 대장부(大丈夫)는 빈천한 처지에 처하더라도 자신의 바른 뜻으로
굽히거나 어기지 않는다는 *의미*."
"* 謹賀新年(근하신년)*: 삼가 새해를 *축하*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을 비는 인사말.
#상투어 #복 #*축하* #신년 #정중 #상투 #사용 #새해 #인사"
"* 蔽月羞花(폐월수화)*: 달도 숨고 꽃도 부끄러워한다는 뜻으로, 달과 꽃도 모두 숨고 부끄러워할 정도인 미인(美人)의 자태를 이르는
말. ‘閉月羞花’로도 *표현*함.
#달 #미인 #*표현* #꽃 #정도 #자태"
"* 野無遺賢(야무유현)*: 현명(賢明)한 사람이 모두 등용(登用)되어 민간(民間)에 *인물*(人物)이 없음.
#민간 #*인물* #현명 #등용 #사람"
"* 筌蹄(전제)*: (1)고기를 잡는 통발과 토끼를 잡는 올가미라는 뜻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편을 이르는 말. (2)중국
남조의 사대부가 설법을 할 때에 손에 쥐던 불자(拂子) 따위를 이르는 말. (3)사물의 길잡이가 되는 것.
#사물 #토끼 #설법 #달성 #사대부 #때 #쥐 #중국 #통발 #따위 #*목적*"
"* 雲龍風虎(운룡풍호)*: 구름을 타고 하늘로 오르는 용과 바람을 타고 달리는 범이라는 뜻으로, 의기와 기질이 서로 맞거나
성주(聖主)가 현명한 *신하*를 얻음을 이르는 말.
#일 #감응 #기질 #말 #바람 #*신하* #성군 #범 #호랑이 #때 #사용 #비유 #용 #구름 #하늘 #기상 #현명"
"* 塞翁爲福(새옹위복)*: 한때의 이(利)가 장래(將來)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화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
#복 #화 #때 #*화가* #장래 #한때"
"* 夫和婦順家和之本(부화부순가화지본)*: 남편(男便)은 온화(溫和)하고 아내는 양순한 것이 *가정*(家庭) 화목(和睦)의 근본(根本)임.
#양 #남편 #온화 #근본 #*가정* #아내 #화목"
"* 母夫人(모부인)*: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어머니*"
"* 騎虎之勢(기호지세)*: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형세라는 뜻으로, 이미 시작한 일을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형세 #경우 #*호랑이* #시작 #중도"
"* 末如之何(말여지하)*: 아주 엉망이 되어서 어찌할 도리가 없음.
#어찌 #엉망"
* 山戰水戰(산전수전)*: 산에서도 싸우고 물에서도 싸웠다는 뜻으로, *세상*의 온갖 고생과 어려움을 다 겪었음을 이르는 말.
"* 桃夭時節(도요시절)*: (1)복숭아꽃이 필 무렵이란 뜻으로, 혼인을 올리기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2)처녀가 *나이*로 보아
시집가기에 알맞은 때.
#무렵 #복숭아꽃 #때 #꽃 #혼인 #시절 #*나이* #처녀 #시집"
* 削髮爲僧(삭발위승)*: *머리*털을 깎고 승려가 됨.
"* 結義兄弟(결의형제)*: 의로써 *형제*의 관계를 맺음. 또는 그렇게 관계를 맺은 *형제*.
#일 #삼국지 #밭 #관계 #의리 #천하 #유비 #*형제* #장비 #맹세 #복숭아 #사람"
"* 福生於微(복생어미)*: 복은 작은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행복*은 조그마한 일에서부터 싹튼다는 의미.
#의미 #일 #*행복* #복"
"* 陶婚式(도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2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사기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축하 #풍속 #혼인 #의식 #*부부* #기념 #20주년"
"* 兄弟和睦父母喜之(형제화목부모희지)*: 형과 아우가 화목(和睦)하면 *부모*(父母)님이 기뻐하심.
#화목 #형 #*부모* #아우"
"* 束手無策(속수무책)*: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의미 #어찌 #상황 #대책"
"* 跛立箕坐(피립기좌)*: 한 발로 서거나 다리를 뻗고 앉는다는 뜻으로, 무례(無禮)하고 건방진 *태도*를 이르는 말.
#무례 #다리 #*태도*"
* 悲憤慷慨(비분강개)*: 슬프고 분하여 의분이 북받침.
"* 强顔(강안)*: 얼굴 *가죽*이 두껍다는 뜻으로, 부끄러움을 모름.
#부끄러움 #*가죽* #모름 #얼굴"
"* 千金買骨(천금매골)*: 천금으로 말의 뼈를 산다는 뜻으로, 열심히 *인재*(人材)를 구(求)함을 이르는 말.
#뼈 #말 #*인재* #천금"
"* 可聞說話(가문설화)*: 들을 만한 *가*치*가* 있는 옛이야기.
#*가*치"
"* 私其飮食禽雖之類(사기음식금수지류)*: 형제(兄弟) 간(間)에 음식(飮食)을 사사(私事)로이 한다면 새나 짐승의 무리와 같음.
#새 #형제 #음식 #私事 #무리 #짐승"
* 別無長物(별무장물)*: 필요한 것 이외에는 갖지 않음. 검소한 *생활*(生活).
"* 戀戀不忘(련련불망)*: (1)그리워서 잊지 못함. ⇒*규범* 표기는 ‘연연불망’이다. (2)그리워서 잊지 못함. (3)‘연연불망’의
북한어.
#*규범* #불"
"* 調御丈夫(조어장부)*: 여래 십호(如來十號)의 하나. 중생을 잘 이끌어 가르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를 *달*리 이르는
말이다."
"* 氷炭相愛(빙탄상애)*: 얼음과 숯불이 서로 사랑한다는 뜻으로, 세상에 있을 수 없는 일이나, 얼음과 숯이 서로 본질을 보전한다는
의미에서 *친구*끼리 서로 훈계해 나감을 비유하기도 함."
"* 三不孝(삼불효)*: 세 가지의 큰 불효. 부모를 불의(不義)에 빠지게 하는 일, 부모가 늙고 집이 가난하여도 벼슬하지 않는 일,
*자식*이 없어 조상의 제사를 끊어지게 하는 일을 이른다."
* 奴輩(노배)*: ‘놈들’, ‘*자식*들’이라는 뜻으로, 남들을 낮잡아 이르는 말.
"* 落紙雲煙(낙지운연)*: 종이에 떨어뜨리면 *구름*이나 연기 같다는 뜻으로, 글씨를 쓰는 데 초서(草書)의 필세(筆勢)가 아름답고
교묘하며 웅혼(雄渾)한 모양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 犬馬之心(견마지심)*: 개나 말이 주인을 위하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신하*나 백성이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하는 마음을 낮추어 이르는
말."
* 連枝(연지)*: (1)‘연지’의 북한어. (2)한 뿌리에서 난 이어진 가지라는 뜻으로, 형제자매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堯長舜短(요장순단)*: 요임금은 크고 순임금은 작다는 뜻으로, 성인(聖人)의 품격이나 가치는 외모와는 *상관*이 없다는 것을 이르는
말.
#성 #성인 #요임금 #순임금 #임금 #외모 #*상관* #가치"
"* 多情多感(다정다감)*: 정이 많고 *감정*이 풍부함.
#풍부 #생각 #의미 #*감정* #느낌"
"* 虛無寂滅(허무적멸)*: (1)삶과 죽음의 경지를 떠남. (2)도교에서의 텅 빔과 *불교*에서의 사라져 없어짐.
#초월 #죽음 #*불교* #불 #허무 #생사 #열반 #적멸 #불가 #삶 #상태"
"* 飛蓬隨風(비봉수풍)*: 마른 쑥이 바람 부는 대로 난다는 뜻으로, *일정*한 주의나 방침이 없이 정세나 환경에 따라 움직임을
비유하는 말.
#환경 #바람 #정세 #*일정* #방침 #움직임 #쑥 #비유 #주의"
"* 才子多病(재자다병)*: *재주* 있는 사람은 병이 잦음.
#*재주* #재능 #말 #각박 #병 #운명 #의미 #사람"

"* 貴脚踏賤地(귀각답천지)*: 귀한 발로 천한 땅을 밟았다는 뜻으로, 누추한 곳에 잘 오셨다는 *겸손*한 인사말의 의미.
#의미 #*겸손* #땅 #인사말"
"* 懸車(현거)*: (1)수레를 건다는 뜻으로, 나이가 들어 벼슬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의 설광덕(薛廣德)이 관직을
그만두고 *은거*할 때, 임금이 내린 안거(安車)를 매달아 놓고 자손에게 전한 고사에서 유래한다. (2)일흔 살의 나이를 이르는 말.
(3)해 질 무렵.
#무렵 #*은거* #임금 #때 #관직 #중국 #자손 #수레 #나이 #벼슬 #한나라 #고사 #유래 #일흔"
"* 破甕救兒(파옹구아)*: 항아리를 깨뜨려 아이를 구한다는 뜻으로, 송(宋)의 사마광(司馬光)이 어릴 때 물독에 빠진 아이를 돌로
깨뜨려 구했다는 *고사*에서 어린아이의 지혜로움을 의미함.
#어린아이 #항아리 #아이 #때 #물 #의미 #지혜 #*고사* #돌"
"* 下意上達(하의상달)*: 아랫사람의 뜻을 *윗사람*에게 전달함.
#아랫사람 #*윗사람* #전달 #아래"
* 祖父(조부)*: (1)*아버지*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2)부모의 *아버지*와 한 항렬에 있는 남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 班門弄斧(반문농부)*: 자신의 실력도 헤아리지 아니하고 어떤 일을 하려고 당치 아니하게 덤비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
기계를 잘 만드는 반수(班輸)라는 사람을 흉내 내어, 그의 집 문 앞에서 *도끼*를 가지고 기계를 만들려고 한 어리석은 사람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흉내 #말 #실력 #집 #*도끼* #앞 #않고 #나라 #생각 #중국 #자신 #노나라 #유래 #사람"
"* 尤而效之(우이효지)*: 허물하면서도 그것을 본받는다는 뜻으로, 남의 잘못을 나무라면서 자신이 그것을 본받는 잘못을 저지르는 상황이나
그것을 경계하는 말로 사용됨.
#그것 #말 #허물 #상황 #잘못 #사용 #경계 #자신"
"* 念力徹巖(염력철암)*: 전념을 다해 힘을 다하면 *바위*도 뚫을 수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을 함에 있어서 온 정력을 다하는
마음이면 무엇이나 이루지 못할 것이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일 #*바위* #마음 #노력 #전념 #진심 #비유 #무엇 #힘 #불가능 #정력"
* 如玉其人(여옥기인)*: (1)인품이 옥과 같이 맑고 깨끗한 사람. (2)옥과 같이 아름다운 *여자*.
"* 天之曆數(천지역수)*: 천명을 받아 제위(帝位)를 잇는 순서.
#제왕 #왕 #천명 #자연 #순서"
* 自身放賣(자신방매)*: 자기의 몸을 스스로 팔아 망침.
"* 游閑公子(유한공자)*: 한가하게 노는 공자라는 뜻으로, *의식* 걱정이 없이 한가롭게 노는 사람이나 부귀한 집안의 자제를 일컫는
말로 사용됨.
#자제 #말 #사람 #사용 #걱정 #부귀 #집안 #*의식* #공자 #한가"
"* 隔靴搔(격화소)*: 신(靴)을 신은 채 발바닥을 긁는다는 뜻으로, (1) 뜻한 바의 효과(效果)를 얻지 못하여 안타까운 일의
비유(比喩) (2) (어떤 일을 함에 있어)그 정통(正統)을 찌르지 못하고 겉*돌*기만 하는 안타까움을 이름."
