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正人君子(정인군자)*: 마음씨가 올바르며 학식과 덕행이 높고 어진 사람.
#학식 #마음씨 #사람 #덕행"
"* 三不去(삼불거)*: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 庭訓(정훈)*: *가정*의 교훈. ≪논어≫의 에서 공자가 아들 이(鯉)가 뜰을 달려갈 때 불러 세우고 시(詩)와 예(禮)를 배워야
한다고 가르친 데서 유래한다.
#공자 #때 #아들 #교훈 #가르침 #*가정* #유래"
"* 善騎者墮(선기자타)*: 말을 잘 타는 사람이 말에서 떨어진다는 뜻으로, 한 가지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그 재주만 믿고 자만하다가
*도리*어 재앙을 당한다는 의미.
#재주 #말 #재앙 #의미 #자만 #사람"
"* 前車覆轍(전거복철)*: 앞에 간 수레가 뒤집힌 바퀴 자국이라는 뜻으로, 앞의 *실패*를 본보기 삼아 주의함을 이르는 말.
#전례 #바퀴 #앞사람 #앞 #*실패* #자국 #수레 #교훈 #주의 #사람"
* 亂臣賊子(난신적자)*: (1)‘난신적자’의 북한어. (2)나라를 어지럽히는 불충한 *무리*.
"* 浩然之氣(호연지기)*: (1)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 ≪맹자≫ <*공손*추(公孫丑)>의 상편에 나오는 말이다.
(2)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
#처음 #천지간 #사이 #일 #강 #*공손* #도덕 #자유 #땅 #원리 #하늘 #뿌리 #마음 #말 #도의 #기운 #공명정대 #맹자 #근거 #기개 #도덕적 #조금"
"* 經達權變(경달권변)*: 그때그때의 처지(處地)나 *형편*(形便)에 따라 알맞은 수단(手段)을 취함을 이르는 말.
#그때 #그때그때 #*형편* #수단"
"* 福德圓滿(복덕원만)*: 복과 덕, 즉 *행복*(幸福)과 이익(利益)이 넘쳐흐를 정도(程度)로 가득함.
#복 #이익 #가득함 #*행복* #정도"
"* 探囊取物(탐낭취물)*: 주머니 속에서 *물*건을 꺼내듯이 아주 손쉽게 얻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일 #*물*건 #주머니"
* 愛親敬長(애친경장)*: 어버이를 *사랑*하고 어른을 공경함.
* 冊床兩班(책상양반)*: (1)‘책상양반’의 북한어. (2)평민이지만 *학문*과 덕행(德行)이 있어서 양반이 된 사람.
* 男奴負薪去女婢汲水來(남노부신거녀비급수래)*: 남자(男子) 종은 땔나무를 지고 가고, *여자*(女子) 종은 물을 길러 옴.
"* 無價寶(무가보)*: *값*을 매길 수 없을 만큼 귀중한 보배.
#보배 #귀중 #*값*"
* 天雷(천뢰)*: (1) 천연(天然)ㆍ자연(自然)의 소리. 곧 *바람* 소리, 빗소리 따위 (2) 아주 뛰어난 시문(詩文).
"* 鷄狗馬之血(계구마지혈)*: 임금이나 신하가 맹세할 때에 신분에 따라 셋으로 구분하여 쓰던 희생의 피. 임금은 소나 말의 피를,
*제후*는 개나 수퇘지의 피를, 대부(大夫) 이하는 닭의 피를 마셨다.
#말 #신하 #*제후* #희생 #임금 #때 #신분 #대부 #구분 #옛날 #닭 #맹세"
"* 白砂靑松(백사청송)*: 백사청송(白沙靑松). 흰 모래와 푸른 소나무라는 뜻으로, 흰 모래톱의 사*이사*이에 푸른 소나무가 드문드문
섞여 있는 바닷가의 아름다운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아름 #소나무 #경치 #모래"
* 無根而固(무근이고)*: 뿌리는 없으나 굳고 견고하다는 뜻으로, 근본은 다르지만 *서로* 맺어 풀리지 않는 '인정과 사랑'의 의미.
"* 徹天之寃(철천지원)*: 하늘에 사무치는 *원한*이라는 뜻으로, 하늘에 사무칠 정도의 크나큰 *원한*.
#*원한* #정도 #하늘"
"* 冊床兩班(책상양반)*: (1)‘책상양반’의 북한어. (2)평민이지만 학문과 *덕행*(德行)이 있어서 양반이 된 사람.
#*덕행* #학문 #양반 #앞 #평민 #고상 #책상 #사람"
"* 盧生之夢(노생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當代發福(당대발복)*: 풍수지리에서, 부모를 좋은 묏자리에 장사 지낸 덕으로 그 *아들* 대에서 부귀를 누리게 됨.
"* 白眼視(백안시)*: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봄. 중국의 ≪진서(晉書)≫ 에서 나온 말로, 진나라 때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백안(白眼)으로 대하고, 반가운 손님은 청안(靑眼)으로 대한 데서 유래한다.
#말 #눈 #청 #무시 #청아 #때 #의미 #손님 #중국 #태도 #죽림칠현 #진나라 #백 #냉대 #봄 #유래 #눈초리 #완적 #사람"
"* 息者欲勞(식자욕로)*: 쉬는 사람이 힘쓰고자 한다는 뜻으로, 안락(安樂)하게 지내는 사람은 대로 고된 일이라도 해보고 싶다는
의미에서 *인간*은 자신의 환경에 만족하지 않고 남을 부러워함을 이르는 말."
"* 衣錦尙絅(의금상경)*: *비단* 옷에 오히려 홑옷이라는 뜻으로, *비단* 옷 위에 얇은 홑옷을 더 입어 표시 안 나게 하는 것처럼
군자(君子)는 미덕이 있어도 드러내지 않음을 비유한 말.
#표시 #옷 #비유 #군자 #*비단* #미덕"
"* 鑿枘(조예)*: (1)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규범
*표기*는 ‘조예’이다. (2)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사물 #장부 #방 #규범 #구멍 #유래"
* 黃粱一炊(황량일취)*: 메조죽을 쑤는 짧은 *동안*이라는 뜻으로, 부귀(富貴)와 공명(功名)의 덧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草木皆兵(초목개병)*: (1)적을 두려워한 나머지 초목이 모두 적군으로 보인다는 뜻으로, 몹시 놀라서 두려워하며 의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군사의 수*효*가 너무 많아 산야에 가득 찬 상태."
"* 盤石之安(반석지안)*: 이리저리 흔들리지 아니하는 *바위*와 같이 기초, 토대, 의지 따위가 견고하거나 견실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바위* #견고 #의지 #토대 #따위 #기초"
"* 責己之心(책기지심)*: 스스로 제 *허물*을 꾸짖는 마음.
#마음 #*허물*"
* 盲人直門(맹인직문)*: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內淸外濁(내청외탁)*: 속은 맑으나 겉은 흐리다는 뜻으로, 어지러운 세상을 살아가려면 마음은 맑게 가지면서도 *행동*은 흐린 것처럼
하여야 한다는 말."
"* 誤國小人(오국소인)*: 나라를 그르친 간사한 사람.
#일 #장대 #나라 #의미 #그릇 #*소인*배 #간사 #사람"
* 平地突出(평지돌출)*: 평지에 산이 우뚝 솟는다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집안*에서 인물이 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宗社(종사)*: 종묘와 사직이라는 뜻으로, ‘*나라*’를 이르는 말.
"* 刺客奸人(자객간인)*: 남을 몰래 찔러 죽이는 사람과 남을 헐뜯고 이간질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마음씨가 몹시 모질고 악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마음 #마음씨 #악 #이간질 #간사 #사람"
"* 亡羊得牛(망양득우)*: 양을 잃고 소를 얻는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잃고 큰 것을 얻는 것처럼 적은 손해로 많은 이득을 얻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天藏地秘(천장지비)*: 하늘이 감추고 땅이 숨겨 둔다는 뜻으로, 곧 세상에 드러나지 않고 *깊이* 묻혀 있다는 의미.
"* 點鬼簿(점귀부)*: (1)옛사람의 이름을 많이 따다가 지은 시문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의 문장가인 양형(楊炯)이
시문 가운데에 옛사람의 이름을 많이 따 넣은 것을 세인이 논평한 데서 유래한다. (2)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은 장부.
#성명 #장부 #*당나라* #이름 #말 #시문 #가운데 #세인 #때 #문장 #조롱 #중국 #형 #옛사람 #고인 #유래 #기록 #사람"
"* 優游涵泳(우유함영)*: 여유롭고 한가하게 자맥질하듯 *깊이* 잠긴다는 뜻으로, 한가롭게 학문이나 예술 등의 이치(理致)를 *깊이*
음미함을 이르는 말."
"* 鴻漸之翼(홍점지익)*: 큰 기러기의 날개는 한 번 날갯짓을 해서 천 리를 날아갈 수 있을 만큼 강력한 것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재능이나 위*대한* 능력 또는 그런 재능을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재능 #능력 #비유 #기량 #하늘 #날개 #점 #자리 #사업 #높이 #날아오르 #사람"
* 四鳥之別(사조지별)*: 네 마리 *새*의 이별(離別)이라는 뜻으로, 모자(母子)의 이별(離別)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瑕不揜瑜(하불엄유)*: 일부분의 흠으로 *전체*를 해하지는 못함.
#일 #광채 #부분 #일부분 #의미 #*전체*"
"* 偕老同穴(해로동혈)*: (1)살아서는 같이 늙고 죽어서는 한 무덤에 묻힌다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하자는 부부의 굳은 맹세를 이르는
말. ≪시경≫에 나오는 말이다. (2)육방해면의 해면동물. 몸의 길이는 11~36cm, 폭은 2~6cm이고 수세미와 비슷한 둥근 통
모양이다. *대한* 해협, 일본 근해의 깊은 바다에 산다."
* 鼓腹(고복)*: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생활*이 풍족하여 태평한 세월을 즐김을 이르는 말.
"* 學原於思(학원어사)*: *학*문은 생각에 근원을 둔다는 뜻으로, *학*문은 생각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처럼 사색(思索)이 *학*문의
근본임을 이르는 말."
"* 臭如蘭(취여란)*: 냄새가 마치 *난초*와 같다는 뜻으로, 꽃다운 향내가 *난초*의 향기와 닮은 것처럼, 여럿이 합심하여 하는 말이
다른 것에 미치는 힘은 몹시 크다는 의미.
#*난초* #방향 #말 #향내 #비유 #꽃 #의미 #합심 #여럿 #힘 #냄새"
* 忠則盡命(충칙진명)*: 충성(忠誠)함에는 곧 목숨을 다하니 *임금*을 섬기는 데 몸을 사양(辭讓)해서는 안됨.
객지
* 以心傳心(이심전심)*: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뜻이 통함. ≪전등록≫에 나오는 말로 원래는 불교의 법통을 계승할 때에 쓰였다.
"* 獅孫(사손)*: 딸이 낳은 자식. 외*손자*와 외손녀를 이른다.
#자식 #말 #사자 #딸 #옛일 #외손 #외*손자* #그림"
"* 佛頭著糞(불두착분)*: *부처*의 머리에 똥을 묻힌다는 뜻으로, 훌륭한 저서(著書)에 졸렬(拙劣)한 서문(序文)이라는 의미나, 썩
깨끗한 것을 더럽힌다는 의미로 사용됨.
#졸렬 #똥 #사용 #머리 #의미 #저서 #깨끗 #*부처*"
"* 伏魔殿(복마전)*: (1)마귀가 숨어 있는 집이나 굴. (2)*비밀*리에 나쁜 일을 꾸미는 무리들이 모이거나 활동하는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새 #악의 #무리들 #집 #활동 #음모 #의미 #마귀 #악 #무리 #귀"
일정
"* 三年不蜚(삼년불비)*: 삼 년 동안이나 날지 않는다는 뜻으로, 훗날 웅비할 *기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 중국 초(楚)나라
장왕(莊王)이 삼 년 동안 정사를 돌보지 않고 지내는 것을 보고 오거(伍擧)가 간하자, 장왕이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일 #훗날 #왕 #3년 #정사 #비유 #나라 #년간 #중국 #기다림 #태도 #뒷날 #동안 #얼마 #*기회*"
"* 江南別星(강남별성)*: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천연두를 앓게 한다는 여신. 강남에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집집 #사명 #특*별* #강남"
"* 何常師之有(하상사지유)*: '어찌 *일정*(一定)한 스승이 있으리오'라는 뜻으로, 성인(聖人)에게는 *일정*(一定)한 스승이 없음을
이르는 말.
#스승 #*일정* #성 #성인"
* 效顰(효빈)*: 찡그림을 본받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주관을 잊고 맹목적이고 함부로 남을 흉내냄을 이르는 말.
