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 전체글 2 티스토리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구글 트렌드
속담 모음

2024년 06월 15일 속담 (11) ⭕️

by 사계절1 2024. 6. 15.




728x90
반응형

"* 忘憂之物(망우지물)*: (1) 시름을 잊게 하는 물건(物件) (2) 술의 딴이름, 술을 마시면 *근심* 걱정을 잊게 된다는 데서 온
말."
"* 轍鮒之急(철부지급)*: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에 있는 붕어의 급함이라는 뜻으로, 매우 위급한 처지에 있거나 몹시 고단하고
옹색함을 이르는 말. ≪장자≫의 에 나오는 말이다.
#다급 #말 #*수레*바퀴 #곤궁 #곤경 #위급함 #물 #비유 #자국 #장자 #위급 #절박 #붕어"
"* 三餘之功(삼여지공)*: *독서*(讀書)하기에 가장 좋은 '겨울ㆍ밤ㆍ음우(陰雨)'를 일컬음.
#밤 #*독서* #겨울"
"* 三喪不問(삼상불문)*: 삼년상을 치르는 상제는 상기(喪期) 삼 년 동안 남의 상사(喪事)에 조*상하*지 못하거나 아니함.
#동안 #상사 #조상 #상제"
"* 戱綵娛親(희채오친)*: 일부러 채색 옷을 입고 어버이를 기쁘게 해드린다는 뜻으로, 노래자(老萊子)가 일흔 살에 어버이 앞에서
무색옷을 입고 재롱을 부렸다는 *고사*에서, 어버이의 마음을 즐겁게 하는 일. [= 彩衣娛親 (채의오친)].
#일 #마음 #옷 #노래 #앞 #채색 #노래자 #어버이 #*고사* #일흔"
* 山珍海饌(산진해찬)*: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 富貴多男(부귀다남)*: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아들이 많음.
#지위 #아들 #재산"
"* 終身讓路不枉百步(종신양로불왕백보)*: 평생(平生) *동안* 남에게 길을 양보(讓步)하면서 살아도 그 손해(損害)가 백보밖에 안.
#양보 #손해 #길 #백 #평생 #*동안*"
"* 未測深淺(미측심천)*: 아직 깊고 얕은 것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심해(深海)이나 사정(事情), 사람의 자질(資質) 등에
대해서 이르는 표현."
* 嘯風弄月(소풍농월)*: 바람에 휘파람 불고 달을 희롱한다는 뜻으로, *자연* 풍경을 구경하며 즐김을 이르는 말.
"* 胡越一家(호월일가)*: (1)중국 북*쪽*의 호(胡)와 남*쪽*의 월(越)이 한집안이라는 뜻으로, 온 천하가 한집안 같음을 이르는
말. (2)멀리 떨어져 있던 사람들이 한곳에 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齋戒沐浴(재계목욕)*: 신불(神佛)에게 제사(祭祀)를 드리기 전(前)에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기 위(爲)하여 음식(飮食)이나
행동(行動)을 삼가고 *몸*을 깨끗이 씻음을 이르는 말.
#*몸* #마음 #신부 #음식 #신불 #행동 #제사"
* 花落憐不掃月明愛無眠(화락연불소월명애무면)*: *꽃*이 떨어지니 가엾어 쓸지를 못하고, 달이 밝으니 사랑스러워 잠을 못 이룸.
"* 滿盤珍羞(만반진수)*: 상 위에 *가득*히 차린 귀하고 맛있는 음식.
#의미 #음식 #귀"
"* 學原於思(학원어사)*: 학문은 생각에 근원을 둔다는 뜻으로, 학문은 생각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처럼 사색(思索)이 학문의 *근본*임을
이르는 말."
"* 桑田碧海(상전벽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뽕나무 #밭 #뽕나무밭 #의미 #세상일 #정도 #변천 #세상"
"* 百鬼夜行(백귀야행)*: 온갖 잡귀가 밤에 나다닌다는 뜻으로, 괴상한 꼴을 하고 해괴한 짓을 하는 *무리*가 웅성거리며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 岳母(악모)*: 아내의 친*어머니*.
#아내 #*어머니*"
"* 豊亨豫大(풍형예대)*: 세상(世上)이 태평성대(太平聖代)라 백성(百姓)이 *행복*(幸福)을 누림.
#백성 #태평 #태평성대 #*행복* #세상"
"* 減膳撤樂(감선철악)*: 나라에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가 있을 때에 임금이 몸소 근신하는 뜻으로 수라상의 음식 가짓수를 줄이고
노래와 춤을 가까이하지 아니하던 일."
"* 兄肥弟瘦(형비제수)*: 형은 살찌고 아우는 마르다는 뜻으로, 형제의 *신분*이 다름을 이르거나, 형은 동생 대신 동생은 형 대신
서로 돕는 일의 의미로 사용됨.
#일 #대신 #아우 #*신분* #사용 #의미 #형제 #동생 #형"
"* 八面六臂(팔면육비)*: (1)‘팔면육비’의 북한어. (2)여덟 개의 얼굴과 여섯 개의 팔이라는 뜻으로, 언제 어디서 어떤 일에
부딪치더라도 능히 처리하여 내는 수완과 *능력*을 이르는 말.
#일 #다방면 #여섯 #발휘 #여덟 #*능력* #사방 #역량 #수완 #얼굴 #언제 #처리 #어디 #사람"
* 鷄皮鶴髮(계피학발)*: 피부는 닭의 살갗 같고 *머리*털은 학처럼 희다는 뜻으로, 늙은이를 이르는 말.
"* 黃金時代(황금시대)*: (1)사회의 진보가 최고조에 이르러 행복과 평화가 가득 찬 시대. 그리스 사람이 인류의 역사를 금, 은,
청동, 철의 네 시대로 나눈 가운데서 첫째의 시대를 이르는 말이다. (2)*일생*에서 가장 번영한 시기. (3)러시아의 작곡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 발레 대본 공모에 당선된 이바노브스키(Ivanovsky, A.)의 의 3막 6장의 발레 음악이다. 초연은
1930년 키로프 극장에서 이루어졌다. (4)16세기 초부터 17세기 말까지 이어진 에스파냐 문학의 전성기. 에스파냐의 국토 회복과
정치적 통일이 이룩되고 신대륙의 발견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것이 그 배경이 되었다. 에스파냐 문학사에서 가장 찬란한 시기로
손꼽힌다.
#국토 #*일생* #시대 #최고 #시절 #문학 #초연 #역사 #작품 #회복 #사회 #가운데 #정치 #에스파냐 #사람 #개인 #금 #문화 #평화 #이룩 #음악 #행복 #그리스 #
첫째 #한창 #말 #진보 #발견 #번영 #사용 #의미 #영화 #배경 #통일 #평생 #황금"
"* 盤石之固(반석지고)*: 큰 *바위* 같은 견고함이라는 뜻으로, 일이 매우 견고할 정도로 편안함을 비유한 말.
#일 #*바위* #견고함 #견고 #비유 #편안 #정도"
"* 他山之石(타산지석)*: 다른 산의 나쁜 돌이라도 자신의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본이 되지 않은 남의 말이나
행동도 자신의 지식과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 에 나오는 말이다."
* 盈滿之咎(영만지구)*: *가득* 찬 재앙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만족할 만큼 충분할 때일수록 재앙을 만나기 쉬움을 이르는 말.
"* 慢招損謙受益(만초손겸수익)*: 언제나 거만(倨慢)하면 손해(損害)를 보며, *겸손*(謙遜)하면 이익(利益)을 본다는 뜻.
#거만 #손해 #*겸손* #이익"
"* 方圓可施(방원가시)*: 方形(방형)에나 원형(圓形)에나 다 잘 들어맞다는 뜻으로, 갖*가지* 재능(才能)이 있어서 어떤 일에도
적합(適合)함을 이르는 말."
"* 豪華子弟(호화자제)*: 호화로운 집안에서 자란 젊은이.
#집안 #젊은이 #호화"
"* 抱關擊柝(포관격탁)*: 문지기와 야경이라는 뜻으로, *신분*(身分)이 낮은 관리(官吏)를 이르는 말.
#기와 #*신분* #낮 #관리"
"* 諱莫如深(휘막여심)*: 꺼림은 *깊이* 감추는 것만 같은 것이 없다는 뜻으로, 사실이 밝혀지는 것을 꺼려하여 *깊이* 감추고
누설하지 않는 것처럼 남이 알지 못하도록 사실을 은폐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누설 #사실 #비유"
"* 百態千光(백태천광)*: 온갖 *아름다움*을 갖춘 자태(姿態).
#자태 #*아름다움*"
"* 南倭北虜(남왜북로)*: 중국에서, 15세기에서 16세기까지 명(明)나라를 괴롭히던 *남*쪽의 왜구(倭寇)와 북쪽의 몽고 여러 부족을
아울러 이르던 말.
#부족 #나라 #왜구 #중국 #*남*쪽 #오랑캐 #북쪽 #명나라"
* 宵壤之判(소양지판)*: 하늘과 땅의 떨어짐이라는 뜻으로, 하늘과 땅처럼 두 *사물*의 차이가 엄청나게 다르다는 말.
"* 積薪之歎(적신지탄)*: 적신지탄(積薪之嘆). 쌓이고 쌓인 섶나무의 탄식(歎息)이라는 뜻으로, 먼저 쌓인 섶나무는 항상(恒常) 아래에
있듯이 고참이 승진(昇進)하지 못하고 늘 아랫*자리*에 있음을 한탄(恨歎)함을 이르는 말."
* 弄瓦之喜(농와지희)*: 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移木之信(이목지신)*: 나무를 옮기는 신의라는 뜻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위정자(爲政者)는 백성에 대한 약속을 반드시 지킴을 밝히는
일. [= 徙木之信(사목*지신*)].
#백성 #일 #지킴 #위정자 #나무 #약속 #나라 #지시 #신의"
"* 囚首喪面(수수상면)*: 죄수의 머리에 상주의 얼굴이라는 뜻으로, 죄수처럼 머리를 빗지 않고 상주(喪主)처럼 얼굴을 씻지 않듯이
용모를 꾸미지 않음을 *형용*한 말.[본래 송(宋)나라의 왕안석(王安石)을 기롱(欺弄)한 말에서 연유함].
#용모 #*형용* #말 #상주 #머리 #나라 #왕안석 #죄수 #얼굴 #본래 #연유"
"* 試金石(시금석)*: (1)귀금속의 순도를 판정하는 데 쓰는 검은색의 현무암이나 규질의 암석. 금이나 은 조각을 이 돌의 표면에
문질러 나타난 흔적의 빛깔과 표본의 금 빛깔을 비교하여 순도를 시험한다. (2)가치, 능력, 역량 따위를 알아볼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기회*나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다른 구절과 비교하여 더욱 매력적인 시구를 파악하는 데 기준이 되는, 유명 시인의
작품에서 인용한 구절을 이르는 말.
#능력 #구절 #시인 #유명 #*기회* #사물 #빛깔 #인용 #역량 #흔적 #작품 #시험 #기준 #금 #조각 #표면 #비교 #표본 #따위 #파악 #사용 #의미 #가치"
"* 百足之蟲(백족지충)*: (1)발이 많은 그리마, *노래*기, 지네 따위의 벌레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친척이나 아는 사람이 많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노래* #벗 #겨레 #친척 #벌레 #따위 #사람"
"* 千里行始於足下(천리행시어족하)*: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 시작(始作)한다는 뜻으로, 비록 어려운 일이라도 쉬지 않고 *노력*(努力)하면
성취(成就)됨을 이르는 말.
#일 #*노력* #성취 #걸음 #시작"
"* 長者三代(장자삼대)*: 부자(富者)는 3대(三代)까지 가기 어렵다는 말, 곧 아버지가 고생(苦生)해서 재산(財産)을 만들고, 그것을
보고 자란 아들인 2대는 그것을 잘 지키지만, 3대인 손자(孫子)는 *생활*(生活)이 사치(奢侈)하여 마침내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이룩한
가산을 탕진(蕩盡)하는 예가 많음을 이르는 말."
"* 風浪雷電(풍랑뇌전)*: 풍랑과 우레라는 뜻으로, 힘 있는 *붓*글씨의 모습이 마치 풍랑이나 우레나 번개와 같이 거침없고 힘차다는
의미.
#풍랑 #우레 #거침 #의미 #번개 #*붓*글씨 #힘 #모습"
* 百億世界(백억세계)*: 부처가 백억 화신이 되어 교화하는 *세계*. 온 세상을 이른다.
"* 下學上達(하학상달)*: 아래를 배워 위에 도달한다는 뜻으로, 쉬운 지식을 배워 어려운 *이치*를 깨달음을 이르는 말.
#사리 #말 #아래 #학문 #인간 #*이치* #사용 #도달 #의미 #지식 #하늘 #깨달음 #통달"
"* 逢場風月(봉장풍월)*: 아무 때나 그 자리에서 즉흥적으로 시(詩)를 지음.
#달 #바람 #지음 #때 #한시 #마당 #*풍월* #풍 #자리 #장소"
"* 溫衣美飯(온의미반)*: 따뜻한 옷과 맛좋은 밥이라는 뜻으로, 따뜻한 *의복*을 입고 맛있는 음식을 먹는 안락한 생활을 한다는 의미.
#옷 #안락 #*의복* #밥 #의미 #음식 #맛 #생활"
* 沐猴而冠(목후이관)*: 원숭이가 관을 썼다는 뜻으로, 의관(衣冠)은 갖추었으나 사람답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天下泰平(천하태평)*: (1)정치가 잘되어 온 세상이 평화로움. (2)어떤 일에 무관심한 상태로 걱정 없이 *편안*하게 있는 태도를
가벼운 놀림조로 이르는 말.
