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728x90
반응형
1 전체글

전체 글787

2 티스토리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구글 트렌드
질못에 관련된 속담 알아보기 ⭕️ "*숙인 머리는 베지 않는다*: 항복하는 사람의 머리는 베지 않는다는 뜻으로, *잘못*을 진실로 뉘우치는 사람은 관대히 용서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람#머리#*잘못*#항복#용서#함" "*숲이 짙으면 범이 든다*: 일이 뚜렷하지 못하면 반드시 *잘못*이 따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숲#일#범#뚜렷#*잘못*" "*말 잃고 외양간 고친다*: 말을 도둑맞은 다음에서야 빈 외양간의 허물어진 데를 고치느라 수선을 떤다는 뜻으로, 일이 이미 *잘못*된 뒤에는 손을 써도 소용이 없음을 비꼬는 말. #일#소용#손#수선#*잘못*#뒤#말#외양간#다음"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말을 도둑맞은 다음에서야 빈 외양간의 허물어진 데를 고치느라 수선을 떤다는 뜻으로, 일이 이미 *잘못*된 뒤에는 손을 써도 소용이 없.. 2024. 7. 5.
소리에 관련된 속담 알아보기 ⭕️ "*수수대에 기름 발린 말*: 원래 미끈한 수숫대에 기름을 바른 것과 같은 반질반질한 말*소리*라는 뜻으로, 내용은 없고 번지르르하기만 한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수수#내용#기름#수숫대#말*소리*#말#대#원래" "*식전 마수에 까마귀 우는 소리*: 매우 불길한 조짐이 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리*#식전#까마귀#불길#조짐#마수" "*시든 호박잎 같은 소리*: 패기나 의욕이 없는 이야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리*#호박#잎#호박잎#패#의욕#이야기" "*나 부를 노래를 사돈집에서 부른다*: 꾸짖음이나 나무람을 들어야 할 사람이 도리어 큰*소리*를 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집#사람#큰*소리*#사돈#사돈집#침#노래" "*시조를 하느냐 양시조를 하느냐*: 쓸데없는 *소리*를 중얼거리는.. 2024. 7. 5.
아이에 관련된 속담 알아보기 ⭕️ "*술 취한 사람과 아이는 거짓말을 안 한다*: 술 취한 사람이 속에 품은 생각을 거짓 없이 말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생각#사람#거짓말#*아이*#거짓#술#말" "*아이도 낳기 전에 포대기[기저귀] 장만한다[누빈다]*: 일을 너무 일찍 서두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기저귀#전#장만#*아이*" "*말 많은 것은 과붓집 종년*: 말이 많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집#사람#말#종년#낮" "*도둑놈 부싯돌만 한 놈*: 하잘것없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놈#사람#부싯돌#도둑놈#낮" "*아이보다 배꼽이 크다*: 얼굴보다 거기에 붙은 코가 더 크다는 뜻으로, 기본이 되는 것보다 덧붙이는 것이 더 많거나 큰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배꼽#경우#얼굴#*아이*#기본#코" "*처녀가 아이를.. 2024. 7. 5.
자식에 관련된 속담 알아보기 ⭕️ "*효성이 지극하면 돌 위에 꽃이 핀다*: 효성이 극진하면 어떤 조건에서도 *자식* 된 도리를 다할 수 있다는 말. #*자식*#위#도리#효성#지극#조건#꽃#극진" "*효성이 지극하면 돌 위에 풀이 난다*: 효성이 극진하면 어떤 조건에서도 *자식* 된 도리를 다할 수 있다는 말. #풀이#*자식*#위#도리#효성#지극#조건#극진" "*효자가 악처만 못하다*: 아무리 못된 아내라도 효자보다 낫다는 뜻으로,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 남자에게는 *자식*보다 아내가 더 중요하다는 말. #악#*자식*#세상#악처#남자#효자#중요#아내" "*만장에 호래자식이 없나*: 많은 사람이 모인 가운데는 못된 사람도 있다는 말. #만장#사람#*자식*#가운데" "*이발이 맏아들보다 낫다*: ‘이가 *자식*보다 낫다’의 북한 속담. #이발.. 2024. 7. 5.
