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 전체글 2 티스토리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구글 트렌드
속담 모음

2024년 06월 15일 속담 (9) ⭕️

by 사계절1 2024. 6. 15.




728x90
반응형

* 東海揚塵(동해양진)*: 동해에서 티끌이 날린다는 뜻으로, 바다가 육지로 변하는 것처럼, 세상일의 *변화*가 큼을 이르는 말.
"* 東施效矉(동시효빈)*: 동시(東施), 곧 못생긴 여자(女子)가 서시(西施)의 눈썹 찌푸림을 본받는다는 뜻으로, 시비(是非)나
선악(善惡)의 *판단*(判斷) 없이 남을 흉내냄을 이르는 말. 서시(西施)는 월(越)나라의 미녀.
#여자 #서시 #흉내 #눈썹 #시비 #나라 #*판단* #是非 #선악"
"* 高飛遠走(고비원주)*: 높이 날고 멀리 달린다는 뜻으로, 자취를 감추려고 남이 모르게 멀리 달아남을 이르는 말.
#종적 #자취"
"* 草露人生(초로인생)*: 풀잎에 맺힌 *이슬*과 같은 인생이라는 뜻으로, 허무하고 덧없는 인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슬* #비유 #허무 #풀잎 #인생"
"* 狼子野心(랑자야심)*: (1)이리는 본래의 야성이 있어 좀처럼 길들*여지*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신의가 없는 사람은 쉽게 교화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2)‘낭자야심’의 북한어.
#마음 #말 #이리 #새끼 #때문 #이유 #사용 #비유 #길 #교화 #본래 #신의 #사람"
"* 弩末之勢(노말지세)*: 강한 활로써 쏜 화살이라도 *마지막*에는 힘이 약해진다는 말로, 힘이 아주 약해지고 다 떨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화살 #*마지막* #끝 #비유 #세력 #힘 #활 #형세"
"* 存心養性(존심양성)*: 마음을 간직하고 *성품*을 기른다는 뜻으로, 양심(良心)을 잃지 말고 그대로 간직하여, 하늘이 주신
본성(本性)을 키워 나가는 것을 이르는 말.
#간직 #마음 #본성 #하늘 #*성품* #양심"
"* 同聲異俗(동성이속)*: 사람이 날 때는 다 같은 *소리*를 가지고 있으나, 자라면서 그 나라의 풍속으로 인해 서로 달라짐을 이르는
말."
"* 同病相憐(동병상련)*: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을
이르는 말. ≪오월춘추≫의 에 나온다."
"* 七步之才(칠보지재)*: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동안 #*재주* #글*재주* #조비 #조식 #걸음 #중국 #시인 #일곱 #위나라 #유래 #형"
"* 慼謝歡招(척사환초)*: 심중(心中)의 슬픈 것은 없어지고 *즐거움*만 부른 듯이 오게 됨.
#*즐거움*"
"* 登高自卑(등고자비)*: (1)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오른다는 뜻으로, 일을 순서대로 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2)지위가 높아질수록 *자신*을 낮춤을 이르는 말."
"* 天無淫雨(천무음우)*: 하늘에서 궂은비가 내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태평한 나라나 태평한 *시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대* #태평 #나라 #비유 #하늘"
"* 輔車(보거)*: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라는 뜻으로, 뗄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이르는 말.
#방 #수레*바퀴* #나무 #*바퀴* #관계 #수레 #정도"
"* 採薪之憂(채신지우)*: 땔나무를 할 수 없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병환을 이르는 말. ≪맹자≫의 <*공손*추편>에 나오는 말이다.
#땔나무 #말 #나무 #표현 #병환 #*공손* #병 #사용 #겸손 #근심 #맹자 #자신"
* 富貴多男(부귀다남)*: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아들*이 많음.
"* 頓悟漸修(돈오점수)*: 고려 시대에, 지눌이 주장한 불교의 선(禪) 수행 방법. 무인 정권 시기에 불교 교단을 개혁하기 위하여
주장한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부처가 되려면 진심을 깨닫고,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점진적 #지눌 #시대 #이전 #불교 #정권 #고려 #불 #진심 #사상 #수행 #가운데 #불가 #과정 #국사 #선 #부처 #방법 #깨달음 #의미 #주장 #강조 #개혁"
"* 長長秋夜(장장추야)*: 기나긴 가을*밤*.
#*밤* #가을*밤* #가을"
"* 改過不吝(개과불린)*: *허물*을 고침에 인색(吝嗇)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고침 #*허물* #인색"
"* 回光反照(회광반조)*: 석양빛이 반사한다는 뜻으로, 등불이나 사람의 *목숨*이 다하려고 하는 마지막 한 때에 잠시 기운을 되차리는
일을 의미함.
#빛 #일 #등불 #때 #마지막 #*목숨* #의미 #기운 #사람"
* 同聲相應(동성상응)*: 같은 *소리*끼리는 서로 응하여 울린다는 뜻으로, 같은 무리끼리 서로 통하고 자연히 모인다는 말.
"* 望雲(망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이 타향에서 부모가 계신 *쪽*의
구름을 바라보고 어버이를 그리워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당나라 #타향 #고향 #때 #생각 #비유 #중국 #구름 #어버이 #부모 #객지 #*쪽* #유래"
"* 隱居放言(은거방언)*: 은거하며 살면서 마음속에 품고 있는 생각을 털어놓음.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마음속 #마음 #말 #은거 #거리낌 #속세 #생각 #의미"
"* 三十六宮(삼십육궁)*: 중국 전한(前漢) 때에 궁정에 있었다고 하는 서른여섯 개의 궁전. 제*왕*의 궁전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 博學多才(박학다재)*: 학식이 넓고 *재주*가 많음.
"* 文質彬彬(문질빈빈)*: (1)겉모양의 아름다움과 속내가 서로 잘 어울림. (2)공자가 문학의 내용과 형식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한
주장. 꾸밈과 바탕이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야 군자라고 주장한 것으로, ≪논어≫의 에 나온다."
"* 斗南一人(두남일인)*: 북두칠성의 남쪽에서 제*일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천하에 으뜸가는 훌륭한 인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인물 #천하 #북두칠성 #의미 #현인 #天下 #남쪽 #훌륭 #사람"
"* 杖臺牢上(장대뇌상)*: 감옥(監獄)살이로 *고생*(苦生)하는 신세(身世).
#*고생* #살이 #신세 #감옥"
"* 七去之惡(칠거지악)*: (1)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2)독일 출생의 미국 작곡가 바일의 작품.
샹젤리제의 파리 극장에서 1933년 6월 7일에 초연되었다.
#유교 #악행 #조건 #이름 #음탕 #도둑질 #말썽 #굴레 #초연 #도둑 #여자 #일 #허물 #속박 #작품 #도덕 #사회 #아내 #예전 #과거 #일곱 #파리 #강요 #따위 #
*자식* #말 #이유 #지난날 #병 #명분 #부모 #가치 #행실 #독일 #시부모"
"* 上和下睦(상화하목)*: 위에서 *사랑*하고 아래에서 공경(恭敬)함으로써 화목(和睦)이 됨.
#공경 #화목 #*사랑* #아래"
* 携手同歸(휴수동귀)*: 손을 잡고 같이 간다는 뜻으로, 서로 *행동*을 같이함을 이르는 말.
* 波涌雲亂(파용운란)*: 물결이 용솟음치고, 구름이 어지럽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이 어지럽게 혼란(混亂)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有頭無尾(유두무미)*: 머리는 있어도 꼬리가 없다는 뜻으로, *시작*은 있어도 마침이 없다는 의미나 일이 흐지부지 끝나버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일 #머리 #비유 #*시작* #의미 #꼬리"
"* 見聞覺知(견문각지)*: 눈으로 빛을 보고, 귀로 소리를 듣고, 코ㆍ혀ㆍ몸으로 냄*새*ㆍ맛ㆍ촉감을 감각하고, 뜻으로 법을 아는
육식(六識) 작용. 외경을 식별ㆍ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이르는 말이다."
"* 顔苦孔卓(안고공탁)*: 안회(顔回)는 *공자*(孔子)의 탁월(卓越)함에 미치지 못함을 괴로워함.
#*공자* #孔子 #탁월"
"* 百世之師(백세지사)*: 후세(後世)까지 모든 사람의 *스승*으로 존경을 받을 만한 훌륭한 사람.
#성 #성인 #학문 #의미 #*스승* #백 #후세 #존경 #훌륭 #사람"
"* 草木俱朽(초목구후)*: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이름 #죽음 #초목 #세상"
* 房外犯色(방외범색)*: 자기 아내 이외의 *여자*와 육체관계를 맺음.
"* 大有之年(대유지년)*: 큰 소득이 있는 해라는 뜻으로, 크게 *풍년*(豊年)이 든 해를 의미함.
#의미 #소득 #*풍년*"
장군
"* 子路負米(자로부미)*: 공자(孔子)의 *제자*(弟子)인 子路(자로)는 가난하여 매일(每日) 쌀을 등짐으로 져서 백 리 밖까지
운반(運搬)하여 그 운임(運賃)을 받아 양친(兩親)을 봉양(奉養)했다함.
#봉양 #가난 #*제자* #孔子 #백 #밖 #공자 #쌀"
"* 厚貌深情(후모심정)*: 두터운 외모와 깊은 심정이라는 뜻으로, 진실하게 보이는 외모차람과 숨진 심정을 뜻하거나 또는 외모를 진실하게
꾸며 그 본심을 *깊이* 간직하여 드러내지 아니하는 일을 의미.
#일 #간직 #외모 #의미 #진실 #심정"
"* 窮餘之策(궁여지책)*: 별수가 없어서 겨우 짜낸 해결책.
#의미 #궁 #계책 #상황"
* 一知半解(일지반해)*: 하나쯤 알고 반쯤 깨닫는다는 뜻으로, 지식이 충분히 제 것으로 되어 있지 않거나 많이 알지 못함을 이르는 말.
* 童男童女(동남동녀)*: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斷斷相約(단단상약)*: *서로* 굳게 약속함.
#약속"
도끼
"* 魚爛土崩(어란토붕)*: 물고기가 문드러져 썩고 *흙*이 무너진다는 뜻으로, 물고기가 내장부터 썩고 쌓아 올린 *흙*이 위부터 점점
무너져 내리는 것처럼 나라가 내부로부터 어지러워지고 무너진다는 의미.
#나라 #의미 #내부 #*흙* #내장"
"* 宋襄之仁(송양지인)*: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송나라 양공(襄公)이 초나라를 칠 때, 공자(公子)
목이(目夷)가 적이 포진하기 전에 치자고 청하였으나, 양공이 받아들이지 않고 적이 포진하기를 기다리다가 오히려 대패하여 세상 사람들이
비웃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餘桃之罪(여도지죄)*: 같은 행동(行動)이라도 사랑을 받을 때와 미움을 받을 때가 각기 다르게 받아 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비유*(比喩)하는
말."
* 冬溫夏凊(동온하정)*: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어 효도함을 이르는 말.
독서
"* 懷玉有罪(회옥유죄)*: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귀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훗날 #죄 #분수 #재앙 #*물건* #귀"
"* 自有之情(자유지정)*: 사람이 나면서부터 지니고 있는 정. 인(仁), 의(義), 예(禮), 지(智) 등에 근원을 둔 정을 이른다.
#근원 #사람"
* 大經大法(대경대법)*: 공명정*대한* 큰 원리와 법칙.
* 夫唱婦隨(부창부수)*: 남편이 주장하고 아내가 이에 잘 따름. 또는 *부부* 사이의 그런 도리.
* 天下之分(천하지분)*: *세상*의 명분(名分).
"* 山面分陰陽水聲易淺深(산면분음양수성이천심)*: 산면은 그늘과 볕을 나누고, 물소리는 얕고 깊음을 바*꿈*.
#산 #볕 #그늘"
"* 三顧草廬(삼고초려)*: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 此日彼日(차일피일)*: 이 날 저 날 하고 자꾸 기한을 미루는 *모양*.
* 事情事情(사정사정)*: 남에게 자신의 딱한 일의 형편이나 까닭을 간곡히 하소연하거나 비는 *모양*.
* 赤手單身(적수단신)*: 맨손과 홀*몸*이라는 뜻으로, 재산도 없고 의지할 데도 없는 외로운 *몸*을 이르는 말.
* 開門揖盜(개문읍도)*: 문을 열어 도둑을 맞이한다는 뜻으로, *상황*을 깨닫지 못하고 스스로 화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 破甑不顧(파증불고)*: 깨진 시루는 돌아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이미 깨진 그릇은 어쩔 수 없듯이 돌이키거나 만회할 수 없는 일을
아쉬워하거나 애통해 할 필요가 없이 단념한다는 *의미*."
"* 師嚴道尊(사엄도존)*: *스승*이 엄하면 자연(自然)히 가르치는 도(道)도 존엄(尊嚴)해짐을 이르는 말.
#*스승* #자연"
* 聰明好學(총명호학)*: 재주가 있고 영리하며 *학*문을 좋아함.