#일 #느긋 #성질 #태평 #천하 #평화 #*편안* #걱정 #근심 #태도 #세상 #무관심 #상태 #정치 #사람"
"* 葉錢(엽전)*: (1)예전에 사용하던, 놋쇠로 만든 돈. 둥글고 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다. 고려 시대의
삼한중보ㆍ삼한통보ㆍ동국중보ㆍ해동중보 따위와, *조선* 시대의 *조선*통보ㆍ상평통보ㆍ당백전ㆍ당오전 따위를 들 수 있다. (2)우리나라
사람이 스스로를 낮잡아 이르는 말. (3)소나 말 같은 길짐승의 머리 앞부분에 장식으로 다는 둥글넓적한 금속.
#부분 #시대 #때 #장식 #옛날 #낮 #스스로 #길짐승 #돈 #고려 #앞 #머리 #쇠 #가운데 #예전 #낮잡 #사람 #우리 #구멍 #우리나라 #따위 #말 #사용 #나라 #대의 #
*조선*"
"* 尸位素餐(시위소찬)*: 재덕이나 공로가 없어 직책을 다하지 못하면서 *자리*만 차지하고 녹(祿)을 받아먹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서≫ 에 나오는 말이다."
"* 麾下將兵(휘하장병)*: 대장기 *아래*의 장수와 병사라는 뜻으로, 대장의 진영(陣營)이나 장수가 거느린 장교, 하사관, 병사 등
총칭.
#병사 #*아래* #대장 #장수 #총칭"
* 絶纓優面(절영우면)*: 끈 떨어진 인형(망석중)이라는 뜻으로, *의지*할 곳을 잃어버린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鷄口牛後(계구우후)*: 닭의 주둥이와 소의 꼬리라는 뜻으로, 큰 단체의 꼴찌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오히려 나음을
이르는 말. ≪전국책(戰國策)≫의 〈한책(韓策)〉과 ≪*사기*≫의 〈소진전(蘇秦傳)〉에 나오는 말이다.
#책 #말 #조직 #단체 #소진 #의미 #닭 #꼬리 #우두머리 #경구 #말단 #부리"
"* 止於至善(지어지선)*: 더할 수 없이 착한 경지에 이르러 머무른다는 뜻으로, 최선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일 #최선 #*유지* #지극 #중요 #인간 #최고 #선 #도달 #대학 #이상 #상태"
* 浩氣(호기)*: (1)*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 (2)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
"* 好色不淫(호색불음)*: 여색을 좋아*하나* 음란하지 않다는 뜻으로, 정도(定度)를 넘지 않는 기본적인 가치를 지킨다는 의미인데,
시경(詩經)의 국풍(國風)을 평하여 이르는 의미임."
"* 專對之材(전대지재)*: 묻는 즉시(卽時) *지혜*(智慧)롭게 대답(對答)할 수 있어, 외국(外國) 사신(使臣)으로 능히 응대할 만한
*지혜*(智慧)를 가진 사람.
#사신 #외국 #대답 #*지혜* #사람"
"* 擧頭對面(거두대면)*: 머리를 들어 *서로* 얼굴을 마주 대함.
#얼굴 #머리 #대함"
자루
"* 色讀(색독)*: 글을 읽을 때 문장 전체의 의미를 파악하지 아니하고 글자가 표현하는 뜻만을 *이해*하며 읽음.
#파악 #표현 #때 #문장 #글자 #의미 #해석 #*이해* #전체"
"* 無想無念(무상무념)*: 모든 생각을 떠나 마음이 빈 *상태*.
#*상태* #마음 #생각"
"* 簪纓(잠영)*: (1)관원이 쓰던 비녀와 갓끈. (2)양반이나 지위가 높은 *벼슬*아치 또는 그 지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높은
*벼슬*아치들이 잠영을 쓴 데에서 유래하였다.
#말 #갓끈 #양반 #관원 #*벼슬*아치 #지위 #꾸밈 #*벼슬*아치들 #유래"
"* 捲土重來(권토중래)*: (1)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하였으나 힘을 회복하여 다시
쳐들어옴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두목의 에 나오는 말로, 항우가 유방과의 결전에서 패하여 오강(烏江) 근처에서 자결한 것을 *탄식*한
말에서 유래한다. (2)어떤 일에 실패한 뒤에 힘을 가다듬어 다시 그 일에 착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항우 #일 #당나라 #땅 #말 #기세 #*탄식* #자결 #실패 #비유 #의미 #결전 #중국 #회복 #힘 #유방 #근처 #흙 #전력 #유래"
"* 天下之志(천하지지)*: 세상 사람들의 *생각*이나 뜻.
#공통 #*생각* #세상 #사람"
* 長者風度(장자풍도)*: 덕망이 높고 많은 경험으로 세상일에 익숙한 사람의 풍채와 *태도*.
"* 燕趙悲歌士(연조비가사)*: 우국지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에, 연나라와 조나라에는 세상을 비관하여 슬픈 노래를
부르는 선비*가* 많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天崩地坼(천붕지탁)*: (1)요란한 *소리*에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터져 나갈 듯이 흔들려 움직임. (2)제왕의 죽음, 큰 재앙 등
중대한 사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땅 #제왕 #중대 #말 #죽음 #움직임 #재앙 #사변 #비유 #*소리* #변동 #하늘"
"* 聾暗(농암)*: 귀머거리와 벙어리라는 뜻으로, *윗사람*과 아랫사람 간에 서로 정의(情宜)가 통(通)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아랫사람 #*윗사람* #정의 #벙어리 #통"
* 星羅雲布(성라운포)*: 별 같이 벌여있고 구름처럼 늘어놓았다는쭬뜻으로, 물건이 여기저기 벌여 있는 *모양*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不繫之舟(불계지주)*: (1)매어 놓지 않는 배라는 뜻으로, 속세를 초월한 무념*무상*의 경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정처
없이 방랑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방랑 #일체 #마음 #배 #정처 #무념*무상* #속세 #의미 #*무상* #기운 #상태 #초월 #무아 #사람"
"* 馬家五常(마가오상)*: 마씨 오 형제(兄弟)가 모두 *재주*가 뛰어나고 이름자에 常(상)자가 들어 있는 것에서 연유(緣由)한 말로,
형제(兄弟)가 모두 명망(名望)이 높음을 이르는 말."
"* 足不足間(족부족간)*: 어떤 것이 자라든지 *모자*라든지 관계없음.
#관계"
"* 疾風怒濤(질풍노도)*: (1)몹시 빠르게 부는 바람과 무섭게 소용돌이치는 물결. (2)18세기 후반에 독일에서 일어난 문학 운동.
계몽주의 사조에 반항하면서 감정의 해방, 개성의 존중 및 천재주의를 *주장*하였다. 하만과 헤르더가 선구(先驅)를 이루고 괴테와 실러
등이 중심이 되었다.
#중심 #거침 #후반 #개성 #행위 #바람 #말 #운동 #사조 #물결 #비유 #의미 #감정 #문학 #*주장* #주의 #존중 #독일"
"* 狐疑不決(호의불결)*: *여우*가 의심하면서 결정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의심 많은 *여우*가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것처럼 의심으로
어떤 일을 결행에 옮기지 못하는 것을 이르는 말.
#일 #말 #*여우* #결행 #비유 #결정 #의심 #결단"
"* 氷炭不相容(빙탄불상용)*: *얼음*과 숯의 성질이 정반대이어서 서로 용납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화합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사물 #이름 #용납 #성질 #어려움 #물 #*얼음* #숯 #화합 #융화 #사이"
"* 形而上學(형이상학)*: (1)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2)헤겔ㆍ마르크스 철*학*에서, 비변증법적 사고를 이르는 말. (3)초경험적인 것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을,
형이하 또는 경험적 대상의 *학*문인 자연 과*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4)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일 철
*학*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다룬 여러 문제의 연구를 후세에 정리한 것으로,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비판하고 실재론을 설명하였다. 스콜라 철
*학*을 통하여 중세의 유럽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 14장(章)."
"* 齊東野人(제동야인)*: 중국 제나라의 동쪽에 사는 야인들이 매우 어리석었다는 데서, 사리에 밝지 못한 *시골*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제나라 #사리 #말 #나라 #비유 #동쪽 #*시골* #지방 #중국 #분별 #사람"
* 擊鐘鼎食(격종정식)*: 종을 쳐서 식솔(食率)을 모아 솥을 걸어 놓고 먹는다는 뜻으로, 부유(富裕)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 苦盡甘來(고진감래)*: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을 이르는 말.
#역경 #고생 #끝 #의미 #고통 #*즐거움*"
"* 傾城(경성)*: (1)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태롭게 할 정도로 뛰어남을 이르는 말. (2)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미인 #성 #위태 #준말 #*나라* #정도"
"* 梟木(효목)*: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이 매달던 나무.
#나무 #죄인 #이름 #베어"
* 開示悟入(개시오입)*: 부처가 이 세상에 출현한 네 *가지* 뜻. 중생이 진리를 열고, 보고, 깨닫고, 그 길에 들게 하는 일이다.
"* 河流爭奪(하류쟁탈)*: 이웃한 두 하천 *사이*에 침식력(浸蝕力)의 차이가 있을 때, 서로 유역을 빼앗는 현상.
#*사이* #현상 #차이 #때 #이웃 #서로 #하천 #침식"
"* 紅葉良媒(홍엽양매)*: *붉은* 단풍잎이 좋은 중매라는 뜻으로, 단풍잎에 시를 써서 혼인의 중매가 되는 일.
#일 #혼인 #중매"
"* 沙中偶語(사중우어)*: 모래땅 위에서 남모르게 주고받는 말이라는 뜻으로, 신하가 몰래 모반(謀反)하려고 계책을 꾸미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한고조(漢高祖)가 공신 이십여 명에게 큰 벼슬을 주자, 벼슬을 받지 못한 다른 여러 장수가 모래땅에 모여 모반을 *의논*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의논* #말 #신하 #꾀 #장수 #모반 #공신 #중국 #계책 #벼슬 #유래 #고조"
"* 塞翁之馬(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 左袒(좌단)*: 왼쪽 소매를 벗는다는 뜻으로, 남을 편들어 동의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한(前漢) 때에, 여후(呂后)가 반란을 *꾀*할
때 공신 주발(周勃)이 군중(軍中)에서, 여후를 돕고자 하는 자는 오른쪽 소매를 벗고 한나라 왕실을 돕고자 하는 자는 왼쪽 소매를
벗으라고 명하자 모두 왼쪽 소매를 벗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 刺股懸梁(자고현량)*: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머리카락 #극복 #대들보 #*새끼* #공부 #졸음 #시대 #초나라 #전국 #소진 #분발 #송곳 #중국 #머리털 #다리 #유래"
"* 途不拾遺(도불습유)*: 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나라가 잘 다스려져 백성(百姓)의 *풍속*(風俗)이
돈후(敦厚)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2) 형벌(刑罰)이 준엄(峻嚴)하여 백성(百姓)이 법을 범(犯)하지 아니함의 뜻으로도 쓰임.
#백성 #법 #돈 #범 #쓰임 #*풍속* #나라 #비유 #길 #준엄 #형 #형벌"
"* 得意之秋(득의지추)*: 일이 뜻대로 이루어졌거나 이루어질 좋은 *기회*.
#일 #*기회*"
"* 四無碍智(사무애지)*: 막힘이 없는 네 가지 *지혜*(智慧). 곧
법무애지(法無礙智)ㆍ의무애지(義無礙智)ㆍ사무애지(辭無碍智)ㆍ변무애지(辯無礙智)의 네 가지.
#*지혜* #힘 #사무 #법"
"* 弊帚(폐추)*: 닳아 빠진 비라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넘게 자만심이 강(强)한 사람을 이르는 말.
#*분수* #자만 #강 #사람"
* 負俗之累(부속지루)*: 지조가 고상하여 세속을 멀리하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로부터 좋지 아니한 말을 들어야 하는 괴로움.
"* 琢磨(탁마)*: (1)옥이나 *돌* 따위를 쪼고 갊. (2)학문이나 덕행 따위를 닦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행 #학문 #정신 #기예 #수행 #따위 #덕행"
"* 萬事無心(만사무심)*: (1)모든 일에 관심이 없음. (2)근심이나 걱정으로 다른 일을 돌볼 겨를이 없음.
#일 #겨를 #정신 #관심 #걱정 #근심"
"* 附炎棄寒(부염기한)*: 더울 때는 가까이 붙어 있다가 추울 때는 버리고 떠난다는 뜻으로, *권세*가 성할 때에는 붙좇다가 그 *권세*가
쇠하면 버림을 이르는 말.
#말 #*권세* #때 #인정 #버림 #쇠 #사람"
"* 才氣煥發(재기환발)*: 사리(事理) *판단*(判斷)이 날카롭고 재능(才能)이 빛난다는 뜻으로, 재주와 슬기가 불 일어나듯이 나타남을
이르는 말.
#재주 #재능 #사리 #불 #*판단*"
"* 懷玉有罪(회옥유죄)*: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귀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훗날 #죄 #분수 #*재앙* #물건 #귀"
"* 東西日月門南北鴻雁路(동서일월문남북홍안로)*: 동과 서는 해와 달의 문이요, *남*과 북은 기러기의 길임.
#길 #달 #해 #북"
* 晝夜兼行(주야겸행)*: *밤*낮을 가리지 아니하고 계속해서 함.
"* 虛掌實指(허장실지)*: 붓글씨에서, 손바닥을 넓게 펴고 손가락에 힘을 주어 붓을 잡는 *방법*.