"* 萬物博士(만물박사)*: 여러 방면에 모르는 것이 없는 매우 박식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방면 #사람"
"* 綱常罪人(강상죄인)*: 예전에, 삼강오상(三綱五常)에 어긋나는 행위를 한 죄인을 이르던 말. 부모나 *남편*을 죽인 자, 노비로서
주인을 죽인 자, 또는 관노(官奴)로서 관장(官長)을 죽인 자 등을 이른다.
#주인 #죄인 #행위 #*남편* #노비 #부모 #예전 #사람"
"* 風前之塵(풍전지진)*: 바람 앞의 먼지라는 뜻으로, 사물의 변*화가* 덧없음을 이르는 말.
#사물 #티끌 #바람 #앞 #비유 #무상 #변화"
"* 逆旅過客(역려과객)*: (1)길 가는 나그네와 같이 아무 관계가 없는 사람. (2)*세상*은 여관과 같고 인생은 그곳에 잠시 머무는
나그네와 같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萬覇不聽(만패불청)*: 많은 패도 듣지 않는다는 뜻으로, 본래 바둑에서 큰 패가 생겼을 때 상대자가 어떤 패를 써도 응하지 않고
팻자리를 해소하는 일인데, 후에 아무리 *싸움*을 걸려고 집적거려도 못들은 체 하고 응하지 않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일 #말 #바둑 #해소 #상대자 #고집 #때 #상황 #사용 #비유 #상대 #자리 #본래 #*싸움*"
* 輕浮(경부)*: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신중하지 못하고 가벼움.
"* 鄒魯(추로)*: 추나라는 *맹자*의 출생지이고 노나라는 공자의 출생지인 데서 공자와 *맹자*를 달리 이르는 말.
#나라 #孔子 #*맹자* #노나라 #공자 #사람"
"* 枝葉末端(지엽말단)*: 가지와 잎의 맨 끝이라는 뜻으로, 본질적이거나 중요하지 않은 부차적인 부분이라는 의미.
#부분 #중요 #끝 #의미 #잎 #본질적 #본질"
"* 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뜻으로, 청결한 덕있는 행동을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미인*데, 주로
입춘첩(立春帖)으로 사용하는 글귀."
* 殘杯冷肴(잔배냉효)*: 마시다 남은 술과 다 식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菽水之供(숙수지공)*: 콩과 물로 드리는 공양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중에도 검소한 음식으로 정성을 다하여 부모를 봉양하는 일을
이르는 말."
"* 杞人之憂(기인지우)*: 앞일에 대해 쓸데없는 걱정을 함. 또는 그 걱정. 옛날 중국 기(杞)나라에 살던 한 사람이 ‘만일 하늘이
무너지면 어디로 피해야 좋을 것인가?’ 하고 침식을 잊고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어디 #사용 #나라 #의미 #침식 #걱정 #옛날 #근심 #앞일 #하늘 #중국 #*유래* #기우 #사람"
"* 童子如何(동자여하)*: ‘동자가 어찌 알리오!’라는 뜻으로, 동자는 *사물*의 이치를 모른다고 단정해서 어린 아이 같은 것이 무엇을
아느냐고 마구 꾸짖고 나무라는 말."
"* 別世(별세)*: *윗사람*이 세상을 떠남.
#죽음 #*윗사람* #세상 #사람"
"* 百里之命(백리지명)*: 백 리는 중국 주(周)나라 때 *제후*가 다스렸던 나라의 면적을, 명은 백성의 운명을 뜻하는 것으로, 한
나라의 정치를 이르는 말.
#백성 #*제후* #때 #나라 #운명 #중국 #백 #정치"
* 錦衣還鄕(금의환향)*: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城狐社鼠(성호사서)*: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몸 #이름 #성 #곁 #*여우* #관청 #임금 #비유 #간신 #쥐 #사당 #안전 #세력 #무리 #과거 #사람"
"* 出必告反必面(출필고반필면)*: '나갈 때는 부모(父母)님께 반드시 출처(出處)를 알리고 돌아오면 반드시 *얼굴*을 뵈어
안전(安全)함을 알려 드린다'라는 뜻으로, 밖에 나갔다오거나 들어올 때 부모(父母)님께 반드시 알려야함을 이르는 말."
* 前言往行(전언왕행)*: 옛사람이 남겨 놓은 말과 행동.
"* 鳳麟芝蘭(봉린지란)*: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난초 #여자 #재능 #말 #남녀 #형용 #표현 #기린 #봉황 #비유 #지초 #남자 #*아름다움*"
* 白雲山上蓋明月水中珠(백운산상개명월수중주)*: 흰 구름은 산 위의 덮개요, 밝은 *달*은 물 가운데의 구슬임.
"* 夫爲婦綱(부위부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유교 #*남편* #모범 #덕목 #의미 #도덕 #근본 #부부간 #가치 #아내 #벼리 #기본"
* 風朝雨夕(풍조우석)*: *바람*부는 아침과 비오는 저녁.
"* 徙宅忘妻(사택망처)*: 집을 *이사*하며 아내를 잊어버린다는 뜻으로, 심한 건망증이 있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의리(義理)를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말 #집 #정신 #의리 #비유 #의미 #*이사* #소중 #아내 #분별 #사람"
"* 誨盜誨淫(회도회음)*: 도둑질을 가르치고 음탕함을 가르친다는 뜻으로, 재물을 허술하게 간직하는 것은 도둑을 끌어들이는 것이고,
*여자*가 지나치게 몸단장을 하는 것은 음탕한 사나이를 불러들이는 것이 된다는 의미에서 유래된 말."
"* 春夏秋冬(춘하추동)*: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의 네 계절.
#여름 #계절 #겨울 #봄 #*가을*"
"* 削髮爲僧(삭발위승)*: 머리털을 깎고 *승려*가 됨.
#머리털 #*승려* #머리"
"* 皓齒丹脣(호치단순)*: 하얀 치아와 붉은 *입술*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를 이르는 말.
#*입술* #여자"
"* 太史之簡(태사지간)*: 태사(太史)는 중국에서 기록을 맡아보던 *벼슬*아치로 사관(史官)을 말하고, 간(簡)은 문서를 말함. 즉,
역사가의 역사 기록. 역사를 기록함에 사실을 숨기지 아니하고 그대로 직필(直筆)함."
가운데
"* 家貧親老(가빈친로)*: 집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늙었다는 뜻으로, 집안의 사정이 여의치 못하여 마땅치 않은 일이라도 해야 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 伏慕區區(복모구구)*: 삼가 사모하는 *마음* 그지없다는 뜻으로, 한문 투의 편지에 쓰는 말.
#그지 #사모 #*마음* #말"
"* 望雲(망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이 타향에서 부모가 계신 쪽의
구름을 바라보고 어버이를 그리워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당나라 #타향 #고향 #때 #*생각* #비유 #중국 #구름 #어버이 #부모 #객지 #쪽 #유래"
가을
"* 希世之雄(희세지웅)*: 세상에서 드문 *영웅*이라는 뜻으로, 세상에서 보기 드문 난세의 *영웅*을 이르는 말. [= 稀世之雄].
#*영웅* #난세 #세상"
"* 寂滅爲樂(적멸위락)*: 생사의 괴로움에 대하여, 적정(寂靜)한 열반의 경지를 참된 *즐거움*으로 삼는 일.
#일 #적정 #생사 #*즐거움* #열반 #괴로움"
"* 煙火中人(연화중인)*: 불에 익힌 음식을 먹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도가에서 *속세*의 인간을 이르는 말.
#인간 #*속세* #화 #불 #음식 #사람"
* 暗索(암색)*: (1)물건 따위를 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음. (2)어림으로 무엇을 *알*아내거나 찾아내려 함.
"* 望眼成穿(망안성찬)*: 눈을 바라보아 구멍이 생긴다는 뜻으로, 구멍이 날 정도로 응시하는 뚫어*지게* 바라본다는 의미.
#눈 #구멍 #정도 #의미"
"* 弄瓦之慶(롱와지경)*: (1)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농와지경’의 북한어.
#여자 #아이 #표현 #딸 #실패 #기쁨 #의미 #중국 #지경 #장난 #즐거움 #경사 #*흙* #유래 #아이들"
"* 松菊主人(송국주인)*: 소나무와 *국화*의 주인이라는 뜻으로, 자연 속에 은둔(隱遁)하고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
#주인 #*국화* #자연 #소나무 #사람"
"* 人間苦海(인간고해)*: *인간*세상의 고뇌의 바다라는 뜻으로, 한 없이 괴롭고 힘든 인생살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인간* #고뇌 #세상"
* 鶴髮童顔(학발동안)*: 머리털은 하얗게 세었으나 얼굴은 아이와 같다는 뜻으로, 전설 따위에 나오는 신선의 얼굴을 이르는 말.
"* 猛虎伏草(맹호복초)*: 사나운 범이 *풀*숲에 엎드려 있다는 뜻으로, 영웅은 일시적으로 숨어 있어도 때가 되면 세상에 드러나게
마련이라는 말."
"* 堅甲利兵(견갑이병)*: (1)‘견갑이병’의 북한어. (2)튼튼한 갑옷과 날카로운 무기를 갖춘 *군사*.
#*군사* #견고 #강 #튼튼 #갑옷 #군대"
* 羊質虎皮(양질호피)*: 속은 양이고 거죽은 범이라는 뜻으로, 본바탕은 아름답지 아니하면서 겉*모양*만 꾸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度德而師(탁덕이사)*: 덕을 헤아려 스승으로 여긴다는 뜻으로, 그 사람의 인격을 헤아린 연후에 스승으로 삼음을 이르는 말.
#스승 #삼음 #사람 #인격"
"* 四鳥別(사조별)*: *모자*(母子)가 서로 이별(離別)함. 네 마리의 새끼 새가 그 어미를 떠난다는 고사에서 비롯됨.
#새 #새끼 #어미 #마리 #*모자* #고사"
* 春花秋月(춘화추월)*: 봄철의 *꽃*과 가을철의 달이라는 뜻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河魚之疾(하어지질)*: ‘복통’을 *달*리 이르는 말.
"* 萬里長城(만리장성)*: (1)중국의 북쪽에 있는 성. 서쪽 간쑤성(甘肅省)의 자위관(嘉峪關)에서 시작하여 동쪽 허베이성(河北省)의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른다. *춘추* 전국 시대의 조(趙)ㆍ연(燕) 등이 변경 방위를 위하여 쌓아서 만든 것을 진(秦)의 시황제가 크게
증축하여 완성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명나라가 몽골의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것이다. 길이는 2,700km. (2)서로 넘나들지
못하게 가로막는 크고 긴 장벽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창창한 앞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남녀가 서로 교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황제 #창창 #변경 #시대 #서쪽 #북쪽 #침입 #완성 #전국 #시작 #가로막 #앞날 #명나라 #성 #남녀 #*춘추* #길이 #대비 #동쪽 #길 #중국 #방위 #황제"
일생
"* 漁人之利(어인지리)*: 고기 잡는 사람의 *이익*(利益)이란 뜻으로, 쌍방이 다투는 틈을 타서, 제 3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利得)을 보는 경우(境遇)를 가리키는 말.
#말 #*이익* #경우 #이득 #사람"
"* 寢室之憂(침실지우)*: 중국(中國) 노(魯)나라의 한 천부(賤婦)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를 걱정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로,
'자기(自己) *분수*(分數)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이르는 말.
#일 #말 #방 #*분수* #나라 #중국 #걱정 #근심 #근심함 #천부"
* 老當益壯(노당익장)*: (1)‘노당익장’의 북한어. (2)늙었지만 의욕이나 기력은 점점 좋아짐. 또는 그런 *상태*.