"* 忠則盡命(충칙진명)*: 충성(忠誠)함에는 곧 *목숨*을 다하니 임금을 섬기는 데 몸을 사양(辭讓)해서는 안됨.
#몸 #충성 #안됨 #임금 #*목숨* #사양"
"* 手握汗(수악한)*: 불끈 쥔 손바닥에서 땀이 난다는 뜻으로, 위험한 광경이나 사건의 추이를 보고 두렵고 위급하여 *자신*도 모르게
몸이 긴장됨을 이르는 말.
#몸 #손바닥 #사건 #위험 #땀 #위급 #*자신*"
"* 絶體絶命(절체절명)*: 몸도 목숨도 다 되었다는 뜻으로, 아*무리* 하여도 별다른 도리가 없는 어찌할 수 없는 궁박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山川依舊(산천의구)*: 경치(景致)가 옛 모습 그대로 변(變)하지 않음.
#경치 #모습"
"* 雷歎(뇌탄)*: *탄식*(歎息)하는 소리가 우레와 같다는 뜻으로, 크게 *탄식*(歎息)함.
#*탄식* #우레 #소리"
"* 浩然之氣(호연지기)*: (1)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 ≪*맹자*≫ 의 상편에 나오는 말이다. (2)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
#처음 #천지간 #사이 #일 #강 #공손 #도덕 #자유 #땅 #원리 #하늘 #뿌리 #마음 #말 #도의 #기운 #공명정대 #*맹자* #근거 #기개 #도덕적 #조금"
"* 屠門大嚼(도문대작)*: 조선 *시대*에, 허균이 전국 팔도의 식품과 명산지에 관하여 적은 책.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식품
전문서이다. 1권.
#책 #흉내 #집 #팔도 #앞 #*시대* #전국 #실현 #상상 #입 #문서 #나라 #의미 #우리 #조선 #유쾌 #우리나라"
"* 鳥爲食死(조위식사)*: 새가 좋은 *먹이*를 찾다가 목숨을 잃는다는 뜻으로, 욕심(慾心) 때문에 몸을 망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몸 #새 #욕심 #때문 #목숨 #*먹이* #비유"
* 每人悅之(매인열지)*: 모든 사람의 *마음*을 기쁘게 함.
"* 宜家之樂(의가지락)*: 부부 사이의 화목한 즐거움.
#식구 #즐거움 #집안 #끼리 #부부 #화목 #부부사이 #사이"
* 虎父無犬子(호부무견자)*: 아비가 범인데 새끼는 개일 수 없다는 뜻으로, 훌륭한 아버지 밑에 못난 *자식*이 없음을 이르는 말.
"* 膠漆之交(교칠지교)*: 아주 친밀하여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교분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시인*인 백거이가 친구
원미지(元微之)에게 보낸 편지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교분 #친구 #중국 #*시인* #친밀 #유래 #사이"
"* 千慮一失(천려일실)*: 천 번 *생각*에 한 번 실수라는 뜻으로, 슬기로운 사람이라도 여러 가지 *생각* 가운데에는 잘못되는 것이
있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蚌鷸之爭(방휼지쟁)*: 도요새가 조개와 다투다가 다 같이 어부에게 잡히고 말았다는 뜻으로, 대립하는 두 세력이 다투다가 결국은
구경하는 다른 사람에게 득을 주는 싸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綠林(록림)*: (1)푸른 숲. (2)화적이나 도둑의 소굴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말 왕광(王匡), 왕봉(王鳳) 등 망명자가
녹림산에 숨어 있다가 도둑이 되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3)‘녹림’의 북한어.
#*후한* #산 #말 #왕 #유래 #화 #중국 #도둑"
"* 死僧習杖(사승습장)*: 죽은 *승려*의 볼기를 친다는 뜻으로, 저항할 힘이 없는 사람에게 폭행을 가하거나 위엄을 부림을 이르는 말.
#위엄 #*승려* #비유 #폭력 #힘 #사람"
"* 蝨處頭而黑(슬처두이흑)*: 흰 이도 *머리* 속에 있으면 검다는 뜻으로, 사람도 사귀는 사람에 따라 성질이 달라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사람 #성질 #*머리* #비유"
* 擧世皆濁(거세개탁)*: 온 세상이 다 흐리다는 뜻으로, *지위*(地位) 고하(高下)를 막론하고 모든 사람이 다 바르지 않다는 의미.
"* 掀天動地(흔천동지)*: 온 세상을 쳐들어 움직인다는 뜻으로, 소리가 커서 천지를 뒤흔들만할 *정도*로, 천지가 뒤흔들리게
기세(氣勢)를 크게 떨침을 이르는 말."
"* 堅石白馬(견석백마)*: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문인 공손룡이 논한 궤변. 단단하고 흰 *돌*은 눈으로 보아 흰 것은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아 단단한 것은 알 수 있으나 빛이 흰지는 모르므로, 단단한 *돌*과 흰 *돌*은 동시에 성립하는
개념이 아니라고 하였다."
"* 冶家無食刀(야가무식도)*: 대장간에서 식칼이 논다는 뜻으로, 생활에 쫓겨 남의 바라지만 하고 정작 제 집엔 등한시한다는 의미나,
마땅히 흔해야 할 곳에 도리어 그 *물건*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황을 이르는 의미를 지닌 한역(漢譯) 속담."
"* 獨學孤陋(독학고루)*: *스승*이 없이, 또는 학교에 다니지 아니하고 혼자서 공부한 사람은 견문이 넓지 못하여 생각이 좁고 천박함을
이르는 말.
#공부 #천박 #혼자 #생각 #견문 #*스승* #식견 #사람"
* 無識所致(무식소치)*: 아는 것이 없는 까*닭*.
"* 朝夕供養(조석공양)*: 아침*저녁*으로 웃어른께 음식을 드림.
#아침 #웃어른 #*저녁* #음식 #인사 #아침*저녁*"
"* 無上之道(무상지도)*: ‘불도’를 달리 이르는 말.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도라 하여 이렇게 이른다.
#나위 #불도 #불 #*무상* #도라 #훌륭"
"* 結髮夫婦(결발부부)*: 총각과 처녀가 혼인하여 맺은 *부부*.
#혼인 #끼리 #*부부* #처녀 #총각"
"* 無我夢中(무아몽중)*: 자기를 모르고 *꿈*속에 있는 것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 외곬으로 쏠리거나 넋을 잃어 자기도 모르게 행동하는
지경을 이르는 말.
#사물 #마음 #열중 #*꿈*속 #지경 #행동 #넋"
"* 漆室之憂(칠실지우)*: 자기 분수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서 신분이 낮은 여자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를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칠실 #여자 #일 #방 #고을 #분수 #신분 #끝 #*나라* #중국 #걱정 #고사 #근심 #노*나라* #근심함 #유래 #마을"
* 直系卑屬(직계비속)*: 자기로부터 직계로 이어져 내려가는 혈족. *아들*, 딸, 손자, 증손 등을 이른다.
"* 白魚入舟(백어입주)*: 적이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강을 건널 때,
백어가 배에 뛰어들어 은*나라*가 항복할 조짐을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白)은 은*나라*를 상징하는 빛깔이었다."
"* 涸轍鮒魚(학철부어)*: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에 있는 붕어라는 뜻으로, 매우 위급한 *처지*에 있거나 몹시 고단하고 옹색한 사람을
이르는 말.
#물속 #수레바퀴 #곤궁 #곤경 #위급함 #물 #인물 #비유 #자국 #물의 #위급 #절박 #붕어 #사람"
"* 江風明月(강풍명월)*: 강가의 바람과 하늘의 밝은 달의 뜻으로, *자연*(自然)의 풍광(風光)을 의미.
#풍광 #달 #바람 #의미 #*자연* #하늘"
* 名面各知(명면각지)*: 같은 사람인 줄 모르고 이름은 이름대로 *얼굴*은 *얼굴*대로 따로따로 앎.
"* 邂逅相逢(해후상봉)*: 오랫*동안* 헤어졌다가 우연히 서로 다시 만남.
#누구 #만남"
"* 金城湯池(금성탕지)*: 쇠로 만든 성과, 그 둘레에 파 놓은 뜨거운 물로 *가득* 찬 못이라는 뜻으로, 방어 시설이 잘되어 있는
성을 이르는 말. ≪한서≫의 에 나오는 말이다."
* 道不同不相爲謀(도부동불상위모)*: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道理)를 달리 하는 사람과는 서로 의논(議論)하지도 말라는 말.
"* 草莽之臣(초망지신)*: 벼슬을 하지 않고 초야에 묻혀 사는 사람.
#백성 #풀숲 #신하 #초야 #벼슬 #스스로 #사람"
"* 白龍魚服(백룡어복)*: (1)흰 용이 *물고기*의 옷을 입었다는 뜻으로, 신분이 높고 귀한 사람이 남 모르게 나다님을 이르는 말.
(2)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남모르게 나다니다가 뜻하지 않게 욕을 봄을 이르는 말. 신령스러운 흰 용이 *물고기*로 변하여 다니다가
어부의 그물에 잡혔다는 데서 유래한다.
#옷 #어부 #때문 #위태 #신분 #신령 #비유 #욕 #용 #지경 #봄 #지위 #모습 #그물 #유래 #귀 #사람"
* 三餘(삼여)*: *책*을 읽기에 적당한 세 가지 한가한 때. 겨울, 밤, 비가 올 때를 이른다.
"* 兄弟和睦父母喜之(형제화목부모희지)*: 형과 아우가 화목(和睦)하면 부모(父母)님이 기뻐하심.
#화목 #형 #부모 #아우"
"* 烏飛梨落(오비이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뜻으로, 아무 관계도 없이 한 일이 공교롭게도 때가 같아 억울하게 의심을
받거나 난처한 위치에 서게 됨을 이르는 말.
#일 #배 #관련 #때 #관계 #*까마귀* #공교 #비유 #위치 #의심 #혐의"
"* 罷市(파시)*: 중국에서, 도시의 상인이 일제히 가게를 닫고 매매를 중지하는 일. 중국 진(晉)나라의 양호(羊祜)가 형주(荊州)
도독으로 재임하던 중 죽자, 백성들이 그를 추모하여 시장을 열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堂構之樂(당구지락)*: 집안의 사업을 하는 즐거움이라는 뜻으로, 아들이 *아버지*의 사업을 계승하여 이루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 咳唾成珠(해타성주)*: 기침과 침이 다 구슬이 된다는 뜻으로, 권세가(權勢家)를 형용하거나 일언일구(一言一句)가 다 귀중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혹은 시문(詩文)의 *재주*가 뛰어남을 형용하기도 함. 〔= 月章星句(월장성구)〕."
"* 沙中偶語(사중우어)*: 모래땅 위에서 남모르게 주고받는 말이라는 뜻으로, 신하가 몰래 모반(謀反)하려고 *계책*을 꾸미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한고조(漢高祖)가 공신 이십여 명에게 큰 벼슬을 주자, 벼슬을 받지 못한 다른 여러 장수가 모래땅에 모여 모반을
의논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의논 #말 #신하 #꾀 #장수 #모반 #공신 #중국 #*계책* #벼슬 #유래 #고조"
가득
* 貪多務得(탐다무득)*: 많은 것을 얻으려고 애써 *노력*함.
* 阿碌碌地(아록록지)*: 사실(事實)과 *이치*(理致)가 원만(圓滿)하여 완전 무애(宛轉無礙)한 것을 이르는 말.
"* 見聞覺知(견문각지)*: 눈으로 빛을 보고, 귀로 소리를 듣고, 코ㆍ혀ㆍ몸으로 냄새ㆍ맛ㆍ촉감을 감각하고, 뜻으로 법을 아는
육식(六識) 작용. 외경을 식*별*ㆍ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이르는 말이다."
"* 溫凊定省(온정정성)*: 자식이 효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도리.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하며, 저녁에는 *자리*를
편히 마련하고, 아침에는 안부를 여쭙는 일을 이른다."
"* 郎廳坐起(낭청좌기)*: (1)‘낭청좌기’의 북한어. (2)낭청이 관아에서 가장 높은 *벼슬*에 있는 사람이 되어 일을 시작한다는
뜻으로, 아랫사람이 하는 처사가 윗사람보다 더 지독하고 심함을 이르는 말."
* 嫡母(적모)*: 서자가 *아버지*의 정실을 이르는 말.
* 齒髮不長(치발부장)*: 젖니를 다 갈지 못하고 *머리*는 다박*머리*라는 뜻으로, 아직 나이가 어림을 이르는 말.
* 耳目口鼻(이목구비)*: 귀ㆍ눈ㆍ입ㆍ코를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귀ㆍ눈ㆍ입ㆍ코를 중심으로 한 *얼굴*의 생김새.
"* 半面美人(반면미인)*: 측면에서 *얼굴*의 한쪽 면만을 그린 미인의 그림.
#옆 #쪽 #미인 #*얼굴* #그림 #모습 #한쪽"
"* 連理枝(련리지)*: (1)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 (2)화목한 부부나 남녀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연리지’의 북한어.