#일 #손가락 #붓 #손바닥 #때 #붓글씨 #*방법* #힘"
"* 善男善女(선남선녀)*: (1)*성품*이 착한 남자와 여자란 뜻으로, 착하고 어진 사람들을 이르는 말. (2)곱게 단장을 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 (3)불법에 귀의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
#여자 #남녀 #귀의 #불가 #불법 #불교 #불 #사람들 #사용 #의미 #신심 #단장 #*성품* #남자 #귀 #사람"
"* 使民以時(사민이시)*: 백성을 *부리*는 것은 때에 맞게 한다는 뜻으로, 농번기를 피하여 백성들을 사역(使役)시킨다는 의미인데,
孔子가 말한 백성을 올바로 다스리는 그 첩경의 하나임.
#백성 #말 #때 #의미 #孔子 #백성들"
"* 魂飛中天(혼비중천)*: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聰明好學(총명호학)*: 재주가 있고 영리하며 *학문*을 좋아함.
"* 用志不分(용지불분)*: 뜻을 베푸는데 나누지 않는다는 뜻으로, 오로지 한가지 일에 전념(專念)하고 여기저기 정신을 팔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 #정신 #한가지 #전념"
"* 花街柳巷(화가유항)*: 예전에, ‘유곽’을 달리 이르던 말.
#예전 #유곽 #말"
"* 豪氣萬丈(호기만장)*: 꺼드럭거리며 뽐내는 *기세*가 매우 높음.
#*기세*"
* 見危致命(견위치명)*: *나라*가 위태로울 때 자기의 몸을 *나라*에 바침.
"* 冬蟲夏草(동충하초)*: 동충하초과의 버섯을 통틀어 이르는 말. 거미, 매미, 나비, 벌 따위의 곤충의 사체에 기생하여
자실체(子實體)를 낸다. *붉은*동충하초, 매미동충하초 따위가 있다.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풀로 변한다는 뜻이다.
#여름 #풀 #겨울 #버섯 #벌레 #기생 #나비 #실체 #시체 #풀이 #매미 #따위"
"* 逐鹿者不顧兎(축록자불고토)*: 사슴을 쫓는 자는 토끼를 돌아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명예(名譽)나 *욕심*(慾心)에 사로잡힌
사람은 도리(道理)를 저버리거나 눈앞의 위험(危險)을 돌보지 않음의 비유(比喩) (2) 큰 일을 이루려는 사람은 작은 일에 사로잡히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解衣衣之(해의의지)*: 자기 옷을 벗어 남에게 입힌다는 뜻으로, 은혜를 남에게 베풀거나 총애(寵愛)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은혜 #옷 #총애 #비유"
"* 三時念佛(삼시염불)*: 새벽, 한낮, *저녁*의 세 때에 하는 염불.
#염불 #때 #*저녁* #새벽 #낮"
* 天地藏萬物江河束千山(천지장만물강하속천산)*: 하늘과 땅은 온갖 물건(物件)을 감추고, 강과 *바다*는 모든 산을 묶음.
* 孝衰於妻子(효쇠어처자)*: 효는 처*자식*에게서 쇠퇴해진다는 뜻으로, 사람은 처자를 가지면 부모를 섬기는 효심이 쇠해짐을 비유함.
* 大器小用(대기소용)*: 유능한 사람을 능력에 걸맞지 않은 낮은 자리에 앉히고 부림.
"* 天時不如地利地利不如人和(천시불여지리지리불여인화)*: *하늘*이 주는 좋은 때는 지리적(地理的) 이로움만 못하고 지리적(地理的)
이로움도 사람의 화합(和合)만 못함.
#때 #지리 #*하늘* #화합 #사람"
* 夫和婦順家和之本(부화부순가화지본)*: *남편*(男便)은 온화(溫和)하고 아내는 양순한 것이 가정(家庭) 화목(和睦)의 근본(根本)임.
* 父傳子傳(부전자전)*: 아들의 성격이나 *생활* 습관 따위가 아버지로부터 대물림된 것처럼 같거나 비슷함.
* 山中歷日(산중역일)*: 산 속에서 한가(閑暇)로이 지내며 *자연*(自然)을 즐기느라고 세월(歲月)이 가는 줄 모름.
"* 禪悅爲食(선열위식)*: 선정(禪定)의 기쁨으로 몸과 마음을 건전하게 하고 지혜로운 생명을 얻는 일. 음식으로 몸을 기르고 *목숨*을
보존하는 일에 비유한 말이다."
"* 三位一體(삼위일체)*: (1)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의 세 위격이 하나의 실체인 하나님 안에 존재한다는 교의.
325년 제일 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2)세 *가지*의 것이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되는 일."
"* 解義抱火(해의포화)*: 옷을 벗고 불을 안는다는 뜻으로, *재난*(災難)을 자초함을 이르는 말.
#자초 #옷 #불 #*재난*"
"* 鄭衛桑間(정위상간)*: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정나라와 위나라에서 유행하던 음악을 난세(亂世)의 음(音)이라고 한 데서, 음란한
망국(亡國)의 음악을 이르는 말."
* 會心之友(회심지우)*: 마음이 맞아 의기가 통하는 *벗*.
"* 半豹(반표)*: *독서*(讀書)를 많이 하지 않는 일.
#일 #*독서*"
"* 咽喉之地(인후지지)*: 목*구멍*과 같은 곳이라는 뜻으로, 매우 중요한 길목을 이르는 말.
#긴요 #땅 #중요 #비유 #급소 #*구멍* #목*구멍*"
"* 解語花(해어화)*: (1)‘기생’을 달리 이르는 말. (2)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으로, ‘*미인*’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에, 현종이 양 귀비를 가리켜 말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 #*미인* #말 #양 #때 #꽃 #기생 #중국 #이해 #고사 #유래 #귀"
"* 魚變成龍(어변성룡)*: 물고기가 변하여서 용이 된다는 뜻으로, 아주 곤궁하던 사람이 부귀를 누리게 되거나 보잘것없던 사람이 큰
*인물*이 됨을 이르는 말."
"* 無間罪報(무간죄보)*: 한없는 죄악에 *대한* 과보.
#죄악 #과보"
* 也自無妨(야자무방)*: 또한 거리낄 것이 없이 괜찮음.
"* 蚌鷸之勢(방휼지세)*: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 먹으려고 부리를 넣는 순간 조개가 껍데기를 닫고 놓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대립하는 두
세력이 잔뜩 버티고 맞서 겨루면서 조금도 양보하지 아니하는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조개 #이익 #*형세* #대립 #결국 #순간 #금 #도요새 #양보 #세력 #조금 #부리"
* 百年之約(백년지약)*: 젊은 남녀가 *부부*가 되어 평생을 같이 지낼 것을 굳게 다짐하는 아름다운 언약.
"* 家給千兵(가급천병)*: *제후*(諸侯) 나라에 일천 군사(軍士)를 주어 그의 집을 호위(護衛)시킴.
#군사 #*제후* #집 #나라 #호위"
"* 荊棘銅駝(형극동타)*: 구리 낙타(駱駝)가 가시덤불 속에 묻혀 있다는 뜻으로, 궁전(宮殿)이나 후원(後園)이 황폐(荒廢)함을 *형용*(形容)하는
말.
#*형용* #말 #구리 #후원 #궁전"
* 畜狗噬踵(축구서종)*: 기르던 개가 발*꿈*치를 문다는 뜻으로, 도와주고 은혜를 베푼 사람에게 도리어 화를 입는다는 의미.
"* 山高谷深(산고곡심)*: 산이 높고 *골짜기*가 깊음.
#산"
"* 白髮童顔(백발동안)*: 머리털이 허옇게 세었으나 얼굴은 어린*아이*와 같다는 뜻으로, 나이는 많은데 매우 젊어 보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雪中君子(설중군자)*: 눈 속의 군자라는 뜻으로, 사군자(四君子)의 *하나*인 매화의 딴 이름임.
#눈 #매화 #이름 #군자"
* 焦心苦慮(초심고려)*: *마음*을 졸여서 태우며 괴롭게 염려함.
* 閉月羞花(폐월수화)*: 달도 숨고 *꽃*도 부끄러워한다는 뜻으로, 여인의 얼굴과 맵시가 매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奇貨可居(기화가거)*: 진기한 물건은 잘 간직하여 나중에 이익을 남기고 판다는 뜻으로,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함을 이르는
말.
#간직 #이익 #나중 #의미 #물건 #보물 #귀 #*기회*"
"* 忘年交(망년교)*: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벗.
#벗 #*허물* #나이"
* 通天之數(통천지수)*: *하늘*에 통하는 운수라는 뜻으로, 아주 좋은 운수를 이르는 말.
"* 徑先處斷(경선처단)*: *범*인의 진술을 기다리지 않고 처단하는 일.
#일 #*범*인 #*범* #처단 #술"
동쪽
* 東作西收(동작서수)*: 봄철에 농사를 지어 *가을*에 거두어들임.
"* 龍歌鳳笙(용가봉생)*: 용의 *노래*와 봉황의 생황이라는 뜻으로, 맑은 *노래*와 아름다운 풍류를 가리키는 말.
#생황 #봉황 #풍류 #*노래*"
"* 鳳鳥不至(봉조부지)*: *봉황*새가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성인이 나면 *봉황*이 온다는 데서, 세상에 성인(聖人)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한탄하여 이르는 말의 의미.
#새 #말 #성 #성군 #성인 #*봉황* #한탄 #의미 #세상"
"* 犧牲羊(희생양)*: (1)희생이 되어 제물로 바쳐지는 양. (2)다른 사람의 이익이나 어떤 *목적*을 위하여 목숨, 재산, 명예,
이익 따위를 빼앗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그것 #명예 #이익 #양 #*목적* #희생 #제물 #재산 #목숨 #의미 #대상 #자신 #따위 #사람"
"* 取適非取魚(취적비취어)*: 낚시질을 하는 참뜻이 고기 잡는 데에 있지 않고 세상 생각을 잊고자 하는 데에 있다는 뜻으로, 어떤
*행동*의 목적이 거기에 있지 않고 다른 데에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兄弟和睦父母喜之(형제화목부모희지)*: 형과 아우가 화목(和睦)하면 *부모*(父母)님이 기뻐하심.
"* 兄無衣服弟必獻之(형무의복제필헌지)*: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의*복* #형 #아우"
"* 下穽投石(하정투석)*: 함정에 빠진 사람에게 돌을 떨어뜨린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놓인 사람을 도와주기는커녕 도리어 괴롭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괴롭힘 #칼 #구덩이 #사람"
"* 天爵(천작)*: 하늘에서 받은 벼슬이라는 뜻으로, 남에게서 존경을 받을 만한 선천적인 *덕행*을 이르는 말.
#벼슬 #선천적 #하늘 #존경 #*덕행*"
"* 忘我之境(망아지경)*: 어떤 사물에 *마음*을 빼앗겨 자기 자신을 잊어버리는 경지.
#사물 #*마음* #생각 #열중 #자신"
"* 鷄窓(계창)*: ‘서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송처종(宋處宗)이 서재의 창 밑에서 기른 *닭*이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그와 더불어 이야기하며 학식을 도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 殘月曉星(잔월효성)*: *새*벽녘의 달과 별.
"* 穎脫而出(영탈이출)*: 뾰족한 *송곳* 끝이 주머니를 뚫고 나온다는 뜻으로, 뛰어나고 훌륭한 재능(才能)이 밖으로 드러남을 이르는
말.
#재능 #훌륭 #끝 #*송곳* #밖 #주머니"
"* 他弓莫輓(타궁막만)*: 남의 활을 당겨 쏘지 말라는 뜻으로, (1) 무익한 일은 하지 말라는 말 (2) *자기*(自己)가 닦은 것을
지켜 딴 데 마음 쓰지 말 것을 이르는 말.
#일 #마음 #말 #무익 #활"
* 臨河羨魚(임하선어)*: 물가에 임해서 물고기를 탐낸다는 뜻으로, 부질없이 행복이나 이득을 바란다는 *의미*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自滅之計(자멸지계)*: 잘한다는 것이 도리어 잘못되어 제가 망하게 되는 *꾀*.
#책 #*꾀* #잘못"
"* 言行相反(언행상반)*: 말과 *행동*이 하나로 이른다는 뜻으로, 말과 *행동*이 같다는 의미.
#의미 #반대 #*행동* #말"
"* 無間業火(무간업화)*: 무간지옥의 불*꽃*.
#불*꽃* #지옥 #지독"
규범
"* 士農工商(사농공상)*: 예전에, 백성을 나누던 네 가지 계급. *선비*, 농부, 공장(工匠), 상인을 이르던 말이다.
#백성 #말 #사회 #농부 #관념 #시대 #신분 #장인 #농민 #상인 #계급 #중세 #순서 #*선비* #예전 #과거"
* 諸行無常(제행무상)*: 우주의 모든 사물은 늘 돌고 변하여 한 *모양*으로 머물러 있지 아니함.
"* 黃粱夢(황량몽)*: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 #일생 #때 #여옹 #산 #인생 #비유 #노생 #유래 #도사 #세상 #주인 #빌어 #*소년* #누리 #부귀영화 #베개 #말 #80세 #꿈 #한단 #나라 #길 #영화 #중국
#부귀 #잠"
"* 簞食瓢飮(단사표음)*: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나무 #만족 #밥 #물 #의미 #대*그릇* #음식 #*그릇* #밥*그릇* #표주박 #가난 #소박 #대나무 #생활 #청빈"
"* 杜門不出(두문불출)*: (1)집에만 있고 바깥출입을 아니함. (2)세상을 피하여 집에서 숨어 살면서 나라나 *사회*의 일을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집 #나라 #관직 #의미 #밖 #*사회* #세상"
* 氣高萬丈(기고만장)*: (1)펄펄 뛸 만큼 대단히 성이 남. (2)일이 뜻대로 잘될 때, 우쭐하여 뽐내는 *기세*가 대단함.