"* 自屎不覺臭(자시불각취)*: 제 똥은 냄새를 깨닫지 못한다는 뜻으로, 제 똥 구린지 모르는 것처럼 제 결점을 *알*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嫡兄(적형)*: 첩에게서 난 *아들*이 정실에게서 난 형을 이르는 말.
#정실 #첩 #*아들* #형"
* 退藏(퇴장)*: (1)물러나서 자취를 감춤. (2)*물건*이나 화폐 따위를 쓰지 않고 묵혀 둠.
"* 莫莫窮山(막막궁산)*: 인적(人跡)이 없어 적막(寂寞)하도록 깊고 높은 *산*.
#*산* #적막"
* 屠所之羊(도소지양)*: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양이란 뜻으로, 죽음이 눈앞에 닥쳐온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自由奔放(자유분방)*: 격식이나 관습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행동이 자유로움.
"* 畫龍點睛(화룡점정)*: (1)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을 그리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었더니 그 용이 실제 용이 되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글을
짓거나 일을 하는 데서 가장 요긴한 어느 한 대목을 잘함으로써 전체가 생동하게 살아나거나 활기 있게 됨을 이르는 말."
"* 正出之日(정출지일)*: 바로 뜨는 *태양*이라는 뜻으로, 때마침 돋는 *태양*처럼 기세가 더욱 성해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준말
- 正出].
#성 #기세 #준말 #비유 #*태양*"
"* 見危授命(견위수명)*: 위태로움을 보고 목숨을 바친다는 뜻으로, 국가나 군부(君父)의 *위급*함에 즈음하여 자신의 목숨을 바쳐
대처한다는 의미. ◈ 원문 - 士, 見利思義, 見危授命.《논어》.
#말 #대처 #위태 #국가 #위험 #*위급*함 #목숨 #나라 #의미 #지경 #*위급* #자신"
"* 硯北(연북)*: 편지(便紙) 봉투(封套)에 벼루에 북*쪽*, 곧 '앞에'의 뜻으로, 받는 사람의 이름 밑에 쓰는 말.
#이름 #말 #앞 #북*쪽* #벼루 #사람"
* 鳥逐花間蹀鷄爭草中蟲(조축화간접계쟁초중충)*: *새*는 꽃 사이의 나비를 쫓고, 닭은 풀가운데의 벌레와 다툼.
"* 南面出治(남면출치)*: 임금의 자리에 오르거나 임금이 되어 나라를 다스림을 이르는 말. 임금이 *남쪽*을 향하여 신하와 대면한 데서
유래한다.
#신하 #임금 #나라 #대면 #*남쪽* #다스림 #자리 #유래"
"* 遽篨戚施(거저척이)*: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병이란 뜻으로, 오만(傲慢)하고 아첨(阿諂)하는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거저(遽篨)는 *새*가슴, 척이(戚施)는 곱사등이.
#아첨 #병 #비유 #오만 #사람"
"* 希聖希賢(희성희현)*: 성인이 되길 바라고 현인이 되길 바란다는 뜻으로, *사람*은 자기보다 더욱 뛰어난 *사람*을 이상으로 삼을
것임을 이르는 말."
"* 弄瓦之慶(롱와지경)*: (1)*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농와지경’의 북한어.
#여자 #아이 #표현 #*딸* #실패 #기쁨 #의미 #중국 #지경 #장난 #즐거움 #경사 #흙 #유래 #아이들"
"* 明鏡不疲(명경불피)*: 맑은 거울은 아무리 사람을 비추어도 피로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맑은 *지혜*와 슬기는 아무리 많이 써도
손상되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
#이름 #사람 #비유 #손상 #피로 #거울 #*지혜* #얼굴"
"* 復啓(복계)*: 답장으로 말씀드린다는 뜻으로, 한문 투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말.
#말 #답장 #공경 #회답 #*첫머리*"
"* 吮疽之仁(연저지인)*: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부하 #말 #군사 #사랑 #지극 #시대 #장군 #장수 #전국 #옛일 #입 #나라 #중국 #손자 #사랑함 #유래"
* 首身分離(수신분리)*: *머리*와 몸통이 서로 떨어진다는 뜻으로, 참형(斬刑)을 당함을 이르는 말.
"* 猫項懸鈴(묘항현령)*: 쥐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다는 뜻으로, 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를 이르는 말. 쥐가 고양이의 습격을 미리
막기 위한 수단으로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다는 일을 *의논*하였으나, 실행 불가능으로 끝났다는 우화에서 유래한다.
#일 #*의논* #말 #우화 #고양이 #방울 #가능 #쥐 #공연 #실행 #논의 #유래 #불가능 #수단"
* 能言鸚鵡(능언앵무)*: 말은 잘하나 실제 *학문*은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 同床異夢(동상이몽)*: (1)같은 자리에 자면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도 속으로는 각각 딴생각을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2)겉으로는 지지하고 받드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반대함을 이르는 말.
#일 #말 #기거 #*꿈* #행동 #목표 #잠자리 #생각 #비유 #의미 #자리 #겉 #반대 #입장"
"* 桂林一枝(계림일지)*: (1)대수롭지 않은 출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극선(郤詵)이 현량과에 제일(第一)로 천거되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겨우 계수나무 숲에서 나뭇가지 하나를 얻었을 뿐이라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다. (2)사람됨이 출중하면서도 청빈하고
겸손함을 이르는 말.
#출세 #말 #나무 #*만족* #출중 #선 #계수나무 #비유 #겸손 #나라 #나뭇가지 #비범 #중국 #천거 #유래 #사람됨 #청빈"
"* 夜而忘寢(야이망침)*: 밤이 되어도 잠자는 것을 잊었다는 뜻으로, 어떤 *사물*에 열중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사물* #일 #밤 #열중"
"* 渴民待雨(갈민대우)*: 목마른 백성이 비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아주 *간절*히 기다림을 이르는 말.
#백성 #때 #농민 #기다림 #가뭄"
"* 靑山可埋骨(청산가매골)*: 멀리 보이는 푸른 산 어디든지 뼈를 묻을 수 있다는 뜻으로, 대장부(大丈夫)는 반드시 고향(故鄕)에다
뼈를 묻어야만 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됨을 이르는 말."
* 二八靑春(이팔청춘)*: 16세 무렵의 꽃다운 청춘. 또는 혈기 *왕*성한 젊은 시절.
"* 綠髮(록발)*: (1)푸른 *머리털*이라는 뜻으로, 검고 윤이 나는 아름다운 머리를 이르는 말. (2)‘녹발’의 북한어.
#*머리털* #머리"
"* 朝三(조삼)*: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저공(狙公)의 고사로,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들이 적다고 화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원숭이* #간사 #아침 #말 #꾀 #화 #먹이 #저녁 #중국 #고사 #송나라 #유래"
* 洋洋大海(양양대해)*: 한없이 넓고 큰 *바다*.
* 盛衰興廢(성쇠흥폐)*: 성하고 쇠하며, 흥하고 폐한다는 뜻으로, 융성과 쇠퇴, 흥*왕*(興旺)과 퇴폐하는 일을 의미함.
"* 七步詩(칠보시)*: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지어진 시. 또는 즉석에서 읊은 시나 그러한 재능을 지닌 시인. 이 말은 중국
위나라 초대 황제인 문제 조비가 *사이*가 좋지 않은 그의 동생 조식에게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시를 짓지 못하면 벌을 내리겠다고
하자, 조식이 즉석에서 오언 고시를 지어냈다는 데서 비롯된 말이다."
"* 孟母三遷(맹모삼천)*: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흉내 #때 #가르침 #중요 #시장 #공부 #교육 #열중 #*어머니* #이사 #묘 #물건 #장사 #고사 #근처 #환경 #집 #주위 #아들 #글방 #학업 #맹자 #서당 #묘지"
"* 燕雁代飛(연안대비)*: 제비가 날아올 때는 기러기가 날아가고 기러기가 날아올 때에는 제비가 날아가 *서로* 교체하여 각각 다른
방향으로 간다는 뜻으로, 사람의 일이 *서로* 어긋남을 이르는 말."
"* 春風化雨(춘풍화우)*: 봄바람과 알맞게 내리는 비라는 뜻으로, (1) 자연(自然)이 만물(萬物)을 육성(育成)하는 힘 (2) 이를
교육(敎育)에 비유(比喩)해 *인재*(人材) 육성(育成)을 위(爲)한 훌륭한 교육(敎育)을 이르는 말.
#교육 #비유 #만물 #자연 #*인재* #힘 #훌륭 #봄바람"
"* 荷花鴛鴦(하화원앙)*: 연꽃 속의 원앙이라는 뜻으로, *부부* 금슬(琴瑟)이 좋은 것을 연꽃 아래 원앙이 노니는 것으로 비유하여
표현하는 말."
"* 丈人(장인)*: (1)*아내*의 아버지. (2)*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3)늙은이를 이르는 말. (4)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5)덕이 많고 학식이 많은 사람. (6)아버지의 벗.
#친정 #벗 #학식 #할아버지 #*아내* #늙은이 #사람"
"* 淸閑之歡(청한지환)*: 조용하고 여유(餘裕)가 있는 *즐거움*.
#여유 #조용 #*즐거움*"
"* 法服貴族(법복귀족)*: 프랑스 절대 왕정의 관료 귀족. 관직 매매 제도를 통하여 주로 사법(司法) *관계*의 관직을 사서 귀족의
신분으로 오르게 된 신흥 귀족으로, 오래된 봉건 귀족인 대검(帶劍) 귀족과 구별된다. 그들이 입은 관복에서 명칭이 유래하였으며, 부를
소유하고 관직을 장악하였으므로 주도적으로 개혁에 반대하였다."
"* 閑雲野鶴(한운야학)*: 한가로이 떠도는 구름과 들에 노니는 *학*이라는 뜻으로, 아무 매인 데 없는 한가로운 생활로 유유자적하는
경지를 이르는 말."
* 明哲保身(명철보신)*: 총명하고 사리에 밝아 일을 잘 처리하여 *자기* 몸을 보존함.
* 棹穿波底月船壓水中天(도천파저월선압수중천)*: 노는 물결 아래의 달을 뚫고, 배는 물 가운데 *하늘*을 누름.
"* 蚇蠖之屈(척확지굴)*: 자벌레가 몸을 굽히는 것은 다음에 몸을 펴고자 함이라는 뜻으로, 훗날에 *성공*을 위(爲)해 잠시 굽힘을
이르는 말.
#몸 #훗날 #벌레 #다음 #*성공*"
"* 反禍爲福(반화위복)*: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근심 #걱정 #복 #*재앙*"
"* 禍福無門(화복무문)*: 화복은 *운명*적인 것이 아니라 사람이 선한 일을 하거나 악한 일을 함에 따라서 각기 받는다는 말.
#일 #그것 #산물 #말 #복 #화 #선 #화가 #*운명* #악 #사람"
"* 旁岐曲徑(방기곡경)*: 서려 있는 계곡과 구불구불한 길이라는 뜻으로, 일을 순서대로 정당하게 하지 아니하고 *그릇*된 수단을 써서
억지로 함을 이르는 말.
#순탄 #일 #옆 #방법 #불 #길 #순리 #억지 #계곡 #*그릇* #순서 #정당 #수단"
"* 虎視眈眈(호시탐탐)*: 범이 눈을 부릅뜨고 *먹이*를 노려본다는 뜻으로, 남의 것을 빼앗기 위하여 형세를 살피며 가만히 기회를
엿봄. 또는 그런 모양. ≪주역≫의 에 나오는 말이다.
#말 #형세 #눈 #범 #약자 #비유 #*먹이* #주역 #모양 #날카 #기회"
* 轍迹(철적)*: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물이 지나간 흔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水魚之交(수어지교)*: (1)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라는 뜻으로,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의 친밀함을 이르는 말."
"* 目不識丁(목불식정)*: 아주 간단한 *글자*인 ‘丁’ 자를 보고도 그것이 ‘고무래’인 줄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까막눈임을
이르는 말.
#내용 #그것 #모름 #눈 #무식 #*글자* #비유 #의미 #고무래 #사람"
* 咫尺不辨(지척불변)*: 매우 어둡거나 안개, 눈, 비 따위가 심하여 아주 가까운 곳도 분*별*하지 못함.
* 山影推不出月光掃還生(산영추불출월광소환생)*: 산 그림자는 밀어도 나가지 않고, *달*빛은 쓸어도 다시 생김.
"* 充閭之慶(충려지경)*: 집안에 가득한 경사라는 뜻으로, 손님이 집안 문설주까지 가득 찰 정도로 집안이 번성했다는 의미로 쓰이거나
득남(得男)을 *축하*하는 말로도 사용됨.