#화목 #남녀 #*나무* #비유 #연리지 #서로 #부부 #통 #사이"
* 奇謀秘計(기모비계)*: 기이하고 신비한 謀略(모략)의 뜻으로, 유*별*나서 신묘하고 신비스러운 계략의 의미.
"* 鼻頭出火(비두출화)*: 코끝에서 불을 뿜는다는 뜻으로, 곧 *기세*가 몹시 성함을 비유하는 말.
#성함 #불 #*기세* #비유"
"* 花發多風雨(화발다풍우)*: 꽃이 피면 비*바람*이 많다는 뜻으로, 꽃샘추위의 비*바람*이 꽃을 떨어뜨리듯이, 인간 세상의 만사가
마음대로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紅裙(홍군)*: 붉은 치마란 뜻으로, ‘*미인*’이나 ‘예기’를 이르는 말.
#치마 #*미인* #빛깔"
"* 孟母斷機(맹모단기)*: 맹자가 학업을 중단하고 *돌*아왔을 때에, 그 어머니가 짜던 베를 잘라서 학문을 중도에 그만둔 것을 훈계한
일을 이르는 말."
"* 拔山蓋世(발산개세)*: 힘은 *산*을 뽑을 만큼 매우 세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큼 웅대함을 이르는 말.
#기력 #웅대 #비유 #기운 #기개 #기상 #힘 #*산* #세상"
* 大王大妃(대왕대비)*: 살아 있는, 전전 임금의 비(妃). 주로 *왕*의 할머니를 이르는 말이다.
"* 自唱自和(자창자화)*: (1)스스로 거문고를 타며 *노래*를 부름. (2)자기가 *노래*하고 자기가 화답함. (3)남을 위하여
자기가 마련한 것을 자기가 이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莫嚴之地(막엄지지)*: 더할 바 없이 엄숙한 곳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앞이나 *임금*이 거처하는 곳을 이르는 말.
"* 山呼萬歲(산호만세)*: 나라의 중요 의식에서 신하들이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하여 두 손을 치켜들고 만세를 부르던 일. 중국
한나라 무제가 쑹산산(嵩山山)에서 제사 지낼 때 신민(臣民)들이 만세를 삼창한 데서 유래한다."
* 媒合容止(매합용지)*: 남녀 간에 관계를 갖도록 다리를 놓아 주고 자기 집에 같이 머무르게 함.
* 不得其所(부득기소)*: 좋은 소질과 충분한 실력을 가지고도 *알*맞은 지위를 얻지 못함.
"* 兩鳳連飛(양봉연비)*: 두 *마리* 봉황이 나란히 난다는 뜻으로, 형제가 같이 영달(榮達)함을 이르는 말.
#제비 #영달 #봉황 #*마리* #형제"
"* 快犢破車(쾌독파거)*: 기세 좋은 송아지가 *수레*를 깨뜨린다는 뜻으로, 기세 좋은 송아지는 흔히 끄는 *수레*를 부서뜨리는 것처럼
장래에 큰일을 하려는 젊은이는 스스로를 경계해야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말 #기세 #성질 #소년 #난폭 #젊은이 #비유 #인물 #경계 #*수레* #장래 #큰일 #가능성 #스스로"
"* 蟹網具失(해망구실)*: 게도 그물도 다 잃었다는 뜻으로, *이익*(利益)을 보려다 도리어 밑천까지 잃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밑천 #그물 #*이익* #비유"
"* 風雨大作(풍우대작)*: *바람*이 몹시 불고 비가 많이 쏟아짐.
#*바람*"
"* 源淸流淸(원청유청)*: 근원 물이 맑으면 흐르는 물도 맑다는 뜻으로, 윗물이 맑으면 아랫물이 맑듯이 윗사람이 *청렴*하면 아랫사람도
*청렴*해짐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
#근원 #아랫사람 #윗사람 #아랫물 #물 #비유 #*청렴*"
* 自力回向(자력회향)*: 자신이 얻은 수행의 공덕을 *남*에게 베풀어서 과보(果報)를 얻으려는 일.
"* 若告西適不復東往(약고서적불부동왕)*: 만약 서쪽으로 간다고 아뢰었으면 다시 *동쪽*으로 가지 않음.
#서쪽 #*동쪽*"
"* 榮枯一炊(영고일취)*: 인생이 *꽃*피고 시드는 것은 한번 밥짓는 순간같이 덧없고 부질없음을 이르는 말.
#한번 #순간 #인생 #밥"
* 拔地倚天(발지의천)*: *땅*에서 빼어나 하늘에 닿았다는 뜻으로, 시문(詩文) 등이 뛰어나고 웅대함을 비유하는 말.
* 鈍馬(둔마)*: (1)*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말. (2)느리고 둔한 말.
"* 土崩瓦解(토붕와해)*: 흙이 무너지고 기와가 깨진다는 뜻으로, 어떤 조직이나 사물이 손을 쓸 수 없을 *정도*로 무너져 버림을
이르는 말."
"* 任重道遠(임중도원)*: 맡은 책임은 무겁고 이를 *수행*할 길은 멂.
#책 #길 #의미 #책임 #*수행*"
* 百年同樂(백년동락)*: 부부가 되어 한평생을 같이 살며 함께 즐거워함.
"* 溫恭自虛(온공자허)*: 온화하고 공손하며 스스로 겸허하다는 뜻으로, 안색을 부드럽게 하고 행실을 삼가고 겸허하게 *스승*의 가르침을
받으면서 자기 고집을 하지 않는 일의 의미."
"* 落榜擧子(낙방거자)*: (1)‘낙*방*거자’의 북한어. (2)과거에 떨어진 선비. (3)어떤 일에 참여하려다가 제외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行遠必自邇(행원필자이)*: 아*무리* 먼 길도 반드시 가까운 곳에서부터 시작(始作)됨.
#길 #시작"
* 百擧百捷(백거백첩)*: 백 번 들어 백 번 다 빠르게 하다는 뜻으로, 온갖 일이 다 뜻대로 잘 되어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反哺之孝(반포지효)*: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孝)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를 갚는 효성을 이르는 말.
#자식 #봉양 #새끼 #효성 #까마귀 #비유 #먹이 #어미 #어버이 #부모 #갚음 #*은혜*"
"* 夫婦之情(부부지정)*: *남편*과 아내 사이의 애정(愛情).
#애정 #부부 #*남편* #아내 #사이"
"* 年末年始(년말년시)*: (1)한 해의 마지막 때와 새해의 *첫머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2)‘연말연시’의 북한어.
#때 #마지막 #*첫머리* #새해"
* 私其飮食禽雖之類(사기음식금수지류)*: 형제(兄弟) 간(間)에 음식(飮食)을 사사(私事)로이 한다면 새나 짐승의 무리와 같음.
"* 時和年豊(시화연풍)*: 때가 화하여 해가 풍요롭다는 뜻으로, 기후가 순조로워 풍년이 든다는 의미. 보통 나라가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는 의미의 입춘첩(立春帖)으로 많이 사용됨.[= 時和歲豊]."
"* 銅婚式(동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1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구리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축하 #구리 #풍속 #혼인 #*의식* #부부 #기념"
* 吹恐飛執恐虧(취공비집공휴)*: 불면 날아갈까 쥐면 터질까 걱정한다는 뜻으로, *부모*(父母)가 자식(子息)을 애지중지함을 이르는 말.
"* 亡羊補牢(망양보뢰)*: 양을 잃고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이미 어떤 일을 *실패*한 뒤에 뉘우쳐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
원래는 양을 잃은 뒤에 우리를 고쳐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실패*해도 빨리 뉘우치고 수습하면 늦지 않는다는 말로 쓰였으나
현재는 주로 이와 같이 쓰이고 있다.
#일 #말 #원래 #양 #*실패* #비유 #소용 #우리 #대비 #속담 #외양간 #수습"
여지
"* 三省(삼성)*: (1)매일 세 번 자신을 반성함. (2)의정부, 사헌부, 의금부의 관원들이 합좌하여 패륜을 범한 죄인을 국문하던
일. (3)만주 지린성 북부에 있는 개*시장*(開市場). 무단강과 쑹화강이 만나는 곳에 있으며 잡곡, 목재, 소가죽 따위의 집산지이다.
⇒규범 표기는 ‘싼성’이다. (4)고려 시대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5)중국
당나라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6)발해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대성, 선조성, 정당성을 이른다.
#기관 #당나라 #시대 #최고 #때 #관원 #여부 #하루 #일 #강 #소가죽 #고려 #*시장* #패륜 #가죽 #성 #선 #규범 #기능 #자신 #정당 #선악 #따위 #죄인 #반성 #
중국 #선조"
"* 男欣女悅(남흔여열)*: 부부 사이가 화평하고 *즐거움*.
#남녀 #화 #*즐거움* #부부 #사이"
"* 敗柳殘花(패류잔화)*: 잎이 다 떨어진 버드*나무*와 시든 꽃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움을 잃은 미인이나 권세를 잃은 실력자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兩相和賣(양상화매)*: 파는 쪽과 사는 쪽이 *서로* 잘 의논하여서 물건을 팔고 삼.
#양편 #의논 #흥정 #양보 #의미 #물건 #화합 #쪽"
세계
"* 舍車而徒(시거이도)*: 수레를 버리고 걸어간다는 뜻으로, 불의(不義)의 지위를 버리고 청빈(淸貧)에 *만족*함을 이르는 말.
#*만족* #불의 #불 #수레 #지위 #*만족*함 #청빈"
"* 身外無物(신외무물)*: 몸 외에 다른 것이 없다는 뜻으로, 다른 어떤 것보다도 몸이 가장 귀하다는 말.
#몸 #의미 #이외 #소중 #무엇 #자신"
"* 草木皆兵(초목개병)*: (1)적을 두려워한 나머지 초목이 모두 적군으로 보인다는 뜻으로, 몹시 놀라서 두려워하며 의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군사의 수효가 너무 많아 산야에 가득 찬 *상태*."
"* 畵虎不成(화호불성)*: 범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서투른 솜씨로 남의 언행(言行)을 흉내내려 하거나, 어려운
특수(特殊)한 일을 하려다가 *도리*어 잘못됨의 비유(比喩).
#일 #솜씨 #흉내 #범 #잘못 #비유 #언행"
"* 三從之托(삼종지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不知不識間(부지불식간)*: 생각하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는 사이.
"* 築室道謀(축실도모)*: 집을 짓는데 길손에게 묻는다는 뜻으로, 집을 지으면서 길가는 사람들에게 방*법*을 물으니 사람마다 딴소리를
하여 집을 완성하지 못했다는 것에서, 쓸데없는 의논을 하여 실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蓬室(봉실)*: (1)쑥으로 지붕을 인 집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2)*자기* 집을 낮추어 이르는 말.
"* 朝聞道夕死可矣(조문도석사가의)*: *아침*에 천하(天下)가 올바른 정도(正道)로 행(行)해지고 있다는 말을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뜻으로, 사람이 참된 이치(理致)를 깨달으면 당장 죽어도 한(恨)이 없다는 뜻으로 쓰이며, 짧은 인생(人生)을 값있게 살아야
한다는 의미(意味).
#*아침* #말 #행 #이치 #천하 #의미 #저녁 #天下 #당장 #정도 #인생 #사람"
"* 泰山鴻毛(태산홍모)*: 태*산*과 기러기 터럭이라는 뜻으로, 물건의 무거움을 비유하는 ‘泰山’과 물건의 가벼움을 비유하는 ‘鴻毛’를
이르는 말."
"* 父母惡之懼而勿怨(부모오지구이물원)*: *부모*(父母)님께서 미워하시더라도 두려워하여 원망(怨望)하지 말아야 함.
#원망 #*부모*"
* 五日一石(오일일석)*: 닷새에 한 *돌*을 그린다는 뜻으로, 명공(名工)이 애쓰며 소홀히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一字千金(일자천금)*: 글자 *하나*의 값이 천금의 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글씨나 문장이 아주 훌륭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 여불위가 ≪여씨춘추≫를 지어 셴양(咸陽)의 성문에 놓아두고, 내용 가운데 한 글자라도 첨삭(添削)하는 사람이 있다면 천금을
주겠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 俟河淸(사하청)*: 언제나 흐려서 누런 *황하*(黃河)의 물이 맑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될성부르지 않은 일을 기대(期待)함을 이름.
#일 #이름 #*황하* #성 #물"
"* 堅如盤石(견여반석)*: 기초가 반석처럼 *튼튼*함을 이르는 말.
#반석 #*튼튼* #기초"
* 傾城之色(경성지색)*: 성을 기울게 할 정도의 *미인*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 金玉君子(금옥군자)*: 몸가짐이 단정하고 점잖으며 지조가 굳은 사람을 이르는 말.
"* 百壽百福(백수백복)*: (1)긴 수명과 온갖 복. (2)여러 *가지*의 전자(篆字)로 써 놓은 ‘壽福’ 글자. 수복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게문이나 두껍닫이 따위에 써 붙였다."
"* 邪慾偏情(사욕편정)*: 바른 *도리*에 어긋나는 온갖 정욕. 음욕, 방종 따위를 이른다.