"* 千秋之恨(천추지한)*: 천 년의 *원한*이라는 뜻으로, 오랜 세월을 두고 쌓인 *원한*(怨恨)의 의미.
#의미 #세월 #*원한*"
* 泮蛙(반와)*: 성균관 개구리라는 뜻으로, 자나 깨나 *책*만 읽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各自爲心(각자위심)*: 제각기 마음을 *달*리 먹음. 또는 그 마음.
"* 主客之勢(주객지세)*: 주인과 손 사이의 *형세*라는 뜻으로, 종속적인 처지에 있는 사람이 중요한 위치의 사람을 당하여 내지 못하는
*형세*를 이르는 말.
#주인 #사람 #중요 #의미 #위치 #지리 #객 #자리 #*형세* #사이"
* 無爲自然(무위자연)*: 사람의 *힘*을 더하지 않은 그대로의 자연. 또는 그런 이상적인 경지.
"* 十人十色(십인십색)*: (1)영국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존슨이 지은 희곡. 5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로 나온 시골 청년이
아름다운 애인을 사귀게 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조급성ㆍ허세ㆍ질투 등 인간의 여러 가지 성질 때문에 일어나는 우스꽝스러운 사건을
묘사하였다. 예리하고 지성적인 풍자와 조소를 통하여 영국의 희극에 새로운 유형을 도입한 기질 희극의 대표적 *작품*이다. 1598년에
발표되었다. (2)열 사람의 열 가지 색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모습이나 생각이 저마다 다름을 이르는 말.
#기질 #중심 #성질 #인간 #풍자 #때문 #도시 #예리 #사건 #생각 #우스꽝 #*작품* #허세 #시인 #시골 #청년 #발표 #모습 #질투 #사람"
"* 百樂之丈(백악지장)*: *거문고* 음악을 숭상하여 이르는 말.
#*거문고* #숭상 #음악 #말"
* 風雲魚水(풍운어수)*: *바람*ㆍ구름ㆍ고기ㆍ물이라는 뜻으로, 임금과 신하의 친밀한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幸反爲禍(행반위화)*: 幸이 도리어 禍가 된다는 뜻으로, 좋은 일이 도리어 *재앙*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일 #*재앙* #변화"
"* 兼人之力(겸인지력)*: *혼자*서 능히 몇 사람을 당해 낼 만한 힘.
#힘 #*혼자* #사람"
"* 大材小用(대재소용)*: 큰 재목(材木)이 작게 쓰이고 있다는 뜻으로, (1) 사람을 부리는 데 있어서 제 능력(能力)을 다
발휘(發揮)할 수 있는 조건(條件)이 안됨 (2) 역설적(逆說的)으로 큰 재목(材木)은 큰 일에 쓰여야 한다는 말(3) 정부나
조직(組織)에서 사람을 쓰는 법이 잘못되었음을 가리킴.
#일 #조건 #법 #말 #조직 #발휘 #안됨 #능력 #잘못 #재목 #사람"
"* 生寄死歸(생기사귀)*: *사람*이 이 세상에 사는 것은 잠시 머무는 것일 뿐이며 죽는 것은 원래 자기가 있던 본집으로 돌아가는
것임을 이르는 말."
제자
"* 暴殄天物(포진천물)*: *물*건을 아까운 줄 모르고 마구 써 버리거나 아껴 쓰지 아니하고 함부로 버림.
#사용 #의미 #*물*건 #버림 #하늘"
"* 天涯孤獨(천애고독)*: 멀리 떨어진 낯선 고장에서 *혼자* 쓸슬히 지낸다는 뜻으로, 의지(依支)할 곳이 없음을 이르는 말.
#의지 #*혼자*"
* 百藥無效(백약무효)*: 온갖 약이 *효*과가 없다는 뜻으로, 온갖 약을 써도 *효*력이 없는 것처럼 해결이 난감한 상황을 이르는 말.
* 自棄(자기)*: 절망에 빠져 *자신*을 스스로 포기(抛棄)하고 돌아보지 아니함.
"* 羅浮之夢(나부지몽)*: 나부산(羅浮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덧없는 한바탕의 *꿈*을 이르는 말.
#*꿈* #한바탕"
"* 猿猴取月(원후취월)*: 원숭이가 물에 비친 달을 잡는다는 뜻으로, *욕심*에 눈이 어두워 자기의 분수를 모르고 날뛰다가 목슴까지
잃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經世之才(경세지재)*: 세상을 다스릴 만한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
#*재주* #사람 #세상"
"* 慈烏(자오)*: 까마귓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은 대개 검은색이며, 번식기는 3~5월이다. 어미 새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고 하여 ‘반포조’ 또는 ‘효조’라고도 한다. 잡식성으로 갈까마귀, 떼까마귀, 잣까마귀 따위가 있다."
* 暴棄(포기)*: 절망에 빠져 자신을 스스로 포기(抛棄)하고 *돌*아보지 아니함.
"* 名望天下(명망천하)*: 이름이 *세상*에 널리 퍼짐.
#이름 #*세상*"
* 朝夕哭泣(조석곡읍)*: 상가에서, 아침*저녁*으로 궤연(几筵)에 음식을 올릴 때 소리 내어 슬피 우는 일.
"* 虎不食兒(호불식아)*: *호랑이*는 새끼를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범은 아무리 배가 고파도 제 새끼를 먹지는 않는 것처럼, 아무리
흉악한 사람도 제 식구는 함부로 하지 않는다는 의미."
"* 積善之家(적선지가)*: 착한 일을 많이 한 집.
#집 #일"
"* 羞惡之心(수오지심)*: 사단(四端)의 하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착하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을 이른다. 인의예지(仁義禮智)
*가운데* 의에서 우러나온다."
"* 枕經藉書(침경자서)*: 경전을 *베개*하여 눕고 시서를 자리하여 앉는다는 뜻으로, 독서에 탐닉(耽溺)함을 이르는 말.
#자리 #경전 #*베개* #독서"
"* 山上說敎(산상설교)*: 신약 성경 *가운데* 5~7장에 실려 있는 예수의 가르침. 신앙생활의 근본 원리가 간명하게 정리ㆍ기술되어
있다."
"* 四方八方(사방팔방)*: 여기저기 모든 방향이나 방면.
#방향 #방 #여덟 #방면 #의미"
* 禮失則昏(예실즉혼)*: 예의를 잃으면 정신이 흐리고 사리에 어두운 *상태*가 됨.
"* 借花獻佛(차화헌불)*: 꽃을 빌려 부처에 바친다는 뜻으로, 남의 물건으로 자신의 *이득*을 꾀한다는 의미.
#일 #선물 #*이득* #꽃 #의미 #물건 #자신 #부처 #봄"
"* 四邪命食(사사명식)*: *승려*의 떳떳하지 못한 네 가지 생활 방식. 하구식(下口食), 앙구식(仰口食), 방구식(方口食),
유구식(維口食)이다. 비구는 본디 걸식 생활을 본의로 하는데 다른 생활도 함을 이르는 말이다.
#떳떳 #법 #원래 #방 #부정 #말 #사명 #본의 #*승려* #본디 #비구 #수단 #생활"
"* 傳不習乎(전불습호)*: ‘전해 받은 것을 익히지 못했는가?’라는 뜻으로, 스승에게 전수 받은 *학문* 수양을 게을리 하지 않았는가를
반성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아직 익숙하지 못한 것을 남에게 전해 가르치는 일은 없었는가를 반성하는 것으로도 해석함."
"* 玄髮(현발)*: 검은 머리라는 뜻으로, 소년 *시절*을 이르는 말.
#소년 #*시절* #말 #머리"
"* 朝秦暮楚(조진모초)*: 아침에는 북쪽의 진나라에서 *저녁*에는 남쪽의 초나라에서 거처한다는 뜻으로, 일정한 주소가 없이 유랑하거나
이편에 붙었다 저편에 붙었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同門爲朋(동문위붕)*: 같은 스승 밑에서 공부(工夫)한 *벗*.
"* 朝聞道夕死可矣(조문도석사가의)*: 아침에 *천하*(天下)가 올바른 정도(正道)로 행(行)해지고 있다는 말을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뜻으로, 사람이 참된 이치(理致)를 깨달으면 당장 죽어도 한(恨)이 없다는 뜻으로 쓰이며, 짧은 인생(人生)을 값있게 살아야
한다는 의미(意味)."
"* 畵虎不成(화호불성)*: *범*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서투른 솜씨로 남의 언행(言行)을 흉내내려 하거나, 어려운
특수(特殊)한 일을 하려다가 도리어 잘못됨의 비유(比喩).
#일 #솜씨 #흉내 #*범* #잘못 #비유 #언행"
"* 珊瑚婚式(산호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3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산호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풍속 #의식 #부부 #기념"
"* 亡命逃走(망명도주)*: 죽을죄를 지은 사람이 몸을 숨겨 멀리 *도망*함.
#몸 #*도망* #죄 #사람"
"* 輕車熟路(경거숙로)*: 가볍고 빠른 *수레*를 타고 익숙한 길을 간다는 뜻으로, 일에 숙달하여 조금도 막힘이나 머뭇거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일 #이름 #길 #*수레* #모양 #힘 #익숙 #조금"
"* 描虎類犬(묘호류견)*: *호랑이*를 그리려고 했으나 개와 비슷하게 되었다는 뜻으로, 계획은 크게 세웠지만 실패하여 결과는
보잘것없음을 이르는 말."
"* 三人文殊(삼인문수)*: 평범(平凡)한 인간(人間)이라도 세 사람이 모여서 의논(議論)하면, 지혜(智慧)를 다스리는 문수(文殊)
보살(菩薩)과 같은 좋은 *생각*이 떠오른다는 말."
"* 鷄群孤鶴(계군고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말 #비유 #인물 #*마리* #닭 #무리 #가운데 #학 #사람"
"* 握髮(악발)*: 어진 *인재*를 간절히 구함을 이르는 말. 중국의 주공(周公)이 머리를 감을 동안 찾아온 인사들을 감던 머리를
거머쥐고 지체하지 않고 만났다는 데서 유래한다."
"* 同工異曲(동공이곡)*: *재주*나 솜씨는 같지만 표현된 내용이나 맛이 다름을 이르는 말. 한유(韓愈)의 ≪진학해(進學解)≫에 나오는
말이다.
#내용 #*재주* #솜씨 #광채 #말 #재능 #표현 #특이 #동등 #곡조 #엇비슷 #맛 #한유 #음악 #시문 #기술"
* 八道江山(팔도강산)*: 팔도의 *강*산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 전체의 *강*산을 이르는 말.
"* 淸素之士(청소지사)*: *결백*(潔白)하고 허례허식이 없는 선비.
#선비 #*결백*"
* 玉兎銀蟾(옥토은섬)*: 옥토끼와 은 두꺼비라는 뜻으로, *달* 속에 사는 토끼와 두꺼비의 전설에서 유래한 ‘*달*’의 별칭(別稱).
* 色衰愛弛(색쇠애이)*: 사랑을 받던 아름다운 여자도 *나이*가 들어서 늙으면 그 사랑을 잃어버림.
* 千嬌萬態(천교만태)*: 천 가지의 아양과 만 가지의 교태라는 뜻으로, 온갖 아리따운 *태도*와 아양을 떠는 *태도*를 이르는 말.
"* 白雲(백운)*: (1)절의 큰방 윗목 벽에 써 붙여서 손님의 *자리*를 알게 하는 문자. 오고 가고 한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이다.
(2)색깔이 흰 구름.