#말 #*축하* #사용 #의미 #손님 #번성 #집안 #경사 #정도 #가득"
* 花鳥使(화조사)*: *남*녀 사이의 애정에 관계되는 일을 심부름하여 주는 사람.
"* 如鼓琴瑟(여고금슬)*: *거문고*와 큰 *거문고*를 연주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부부가 서로 화합함을 이르는 말.
#화 #비유 #화합 #부부 #*거문고* #연주"
"* 削株掘根(삭주굴근)*: 줄기를 깎고 *뿌리*를 파낸다는 뜻으로, 화근(禍根)을 없앤다는 의미.
#의미 #화근 #화 #*뿌리*"
"* 農時方劇(농시방극)*: 농사철이 되어 일이 *한창* 바쁨.
#일 #농사 #농사철"
* 不立文字(불립문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므로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
"* 形而上學(형이상학)*: (1)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2)헤겔ㆍ마르크스 철학에서, 비변증법적 사고를 이르는 말. (3)초경험적인 것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을, 형이하
또는 경험적 대상의 학문인 *자연* 과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4)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일 철학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다룬 여러 문제의 연구를 후세에 정리한 것으로,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비판하고 실재론을 설명하였다. 스콜라 철학을 통하여 중세의
유럽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 14장(章)."
* 粟紅貫朽(속홍관후)*: 곡식이 붉게 변질되고 돈꿰미가 썩는다는 뜻으로, *태평*한 세상에 물자가 남아도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
"* 游必有方(유필유방)*: 놀 때에는 반드시 *방*향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먼 곳으로 놀러 갈 때는 반드시 자신의 행*방*을
부모에게 알려야 한다는 자식의 도리."
* 推己及人(추기급인)*: 자기를 미루어 남에게 미친다는 뜻으로, 자기의 *처지*에 비추어 다른 사람의 형편을 헤아림을 이르는 말.
"* 醉死(취사)*: (1)술에 취하여 죽음. (2)술에 취하여 자는 동안에 꾸는 *꿈* 속에 살고 죽는다는 뜻으로, 한평생을 아무 하는
일 없이 흐리멍덩하게 살아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꿈* #죽음 #동안 #술 #한평생"
"* 白髮紅顔(백발홍안)*: 머리털은 허옇게 세었으나 얼굴은 소년처럼 붉다는 뜻으로, 나이는 많은데 매우 젊어 보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년 #머리 #머리털 #얼굴 #나이 #사람"
"* 擧案齊眉(거안제미)*: 밥상을 눈썹과 가지런하도록 공손히 들어 *남편* 앞에 가지고 간다는 뜻으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이르는 말.
#후한 #말 #양 #가지런 #눈 #시대 #앞 #때 #공손 #*남편* #눈썹 #의미 #공경 #중국 #고사 #맹광 #아내 #높이 #유래 #공양"
"* 天衣無縫(천의무봉)*: (1)천사의 옷은 꿰맨 흔적이 없다는 뜻으로, 일부러 꾸민 데 없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우면서 완*전함*을
이르는 말. ≪태평광기≫의 곽한(郭翰)의 이야기에 나오는 말로, 주로 시가(詩歌)나 문장에 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2)세상사에 물들지
아니한 어린이와 같은 순진함을 이르는 말. (3)완전무결하여 흠이 없음을 이르는 말.
#옷 #말 #대하여 #완전 #태평 #어린이 #문장 #비유 #흔적 #언동 #성격 #자연 #세상 #기교 #시가 #자리 #조금 #선녀 #사람"
"* 聞一知十(문일지십)*: *하나*를 듣고 열 가지를 미루어 안다는 뜻으로, 지극히 총명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재능 #말 #총명 #비유"
* 置之亡地而後存(치지망지이후존)*: 군인(軍人)은 사지(死地)에 놓으면 죽을*힘*을 다해 싸우기 때문에 살아남을 수 있음.
"* 朝三暮四(조삼모사)*: (1)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저공(狙公)의 고사로,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들이 적다고 화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2)‘생계’의 북한어."
"* 尺山寸水(척산촌수)*: 한 자 높이의 산과 한 치 *깊이*의 물이라는 뜻으로, 높은 곳에서 멀리 내려다볼 때 산수가 작게 보임을
이르는 말."
"* 靑紗燈籠(청사등롱)*: (1)궁중에서 *사용*하던 등롱. 푸른 운문사(雲紋紗)로 바탕을 삼고 위아래에 붉은 천으로 동을 달아서 만든
옷을 둘러씌웠다. (2)조선 시대에, 정삼품부터 정이품의 벼슬아치가 밤에 다닐 때 쓰던 품등(品燈). 푸른 사로 둘러씌웠다."
"* 斷簡零墨(단간영묵)*: 종이가 발명(發明)되기 전까지 종이 대신(代身) 썼던 대쪽과 먹 한 *방울*이라는 뜻으로, 종이 조각에 적힌
완전(完全)하지 못한 조각난 글월을 이르는 말.
#대신 #발명 #*방울* #조각 #종이 #완전"
"* 魚變成龍(어변성룡)*: *물고기*가 변하여서 용이 된다는 뜻으로, 아주 곤궁하던 사람이 부귀를 누리게 되거나 보잘것없던 사람이 큰
인물이 됨을 이르는 말."
"* 黃河千年一淸(황하천년일청)*: 황하(黃河)가 천년에 한번쯤 맑아질는지도 모르겠다는 뜻으로, (1) 성인(聖人)의 탄생(誕生)이
이처럼 어려움 (2) 이루어지기 힘든 *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落髮爲僧(락발위승)*: (1)*머리*털을 깎고 승려가 됨. (2)‘낙발위승’의 북한어.
* 積費心力(적비심력)*: 마음과 *힘*을 많이 허비함.
"* 伏龍鳳雛(복룡봉추)*: 엎드린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우수한 인재를 이르는 말. ≪촉지≫의 주(注)에
나오는 말이다.
#이름 #말 #방 #*새*끼 #왕 #공명 #제갈량 #봉황 #우수 #비유 #인물 #젊은이 #용 #인재 #장래 #세상"
하나
"* 乞身(걸신)*: 심신은 임금께 바친 것이지만 해골만은 돌려달라는 뜻으로, 늙은 *재상*이 벼슬을 내놓고 은퇴하기를 임금에게 주청하던
일. ≪사기(史記)≫의 에 나오는 말이다.
#일 #말 #*재상* #심신 #임금 #해골 #벼슬 #은퇴"
"* 無價之寶(무가지보)*: *값*을 매길 수 없을 만큼 귀중한 보배.
#보배 #귀중 #*값* #보물"
"* 猜惡之心(시오지심)*: *시기*하고 미워하는 마음.
#마음"
"* 不夜城(불야성)*: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一脈相通(일맥상통)*: 사고방식, *상태*, 성질 따위가 서로 통하거나 비슷해짐.
#성질 #생각 #서로 #사고 #통 #비슷 #따위 #*상태*"
"* 大公至正(대공지정)*: 아주 공변되고 *지극*히 올바름.
#*지극*"
"* 三水甲山(삼수갑산)*: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산골 #*조선* #시대 #양지 #나라 #함경도 #우리나라 #우리 #지세 #귀"
"* 尤而效之(우이효지)*: *허물*하면서도 그것을 본받는다는 뜻으로, 남의 잘못을 나무라면서 자신이 그것을 본받는 잘못을 저지르는
상황이나 그것을 경계하는 말로 사용됨.
#그것 #말 #*허물* #상황 #잘못 #사용 #경계 #자신"
"* 滿面愁色(만면수색)*: 얼굴에 가득 찬 *근심*의 빛.
#빛 #수심 #*근심* #얼굴"
"* 見聞覺知(견문각지)*: 눈으로 빛을 보고, 귀로 *소리*를 듣고, 코ㆍ혀ㆍ몸으로 냄새ㆍ맛ㆍ촉감을 감각하고, 뜻으로 법을 아는
육식(六識) 작용. 외경을 식별ㆍ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이르는 말이다.
#빛 #몸 #마음 #법 #눈 #*소리* #맛 #코 #작용 #혀 #감각 #냄새 #앎 #귀"
"* 芳年(방년)*: 이십 세 전후의 *한창* 젊은 꽃다운 나이.
#여자 #전후 #꽃 #20세 #나이"
시간
"* 威力成黨(위력성당)*: 떼 지어 으르고 협박함. ⇒규범 *표기*는 ‘울력성당’이다.
#일 #기세 #위력 #의미 #규범 #동아리 #무리 #사람"
꿈
* 朝生暮沒(조생모몰)*: 아침에 나타났다가 *저녁*에 사라짐. 또는 나왔다가 곧 스러짐.
"* 螟蛉(명령)*: (1)빛깔이 푸른 나비와 나방의 애*벌레*. 몸빛은 녹색이다. (2)나나니가 명령(螟蛉)을 업어 기른다는 뜻으로,
타성(他姓)에서 맞아들인 양자(養子)를 이르는 말.
#몸 #빛 #빛깔 #명령 #양자 #녹색 #나방 #*벌레* #비유 #나비"
"* 春樹暮雲(춘수모운)*: 봄철의 나무와 저문 날의 구름이라는 뜻으로, 먼 곳에 있는 *벗*을 그리는 마음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閉門造車(폐문조거)*: 문을 닫고 수레를 만든다는 뜻으로, 실제 *상황*에 부합하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자기 고집이나 생각대로만 일을
처리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일 #부합 #실제 #고려 #고집 #*상황* #생각 #비유 #수레 #처리"
"* 靑山可埋骨(청산가매골)*: 멀리 보이는 푸른 *산* 어디든지 뼈를 묻을 수 있다는 뜻으로, 대장부(大丈夫)는 반드시 고향(故鄕)에다
뼈를 묻어야만 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됨을 이르는 말.
#장부 #고향 #생각 #뼈 #*산* #어디"
* 別有天地(별유천지)*: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 游必有方(유필유방)*: 놀 때에는 반드시 방향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먼 곳으로 놀러 갈 때는 반드시 자신의 행방을 *부모*에게
알려야 한다는 자식의 도리."
"* 二律背反(이율배반)*: (1)‘이율배반’의 북한어. (2)서로 모순되어 양립할 수 없는 두 개의 명제. 칸트에 의하여 널리 쓰이게
된 용어로 세계를 인식 *능력*에서 독립된 완결적 전체로서 받아들일 수 있을 때 이성은 필연적으로 이율배반에 빠진다고 한다.
#일 #이율배반 #규율 #이성 #반대 #세계 #대립 #용어 #때 #*능력* #동등 #칸트 #모순 #주장 #전체"
"* 懷璧有罪(회벽유죄)*: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귀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훗날 #죄 #분수 #재앙 #*물건* #귀"
깊이
* 負重致遠(부중치원)*: 무거운 물거운 지고 먼 곳까지 간다는 뜻으로, 중요한 직*책*을 맡음을 이르는 말.
* 方枘圓鑿(방예원조)*: 모난 자루와 둥근 구멍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 風前燭火(풍전촉화)*: (1)*바람* 앞의 촛불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위험한 처지에 놓여 있음을 이르는 말. (2)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물 #등불 #말 #*바람* #앞 #촛불 #위험 #위급 #자리"
변화
* 刻木爲吏(각목위리)*: *나무*를 깎아 관리(官吏)의 형상을 만든다는 뜻으로, 옥리(獄吏)를 심(甚)히 미워해 이르는 말.
"* 木石草花(목석초화)*: 나무ㆍ돌ㆍ풀ㆍ꽃이라는 뜻으로, ‘*자연*’을 이르는 말.
#말 #나무 #풀 #꽃 #*자연* #돌"
"* 慈悲忍辱(자비인욕)*: 사랑하고 가엾게 *여기*며 욕됨과 고통을 참는 일.
#자비 #일 #사랑 #욕 #고통 #중생"
"* 一炊之夢(일취지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 變化無常(변화무상)*: 늘 *변화*하여 일정하지 않음.
#일정 #*변화*"
"* 自身照不亮(자신조불량)*: *자신*의 몸을 비추는 일도 밝지 못하다는 뜻으로, 남을 도울 여유가 없음을 비유하는 말.
#몸 #일 #여유 #비유 #*자신*"
"* 非禮勿動(비례물동)*: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는 뜻으로, 자신의 욕망을 극복하고 예절을 따르는 공자(孔子)의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실천 가치로 제시한 한 예임.
#욕망 #극복 #공자 #예절 #孔子 #자신 #가치 #제시 #실천"
"* 知斧斫足(지부작족)*: 믿는 *도끼*에 발등이 찍힌다는 뜻의 우리말 속담을 한역한 것으로, 믿는 사람에게서 배신을 당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비유 #발등 #속담 #*도끼* #사람"
* 雪膚花容(설부화용)*: 눈처럼 흰 살갗과 꽃처럼 고운 얼굴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용모를 이르는 말.