#그릇 #따위 #욕"
"* 呂翁枕(여옹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때 #여옹 #인생 #생활 #사이 #메조 #비유 #노생 #년간 #유래 #도사 #소년 #베개 #말 #꿈 #한단 #밥 #영화 #중국 #잠 #고사"
"* 螳螂在後(당랑재후)*: 눈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뒤에 닥친 위험을 깨닫지 못함을 이르는 말.
#*이익* #욕심 #눈 #참새 #눈앞 #위험 #정신 #생각 #입 #비유 #사마귀 #구멍 #재화 #매미 #해"
"* 剛腸(강장)*: 굳센 창자라는 뜻으로, 굳세고 굽히지 않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창자 #말 #비유 #마음"
"* 淸貧樂道(청빈락도)*: (1)청렴결백하고 가난하게 사는 것을 옳은 것으로 *여기*고 즐김. (2)‘청빈낙도’의 북한어.
#청렴결백 #결백 #가난 #청빈 #청렴"
* 內爭(내쟁)*: 한 나라나 같은 집단 안에서 서로 *싸움*. 또는 그렇게 하는 *싸움*.
"* 池魚之殃(지어지앙)*: 못의 물고기에 미치는 *재앙*이라는 뜻으로, 제삼자가 엉뚱하게 재난을 당함을 이르는 말. 성문(城門)에 난
불을 끄려고 못의 물을 전부 퍼 온 탓으로 그 못의 물고기가 말라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難化之物(난화지물)*: 교화하기 어려운 동*물*이나 사람.
* 沙上樓閣(사상누각)*: 모래 위에 세운 누각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할 일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
"* 三槐(삼괴)*: ‘삼공’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때에 조정의 뜰에 세 그루의 회화*나무*를 심고 삼공이 이를 향하여
앉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주나라 #말 #*나무* #향 #그루 #때 #이것 #조정 #삼공 #중국 #유래"
"* 百里負米(백리부미)*: 백 리를 쌀을 지고 간다는 뜻으로, 공자(孔子)의 *제자* 자로(子路)가 어버이를 위하여 백 리나 떨어진
곳에 쌀을 지고 간 고사에서 가난한 가운데서 효양(孝養)함을 비유하는 말.
#가난 #비유 #*제자* #孔子 #백 #어버이 #공자 #쌀 #고사 #가운데"
"* 首邱初心(수구초심)*: 언덕에 머리를 향한 처음 마음이라는 뜻으로,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본디 살던 언덕 쪽으로 두고 죽는다는
데서 근본을 잊지 않거나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의 의미.
#마음 #처음 #고향 #*여우* #때 #머리 #언덕 #의미 #근본 #쪽"
"* 燈火之喜(등화지희)*: 등*화가* 핀 기쁨이라는 뜻으로, 등*화가* 생기면 길사(吉事)가 있을 조짐이라는 의미.
#의미 #조짐 #등화 #기쁨"
"* 陶走猗頓(도주의돈)*: 도주(陶走)와 의돈(猗頓)과 같은 큰 부자라는 뜻으로, 막대(莫大)한 *재산*(財産)이나 돈이 많은 부자를
이르는 말.
#돈 #도주 #의도 #부자 #*재산*"
"* 兵貴神速(병귀신속)*: *군사*를 지휘함에는 귀신같이 빠름을 귀히 여긴다는 뜻으로, *군사* 행동은 언제나 신속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지휘 #*군사* #말 #신속 #행동 #귀신"
"* 錢本糞土(전본분토)*: 돈은 본래 똥을 섞은 *흙*이라는 뜻으로, 돈은 원래 썩은 인분(人糞)처럼 천한 것이라는 의미.
#원래 #돈 #똥 #본래 #의미 #*흙*"
"* 生動生動(생동생동)*: *기운*(氣運)이 꺾이지 않고 본디의 *기운*(氣運)이 아직도 남아 생생한 모양.
#*기운* #본디 #모양"
"* 七寶紅顔(칠보홍안)*: 여러 가지 패물로 꾸민 젊은 *여인*의 고운 얼굴.
#미인 #보석 #아름 #*여인* #치장 #일곱 #단장 #보물 #형상 #얼굴"
"* 未成一簣(미성일궤)*: 산을 만들 때에 마지막 한 삼태기를 덜 얹어 산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뜻으로, 마지막 노력을 소홀히 하면
*일*이 실패함을 이르는 말.
#*일* #노력 #완성 #실패함 #때 #마지막 #실패 #비유 #흙 #산"
"* 百川學海(백천학해)*: 중국 송나라 때에, 좌규(左圭)가 편집한 총서. 수필, 서화, *시문*, 시화, 박물 따위에 관한 단편의
글이 100여 종의 책에 수록되어 있다. 1273년에 완성하였다. 177권.
#책 #따위 #이름 #강 #냇물 #완성 #학문 #때 #물 #비유 #자세 #중국 #송나라 #시내 #*시문* #사람"
"* 孤根弱植(고근약식)*: 외로운 뿌리, 약한 식목이라는 뜻으로, *친척*이나 돌보는 사람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사람 #비유 #*친척* #일가 #뿌리"
* 面看交代(면간교대)*: 서로 마주 보는 *자리*에서 사무를 넘겨주고 넘겨받음.
"* 車水馬龍(거수마룡)*: 수레들은 흐르는 물과 같고 말의 움직임은 하늘을 오르는 용과 같다는 뜻으로, 수레와 말의 왕래(往來)가 많아
매우 떠들석한 상황. 즉, 행렬(行列)이 성대(盛大)한 *모양*(模樣)을 말함."
"* 事師如親必敬必恭(사사여친필경필공)*: 스승 섬기기를 어버이 섬기듯하여 반드시 *공경*(恭敬)하고 반드시 공손(恭遜)하게 하여야 함.
#*공경* #스승 #공손 #어버이"
* 獻壽(헌수)*: 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 專房之寵(전방지총)*: 여러 첩 *가운데*에서 어느 한 첩에게 가장 많이 쏟는 사랑.
"* 公卿大夫(공경대부)*: 삼공과 구경, 대부를 아울러 이르는 말.
#대부 #의미 #삼공 #벼슬 #구경 #사람"
* 鷄鳴狗吠相聞(계명구폐상문)*: *닭*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인가(人家)가 잇대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指不勝屈(지불승굴)*: 수*효*가 너무 많아서 손꼽아 다 셀 수 없음.
* 父在母喪(부재모상)*: *아버지*는 살아 있고 어머니가 먼저 죽음. 또는 그런 상사(喪事).
"* 無間阿鼻(무간아비)*: 오역죄를 짓거나, 절이나 탑을 헐거나, 시주한 재물을 축내거나 한 사람이 가는데, 한 겁(劫) 동안 끊임없이
*고통*을 받는다는 지옥.
#세계 #죄 #재물 #지독 #사바 #지옥 #*고통* #탑 #동안 #시주 #사람"
* 街談巷說(가담항설)*: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
* 事君之道與父一體(사군지도여부일체)*: 임금을 섬기는 도리(道理)는 부모(父母)를 섬기는 것과 똑같음.
"* 蛾子時術(아자시술)*: 나방의 새끼는 작은 벌레이지만 때로는 그 어미가 하는 일을 배워 *흙*을 물어다 작은 개미둑을 이루고
나중에는 큰 개미둑을 이룬다는 뜻으로, 학자(學者)가 쉼 없이 학문(學問)을 닦아 큰 도(道)를 성취(成就)함을 이르는 말.
#일 #학자 #방 #새끼 #학문 #나중 #때 #성취 #나방 #벌레 #어미 #개미 #*흙*"
"* 枯木生花(고목생화)*: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신기 #마른나무 #말 #곤궁 #나무 #아들 #요행 #꽃 #의미 #지경 #말라 #행운 #사람"
* 萬夫之望(만부지망)*: *천하*의 많은 사람이 우러러 사모함. 또는 그런 사람.
"* 止於止處(지어지처)*: (1)*일정*하게 머무르는 곳이 없고 정처 없이 어디든지 이르는 곳에서 머물러 잠. (2)일이나 행동을
마땅히 그쳐야 할 자리에서 알맞게 그침.
#일 #정처 #*일정* #사용 #의미 #자리 #침 #행동 #잠 #어디"
"* 咸興差使(함흥차사)*: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하거나 늦게 온 사람을 이르는 말. 조선 태조 이성계가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에
있을 때에, 태종이 보낸 차사를 혹은 죽이고 혹은 잡아 가두어 돌려보내지 아니하였던 데서 유래한다."
"* 亡羊之嘆(망양지탄)*: 여러 *갈래* 길에서 양을 잃고 탄식(歎息)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갈래* #학문 #탄식 #양 #어려움 #진리 #길 #길이"
* 百無一失(백무일실)*: 무슨 *일*이든지 실패하는 것이 하나도 없음.
"* 西施顰目(서시빈목)*: 월(越)나라의 유명(有名)한 *미인*(美人) 서시(西施)가 눈을 찌푸린 것을 아름답게 본 못난 여자(女子)가
그 흉내를 내고다녀 더욱 싫게 보였다는 고사에서 유래(由來)한 말로, 분수(分數)를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無條件) 남을 따라하는 것을
비유(比喩)하는 말."
"* 前軌(전궤)*: 앞에 지나간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이전 사람의 그릇된 일이나 행동의 자취를 이르는 말.
#일 #자취 #수레*바퀴* #앞 #이전 #자국 #그릇 #행동 #사람"
"* 蕙心紈質(혜심환질)*: 혜초 같은 마음과 흰비단 같은 자질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마음과 몸이 아울러 아름다움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몸 #마음 #혜초 #미인 #자질 #*형용* #비단 #아름다움"
"* 阪上走丸(판상주환)*: 언덕 위에서 공을 굴린다는 뜻으로, 어떤 *세력*에 힘입어 일을 꾀하면 쉽게 이루어지거나 잘 진전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구슬 #형세 #상황 #비유 #의미 #언덕 #*세력* #기회"
"* 屋漏痕(옥루흔)*: 지붕이 새는 흔적이라는 뜻으로, 지붕이 새어 천장에 아롱진 빗*물* 자국처럼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초서(草書)의
필법(筆法)을 이르는 말."
"* 月露風雲(월로풍운)*: 달, *이슬*, 바람, 구름이라는 뜻으로, 시문을 짓는 것이 月露風雲을 형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무용무익(無用無益)한 문사(文辭)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이슬* #달 #바람 #형용 #사용 #구름 #시문"
"* 莫顯乎隱(막현호은)*: 숨는 것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것이 없다는 뜻으로, 남이 보지 않는 곳에서 한 일은 매우 잘 드러나는 것처럼
홀로 있을 때에도 *도리*(道理)에 어그러짐이 없도록 삼가야 한다[愼獨(신독)]는 의미.
#의미 #일 #때"
"* 同聲異俗(동성이속)*: 사람이 날 때는 다 같은 소리를 가지고 있으나, 자라면서 그 나라의 *풍속*으로 인해 서로 달라짐을 이르는
말.
#환경 #성질 #때 #*풍속* #나라 #소리 #비유 #교육 #본래 #언어 #선악 #습관 #사람"
"* 推敲(퇴고)*: (1)글을 지을 때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치고 다듬음. 또는 그런 일. 당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僧推月下門’이란
시구를 지을 때 ‘推’를 ‘敲’로 바꿀까 말까 망설이다가 한유(韓愈)를 만나 그의 조언으로 ‘敲’로 결정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규범 *표기*는 ‘퇴고’이다. (2)글을 지을 때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치고 다듬음. 또는 그런 일. 당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僧推月下門’이란 시구를 지을 때 ‘推’를 ‘敲’로 바꿀까 말까 망설이다가 한유(韓愈)를 만나 그의 조언으로 ‘敲’로 결정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일 #당나라 #고침 #때 #생각 #규범 #결정 #시인 #한유 #유래 #시문"
"* 無腸公子(무장공자)*: (1)기개나 담력이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2)창자가 없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게’를 이르는
말.
#이름 #창자 #기력 #동물 #창 #사용 #담력 #기개 #공자 #사람"
* 一飯之德(일반지덕)*: 밥 한 끼를 베푸는 덕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은덕을 이르는 *말*.
"* 反哺之孝(반포지효)*: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孝)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를 갚는 *효*성을 이르는 말."
* 橫草之功(횡초지공)*: *풀*을 가로로 쓰러뜨리며 세운 공로라는 뜻으로, 싸움터에 나가서 크게 세운 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垂簾聽政(수렴청정)*: 임금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을 때, 왕대비나 대왕대비가 이를 도와 정사를 돌보던 일. 왕대비가 신하를 접견할
때 그 앞에 발을 늘인 데서 *유래*한다."
* 輔弼之臣(보필지신)*: *임금*의 덕업을 돕는 신하.
"* 北堂(북당)*: (1)예전에, 중국에서 집의 북쪽에 있는 당집을 이르던 말. 집안의 주부(主婦)가 거처하는 곳이다. (2)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 掩卷輒忘(엄권첩망)*: 책을 덮자마자 곧 그 내용을 잊어버린다는 뜻으로, 학문에 큰 뜻이 없거나 *기억*력이 부족함을 이르는 말.