#문자 #손님 #구름 #*자리* #절의"
"* 寧爲鷄口(영위계구)*: 차라리 닭의 부리가 된다는 뜻으로, 작은 일이라도 책임자가 될지언정 큰 *사람* 밑에서 지배받기는 싫다는
의미."
* 在家讀書(재가독서)*: 밖에 나*가지* 아니하고 집에 머물며 글을 읽음.
* 戴星之行(대성지행)*: 타향에서 부모의 부음(訃音)을 받고 *밤*을 새워 돌아가는 길.
"* 下穽投石(하정투석)*: 함정에 빠진 사람에게 *돌*을 떨어뜨린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놓인 사람을 도와주기는커녕 도리어 괴롭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白砂靑松(백사청송)*: 백사청송(白沙靑松). 흰 모래와 푸른 소나무라는 뜻으로, 흰 모래톱의 *사이**사이*에 푸른 소나무가
드문드문 섞여 있는 바닷가의 아름다운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 物極則反(물극즉반)*: 만*물*이 극에 달하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극과 극은 서로 통한다는 의미를 내포함.
"* 穎脫(영탈)*: 주머니 속의 송곳 끝이 밖으로 튀어나와 있다는 뜻으로, 뛰어나고 훌륭한 *재능*이 밖으로 드러나는 데가 있음을
이르는 말.
#*재능* #주머니 #준말 #끝 #우수 #송곳 #밖 #훌륭"
"* 田夫之功(전부지공)*: 양자의 다툼에 엉뚱한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예전 중국에 한자로(韓子盧)라는
매우 빠른 개가 동곽준(東郭逡)이라는 재빠른 토끼를 뒤쫓았다가 마침내 둘 다 지쳐서 죽고 말았는데, 때마침 이를 발견한 전부(田夫)가
힘들이지 않고 둘 다 얻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토끼 #다툼 #엉뚱 #개가 #*이득* #한자 #예전 #양자 #발견 #비유 #중국 #제삼자 #고사 #유래"
풍속
"* 人生朝露(인생조로)*: 사람의 인생은 마치 *아침* 이슬 같다는 뜻으로, 해가 뜨면 마르는 *아침* 이슬처럼 인생은 짧고 덧없다는
말."
"* 形容枯槁(형용고고)*: 얼굴 *모양*이 야위어 파리하다는 뜻으로, 얼굴이 몹시 야위고 파리해서 외모가 초라해짐을 이르는 말.
#외모 #초라 #*모양* #파리 #얼굴"
"* 會稽之恥(회계지치)*: 회계산에서의 수치라는 뜻으로, *전쟁*에 패한 치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에게 후이지산(會稽山)에서 패전하고 생포되어 굴욕적인 강화를 맺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구천 #마음 #춘추 #왕 #강화 #시대 #유래 #회계산 #*전쟁* #비유 #수치 #치욕 #중국 #산"
"* 騰達(등달)*: (1)위로 오름. (2)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 오르거나 유명하게 됨.
#출세 #오름 #지위 #유명 #사회 #입신출세 #사회적"
"* 拜復(배복)*: 절하고 회답(回答)한다는 뜻으로, 흔히 친구(親舊) 사이에 답장(答狀)하는 편지(便紙) *첫머리*에 또는
편지(便紙) 끝머리의 자기(自己) 이름 아래에 쓰는 말.
#이름 #말 #아래 #친구 #답장 #끝 #머리 #회답 #*첫머리* #사이"
"* 夢寐之間(몽매지간)*: 잠을 자며 꿈을 꾸는 *동안*.
#사물 #일 #꿈 #잠 #*동안* #몰두"
"* 爛商公論(난상공론)*: 여러 사람이 모여서 충분히 *의논*함. 또는 그런 *의논*.
#자세 #*의논* #사람"
"* 無緣法界(무연법계)*: (1)차별이 없는 평등한 일체. 무연이란 피차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은 것이고, *법*계는 *법*의 한계를
이른다. (2)인연도 연고도 없음. 또는 그런 사람."
"* 事師如親必敬必恭(사사여친필경필공)*: 스승 섬기기를 어버이 섬기듯하여 반드시 공경(恭敬)하고 반드시 *공손*(恭遜)하게 하여야 함.
#공경 #스승 #*공손* #어버이"
"* 未成一簣(미성일궤)*: 산을 만들 때에 마지막 한 삼태기를 덜 얹어 산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뜻으로, 마지막 *노력*을 소홀히 하면
일이 실패함을 이르는 말.
#일 #*노력* #완성 #실패함 #때 #마지막 #실패 #비유 #흙 #산"
"* 衣錦夜行(의금야행)*: 비단옷을 입고 *밤*에 다닌다는 뜻으로, 모처럼 성공하였으나 남에게 알려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
#*밤* #출세 #옷 #비단옷 #고향 #*밤*길 #의미 #행동 #성공 #보람"
* 上下寺不及(상하사불급)*: 위로도 *아래*로도 모두 미치지 못함. 또는 두 가지 일이 모두 실패하게 됨.
"* 南枝落北枝開(남지락북지개)*: *매화*(梅花)의 남쪽 가지에서는 꽃이 떨어지고 북쪽 가지에서는 꽃이 핀다는 뜻으로, 한난(寒暖)의
차이(差異)를 이르는 말.
#차이 #꽃 #남쪽 #북쪽 #*매화*"
"* 無爲而化(무위이화)*: (1)힘들이지 않아도 저절로 변하여 잘 이루어짐. 출전은 ≪논어≫ 이다. (2)성인의 덕이 크면 클수록
백성들이 좋은 영향을 받아 스스로 잘 변화하게 됨. (3)천도교에서, 한울님의 전지전능으로 이룬 자존 자율의 우주 법칙.
#백성 #우주 #영향 #성인 #위정자 #천도교 #출전 #교화 #한울 #한울님 #백성들 #법칙 #변화"
* 秤新而爨(칭신이찬)*: 땔*나무*를 저울로 달아 땐다는 뜻으로, 소소한 일에 너무 잔소리가 심함을 이르는 말.
"* 輪廻轉生(윤회전생)*: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 육도(三界六道)의 *생사* 세계를
그치지 아니하고 돌고 도는 일.
#일 #번뇌 #세계 #수레바퀴 #무시 #불교 #삼계 #전생 #윤회 #*생사* #사상 #근본 #중생 #인생"
* 自愧之心(자괴지심)*: 스스로 부끄럽게 여기는 *마음*.
"* 家鷄野鶩(가계야목)*: 집의 *닭*을 미워하고 들의 물오리를 사랑한다는 뜻으로, 일상(日常) 흔한 것을 피(避)하고 새로운 것,
진기한 것을 존중(尊重)함을 비유(比喩)."
의리
"* 移木之信(이목지신)*: 나무를 옮기는 신의라는 뜻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위정자(爲政者)는 백성에 *대한* 약속을 반드시 지킴을
밝히는 일. [= 徙木之信(사목지신)]."
* 碧溪山間(벽계산간)*: 푸른 시내가 흐르는 *산*골.
"* 桑間之音(상간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뽕나무 #남녀 #말 #복수 #때문 #밭 #복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血肉(혈육)*: (1)피와 살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부모, *자식*, 형제 따위의 한 혈통으로 맺어진 육친.
"* 木石不傅(목석불부)*: 나무에도 돌에도 붙일 데가 없다는 뜻으로, 의지할 곳이 없는 *처지*를 이르는 말.
#나무 #의지 #가난"
"* 何以得此(하이득차)*: 무슨 까*닭*으로 이것을 얻는가의 뜻으로, 뜻밖의 소득이 있는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이것 #뜻밖 #소득 #까*닭*"
"* 勇猛精進(용맹정진)*: *용*맹스럽게 힘써 나간다는 뜻으로, 불가(佛家)에서 *용*맹스럽게 불도(佛道)를 수행(修行)함을 이르거나,
아주 강하게 정진(精進)에 힘씀을 이르는 말."
"* 方春和時(방춘화시)*: 바야흐로 봄이 *한창* 화창한 때.
#*한창* #화창 #때 #의미 #만물 #봄"
"* 擇子莫如父(택자막여부)*: 자식을 가려내는 데에는 아버지만 함이 없다는 뜻으로, 아버지는 누구보다도 *아들*의 현명함과 어리석음을
잘 알아 가려낼 수 있다는 의미."
* 繼體之君(계체지군)*: 임금의 자리를 이어받을 황태자나 *왕*세자.
"* 情弟(정제)*: 주로 편지글에서, 정다운 아우라는 뜻으로 다정한 벗 사이에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말 #사이 #아우 #벗 #아우라 #다정"
"* 恒産恒心(항산항심)*: 일정(一定)한 생산(生産)이 있으면 *마음*이 변(變)치 않는다는 뜻으로, 일정(一定)한 직업(職業)과
재산(財産)을 가진 자는 *마음*에 그만 큼 여유(餘裕)가 있으나, 그렇지 않은 자는 정신적(精神的)으로 늘 불안정(不安定)하여 하찮은
일에도 동요함을 이르는 말."
"* 無病呻吟(무병신음)*: 병도 아닌 데 괴로워 앓는 *소리*를 낸다는 뜻으로, 곧 별것도 아닌 데 떠벌려 소란(騷亂)을 떨거나 엄살을
피움을 이르는 말."
"* 廻文織錦(회문직금)*: 비단으로 회문(回文)을 짜 넣다라는 뜻으로, 구성(構成)이 절묘(絶妙)한 훌륭한 문학작품(文學作品)을
비유(比喩)함.
#구성 #비유 #작품 #문학 #비단 #훌륭"
"* 三枝之禮(삼지지례)*: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발라 #*지극* #아래 #효성 #예의 #새끼 #비유 #어미"
* 鶴髮童顔(학발동안)*: *머리*털은 하얗게 세었으나 얼굴은 아이와 같다는 뜻으로, 전설 따위에 나오는 신선의 얼굴을 이르는 말.
* 絶人之力(절인지력)*: *남*보다 훨씬 뛰어난 힘.
"* 銀鱗玉尺(은린옥척)*: (1)*모양*이 좋고 큰 물고기. (2)‘물고기’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형용 #비늘 #*모양*"
* 坐井觀天(좌정관천)*: 우물 속에 앉아서 *하늘*을 본다는 뜻으로, 사람의 견문(見聞)이 매우 좁음을 이르는 말.
"* 德無常師(덕무상사)*: 덕을 닦는 데는 *일정*(一定)한 스승이 없다는 뜻으로, 마주치는 환경(環境), 마주치는 사람 모두가
수행(修行)에 도움이 됨을 이르는 말.
#환경 #도움 #*일정* #스승 #수행 #모두 #사람"
"* 三顧草廬(삼고초려)*: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초옥 #시대 #제갈량 #방문 #유비 #군사 #*은거* #사랑 #공명 #입 #유래 #임금 #인재 #마음 #말 #노력 #양 #참을성 #초가집 #의미 #중국 #촉한 #고사"
* 山深然後寺花落以前春(산심연후사화락이전춘)*: 산이 깊은 뒤에 절이 있고, *꽃*이 떨어지기 이전(以前)이 봄임.
* 千里面目(천리면목)*: 천리 밖의 *얼굴*이라는 뜻으로, 천리 밖의 먼 곳에서도 서로 *얼굴*을 대하듯 하는 편지를 이르는 말 .
"* 仲尼之徒(중니지도)*: 공자의 *제자*. 또는 공자의 학문을 받드는 사람.
#학문 #*제자* #孔子 #문인 #공자 #무리 #사람"
"* 大旱望雲霓(대한망운예)*: 큰 가뭄에 구름과 무지개를 바란다는 뜻으로, 자신의 목적하는 바의 달성을 매우 초조한 심정으로 갈망하고
있음을 비유하는 말.