생각에 관련된 속담 알아보기 ⭕️ "*술 취한 사람과 아이는 거짓말을 안 한다*: 술 취한 사람이 속에 품은 *생각*을 거짓 없이 말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생각*#사람#거짓말#아이#거짓#술#말" "*숭어가 뛰니까 망둥이도 뛴다*: 제 분수나 처지는 *생각*하지 않고 잘난 사람을 덮어놓고 따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숭어#*생각*#사람#망둥이#분수#저#처지" "*숯이 검정 나무란다*: 숯이 검은 것을 나무란다는 뜻으로, 제 허물은 *생각*하지 않고 남의 허물을 들추어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숯#*생각*#허물#남#검정#저" "*승냥이는 꿈속에서도 양 무리를 생각한다*: 남을 해치는 것에 익숙해진 사람은 늘 그런 *생각*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무리#사람#*생각*#꿈속#승냥이#남#양#함" "*후생 각이 우뚝하다*.. 2024. 7. 5.
물건에 관련된 속담 알아보기 ⭕️ "*대장의 집에 식칼이 논다*: 칼을 만드는 대장장이의 집에 오히려 식칼이 없고, 미장이 집 구들장이 오히려 빠져 있다는 뜻으로, 어떠한 *물건*이 흔하게 있을 듯한 곳에 의외로 많지 않거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의외#구들장#칼#대장#집#식칼#미장이#구#대장장이#*물건*" "*짚신장이 헌 신 신는다*: 칼을 만드는 대장장이의 집에 오히려 식칼이 없다는 뜻으로, 어떠한 *물건*이 흔하게 있을 듯한 곳에 의외로 많지 않거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의외#신#집#칼#식칼#짚신#짚신장#대장장이#*물건*" "*시세도 모르고 값을 놓는다*: *물건*의 시세가 어떠한지도 모르면서 값을 부른다는 뜻으로, *물건*의 가치도 알지 못하면서 평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세#*물건*#가치#평가#값" .. 2024. 7. 5.
무엇에 관련된 속담 알아보기 ⭕️ "*숲이 커야 짐승이 나온다[든다]*: *무엇*이나 크면 그곳에 그만한 내용이 들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숲#내용#있음#짐승#*무엇*#그곳" "*시골 당나귀 남대문 쳐다보듯*: 시골 당나귀가 서울의 남대문을 보아도 그것이 *무엇*인지 모른다는 뜻으로, 나쁜 내막을 전혀 모르고 그저 보고만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귀#서울#남대문#내막#시골#있음#*무엇*#그것" "*하늘도 끝 갈 날이 있다*: *무엇*이나 끝이 있다는 말. #끝#하늘#날#*무엇*" "*시조하라 하면 발뒤축이 아프다 한다*: *무엇*을 하라고 하였을 때에 엉뚱한 핑계를 대고 하지 아니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발뒤축#때#핑계#*무엇*#발#엉뚱#대#함#시조" "*막내아들이 첫아들이라*: *무엇*이든지 맨 나중 것.. 2024. 7. 5.
마음에 관련된 속담 알아보기 ⭕️ "*마음이 지척이면 천 리도 지척이라*: 서로 정이 깊고 가까우면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가깝게 느껴짐을 이르는 말. #정#천#지척#짐#*마음*#리" "*숲이 커야 짐승이 나온다[든다]*: 체격이 큰 사람이 *마음*도 그만큼 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숲#사람#짐승#체격#*마음*" "*나 먹기는 싫어도 남 주기는 아깝다*: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용#인색#*마음*#남" "*나 먹자니 싫고 개 주자니 아깝다*: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용#인색#남#개#*마음*" "*마음이 천 리면 지척도 천 리라*: 서로 정이 깊지 못하면 가까이 있어도 매우 멀게 느껴짐을 이르는 말. #.. 2024. 7. 5.
728x90
반응형