#책 #내용 #부족함 #학문 #부족"
"* 北馬南船(북마남선)*: 중국의 북*쪽*은 산과 사막이 많아서 말을 이용하고 남*쪽*은 강이 많아서 배를 이용한다는 뜻으로, 늘 쉬지
않고 여기저기 여행을 하거나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 浮浪悖類(부랑패류)*: 일정하게 사는 곳과 하는 일 없이 떠돌아다니며 못된 짓이나 하는 *무리*.
* 凡百事物(범백사물)*: 갖가지의 모든 사*물*.
"* 面張牛皮(면장우피)*: 얼굴에 쇠*가죽*을 발랐다는 뜻으로, 몹시 뻔뻔스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소*가죽* #사람 #뻔뻔 #쇠 #*가죽* #얼굴"
* 孝悌忠信(효제충신)*: 어버이에 대한 효도, 형제끼리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성과 벗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伯夷之廉(백이지렴)*: 백이의 청렴함이라는 뜻으로, 주(周)나라 고죽군(孤竹君)의 두 아들인 백이와 숙제(叔齊)가 충절을 위해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충신의 대명사격으로 백이를 표현함.
#충절 #청렴결백 #표현 #백이 #아들 #나라 #결백 #백 #고사 #충신 #청렴"
* 伯仲之間(백중지간)*: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든 형세.
"* 金枝玉葉(금지옥엽)*: (1)금으로 된 가지와 옥으로 된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매우 소중하고 귀한
*자식*을 이르는 말. (3)구름의 아름다운 모양을 이르는 말."
"* 孑孑單身(혈혈단신)*: *의지*할 곳이 없는 외로운 홀몸.
#*의지* #홀몸"
* 四方之志(사방지지)*: *천하* 사방을 돌아다니며 다스리려는 큰 뜻.
* 糊口之計(호구지계)*: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 呼天不聞(호천불문)*: *하늘*을 불러도 듣지 않는다는 뜻으로, *하늘*을 부르며 죄의 억울함을 하소연하여도 *하늘*에 들리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하소연 #*하늘* #죄"
"* 江山萬古主人物百年賓(강산만고주인물백년빈)*: 강과 산은 만고의 주인(主人)이요, 사람은 백년(잠시(暫時) 왔다가는)의 손님임.
#주인 #강 #백년 #만고 #손님 #백 #산 #사람"
"* 北門之嘆(북문지탄)*: 북문에서 한탄(恨歎)함이라는 뜻으로, *벼슬*자리에 나가기는 하였으나, 뜻대로 성공(成功)하지 못한 것을
한탄(恨歎)함.
#북문 #한탄 #*벼슬*자리 #자리 #*벼슬* #성공"
"* 俯首聽令(부수청령)*: 고개를 숙이고 명령을 따른다는 뜻으로, *윗사람*의 위엄에 눌려 명령대로 좇아 행함을 이르는 말.
#위엄 #*윗사람* #명령 #의미 #고개 #복종"
"* 草木皆兵(초목개병)*: (1)적을 두려워한 나머지 초목이 모두 적군으로 보인다는 뜻으로, 몹시 놀라서 두려워하며 의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군사의 수효가 너무 많아 산야에 *가득* 찬 상태."
"* 無心(무심)*: (1)다른 종류의 털로 속을 박지 않은 *붓*. (2)감정이나 생각하는 마음이 없음. (3)속세에 전혀 관심이 없는
경지."
"* 鶴齡(학령)*: 두루미의 *나이*라는 뜻으로, 장수한 노인의 *나이*를 이르는 말.
#장수 #연령 #*나이* #노인 #늙은이"
* 百術千慮(백술천려)*: 여러 가지 방책(方策)을 깊이 *생각*함.
관계
* 靑雲之士(청운지사)*: (1)학문과 덕행을 함께 갖춘 고결한 사람. (2)높은 *지위*나 벼슬에 오른 사람.
기세
"* 懸車(현거)*: (1)수레를 건다는 뜻으로, 나이가 들어 *벼슬*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의 설광덕(薛廣德)이 관직을
그만두고 은거할 때, 임금이 내린 안거(安車)를 매달아 놓고 자손에게 전한 고사에서 유래한다. (2)일흔 살의 나이를 이르는 말.
(3)해 질 무렵."
"* 仰天大笑(앙천대소)*: 터져 나오는 *웃음*을 참을 수 없거나 어이가 없어서 하늘을 쳐다보고 크게 *웃음*.
#큰소리 #하늘 #*웃음*"
"* 愛及屋烏(애급옥오)*: 사람을 사랑하면 그 집 지붕 위에 앉은 까마귀까지도 귀엽게 보인다는 뜻으로, 그 사람과 연관된 사람이나
*물건*까지도 사랑함을 이르는 말."
"* 百馬伐驥(백마벌기)*: 백 마리의 말이 한 마리의 준마를 친다는 뜻으로, 뭇 신하(臣下)들이 한 현신(賢臣)을 제거(除去)하기
위(爲)해 몰*아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敬啓(경계)*: 삼가 말씀드린다는 뜻으로 한문 투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말.
#쓰임 #말 #첫*머리*"
"* 微官末職(미관말직)*: 지위가 아주 낮은 벼슬. 또는 그런 위치에 있는 사람.
#미천 #관직 #의미 #위치 #낮 #지위 #벼슬 #사람"
* 滄桑(창상)*: 푸른 *바다*가 변하여 뽕나무밭이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鼓腹(고복)*: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생활이 풍족하여 *태평*한 세월을 즐김을 이르는 말.
* 憂患疾苦(우환질고)*: 근심과 걱정과 질병과 *고생*을 아울러 이르는 말.
"* 情意投合(정의투합)*: (1)따뜻한 마음과 뜻이 서로 잘 맞아서 합함. (2)*남녀* 간에 관계가 이루어짐.
#마음 #*남녀* #관계 #사이"
"* 胡蝶之夢(호접지몽)*: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 에서 나온 말이다."
"* 歷歷可知(역력가지)*: 분명하게 알 수 있음.
#분명"
"* 擧酒屬客(거주촉객)*: 잔을 들어 손님에게 권한다는 뜻으로, 송(宋)나라 때 문장가 *소식*(蘇軾)이 지은 적벽부(赤壁賦)의
일부인데, 적벽의 아름다운 경치를 배경으로 객(客)과 함께 자연을 벗삼아 뱃놀이를 하던 내용에서 유래됨.
#내용 #아름 #벗 #때 #문장 #나라 #손님 #경치 #배경 #자연 #객 #*소식* #유래"
* 公平無私(공평무사)*: 개인의 감정에 따라 어느 *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고름.
"* 一脈相通(일맥상통)*: 사고방식, 상태, 성질 따위가 *서로* 통하거나 비슷해짐.
#성질 #생각 #*서로* #사고 #통 #비슷 #따위 #상태"
* 大夫人(대부인)*: (1)*천자*(天子)를 낳은 부인. (2)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 覆巢破卵(복소파란)*: 둥지를 뒤엎고 알을 깬다는 뜻으로, 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한다는 뜻이나, 근본(根本)이 망하면
지엽(枝葉)도 따라 망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 墨寶(묵보)*: (1)*보배*가 될 만한 좋은 글씨. (2)남의 글씨를 높여 이르는 말.
#*보배* #글씨"
"* 凱旋將軍(개선장군)*: (1)적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온 *장군*. (2)어떤 일에 성공하여 의기양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말 #*장군* #의기양양 #비유 #싸움 #성공 #사람"
"* 滄桑世界(창상세계)*: 급격히 바뀌어 변모하는 세상.
#세상"
"* 捕風捉影(포풍착영)*: 바람을 잡고 *그림자*를 붙든다는 뜻으로, 믿음직하지 않고 허황한 언행을 이르는 말.
#일 #바람 #허황 #허망 #언행 #*그림자*"
"* 本非我物(본비아물)*: 본디 내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뜻밖에 얻은 *물건*은 잃어버려도 과히 섭섭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본래 #*물건* #말 #뜻밖"
"* 郎廳坐起(낭청좌기)*: (1)‘낭청좌기’의 북한어. (2)낭청이 관아에서 가장 높은 벼슬에 있는 사람이 되어 일을 *시작*한다는
뜻으로, 아랫사람이 하는 처사가 윗사람보다 더 지독하고 심함을 이르는 말.
#일 #아랫사람 #윗사람 #말 #청 #지독 #비유 #*시작* #관아 #벼슬 #사람"
"* 無相解脫(무상해탈)*: 모든 법의 무상을 깨닫고 집착과 *번뇌*의 굴레를 벗어남.
#사물 #*번뇌* #법 #집착 #일정 #무상 #굴레 #형상 #해탈"
"* 蓋世之風(개세지풍)*: *세상*을 뒤덮을 만큼 뛰어난 풍채와 용모.
#용모 #풍채 #*세상*"
"* 腹心之臣(복심지신)*: 마음과 뜻을 같이하는 가까운 신하.
#마음 #신하"
"* 捲土重來(권토중래)*: (1)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하였으나 힘을 회복하여 다시
쳐들어옴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두목의 에 나오는 말로, 항우가 유방과의 결전에서 패하여 오강(烏江) 근처에서 자결한 것을 탄식한
말에서 유래한다. (2)어떤 일에 *실패*한 뒤에 힘을 가다듬어 다시 그 일에 착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항우 #일 #당나라 #땅 #말 #기세 #탄식 #자결 #*실패* #비유 #의미 #결전 #중국 #회복 #힘 #유방 #근처 #흙 #전력 #유래"
* 夜不談鬼(야불담귀)*: 밤에는 귀신을 이야기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밤에는 가급적 귀신 관련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는 말.
"* 指東指西(지동지서)*: 동쪽을 가리키기도 하고 서쪽을 가리키기도 한다는 뜻으로, *근본*은 제쳐 놓고 딴것을 가지고 이러쿵저러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엉뚱 #동쪽 #의미 #서쪽 #*근본*"
"* 杯水救車(배수구거)*: 한 잔의 물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려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도저히 미치지 않아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어리석은 짓을 한다는 말.
#땔나무 #말 #능력 #불 #물 #불구 #수레 #불가능"
"* 嘗試之計(상시지계)*: 남의 뜻을 시험하여 보는 *꾀*.
#시험 #*꾀*"
"* 彼一時此一時(피일시차일시)*: 그때는 그때이고 지금은 지금이다라는 뜻으로, 저때 한 일과 이때 한 일이 *서로* 사정이 다름을
이르는 말."
"* 夫婦之道二姓之合(부부지도이성지합)*: 부부(夫婦)의 도(道)는 두 성씨가 결합(結合)하는 것임.
#성씨 #결합 #부부"
"* 明堂子孫(명당자손)*: 명당자리에 묻힌 사람의 자손. 부귀와 *영화*를 누린다고 한다.
#*영화* #부귀 #자손 #자리 #사람"
"*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 #여옹 #산 #귀 #인생 #공명 #비유 #노생 #유래 #도사 #주인 #소년 #누리 #쓰임 #부귀영화 #베개 #80세 #*꿈* #영화 #부귀 #잠"
* 怒氣衝天(노기충천)*: ‘노기충*천하*다’의 어근.
"* 蚌鷸之勢(방휼지세)*: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 먹으려고 부리를 넣는 순간 조개가 껍데기를 닫고 놓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대립하는 두
*세력*이 잔뜩 버티고 맞서 겨루면서 조금도 양보하지 아니하는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조개 #이익 #형세 #대립 #결국 #순간 #금 #도요새 #양보 #*세력* #조금 #부리"
* 伏願(복원)*: 웃어른에게 엎드려 공손히 원함.
"* 看雲步月(간운보월)*: *구름*을 바라보거나 달빛 아래 거닌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집을 생각함을 이르는 말.
#밤 #빛 #달 #아래 #달빛 #집 #고향 #생각 #간절 #의미 #*구름* #하늘 #낮 #객지 #쪽"
* 安富恤窮(안부휼궁)*: 부자(富者)의 마음을 편안(便安)하게 하고, 빈자를 구(救)하여 물품(物品)을 베*풀*어 줌.
상황
* 涓露(연로)*: 이슬 *정도*의 매우 적은 물.
* 禮義廉恥(예의염치)*: 예절, 의리, 청렴,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
"* 吳越同舟(오월동주)*: 서로 적의를 품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된 경우나 서로 협력하여야 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서로 적대시하는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으나 풍랑을 만나서 서로 단합하여야 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출전은 ≪손자(孫子)≫의 이다.
#풍랑 #배 #사람 #경우 #춘추 #*시대* #전국 #출전 #원수 #상황 #나라 #적의 #중국 #손자 #서로 #유래 #오나라 #월나라"
* 富貴多男(부귀다남)*: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아들이 많음.
"* 十人十色(십인십색)*: (1)영국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존슨이 지은 희곡. 5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로 나온 *시골* 청년이
아름다운 애인을 사귀게 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조급성ㆍ허세ㆍ질투 등 인간의 여러 가지 성질 때문에 일어나는 우스꽝스러운 사건을
묘사하였다. 예리하고 지성적인 풍자와 조소를 통하여 영국의 희극에 새로운 유형을 도입한 기질 희극의 대표적 작품이다. 1598년에
발표되었다. (2)열 사람의 열 가지 색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모습이나 생각이 저마다 다름을 이르는 말.