#심정 #달성 #초조 #비유 #구름 #무지개 #자신 #가뭄 #목적"
"* 浩然之氣(호연지기)*: (1)*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 ≪맹자≫ 의 상편에 나오는 말이다. (2)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
"* 半死之境(반사지경)*: 반죽음이 된 *상태*.
#지경 #*상태*"
"* 鹿野苑(녹야원)*: 인도 중부에 있던 동산. 석*가모*니가 다섯 비구를 위하여 처음으로 설법한 곳이다.
#설법 #석가 #석*가모*니 #비구 #처음 #동산"
"* 十人十色(십인십색)*: (1)영국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존슨이 지은 희곡. 5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로 나온 시골 청년이
아름다운 애인을 사귀게 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조급성ㆍ허세ㆍ질투 등 인간의 여러 가지 성질 때문에 일어나는 우스꽝스러운 사건을
묘사하였다. 예리하고 지성적인 풍자와 조소를 통하여 영국의 희극에 새로운 유형을 도입한 기질 희극의 대표적 작품이다. 1598년에
발표되었다. (2)열 사람의 열 가지 색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모습이나 *생각*이 저마다 다름을 이르는 말."
"* 我有歡樂兄弟亦樂(아유환락형제역락)*: 나에게 기쁨과 *즐거움*이 있으면 형과 아우도 또한 즐거워함.
#기쁨 #*즐거움* #형 #아우"
"* 名不虛傳(명불허전)*: 명성이나 *명예*가 헛되이 퍼진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이름날 만한 까닭이 있음을 이르는 말.
#*명예* #조건 #이름 #법 #실제 #때문 #명성 #이유 #의미 #까닭"
"* 貪名愛利(탐명애리)*: *명예*를 탐내고 이익에 집착하는 일.
#일 #*명예* #이익 #집착"
* 謀算之輩(모산지배)*: 꾀를 내어 이해타산을 일삼는 *무리*.
"* 干名犯義(간명범의)*: 명분을 거스르고 의리를 어기는 행위.
#죄인 #죄 #행위 #은혜 #의리 #아들 #명분 #배반 #따위"
"* 靑松君子節綠竹烈女貞(청송군자절록죽열녀정)*: 푸른 *소나무*는 군자(君子)의 절개(節槪)요, 푸른 대나무는 열여의 정절(貞節)임.
#절개 #*소나무* #군자 #대나무"
* 無邊世界(무변세계)*: 끝없이 넓고 큰 *세계*.
"* 秋扇(추선)*: (1)*가을*철의 부채라는 뜻으로, 철이 지나서 쓸모없이 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이성의 사랑을 잃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無想無念(무상무념)*: 모든 생각을 떠나 마음이 빈 상태.
#상태 #마음 #생각"
"* 萬死猶輕(만사유경)*: 만 번 죽여도 오히려 가볍다는 뜻으로, 죄가 매우 무거움을 이르는 말.
#죄악 #죄"
"* 敗柳殘花(패류잔화)*: 잎이 다 떨어진 버드나무와 시든 꽃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움*을 잃은 미인이나 권세를 잃은 실력자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용모 #미인 #권세 #비유 #꽃 #잎 #버드나무 #쇠 #모습 #안색 #*아름다움*"
"* 父慈子孝(부자자효)*: 부모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도한다는 뜻으로, 어버이는 자녀에게 자애로운 *사랑*을 베풀고 자녀는 어버이에게
효성스러워야 한다는 의미."
"* 報以國士(보이국사)*: 남을 국사(國士)로 대우(待遇)하면 자기(自己)도 또한 국사(國士)로서 대접(待接)을 받는다는 뜻으로,
지기(知己)의 *은혜*(恩惠)에 감동(感動)함을 이르는 말.
#감동 #국사 #지기 #대우 #*은혜* #대접"
"* 家貧則思良妻(가빈즉사양처)*: 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
* 男女有別(남녀유별)*: 유교 사상에서, *남*자와 여자 사이에 분별이 있어야 함을 이르는 말.
* 眼透紙背(안투지배)*: 눈빛이 종이의 뒷면까지 꿰뚫는다는 뜻으로, 책을 정독하여 그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함을 이르는 말.
* 母夫人(모부인)*: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 賢賢易色(현현역색)*: 어진이를 어진이로 대하기를 여색을 좋아하듯 한다는 뜻으로, 평소 낯빛을 고쳐 삼가 현인을 공경한다는 의미로
쓰이거나, 부부사이에 마음씨 착함을 중히 *여기*고 용모에 치중하지 않는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夜雨對牀(야우대상)*: 밤비 소리를 들으면서 침상(寢床)을 나란히 놓고 눕는 다는 뜻으로, 형세(形勢)나 친구(親舊) *사이*가
좋음을 이르는 말.
#친구 #*사이* #형세 #소리"
"* 頤指氣使(이지기사)*: 턱으로 가리키고 *기운*으로 부린다는 뜻으로, 턱이나 기색, 몸짓 등으로 가리키고 시키는 것처럼 남을
마음대로 부림을 일컫는 말.
#기색 #마음 #*기운* #턱"
"* 用志不分(용지불분)*: 뜻을 베푸는데 나누지 않는다는 뜻으로, 오로지 한가지 일에 전념(專念)하고 여기저기 *정신*을 팔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 #*정신* #한가지 #전념"
* 百福莊嚴(백복장엄)*: 많은 *복*을 쌓은 공덕으로 갖추어진 부처의 장엄한 상(相).
얼음
* 可惜身命(가석신명)*: 몸과 *목숨*을 애틋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몸과 *목숨*을 소중하게 여김을 이르는 불가의 말씀.
* 百折不撓(백절불요)*: 어떠한 난관에도 결코 굽히지 않음.
* 饑餓線上(기아선상)*: 굶주리는 상태에 있는 것이라는 뜻으로, 굶주리어 죽을 *지경*에 이르는 상태를 의미.
"* 自曲之心(자곡지심)*: *허물*이 있는 사람이 스스로 고깝게 여기는 마음.
#마음 #*허물* #점 #사람"
* 眼中之人(안중지인)*: 눈 속의 사람이라는 뜻으로, 정든 사람이나 늘 *생각*하며 만나 보기를 원하는 사람.
"* 禍自微而生(화자미이생)*: 화는 사소(些少)한 일에서 생겨 마침내 매우 큰 *결과*(結果)를 낳음을 이르는 말.
#일 #사소 #화 #*결과*"
"* 換骨奪胎(환골탈태)*: (1)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 (2)뼈대를 바꾸어 끼고 태를 바꾸어 쓴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중국 남송의 *승려* 혜홍(惠洪)의 에
나오는 말이다.
#내용 #몸 #경우 #타인 #뼈 #딴사람 #용모 #일 #작품 #모방 #옛사람 #시문 #사람 #방향 #상태 #말 #형식 #먼저 #사용 #*승려* #의미 #뼈대 #중국 #모양 #고인 #
얼굴"
"* 版上朱丸(판상주환)*: 언덕 위에서 공을 굴린다는 뜻으로, 어떤 세력(勢力)에 *힘*입어 일을 꾀하면 쉽게 이루어지거나, 또는 그
일이 잘 진전됨의 비유(比喩)."
"* 漆室之憂(칠실지우)*: 자기 분수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서 *신분*이 낮은 여자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를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칠실 #여자 #일 #방 #고을 #분수 #*신분* #끝 #나라 #중국 #걱정 #고사 #근심 #노나라 #근심함 #유래 #마을"
"* 破家縣令(파가현령)*: 집안을 부수는 현령이라는 뜻으로, 백성들에게 가렴주구(苛斂誅求)의 횡포를 *부리*는 지방 관리를 이르는 말.
#백성 #횡포 #지방 #관리 #집안 #백성들 #부수"
"* 抱痛西河(포통서하)*: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가 서하에 있을 때, 그의 아들을 잃고 너무 비통한
나머지 실명한 고사에서 *유래*되어 자식을 잃고 슬퍼하는 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일 #자식 #때 #아들 #사용 #제자 #고통 #부모 #공자 #고사 #*유래* #서하"
* 孝衰於妻子(효쇠어처자)*: 효는 처자식에게서 쇠퇴해진다는 뜻으로, 사람은 처자를 가지면 *부모*를 섬기는 효심이 쇠해짐을 비유함.
* 朝不及夕(조불급석)*: 아침에서 *저녁*에 이르지 못한다는 뜻으로, 일이 매우 급박함을 이르는 말.
"* 面引廷爭(면인정쟁)*: 임금의 면전에서 *허물*을 기탄없이 직간하고 쟁론함.
#*허물* #직간 #앞 #임금 #면전"
"* 風前燭火(풍전촉화)*: (1)바람 앞의 촛불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위험한 처지에 놓여 있음을 이르는 말. (2)*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물* #등불 #말 #바람 #앞 #촛불 #위험 #위급 #자리"
목숨
"* 杯中蛇影(배중사영)*: 잔 속의 *뱀* 그림자라는 뜻으로, 공연한 의심으로 고민하는 일의 의미.
#일 #고민 #마음 #술잔 #의미 #공연 #의혹 #근심 #*뱀* #의심 #그림자 #스스로"
"* 北轅適楚(북원적초)*: 나릇을 북쪽으로 향(向)하게 해 놓고 남쪽인 초(楚)나라로 가려 한다는 뜻으로, 의도(意圖)하는 바와
행(行)하는 바가 *서로* 어긋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生死骨肉(생사골육)*: 죽은 사람을 살려 내어 뼈에 살을 붙인다는 뜻으로, 큰 은혜를 베풂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뼈 #은혜 #베풂 #사람"
"* 達八十(달팔십)*: 부귀와 관록이 따르는 영달의 삶을 이르는 말. 강태공이 여든 살에 주(周)나라 무*왕*을 만나 정승이 된 후
80년을 호화롭게 살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鳳麟芝蘭(봉린지란)*: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 男尊女卑(남존여비)*: (1)‘남존여비’의 북한어. (2)남자는 지위가 높고 귀하며, *여자*는 지위가 낮고 천하다고 여기는 일.
* 來者勿拒(내자물거)*: 오는 사람을 막지 말라는 말. ≪춘추≫ 에 나오는 말이다.
"* 泰山北斗(태산북두)*: (1)태*산*(泰山)과 북두칠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세상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我身能善譽及父母(아신능선예급부모)*: 내 *몸*이 능히 착하면 명예(名譽)가 부모(父母)님께 미침.
#*몸* #명예 #부모"
"* 知音(지음)*: (1)새나 짐승의 울음을 가려 잘 알아들음. (2)음악의 곡조를 잘 앎. (3)마음이 서로 통하는 친한 벗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거문고의 명인 백아가 자기의 소리를 잘 이해해 준 벗 종자기가 죽자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고 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에 나오는 말이다. (4)작품을 바르게 느끼고 평가함.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문학 평론(文學評論)에 해당하는 제48장의 제목이다. 문학 작품을 어떻게 감*상하*고 비평할 것인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협은 작품을 평가할 때에는 현재를 경시하는 태도, 타인을 경멸하는 태도, 진실을 왜곡하는 현상, 편견, 부정확한 평가 따위를 특별히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타인 #현상 #때 #문학 #비평 #경멸 #해당 #새 #평론 #작품 #백아 #경계 #태도 #이해 #진실 #유래 #벗 #평가 #지기 #소리 #곡조 #유협 #자신 #음악 #짐승 #앎 #
따위 #제목 #마음 #말 #의미 #울음 #주장 #거문고"
"* 冶容之誨(야용지회)*: 얼굴을 예쁘게 *단장*하는 것은 남을 음탕하게 만들기 쉬움.