"* 煙幕戰術(연막전술)*: (1)적의 관측이나 사격으로부터 아군의 군사 *행동* 따위를 감추기 위하여 연막을 치는 전술. (2)어떤
사실을 숨기기 위하여 약삭빠르고 능청스러운 말이나 수단 따위를 써서 상대편이 갈피를 못 잡게 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刎頸之交(문경지교)*: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魔風(마풍)*: 악마가 일으키는 *바람*이라는 뜻으로, 무섭게 휩쓸고 지나가는 *바람*을 이르는 말.
"* 殺生有擇(살생유택)*: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화 #때 #살생 #통일 #세속 #세속오계"
"* 率先垂範(솔선수범)*: 남보다 앞장서서 행동해서 몸소 다른 사람의 본보기가 됨.
#앞 #모*범* #행동 #사람"
"* 屠門大嚼(도문대작)*: 조선 시대에, 허균이 전국 팔도의 식품과 명산지에 관하여 적은 책.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식품
전문서이다. 1권.
#책 #흉내 #집 #팔도 #앞 #시대 #전국 #실현 #상상 #입 #문서 #*나라* #의미 #우리 #조선 #유쾌 #우리*나라*"
* 在家無日(재가무일)*: 바삐 *돌*아다니느라고 집에 있는 날이 없음.
"* 吐握之勞(토악지로)*: 뱉고 움켜쥐던 수고로움이라는 뜻으로, 주나라 주공이 현인(賢人)을 모*시기* 위해 손님이 찾아오면 먹던 것을
뱉거나 감던 머리도 움켜쥐고 달려 나와 맞이한 것에서 현사(賢士)를 얻으려고 성의를 다하던 정성과 자세.
#주나라 #정성 #노력 #머리 #인물 #포악 #현사 #자세 #현인 #손님 #수고 #주공 #악 #맞이 #성의"
"* 妻城子獄(처성자옥)*: 아내는 성(城)이고 *자식*은 감옥이라는 뜻으로, 처자가 있는 사람은 거기에 얽매여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生離死別(생리사별)*: 살아 있을 때에는 멀리 떨어져 있고 죽어서는 영원히 헤어짐.
#때"
"* 魚水之樂(어수지락)*: 물고기와 물의 *관계*처럼 어진 임금과 신하가 서로 이해하고 돕는 즐거움.
#신하 #임금 #*관계* #물 #물의 #이해 #즐거움"
"* 濫竽(남우)*: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일 #무능 #*재능* #말 #실력 #차지 #유래 #때 #남곽 #불 #도망 #나라 #생황 #중국 #지위 #벼슬 #가운데 #사람"
* 人微言輕(인미언경)*: 사람이 미천하면 말이 가볍다는 뜻으로, 사람이 미천한 *지위*에 있으면 말의 힘이 없다는 의미.
* 婦弟(부제)*: 주로 편지글에서, *아내*의 동생이라는 뜻으로, 처남이 매부에게 자기를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 福緣善慶(복연선경)*: *복*(福)은 착한 일에서 오는 것이니, 착한 일을 하면 경사(慶事)가 옴.
"* 同價紅裳(동가홍상)*: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는 뜻으로, 같은 *값*이면 좋은 물건을 가짐을 이르는 말.
#조건 #마음 #*값* #치마 #편리 #의미 #물건 #속담 #이왕"
* 萬里他國(만리타국)*: 조국이나 고향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나라*.
"* 材大難用(재대난용)*: 재목(材木)이 너무 커서 도리어 쓰지 어렵다는 말로, 재주 있는 이가 불우(不遇)한 처지(處地)에 있음을
이르는 말.
#재주 #말 #불우 #재목"
"* 假道滅虢(가도멸괵)*: 다른 나라의 길을 *임시*로 빌려 쓰다가 나중에 그 나라를 쳐서 없앰.
#길 #나중 #*임시* #나라"
"* 情弟(정제)*: 주로 편지글에서, 정다운 아우라는 뜻으로 다정한 벗 *사이*에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말 #*사이* #아우 #벗 #아우라 #다정"
"* 閑雲野鶴(한운야학)*: 한가로이 떠도는 구름과 들에 노니는 학이라는 뜻으로, 아무 매인 데 없는 한가로운 생활로 *유유*자적하는
경지를 이르는 말.
#따위 #강호 #사람 #아래 #벼슬 #심경 #속박 #구름 #학 #자유 #한가 #생활 #세상"
"* 魚水之交(어수지교)*: (1)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라는 뜻으로,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의 *친밀*함을 이르는 말.
#신하 #*친밀*함 #임금 #관계 #물 #물의 #*친밀* #부부 #친근 #사이"
"* 布衣之交(포의지교)*: 베옷을 입고 다닐 때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벼슬을 하기 전 선비 *시절*에 사귐. 또는 그렇게 사귄 벗을
이르는 말.
#교제 #이익 #베옷 #서민 #벗 #때 #신분 #비유 #안중 #*시절* #지위 #벼슬 #가난 #선비 #따위"
"* 四海爲家(사해위가)*: 온 세상이 집이 된다는 뜻으로, 천하를 제 집안으로 만든다는 의미로는 제업(帝業)의 광대함을 이르고, 온나라
어느 곳에도 집이 있다는 의미로는 떠돌아다니며 일정한 주거가 없다는 의미로 *사용*됨."
"* 夜雨對牀(야우대상)*: 밤비 소리를 들으면서 침상(寢床)을 나란히 놓고 눕는 다는 뜻으로, 형세(形勢)나 *친구*(親舊) 사이가
좋음을 이르는 말.
#*친구* #사이 #형세 #소리"
"* 非池中物(비지중물)*: 연못 속의 인*물*이 아니라는 뜻으로, 용이 때를 만나면 *물*을 벗어나 하늘로 올라가듯이 영웅도 때가 되면
세상에 나와 뜻을 편다는 것에서 장차 대성할 인*물*을 비유함."
유지
"* 東西二京(동서이경)*: 동과 서에 두 서울이 있으니, 동경(東京)은 낙양(洛陽)이고 서경(西京)은 장안(長安)임.
#낙양 #서울 #장안"
"* 自由闊達(자유활달)*: 마음이 넓고 자유(自由)로워 사물(事物)에 구애(拘礙)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의 언동(言動)을 받*아들*이려
하는 마음의 준비(準備)가 있어 인간적(人間的)이고 의지(依支)할 만함을 이르는 말."
"* 三從之道(삼종지도)*: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예기≫의 의례(儀禮) 에 나오는 말이다."
"* 難忘之恩(난망지은)*: 잊을 수 없는 *은혜*.
#*은혜*"
"* 男女老少(남녀로소)*: (1)남자와 여자, 늙은이와 젊은이란 뜻으로, 모든 사람을 이르는 말. (2)‘*남녀*노소’의 북한어.
#여자 #*남녀* #젊은이 #남자 #늙은이 #사람"
* 名滿天下(명만천하)*: 이름이 *세상*에 널리 퍼짐.
* 八字打開(팔자타개)*: 팔자(八字) *모양*으로 확 연다는 뜻으로, 아주 명백하게 밝혀서 해명한다는 의미.
* 白白紅紅(백백홍홍)*: 희끗희끗하고 불긋불긋한 모양.
"* 無常遷流(무상천류)*: *인간* 세상이 쉬지 않고 변천함.
#*인간* #세상 #변천 #흐름"
"* 三年不弔(삼년부조)*: 삼년상을 치르는 상제는 상기(喪期) 삼 년 동안 남의 상사(喪事)에 조*상하*지 못하거나 아니함.
#상사 #삼년 #상제 #때 #동안 #조상"
"* 輪遞天子(윤체천자)*: 바퀴가 돌 듯 갈마드는 천자라는 뜻으로, 돌아가며 한번씩 하는 천자자리인 ‘돌림천자’라는 의*미인*데,
사대주의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호방한 기상을 엿볼 수 있는 백호(白湖) 임제(林悌)의 주장에서
유래함.[출전]《성호사설(星湖僿說)》〈선희학(善戱謔)>."
* 杯酒解怨(배주해원)*: 술을 잔에 따르며 원망을 푼다는 뜻으로, 서로 술잔을 나누는 *사이*에 묵은 원한을 잊어버린다는 의미.
* 風打浪打(풍타낭타)*: 바람이 치고 물결이 친다는 뜻으로, 일정한 주의(主義)나 주장 없이 그저 대세에 따라 *행동*함을 이르는 말.
"* 粉白黛綠(분백대록)*: 얼굴에 분을 희게 바르고 눈썹을 푸르게 그린다는 뜻으로, 여인이 곱게 화장하는 일이나 곱게 화장한 여인을
이르는 말."
"* 弄瓦之慶(롱와지경)*: (1)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농와지경’의 북한어."
"* 萬分之一(만분지일)*: 만으로 나눈 것의 *하나*라는 뜻으로, 아주 적은 경우를 이르는 말.
#비교 #경우"
"* 朝名市利(조명시리)*: 명예는 조정에서 다투고 *이익*은 시장에서 다투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알맞은 곳에서 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天縱之聖(천종지성)*: (1)*공자*의 덕화(德化)를 이르는 말. (2)제왕의 성덕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제왕 #말 #왕 #칭송 #孔子 #도덕 #*공자*"
* 自暴自棄(자포자기)*: 절망에 빠져 *자신*을 스스로 포기(抛棄)하고 돌아보지 아니함.
"* 滿面愁色(만면수색)*: *얼굴*에 가득 찬 근심의 빛.
#빛 #수심 #근심 #*얼굴*"
"* 狗馬之心(구마지심)*: 개나 말이 주인에 대하여 가지는 *충성*심이란 뜻으로, 자기의 진심을 낮추어 이르는 말.
#주인 #*충성* #마음 #말 #진심 #자신"
소년
"* 朝夕變改(조석변개)*: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자주 고침을 이르는 말.
#고침 #아침 #이름 #계획 #결정 #*저녁* #따위 #아침*저녁*"
"* 鶴脛不可斷(학경불가단)*: 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말라는 뜻으로, 사물은 각각 타고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힘으로
함부로 *가*감손익(加減損益)을 하여서는 안 된다는 의미.
#사물 #때문 #특성 #의미 #다리 #힘 #학"
* 稻熟黃滿野春來綠遍山(도숙황만야춘래록편산)*: 벼가 익으니 누런 빛이 들에 가득하고, 봄이 오니 푸르름이 *산*을 둘렀음.
"* 山上垂訓(산상수훈)*: 신약 성경 가운데 5~7장에 실려 있는 예수의 가르침. 신앙생활의 *근본* 원리가 간명하게 정리ㆍ기술되어
있다."
"* 白魚入舟(백어입주)*: 적이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강을 건널 때, 백어가 배에
뛰어들어 은나라가 항복할 조짐을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白)은 은나라를 상징하는 *빛깔*이었다.
#항복 #강 #주나라 #*빛깔* #은나라 #왕 #배 #말 #무왕 #때 #상징 #나라 #비유 #중국 #백 #조짐 #유래 #주왕"
"* 干戚(간척)*: (1)방패와 도끼라는 뜻으로, *전쟁*에 쓰는 병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2)간척무를 출 때 손에 잡는
무구(舞具). 간은 왼손의 방패를, 척은 오른손의 도끼를 이른다.
#병란 #때 #창 #*전쟁* #비유 #방패 #병 #도끼"
* 輕擧妄動(경거망동)*: 경솔하여 생각 없이 망령되게 *행동*함. 또는 그런 *행동*.
* 私其飮食禽雖之類(사기음식금수지류)*: *형제*(兄弟) 간(間)에 음식(飮食)을 사사(私事)로이 한다면 새나 짐승의 무리와 같음.
"* 容之如地(용지여지)*: 포용함이 땅과 같다는 뜻으로, 대지(大地)가 만물을 포용하듯이 받아들이는 마음이 너그럽고 큼을 비유하는 말.
#땅 #마음 #대지 #비유 #만물"
"* 傾囷倒廩(경균도름)*: (1)어떤 일을 하기 위하여 모든 *재산*을 내놓음. (2)마음에 품은 생각을 숨김없이 드러내어 말함.
#일 #마음 #말 #*재산* #속마음 #생각 #창고 #쌀"
"* 斑衣之戱(반의지희)*: 색동저고리의 놀이라는 뜻으로, 춘추시대 노나라의 노래자가 일흔 살이 되어도 색동저고리를 입고 노모 앞에서
어리광을 부려 *어머니*의 늙음을 잊게 했다는 고사에서 효양(孝養)을 비유."
"* 虎死留皮(호사유피)*: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은 죽어서 명예를 남겨야 함을 이르는 말.
#명예 #이름 #말 #범 #호랑이 #명성 #비유 #*가죽* #사람"
* 黨同伐異(당동벌이)*: 일의 옳고 그름은 따지지 않고 뜻이 같은 *무리*끼리는 서로 돕고 그렇지 않은 *무리*는 배척함.
"* 董狐之筆(동호지필)*: 사실을 숨기지 아니하고 그대로 씀을 이르는 말.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사관(史官)이었던 동호(董狐)가
위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실을 사실대로 직필(直筆)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怒髮衝冠(노발충관)*: 노하여 일어선 머리카락이 관을 추켜올린다는 뜻으로, 몹시 성이 난 *모양*을 이르는 말.
#머리카락 #머리털 #성 #*모양*"
"* 百年偕樂(백년해락)*: *부부*가 되어 한평생을 같이 즐겁게 지냄.