#기질 #중심 #성질 #인간 #풍자 #때문 #도시 #예리 #사건 #생각 #우스꽝 #작품 #허세 #시인 #*시골* #청년 #발표 #모습 #질투 #사람"
"* 五風十雨(오풍십우)*: 닷새에 한 번씩 바람이 불고 열흘 만에 한 번씩 비가 온다는 뜻으로, 날씨가 순조롭고 *풍년*이 들어 천하가
태평한 모양을 이르는 말.
#성대 #순조 #바람 #날씨 #기후 #*풍년* #열흘 #태평 #천하 #모양 #닷새 #태평성대"
"* 前妻所生(전처소생)*: 전처의 몸에서 난 *자식*.
#몸 #*자식*"
* 自知其罪(자지기죄)*: *자기*의 죄를 스스로 앎.
"* 源淸流淸(원청유청)*: 근원 물이 맑으면 흐르는 물도 맑다는 뜻으로, 윗물이 맑으면 아랫물이 맑듯이 *윗사람*이 청렴하면 아랫사람도
청렴해짐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
#근원 #아랫사람 #*윗사람* #아랫물 #물 #비유 #청렴"
"* 天賦人權(천부인권)*: 자연법에 의하여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권리. 자기 보존이나 자기 방위의 권리, 자유나 평등의
권리 따위가 있다."
"* 草廬三顧(초려삼고)*: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마음 #은거 #양 #*노력* #초옥 #시대 #참을성 #제갈량 #유비 #중국 #인재 #촉한 #유래"
"* 朝令夕改(조령석개)*: 아침에 명령을 내렸다가 *저녁*에 다시 고친다는 뜻으로, 법령을 자꾸 고쳐서 갈피를 잡기가 어려움을 이르는
말."
* 朝歌夜絃(조가야현)*: *아침*으로는 노래하고, 밤으로는 거문고를 탄다는 뜻으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음악(音樂)을 즐기면서 놂.
"* 龍味鳳湯(용미봉탕)*: (1)‘*용*미봉탕’의 북한어. (2)*용*과 봉황으로 만든 음식이라는 뜻으로, 맛이 매우 좋은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大衆供養(대중공양)*: 신자(信者)가 여러 *승려*에게 음식을 차려 대접하는 일.
#일 #음식 #대접 #*승려*"
"* 蓮花世界(연화세계)*: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세계 #아미타불 #불토 #안락 #사람 #정토 #인간 #염불 #불교 #불 #서쪽 #즐거움 #자유 #괴로움 #세상"
"* 三密相應(삼밀상응)*: 밀교에서, 행자(行者)의 몸ㆍ입ㆍ뜻의 삼밀이 *부처*의 삼밀과 상응하여 융합함을 이르는 말.
#*부처* #몸 #삼밀 #입"
"*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1)불교에서,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고 *여기*는 사상. (2)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 마음가짐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 形而上(형이상)*: 이성적 *사유* 또는 직관에 의해서만 포착되는 초경험적이며 근원적인 영역.
#영역 #존재 #근원 #시간 #초월 #파악 #*사유* #관념 #형체 #감각 #경험 #형"
"* 別乾坤(별건곤)*: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밖 #경치 #세상"
* 向陽花木(향양화목)*: 볕을 잘 받은 *꽃*나무라는 뜻으로, 크게 잘될 사람을 이르는 말.
* 呼父呼母(호부호모)*: *아버지*라고 부르고 어머니라고 부름. 곧 부모로 모심을 이르는 말이다.
"* 簞食瓢飮(단사표음)*: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나무 #만족 #밥 #물 #의미 #대그릇 #음식 #그릇 #밥그릇 #표주박 #가난 #소박 #대나무 #*생활* #청빈"
"* 痛痒相關(통양상관)*: 아픔과 가려움도 서로 관계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는 것처럼 매우 *친밀*한 사이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일 #관계 #비유 #관심 #*친밀* #서로 #아픔 #사이"
"* 懸解(현해)*: 거꾸로 매달린 것이 풀린다는 뜻으로, *생사*의 고락을 초월함을 이르는 말.
#초월 #고락 #*생사*"
"* 抱薪救火(포신구화)*: 땔나무를 안고 불을 끈다는 뜻으로, 잘못된 *방법*으로 해를 막으려다가 도리어 더 해롭게 함을 이르는 말.
#땔나무 #재난 #방지 #불 #잘못 #비유 #손해 #*방법* #재해 #해"
"* 魚目(어목)*: (1)물고기의 눈. (2)물고기의 눈은 구슬처럼 보이나 구슬이 아니라는 뜻으로, 진짜와 비슷*하나* 본질은 완전히
다른 것을 이르는 말. (3)손이나 발에 생기는 사마귀 비슷한 굳은살. 누르면 속의 신경이 자극되어 아프다."
"* 謀殺未遂(모살미수)*: 미리 *꾀*하여 사람을 죽이려다가 이루지 못하는 일.
#일 #사람 #행위 #*꾀*"
"* 康哉之歌(강재지가)*: 온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함을 칭송(稱頌)한 노래.
#노래 #칭송 #*태평* #천하 #天下"
"* 寢苫枕草(침점침초)*: 저락자리를 깔고 풀을 베게 삼아 눕는다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상중(喪中)에 자식(子息)된 자는 어버이가
*흙*속에 묻혀 있음을 슬퍼하여 아주 검소(儉素)해야 함을 이르는 말.
#자식 #검소 #어버이 #부모 #자리 #*흙* #상중"
"* 物心如一(물심여일)*: 물질과 정신이 한결같다는 뜻으로, 정신과 형체가 구분됨이 없이 하나로 일치한 *상태*를 의미하는 말.
#정신 #구분 #의미 #일치 #형체 #물질 #*상태*"
"* 階高職卑(계고직비)*: 품계는 높고 *벼슬*은 낮음.
#*벼슬* #품계"
"* 一朝一夕(일조일석)*: 하루의 아침과 하루의 *저녁*이란 뜻으로, 짧은 시일을 이르는 말.
#아침 #시일 #*저녁* #하루아침 #하루"
"* 夢中相尋(몽중상심)*: 꿈속에서 서로 찾는다는 뜻으로, 몹시 그리워 꿈속에서까지 찾는 것처럼 매우 *친밀*함을 이르는 말.
#*친밀*함 #꿈 #*친밀* #꿈속"
"* 朝聚暮散(조취모산)*: 아침에 모였다가 *저녁*에 헤어진다는 뜻으로, 모이고 헤어짐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저녁* #무상 #아침"
"* 虎視眈眈(호시탐탐)*: *범*이 눈을 부릅뜨고 먹이를 노려본다는 뜻으로, 남의 것을 빼앗기 위하여 형세를 살피며 가만히 기회를
엿봄. 또는 그런 모양. ≪주역≫의 에 나오는 말이다."
"* 天寒白屋(천한백옥)*: 추운 날의 허술한 초가집이라는 뜻으로, 엄동설한에 떠는 *가난*한 생활을 이르는 말.
#날씨 #집 #초가집 #*가난* #생활"
"* 白雲山上蓋明月水中珠(백운산상개명월수중주)*: 흰 구름은 산 위의 덮개요, 밝은 달은 물 가운데의 *구슬*임.
#*구슬* #달 #가운데 #물 #구름 #산"
* 萬壑千峰(만학천봉)*: 수많은 골짜기와 수많은 봉우리라는 뜻으로, 깊은 산 속이나 중첩된 산의 *모양*을 형용하는 말로 사용됨.
"* 輪廻轉生(윤회전생)*: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 육도(三界六道)의 생사 세계를
그치지 아니하고 돌고 도는 일.
#일 #번뇌 #세계 #수레*바퀴* #무시 #불교 #삼계 #전생 #윤회 #생사 #사상 #근본 #중생 #인생"
"* 屋漏痕(옥루흔)*: 지붕이 *새*는 흔적이라는 뜻으로, 지붕이 *새*어 천장에 아롱진 빗물 자국처럼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초서(草書)의 필법(筆法)을 이르는 말.
#*새* #법 #필법 #자국 #빗물 #흔적 #자연 #자유 #지붕 #천장"
"* 溫故知新(온고지신)*: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가치 #그것 #말 #바탕 #옛것 #발견 #실현 #의미 #과거 #공자 #앎 #새것"
"* 多能鄙事(다능비사)*: 낮고 속(俗)된 일에 *재능*(才能)이 많음을 이르는 말.
#일 #*재능*"
"* 曖昧模糊(애매모호)*: 말이나 *태도* 따위가 희미하고 흐려 분명하지 아니함.
#사물 #말 #이치 #분명 #희미 #*태도* #따위"
"* 南柯夢(남가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당나라 #부마 #나무 #남가군 #꿈 #때 #*영화* #중국 #부귀*영화* #부귀 #남쪽 #잠 #동안 #술 #한때 #유래"
"* 萬無一失(만무일실)*: (1)조금도 축남이 없음. (2)실패하거나 실수할 염려가 조금도 없음.
#염려 #실수 #조금 #실패"
"* 柯亭(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 #서까래 #채옹 #피리 #때 #옛일 #*중국* #고사 #유래 #대나무"
"* 柯亭(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自己滿足(자기만족)*: 자기 자신이나 자기의 행위에 대하여 스스로 흡족하게 여김.
#일 #행위 #흡족 #*만족* #자신 #여김"
"* 泰山鳴動鼠一匹(태산명동서일필)*: 태산이 떠나갈 듯 요동쳤으나 뛰어나온 것은 쥐 한 *마리*뿐이라는 뜻으로, 예고는 거창하게 했으나
결과가 보잘것없음을 이르는 말.
#실제 #비유 #요동 #*마리* #쥐 #태산 #산 #결과"
"* 煙幕戰術(연막전술)*: (1)적의 관측이나 사격으로부터 아군의 *군사* 행동 따위를 감추기 위하여 연막을 치는 전술. (2)어떤
사실을 숨기기 위하여 약삭빠르고 능청스러운 말이나 수단 따위를 써서 상대편이 갈피를 못 잡게 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문제 #말 #*군사* #상대편 #교묘 #갈피 #적의 #전술 #사실 #아군 #상대방 #행동 #핵심 #수단 #따위"
"* 多多益善(다다익선)*: (1)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음. 중국 한(漢)나라의 장수 한신이 고조(高祖)와 장수의 역량에 대하여 얘기할
때, 고조는 10만 정도의 병사를 지휘할 수 있는 그릇이지만, 자신은 병사의 수가 많을수록 잘 지휘할 수 있다고 한 말에서 *유래*한다.
(2)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1988년에, 10월 3일 개천절의 의미를 담아 1003개의 티브이 모니터로 마치 하나의 거대한 탑처럼
구성하여 제작하였다. 이 작품은 전화, 라디오, 티브이 방송 따위의 신호를 받는 수신의 의미를 담고 있다."
* 聲音笑貌(성음소모)*: 목소리와 웃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겉으로 치장하고 겉만 꾸미는 일의 의미.
"* 積薪之嘆(적신지탄)*: 섶나무를 쌓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땔감을 쌓을 때 새로 해온 것을 늘 위에 있고, 먼저 해 온 것은 늘
아래에 눌려있듯이, 상급자로 승진하지 못하고 항상 남의 아랫자리에 머물러 있음을 한탄하는 말.
#승진 #섶나무 #아래 #*탄식* #나무 #때 #땔감 #한탄"
"* 經史百子(경사백자)*: 경서(經書)와 사서(史書), *제자*(諸子) 백가(百家)의 서(書)라는 뜻으로, 많은 책을 이르는 말.
#책 #*제자* #사서 #경서 #백"
* 克己復禮(극기복례)*: 자기의 욕심을 누르고 예의범절을 따름.
"* 雲出無心(운출무심)*: 구름이 가는데 마음이 없다는 뜻으로, 구름이 아무 생각 없이 흘러가듯이 인생을 *유유*하게 사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유유* #마음 #비유 #생각 #구름 #인생"
"* 夏至(하지)*: 이십사절기의 하나. 망종과 소서 사이에 들며, 양력 6월 21일경으로, 북반구에서는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다.
#*밤* #일 #북반구 #낮 #사이"
"* 三五之隆(삼오지륭)*: (1)중국에서, 삼황오제(三皇五帝) 때 융성했던 세상. (2)중국 한나라의 삼대 문제(文帝)와 오대
무제(武帝) 때의 융성했던 *시대*."
"* 積屍在床(적시재상)*: 집안이 몹시 *가난*하여 죽은 사람은 장사(葬事)지내지 못함.
#*가난* #사람 #장사 #집안"
* 伏靑蒲諫(복청포간)*: 청포는 임금의 좌석(座席)에 까는 청록(靑綠)의 부들*자리*로, 청포(靑蒲) 앞에 엎드려 간(諫)한다는 뜻임.