"* 我欺兄弟如欺父母(아기형제여기부모)*: 내가 형제(兄弟)를 속이는 것은 부모(父母)님을 속이는 것과 같음.
#형제 #부모"
"* 寢苫枕草(침점침초)*: 저락자리를 깔고 풀을 베게 삼아 눕는다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상중(喪中)에 *자식*(子息)된 자는
어버이가 흙속에 묻혀 있음을 슬퍼하여 아주 검소(儉素)해야 함을 이르는 말.
#*자식* #검소 #어버이 #부모 #자리 #흙 #상중"
"* 寸陰是競(촌음시경)*: 한 자 되는 구슬보다도 잠깐의 *시간*(時間)이 더욱 귀중(貴重)하니 *시간*(時間)을 아껴야 함.
#구슬 #귀중 #*시간* #잠깐"
"* 大義名分(대의명분)*: (1)사람으로서 마땅히 지키고 행하여야 할 도리나 본분. (2)떳떳이 내세울 만한 *도덕*적 원칙이나 이유.
#떳떳 #정의 #중대 #기준 #분수 #*도덕*적 #이유 #의리 #인륜 #명분 #의미 #*도덕* #본분 #근거 #원칙 #명백 #행동 #정도 #사람"
"* 見蛇首知長短(견사수지장단)*: *뱀*의 대가리를 보면, 그 몸의 길고 짧음을 알 수 있다는 뜻으로, 한 가지를 보아 전체(全體)를
알 수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몸 #대가리 #비유 #*뱀* #전체"
"* 東食西宿(동식서숙)*: 동쪽 집에서 먹고 *서쪽* 집에서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다니며 얻어먹고 지내는 일이나 사람. 혹은 주소가
일정하지 않은 사람.
#일 #집 #일정 #동쪽 #*서쪽* #주소 #사람"
"* 節義廉退(절의염퇴)*: 청렴(淸廉)과 절개(節槪)와 *의리*(義理)와 사양(辭讓)함과 물러감은 늘 지켜야 함.
#절개 #*의리* #사양 #청렴"
"* 門不夜關(문불야관)*: 문은 밤에 잠그지 않는다는 뜻으로, 도적이 없어 문을 잠그지 않는 *태평*성대(太平聖代 )의 세상이라는 의미.
#밤 #도적 #*태평* #의미 #*태평*성대 #세상"
"* 束脩之禮(속수지례)*: *제자*가 되려고 스승을 처음 뵐 때에 드리는 예물. 예전에, 중국에서 열 조각의 육포를 묶어 드렸다는 데서
유래한다.
#예전 #때 #예물 #사용 #*제자* #스승 #의미 #옛날 #중국 #조각 #처음 #유래 #예절 #육포"
"* 夜郞自大(야랑자대)*: 용렬하거나 우매한 무리 가운데서 세력이 있어 잘난 체하고 뽐냄을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 때에 서*남쪽*의
오랑캐 가운데서 야랑국이 가장 세력이 강하여 오만한 데서 유래한다.
#한나라 #강 #말 #가운데 #때 #나라 #비유 #우매 #중국 #오랑캐 #세력 #오만 #무리 #유래 #용렬"
형편
"* 磨斧作針(마부작침)*: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일 #말 #노력 #비유 #바늘 #*도끼*"
"* 途中下車(도중하차)*: (1)목적지에 닿기 전에 차에서 내림. (2)*시작*한 일을 끝내지 않고 중간에서 그만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竝皆佳妙(병개가묘)*: 모두가 아름다우며 묘한 *재주*임.
#묘 #모두"
"* 秋夜如歲(추야여세)*: 가을*밤*이 마치 한 해 같다는 뜻으로, 가을*밤*이 길게 느껴짐을 이르는 말.
#*밤* #가을*밤* #가을"
"* 釜底抽薪(부저추신)*: 솥 밑의 장작을 뺀다는 뜻으로, 타는 장작을 빼내 솥이 끓어오르는 것을 막는 것처럼 어떤 일을 *근본*적으로
해결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일 #*근본*적 #장작 #사용 #솥 #의미 #*근본* #해결"
"* 子路負米(자로부미)*: 공자(孔子)의 제자(弟子)인 子路(자로)는 *가난*하여 매일(每日) 쌀을 등짐으로 져서 백 리 밖까지
운반(運搬)하여 그 운임(運賃)을 받아 양친(兩親)을 봉양(奉養)했다함.
#봉양 #*가난* #제자 #孔子 #백 #밖 #공자 #쌀"
* 富有天下(부유천하)*: 온 *천하*의 재부를 혼자 차지했다는 뜻으로, 천자의 부력(富力)을 이르는 말.
"* 南船北馬(남선북마)*: 중국의 남쪽은 강이 많아서 배를 이용하고 북쪽은 산과 사막이 많아서 말을 이용한다는 뜻으로, 늘 쉬지 않고
여기저기 여행을 하거나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배 #강 #말 #방 #기후 #이용 #여행 #관계 #교통 #사방 #중국 #남쪽 #북쪽 #산 #지형"
"* 後生可畏(후생가외)*: 젊은 후학들을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 후진들이 선배들보다 젊고 기력이 좋아, *학문*을 닦음에 따라 큰
인물이 될 수 있으므로 가히 두렵다는 말.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선배 #한편 #말 #진보 #기력 #*학문* #때문 #후배 #인물 #의미 #선배들 #나이"
"* 億千萬劫(억천만겁)*: 무한하게 오랜 *시간*.
#세월 #무한 #*시간* #영원"
"* 羊腸小徑(양장소경)*: 양의 창자처럼 구불구불 휘고 좁은 길이라는 뜻으로, 대학(大學) 입시나 입사 시험(試驗) 등(等)의
합격(合格)의 어려움을 이르는 말.
#창자 #양 #어려움 #불 #길 #합격 #시험 #대학"
"* 假夫子(가부자)*: *가*짜 공자(孔子)라는 뜻으로, 옛날 성균관 유생(儒生)들 사이에서 유난히 공부에 골몰하거나 언행을
성인(聖人)처럼 하는 이를 놀림조로 이르던 말."
"* 衆議成林(중의성림)*: 뭇사람들의 의논은 평지에 *숲*도 이룬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말하면 그렇지 않은 일도 그럴 듯하게
되어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일 #의논 #말 #뭇사람들 #뭇사람 #비유 #평지 #사람"
"* 桑土綢繆(상토주무)*: 새는 폭풍우(暴風雨)가 닥치기 전(前)에 뽕나무 뿌리를 물어다가 둥지의 *구멍*을 막는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準備)하여 닥쳐 올 재앙(災殃)을 막음을 이르는 말.
#새 #뽕나무 #나무 #재앙 #준비 #*구멍* #뿌리"
* 天下大勢(천하대세)*: *세상*이 돌아가는 추세.
"* 內助之功(내조지공)*: 안에서 돕는 공이란 뜻으로, 아내가 집안 일을 잘 다스려 *남편*(男便)을 돕는 일을 말함.
#일 #말 #*남편* #집안 #아내"
"* 回光反照(회광반조)*: 석양빛이 반사한다는 뜻으로, 등불이나 사람의 목숨이 다하려고 하는 마지막 한 때에 잠시 기운을 되차리는 일을
*의미*함."
"* 平地突出(평지돌출)*: 평지에 산이 우뚝 솟는다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집안에서 인물이 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출세 #미천 #인물 #비유 #집안 #크게 #산 #평지"
"* 恩重泰山(은중태산)*: *은혜*가 높고 큰 산처럼 큼을 이르는 말.
#*은혜* #의미 #소중 #무게 #태산 #산"
"* 貧者一燈(빈자일등)*: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밤 #공덕 #사람 #중요 #왕 #정성 #개의 #부자 #의미 #백 #*부처* #가난 #유래 #물질 #사이"
"* 兄友弟恭(형우제공)*: 형은 아우를 *사랑*하고 동생은 형을 공경한다는 뜻으로, 형제간에 서로 우애 깊게 지냄을 이르는 말.
#*사랑* #아우 #공손 #의미 #공경 #형제 #형제간 #서로 #끼리 #동생 #형 #우애"
"* 垂名竹帛(수명죽백)*: 이름을 죽간과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 입신양명(立身揚名)하여 이름을 역사에 남긴다는 의미.
#이름 #역사 #의미 #*비단* #죽간"
"* 心猿意馬(심원의마)*: 마음은 원숭이 같고 뜻은 말이 뛰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번뇌*로 중생의 마음이 잠시도 고요하지 못하고
언제나 어지러움을 이르는 말.
#원숭이 #고요 #*번뇌* #진정 #집중 #성 #마음속 #마음 #말 #안정 #생각 #비유 #의미 #조금 #중생 #불가"
"* 寶貨難售(보화난수)*: 보물은 팔기 어렵다는 뜻으로, 너무 귀한 보물은 *값*이 비싸 쉽사리 팔리지 않는 것처럼 훌륭한 사람은
기량(器量)이 크므로 남에게 등용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등용 #*값* #말 #어려움 #비유 #기량 #보물 #훌륭 #귀 #사람"
"* 假虎威(가호위)*: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백성 #빌어 #말 #신하 #우화 #범 #위세 #여우 #권세 #약자 #강자 #비유 #세력 #*짐승* #군주"
"* 疾風怒濤(질풍노도)*: (1)몹시 빠르게 부는 바람과 무섭게 소용*돌*이치는 물결. (2)18세기 후반에 독일에서 일어난 문학
운동. 계몽주의 사조에 반항하면서 감정의 해방, 개성의 존중 및 천재주의를 주장하였다. 하만과 헤르더가 선구(先驅)를 이루고 괴테와
실러 등이 중심이 되었다."
"* 菽麥不辨(숙맥불변)*: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리 분별을 못 하고 세상 물정을 잘 모름을 이르는 말.
#모름 #사리 #사람 #콩 #물정 #*보리* #무식 #비유 #구별 #분별 #세상"
* 專房之寵(전방지총)*: 여러 첩 가운데에서 어느 한 첩에게 가장 많이 쏟는 사랑.
"* 老少不定(노소부정)*: 죽음에는 노소의 선후(先後)가 없음.
#소년 #죽음 #목숨 #노인 #언제 #사람"
"* 白色恐怖(백색공포)*: 권력자나 지배 계급이 반정부 세력이나 혁명 운동에 대하여 행하는 탄압.
#혁명 #권력 #탄압 #지배 #*백*색 #운동 #프랑스 #왕실 #두려움 #흰색 #계급 #세력 #본래 #유래"
"* 枝葉相持(지엽상지)*: *가지*와 잎이 서로 받친다는 뜻으로, 자손들이 서로 도와 지지함을 이르는 말.
#잎 #자손"
"* 福德圓滿(복덕원만)*: 복과 덕, 즉 행복(幸福)과 이익(利益)이 넘쳐흐를 정도(程度)로 *가득*함.
#복 #이익 #*가득*함 #행복 #정도"
"* 雉膏不食(치고불식)*: 꿩 기름을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몸에 좋은 꿩 기름도 먹지 않는 것처럼 재덕이 있어도 임금에게 채용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출전- 주역(周易)]."
"* 生死關頭(생사관두)*: 살고 죽는 것이 달린 매우 위태로운 고비.
#고비"
"* 泰而不驕(태이불교)*: 태연하나 교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자(君子)의 *태도*를 이르는 말로 쓰이거나, 권력 있는 지위에 있어도
교만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로도 사용됨.
#권력 #사용 #교만 #태연 #군자 #*태도* #지위"
"* 探花好色(탐화호색)*: 여색을 지나치게 좋아하고 밝*힘*.
#여색"
"* 師德弟愼正道智覺(사덕제신정도지각)*: 스승이 덕으로 가르치니 삼가 받들어야 바른 길의 *지혜*(智慧)를 밝혀 깨닫음.
#길 #스승 #*지혜*"
"* 萬乘之位(만승지위)*: *천자*의 높은 지위.
#*천자* #지위"
* 曲肱之樂(곡굉지락)*: 베개가 없어서 팔을 구부려 베고 잘 정도로 *가난*하지만 그러한 삶에 만족하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 廓然大公(확연대공)*: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사물 #마음 #성인 #학문 #거리낌 #*의미* #사심 #군자 #공평 #태도"
"* 同氣之親(동기지친)*: 형*제자*매 사이의 친애(親愛)를 이르는 말.
#친애 #말 #형*제자*매 #형제 #사이"
"* 落花流水(락화류수)*: (1)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를 이르는 말. (2)살림이나 세력이 약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떨어지는 꽃에 정(情)이 있으면 물에도 또한 정이 있어 떨어지는 꽃은 물이 흐르는 대로
흐르기를 바라고 유수는 떨어지는 꽃을 띄워 흐르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남녀가 서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4)춘앵전이나 처용무에서,
두 팔을 좌우로 한 번씩 *뿌리*는 춤사위. (5)1929년에 발매한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가요. 김서정(金曙汀)이 작사ㆍ작곡하고,
이정숙(李貞淑)이 노래하였다. 1927년에 만들어진 동명의 무성 영화의 주제가이다. (6)‘낙화유수’의 북한어.