#*부부* #한평생"
"* 變風移俗(변풍이속)*: *풍속*을 변화시켜 옮긴다는 뜻으로, *풍속*(風俗)을 바꾼다는 의미.
#의미 #*풍속* #변화"
"* 傍照引用(방조인용)*: 적*용*할 만한 법조문이 없을 때에 비슷한 다른 법조문을 끌어다 적*용*하는 일.
#일 #적*용* #조문 #법 #때 #비슷"
"* 如魚遊釜中(여어유부중)*: 솥 안에서 노는 *물고기*와 같다는 뜻으로, 살았다고는 하나 목숨이 오래 가지 못함을 이르는 말.
#목숨 #솥"
* 魚頭一味(어두일미)*: *물*고기는 머리 쪽이 그중 맛이 있다는 말.
"* 容之如地(용지여지)*: 포용함이 땅과 같다는 뜻으로, 대지(大地)가 만물을 포용하듯이 받*아들*이는 마음이 너그럽고 큼을 비유하는
말."
"* 覆敗之患(복패지환)*: 뒤집혀서 패할 근심이라는 뜻으로, (1) 배가 전복할 근심 (2) *싸움*에 패할 근심(3) 가운(家運)이
기울어질 근심."
"* 陶婚式(도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2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사기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축하 #*풍속* #혼인 #의식 #부부 #기념 #20주년"
"* 駑馬十駕(노마십가)*: 느리고 둔한 말도 준마의 하룻길을 열흘에는 갈 수 있다는 뜻으로, 둔하고 재능이 *모자*라는 사람도 열심히
하면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재주 #재능 #말 #노력 #열흘 #비유 #수레 #준마 #동안 #훌륭 #사람"
"* 吹毛求疵(취모구자)*: 상처를 찾으려고 털을 불어 헤친다는 뜻으로, 억지로 남의 작은 *허물*을 들추어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터럭 #*허물* #상처 #잘못 #털"
"* 無事泰平(무사태평)*: 일이 없이 *태평*하다는 뜻으로, 아무 탈이 없이 편안하다는 의미거나, 어떤 일에도 개의하지 않고 마음이
*태평*하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高下在心(고하재심)*: 놀고 낮음이 마음에 있다는 뜻으로, 높이 하거나 낮게 하는 것은 다 마음 쓰기에 달렸다는 의미인데, 1
마음먹기에 따라 일의 성패가 판가름나는 일을 의미하거나, 2. 진퇴상벌의 권리를 마음대로 하는 일을 의미하기도 함.
#일 #마음 #성패 #상벌 #의미 #진퇴 #낮 #권리 #높이"
"* 傾城(경성)*: (1)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태롭게 할 정도로 뛰어*남*을 이르는 말. (2)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 意氣銷沈(의기소침)*: *기운*이 없어지고 풀이 죽음.
#죽음 #상황 #*기운* #쇠 #쇠퇴 #의지 #풀이"
"* 無恒産無恒心(무항산무항심)*: 항산이 없으면 항심도 없다는 뜻으로, 일정한 직업이 없는 사람은 안정된 일정한 *도덕*심도 없다는
의미 .
#마음가짐 #일정 #안정 #재산 #의미 #생업 #직업 #항산 #사람"
"* 山外山不盡路中路無窮(산외산부진로중로무궁)*: 산 밖에 산이 다함이 없고, 길 *가운데*에 길이 다함이 없음.
#산 #길 #길이 #밖 #*가운데*"
"* 枯木發榮(고목발영)*: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 自身之策(자신지책)*: 자기(自己) 한 몸의 생활(生活)을 꾀해 나갈 계*책*(計策).
"* 事親至孝養親至誠(사친지효양친지성)*: 어버이를 섬김에는 지극(至極)한 *효*도(孝道)로써 하고 어버이를 봉양(奉養)함에는
지극(至極)한 정성(精誠)으로 해야함.
#지극 #봉양 #정성 #*효*도 #어버이"
"* 衆議成林(중의성림)*: 뭇사람들의 *의논*은 평지에 숲도 이룬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말하면 그렇지 않은 일도 그럴 듯하게
되어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일 #*의논* #말 #뭇사람들 #뭇사람 #비유 #평지 #사람"
"* 見頭角(현두각)*: 두각을 나타낸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 가운데 홀로 두드러*지게* 드러나 보임을 이르는 말.
#가운데 #사람"
"* 號令如汗(호령여한)*: 호령이 흐르는 땀과 같다는 뜻으로, 큰 명령이 마치 한 번 흘러 되돌아 갈 수 없는 땀처럼 *임금*의 명령
같아, 한 번 발포(發布)한 명령은 최소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호령 #명령 #*임금* #어려움 #땀 #한번 #최소"
"* 秀而不實(수이부실)*: 자라났으나 열매를 맺지 못했다는 뜻으로, *학문*은 진보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중도에서 그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同氣之親(동기지친)*: 형제자매 *사이*의 친애(親愛)를 이르는 말.
"* 舐犢之愛(지독지애)*: 어미 소가 송아지를 핥는 *사랑*이란 뜻으로, 자식에 대한 어버이의 지극한 *사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식 #지극 #*사랑* #어미 #겸손 #어버이 #*사랑*함"
"* 萬波息笛(만파식적)*: 신라 때의 전설상의 피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전하는데, 신라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을 위하여
동해변에 감은사(感恩寺)를 지은 뒤, 문무왕이 죽어서 된 해룡(海龍)과 김유신이 죽어서 된 천신(天神)이 합심하여 용을 시켜서 보낸
대나무로 만들었다 하며, 이것을 불면 적병이 물러가고 병이 낫는 등 나라의 모든 근심, 걱정이 사라졌다고 한다."
* 下誠(하성)*: 주로 편지글에서, 웃어른에게 자기의 정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 無識君子(무식군자)*: 배우지 못하여 *지식*이나 식견이 없어도 말과 품행이 올바른 사람.
#품행 #말 #학문 #식견 #*지식* #사람"
"* 塩分(염분)*: (1) 바닷물 속에 함유(含有)된 염류(塩類)의 양(2) 소금기③조선(朝鮮) 시대(時代)에, 관아(官衙)나
궁방(宮房)에서 소금 *장수*에게 받던 세금(稅金).
#궁 #소금 #방 #양 #*장수* #시대 #관아 #세금 #조선"
"* 事事物物(사사물물)*: 모든 일과 모든 물건. 또는 모든 현상.
#일 #물건 #현상"
* 算無遺策(산무유책)*: 책략이 빈틈이 없음.
"* 百壽百福(백수백복)*: (1)긴 수명과 온갖 복. (2)여러 가지의 전자(篆字)로 써 놓은 ‘壽福’ *글자*. 수복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게문이나 두껍닫이 따위에 써 붙였다.
#복 #갖가지 #기원 #수명 #*글자* #따위"
"* 活剝生呑(활박생탄)*: 산 채로 껍질을 *벗*기고 산 채로 삼킨다는 뜻으로, 남의 시문을 그대로 따서 자기 작품으로 삼음을 이르는
말."
"* 換腐作新(환부작신)*: 썩은 것을 싱싱한 것으로 바*꿈*.
#싱싱 #의미 #만듦 #부패 #새것 #개혁"
"* 仙露明珠(선로명주)*: 선인(仙人)이 내려 주는 이슬과 아름다운 *구슬*이라는 뜻으로, 글씨 쓰는 법이 원활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슬 #*구슬* #글씨 #법 #선 #비유 #선인"
* 刻骨銘心(각골명심)*: 어떤 일을 뼈에 새길 *정도*로 마음속 깊이 새겨 두고 잊지 아니함.
* 傳家之寶(전가지보)*: 대대로 *집안*에 전하여 내려오는 보물.
"* 殃及池魚(앙급지어)*: 재앙이 못의 물고기에 미친다는 뜻으로, 제삼자가 엉뚱하게 재난을 당함을 이르는 말. 성문(城門)에 난 불을
끄려고 못의 물을 전부 퍼 온 탓으로 그 못의 물고기가 말라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사물 #말 #미침 #엉뚱 #재난 #화 #때 #재앙 #관계 #불 #비유 #성문 #물 #나라 #연못 #말라 #제삼자 #*고사* #유래 #까닭"
* 胡不歸(호불귀)*: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 라는 뜻으로, 돌아가라는 뜻을 강하게 피력하는 말.
"* 蓮花世界(연화세계)*: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세계 #아미타불 #불토 #안락 #사람 #정토 #*인간* #염불 #불교 #불 #서쪽 #즐거움 #자유 #괴로움 #세상"
"* 鷄狗馬之血(계구마지혈)*: 임금이나 신하가 맹세할 때에 *신분*에 따라 셋으로 구분하여 쓰던 희생의 피. 임금은 소나 말의 피를,
제후는 개나 수퇘지의 피를, 대부(大夫) 이하는 닭의 피를 마셨다.
#말 #신하 #제후 #희생 #임금 #때 #*신분* #대부 #구분 #옛날 #닭 #맹세"
"* 經世致用(경세치용)*: 학문은 세상을 다스리는 데에 실질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유교의 한 *주장*.
#유교 #혁명 #실질 #이익 #학파 #실제 #학문 #이바지 #실학 #유학 #*주장* #분야 #성리학 #사회 #세상"
"* 虛傳將令(허전장령)*: (1)장수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 (2)윗*사람*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不知甘苦(부지감고)*: 단지 쓴지를 모른다는 뜻으로, 도리에 어두운 사람이나 극히 알기 쉬운 이치도 알지 못하는 사람의 비유로
*사용*함."
"* 轍迹(철적)*: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물*이 지나간 흔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물* #흔적 #자국 #수레바퀴"
"* 瞎虎(할호)*: 한쪽 눈이 먼 *호랑이*라는 뜻으로, 잔인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사람 #눈 #*호랑이* #잔인 #쪽 #한쪽"
"* 欠身答禮(흠신답례)*: *몸*을 굽혀서 답례함. 또는 그런 답례.
#의미 #*몸* #답례"
"* 羚羊挂角(영양괘각)*: 영양이 *밤*에 잘 때에는 나뭇가지에 뿔을 걸어서 위해(危害)를 막는다는 뜻으로, 흔적(痕跡ㆍ痕迹)을 찾을
수 없음. 모든 것을 초탈하여 자유분방(奔放)한 시의 세계(世界)를 이르는 말."
"* 天方地軸(천방지축)*: (1)못난 사람이 종작없이 덤벙이는 일. (2)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뜀. (3)못난 사람이 종작없이
덤벙이는 *모양*. (4)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虛室生白(허실생백)*: 방을 비우면 빛이 생긴다는 뜻으로, 방을 개방하면 광선이 들어와 환하게 되는 것처럼, 무념*무상*(無念無想)의
심경에 이르면 저절로 진리에 도달할 수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滿則溢(만즉일)*: 가득 차면 넘친다는 뜻으로, 모든 사물이 오래도록 *번성*하기 어렵다는 말.
#사물 #일 #*번성* #어려움"
"* 萬死一生(만사일생)*: 만 번 죽을 *고비*를 넘겨 한 번 살아난다는 뜻으로, 목숨이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서 겨우 살아남을 이르는
말. ≪정관정요≫에 나오는 말이다.
#*고비* #말 #목숨"
"* 靑春(청춘)*: (1)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이라는 뜻으로,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을 이르는 말. (2)1914년 10월에 최남선이 창간한 우리나라 최초의 월간 종합지. 청년을 상대로 한 계몽지로서 ≪소년≫지가
폐간된 후 그 후신으로 발간한 것으로, 신문학 운동이 일어나던 무렵에 문학 *작품*의 발표 및 문예 *작품* 현상 모집에 의한 창작
의욕의 진작, 해외 문학 번역 소개 등 문학 발전에 큰 구실을 하였다. 1918년 8월까지 통권 15호를 냈다. (3)독일의 극작가
할베(Halbe, M.)가 지은 희곡. 주인공 안헨은 대학생인 한스와 사랑을 나누나, 안헨의 이복 오빠가 질투심에서 한스를 죽이려다
잘못해서 동생 안헨을 죽이게 된다는 내용이다. 청춘의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그 당시 연애 희곡의 대표작이다. 1893년에
초연되었다. 3막. (4)1936년에 극작가 남궁만(南宮滿)이 쓴 희곡. 평양 변두리의 빈민굴에서 살아가는 실직 노동자 가족의 비극을
다룬 *작품*이다.
#내용 #의욕 #창작 #당시 #후반 #주인공 #현상 #진작 #8월 #시절 #문학 #나이 #초연 #인생 #봄철 #사랑 #운동 #안헨 #*작품* #발전 #10월 #무렵 #가족 #소년
#상대 #발표 #우리 #동생 #우리나라 #주제 #구실 #비극 #잘못 #나라 #청년 #만물 #청춘 #독일"
"* 慈姑(자고)*: (1)인자한 시어머니라는 뜻으로, 며느리가 시어머니를 이르는 말. (2)듣는 이의 시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3)택사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10미터이며, 잎은 *뿌리*에서 나와 서로 엉키면서 자란다. 꽃은 8~9월에 잎 사이에서
흰색으로 피며, 열매는 연한 녹색의 둥근 모양으로 모여 달린다. 덩이줄기는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물속에서 자라며, 중국이 원산지이다.
#물속 #말 #살이 #흰색 #녹색 #꽃 #물 #며느리 #잎 #중국 #이의 #모양 #*뿌리* #상대방 #시어머니 #열매 #사이"
"* 戴天之怨讐(대천지원수)*: *하늘*을 함께 이지 못하는 원수라는 뜻으로, 이 세상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큰 원한을 가진 원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採薪之憂(채신지우)*: 땔나무를 할 수 없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병환을 이르는 말. ≪*맹자*≫의 에 나오는 말이다.