"* 金烏玉兎(금오옥토)*: 금오와 옥토는 해와 달의 별칭임. 金烏는 *태양* 속에 세 발 달린 까마귀가 산다는 전설에 의해 생겨난
말이고, 玉 는 달 속에 토끼가 있다는 전설에 의해서 생겨난 말임.
#전설 #토끼 #달 #말 #금 #까마귀 #*태양* #해"
"* 到處狼狽(도처낭패)*: (1)하는 일마다 *실패*함. (2)가는 곳마다 변(變)을 만남.
#일 #*실패*함 #만남 #화 #*실패* #뜻밖"
"* 敬鬼神而遠之(경귀신이원지)*: *공경*(恭敬)하나 가까이 하지 않음.
#*공경*"
"* 怒甲移乙(노갑이을)*: 갑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을에게 옮긴다는 뜻으로, 어떠한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애꿎은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을
이르는 말."
"* 猫頭懸鈴(묘두현령)*: 쥐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다는 뜻으로, 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를 이르는 말. 쥐가 고양이의 습격을 미리
막기 위한 수단으로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다는 일을 *의논*하였으나, 실행 불가능으로 끝났다는 우화에서 유래한다.
#일 #*의논* #우화 #고양이 #방울 #가능 #쥐 #실행 #속담 #논의 #유래 #불가능 #수단"
"* 毛遂自薦(모수자천)*: 자기가 자기를 추천함.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조나라 평원군이 초나라에 구원을 청하기 위하여 사신을
물색할 때에 모수가 스스로를 추천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사신 #오늘날 #*춘추* #시대 #초나라 #때 #앞뒤 #전국 #비유 #의미 #구원 #중국 #추천 #천거 #조나라 #자신 #스스로 #유래 #사람"
* 抑何心思(억하심사)*: 도대체 무슨 심사냐라는 뜻으로, 무슨 생각으로 그러는지 알 수 없거나 마음속 *깊이* 맺힌 마음을 이르는 말.
* 大逆不道(대역부도)*: 임금이나 *나라*에 큰 죄를 지어 도리에 크게 어긋나 있음. 또는 그런 짓.
* 甘言利說(감언이설)*: (1)‘감언이설’의 북한어. (2)귀가 솔깃하도록 남의 비위를 맞추거나 이로운 조건을 내세워 *꾀*는 말.
* 學文千載寶貪物一朝塵(학문천재보탐물일조진)*: 글을 배움은 천년의 보배요, *물건*(物件)을 탐함은 하루 아침의 티끌임.
* 頭童齒闊(두동치활)*: 살이 드러날 만큼 머리털이 빠지고 이가 빠져 성겼다는 뜻으로, 늙은이의 *얼굴*을 이르는 말.
* 孤軍弱卒(고군약졸)*: (1)따로 떨어져 도움을 받지 못하게 된 군대의 약한 군사. (2)*힘*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推燥居濕(추조거습)*: {아이는} 마른 곳으로 밀고, {자기는} 젖은 자리에 앉는다는 뜻으로, 자식을 기르는 어머니의 노고(勞苦)를
마다하지 않는 *사랑*을 이르는 말."
"* 三不去(삼불거)*: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 北門之嘆(북문지탄)*: 북문에서 한탄(恨歎)함이라는 뜻으로, 벼슬자리에 나가기는 하였으나, 뜻대로 *성공*(成功)하지 못한 것을
한탄(恨歎)함.
#북문 #한탄 #벼슬자리 #자리 #벼슬 #*성공*"
"* 御人如馬(어인여마)*: 사람을 *부리*는 것이 말을 *부리*듯 노련(老鍊)함.
#노련 #말 #사람"
"* 難言之境(난언지경)*: 밝혀 말하기 어려운 *경우*나 처지.
#말 #*경우*"
"* 上天下地(상천하지)*: 위에 있는 하늘과 아래에 있는 땅이라는 뜻으로, 온 천지(天地)를 이르는 말.
#땅 #아래 #죽음 #하늘 #세상"
"* 天眞爛漫(천진난만)*: 말이나 *행동*에 아무런 꾸밈이 없이 그대로 나타날 만큼 순진하고 천진함.
#차고 #말 #천진 #의미 #언동 #그대로 #자연 #꾸밈 #*행동* #조금"

"* 犬兎之爭(견토지쟁)*: 개와 토끼의 다툼이라는 뜻으로, 두 대상이 서로 싸우고 있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상황. ◈
한자로(韓子廬)라는 빠른 개와 동곽준(東郭逡)이라는 교활한 토끼의 싸움으로 농부가 두 마리를 모두 잡아갔다는 *고사*.《戰國策》."
* 且置勿論(차치물론)*: 내버려 두고 문제 삼지 아니함.
"* 北轅適楚(북원적초)*: 나릇을 북쪽으로 향(向)하게 해 놓고 *남쪽*인 초(楚)나라로 가려 한다는 뜻으로, 의도(意圖)하는 바와
행(行)하는 바가 서로 어긋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행 #향 #의도 #나라 #비유 #*남쪽* #북쪽"
"* 迷途知反(미도지반)*: 길을 잃으면 돌아올 줄 안다는 뜻으로, 바른 길을 찾다가 못 찾으면 *근본*에서 다시 생각할 줄을 안다는
의미.
#길 #*근본* #의미 #생각"
* 天下一品(천하일품)*: *세상*에 오직 하나밖에 없거나 매우 뛰어나서 *세상*에서 견줄 만한 것이 없음. 또는 그런 물품.
"* 百乘之家(백승지가)*: *전쟁*이 일어나면 수레 백 대를 내놓을 수 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경대부의 집을 이르던 말.
#말 #집 #전시 #*전쟁* #수레 #백 #집안"
* 父母呼我唯而趨之(부모호아유이추지)*: *부모*(父母)님께서 나를 부르시면 '예'하고 대답(對答)하고 빨리 달려가야 함.
"* 前事勿論(전사물론)*: 지난 일에 대하여는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아니함.
#일 #그름 #시비 #의미 #是非 #논의"
"* 暗中摸索(암중모색)*: (1)*물건* 따위를 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음. (2)확실한 방법을 모르는 채 짐작으로 무엇을 알아내거나
찾아내려 함. (3)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일의 실마리나 해결책을 찾아내려 함."
"* 博學而詳說之(박학이상설지)*: 군자(君子)가 박학함으로써 상세(詳細)히 *풀*이하는 것은 世人(세인)에게 학문(學問)을 자랑하려
함이 아니라, 요점(要點)을 알아듣도록 설명(說明)하기 위함이라는 말."
"* 無量世界(무량세계)*: 한없이 크고 넓은 *세계*.
#*세계* #광대"
"* 脣亡齒寒(순망치한)*: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 서로 *이해*관계가 밀접한 사이에 어느 한쪽이 망하면 다른 한쪽도 그
영향을 받아 온전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 一樹百穫(일수백확)*: 나무 한 그루를 심어서 백 가지의 이익을 본다는 뜻으로, 유능한 *인재* 하나를 길러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음을 이르는 말.
#이익 #수확 #나무 #이득 #그루 #유능 #의미 #백 #*인재* #사회 #효과 #사람"
"* 擔負之役(담부지역)*: (1)막벌이 일. (2)짐을 지는 일.
#일 #막벌이"
* 家慈(가자)*: 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 見奔獐放獲兎(견분장방획토)*: 달아나는 노루 보다가 잡은 토끼 놓친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큰 것에 *욕심*을 내다가 도리어
자기가 가진 것마저 잃어버린다는 말."
"* 渺滄海之一粟(묘창해지일속)*: 넓고 푸른 망망한 바다에 한 *알*의 좁쌀이라는 뜻으로, 매우 큰 것 속에 하나의 아주 작고
보잘것없는 것이 끼여 있다는 뜻. 또는 이 넓은 세상(世上)에 사는 하나의 작은 인간(人間)이라는 뜻을 비유(比喩)함."
"* 朝夕定省(조석정성)*: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 雷陳膠漆(뇌진교칠)*: 교분이 매우 두터움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뇌의(雷義)와 진중(陳重) 사이의 고사에서 유래한다.
"* 肆筵設席(사연설석)*: *자리*를 베풀고 돗*자리*를 베푸니 연회(宴會)하는 좌석(座席)임.
#*자리* #宴會"
* 半字不成(반자불성)*: (1)글자를 반만 쓰고 중간에 그만둠. (2)일을 중도에서 그만두어 이루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得隴望蜀(득롱망촉)*: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후한 #땅 #경우 #욕심 #인간 #만족 #사용 #비유 #*지방* #의미 #나라 #지역 #평정 #고사 #유래 #광무제 #사람"
"* 力透紙背(역투지배)*: 힘이 종이 뒤로 뚫린다는 뜻으로, 필력(筆力)이 사무친다는 의미로 필법(筆法)이 날카롭고 힘찬 것을 *비유*하거나
시(詩)의 내용이 근엄하고 고결함을 *비유*하여 이름."
"* 杯水輿薪(배수여신)*: 잔의 물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려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도저히 미치지 않아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어리석은 짓을 한다는 말."
"* 洛花狼藉(낙화낭자)*: 떨어진 꽃잎이 흩어져 어지럽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이 뒤섞여 흩어져 있는 모양(模樣).
#*사물* #모양"
"* 露結爲霜(노결위상)*: 이슬이 맺어 서리가 되니, *밤*기운(-氣運)이 풀잎에 물방울처럼 이슬을 이룸.
#이슬 #*밤* #물방울 #서리 #기운 #풀잎"
"* 華胥之國(화서지국)*: 잘 다스려진 *태평*(太平)한 나라.
#*태평* #나라"
"* 嫡弟(적제)*: 서자가 자기 *아버지*의 정실에게서 난 아우를 이르는 말.
#정실 #서자 #아우"
* 陵雲之志(능운지지)*: 높은 *지위*에 오르고자 하는 욕망.
"* 柯亭(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 #서까래 #채옹 #피리 #때 #옛일 #중국 #고사 #유래 #*대나무*"
"* 獨陽不生(독양불생)*: 혼자서는 *아이*를 낳을 수 없듯이, 반드시 상대(相對)가 있어야 한다는 말.
#상대 #*아이* #말 #혼자"
"* 生殺與奪(생살여탈)*: (1)살리고 죽이는 일과 주고 빼앗는 일. (2)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마음대로 쥐고 흔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沒頭沒尾(몰두몰미)*: *머리*도 꼬리도 없다는 뜻으로, 밑도 끝도 없음을 이르는 말.
* 自取富貴(자취부귀)*: 제 *힘*으로 부귀(富貴)를 누리게 됨.
"* 淺見薄識(천견박식)*: 얕은 견*문과* 좁은 지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표현 #천박 #학식 #때 #사용 #견문 #겸손 #지식 #자신"
* 非一非再(비일비재)*: 같은 현상이나 *일*이 한두 번이나 한둘이 아니고 많음.
* 塗炭(도탄)*: 진구렁에 빠지고 숯불에 탄다는 뜻으로, 몹시 곤궁하여 고통스러운 *지경*을 이르는 말.
"* 伐柯(벌가)*: 도끼 자루감을 도끼로 벤다는 뜻으로, (1) 진리(眞理)는 눈앞에 있는 것이니, 먼 데서 구(求)할 것이 아니라는
비유(比喩) (2) 어진 사람을 맞*아들*이는 데는 어진 사람이 가야한다는 비유(比喩)(3) 혼인(婚姻)에는 중매(仲媒)가 있어야
한다는 비유(比喩)."
* 琥珀光(호박광)*: 맑고 아름다운 술의 누런빛을 이르는 *말*.
"* 天方地方(천방지방)*: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일 #방향 #땅 #하늘 #*모양* #어디 #사람"
* 三伏炎天(삼복염천)*: 삼*복* 기간의 몹시 심한 더위.
"* 肝膽楚越(간담초월)*: 간과 쓸개의 *사이*가 고대 중국의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의 거리처럼 멀다는 뜻으로, 가까이에 있어도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聚斂之臣(취렴지신)*: 거두어드리는 *신하*라는 뜻으로, 지위를 이용하고 윗사람의 권력을 빌어, 백성을 가혹하게 다루고, 세금이나
뇌물을 긁어드리는 *신하*를 이르는 말.
#백성 #권력 #빌어 #윗사람 #세금 #*신하* #이용 #권세 #지위 #가혹 #뇌물"
* 夫和婦順(부화부순)*: *부부* 사이가 화목함.
"* 與虎謀皮(여호모피)*: 호랑이와 더불어 호랑이 가죽을 벗길 것을 꾀한다는 뜻으로, 이해관계가 서로 맞지 않는 사람과 *의논*하면
원하는 바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 #*의논* #근본적 #이해관계 #꾀 #호랑이 #근본 #가죽 #사람"
* 戴星(대성)*: *별*을 머리 위에 이고 있다는 뜻으로, 아침 일찍 집을 나가 밤늦게 돌아옴을 이르는 말.