#일 #말 #음탕 #*단장* #얼굴"
"* 拈華微笑(염화미소)*: 말로 통하지 아니하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 석*가모*니가 영산회(靈山會)에서 연꽃 한 송이를
대중에게 보이자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깨닫고 미소 지으므로 그에게 불교의 진리를 주었다고 하는 데서 유래한다.
#불교 #웃음 #일 #용어 #불 #석가 #유래 #불가 #연꽃 #문자 #전함 #석*가모*니 #마음 #말 #송이 #대중 #가섭 #진리 #꽃 #제자 #고사"
"* 繪事後素(회사후소)*: 그림 그리는 일은 흰 바탕을 마련한 다음에 해야 한다는 뜻으로, 내적인 *아름다움*을 먼저 갖춘 다음에
외적인 *아름다움*을 가꿀 수 있음을 이르는 말.
#바탕 #정돈 #채색 #나중 #때 #다음 #이후 #본질 #일 #외적 #출전 #비유 #사람 #손질 #꾸밈 #마련 #흰색 #선명 #그림 #*아름다움*"
* 適地適作(적지적작)*: 알맞은 *땅*에 알맞은 작물을 골라 심음.
* 浮生若夢(부생약몽)*: 덧없는 인생이 마치 *꿈*과 같다는 뜻으로, 인생이 *꿈*처럼 덧없음을 의미하는 말.
"* 竿頭(간두)*: (1)장대나 대막대기 따위의 끝. (2)높은 장대 위에 올라섰다는 뜻으로, 몹시 어렵고 위태로운 *지경*을 이르는
말.
#장대 #끝 #*지경* #백 #따위"
"* 十長生(십장생)*: 오래도록 살고 죽지 않는다는 열 가지. 해,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이다.
#죽지 #거북 #나무 #표현 #기원 #물 #구름 #물건 #사슴 #*소나무* #그림 #산 #학 #돌"
* 同聲相應(동성상응)*: 같은 소리끼리는 서로 응하여 울린다는 뜻으로, 같은 *무리*끼리 서로 통하고 자연히 모인다는 말.
"* 夫爲婦綱(부위부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유교 #남편 #모범 #덕목 #의미 #도덕 #*근본* #부부간 #가치 #아내 #벼리 #기본"
* 百歲之後(백세지후)*: 사람의 죽은 뒤를 높여 이르는 말.
* 假道滅虢(가도멸괵)*: 다른 나라의 길을 임시로 빌려 쓰다*가* 나중에 그 나라를 쳐서 없앰.
* 周遊天下(주유천하)*: *천하*를 두루 돌아다니며 구경함.
* 同功一體(동공일체)*: (1)같은 공로를 세워 같은 *지위*에 있음. (2)일의 공효(功效)가 서로 같음.
"* 奢者心常貧(사자심상빈)*: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마음 #사치 #만족 #의미 #*가난* #사람"
"* 疾行無善迹(질행무선적)*: 급한 행동은 좋은 흔적이 없다는 뜻으로, 급히 한 일에 좋은 *결과*가 없다는 의미.
#일 #의미 #흔적 #행동 #*결과*"
"* 輕衣肥馬(경의비마)*: (1)가벼운 *비단*옷과 살진 말이라는 뜻으로, 호사스러운 차림새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가벼운
차림새로 살진 말을 탐.
#호사 #옷 #말 #*비단*옷 #의미 #*비단* #차림새"
* 靑雲萬里(청운만리)*: 입신출세하려는 큰 *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朝歌夜絃(조가야현)*: 아침으로는 *노래*하고, 밤으로는 거문고를 탄다는 뜻으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음악(音樂)을 즐기면서 놂.
#밤 #아침 #*노래* #음악 #거문고 #밤낮"
* 草木同腐(초목동부)*: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響遏行雲(향알행운)*: 노래 소리가 지나가는 구름을 멈추게 한다는 뜻으로, 지나가는 구름도 잠깐 머물러 귀를 기울일 만큼 노래
소리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아름다움 #노래 #소리 #구름 #귀"
"* 藥籠中物(약롱중물)*: (1)병을 고치는 약처럼 사람의 잘못을 고치도록 하는 것. (2)약롱 속의 약품이라는 뜻으로, 꼭 필요한
사람을 이르는 말. (3)가까이 사귀어 자기편으로 만든 사람."
"* 三位一體(삼위일체)*: (1)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의 세 위격이 *하나*의 실체인 *하나*님 안에 존재한다는
교의. 325년 제일 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2)세 가지의 것이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되는 일."
"* 萬物之靈(만물지령)*: 온갖 *물*건의 정령(精靈).
#말 #만*물* #*물*건 #가운데 #사람"
* 四表(사표)*: 나라 사방의 바깥이라는 뜻으로, ‘*천하*’를 이르는 말.
"* 敵國破謀臣亡(적국파모신망)*: 적국(敵國)이 있는 한은 계략(計略)에 뛰어난 *신하*(臣下)는 후대(厚待) 받지만, 적국(敵國)을
멸망(滅亡)시킨 후(後)에는 모반(謀叛)이 두려워 제거(除去)해 버린다는 뜻으로, 염량세태(炎凉世態)의 냉혹(冷酷)한 인심(人心)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尊舅(존구)*: ‘시*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刻鵠類鵝(각곡유아)*: 고니를 새기려다 실패(失敗)해도 거위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1) 성현(聖賢)의 글을 배움에 그것을
완전(完全)히 다 익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最小限) 선인(善人)은 될 수 있다는 말 (2) 학업(學業)에 정진(精進)하여 어느
정도(程度) *성과*(成果)가 있다는 말.
#그것 #새 #성현 #정진 #성 #말 #완전 #선 #실패 #학업 #고니 #*성과* #선인 #정도 #비슷 #학"
"* 秋毫之末(추호지말)*: 가을철에 털갈이하여 가늘어진 *짐승*의 털끝이라는 뜻으로, 매우 가는 것을 이르는 말.
#가을철 #털 #*짐승* #가을 #털끝"
* 天機漏泄(천기누설)*: 하늘의 기밀이 *새*어 나갔다는 뜻으로, 중대한 비밀이 *새*어서 알려짐을 이르는 말.
"* 修學務早(수학무조)*: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수행은 기억력이 왕성한 소년*시절*에 해야 한다는
의미.
#일 #학문 #소년 #때 #의미 #학업 #*시절* #수행 #왕성"
"* 養子息知親力(양자식지친력)*: 자식을 길어야봐야 어버이의 힘든 것을 안다는 뜻으로, *부모*가 되어보아야 지고지순(至高至純)한
*부모*의 사랑을 깨달을 수 있다는 의미."
"* 岳丈(악장)*: '장인(丈人)'의 높임말. 아내의 *아버지*.
#장인 #아내"
* 天壤無窮(천양무궁)*: 하늘과 *땅*처럼 영구히 끝이 없음.
"* 虛心平意(허심평의)*: 마음을 비우고 뜻을 공평하게 한다는 뜻으로, 마음에 아무 일도 생각하지 아니하고, 고요하게 있는 상태로,
애증오호(愛憎惡好)의 생각이 없고 공평무사(公平無私)한 *태도*를 이르는 말.
#일 #고요 #마음 #생각 #감정 #*태도* #공평 #무사 #상태"
"* 書生文學(서생문학)*: 아직 습작 과정에 있는 사람의 작품. 또는 그 과정의 *문학*.
#일 #과정 #작품 #*문학* #일가 #사람"
"* 兩豆塞耳(양두색이)*: 두 콩으로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콩알 두 알로도 귀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처럼 조그마한 것이
큰 지장을 초래함을 비유하여 주로 마음이 물욕에 가려지면 도리를 *분별*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마음 #콩 #사용 #비유 #소리 #물욕 #사소 #*분별* #귀"
"* 秋霜(추상)*: *가을*의 찬 서리.
#절개 #위엄 #당당 #백발 #비유 #서리 #백 #*가을* #형벌"

"* 白髮童顔(백발동안)*: 머리털이 허옇게 세었으나 얼굴은 어린아이와 같다는 뜻으로, 나이는 많은데 매우 젊어 보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린아이 #소년 #백발 #머리 #머리털 #얼굴 #백 #나이 #사람"
"* 南面出治(남면출치)*: 임금의 자리에 오르거나 임금이 되어 나라를 다스림을 이르는 말. 임금이 남쪽을 향하여 신하와 대면한 데서
*유래*한다."
"* 風雲月露(풍운월로)*: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심에 조금도 유익하지 않은 화조월석만을 읊은, 실속이 없고 겉만 화려한 시문.
#실속 #도움 #화 #세도 #유익 #풍월 #필요 #자연 #세상 #풍 #겉 #조금 #시문 #인심"
* 同氣相求(동기상구)*: 같은 *무리*끼리 서로 통하고 자연히 모인다는 말.
* 狎而敬之(압이경지)*: 친압하면서도 공경한다는 뜻으로, 아주 친근한 *사이*일지라도 공경하는 마음을 잃지 않는다는 의미.
* 大覺世尊(대각세존)*: 도를 크게 깨*달*아 세상에서 높이 숭배를 받는 이라는 뜻으로, ‘부처’를 높여 이르는 말.
"* 快行無好步(쾌행무호보)*: 빠르게 걸으면 발걸음이 고르지 못하다는 뜻으로, 급하게 일을 하면 *결과*가 소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일 #*결과* #걸음걸이 #비유"
"* 堂內至親(당내지친)*: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일 #이내 #친척 #나라 #의미 #붙이 #우리 #팔촌 #우리나라 #*일가*"
* 玩物喪志(완물상지)*: 아끼고 좋아하는 사*물*에 정신이 팔려 원대한 이상을 상실함.
"* 整襟端坐(정금단좌)*: 옷깃을 바로잡고 단정하게 앉는다는 뜻으로, 몸가짐을 바르게 하여 *수양*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
#옷깃 #자세 #몸가짐 #*수양* #단정"
"* 暗香疎影(암향소영)*: 그윽한 향기(香氣)와 성긴 그림자라는 뜻으로, *매화*(梅花)를 두고 이름.
#그림자 #*매화* #이름 #그윽"
* 偸鷄摸狗(투계모구)*: 닭을 훔치고 개를 잡는다는 뜻으로, 손버릇이 나쁘거나 살금살금 나쁜 짓만 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 三從之道(삼종지도)*: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예기≫의 의례(儀禮) 에 나오는 말이다."
"* 蹈海(도해)*: (1)바다에 *몸*을 던져 죽는다는 뜻으로, 고결한 절개와 지조를 지킴을 이르는 말. (2)위험을 무릅쓰고 바다를
항해함."
* 讀書尙友(독서상우)*: 책을 읽음으로써 옛날의 현인들과 *벗*이 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坑儒焚書(갱유분서)*: *중국* 진(秦)나라의 시황제가 학자들의 정치적 비판을 막기 위하여 민간의 책 가운데 의약(醫藥),
복서(卜筮), 농업에 관한 것만을 제외하고 모든 서적을 불태우고 수많은 유생을 구덩이에 묻어 죽인 일."
"* 都邑華夏(도읍화하)*: 도읍(都邑)은 왕성(王城)의 *지위*(地位)를 말한 것이고, 화하(華夏)는 당시(當時) 중국(中國)을
지칭(指稱)하던 말임.
#당시 #말 #도읍 #지칭 #화 #중국 #*지위* #왕성"
* 狐鼠輩(호서배)*: 여우와 쥐의 *무리*라는 뜻으로, 간사하고 못된 사람이나 *무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春蚓秋蛇(춘인추사)*: 봄철의 지렁이와 *가을*철의 뱀이라는 뜻으로, 글줄이 비뚤어지고 글씨가 가늘어 힘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天下一品(천하일품)*: 세상에 오직 하나밖에 없거나 매우 뛰어나서 세상에서 견줄 만한 것이 없음. 또는 그런 물품.