#창작 #보잘것 #좌우 #여자 #노래 #애틋 #비유 #힘 #봄 #남자 #남녀 #사모 #경치 #우리 #세력 #우리나라 #*뿌리* #살림 #물 #꽃 #의미 #사용 #나라 #무성 #영화"
"* 博學而詳說之(박학이상설지)*: 군자(君子)가 박학함으로써 상세(詳細)히 풀이하는 것은 世人(세인)에게 학문(學問)을 자랑하려 함이
아니라, 요점(要點)을 *알*아듣도록 설명(說明)하기 위함이라는 말."
"* 千里行始於足下(천리행시어족하)*: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 시작(始作)한다는 뜻으로, 비록 어려운 일이라도 쉬지 않고 노력(努力)하면
성취(成就)됨을 이르는 *말*."
* 出藍之譽(출람지예)*: 청출어람의 명예라는 뜻으로,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낫다는 평판을 얻는 명예를 이르는 말.
"* 落月屋梁(낙월옥량)*: *밤*에 벗의 꿈을 꾸고 깨 보니 지는 달이 지붕을 비추고 있다는 뜻에서, 벗을 생각하는 마음이 간절함을
이르는 말."
* 四表(사표)*: 나라 *사방*의 바깥이라는 뜻으로, ‘천하’를 이르는 말.
"* 探湯(탐탕)*: 끓는 물에 손을 넣어 본다는 뜻으로, 더위에 괴로워하는 모양이나, *고생*하거나 두려워하여 경계하는 모양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생* #더위 #물 #비유 #경계 #모양 #따위"
"* 衆力移山(중력이산)*: 많은 사람의 *힘*은 산을 옮길 수 있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힘*을 합하면 산도 옮길 수 있을 정도의
*힘*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의미."
* 一毛不拔(일모불발)*: 털 *하나*라도 남을 위하여 뽑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몹시 인색하고 이기적임을 이르는 말.
"* 兎羅雉罹(토라치리)*: 토끼 잡는 그물에 꿩이 걸린다는 뜻으로, 소인배가 계략을 써서 죄를 벗어나고 어진 군자가 도리어 화를 당하는
*경우*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四知(사지)*: 두 사람만의 비밀이라도 어느 때고 반드시 남이 알게 됨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後漢)의 양진(楊震)이 형주
자사(荊州刺史)로 부임했을 때, 왕밀(王密)이 밤중에 찾아와서 당신과 나밖에는 아무도 알 사람이 없다 하며 금(金) 열 근을 바쳤을
때,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내가 알고 자네가 안다 하며 받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후한서≫의 에 나오는 말이다."
* 野壇法席(야단법석)*: 야외에서 크게 베푸는 설*법*의 자리.
"* 已往之事(이왕지사)*: 이미 지나간 일.
#일 #어찌 #상황"
"* 非夢似夢(비몽사몽)*: *완전*히 잠이 들지도 잠에서 깨어나지도 않은 어렴풋한 상태.
#꿈 #어렴풋 #의미 #잠 #*완전* #상태"
"* 仰事俯畜(앙사부휵)*: 우러러 섬기고 굽어서 기른다는 뜻으로, 위로는 부모를 봉양하고 *아래*로는 처자식을 기른다는 의미.
#봉양 #*아래* #의미 #처자식 #부모"
"* 馬牛襟裾(마우금거)*: 말이나 소에 의복을 입혔다는 뜻으로, *학식*(學識)이 없거나 예의(禮儀)를 모르는 사람을 조롱(嘲弄)해
이르는 말.
#말 #의복 #예의 #*학식* #조롱 #사람"
"* 同根連枝(동근연지)*: 같은 뿌리와 잇닿은 나뭇가지라는 뜻으로, *형제*(兄弟), 자매(姉妹)를 일컫는 말.
#말 #자매 #나뭇가지 #*형제* #뿌리"
"* 萬乘之主(만승지주)*: 만승지국의 임금이란 뜻으로, *천자*를 이르는 말.
#임금 #*천자* #만승지국"
"* 車同軌書同文(거동궤서동문)*: 여러 *지방*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지방* #글자 #천하 #수레 #통일 #상태"
"* 仁義禮智(인의예지)*: 유학에서, 사람이 마땅히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성품. 곧 어질고, 의롭고, 예의 바르고, *지혜*로움을
이른다."
* 百年佳期(백년가기)*: 젊은 남녀가 *부부*가 되어 평생을 같이 지낼 것을 굳게 다짐하는 아름다운 언약.
"* 將幕之分(장막지분)*: 장수와 막하(幕下) *사이*의 신분상의 차이.
#장수 #차이 #분수 #신분 #상의 #*사이*"
"* 野壇法席(야단법석)*: 야외에서 크게 베푸는 설법의 *자리*.
#설법 #불가 #의미 #들판 #*자리* #유래 #활용 #사람"
"* 翻雲覆雨(번운복우)*: 손*바닥*을 위로 향(向)하면 구름이 일고, 아래로 향(向)하면 비가 내린다는 뜻으로, 손*바닥*을 뒤집듯이
인정(人情)이 변(變)하기 쉬움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일 #아래 #손*바닥* #비유 #인정 #구름"
"* 江南橘化爲枳(강남귤화위지)*: 강남의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도 *장소*(場所)나 환경(環境)에 따라
완전(完全)히 달라짐을 이르는 말.
#탱자 #환경 #강 #사람 #달라짐 #강남 #*장소* #완전 #귤"
"* 忽忽不樂(홀홀불락)*: 실망스럽고 뒤숭숭하여 마음이 즐겁지 아니함.
#실망 #마음"
"* 齋戒沐浴(재계목욕)*: 신불(神佛)에게 제사(祭祀)를 드리기 전(前)에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기 위(爲)하여 음식(飮食)이나
행동(行動)을 삼가고 몸을 깨끗이 씻음을 이르는 말."
"* 貧賤不能移(빈천불능이)*: 빈천도 옮기게 할 수 없다는 뜻으로, 대장부(大丈夫)는 빈천한 처지에 처하더라도 자신의 바른 뜻으로
굽히거나 어기지 않는다는 의미."
* 鷽鳩笑大鵬(학구소대붕)*: 작은 비둘기가 대붕을 비웃는다는 뜻으로, 소인이 군자의 행위(行爲)를 비웃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疾風怒濤(질풍노도)*: (1)몹시 빠르게 부는 바람과 무섭게 소용돌이치는 *물결*. (2)18세기 후반에 독일에서 일어난 문학
운동. 계몽주의 사조에 반항하면서 감정의 해방, 개성의 존중 및 천재주의를 주장하였다. 하만과 헤르더가 선구(先驅)를 이루고 괴테와
실러 등이 중심이 되었다.
#중심 #거침 #후반 #개성 #행위 #바람 #말 #운동 #사조 #*물결* #비유 #의미 #감정 #문학 #주장 #주의 #존중 #독일"
"* 獸窮則齧(수궁즉설)*: 짐승이 궁지에 몰리면 문다는 뜻으로, 사람도 곤궁하*여지*면 나쁜 짓을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곤궁 #궁지 #의미 #짐승 #사람"
"* 破顔一笑(파안일소)*: 매우 즐거운 표정으로 한바탕 *웃음*.
#표정 #*웃음*"
* 毛織婚式(모직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4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모직으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 竊鈇之疑(절부지의)*: 공연한 혐의를 이르는 말. 도끼를 훔쳐 갔다고 의심받은 사람의 *행동*이나 말이 모두 틀림없이 훔쳐 간
것처럼 보였으나, 다른 데서 그 도끼가 발견되어 누명을 벗은 후에는 그렇게 보이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喙長三尺(훼장삼척)*: (1)부리의 길이가 석 자라는 뜻으로, 말을 거침없이 잘함을 이르는 말. (2)주둥이가 석 자나 길어도
변명할 수 없다는 뜻으로, *허물*이 드러나서 숨겨 감출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말 #*허물* #비유 #길이 #변명 #부리"
"* 形而上學(형이상학)*: (1)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2)헤겔ㆍ마르크스 철학에서, 비변증법적 사고를 이르는 말. (3)초경험적인 것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을,
형이하 또는 경험적 대상의 학문인 자연 과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4)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일 철학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다룬 여러 문제의 연구를 후세에 정리한 것으로,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비판하고 실재론을 설명하였다. 스콜라 철학을 통하여 중세의
유럽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 14장(章)."
"* 圜鑿方枘(환조방예)*: 둥근 구멍에 모난 *자루*를 넣는다는 뜻으로, 사물이 제격에 맞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물 #구멍 #*자루* #비유"
* 善敗由己(선패유기)*: 성공과 실패는 자기로부터 말미암는다는 뜻으로, 일의 성패는 자기 *자신*의 행동 여하에 달려있다는 의미.
"* 尤而效之(우이효지)*: 허물하면서도 그것을 본받는다는 뜻으로, 남의 잘못을 나무라면서 자신이 그것을 본받는 잘못을 저지르는 상황이나
그것을 경계하는 말로 *사용*됨.
#그것 #말 #허물 #상황 #잘못 #*사용* #경계 #자신"
"* 安心立命(안심입명)*: (1)‘안심입명’의 북한어. (2)선원에서, *자신*의 불성(佛性)을 깨닫고 삶과 죽음을 초월함으로써 마음의
편안함을 얻는 것을 이르는 말."
* 北方之强(북방지강)*: 기질(氣質)이 거세어 强勇(강용)만으로 밀어붙이는 사람을 이름.
"* 無間地獄(무간지옥)*: 팔열 지옥(八熱地獄)의 하나. 오역죄를 짓거나, 절이나 탑을 헐거나, 시주한 재물을 축내거나 한 사람이
가는데, 한 겁(劫) *동안* 끊임없이 고통을 받는다는 지옥이다.
#죄 #재물 #지옥 #고통 #탑 #*동안* #시주 #사람"
* 如鼓琴瑟(여고금슬)*: 거문고와 큰 거문고를 연주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부부가 서로 화합함을 이르는 말.
"* 太平烟月(태평연월)*: *태평*한 세월이라는 뜻으로, 편안하고 즐거운 세월을 이르는 말. [烟月은 煙月. 곧 *태평*한 시절의
의미].
#안락 #*태평* #때 #의미 #세월 #편안 #평화 #시절 #세상"
"* 抛塼引玉(포전인옥)*: 병법에서, 좋아 보이거나 비슷해 보이는 미끼를 유인책으로 먼저 제시한 뒤에 여기에 속은 어리석은 적을 쳐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작전이나 전술을 이르는 말.
#달성 #자신 #타인 #이득 #사용 #전술 #겸손 #작품 #유인 #병법 #손자 #미끼 #제시 #작전 #계책 #발표 #미숙 #의미 #비슷 #*목적*"
* 滿場一致(만장일치)*: 모든 사람의 의견이 같음.
* 自愧心(자괴심)*: 스스로 부끄럽게 *여기*는 마음.
"* 無私無偏(무사무편)*: 사심(私心)이나 편파(偏頗)됨이 없다는 뜻으로, 매우 공평(公平)함을 이르는 말.
#사심 #공평"
"* 天官(천관)*: (1)조선 *시대*에 ‘이조 판서’를 달리 이르던 말. 육조(六曹)의 판서 가운데 으뜸이라는 뜻이다. (2)중국
주나라 때에 둔, 육관의 하나. 국정(國政)을 총괄하고 궁중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이다. (3)‘이조’를 달리 이르던 말."
* 自稱君子(자칭군자)*: *자기*를 스스로 군자라고 이른다는 뜻으로, *자기* 자랑이 매우 심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霹靂閃電(벽력섬전)*: 벼락과 천둥, 번개의 뜻으로, 매우 빠른 *상황*을 비유하는 말.
"* 寡德之人(과덕지인)*: 덕이 적은 사람이란 뜻으로, 과거에 왕이 자신을 겸손하게 *표현*해서 부르던 과인(寡人)의 본 의미. 혹은
다른 나라에 대하여 자신의 국왕을 지칭할 경우에도 사용.
#경우 #왕 #*표현* #지칭 #나라 #사용 #겸손 #의미 #자신 #과거 #사람"
"* 自下達上(자하달상)*: *아래*에서 위까지 미침.
#일 #미침 #영향 #*아래* #도달 #의미"
"* 兵車之會(병거지회)*: *전쟁*할 때에 쓰는 수레를 거느리고 무력으로 제후를 회합시키는 일. 또는 그런 회합.