"* 克伐怨慾(극벌원욕)*: 이기고자 하며, 제 자랑하기를 좋아하며, *원망*하고 화를 내며, 탐욕하는 네 가지 나쁜 행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악덕 #*원망* #행위 #화 #탐욕 #물욕 #자랑 #사람"
"* 兩手執餠(양수집병)*: (1)‘양수집병’의 북한어. (2)두 손에 떡을 쥐고 있다는 뜻으로, 두 가지 일이 똑같이 있어서 무엇부터
하여야 할지 모르는 *경우*를 이르는 말."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때 #여옹 #인생 #생활 #사이 #메조 #노생 #년간 #유래 #도사 #땅 #소년 #베개 #80년 #꿈 #한단 #밥 #나라 #영화 #중국 #잠 #고사"
"* 懷金垂紫(회금수자)*: 금을 품고 *붉은*색을 드리운다는 뜻으로, 황금의 인(印)을 품고, 자주빛의 인끈을 늘어뜨리고 있는 것에서
높은 벼슬자리에 오름을 이르는 말.
#벼슬 #금 #벼슬자리 #자리 #황금"
"* 八方美人(팔방미인)*: (1)어느 모로 보나 아름다운 사람. (2)여러 방면에 능통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한 가지
일에 정통하지 못하고 온갖 일에 조금씩 손대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4)주관이 없이 누구에게나 잘 보이도록 처세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일 #*미인* #정통 #주관 #능통 #방면 #누구 #조롱 #처세 #낮 #방법 #조금 #낮잡 #사람"
운명
"* 犬兎之爭(견토지쟁)*: 개와 토끼의 다툼이라는 뜻으로, 두 대상이 서로 싸우고 있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상황. ◈
한자로(韓子廬)라는 빠른 개와 동곽준(東郭逡)이라는 교활한 토끼의 싸움으로 농부가 두 마리를 모두 잡아갔다는 고사.《戰國策》.
#토끼 #이익 #다툼 #농부 #*이득* #한자 #양자 #교활 #상황 #마리 #고사 #대상 #봄 #제삼자 #싸움 #사이"
* 水旱蟲雹霜(수한충박상)*: 농사에 피해를 입히는 다섯 가지 *재앙*. 수해, 가뭄, 병충해, 우박, 서리를 이른다.
* 養虎遺患(양호유환)*: *범*을 길러서 화근을 남긴다는 뜻으로, 화근이 될 것을 길러서 후환을 당하게 됨을 이르는 말.
* 車同軌(거동궤)*: 여러 지방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 易地皆然(역지개연)*: 사람의 처지나 *경우*를 바꾸어 놓으면 그 하는 것이 다 같음을 이르는 말.
#환경 #말 #*경우* #누구 #행동 #사람"
"* 嵇琴阮嘯(혜금완소)*: 위국 혜강(嵇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玩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음.
#거문고 #휘파람 #강 #완적"
장자
* 此忘憂物(차망우물)*: 이것은 근심을 잊게 하는 *물*건이라는 뜻으로, 근심을 떨쳐버릴 수 있는 ‘술’을 이르는 말.
"* 赫世公卿(혁세공경)*: 대대로 지내는 높은 *벼슬*. 또는 그 *벼슬*아치.
#*벼슬* #공경 #*벼슬*아치 #집안"
"* 風雲月露(풍운월로)*: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심에 조금도 유익하지 않은 화조월석만을 읊은, 실속이 없고 겉만 화려한 시문.
#실속 #도움 #화 #세도 #유익 #풍월 #필요 #자연 #*세상* #풍 #겉 #조금 #시문 #인심"
"* 敲金戛石(고금알석)*: 쇠를 두드리고 돌을 울린다는 뜻으로, 시나 문장(文章)의 어울림이 뛰어남을 이르는 말.
#쇠 #문장"
"* 南柯夢(남가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당나라* #부마 #나무 #남가군 #꿈 #때 #영화 #중국 #부귀영화 #부귀 #남쪽 #잠 #동안 #술 #한때 #유래"
"* 父生母育(부생모육)*: 부모가 낳고 *기름*.
#자식 #어머니 #부모 #*기름*"
"* 珊瑚婚式(산호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3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산*호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풍속 #의식 #부부 #기념"
* 皓齒丹脣(호치단순)*: 하얀 치아와 붉은 입술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를 이르는 말.
* 雨後竹筍(우후죽순)*: 비가 온 뒤에 여기저기 솟는 죽순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한때에 많이 생겨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魚水之親(어수지친)*: *물고기*와 물처럼 친(親)한 사이라는 뜻으로, (1) 임금과 신하(臣下)의 친밀(親密)한 사이 (2) 서로
사랑하는 부부(夫婦) 사이.
#신하 #사랑 #임금 #물 #친밀 #부부 #사이"
* 禍福同門(화복동문)*: 화나 복은 모두 *자신*(自身)이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 江郞才盡(강랑재진)*: 강엄의 *재주*가 다했다는 뜻으로, 어떤 분야에 뛰어났던 재능이 차차 쇠퇴하여 더 이상 두각을 나타내지
못함을 이르는 말."
"* 零丁孤苦(영정고고)*: *가난*해지고 세력(勢力)이 꺾여 도와 주는 사람도 없어, 혼자서 괴로움을 당(當)하는 어려운 처지(處地)를
이르는 말.
#혼자 #세력 #*가난* #괴로움 #사람"
"* 匹夫之勇(필부지용)*: 깊은 생각 없이 혈기만 믿고 함부로 *부리*는 소인의 용기. ≪맹자≫의 에 나오는 말이다.
#이름 #말 #소인 #생각 #의미 #사내 #맹자 #남자 #경솔"
* 無賴之黨(무뢰지당)*: 무뢰한의 *무리*.
"* 白髮悲花落靑雲羨鳥飛(백발비화락청운선조비)*: 늙은이는 꽃이 떨어짐을 슬퍼하고, *관리*(官吏)는 새가 날음을 부러워함. 즉 높은
관직에 오르고자 함.
#새 #관직 #*관리* #꽃 #늙은이"
"* 匹上不足(필상부족)*: 위로 짝하려니 부족하다는 뜻으로, 위로 짝하려니 모자라고 아래로 짝하려니 남아서[匹下有餘(필하유여)]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원만함을 *유지*한다는 의미.
#*유지* #아래 #부족 #의미 #짝 #모자 #쪽"
"* 刻露淸秀(각로청수)*: 나뭇잎이 지고 산 모습이 드러나 맑고 빼어나다는 뜻으로, 가을의 경치가 맑고 수려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형용 #맑고 #경치 #모양 #나뭇잎 #모습 #가을 #*아름다움*"
"* 時和年豊(시화연풍)*: 때가 화하여 해가 풍요롭다는 뜻으로, 기후가 순조로워 풍년이 든다는 의미. 보통 나라가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는 의미의 입춘첩(立春帖)으로 많이 *사용*됨.[= 時和歲豊]."
"* 顧名思義(고명사의)*: 어떤 일을 당하여 자신의 명예를 더럽히는 일이 아닌지 돌이켜 보고, 또한 의리에 어긋나는 일이 아닌지 *생각*
함."
* 可與樂成(가여낙성)*: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南面稱孤(남면칭고)*: 임금이 됨을 이르는 말, 고(孤)는 왕이 자신(自身)을 *겸손*(謙遜)하게 일컫는 말.
#말 #왕 #임금 #*겸손* #자신"
"* 渾然一致(혼연일치)*: 의견이나 주장 따위가 *완전*히 하나로 일치함.
#의견 #주장 #일치 #차별 #따위"
"* 蚇蠖之屈(척확지굴)*: 자벌레가 몸을 굽히는 것은 다음에 몸을 펴고자 함이라는 뜻으로, 훗날에 성공을 위(爲)해 잠시 굽*힘*을
이르는 말.
#몸 #훗날 #벌레 #다음 #성공"
"* 方圓可施(방원가시)*: 方形(방형)에나 원형(圓形)에나 다 잘 들어맞다는 뜻으로, 갖가지 *재능*(才能)이 있어서 어떤 일에도
적합(適合)함을 이르는 말.
#일 #*재능* #적합 #갖가지"
* 白華之怨(백화지원)*: *사랑*을 잃은 여성(女性)의 슬픔.
* 無所不在(무소부재)*: 하나님의 적극적 품성의 하나로, 그 존재와 섭리가 모든 피조*물* 속에 미쳐 있음을 이르는 말.
"* 吮疽之仁(연저지인)*: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 萬法一如(만법일여)*: 온갖 법이 공(空) 또는 진여(眞如)로 귀착하여 *하나*로 됨을 이르는 말.
#사물 #말 #법 #결국 #진여 #현상"
* 患難相恤(환난상휼)*: 향약의 네 가지 덕목 가운데 *하나*.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서로 도와야 함을 이른다.
"* 虛傳將令(허전장령)*: (1)장수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 (2)윗사람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윗사람 #*명령* #장수 #비유 #웃사람 #전함 #거짓 #사람"
* 回婚式(회혼식)*: ‘회혼례’를 기념 의식으로 이르는 *말*.
"* 自現者不明(자현자불명)*: 스스로 나타내는 자는 밝지 못하다는 뜻으로, 스스로 *자신*의 덕을 밖으로 나타내 보이려고 하는 사람은
도리어 그 덕을 어둡게 한다는 의미."
* 肥己之慾(비기지욕)*: *자기* 몸만 이롭게 하려는 욕심.
"* 如鳥過目(여조과목)*: 새가 *눈앞*을 날아 지나간다는 뜻으로, 세월이 빨리 지나감을 이르는 말.
#세월 #새 #*눈앞* #비유"
"* 獨脚大王(독각대왕)*: (1)귀신의 하나. (2)말썽이 많고 괴팍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동물이나 사람의 형상을 한
잡된 귀신의 하나. 비상한 힘과 재주를 가지고 있어 사람을 홀리기도 하고 짓궂은 장난이나 심술궂은 짓을 많이 한다고 한다.
#재주 #귀 #동물 #보통 #형상 #말썽 #비유 #장난 #힘 #귀신 #사람"
"* 淡交(담교)*: 교양이 있는 *군자*(君子)의 교제를 이르는 말.
#교양 #교제 #담박 #*군자*"
* 山高天下立水深地上流(산고천하립수심지상류)*: 산이 높으나 하늘 아래 서 있고, 물이 깊으나 땅 위로 흐름.
* 懸祖考(현조고)*: 신주(神主)나 축문(祝文)에서 '돌아간 할아버지'를 일컫는 *말*.
"* 直往邁進(직왕매진)*: 주저하지 아니하고 곧장 *힘*차게 나아감.
#의미 #전력 #주저"
* 最後一刻(최후일각)*: 마지막 순간.
"* 力透紙背(역투지배)*: 힘이 종이 뒤로 뚫린다는 뜻으로, 필력(筆力)이 사무친다는 의미로 필법(筆法)이 날카롭고 힘찬 것을
비유하거나 시(詩)의 내용이 근엄하고 고결함을 비유하여 이름.
#내용 #이름 #법 #고결 #필법 #비유 #의미 #종이 #힘"
"* 栢舟之操(백주지조)*: 백주지조(柏舟之操). 공백(共伯)의 아내가 공강(共姜)이 백주(栢舟)라는 시를 지어 맹세(盟誓)하고
절개(節槪)를 지킨 고사에서 유래(由來)한 말로, *남편*(男便)이 일찍 죽은 아내가 절개(節槪)를 지키는 것을 의미(意味)."
"* 神出鬼沒(신출귀몰)*: 귀신같이 나타났다가 *사라*진다는 뜻으로, 그 움직임을 쉽게 알 수 없을 만큼 자유자재로 나타나고 *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유자재 #움직임 #귀신 #자유"
"* 南柯之夢(남가지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魚目混珠(어목혼주)*: *물고기*의 눈알과 구슬이 뒤섞인다는 뜻으로, 가짜와 진짜가 마구 뒤섞임을 이르는 말.
"* 虛張聲勢(허장성세)*: 실속은 없으면서 큰*소리*치거나 허세를 부림.
#실속 #기세 #실력 #위세 #명성 #*소리* #허세 #목*소리*"
"* 孟母三遷(맹모삼천)*: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흉내 #때 #가르침 #중요 #시장 #공부 #교육 #열중 #어머니 #이사 #묘 #*물건* #장사 #고사 #근처 #환경 #집 #주위 #아들 #글방 #학업 #맹자 #서당 #묘지"
"* 形單影隻(형단영척)*: 형체가 하*나이*므로 그림자도 하나라는 뜻으로, 의지할 곳도 도움을 받을 곳도 없이 몹시 외롭고 고독한
처지를 이르는 말."
"* 江湖之樂(강호지락)*: 자연을 벗 삼아 누리는 *즐거움*.
#벗 #자연 #*즐거움*"
"* 師資相承(사자상승)*: 스승이 제자에게 학예를 이어 *전함*.
#스승 #*전함* #법 #제자"
"* 伏龍鳳雛(복룡봉추)*: 엎드린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우수한 *인재*를 이르는 말. ≪촉지≫의 주(注)에
나오는 말이다.
#이름 #말 #방 #새끼 #왕 #공명 #제갈량 #봉황 #우수 #비유 #인물 #젊은이 #용 #*인재* #장래 #세상"
"* 巫山雲(무산운)*: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