* 高峯撐天立長江割地去(고봉탱천립장강할지거)*: 높은 봉우리는 하늘을 지탱(支撐)하여 서 있고, 긴 강은 *땅*을 가르고 감.
"* 頭髮上指(두발상지)*: *머리*카락이 위를 가리킨다는 뜻으로, *머리*카락이 곤두서 있는 격노(激怒)한 모양을 이르는 말.
#*머리*카락 #모양"
"* 敦睦之誼(돈목지의)*: (1)두텁고 화목한 정. (2)*일가*친척 사이에 오가는 두텁고 화목한 정.
#화목 #돈 #사이"
"* 犧牲羊(희생양)*: (1)희생이 되어 제물로 바쳐지는 양. (2)다른 사람의 이익이나 어떤 목적을 위하여 목숨, *재산*, 명예,
이익 따위를 빼앗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그것 #명예 #이익 #양 #목적 #희생 #제물 #*재산* #목숨 #의미 #대상 #자신 #따위 #사람"
"* 指鹿爲馬(지록위마)*: (1)*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의 조고(趙高)가 자신의 권세를
시험하여 보고자 황제 호해(胡亥)에게 사슴을 가리키며 말이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2)모순된 것을 끝까지 우겨서 남을 속이려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윗사람* #말 #마음 #황제 #권세 #끝 #나라 #모순 #중국 #사슴 #자신 #시험 #유래 #사람"
"* 割鷄焉用牛刀(할계언용우도)*: 닭을 가르는 데에 소잡는 큰 칼을 쓸 필요(必要)까지는 없다는 뜻으로, 조그만 일을 처리(處理)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手段)을 쓸 필요(必要)는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일 #칼 #비유 #닭 #필요 #처리 #*수단*"
"* 鷄鳴狗盜(계명구도)*: 비굴하게 남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맹상군이
진(秦)나라 소왕(昭王)에게 죽게 되었을 때, 식객(食客) 가운데 개를 가장하여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빠져나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 垂簾聽政(수렴청정)*: 임금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을 때, *왕*대비나 대*왕*대비가 이를 도와 정사를 돌보던 일. *왕*대비가
신하를 접견할 때 그 앞에 발을 늘인 데서 유래한다."
* 衣錦晝行(의금주행)*: 비단 옷을 입고 낮에 다닌다는 뜻으로, 출세하여 고향에 돌아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越津乘船(월진승선)*: 나루를 건너고 나서 배를 탄다는 뜻으로, 일을 *순서*대로 하지 않고 거꾸로 처리함을 이르는 말.
#일 #배 #비유 #*순서* #처리"
"* 固窮讀書(고궁독서)*: 어려운 처지에도 기꺼이 글을 읽음.
#곤궁 #가난 #달 #학문"
"* 富貴貧賤(부귀빈천)*: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은 것과 가난하고 천한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재산 #빈천 #부귀 #*지위* #가난 #귀"
"* 竹馬故友(죽마고우)*: 대말을 타고 놀던 *벗*이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같이 놀며 자란 *벗*.
#이름 #말 #*벗* #때 #대나무"
"* 行伍發薦(항오발천)*: (1)병졸로 시작하여 장관에 오름. (2)낮은 *벼슬*자리에서 점차 높은 *벼슬*자리로 오름.
#병졸 #*벼슬* #의미 #시작 #*벼슬*자리 #자리 #천거 #낮 #오름 #장관"
* 南面稱孤(남면칭고)*: 임금이 됨을 이르는 말, 고(孤)는 왕이 자신(自身)을 겸손(謙遜)하게 일컫는 말.
"* 本門開顯(본문개현)*: 법화경에서, *석가모니*가 자신이 보리수 아래에서 성불한 새로운 부처가 아니라 구원겁(久遠劫) 전의 근본
부처임을 밝힌 일.
#일 #새 #성 #성불 #아래 #말 #구원 #근본 #석가 #성도 #자신 #부처 #처음 #*석가모니*"
* 恩山德海(은산덕해)*: *산*과 바다처럼 크고 넓은 은혜.
"* 妨工害事(방공해사)*: 남의 일에 헤살을 놓아 해롭게 함.
#일"
* 四鳥別(사조별)*: 모자(母子)가 서로 이*별*(離別)함. 네 마리의 새끼 새가 그 어미를 떠난다는 고사에서 비롯됨.
"* 長命富貴(장명부귀)*: 오래 살며 *부귀*를 누림.
#수명 #재산 #의미 #*부귀* #지위 #부유"
"* 坎井之蛙(감정지와)*: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람 #구덩이 #비유 #견문 #식견 #*형편* #우물 #세상"
"* 田夫之功(전부지공)*: 양자의 다툼에 엉뚱한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예전 중국에 한자로(韓子盧)라는 매우
빠른 개가 동곽준(東郭逡)이라는 재빠른 *토끼*를 뒤쫓았다가 마침내 둘 다 지쳐서 죽고 말았는데, 때마침 이를 발견한 전부(田夫)가
힘들이지 않고 둘 다 얻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토끼* #다툼 #엉뚱 #개가 #이득 #한자 #예전 #양자 #발견 #비유 #중국 #제삼자 #고사 #유래"
"* 仁者樂山(인자요산)*: 어진 사람은 의리에 만족하여 *몸*가짐이 무겁고 덕이 두터워 그 마음이 산과 비슷하므로 자연히 산을 좋아함.
#마음 #만족 #심경 #의리 #의미 #*몸*가짐 #행동 #산 #비슷 #사람"
"* 一字千金(일자천금)*: 글자 하나의 값이 천금의 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글씨나 문장이 아주 훌륭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
여불위가 ≪여씨춘추≫를 지어 셴양(咸陽)의 성문에 놓아두고, 내용 *가운데* 한 글자라도 첨삭(添削)하는 사람이 있다면 천금을 주겠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내용 #글씨 #값 #*가운데* #춘추 #양 #유래 #금 #성문 #글자 #천금 #문장 #정도 #여씨춘추 #나라 #중국 #가치 #훌륭 #사람"
* 春花秋月(춘화추월)*: 봄철의 꽃과 가을철의 달이라는 뜻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 #여옹 #산 #귀 #인생 #공명 #비유 #노생 #유래 #도사 #주인 #소년 #누리 #쓰임 #부귀*영화* #베개 #80세 #꿈 #*영화* #부귀 #잠"
"* 白白紅紅(백백홍홍)*: 희끗희끗하고 불긋불긋한 *모양*.
#꼴 #불 #*모양*"
* 莫知其子之惡(막지기자지악)*: *자기* 자식의 잘못을 모른다는 뜻으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맹목적임을 이르는 말.
"* 得意之色(득의지색)*: 일이 뜻대로 이루어져 만족해하거나 뽐내는 기색.
#만족 #일 #기색"
* 孝當竭力(효당갈력)*: 부모(父母)를 섬길 때에는 마땅히 *힘*을 다하여야 함.
"* 往生極樂(왕생극락)*: 죽어서 극락에 다시 태어남.
#극락 #세계 #불 #불가"
"* 轉禍爲福(전화위복)*: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일 #말 #불행 #강 #복 #노력 #화 #화가 #*재앙* #의미 #걱정 #근심 #의지 #행복 #처리"
* 通宵達旦(통소달단)*: 밤을 통해 *아침*에 이르다는 뜻으로, 밤새 잠을 자지 않고 지새움을 이르는 말.
* 角者無齒(각자무치)*: 뿔이 있는 짐승은 이가 없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재주*나 복을 다 가질 수 없다는 말.
"* 全知全能(전지전능)*: 어떠한 사물이라도 잘 알고, 모든 일을 다 행할 수 있음. 또는 그런 *능력*.
#사물 #일 #행 #*능력* #신불 #절대"
* 桑海之變(상해지변)*: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夏蟲疑氷(하충의빙)*: 여름철 벌레가 *얼음*을 의심한다는 뜻으로, 견문이 옅은 사람이 함부로 사물을 의심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사물 #여름 #비유 #견문 #벌레 #*얼음* #의심 #견식 #여름철 #사람"
"* 下賤之輩(하천지배)*: *신분*이 낮고 천한 사람의 무리.
#무리 #*신분* #낮 #사람"
* 自生自決(자생자결)*: 자기가 살아 나갈 길을 남의 *힘*에 의지하지 아니하고 자신의 *힘*으로 개척함.
"* 家負疎族聚(가부소족취)*: 집이 가난하게 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넉넉히 지낼 때는 몰랐으나 궁박(窮迫)한 *형편*(形便)에
놓이고 보니 어진 관리자(管理者)를 생각하게 된다는 말."
"* 角枕粲錦禽爛(각침찬금금란)*: 각침과 *비단*(緋緞) 이불이 찬란(燦爛)하다는 뜻으로, 신혼의 금침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찬란 #이불 #금 #신혼 #*비단* #침 #아름다움"
"* 梟首警衆(효수경중)*: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은 곳에 매달아 놓아 뭇사람을 경계하던 일.
#일 #죄인 #베어 #대중 #뭇사람 #경계 #사람"
"* 偕老同穴(해로동혈)*: (1)살아서는 같이 늙고 죽어서는 한 무덤에 묻힌다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하자는 부부의 굳은 맹세를 이르는
말. ≪시경≫에 나오는 말이다. (2)육방해면의 해면동물. *몸*의 길이는 11~36cm, 폭은 2~6cm이고 수세미와 비슷한 둥근 통
모양이다. 대한 해협, 일본 근해의 깊은 바다에 산다."
"* 才學識三長(재학식삼장)*: 재주와 *학*문과 식견 세 방면에 빼어나다는 뜻으로, 훌륭한 역사를 쓰는 데는 이 세 가지가 모두
필요하다는 말에서 유래됨."
"* 朝出夕沒(조출석몰)*: 아침에 나타났다가 *저녁*에 사라짐. 또는 나왔다가 곧 스러짐.
#*저녁* #아침"
* 陶婚式(도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2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사기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 大暑(대서)*: (1)몹시 심한 더위. (2)이십사절기의 하나.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120도에 이른 때로서, 일 년 중 가장 무더운 *시기*이다. 7월 24일경이다.
#해당 #일 #황경 #입추 #때 #더위 #태양 #사이"
"* 臨農奪耕(임농탈경)*: (1)농사지을 시기에 이르러 경작자를 바*꿈*. (2)‘임농탈경’의 북한어. (3)남이 이미 다 마련하여
놓은 것을 가로채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猛虎出林(맹호출림)*: 사나운 호랑이가 숲에서 나온다는 뜻으로, 평안도 *사람*의 용맹하고 성급한 성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평안 #말 #성급 #용맹 #호랑이 #성격 #*사람*"
"* 萬物之靈長(만물지영장)*: 세상(世上)에 존재(存在)하는 모든 것들 가운데서 가장 영묘(靈妙)하고 뛰어난 것이라는 뜻으로,
인간(人間)을 일컫는 말."
"* 天無淫雨(천무음우)*: 하늘에서 궂은비가 내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태평*한 나라나 *태평*한 시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대 #*태평* #나라 #비유 #하늘"
"* 銳氣方張(예기방장)*: 날카롭고 굳세며 적극적인 *기운*이 한창 성함.
#한창 #성 #적극적 #*기운* #성함"
"* 善與人交(선여인교)*: 남을 *공경*하여 오래 잘 사귐.
#*공경* #사귐"
* 宜家之樂(의가지락)*: 부부 사이의 화목한 *즐거움*.