#땔나무 #말 #나무 #표현 #병환 #공손 #병 #사용 #겸손 #근심 #*맹자* #자신"
먹이
* 爪牙之士(조아지사)*: 믿을 만하고 도움이 되는 *신하*.
"* 七縱七擒(칠종칠금)*: 마음대로 잡았다 놓아주었다 함을 이르는 말. 중국 촉나라의 제갈량이 맹획(孟獲)을 일곱 번이나 사로잡았다가
일곱 번 놓아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여우
"* 指東指西(지동지서)*: 동쪽을 가리키기도 하고 *서쪽*을 가리키기도 한다는 뜻으로, 근본은 제쳐 놓고 딴것을 가지고 이러쿵저러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엉뚱 #동쪽 #의미 #*서쪽* #근본"
"* 兄雖責我不敢怒怨(형수책아불감노원)*: 형이 비록 나를 꾸짖더라도 감(敢)히 성내고 원망(怨望)하지 말아야 함.
#원망 #형"
"* 毫末斧柯(호말부가)*: 털끝에 도끼*자루*를 쓴다는 뜻으로, 나무는 작을 때 뽑지 않으면 나중엔 도끼를 써야 하는 것처럼, 시초에
처리하지 않으면 나중엔 처리하기 곤란하다는 의미.
#나무 #나중 #때 #끝 #의미 #털 #시초 #*자루* #털끝 #처리 #곤란 #도끼"
* 鶴鳴之歎(학명지탄)*: *학*이 우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벼슬하여 뜻을 펴지 못하고 야(野)에 묻혀있는 탄식을 이르는 말.
남녀
"* 無事泰平(무사태평)*: 일이 없이 태평하다는 뜻으로, 아무 탈이 없이 *편안*하다는 의미거나, 어떤 일에도 개의하지 않고 마음이
태평하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無形學(무형학)*: 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사물 #영역 #존재 #제목 #말 #아리스토텔레스 #사유 #학문 #명칭 #철학 #*근본* #원리 #과학 #초월 #형체 #유래 #형 #본질"
"* 劍首一吷(검수일혈)*: 바람이 칼자루 끝에 있는 작은 구멍을 스쳐가는 미세한 *소리*라는 뜻으로, 들어 둘 만한 가치가 없음을
이르는 말.
#바람 #미세 #끝 #*소리* #가치 #구멍"
"* 紅鏡(홍경)*: *붉은*색으로 빛나는 거울이라는 뜻으로, 솟는 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빛 #말 #거울 #비유"
"* 數魚混水(수어혼수)*: 몇 *마리*의 물고기가 물을 흐린다는 뜻으로, 소수의 장난으로 인하여 다수가 해를 입음을 이르는 말.
#물 #*마리* #소수 #장난 #다수"
"* 免白頭(면백두)*: 머리에 아무 관도 쓰지 못하는 신세를 면한다는 뜻으로, 늙어서야 처음으로 변변치 못한 *벼슬*을 하게 됨을
이르는 말."
* 江湖之樂(강호지락)*: *자연*을 벗 삼아 누리는 즐거움.
"* 七步才(칠보재)*: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千方百計(천방백계)*: 천 가지 방*책*과 백 가지 계략이라는 뜻으로, 온갖 꾀를 이르는 말.
"* 泰山鴻毛(태산홍모)*: 태산과 기러기 터럭이라는 뜻으로, *물건*의 무거움을 비유하는 ‘泰山’과 *물건*의 가벼움을 비유하는
‘鴻毛’를 이르는 말.
#터럭 #비유 #*물건* #가벼움 #태산"
"* 貪夫殉財(탐부순재)*: 탐욕스러운 자는 재물 때문에 *목숨*을 버린다는 뜻으로, 탐욕스러운 사람은 재물을 얻기 위해 어떠한 위험도
돌보지 않아 *목숨*을 잃을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재물 #때문 #위험 #*목숨* #탐욕 #사람"
* 殺身立節(살신입절)*: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절개를 세움.
"* 風雲大手(풍운대수)*: 천도교에서, 시대 형편의 대세를 이르는 말.
#시대 #천도교 #형편 #대세"
"* 獺祭魚(달제어)*: 수*달*(水獺)이 물고기를 잡아 제사 지내는 것처럼 사방에 늘어놓는다는 뜻으로, 시문(詩文)을 지을 때에 많은
참고 서적을 벌여 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람 #풍자 #참고 #서적 #때 #사방 #비유 #시문 #제사"
"* 乞骸骨(걸해골)*: 심신은 임금께 바친 것이지만 해골만은 돌려달라는 뜻으로, 늙은 *재상*이 벼슬을 내놓고 은퇴하기를 임금에게
주청하던 일. ≪사기(史記)≫의 에서 유래한다.
#몸 #때 #은퇴 #군주 #일 #신하 #청 #조정 #비유 #유래 #*재상* #왕 #심신 #임금 #해골 #자신 #벼슬 #말 #사직 #구걸 #의미 #연로"
* 掩卷輒忘(엄권첩망)*: 책을 덮자마자 곧 그 내용을 잊어버린다는 뜻으로, *학문*에 큰 뜻이 없거나 기억력이 부족함을 이르는 말.
"* 孟母斷機(맹모단기)*: 맹자가 학업을 중단하고 돌아왔을 때에, 그 어머니가 짜던 베를 잘라서 *학문*을 중도에 그만둔 것을 훈계한
일을 이르는 말.
#일 #말 #완성 #*학문* #칼 #포기 #때 #학업 #어머니 #경계 #맹자 #훈계 #베틀 #고사 #중도"
"* 精金良玉(정금양옥)*: 정교하게 다듬은 금과 아름다운 옥이라는 뜻으로, 인품이나 시문이 맑고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순수 #아름 #금 #문장 #비유 #인격 #깨끗 #인품 #*아름다움* #시문 #정교"
"* 朝聞夕死(조문석사)*: 아침에 참된 *이치*를 들어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한이 될 것이 없다는 말.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아침 #말 #*이치* #진리 #의미 #저녁 #당장 #강조 #깨달음 #본래 #인생 #사람"
* 秋毫(추호)*: (1)가을철에 털갈이하여 *새*로 돋아난 짐승의 가는 털. (2)매우 적거나 조금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月白風淸(월백풍청)*: 달은 빛나고 바람은 맑다는 뜻으로, 달 밝은 가을*밤*을 이르는 말.
#달 #바람 #가을*밤* #형용 #깨끗 #가을"
"* 捐金沈珠(연금침주)*: *금*을 산에 버리고 구슬을 못에 빠뜨린다는 뜻으로, 재물(財物)을 가벼이 보고 부귀(富貴)를 탐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言聽計用(언청계용)*: 이야기하면 들어주고 *계책*을 세우면 쓴다는 뜻으로, 매우 신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인격 #*계책* #신임"
"* 萬死餘生(만사여생)*: 여러 번 죽을 *고비*를 넘기고 살게 된 목숨.
#*고비* #목숨"
"* 風磨雨洗(풍마우세)*: *바람*에 갈리고 비에 씻김.
#*바람* #비*바람* #자연 #동안 #침식"
"* 以貌取人(이모취인)*: *얼굴*만 보고 사람을 가리거나 씀.
#용모 #사람 #행위 #고려 #덕의 #여하 #모양 #*얼굴*"
"* 排滿復明(배만복명)*: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를 물리치고 명나라를 도와 부흥시키자는 *주장*. 조선에서는 병자호란 뒤에 일어나 효종
때에 성하였다.
#성 #청 #때 #나라 #*주장* #청나라 #조선 #명나라"
* 良民誤捉(량민오착)*: (1)죄 없는 *사람*을 잘못 잡음. (2)‘양민오착’의 북한어.
"* 鼓舞激勵(고무격려)*: 격려(激勵)하여 *기세*(氣勢)를 북돋우어 줌.
#*기세* #격려"
"* 百鬼夜行(백귀야행)*: 온갖 잡귀가 *밤*에 나다닌다는 뜻으로, 괴상한 꼴을 하고 해괴한 짓을 하는 무리가 웅성거리며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 雁行(안행)*: (1)기러기의 행렬이란 뜻으로, 남의 형제를 높여 이르는 말. (2)기러기의 행렬이란 뜻으로, 남의 형제를 높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안항’이다."
"* 秋霜烈日(추상열일)*: (1)‘추상열일’의 북한어. (2)*가을*에 내리는 찬 서리와 여름의 뜨거운 태양이라는 뜻으로, 형벌이
엄하고 권위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水火相克(수화상극)*: 물과 불이 *서로* 부딪힌다는 뜻으로, 수화(水火)가 용납되지 못하는 것처럼 *서로* 원수 사이가 되는 것.
"* 前倨後恭(전거후공)*: 처음에는 거만하다가 나중에는 공손하다는 뜻으로, 상대의 입지(立地)에 따라 *태도*가 변하는 것을 이르는 말.
#나중 #공손 #거만 #상대 #*태도* #처음"
* 天壤之間(천양지간)*: (1)하늘과 *땅* 사이라는 뜻으로, 이 세상을 이르는 말. (2)하늘과 *땅* 사이와 같이 엄청난 차이.
"* 反裘而負薪(반구이부신)*: 갖옷의 털이 상할까하여 뒤집어 입고, 나무를 등(等)에 졌더니 도리어 갖옷이 못쓰게 되었다는 뜻으로,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사람이나 생각이 좁은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 大逆不道(대역부도)*: 임금이나 나라에 큰 죄를 지어 *도리*에 크게 어긋나 있음. 또는 그런 짓.
* 堆金積玉(퇴금적옥)*: *금*을 쌓고 옥을 높이 쌓는다는 뜻으로, 아주 부유해짐을 이르는 말.
"* 塞翁之馬(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재앙 #예측 #옛날 #훌륭 #인생 #비유 #다리 #오랑캐 #길흉 #유래 #세상 #변화 #땅 #인간 #화 #노인 #길흉*화복* #말 #복 #죽음 #아들 #전쟁 #중국 #준마 #
늙은이"
"* 南橘北枳(남귤북지)*: *강남*의 귤을 강북에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은 사는 곳의 환경에 따라 착하게도 되고 악하게도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습성 #탱자 #환경 #땅 #강 #사람 #탱자나무 #나무 #선 #의미 #남쪽 #북쪽 #귤나무 #*강남* #변화 #귤"
"* 轍鮒(철부)*: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에 있는 붕어라는 뜻으로, 매우 위급한 처지에 있거나 몹시 고단하고 옹색한 사람을 이르는
말.
#수레바퀴 #물 #*자국* #위급 #붕어 #사람"
"* 使穴可入(사혈가입)*: *구멍*을 따라 들어갈 만 하다는 뜻으로, 부끄러워서 숨을 *구멍*이라도 있으면, 숨어버리고 싶다는 의미의
성어.
#의미 #*구멍*"
"* 靑紗燈籠(청사등롱)*: (1)궁중에서 사용하던 등롱. 푸른 운문사(雲紋紗)로 바탕을 삼고 위*아래*에 붉은 천으로 동을 달아서 만든
옷을 둘러씌웠다. (2)조선 시대에, 정삼품부터 정이품의 벼슬아치가 밤에 다닐 때 쓰던 품등(品燈). 푸른 사로 둘러씌웠다."
"* 天下太平(천하태평)*: 온 *세상*이 태평하다는 뜻으로, *세상*이 잘 다스려저 평화롭다는 뜻이나, 성질이 느긋하여 *세상* 물정을
모르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天下泰平’으로도 표현함."
"* 朝陽鳳凰(조양봉황)*: 동양화 화제(畫題)의 하나. 아침 해를 배경으로 *봉황*을 그린 것이다.
#동양화 #아침 #배경 #*봉황*"
"* 忘身忘家(망신망가)*: 자신(自身)과 집안의 일을 잊는다는 뜻으로, 사(私)를 돌보지 않고 오직 나라와 공(公)을 위(爲)해
헌신(獻身)함을 이르는 말."
"* 死之五等(사지오등)*: 신분에 따른 죽음의 다섯 가지 등급. 천자(天子)는 붕(崩), 제후(諸侯)는 훙(薨), 대부(大夫)는
졸(卒), *선비*는 불록(不祿), 서인(庶人)은 사(死)라 한다.
#고대 #왕 #서민 #제후 #명칭 #죽음 #대부 #신분 #의미 #시절 #등급 #*선비* #천자 #사람"
* 悅口之物(열구지물)*: 입에 맞는 음식.
"* 博施濟衆(박시제중)*: 널리 사랑과 *은혜*를 베풀어서 뭇사람을 구제함.
#뭇사람들 #사랑 #대중 #뭇사람 #의미 #구제 #*은혜*"
"* 解語花(해어화)*: (1)‘기생’을 달리 이르는 말. (2)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으로, ‘미인’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에, 현종이 양 귀비를 가리켜 말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礫塊(역괴)*: 자갈과 *흙*덩이라는 뜻으로, 아무 가치도 없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비유 #물건 #자갈 #*흙*덩이 #가치"
"* 南柯一夢(남가일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당나라 #부마 #나무 #남가군 #꿈 #때 #의미 #*영화* #중국 #부귀*영화* #부귀 #남쪽 #잠 #동안 #술 #한때 #유래"
* 深思熟考(심사숙고)*: 깊이 잘 *생각*함.
"* 無常轉變(무상전변)*: 회자정리(會者定離).
#정리"
* 灰身滅智(회신멸지)*: *몸*을 재로 만들고 지혜를 없앤다는 뜻으로, 무여열반(無餘涅槃)의 경지를 이르는 말.
* 保身之策(보신지책)*: 자신의 몸을 온전히 지키기 위한 *꾀*.