#무력 #일 #병사 #제후 #모임 #때 #*전쟁* #의미 #수레 #병거"
"* 海棠睡未足(해당수미족)*: 해당화가 아직 잠이 부족하다는 뜻으로, 갓 깨어난 미인이 아직 잠에 취한 듯 하늘하늘 가냘프게 보이는
모양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형용* #미인 #부족 #해당화 #모양 #잠"
"* 前虎後狼(전호후랑)*: 앞문에서 호랑이를 막고 있으려니까 뒷문으로 이리가 들어온다는 뜻으로, 재앙이 끊일 *사이* 없이 닥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春寒老健(춘한노건)*: 봄추위와 늙은이의 건강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오래가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開化思想(개화사상)*: 낡은 제도나 풍습 등을 없애고 외국의 발전된 문화를 받*아들*이려는 생각.
"* 華燭(화촉)*: (1)빛깔을 들인 밀초. 흔히 혼례 *의식*에 쓴다. (2)그림을 그리는 데 쓰는 밀초.
#혼례 #말 #빛깔 #*의식* #그림 #따위 #등화"
"* 有酒無量(유주무량)*: 술을 얼마든지 마실 만큼 주량이 큼. 공자의 주량을 언급한 ≪논어≫ 편의 ‘술을 마실 때는 *일정*한 양이
없었는데 어지러운 지경에 이르지 않았다.’에서 유래한 말이다.
#말 #주량 #양 #*일정* #때 #정도 #지경 #편의 #공자 #술 #얼마 #유래 #양이"
* 太剛則折(태강즉절)*: 너무 굳거나 빳빳하면 꺾어지기가 쉬움.
"* 不惡而嚴(불오이엄)*: 미워하지 않으면서도 엄하다는 뜻으로, 미워하여 꾸짖거나 하지 않으면서도 위엄 있는 태도를 가진다는 의*미인*데,
주로 소인을 멀리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장수
* 如鼓琴瑟(여고금슬)*: 거문고와 큰 거문고를 연주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부부가 *서로* 화합함을 이르는 말.
여자
"* 東敗西喪(동패서상)*: *동쪽*에서 패하고 서쪽에서 잃는다는 뜻으로, 여기저기 가는 곳마다 실패하거나 망함을 이르는 말.
#서쪽 #실패 #*동쪽*"
"* 前轍(전철)*: 앞에 지나간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이전 사람의 그릇된 일이나 *행동*의 자취를 이르는 말.
#일 #자취 #수레바퀴 #앞 #이전 #실패 #자국 #비유 #그릇 #*행동* #사람"
* 庶母(서모)*: (1)*아버지*의 첩. (2)‘계모’의 방언.
* 沈於酒色(침어주색)*: 술과 *여자*에 혹하여 빠짐.
* 從善如流(종선여류)*: 선을 따르면 모든 것이 물과 같이 흐른다는 뜻으로, *정도*를 지켜야 무난히 성공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末大必折(말대필절)*: *나무* 가지가 너무 커지면 반드시 줄기가 부러진다는 뜻으로, 자손(子孫)이 강성해지면 종가(宗家)를 망하게
한다는 의미. 또는 변방(邊方)의 힘이 강해지면 나라가 위태하다는 의미도로 사용됨."
"* 馬良白眉(마량백미)*: 마량의 흰 눈썹이라는 뜻으로, 삼국시대 촉(蜀)의 마량이 마씨 5형제 *가운데* 가장 뛰어났는데, 그의
눈썹에 흰털이 있었다는 고사. 본래 『蒙求(몽구)』의 표제어임."
* 無賴之輩(무뢰지배)*: 무뢰한의 *무리*.
"* 獨學孤陋(독학고루)*: 스승이 없이, 또는 학교에 다니지 아니하고 *혼자*서 공부한 사람은 견문이 넓지 못하여 생각이 좁고 천박함을
이르는 말.
#공부 #천박 #*혼자* #생각 #견문 #스승 #식견 #사람"
"* 乾木水生(건목수생)*: (1)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2)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 市賈不貳(시가불이)*: *시장*의 가격은 둘이 아니다는 뜻으로, 상인들이 에누리가 없다는 의미로 사용됨.
#사용 #*시장* #의미 #상인 #에누리"
산천
"* 朝令暮改(조령모개)*: *아침*에 명령을 내렸다가 저녁에 다시 고친다는 뜻으로, 법령을 자꾸 고쳐서 갈피를 잡기가 어려움을 이르는
말.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 梅子十二(매자십이)*: 매실*나무*는 심은 지 12년이 되어야 열매를 맺는다는 말.
"* 冥冥之志(명명지지)*: 마음 속에 깊이 간직하여 외부(外部)에 드러내지 않고 *힘*쓰는 뜻.
#외부 #간직 #마음"
"* 知音(지음)*: (1)새나 짐승의 울음을 가려 잘 알아들음. (2)음악의 곡조를 잘 앎. (3)마음이 서로 통하는 친한 벗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거문고의 명인 백아가 자기의 소리를 잘 이해해 준 벗 종자기가 죽자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고 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에 나오는 말이다. (4)*작품*을 바르게 느끼고 평가함.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문학 평론(文學評論)에 해당하는 제48장의 제목이다. 문학 *작품*을 어떻게 감상하고 비평할 것인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협은 *작품*을 평가할 때에는 현재를 경시하는 태도, 타인을 경멸하는 태도, 진실을 왜곡하는 현상, 편견, 부정확한
평가 따위를 특별히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타인 #현상 #때 #문학 #비평 #경멸 #해당 #새 #평론 #*작품* #백아 #경계 #태도 #이해 #진실 #유래 #벗 #평가 #지기 #소리 #곡조 #유협 #자신 #음악 #짐승 #앎
#따위 #제목 #마음 #말 #의미 #울음 #주장 #거문고"
"* 黑牛生白犢(흑우생백독)*: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았다는 뜻으로, 길흉*화복*이 뒤바뀌어 예측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복 #화 #어려움 #화가 #예측 #비유 #길흉 #길흉*화복*"
* 自激之心(자격지심)*: 자기가 한 일에 대하여 스스로 미흡하게 *여기*는 마음.
"* 西方行者(서방행자)*: 극락에 가려고 염불하는 사람.
#극락 #염불 #세계 #사람"
* 伯牙絶絃(백아절현)*: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 속 *깊이* 이해하는 절친한 친구의 죽음을 의미.
"* 泣斬馬謖(읍참마속)*: 큰 목적을 위하여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버림을 이르는 말. ≪삼국지≫의 〈마속전(馬謖傳)〉에 나오는 말로,
*중국* 촉나라 제갈량이 군령을 어기어 가정(街亭) 싸움에서 패한 마속을 눈물을 머금고 참형에 처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天上天下唯我獨尊(천상천하유아독존)*: 우주 가운데 자기보다 더 존귀한 이는 없음.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처음으로 한 말이라고
한다.
#존귀 #우주 #말 #때 #비유 #태도 #석가 #세상 #*석가모니* #처음 #가운데 #사람"
"* 刻鏤心骨(각루심골)*: 마음속 *깊이* 새겨 잊지 않음을 이르는 말.
#마음속"
"* 讀書亡羊(독서망양)*: 글을 읽는 데 정신이 팔려서 *먹이*고 있던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하는 일에는 뜻이 없고 다른 생각만
하다가 낭패를 봄을 이르는 말.
#책 #일 #낭패 #마음 #중요 #양 #정신 #생각 #본디 #길 #의미 #소홀 #밖 #봄"
"* 芳埃(방애)*: *향기*로운 티끌이란 뜻으로, 꽃 아래에서 나는 먼지나 티끌을 이르는 말.
#티끌 #아래 #꽃"
"* 隱居放言(은거방언)*: *은거*하며 살면서 마음속에 품고 있는 생각을 털어놓음.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마음속 #마음 #말 #*은거* #거리낌 #속세 #생각 #의미"
"* 山高水長(산고수장)*: 산은 높이 솟고 강은 길게 흐른다는 뜻으로, 인자(仁者)나 군자의 *덕행*이 높고 한없이 오래 전하여
내려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유유 #흐름 #강 #냇물 #말 #인자 #고결 #물 #비유 #절조 #물의 #인품 #군자 #산 #*덕행*"
"* 逆旅過客(역려과객)*: (1)길 가는 나그네와 같이 아무 *관계*가 없는 사람. (2)세상은 여관과 같고 인생은 그곳에 잠시 머무는
나그네와 같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그곳 #길손 #*관계* #사용 #의미 #길 #나그네 #여관 #세상 #맞이 #인생 #사람"
"* 虎不食兒(호불식아)*: 호랑이는 *새끼*를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범은 아무리 배가 고파도 제 *새끼*를 먹지는 않는 것처럼,
아무리 흉악한 사람도 제 식구는 함부로 하지 않는다는 의미.
#배 #*새끼* #범 #식구 #호랑이 #흉악 #의미 #사람"
"* 絃歌不輟(현가불철)*: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노래 #학문 #어려움 #계속 #거문고 #*공자* #고사 #유래"
"* 掩目捕雀(엄목포작)*: 눈을 가리고 참새를 잡는다는 뜻으로, 아주 얕은 *꾀*로 남을 속이려 함을 이르는 말.
#일 #새 #눈 #*꾀* #참새"
"* 死則同穴(사즉동혈)*: 부부가 죽은 뒤에 한무덤에 묻힌다는 뜻으로, 부부의 *사이*가 매우 좋음을 나타내는 말. ≪시경≫에서
유래한다."
"* 德無常師(덕무상사)*: 덕을 닦는 데는 일정(一定)한 스승이 없다는 뜻으로, 마주치는 환경(環境), 마주치는 사람 모두가
수행(修行)에 도움이 됨을 이르는 말.
#환경 #도움 #일정 #스승 #수행 #모두 #사람"
"* 烏之雌雄(오지자웅)*: *까마귀*의 암수를 구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선악과 시비를 가리기 어려운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암수 #시비 #*까마귀* #의미 #是非 #구별 #선악"
* 經天緯地之才(경천위지지재)*: 온 천하를 조직적으로 잘 계획하여 다스리는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
"* 如渡得船(여도득선)*: 강을 건너려 하는 데 마침 나루터에서 배를 얻었다는 뜻으로, 필요(必要)한 것이나 상황(狀況)이 바라는 대로
됨이나 부처의 *자비*(慈悲)를 입음을 이르는 말.
#*자비* #배 #강 #상황 #필요 #부처"
"* 木婚式(목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나무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나무 #*풍속* #의식 #부부 #기념"
"* 三餘之功(삼여지공)*: 독서(讀書)하기에 가장 좋은 '겨울ㆍ밤ㆍ음우(陰雨)'를 일컬음.
#밤 #독서 #겨울"
"* 日就月將(일취월장)*: 나날이 다달이 자라거나 발*전함*.
#의미 #발전 #달"
* 死且不朽(사차불후)*: 죽더라도 썩어 없어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몸은 죽어 없어져도 명성만은 그대로 후세에 길이 전함을 이르는 말.
"* 苫塊(점괴)*: 거적자리와 흙덩이 *베개*라는 뜻으로, 어버이의 상중에 있는 사람이 앉는 자리를 이르는 말.
#상사 #사람 #흙덩이 #*베개* #어버이 #자리 #거적 #상중"
"* 下學上達(하학상달)*: 아래를 배워 위에 도*달*한다는 뜻으로, 쉬운 지식을 배워 어려운 이치를 깨*달*음을 이르는 말.
#사리 #말 #아래 #학문 #인간 #이치 #사용 #도*달* #의미 #지식 #하늘 #깨*달*음 #통*달*"
"* 三鐘懺法(삼종참법)*: 죄악(罪惡)을 참회(懺悔)하는 세 *가지* 방법(方法). 곧
작법참(作法懺)ㆍ취상참(取相懺)ㆍ무생참(無生懺)을 이름."
* 經世致用(경세치용)*: *학문*은 세상을 다스리는 데에 실질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유교의 한 주장.
* 晝思夜度(주사야탁)*: *밤*낮으로 깊이 생각하고 헤아림.
* 胸中無墨(흉중무묵)*: 가슴 속에 먹이 없다는 뜻으로, 시문에 *재주*가 없는 사람이나, 배우지 못한 사람을 이르는 말.
"* 三分天下(삼분천하)*: 한 나라를 세 사람의 *군주*나 영걸(英傑)이 나누어 차지함.
#차지함 #부분 #차지 #영웅 #나라 #*군주* #사람"
* 齊眉(제미)*: 밥상을 눈썹과 가지런하도록 공손히 들어 *남편* 앞에 가지고 간다는 뜻으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이르는 말.
"* 上和下睦(상화하목)*: 위에서 사랑하고 *아래*에서 공경(恭敬)함으로써 화목(和睦)이 됨.