* 萬有一體(만유일체)*: 우주의 온갖 것은 한 몸임.
"* 糟糠(조강)*: (1)지게미와 쌀겨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변변치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2)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3)교만한 승려나 거친 교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天上天下唯我獨尊(천상천하유아독존)*: 우주 가운데 *자기*보다 더 존귀한 이는 없음.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처음으로 한 말이라고
한다."
* 行道遲遲(행도지지)*: 길을 걷는 걸음이 더디고 더디다는 뜻으로, *마음*에 근심과 슬픔이 있음을 이르는 말.
"* 木壚酒店(목로주점)*: (1)널빤지로 좁고 기다랗게 만든 상인 목로를 차려 놓고 술을 파는 집. (2)프랑스의 자연주의 *문학*의
거장 졸라의 소설. ≪루공 마카르 총서(叢書)≫의 제7권으로 1877년 간행했다. 여주인공인 제르베즈의 생애를 통해 문란한 생활과
알코올 중독으로 파멸해 가는 노동자들의 생활상을 그리고 있다.
#집 #프랑스 #소설 #상인 #문란 #*문학* #술 #생활"
"* 壺中天(호중천)*: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항아리 #세계 #말 #별 #별천지 #하늘 #기한 #따위 #*세상*"
"* 杯盤狼藉(배반낭자)*: 술잔과 접시가 이리의 깔개처럼 어지럽다는 뜻으로, 술 마신 뒷자리의 어지러운 *상황*이나, 너무 지나치면
쇠한다는 의미.
#무렵 #이리 #술잔 #풀 #*상황* #의미 #쇠 #모양 #자리 #술자리 #술"
"* 讀五車書(독오거서)*: 다섯 대의 *수레*에 가득히 실을 만큼 많은 책을 읽음.
#책 #*수레* #대의"
* 偕老(해로)*: *부부*가 한평생 같이 살며 함께 늙음.
"* 蕩蕩平平室(탕탕평평실)*: 조선 시대에, 정조의 침실을 이르던 말. 정조가 영조의 명을 받아 *꿈*에도 잊지 않고 탕평책을 펴기에
힘썼다는 데서 유래한다."
* 賢母良妻(현모양처)*: 어진 *어머니*이면서 착한 아내.
"* 爪角(조각)*: 짐승의 발톱과 뿔이라는 뜻으로, *자신*을 적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호 #발톱 #비유 #물건 #*자신* #짐승 #뿔"
"* 屠所之羊(도소지양)*: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양이란 뜻으로, 죽음이 *눈앞*에 닥쳐온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살장 #양 #죽음 #*눈앞* #비유 #무상 #목전 #인생 #사람"
* 十匙一飯(십시일반)*: 밥 열 술이 한 *그릇*이 된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조금씩 힘을 합하면 한 사람을 돕기 쉬움을 이르는 말.
* 恃德者昌(시덕자창)*: 덕을 믿는 사람은 창성한다는 뜻으로, 올바른 덕에 의지하는 사람은 번영(繁榮)한다는 *의미*.
* 語言薄過(어언박과)*: 대단하지 아니한 *말*의 허물.
"* 鷄窓(계창)*: ‘서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송처종(宋處宗)이 서재의 창 밑에서 기른 닭이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그와 더불어 이야기하며 *학식*을 도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말 #방 #*학식* #창 #나라 #독서 #중국 #닭 #서재 #이해 #유래 #사람"
* 百億化身(백억화신)*: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석가모니의 화신.
"* 斷章取義(단장취의)*: 남이 쓴 문장이나 시의 한 부분을 그 문장이나 시가 가진 전체적인 뜻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인용하는 일. 또는
그 인용으로 자기의 *주장*이나 생각을 합리화하는 일.
#전체적 #일 #부분 #마음 #고려 #인용 #관계 #문장 #생각 #해석 #필요 #*주장* #시가 #전체 #시의 #시문"
"* 天下之大本(천하지대본)*: 하늘 밑에서의 큰 근본(根本).
#근본 #하늘"
"* 花田衝火(화전충화)*: 꽃밭에 불을 지른다는 뜻으로, *젊은*이의 앞길을 막거나 그르치게 함을 이르는 말.
#앞 #밭 #불 #앞길 #*젊은*이 #꽃 #이의"
"* 吮疽之仁(연저지인)*: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부하* #말 #군사 #사랑 #지극 #시대 #장군 #장수 #전국 #옛일 #입 #나라 #중국 #손자 #사랑함 #유래"
"* 抱瓮灌畦(포옹관휴)*: 항아리를 안고 밭에 물을 준다는 뜻으로, 부족하고 뒤떨어진 것을 개량하려 하지 않는 우둔하고 못난 *방법*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徑先啓下(경선계하)*: 정(定)해진 절차(節次)를 밟지 않고 먼저 임금에게 아뢰어 재가를 받음. 원칙적(原則的)으로 *금지*(禁止)되어
있음.
#재가 #임금 #절차 #원칙"
군사
"* 惶恐無地(황공무지)*: 위엄이나 지위 따위에 눌리어 두려워서 *몸* 둘 데가 없음.
#위엄 #*몸* #모름 #의미 #지위 #자리 #따위"
"* 三絶(삼절)*: (1) 위편(韋編) 삼절 (2) 세 가지의 뛰어난 *사물*(事物)(3) 세 가지의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 조 선
때의 시(詩), 서화(書畵)에 능(能)했던 안견(安堅), 최 경과 중종(中宗) 때의 강희안(姜希顔)을 가리키는 말."
* 活人之方(활인지방)*: (1)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법*. (2)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위나 지방.
"* 死而後已(사이후이)*: 죽은 뒤에야 일을 그만둔다는 뜻으로, 있는 힘을 다하여 그 일에 끝까지 힘씀을 이르는 말.
#일 #말 #노력 #때 #끝 #의미 #소용 #힘 #후회"
"* 平旦之氣(평단지기)*: *새*벽의 기운이라는 뜻으로, *새*벽의 아직 다른 사물과 접촉하기 전의 맑은 정신을 이르는 말.
#사물 #정신 #기운 #*새*벽"
"* 天賦自然(천부자연)*: 하늘로부터 받아서 사람의 힘으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본연의 성질.
#성질 #힘 #하늘 #어찌 #천부 #사람"
* 蓋世英雄(개세영웅)*: 기상이나 위력, 재능 따위가 *세상*을 뒤덮을 만큼 뛰어난 영웅.
* 同色親舊(동색친구)*: 한 색목(色目)에 속(屬)하는 *친구*(親舊). 같은 당파(黨派)의 *친구*(親舊).
"* 禍福糾纆(화복규묵)*: 화복(禍福)이 꼰 노와 같이 서로 얽혀 있다는 뜻으로, *재앙*(災殃)이 있으면 복이 있고, 복이 있으면
*재앙*(災殃)이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夫婦有別(부부유별)*: 오륜(五倫)의 하나.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아내 #내외 #남편 #직분 #침범 #인륜 #의미 #각각 #구별 #엄격 #*부부* #분별 #과거 #사이"
"* 江南橘化爲枳(강남귤화위지)*: 강남의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도 장소(場所)나 환경(環境)에 따라
*완전*(完全)히 달라짐을 이르는 말."
* 阿諛苟容(아유구용)*: 남에게 아첨하여 구차스럽게 굶. 또는 그런 행동.
"* 轍鮒之急(철부지급)*: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에 있는 붕어의 급함이라는 뜻으로, 매우 위급한 처지에 있거나 몹시 고단하고
옹색함을 이르는 말. ≪장자≫의 에 나오는 말이다.
#다급 #말 #수레바퀴 #곤궁 #곤경 #위급함 #물 #비유 #*자국* #장자 #위급 #절박 #붕어"
"* 塞翁馬(새옹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 形影相同(형영상동)*: 형체의 움직임에 따라 그림자도 그대로 나타난다는 뜻으로, 마음먹은 바가 그대로 *행동*으로 나타남을 이르는
말."
"* 犬羊之質(견양지질)*: 개나 양과 같은 소질이라는 뜻으로, *재능*이 없이 태어난 바탕을 이르는 말.
#*재능* #바탕 #소질 #양"
"* 詠雪之才(영설지재)*: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국 진*나라* 사(謝) 씨의 딸이 시를 짓는데 눈을 보고 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재주 #여자 #말 #글재주 #바람 #눈 #딸 #버들 #씨 #비유 #중국 #진*나라* #유래"
"* 不虞之變(불우지변)*: 뜻밖에 갑작스럽게 일어난 *재앙*이나 사고.
#사변 #변고 #*재앙* #의미 #사고"
"* 誹謗之木(비방지목)*: 고대 중국에서 요임금이 자신의 정치에 대해 잘못된 점이나 불만을 가*지게* 된 점을 써 붙이도록 궁궐 다리에
세웠던 기둥을 이르는 말.
#비방 #고대 #궁궐 #나무 #요임금 #임금 #때 #잘못 #나라 #의미 #기둥 #중국 #다리 #점 #자신 #밖 #고사 #유래 #정치"
"* 風前燈火(풍전등화)*: (1)*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婦老爲姑(부로위고)*: 며느리가 늙으면 시*어머니*가 된다는 뜻으로, 나이가 어리다고 업신여기지 말라는 말.
"* 走伏無地(주복무지)*: 달아나고 엎드리기가 땅이 없다는 뜻으로, 도망치고 숨으려 해도 그럴 만한 곳이 없는 달아나 숨을 곳이 없다는
의미.
#의미 #땅"
* 旭日昇天(욱일승천)*: 아침 해가 하늘에 떠오름. 또는 그런 기세.
"* 黃面老子(황면노자)*: '*석가모니*(釋迦牟尼)'를 이르는 말.
#*석가모니* #석가"
* 同氣一身(동기일신)*: 형제자매는 한 *몸*이나 다름없음을 이르는 말.
"* 白頭(백두)*: (1)허옇게 센 *머리*. (2)탕건(宕巾)을 쓰지 못하였다는 뜻으로, 지체는 높으나 벼슬하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던 말. (3)함경도와 만주 사이에 있는 산. 장백산맥(長白山脈) 동쪽에 솟은 우리나라 제일의 산이다. 최고봉인 병사봉에
있는 칼데라호인 천지(天池)에서 압록강, 두만강, 송화강(松花江)이 시작한다. 높이는 2,744미터.
#강 #사람 #병사 #*머리* #함경도 #시작 #나라 #동쪽 #탕건 #우리 #벼슬 #지체 #산 #우리나라 #사이"
"* 前車覆後車戒(전차복후차계)*: 앞에 가는 *수레*가 엎어지면 뒤에 가는 *수레*는 그것을 보고 교훈(敎訓)을 삼는다는 뜻으로, 앞
사람의 실패(失敗)를 교훈(敎訓)으로 삼는다는 뜻."
"* 無爲自然(무위자연)*: 사람의 힘을 더하지 않은 그대로의 *자연*. 또는 그런 이상적인 경지.
#의미 #사상 #*자연* #인공 #힘 #봄 #이상 #사람"
"* 防敵之策(방적지책)*: 적을 막을 수 있는 *계책*이나 방책.
#방책 #*계책*"
"* 以文會友(이문회우)*: 학문으로써 *친구*를 모은다는 뜻으로, 학문을 매개로 서로가 공유할 수 있는 진정한 벗을 만들고 관계를
이어가야 한다는 의미.
#학문 #*친구* #벗 #관계 #의미 #서로 #가야"
* 暮雲落日(모운낙일)*: 저녁 *구름*과 지는 해라는 뜻으로, 국가의 쇠퇴 등을 슬퍼하는 심정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輾轉不寐(전전불매)*: 누워서 *몸*을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함.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