"* 愛人以德(애인이덕)*: 남을 *사랑*하기를 덕으로써 한다는 뜻으로, 일시적이며 가식적(假飾的)인 *사랑*은 *사랑*이 아님을 이르는
말.
#사람 #가식 #*사랑* #일시적"
"* 二姓之合(이성지합)*: 서로 다른 두 성이 합하였다는 뜻으로, 남녀의 혼인을 이르는 말.
#결혼 #남녀 #성 #의미 #혼인 #결합 #성의"
"* 杯水救車(배수구거)*: 한 잔의 물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려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도저히 미치지 않아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어리석은 짓을 한다는 말.
#땔나무 #말 #*능력* #불 #물 #불구 #수레 #불가능"
* 雪中四友(설중사우)*: 겨울에도 즐길 수 있는 네 *가지* 꽃. 옥매(玉梅), 납매(臘梅), 동백꽃, 수선(水仙)을 이른다.
"* 吸風飮露(흡풍음로)*: 바람을 호흡하며 이슬을 마신다는 뜻으로, 신선(神仙)의 *생활*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이슬 #바람 #신선 #비유 #*생활*"
"* 三日遊街(삼일유가)*: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시험관과 선배 급제자와 *친척*을 방문하던 일.
#선배 #일 #급제 #방문 #*친척* #제자 #사흘 #동안 #과거 #사람"
* 秋月揚明輝冬嶺秀孤松(추월양명휘동령수고송)*: 가을 달은 밝은 빛을 드날리고, 겨울 고개에 외로운 소*나무* 빼어남.
"* 易子敎之(역자교지)*: 나의 *자식*(子息)과 남의 *자식*(子息)을 바꾸어 교육(敎育)한다는 뜻으로, 부자(父子) 사이엔 잘못을
꾸짖기 어렵다는 뜻으로 쓰임."
"* 貴鵠賤鷄(귀곡천계)*: 고니를 귀하게 여기고 *닭*을 천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드문 것은 귀하게, 흔한 것은 천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 萬年之宅(만년지택)*: 오랜 기간 *동안* 쓰도록 기초를 튼튼히 하여 잘 지은 집.
"* 天地開闢(천지개벽)*: (1)원래 하나의 혼돈체였던 하늘과 땅이 서로 나뉘면서 이 세상이 시작되었다는 중국 고대의 사상에서 나온
말로, 천지가 처음으로 열림을 이르는 말. (2)자연계에서나 *사회*에서 큰 변혁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대 #땅 #말 #원래 #사용 #비유 #시작 #변동 #사상 #중국 #하늘 #자연계 #*사회* #처음 #세상"
"* 矛盾(모순)*: (1)어떤 사실의 앞뒤, 또는 두 사실이 *이치*상 어긋나서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상인이
창과 방패를 팔면서 창은 어떤 방패로도 막지 못하는 창이라 하고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지 못하는 방패라 하여, 앞뒤가 맞지 않은 말을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2)두 가지의 판단, 사태 따위가 양립하지 못하고 서로 배척하는 상태. 두 판단이 중간에 존재하는 것이 없이
대립하여 양립하지 못하는 관계로, 이를테면 ‘고양이는 동물이지만 동물이 아니다.’ 따위이다. (3)투쟁 관계에 있는 두 대립물이
공존하면서 맺는 상호 관계. 논리적 모순과 변증법적 모순이 있는데, 논리적 모순이 사유의 영역에만 존재하는 데 비해 변증법적 모순은
사물, 체계 따위의 객관적 실재에 속하며 모든 운동과 변화, 발전의 근원이 된다. (4)2001년 류석훈이 발표한 안무 작품. 앵벌이
소년의 삶과 죽음을 통해 사회의 모순을 고발한 작품이다."
"* 不患無位(불환무위)*: 지위가 없음을 근심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자는 *벼슬*자리에 오르지 못함을 개의치 않는다는 의미.
#*벼슬* #개의 #의미 #*벼슬*자리 #군자 #근심 #지위 #자리"
"* 亥豕之譌(해시지와)*: 서로 비슷한 글자 *가운데* 하나를 다른 글자로 잘못 써 뜻을 그릇 전하게 됨을 이르는 말. 기해(己亥)를
삼시(三豕)로 잘못 썼다는 데서 유래한다."
* 反哺(반포)*: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
* 大逆不道(대역부도)*: *임금*이나 나라에 큰 죄를 지어 도리에 크게 어긋나 있음. 또는 그런 짓.
"* 名譽回復(명예회복)*: 실추된 *명예*를 원래의 상태로 돌이킴.
#*명예* #원래 #상태"
* 言無二價(언무이가)*: 두 가지 값을 부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물건*값을 에누리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天時不如地利地利不如人和(천시불여지리지리불여인화)*: 하늘이 주는 좋은 때는 지리적(地理的) 이로움만 못하고 지리적(地理的) 이로움도
사람의 화합(和合)만 못함.
#때 #지리 #하늘 #화합 #사람"
"* 登樓去梯(등루거제)*: 다락에 오르게 하고 사다리를 치운다는 뜻으로, 사람을 꾀어서 어려운 *처지*에 빠지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舐犢之愛(지독지애)*: 어미 소가 송아지를 핥는 사랑이란 뜻으로, *자식*에 대한 어버이의 지극한 사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식* #지극 #사랑 #어미 #겸손 #어버이 #사랑함"
"* 黔首(검수)*: 검은 두건을 쓴 머리라는 뜻으로, 일반 백성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대 *중국*에서 평민들이 머리에 검은 두건을
쓴 데서 비롯된 말이다."
"* 兵不血刃(병불혈인)*: 병사가 칼에 피를 묻히지 아니하였다는 뜻으로, 피를 흘릴 만한 *싸움*도 하지 아니하고 쉽게 이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孤根弱植(고근약식)*: 외로운 *뿌리*, 약한 식목이라는 뜻으로, 친척이나 돌보는 사람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사람 #비유 #친척 #일가 #*뿌리*"
"* 驟雨不終日(취우부종일)*: 소나기는 하루 종일 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위세(威勢)를 부리는 자는 오래*가지* 않음을 비유하거나,
급히 서두르는 일이 오래 계속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權不十年 (권불십년)]."
"* 杞人之憂(기인지우)*: 앞일에 대해 쓸데없는 걱정을 함. 또는 그 걱정. 옛날 중국 기(杞)나라에 살던 한 *사람*이 ‘만일 하늘이
무너지면 어디로 피해야 좋을 것인가?’ 하고 침식을 잊고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어디 #사용 #나라 #의미 #침식 #걱정 #옛날 #근심 #앞일 #하늘 #중국 #유래 #기우 #*사람*"
"* 夫貴妻榮(부귀처영)*: *남편*이 귀하면 아내가 영화롭다는 뜻으로, *남편*의 신분 고하(高下)에 따라 아내의 영화가 변한다는
의미이나, 현대에 와서는 배우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역설적 의미로 활용함이 좋을 듯 함."
등불
"* 是父是子(시부시자)*: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뜻으로, 그 아비를 닮은 그 자식이라는 *의미*에서 부자(父子)가 모두 훌륭함을
이르는 말.
#자식 #아들 #부자 #아비 #*의미* #훌륭"
"* 股肱(고굉)*: (1)다리와 팔이라는 뜻으로, 온몸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
#온몸 #신하 #*임금* #신임 #다리"
* 再堂叔(재당숙)*: 아버지의 육촌 *형제*.
"* 魚目混珠(어목혼주)*: 물고기의 눈알과 *구슬*이 뒤섞인다는 뜻으로, 가짜와 진짜가 마구 뒤섞임을 이르는 말.
#*구슬* #진짜 #눈알 #눈 #가짜 #의미 #분간"
"* 石破天驚(석파천경)*: 돌을 깨뜨려 하늘도 놀란다는 뜻으로, 아주 의표(意表)를 찔러 *형용*할 수 없다는 것에서, '착상이
기발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형용* #사용 #의미 #기발 #하늘"
"* 假虎威狐(가호위호)*: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 兒童便射(아동편사)*: 궁술(弓術)을 장려하기 위하여 동네마다 *아이*들만으로 편을 갈라 활 쏘는 기예를 겨루던 일.
#일 #*아이* #동네 #어린이 #갈라 #기예 #장려 #활 #*아이*들"
"* 啐啄同時(줄탁동식)*: 울고 쪼는 것이 같은 시기에 한다는 뜻으로, 알에서 나오려는 병아리의 껍질 쪼는 소리에 어미 *닭*이 껍질을
쪼아서 나오도록 도와주는 것을 동시에 한다는 의미에서 사제간(師弟間)의 연분이 서로 무르익은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로 사용됨.
#말 #병아리 #껍질 #표현 #상황 #사용 #소리 #어미 #의미 #*닭* #연분"
* 各自爲心(각자위심)*: 제각기 *마음*을 달리 먹음. 또는 그 *마음*.
* 萬年不敗(만년불패)*: 매우 튼튼하여 오래도록 깨지지 아니함.
"* 萬乘之尊(만승지존)*: ‘*천자*’를 높여 이르는 말.
#*천자* #지위"
* 君臣有義(군신유의)*: 오륜(五倫)의 하나.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은거
"* 橫海鱗(횡해린)*: 바다에 *가득* 찰 물고기라는 뜻으로, 바다를 채울 정도의 큰 물고기의 의미에서 훌륭한 인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禍重乎地(화중호지)*: *재앙*은 땅보다 무겁다는 뜻으로, *재앙*의 무거움에도 불구하고 사람은 이를 피할 줄 모름을 비유하는 말.
"* 卒壽(졸수)*: 졸(卒)의 약자의 *모양*(模樣)에서 따와 졸수(卒壽)는 구십(九十)세, 즉 90세.
#약자 #*모양*"
"* 臥龍鳳雛(와룡봉추)*: 누워있는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영웅(英雄)이 아직 세상에 나타나지 않고 숨어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伏龍鳳雛(복룡봉추)]."
"* 蝶粉蜂黃(접분봉황)*: 나비 날개의 흰 가루와 벌의 누런빛이라는 뜻으로, 나비가 교미하면 그 가루를 잃고 벌이 교미하면 그 누런빛이
스러짐을 이르는 말.
#궁 #빛 #이름 #말 #가루 #나라 #나비 #날개 #벌이 #단장 #누런빛"
"* 巫山之雲(무산지운)*: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貴脚踏賤地(귀각답천지)*: 귀한 발로 천한 *땅*을 밟았다는 뜻으로, 누추한 곳에 잘 오셨다는 겸손한 인사말의 의미.
#의미 #겸손 #*땅* #인사말"
"* 出天烈女(출천열녀)*: *하늘*이 낸 열녀라는 뜻으로, 매우 절개가 굳은 열녀를 이르는 말.
#절개 #이름 #여인 #*하늘* #정조 #부녀자 #열녀 #정도 #실천"
"* 借花獻佛(차화헌불)*: 꽃을 빌려 부처에 바친다는 뜻으로, 남의 물건으로 자신의 이득을 *꾀*한다는 의미.
#일 #선물 #이득 #꽃 #의미 #물건 #자신 #부처 #봄"
* 書同文(서동문)*: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 膠柱鼓瑟(교주고슬)*: 아교풀로 비파나 거문고의 기러기발을 붙여 놓으면 음조를 바꿀 수 없다는 뜻으로, 고지식하여 조금도 융통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인상여 #인상 #기러기발 #말 #아교풀 #풀 #융통성 #고지식 #조금 #변통 #규칙 #거문고 #연주"
"* 破天荒(파천황)*: (1)이전에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해냄을 이르는 말. ≪북몽쇄언(北夢瑣言)≫에 나오는 말로, 중국
당나라의 형주(荊州) *지방*에서 과거의 합격자가 없어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한 상태라는 뜻으로 천황(天荒)이라고 불리었는데
유세(劉蛻)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합격하여 천황을 깼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양반이 없는 시골이나 인구수가 적은 성씨에 인재가 나서
본래의 미천한 상태를 벗어남.
#당나라 #이름 #경우 #양반 #이전 #급제 #생각 #합격 #처음 #일 #행 #유래 #과거 #사람 #북 #인재 #형 #상태 #성씨 #말 #양 #미천 #*지방* #시골 #중국 #본래"
"* 嫡弟(적제)*: 서자가 *자기* 아버지의 정실에게서 난 아우를 이르는 말.
#정실 #서자 #아우"
* 禮尙往來(예상왕래)*: 예절은 *서로* 왕래하여 사귐을 귀하게 여긴다는 말.
* 舍車而徒(시거이도)*: 수레를 버리고 걸어간다는 뜻으로, 불의(不義)의 *지위*를 버리고 청빈(淸貧)에 만족함을 이르는 말.
"* 剝面皮(박면피)*: (1) 낯*가죽*을 벗김 (2) 낯*가죽*이 두꺼운 자를 욕보임.
#낯 #*가죽* #낯*가죽*"
* 萬不成樣(만불성양)*: 전혀 꼴이 갖추어지지 아니함.
"* 兄肥弟瘦(형비제수)*: 형은 살찌고 아우는 마르다는 뜻으로, *형제*의 신분이 다름을 이르거나, 형은 동생 대신 동생은 형 대신
서로 돕는 일의 의미로 사용됨."
"* 秉燭夜行(병촉야행)*: 촛불을 들고 밤길을 간다는 뜻으로, *시기*(時期)에 늦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밤길 #촛불 #비유"
"* 漆身爲癩(칠신위라)*: 몸에 옻칠을 하여 문둥이처럼 가장한다는 뜻으로, 원수(怨讐)를 갚기 위(爲)해 용모(容貌)를 바*꿈*을
이르는 말."
* 再堂叔(재당숙)*: *아버지*의 육촌 형제.