#공경 #화목 #사랑 #*아래*"
"* 隨方就圓(수방취원)*: 네모진 것을 따르면서 둥근 것으로 이룬다는 뜻으로, 융통성이 있어 다방면으로 *재주*를 발휘해 무엇이든 잘
적응한다는 의미."
"* 互相入葬(호상입장)*: 서로 장례를 들인다는 뜻으로, 친족을 한 묘지에 장사지낸다는 뜻으로 쓰이거나, *주인*이 없는 산에 아무나
마음대로 장사지냄을 이르는 말.
#*주인* #마음 #친족 #장사 #묘지 #산 #장례"
"* 滄海遺珠(창해유주)*: 넓고 큰 바닷속에 캐어지지 않은 채 남아 있는 진주라는 뜻으로, 세상에 미처 알려지지 않은 드물고 귀한
*보배*나, 덕과 지혜가 높은 어진 사람을 이르는 말. ≪당서≫에 나오는 말이다.
#*보배* #말 #진주 #바닷속 #비유 #세상 #지혜 #귀 #사람"
"* 秋扇(추선)*: (1)가을철의 부채라는 뜻으로, 철이 지나서 쓸모없이 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이성의 사랑을 잃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수단
* 命在朝夕(명재조석)*: 거의 죽게 되어 곧 숨이 끊어질 *지경*에 이름.
"* 稽古之力(계고지력)*: 옛일을 자세히 살피어 공*부하*는 노력이라는 뜻으로, 학문이 넓고 지식이 많음을 이르는 말.
#공부 #노력 #학문 #옛일 #지식"
* 風飛雹散(풍비박산)*: 사방으로 날아 흩어짐.
"* 伏地不動(복지부동)*: *땅*에 엎드려 움직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주어진 일이나 업무를 처리하는 데 몸을 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몸 #*땅* #안위 #대처 #비유 #일관 #자신 #처리"
* 下氣怡聲(하기이성)*: 기를 낮추고 음성을 부드럽게 한다는 뜻으로, 자식이 *부모*님을 섬기는 도리를 이르는 말.
"* 淸明(청명)*: (1)‘청명하다’의 어근. (2)이십사절기의 하나. 춘분(春分)과 곡우(穀雨)의 *사이*에 들며, 4월 5일
무렵이다."
"* 京華子弟(경화자제)*: 번화한 서울에서 곱게 자란 *젊은*이라는 뜻으로, 주로 부잣집 자녀들을 이르는 말.
#서울 #번화 #*젊은*이 #의미 #자녀 #귀"
"* 權謀術數(권모술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
#책 #일 #달성 #모략 #의미 #그때 #방법 #술 #*수단* #목적"
"* 右往左往(우왕좌왕)*: (1)이리저리 왔다 갔다 하며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을 종잡지 못함. (2)이리저리 왔다 갔다 하며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을 종잡지 못하는 모양."
* 因循姑息(인순고식)*: 낡은 관습이나 폐단을 *벗*어나지 못하고 당장의 편안함만을 취함.
"* 下筆(하필)*: *붓*을 대어 쓴다는 뜻으로, 시나 글을 짓는 것을 이르는 말.
#*붓* #지음"
* 文不加點(문불가점)*: 글에 점 *하나* 더할 것이 없다는 뜻으로, 글이 아주 잘되어서 흠잡을 곳이 없음을 이르는 말.
"* 老萊之戱(노래지희)*: 자식(子息)이 나이가 들어도 *부모*(父母)의 자식(子息)에 대(對)한 마음은 똑같으니 변(變)함없이
효도(孝道)를 해야 한다는 말."
* 綠楊芳草(녹양방초)*: 푸른 버드나무와 향기로운 풀.
"* 心機一轉(심기일전)*: 어떤 동기가 있어 이제까지 가졌던 마음가짐을 버리고 *완전*히 달라짐.
#마음가짐 #근본적 #마음 #생각 #의미 #기능 #근본"
"* 號寒啼饑(호한제기)*: *추위*에 울부짖고 굶주림에 운다는 뜻으로, *추위*와 굶주림에 우는 극빈함을 이르는 말.
#*추위*"
"* 天下萬國(천하만국)*: 세상에 있는 모든 나라.
#나라 #세상"
* 烏有先生(오유선생)*: 세상에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처럼 꾸며 낸 *인물*.
"*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 矛盾(모순)*: (1)어떤 사실의 앞뒤, 또는 두 사실이 이치상 어긋나서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상인이 창과
방패를 팔면서 창은 어떤 방패로도 막지 못하는 창이라 하고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지 못하는 방패라 하여, 앞뒤가 맞지 않은 말을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2)두 가지의 판단, 사태 따위가 양립하지 못하고 서로 배척하는 상태. 두 판단이 중간에 존재하는 것이 없이
대립하여 양립하지 못하는 *관계*로, 이를테면 ‘고양이는 동물이지만 동물이 아니다.’ 따위이다. (3)투쟁 *관계*에 있는 두 대립물이
공존하면서 맺는 상호 *관계*. 논리적 모순과 변증법적 모순이 있는데, 논리적 모순이 사유의 영역에만 존재하는 데 비해 변증법적 모순은
사물, 체계 따위의 객관적 실재에 속하며 모든 운동과 변화, 발전의 근원이 된다. (4)2001년 류석훈이 발표한 안무 작품. 앵벌이
소년의 삶과 죽음을 통해 사회의 모순을 고발한 작품이다."
* 班班可考(반반가고)*: 일의 근거*가* 분명함.
"* 伯夷之廉(백이지렴)*: 백이의 청렴함이라는 뜻으로, 주(周)나라 고죽군(孤竹君)의 두 *아들*인 백이와 숙제(叔齊)가 충절을 위해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충신의 대명사격으로 백이를 표현함.
#충절 #청렴결백 #표현 #백이 #*아들* #나라 #결백 #백 #고사 #충신 #청렴"
"* 暗衢明燭(암구명촉)*: 어두운 거리에 밝은 *등불*이라는 뜻으로, 삶의 가르침을 주는 책을 이르는 말.
#책 #*등불* #거리 #가르침 #삶"
"* 臥治天下(와치천하)*: 누워서 *천하*를 다스린다는 뜻으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순탄하게 *천하*를 다스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순탄 #세계 #태평 #어려움 #*천하* #의미 #다스림"
"* 聚蚊成雷(취문성뢰)*: 모기가 모이면 우레 소리를 낸다는 뜻으로, 작은 모기도 많이 모이면 소리가 우레처럼 들리는 것 같이, 간악한
*무리*들이 모여 하찮은 일을 과장하여 떠들어대면 작은 일도 대단한 일이 되는 간신배들의 참소(讒訴)가 횡행(橫行)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1)*불교*에서,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고 여기는 사상. (2)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 마음가짐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사물 #일 #마음가짐 #마음 #중요 #용어 #*불교* #사상"
"* 沐露(목로)*: (1)이슬에 젖음. (2)모든 일에 고생을 이겨 내며 부지런히 *노력*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이슬 #*노력* #고생 #비유"
"* 灰頭土面(회두토면)*: 머리에 재를 뒤집어쓰고 얼굴에 흙을 칠한다는 뜻으로, 속인(俗人)과 같이 어울려 그 처지에서 말하며 같이
고뇌를 나누어야 한다는 중생 교화를 위한 거리낌 없는 노력의 *의미*."
"* 二寺狗(이사구)*: 두 절의 개라는 뜻으로, 두 절을 왕래하던 개가 양쪽 절을 다니다가 어느 절에서도 밥을 얻어먹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한 사람이 양쪽에 이름을 걸어놓고 다니면 한 가지 일도 제대로 이루지 못한다는 의미.
#일 #이름 #왕래 #개가 #밥 #의미 #양쪽 #절의 #사람"
"* 東家丘(동가구)*: (1)‘공자’의 다른 이름. 공자의 서*쪽* 이웃에 사는 사람이 공자가 훌륭한 인물임을 모르고 ‘동*쪽* 이웃인
구(丘)’라고 불렀다는 데서 유래한다. (2)사람을 알아볼 줄 모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雲雨之情(운우지정)*: 구름 또는 비와 나누는 정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회왕(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이 떠나면서 자기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아침 #*남녀* #아래 #왕 #초나라 #잠자리 #사용 #부인 #의미 #꿈속 #구름 #저녁 #중국 #본래 #고사 #유래 #정교"
"* 下方値換(하방치환)*: 화학(化學) 실험(實驗) 때 발생(發生)하는 무겁고 물에 잘 녹는 기체(氣體)를 관으로 용기(容器) *바닥*에
끌어들이고 공기(空氣)를 내보내는 일.
#일 #발생 #때 #물 #*바닥*"
* 獨守空房(독수공방)*: (1)혼자서 지내는 것. (2)아내가 남편 없이 혼자 지내는 것.
"* 發蒙振落(발몽진락)*: 덮은 것을 *벗*기고, 흔들어 떨어뜨린다는 뜻으로, 덮어씌운 것을 *벗*기고 나뭇잎을 흔들어 떨어뜨리는
것처럼 매우 쉬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나뭇잎 #비유"
"* 赤手成家(적수성가)*: 몹시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제 스스로의 힘으로 *노력*하여 가산(家産)을 이룸.
#살림 #*노력* #집 #맨손 #이룸 #가산 #집안 #가난 #힘 #스스로 #사람"
웃음
"* 象牙婚式(상아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3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상아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풍속 #상아 #의식 #부부 #기념"
"* 掩耳偸鈴(엄이투령)*: 제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1) 얕은 *꾀*로 남을 속이려 하나 아무 소용(所用)이 없음을
이르는 말 (2) 방울 소리가 제 귀에 들리지 않으면 남의 귀에도 들리지 않으리라는 어리석은 생각을 이름."
* 高枕而臥(고침이와)*: 베개를 높이해서 눕는다는 뜻으로, 근심 없이 편히 자는 안심할 수 있는 *상태*를 비유.
덕행
"* 赤眉(적미)*: 붉은 *눈썹*.
#*눈썹*"
"* 下剋上(하극상)*: 계급이나 *신분*이 낮은 사람이 예의나 규율을 무시하고 윗사람을 꺾고 오름.
#아랫사람 #윗사람 #규율 #예의 #무시 #*신분* #의미 #계급 #오름 #과거 #사람"
"* 鏡中美人(경중미인)*: (1)거울에 비친 미인이라는 뜻으로, 실속 없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경우*가 바르고
얌전하다고 하여 서울ㆍ경기 지역 사람의 성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望夫石(망부석)*: *아내*가 멀리 떠난 남편을 기다리다 죽어서 된 돌. 주로 무엇인가를 애타게 기다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른다.
"* 耽讀翫市(탐독완시)*: 한(漢)나라의 왕총은 *독서*(讀書)를 즐겨 서점에 가서 탐독(耽讀)하였음.
#*독서* #나라 #왕"
"* 不患無位(불환무위)*: *지위*가 없음을 근심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자는 벼슬자리에 오르지 못함을 개의치 않는다는 의미.
#벼슬 #개의 #의미 #벼슬자리 #군자 #근심 #*지위* #자리"
나라
"* 牛耳讀經(우이독경)*: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의미 #소용 #사람"
"* 泰極否來(태극비래)*: 편안함이 다하면 비극이 온다는 뜻으로, 안태(安泰)한 좋은 운이 *지극*함에 이르면 이윽고 나쁜
재앙(災殃)의 액운이 온다는 의미.
#*지극* #극도 #비극 #재앙 #의미 #편안 #액운"
* 溪壑(계학)*: (1)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 (2)끝이 없는 욕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若網在綱有條不紊(약망재강유조불문)*: 망(網)은 여러 가닥의 실을 떠서 만들어 풀어지기 쉬우나 한 가닥의 벼리로 위쪽 코를 꿰매면
조금도 흩어지지 않는다는 말."
"* 徙木之信(사목지신)*: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백성을 속이지 않는다는 데서, 백성에 대한 신임을 밝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의 상앙(商鞅)이 법령을 개정하려 할 때, 수도 남문의 큰 *나무*를 북문으로 옮기는 백성에게 상금을 걸었는데, 이를 옮기는
사람이 있자 약속대로 포상하여 법령을 신뢰할 수 있음을 보인 데서 유래한다.
#백성 #일 #말 #신뢰 #위정자 #*나무* #개정 #때 #약속 #나라 #신임 #의미 #중국 #법령 #북문 #유래 #신의 #사람"
* 運否天賦(운부천부)*: 좋은 운명이건 나쁜 운명이건 모두 *하늘*이 내림을 이르는 말.
"* 沐露(목로)*: (1)*이슬*에 젖음. (2)모든 일에 고생을 이겨 내며 부지런히 노력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이슬* #노력 #고생 #비유"
* 反哺(반포)*: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
* 折桂(절계)*: 계수나무의 *가지*를 꺾는다는 뜻으로, 과거에 급제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禮義廉恥(예의염치)*: 예절, *의리*, 청렴,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
#부끄러움 #일 #예의범절 #예의 #일정 #출전 #염치 #*의리* #구분 #정사 #의미 #치욕 #태도 #명백 #선악 #예절 #청렴"
"* 髮短心長(발단심장)*: 늙어 *머리털*은 빠져 짧지만 마음은 길다는 뜻으로, 노인이 지혜가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몸 #일 #마음 #말 #*머리털* #노인 #지혜 #처리"
"* 破顔大笑(파안대소)*: 매우 즐거운 표정으로 활짝 *웃음*.
#표정 #*웃음* #얼굴"
"* 逆風逆水(역풍역수)*: (1)거슬러 부는 바람과 거슬러 흐르는 물. (2)바람을 안고 *물결*을 거스름.
#*물결* #바람 #거스름 #물"
* 昨非今是(작비금시)*: 전날에는 그르다고 *여기*던 것이 오늘에 와서는 옳다고 *여기*게 됨.
"* 三從之禮(삼종지례)*: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 #결혼 #자식 #남편 #예전"
* 相愛之道(상애지도)*: 서로 *사랑*하는 도리.
"* 窮寇勿追(궁구물추)*: 피할 곳 없는 도적을 쫓지 말라는 뜻으로, 곤란한 지경에 있는 사람을 모질게 다루면 해를 입으니 건드리지
말라는 말."
"* 慈悲萬行(자비만행)*: *자비*심을 갖고 행하는 갖가지 수행.
#수행 #행 #갖가지"
* 書不借人(서불차인)*: 책은 남에게 빌려주지 않는다는 말.
"* 下達地理(하달지리)*: 지리(地理)에 대하여 잘 앎.
#땅 #아래 #이치 #지리 #통*달* #앎"
* 天藏地祕(천장지비)*: 하늘과 *땅*속에 감추어져 있다는 뜻으로, 파묻혀서 세상에 알려지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露結爲霜(노결위상)*: 이슬이 맺어 서리가 되니, 밤*기운*(-氣運)이 풀잎에 물방울처럼 이슬을 이룸.
#이슬 #밤 #물방울 #서리 #*기운* #풀잎"
"* 減傷和氣(감상화기)*: 평온하고 즐거운 *기운*이나 분위기를 상하게 함.
#평온 #화 #*기운*"
* 白眼靑眼(백안청안)*: 하얀 눈과 푸른 눈이라는 뜻으로, 흘겨보는 눈초리와 정다운 눈초리를 이르는 *말*.
"* 鷽鳩笑鵬(학구소붕)*: 작은 비둘기가 큰 붕새를 보고 웃는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소인배가 위대한 사람을 몰라보고 비*웃음*을 이르는
말.
#새 #행위 #소인 #언행 #붕새 #이해 #소인배 #비둘기들 #훌륭 #사람"
"* 無將之卒(무장지졸)*: (1)지휘하는 *장수*가 없는 군사. (2)이끌어 갈 지도자가 없는 무리.
#지휘 #군사 #*장수* #주장 #무리"
* 上天下地(상천하지)*: 위에 있는 *하늘*과 아래에 있는 땅이라는 뜻으로, 온 천지(天地)를 이르는 말.
* 傾蓋如故(경개여고)*: 처음 만나 잠깐 사귄 것이 마치 오랜 친구 *사이*처럼 친함.
* 獵色行脚(엽색행각)*: 변태적으로 분*별*없이 여색을 탐하는 행각.
"* 同心同力(동심동력)*: *마음*을 같이하여 힘을 합침.
#의미 #침 #*마음* #힘"
갈래
* 事親以孝(사친이효)*: 세속 오계의 *하나*. 어버이를 섬기기를 효도로써 함을 이른다.
"* 得斧失斧(득부실부)*: 얻은 도끼나 잃은 도끼나 마찬가지라는 뜻으로, 얻고 잃은 것이 같아서 *이익*도 손해도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손해 #*이익* #도끼"
마지막
* 踏覆轍(답복철)*: *복*거지계(覆車之戒).
* 塞翁爲福(새옹위복)*: 한때의 이(利)가 장래(將來)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화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
"* 一以貫之(일이관지)*: (1)하나의 방법이나 *태도*로써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음. (2)모든 것을 하나의 원리로 꿰뚫어 이야기함.
#이치 #출전 #끝 #의미 #*태도* #원리 #방법 #처음"
"* 納粟加資(납속가자)*: 조선 시대에, 흉년이 들거나 병란이 있을 때 많은 *곡식*을 바친 사람에게 공명첩을 주던 일.
#*곡식* #일 #이름 #병란 #시대 #때 #병 #흉년 #벼슬 #조선 #사람"
* 取禍之本(취화지본)*: 재앙을 가져오는 *근본*.
"* 目食耳視(목식이시)*: 눈으로 먹고 귀로 본다는 뜻으로, 맛있는 것보다 보기에 아름다운 음식(飮食)을 좋아하고, 몸에 맞는 것보다
귀로 들은 유행(流行)하는 의복(衣服)을 입음. 곧 외관(外觀)을 위(爲)해서 의식(衣食) 본래(本來)의 *목적*(目的)을 버리고
사치(奢侈)로 흐름을 두고 이르는 말.
#몸 #흐름 #의복 #눈 #두고 #사치 #음식 #의식 #본래 #귀 #*목적*"
* 抱薪救火(포신구화)*: 땔나무를 안고 불을 끈다는 뜻으로, 잘못된 방법으로 해를 막으려다가 *도리*어 더 해롭게 함을 이르는 말.
* 攸好德(유호덕)*: 오복(五福)의 *하나*. 덕을 좋아하여 즐겨 행하는 일을 이른다.
"* 泰山鳴動鼠一匹(태산명동서일필)*: 태산이 떠나갈 듯 요동쳤으나 뛰어나온 것은 쥐 한 마리뿐이라는 뜻으로, 예고는 거창하게 했으나
결과가 보잘것없음을 이르는 말.
#실제 #비유 #요동 #마리 #쥐 #태산 #산 #결과"
"* 兵彊則滅(병강즉멸)*: *군사*가 강하면 멸한다는 뜻으로, *군사*가 강하면 결국 전쟁하기를 즐기고, 결국 마침내 국력이 피폐하여
나라가 망한다는 의미.
#*군사* #결국 #전쟁 #나라 #의미"
"* 自繩自縛(자승자박)*: (1)제 마음으로 번뇌를 일으켜 괴로움을 만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자기의 줄로 자기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기 *자신*이 옭혀 곤란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環顧一世(환고일세)*: 온 세상을 빙 둘러본다는 뜻으로, 세상에 쓸 만한 사람이 없어 찾아 헤맴을 *탄식*하여 이르는 말.
#유능 #*탄식* #인물 #한탄 #세상 #사람"
"* 天數(천수)*: (1)타고난 수명. (2)하늘이 정한 *운명*.
#천명 #하늘 #수명 #*운명*"
"* 河東獅吼(하동사후)*: 황하(黃河)의 *동쪽* 언덕에서 사자(獅子)가 으르렁거린다는 뜻으로, 아내가 사나워서 남편에게 큰 소리로
욕설을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河東獅子吼(하동사자후)].
#황하 #남편 #사자 #욕설 #언덕 #*동쪽* #소리 #비유 #아내"
* 積塵成山(적진성산)*: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 換鵝(환아)*: 글씨를 청해 얻음을 이르는 *말*.
* 案下(안하)*: 책상 *아래*라는 뜻으로, 편지에서 상대편의 이름 밑에 붙여 쓰는 말.
탄식
산
"* 同巧異體(동교이체)*: *재주*나 솜씨는 같지만 표현된 내용이나 맛이 다름을 이르는 말.
#내용 #*재주* #솜씨 #표현 #맛 #형체"
"* 駟不及舌(사불급설)*: 아*무리* 빠른 사마(駟馬)라도 혀를 놀려서 하는 말을 따르지 못한다는 뜻으로, 소문은 순식간에 퍼지는
것이므로 말을 조심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溫恭自虛(온공자허)*: 온화하고 *공손*하며 스스로 겸허하다는 뜻으로, 안색을 부드럽게 하고 행실을 삼가고 겸허하게 스승의 가르침을
받으면서 자기 고집을 하지 않는 일의 의미.
#일 #겸허 #고집 #*공손* #의미 #스승 #온화 #가르침 #행실 #안색"
"* 强近之親(강근지친)*: 아주 가까운 *친척*의 뜻으로, 도움을 줄 만한 아주 가까운 *친척*의 의미.
#일 #도움 #*친척* #의미 #일가"
"* 剪草除根(전초제근)*: 풀을 베고 *뿌리*를 캐내다는 뜻으로, 즉 미리 폐단(弊端)의 근본(根本)을 없애 버림.
#폐단 #버림 #근본 #*뿌리*"
"* 人琴俱亡(인금구망)*: 친구의 죽음을 몹시 슬퍼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진(晉)나라의 왕헌지가 죽자 그가 쓰던 거문고도 가락이
맞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친구 #가락 #죽음 #나라 #거문고 #유래 #사람"
"* 魚水之親(어수지친)*: 물고기와 물처럼 친(親)한 사이라는 뜻으로, (1) 임금과 신하(臣下)의 *친밀*(親密)한 사이 (2) 서로
사랑하는 부부(夫婦) 사이.
#신하 #사랑 #임금 #물 #*친밀* #부부 #사이"
"* 犬馬之忠(견마지충)*: 주인에 대한 개나 말의 *충성*이라는 뜻으로, 신하나 백성이 임금이나 나라에 바치는 *충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주인 #몸 #*충성* #백성 #말 #신하 #임금 #나라"
"* 邯鄲之夢(한단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일생 #허무 #여옹 #침 #인생 #영고성쇠 #메조 #노생 #꿈속 #유래 #인간 #일장춘몽 #부귀영화 #*베개* #동안 #80년 #말 #꿈 #한단 #밥 #영화 #부귀 #잠"
* 同氣一身(동기일신)*: *형제*자매는 한 몸이나 다름없음을 이르는 말.
"* 祝發展(축발전)*: 발전(發展)을 *축하*(祝賀)함.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축하* #발전"
"* 磨斧爲針(마부위침)*: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일 #노력 #의미 #바늘 #도끼 #성공"
"* 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일 #세상"
"* 怒發大聲(노발대성)*: 몹시 노하여 성을 내며 지르는 큰 목*소리*.
#성 #목*소리*"
"* 知難行易(지난행이)*: 알기는 어려워도 행동은 쉽다는 뜻으로, *도리*를 알기는 어려우나, 알기만 하면 이것을 실천하기는 쉽다는
의미인데, 손문의 주장."
"* 言去言來(언거언래)*: (1)말로 옳고 그름을 가리는 *다툼*. (2)말이 가고 말이 온다는 뜻으로, 여러 말이 서로 오고 감을
이르는 말.
#주고 #말 #*다툼* #논쟁 #그름 #변론"
* 顯考(현고)*: (1)예전에, ‘고조부’를 높여 이르던 말. (2)돌아가신 아버지의 신주나 축문 첫*머리*에 쓰는 말.
* 好勝之心(호승지심)*: 남과 겨루어 이기기를 좋아하는 *마음*.
* 迅雷風烈(신뢰풍렬)*: 신속한 번개와 세찬 *바람*이라는 뜻으로, 맹렬한 우레와 세찬 *바람*을 의미함.
"* 黃金時代(황금시대)*: (1)사회의 진보가 최고조에 이르러 행복과 평화가 가득 찬 *시대*. 그리스 사람이 인류의 역사를 금, 은,
청동, 철의 네 *시대*로 나눈 가운데서 첫째의 *시대*를 이르는 말이다. (2)일생에서 가장 번영한 시기. (3)러시아의 작곡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 발레 대본 공모에 당선된 이바노브스키(Ivanovsky, A.)의 시대>의 3막 6장의 발레 음악이다. 초연은
1930년 키로프 극장에서 이루어졌다. (4)16세기 초부터 17세기 말까지 이어진 에스파냐 문학의 전성기. 에스파냐의 국토 회복과
정치적 통일이 이룩되고 신대륙의 발견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것이 그 배경이 되었다. 에스파냐 문학사에서 가장 찬란한 시기로
손꼽힌다.
#국토 #일생 #*시대* #최고 #시절 #문학 #초연 #역사 #작품 #회복 #사회 #가운데 #정치 #에스파냐 #사람 #개인 #금 #문화 #평화 #이룩 #음악 #행복 #그리스 #
첫째 #한창 #말 #진보 #발견 #번영 #사용 #의미 #영화 #배경 #통일 #평생 #황금"
속담 모음
2024년 06월 15일 속담 (16)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