"* 櫨木櫃(로목궤)*: (1)융통성이 전혀 없는 미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딸을 둔 노인이 거먕옻나무 궤를 짜서 남몰래 *쌀*
쉰닷 말을 넣어 두고 이것을 알아맞히는 사람을 사위로 삼기로 했는데, 그 사실을 알게 된 장사꾼이 사위가 된 후로 장인이 부르기만
하면, ‘노목궤, *쌀* 쉰닷 말’ 하는 말만 되풀이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노목궤’의 북한어.
#말 #되풀이 #두고 #나무 #딸 #융통성 #사위 #미련 #이것 #장사꾼 #장인 #사실 #장사 #노인 #*쌀* #유래 #조금 #사람"
* 冷汗三斗(냉한삼두)*: 식은땀이 서 *말*이나 나온다는 뜻으로, 몹시 무서워하거나 부끄러워함을 이르는 *말*.
* 居安思危(거안사위)*: 편안하게 있을 때, 위태로움을 생각하라는 뜻으로, *근심* 걱정이 없을 때 미리 준비하고 대비하라는 의미.
"* 靑山一髮(청산일발)*: 먼 수평선(水平線) 저쪽의 푸른 산이 아득히 안 올의 *머리*카락처럼 보임.
#*머리*카락 #저쪽 #산"
"* 薄利多賣(박리다매)*: *이익*을 적게 보고 많이 파는 것.
#*이익* #의미 #수익 #이문 #상품"
"* 當禁之地(당금지지)*: 다른 사람이 뫼를 쓰지 못하게 하는 *땅*.
#허락 #*땅* #장사 #사람"
"* 洛陽紙價貴(낙양지가귀)*: 낙양의 종이 *값*이 올랐다는 뜻으로, 책이 널리 세상에 퍼져 애독된다는 의미.
#책 #*값* #저서 #의미 #낙양 #종이 #세상"
"* 擇日成禮(택일성례)*: 날을 가려 혼례를 올린다는 뜻으로, 좋은 날짜를 골라 혼례(婚禮)를 치름을 이르는 말.
#혼례 #날짜"
* 血肉之親(혈육지친)*: 부모, 자식, *형제* 따위 한 혈통으로 맺어진 육친.
* 舍車而徒(시거이도)*: *수레*를 버리고 걸어간다는 뜻으로, 불의(不義)의 지위를 버리고 청빈(淸貧)에 만족함을 이르는 말.
"* 灰頭土面(회두토면)*: 머리에 재를 뒤집어쓰고 얼굴에 흙을 칠한다는 뜻으로, 속인(俗人)과 같이 어울려 그 처지에서 말하며 같이
고뇌를 나누어야 한다는 중생 교화를 위한 거리낌 없는 *노력*의 의미.
#고뇌 #말 #*노력* #거리낌 #속인 #머리 #의미 #얼굴 #중생 #흙 #교화"
"* 同字異音(동자이음)*: *글자*는 같으나 소리가 다름.
#*글자* #소리"
"* 聰明睿智(총명예지)*: 듣지 못한 것이 없고(聰), 보지 못한 것이 없으며(明), 통(通)하지 않은 것이 없고(睿), 알지 못하는
것이 없다(智)는 뜻으로, 성인(聖人)의 네 가지 덕(德)을 이르는 말.
#통 #성 #성인"
"* 父父子子(부부자자)*: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자식은 자식답다는 뜻으로, 자신의 직분을 충실하게 행할 때, 모든 사회 구성원의 바른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는 *공자*(孔子)의 정명론(正名論) 내용."
"* 使民以時(사민이시)*: 백성을 부리는 것은 때에 맞게 한다는 뜻으로, 농번기를 피하여 백성들을 사역(使役)시킨다는 *의미*인데,
孔子가 말한 백성을 올바로 다스리는 그 첩경의 하나임."
"* 逐鷄望籬(축계망리)*: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는 뜻으로, 애써 하던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남보다 뒤떨어져 맥이 빠진 경우를
이르는 말."
"* 輓歌(만가)*: (1) 상여(喪輿)를 메고 갈 때 부르는 *노래* (2) 죽은 사람을 애도(哀悼)하는 *노래*.
#애도 #때 #*노래* #사람"
"* 自由放任(자유방임)*: (1)각자의 자유에 맡겨 간섭하지 아니함. (2)경제 정책에서, 국가의 간섭을 제한하고 *사유* 재산과
기업의 자유 활동을 지지하는 주장.
#제한 #*사유* #활동 #국가 #재산 #정책 #의미 #주장 #각자 #자유 #간섭"
"* 琢磨(탁마)*: (1)옥이나 돌 따위를 쪼고 갊. (2)*학문*이나 덕행 따위를 닦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행 #*학문* #정신 #기예 #수행 #따위 #덕행"
"* 豕交獸畜(시교수축)*: *돼지*처럼 대하고 짐승처럼 기른다는 뜻으로, 사람을 예로써 대우하지 않고 짐승같이 취급함을 이르는 말.
#대우 #짐승 #사람 #비유"
"* 隔靴爬癢(격화파양)*: 신을 신고 발*바닥*을 긁는다는 뜻으로, 일이 성에 차지 않는 안타까움을 이르는 말.
#일 #성 #차지 #어려움 #효과"
"* 放逐鄕里(방축향리)*: 조선 시대에, *벼슬*을 삭탈하고 제 고향으로 내쫓던 형벌. 유배보다는 한 등급 가벼운 형벌이다.
#*벼슬* #고향 #탈 #시대 #때 #시골 #등급 #조선 #귀양 #형벌"
"* 桑中之喜(상중지희)*: 남녀 간의 불의(不義)의 쾌락이나 *풍속*의 퇴폐를 풍자하여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공실(公室)이
음탕하여 뽕나무밭에서 정을 통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糊口策(호구책)*: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책 #*가난* #살림 #방책"
"* 大器小用(대기소용)*: 유능한 사람을 *능력*에 걸맞지 않은 낮은 자리에 앉히고 부림.
#일 #재능 #유능 #두고 #*능력* #비유 #큰그릇 #누구 #인재 #지위 #낮 #자리 #그릇 #사람"
동아리
"* 讀書三到(독서삼도)*: 독서를 하는 세 가지 방법. 입으로 다른 말을 아니 하고 책을 읽는 구도(口到), 눈으로 다른 것을 보지
않고 책만 잘 보는 안도(眼到), 마음속에 *깊이* 새기는 심도(心到)를 이른다."
"* 八街九陌(팔가구맥)*: 여덟 *갈래*의 거리와 아홉 *갈래*의 거리라는 뜻으로, 팔방(八方)으로 통하는 거리와 구방(九方)으로
통하는 거리가 있는 교통의 요충지나 번화한 곳을 이르는 말.
#*갈래* #팔방 #아홉 #방 #여덟 #번화 #교통 #거리"
"* 亢龍有悔(항룡유회)*: 솟아오른 용도 후회할 때가 있다는 뜻으로, 하늘 끝까지 올라가 내려올 줄 모르는 용도 후회하듯이, 극히
존귀한 지위에 올라간 자가 *겸손*히 은퇴할 줄 모르면 반드시 패가망신(敗家亡身)하게 됨을 이르는 말.
#존귀 #뉘우침 #몰락 #때 #위험 #끝 #용도 #*겸손* #용 #경계 #부귀 #하늘 #지위 #은퇴 #후회"
"* 甕算畵餠(옹산화병)*: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由來之風(유래지풍)*: 예로부터 전하여 오는 풍속.
#의미 #*유래* #풍속"
"* 泰而不驕(태이불교)*: 태연하나 교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자(君子)의 태도를 이르는 말로 쓰이거나, 권력 있는 지위에 있어도
교만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로도 사용됨.
#권력 #사용 #교만 #태연 #군자 #태도 #지위"
"* 蓮花世界(연화세계)*: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세계* #아미타불 #불토 #안락 #사람 #정토 #인간 #염불 #불교 #불 #서쪽 #즐거움 #자유 #괴로움 #세상"
"* 惟杖無將(유장무장)*: 오직 몽둥이에는 장수가 없다는 뜻으로, 매질에 장사가 없다는 것처럼 매질하는데 굴복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는
의미.
#매질 #굴복 #장수 #의미 #장사 #몽둥이 #사람"
"* 炎凉世態(염량세태)*: 더웠다가 차가워지는 *세상* 인심이라는 뜻으로, 권세가 있을 때는 아부하여 좇고, 세력이 사라지면 푸대접하는
각박한 *세상* 인심을 이르는 말.
#푸대접 #아첨 #인심 #권세 #때 #형편 #세태 #세력 #아부 #세속 #*세상*"
* 花田衝火(화전충화)*: *꽃*밭에 불을 지른다는 뜻으로, 젊은이의 앞길을 막거나 그르치게 함을 이르는 말.
"* 形不如面面不如眼(형불여면면불여안)*: 사람됨을 알아보는 데는 형체(形體)보다는 *얼굴*, *얼굴*보다는 눈.
#사람 #눈 #형체 #사람됨 #*얼굴*"
"* 活剝生呑(활박생탄)*: 산 채로 껍질을 벗기고 산 채로 삼킨다는 뜻으로, 남의 *시문*을 그대로 따서 자기 작품으로 삼음을 이르는
말.
#내용 #일 #껍질 #삼음 #융통성 #문장 #사용 #작품 #시가 #산 #*시문*"
"* 塞翁之馬(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재앙 #예측 #옛날 #훌륭 #인생 #비유 #다리 #오랑캐 #길흉 #유래 #세상 #변화 #땅 #인간 #화 #노인 #길흉화복 #말 #복 #죽음 #아들 #전쟁 #중국 #준마 #늙은이"
"* 白頭(백두)*: (1)허옇게 센 머리. (2)탕건(宕巾)을 쓰지 못하였다는 뜻으로, 지체는 높으나 벼슬하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던 말. (3)함경도와 만주 사이에 있는 산. 장백산맥(長白山脈) 동쪽에 솟은 우리나라 제일의 산이다. 최고봉인 병사봉에 있는
칼데라호인 천지(天池)에서 압록강, 두만강, 송화강(松花江)이 *시작*한다. 높이는 2,744미터.
#강 #사람 #병사 #머리 #함경도 #*시작* #나라 #동쪽 #탕건 #우리 #벼슬 #지체 #산 #우리나라 #사이"
"* 能知能行摠是師功(능지능행총시사공)*: 알 수 있고 행할 수 있음이 모두 다 *스승*의 공임.
#*스승*"
"* 愚問賢答(우문현답)*: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말 #대처 #발휘 #사용 #대답 #현명 #질문"
* 宵壤之判(소양지판)*: 하늘과 *땅*의 떨어짐이라는 뜻으로, 하늘과 *땅*처럼 두 사물의 차이가 엄청나게 다르다는 말.
"* 呂翁枕(여옹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때 #여옹 #인생 #생활 #사이 #메조 #비유 #노생 #년간 #유래 #도사 #소년 #베개 #말 #꿈 #한단 #밥 #영화 #중국 #잠 #고사"
"* 陽奉陰違(양봉음위)*: 겉으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내심으로는 *배반*함.
#마음 #앞 #내심 #겉 #복종 #*배반* #순종"
"* 相思一念(상사일념)*: 서로 그리워하는 한결같은 마음을 이르는 말.
#마음 #생각"
"* 漆室之憂(칠실지우)*: 자기 분수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서 신분이 낮은 여자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를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칠실 #여자 #일 #방 #고을 #분수 #신분 #끝 #나라 #중국 #걱정 #고사 #*근심* #노나라 #*근심*함 #유래 #마을"
"* 木石不傅(목석불부)*: 나무에도 돌에도 붙일 데가 없다는 뜻으로, *의지*할 곳이 없는 처지를 이르는 말.
#나무 #*의지* #가난"
"* 乘勝長驅(승승장구)*: 싸움에 이긴 *형세*를 타고 계속 몰아침.
#일 #기세 #의미 #싸움 #*형세*"
"* 恬筆倫紙(염필륜지)*: 진국 몽염(蒙恬)은 토끼털로 처음 붓을 만들었고, *후한*(後漢) 채륜(蔡倫)은 처음 종이를 만들었음.
#*후한* #토끼 #붓 #털 #종이 #처음"
"* 大器晩成(대기만성)*: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역경 #일 #만년 #이름 #시간 #노력 #완성 #인물 #큰*그릇* #의미 #*그릇* #공적 #성공 #사람"
"* 金烏玉兎(금오옥토)*: 금오와 옥토는 해와 달의 별칭임. 金烏는 태양 속에 세 발 달린 *까마귀*가 산다는 전설에 의해 생겨난
말이고, 玉 는 달 속에 토끼가 있다는 전설에 의해서 생겨난 말임.
#전설 #토끼 #달 #말 #금 #*까마귀* #태양 #해"
"* 草廬三顧(초려삼고)*: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 虎前乞肉(호전걸육)*: 호랑이 앞에서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범*에게 고기 달래기’로 표현하는 어림도 없는 일을 계획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 埋頭沒身(매두몰신)*: (1)*머리*와 몸이 파묻혔다는 뜻으로, 일에 파묻혀 헤어나지 못함을 이르는 말. (2)일에 매달려 물러날
줄 모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回祿之災(회록지재)*: 불이 나는 재앙. 또는 불로 인한 *재난*.
#불 #재앙 #*재난*"
구름
"* 剛戾自用(강려자용)*: *성품*이 억세고 비꼬여서 스스로의 지혜와 재주만 쓴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듣지 않고 자기 멋대로 행동함을
이르는 말.
#재주 #재능 #말 #스스로 #지혜 #*성품* #행동 #비꼬"

728x90
반응형

댓글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